KR20140059720A -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720A
KR20140059720A KR1020130128041A KR20130128041A KR20140059720A KR 20140059720 A KR20140059720 A KR 20140059720A KR 1020130128041 A KR1020130128041 A KR 1020130128041A KR 20130128041 A KR20130128041 A KR 20130128041A KR 20140059720 A KR20140059720 A KR 20140059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model
information
appl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710B1 (ko
Inventor
신성현
정종열
김성민
이재준
이호영
이지훈
서흥원
이대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5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협업 시스템은 CAD 시스템, Legacy 시스템, 경량모델 처리시스템, 뷰어 엔진을 이용하여 3D 생산모델을 가시화하고 도면을 단순화하여 제공하는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 가상의 디지털 조선소를 구현하기 위한 3D 모델링과 생산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DM 시스템, 모바일 환경에서 모델 및 도면을 표시하고 생산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조선소를 가시화하기 위한 모바일 협업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러한 협업 시스템을 생산부서에서 이용하는 협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생산 공정에 필요한 3D 형상, 2D 도면 및 자제 정보 등을 신속하게 조회/확인할 수 있고, 설계에서 생성된 모델 형상을 활용하여 생산에 적합한 정보로 가시화하여 표현함으로써 불필요한 도면을 없애고, 도면 정보를 최소화하여 설계부하를 줄이고 생산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Collaboration System For Production During Process of Vessel's Construction Based Lightweight Mode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업무역할에 따라 생산 부서에서 공정에 따른 블록별, 작업에 필요한 3D 형상, 2D 도면 및 자재 정보 등을 신속하게 실시간 조회/확인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모델관련 도구들을 경량화된 3차원모델 데이터 포맷(형식), 예를들면, 지멘스사의 JT(Jupiter Toolkit)을 사용함으로써 최적화하여 기능적으로는 설계와 생산간 협업을 위한 디자인 리뷰, 문서첨부, 마크업 등의 사용자 중심의 협업기능과 편의기능들 및 "모델-도면-자재(BOM)"정보의 연계를 통해 생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각 부서간 협업 환경을 구축하고, 설계에서 생성된 모델 형상을 활용하여 선체와 배관 모델의 생산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가시화하여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도면을 줄이고 도면 정보를 단순화하여 설계 부하를 줄이고 생산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수주(견적 단계)된 선박의 종류별(상선, 특수선 등), 크기별(배수량) 등에 따라 영업설계(설계 단계)를 시작함과 더불어 생산 계획에서 선표 계획(생산단계)을 수립하게 된다.
일단, 영업 설계가 수립되면 상세 설계를 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구매 일정을 수립하고, 다시 상기한 구매 일정과 연동하도록 기준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이러한 상세 설계 및 기준 계획이 수립되면 다시 생산에 필요한 생산 설계와 더불어 생산에 필요한 실행 계획을 부서별, 공정별로 수립함으로써 구매 자재가 입고됨과 더불어 생산을 실행하게 된다.
선박 설계결과는 BOM(Bill of Material)을 기반으로 관리되지만 조선소에서 사용하는 BOM 구조는 설계 단계별, 업무 분야별로 동일한 정보를 서로 상이한 구조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선박 제작부터 조달(인도)하기까지 정보가 통합 관리되기 어렵다.
선박 건조 시 선박을 블록 단위로 나누어 자체 제작하거나 제조협력사의 외주를 통해 제작하게 된다. [문헌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선박의 생산 설계 일정과 생산 일정을 연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위 문헌에 따르면 설계의 도면 작업 일정과 생산의 블록 생산 일정이 서로 연계되어 생산 계획이 반영된 생산설계일정을 수립함과 아울러 생산 부서에서 설계의 작동 현황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선체 및 의장 생산 부서에서 공정에 따른 블록별, 작업에 필요한 3D 형상, 2D 도면 및 자재 정보 등을 신속하게 실시간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는 협업 환경을 구축하여 생산 부서를 지원하는 협업 시스템이 부재하였다.
이와 같이 앞서 설명한 선행문헌을 포함한 종래 기술에는 설계 부서와 생산 부서 상호간에 협업 환경이 미흡하기 때문에 생산 작업에서 필요한 3D 형상을 이용하기에는 설계모델은 다소 무거우며, 부재/Assy/블록/PE 블록 등의 형상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며, 표준공기에 대한 관리가 어렵고, 호선의 engineering 정보가 여러 곳에 산재하며, 설계 오작으로 인한 생산 오작의 사전 방지가 미흡하고, 물량/시수 정보 부족으로 사전 계획 수립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문헌1]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82919호(2005. 08. 2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일측면의 목적은 선체 및 의장 생산 부서에서 공정에 따른 블록별, 작업에 필요한 3D 형상, 2D 도면 및 자재 정보 등을 신속하게 실시간 조회/확인할 수 있는 협업 환경을 구축하고, 설계에서 생성된 모델 형상을 활용하여 생산에 필요한 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도면을 줄이고 도면 정보를 단순화하여 설계 부하를 줄이고 생산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모델 기반 선박 설계 및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계에서 생산까지 일관된 3D 경량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 생산지원환경을 제공하는 모델 기반 선박 설계 및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업무별 최적화된 설계/생산정보를 제공하고 생산부서에서 공정에 따른 블록별, 작업에 필요한 3D 형상, 2D 도면 및 자재정보를 신속하게 검색/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 기반 선박 설계 및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 기반 선박 설계 및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은, 설계 부서와 선체 및 의장 생산 부서가 연계하여 협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경량 모델 기반 생산 업무 지원을 위한 협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협업 시스템은, 설계용 캐드 도면을 관리하는 CAD 시스템; 이전 선박 설계에 사용된 구형 캐드 도면을 관리하는 Legacy 시스템; 상기 CAD 시스템 및 Legacy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설계 캐드 도면과 구형 캐드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경량 모델을 생성함과 더불어 경량 모델에 연계된 제품생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PMI를 생성하는 일련의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량모델 처리시스템; 뷰어 엔진을 이용하여 3D 생산모델을 가시화하고 도면을 단순화하여 제공하는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량모델 처리시스템은 경량모델 변환기, 변환된 경량모델, PMI 생성기, 배치알고리즘, 경량모델과 생산관리정보(PMI) 정보를 연계하여 처리하는 JT'-PMI,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주문 도면을 제공하는 DoD(Drawing-On-Demand)(S-C), 3D PDF를 생성하기 위한 3D PDF 생성기(Generato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량모델 변환기는 설계 캐드 도면과 구형 설계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경량화된 모델을 생성하고, 경량모델은 생성된 경량화된 모델을 관리하고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와 DM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MI 생성기는 Legacy 시스템과 배치알고리즘으로부터 각각 제품생산 관련 정보를 수집 가공한 후 JT'-PMI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JT'-PMI는 경량모델과 생산관리정보(PMI)를 연계시키고 그 결과를 DoD(S-C),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 3D PDF 생성기(Generator) 및 모바일 협업 시스템에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모듈을 통해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러한 도면 정보는 BOM과 연계된 맞춤 뷰어, 디자인 리뷰, 탑재간섭 검사, 전산 가시화, 설치 가시화, 공정 가시화, 라벨링(labelng), 조립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D PDF 생성기(Generator)는 3D 캐드 데이터를 간편하게 3D PDF로 변환한 도면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러한 도면 정보는 배관 SPOOL 도면, Component Ass'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량 모델 기반 생산 업무 지원을 위한 협업 시스템은 가상의 디지털 조선소를 구현하기 위한 3D 모델링과 생산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DM 시스템과, 모바일 환경에서 모델 및 도면을 표시하고 생산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조선소를 가시화하기 위한 모바일 협업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M 시스템은 경량모델로부터 경량화된 모델에 vBOM Tree와 labeling을 적용한 정보를 제공받고 Legacy 시스템으로부터 송선, Stage 정보와 블록 및 송선 Tree, labeling 정보를 제공받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Product Modeling, 생산정보 통합/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협업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모델/도면 뷰어, 생산정보조회, 디지털 조선소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델 기반 선박 설계 및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은,설계용 캐드 도면 데이터를 생성 및 처리하는 CAD 시스템과; 경량 모델에 연계된 제품생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생산관리정보(PMI)를 생성하여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와; 상기 CAD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설계 캐드도면 데이터와 레거시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구형 캐드도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량 모델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생성된 경량 모델에 연계된 제품생산 정보를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에서 입력받아 상기 경량모델에 라벨링을 하고 상기 생산관리정보(PMI)를 첨부하여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량모델 변환기와; 상기 경량모델 변환기로부터 라벨링과 생산관리정보(PMI)가 첨부된 경량모델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이전 선박 설계에 사용된 구형 캐드 도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레거시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비스에 의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에 상기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웹서비스 장치와; 3D 모델 데이터 및 처리를 제공하는 3D 모델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 담당 역할(role)관리도구, 공지사항 관리도구, 애플리케이션과 로그 레포트 도구 및 다이나믹 메뉴관리도구를 포함하는 관리애플리케이션과, 개인설정 데이터베이스, BOM(Bil Of Material) 뷰어 애플리케이션 및 다아나믹 메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은 웹서비스 장치를 통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 및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3D 모델 데이터 및 처리를 제공하며, 3D 모델 뷰어, 클리어런스 및 체크 등의 간섭검사 애플리케이션,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가시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웹서비스 장치를 통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 및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고 처리한다.
상기 BOM(Bil Of Material) 뷰어 애플리케이션은 캐드 시스템에서 생성된 생산블록별 3D 데이터에 의거 3D 모델 형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3D모델 뷰어수단과; 생산블록별로 생성된 3D 데이터에 의거 3D모델을 주변블록에 조립했을 때 간섭을 검사하는 클리어런스 체크수단과; 생산블록별 3D 데이터에 의거 생산블록을 시뮬레이션하는 3D모델 시뮬레이션수단과; 생산블록별로 생산공정을 가시화하여 모니터에 표시하는 공정가시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경량모델과 라벨링 및 생산관리정보(PMI)가 결합된 경량모델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여 3D 모델 뷰어에 의해 생성된 3D 모델 데이터를 저장하고, 간섭검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간섭검사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시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가시화 데이터를 웹서비스 장치를 통해 제공받아 저장한다.
상기 협업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설계부서 또는 생산부서의 사용자 컴퓨터, 모바일 단말기의 모니터에 표시되며, 협력부서간 공지사항을 표시하는 공지사항 표시부, 다른 웹사이트, 개인 홈페이지에 링크되는 링크 연동부, Outlook 일정 표시부, 3D 모델 뷰어, 간섭검사 애플리케이션,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가시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3D 모델 애플리케이션 메뉴, 사용자가 3D 모델 애플리케이션 메뉴에서 선택한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 3D모델 영상을 표시하는 3D 모델표시부, 사용자가 담당하는 역할별 다이나믹 메뉴를 표시하는 role 별 다이나믹 메뉴 표시부, 임베드(emmbed)된 외부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내용을 표시하는 외부응용프로그램 표시부, 자재리스트(BOM)의 계층구조를 표시하는 BOM-Tree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 공정에 필요한 3D 형상, 2D 도면 및 자제 정보 등을 신속하게 조회/확인할 수 있고, 설계에서 생성된 모델 형상을 활용하여 생산에 적합한 정보로 가시화하여 표현함으로써 불필요한 도면을 없애고, 도면 정보를 최소화하여 설계부하를 줄이고 생산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데이터 이키텍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데이터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부서간 협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a에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의 상세구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BOM 뷰어의 상세구조가 도시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부서간 협업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역할별 업무환경제공 순서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b에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부서간 협업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역할(Role)의 예시이다.
도 8a 내지 도 8d에 본 발명에 의한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관리도구를 나타내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이하 협업 시스템, 10)은 설계 부서와 선체 및 의장 생산 부서와 연계하여 협업 환경을 구축한다. 설계 부서는 협업 시스템(10)에 선박 건조를 위한 설계 캐드 도면을 구축하는 역할을 하고, 선체 및 의장 생산 부서는 협업 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생산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협업 시스템(10)은 설계용 캐드 도면을 관리하는 CAD 시스템(11), 이전 선박 설계에 사용된 구형 캐드 도면을 관리하는 Legacy 시스템(12), 설계 캐드 도면과 구형 캐드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경량 모델을 생성함과 더불어 경량 모델에 연계된 제품생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PMI(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를 생성하는 일련의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량모델 처리시스템(13), 뷰어 엔진을 이용하여 3D 생산모델을 가시화하고 도면을 단순화하여 제공하는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14), 가상의 디지털 조선소를 구현하기 위한 3D 모델링과 생산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DM(Digital Manufacturing) 시스템(15), 모바일 환경에서 모델 및 도면을 표시하고 생산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조선소(digital shipyard)을 가시화하기 위한 모바일(Mobile) 협업 시스템(16)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데이터 아키텍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CAD 시스템(11)은 설계 캐드 도면을 제공하고, Legacy 시스템(12)은 생산 공정 도면/BOM을 구비하고, 자재/일정/실적/송선/도면/작업자 관련 정보를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14)에 제공한다.
경량모델처리 시스템(13)은 경량모델 변환기(예를 들면, JT(Jupiter Toolkit) Translator), 변환된 경량모델(예를들면, 지메스사의 JT(Jupiter Toolkit)),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 배치알고리즘, 경량모델과 생산관리정보(PMI)를 연계하여 처리하는 JT'-PMI,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주문 도면을 제공하는 DoD(Drawing-On-Demand)(S-C), 3D PDF를 생성하기 위한 3D PDF 생성기(Generator)를 구비한다.
경량모델 변환기(예를 들면, 지메스사의 JT(Jupiter Toolkit) Translator)는 설계 캐드 도면과 구형 설계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경량화된 모델을 생성하고, 경량모델(예를들면, 지멘스사의 JT(Jupiter Toolkit))은 생성된 경량화된 모델을 관리하고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와 DM 시스템(15, DMS)에 제공한다.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는 Legacy 시스템과 배치알고리즘으로부터 각각 제품생산 관련 정보를 수집 가공한 후 JT'-PMI에 제공한다. JT'-PMI는 경량모델(예를들면, 지멘스사의 JT(Jupiter Toolkit))와 생산관리정보(PMI)를 연계시키고 그 결과를 DoD(S-C),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14), 3D PDF 생성기(Generator) 및 모바일 협업 시스템(16)에 각각 제공한다.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14)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User Interface)모듈을 통해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러한 도면 정보는 BOM(Bill of Material)과 연계된 맞춤 뷰어, 디자인 리뷰, 탑재간섭 검사, 전산 가시화, 설치 가시화, 공정 가시화, 라벨링(labeling), 조립순서 등이다.
3D PDF 생성기(Generator)는 3D 캐드 데이터를 간편하게 3D PDF로 변환한 도면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러한 도면 정보는 배관 SPOOL 도면, Component Ass'y 등이다.
DM 시스템(15, DMS)은 경량모델(예를 들면, 지메스사의 JT(Jupiter Toolkit))로부터 경량화된 모델에 vBOM Tree와 labeling을 적용한 정보를 제공받고 Legacy 시스템으로부터 송선, Stage 정보와 블록 및 송선 Tree, labeling 정보를 제공받는다. DM 시스템(15, DMS)은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Product Modeling, 생산정보 통합/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모바일 협업 시스템(16)은 모바일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모델/도면 뷰어, 생산정보조회, 디지털 조선소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데이터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량모델 기반 협업 시스템(10)의 전체 데이터 프로세스는 크게 Project Connector, vBOM-Translator, JT(PMI)-Translator, Upload 로 구분한다.
Project Connector는 CAD(모델), Legacy DB, SAP(도면)로부터 각각 요소 정보를 추출한다. CAD(모델)에서 좌표, 형상, 데이터 추출(Data Extraction)로 분리하고, 형상, 데이터 추출(Data Extraction)한 속성을 vBOM-Translator로 각각 전달한다. 또한 Legacy DB에서 BLK Tree, STAGE 등을 vBOM-Translator로 전달한다. SAP(도면)에서 BOM, 일정정보를 제공한다.
vBOM-Translator는 전달받은 각 요소를 바탕으로 전처리하여 E-BOM Parsing(구조모델, 생산모델), M-BOM Parsing(생산모델)을 생성하여 JT(PMI)-Translator로 전달하고, JT(PMI)-Translator은 E-BOM Parsing에 대한 PMI(LABEL)와 M-BOM Parsing에 대한 PMI(LABEL)에 color를 적용하고, E-BOM에 대응된 PMI(LABEL)에 대해 Item Create(구조정보)와 E-BOM Create(scripts)를 생성하여 Upload 협업시스템 DB(예를들면 지멘스사의 TC(Teamcenter))의 E-BOM 체계를 구축함과 더불어, BLK Mono-JT(형상정보)를 생성한 후 Upload의 File Sever에 저장한다.
또한 M-BOM에 대응된 PMI(LABEL)에 대해 Item Create(구조정보)와 M-BOM Create(scripts)를 생성하여 Upload 협업시스템 DB(예를들면 지멘스사의 TC(Teamcenter))의 M-BOM 체계를 구축함과 더불어, Per-Part JT(형상정보)와 PMI(DIM, SYMB)에서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생성된 PANEL-JT/SPOOL-JT(도면최소화)와 BLK Mono-JT(설치가시화)를 Upload의 File Sever에 저장하고, 이 File Sever로부터 추출된 경량모델이 속성, M-BOM 체계, E-BOM 체계, 일정, BOM이 나타내는 화면상의 가시화할 수 있고 더불어 File Sever로부터 DM-JT'를 생성한 후 DMS에 제공된다. Mobile과 3D-PDF는 협업시스템 DB(예를들면 지멘스사의 TC(Teamcenter))에 연계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 및 의장 생산부서에서 협업시스템(10)에 연결하여 생산 공정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BOM(Bill of Material)과 연계된 공정 시각화, 조립(생산) 공정/간섭 검증, 디지털 환경의 가상 현장 검증, 도면 정보 최소화, 설계 정보와 3D 모델간의 정보 연계, 생산일정 데이터를 통한 Lead Time, 애로 공정, 작업자 및 장비 할당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부서간 협업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부서간 협업 시스템(이하 부서간 협업 시스템, 20)은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30)와 선체 및 의장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40)와 연계하여 선박제품의 기하정보, 제품 설계 및 생산과 관련된 정보를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고 각 부서에서 필요시에 접근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협업 환경을 구축한다.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30)는 부서간 협업 시스템(20)에 선박 건조를 위한 2차원과 3차원 설계 캐드 도면 등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구축하는 역할을 하고, 선체 및 의장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40)는 부서간 협업 시스템(20)의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3)에서 제공하는 3차원 솔리드모델, 용접장의 길이나 부피, 중량, 무게 중심 등의 생산공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생산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
부서간 협업 시스템(20)은 설계용 캐드 도면 데이터를 생성 및 처리하는 CAD 시스템(21)과; 경량 모델에 연계된 제품생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PMI(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를 생성하여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제공하는 PMI 생성기(23)와; 상기 CAD 시스템(21)으로부터 입력되는 설계 캐드도면 데이터와 레거시(Legacy)데이터베이스(25)에서 제공되는 구형 캐드도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량 모델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생성된 경량 모델에 연계된 제품생산 정보를 PMI 생성기(23)에서 입력받아 상기 경량모델에 라벨링을 하고 상기 PMI(제품생산관리 정보)를 첨부하여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량모델 변환기(22)와; 상기 경량모델 변환기(22)로부터 라벨링과 PMI(제품생산관리 정보)가 첨부된 경량모델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와; 이전 선박 설계에 사용된 구형 캐드 도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제공하는 레거시(Legacy)데이터베이스(25)와; 웹서비스에 의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30)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40)에 상기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를 연결하는 웹서비스 장치(26)와; 3D 모델 데이터 및 처리를 제공하는 3D 모델 애플리케이션(27a)과, 사용자 담당 역할(role)관리도구, 공지사항 관리도구, 애플리케이션과 로그 레포트 도구 및 다이나믹 메뉴관리도구를 포함하는 관리애플리케이션(27b)과, 개인설정 데이터베이스(27c), BOM(Bil Of Material) 뷰어 애플리케이션(27d), 다아나믹 메뉴 애플리케이션(27e)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3D 모델 애플리케이션(27a)은 웹서비스 장치(26)를 통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30)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40) 및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3D 모델 데이터 및 처리를 제공하며, 3D 모델 뷰어, 클리어런스 및 체크 등의 간섭검사 애플리케이션,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가시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3D 모델 애플리케이션(27a)은 3D 모델 뷰어 엔진을 이용하여 3D 생산모델을 가시화하고 도면을 단순화하여 제공하는 3D 가시화 애플리케이션 및 도면 최소화부,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가상의 디지털 조선소를 구현하기 위한 3D 모델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27b)은 웹서비스 장치(26)를 통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30)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40) 및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관리 데이터를 제공 및 처리한다.
개인설정 데이터베이스(27c)는 상기 웹서비스 장치(26)를 통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30)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40) 및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개인설정 데이터를 제공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30)는 협업 시스템(20)에 선박 건조를 위한 설계 캐드 도면을 구축하는 역할을 하고, 설계부서를 구성하는 다수의 개인용컴퓨터와 서버 컴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웹서비스 장치(26)를 통해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서 상기 경량모델의 설계관련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가공하여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는 컴퓨터 등의 데이터처리장치이다.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40)는 협업 시스템(2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생산 작업에 적용하고, 선체 및 의장 생산 부서를 구성하는 다수의 개인용컴퓨터와 서버 컴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웹서비스 장치(26)를 통해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서 상기 경량모델의 설계관련 데이터를 읽어들여 생산공정에 적용하고 적용된 데이터를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는 컴퓨터 등의 데이터처리장치이다.
CAD 시스템(21)은 설계용 캐드 도면 데이터를 생성 및 처리하여 경량모델 변환기(22)에 제공하고, Legacy 데이터베이스(25)는 생산 공정 도면/BOM을 구비하고, 자재/일정/실적/송선/도면/작업자 관련 정보를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제공한다.
경량모델 변환기(예를들면, 지메스사의 JT(Jupiter Toolkit) Translator) (22)는 CAD 시스템(21)에서 제공하는 설계 캐드 도면과 구형 설계 및 생산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경량모델(예를들면, 지메스사의 JT(Jupiter Toolkit))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량모델(예를들면, 지메스사의 JT(Jupiter Toolkit))에 PMI 생성기(23)에서 제공되는 라벨링 메타(Labeling Meta) 정보를 부가하여 라벨링 및 생산관리정보(PMI)가 결합된 경량모델 데이터를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제공하여 저장한다.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23)는 경량모델 변환기(22)에서 출력되는 경량모델과 라벨링이 결합된 정보에 생산관리정보(PMI, 도면정보)를 결합하여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에 제공한다.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4)는 경량모델과 라벨링 및 생산관리정보(PMI)가 결합된 경량모델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27)의 3D 모델 애플리케이션(27a)에 제공하여 3D 모델 뷰어에 의해 생성된 3D 모델 데이터를 저장하고, 간섭검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간섭검사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시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가시화 데이터를 웹서비스 장치(26)를 통해 제공받아 저장한다.
도 5a에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의 상세구조가 도시되고, 도 5b에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BOM 뷰어의 상세구조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27)의 3D 모델 애플리케이션(27a)은 캐드 시스템(21)에서 생성된 생산블록별 3D 데이터에 의거 3D 모델 형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3D모델 뷰어수단(271)와; 생산블록별로 생성된 3D 데이터에 의거 3D모델을 주변블록에 조립했을 때 간섭을 검사하는 클리어런스 체크수단(272)와; 생산블록별 3D 데이터에 의거 생산블록을 시뮬레이션하는 3D모델 시뮬레이션수단(273)과; 생산블록별로 생산공정을 가시화하여 모니터에 표시하는 공정가시화 수단(2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27)의 BOM 뷰어(27d)는 자재리스트(BOM)에서 사용자의 담당롤(role)에 해당하는 자재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자재항목을 3D 모델 형상으로 모니터에 표시하는 맞춤 뷰어(275)와; 상기 해당 자재항목의 외형 디자인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디자인 리뷰(276)와; 상기 해당 자재항목의 주변 블록에 탑재했을 때 주변블록과의 간섭을 검사하는 탑재간섭검사(277)와; 상기 해당 자재항목의 설치상태를 가시화하여 모니터에 표시하는 설치도 가시화(278)와; 상기 해당 자재항목의 생산공정을 가시화하여 모니터에 표시하는 공정가시화(279)와; 상기 해당 자재항목의 조립공정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조립흐름(230)과; 상기 해당 자재항목의 배관스풀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배관스풀도면 뷰어(231)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3D 형상을 2D 캐드테이터 및 자재리스트(BOM)를 연계하여 자재리스트의 해당항목에서 3D 형상 및 2D 캐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자재의 조립체, 블록 또는 부품 단위로 3D 형상 및 2D 캐드 데이터를 검색, 조회 및 필터링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설계부서 또는 생산부서의 사용자 컴퓨터, 모바일 단말기 등의 모니터에 표시되며, 협력부서간 공지사항을 표시하는 공지사항 표시부(①), 다른 웹사이트, 개인 홈페이지 등에 링크되는 링크 연동부(②), Outlook 일정 표시부(③), 3D 모델 뷰어, 간섭검사 애플리케이션,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가시화 애플리케이션 등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3D 모델 애플리케이션 메뉴(④), 사용자가 3D 모델 애플리케이션 메뉴(④)에서 선택한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 3D모델 영상을 표시하는 3D 모델표시부(⑤), 사용자가 담당하는 역할별 다이나믹 메뉴를 표시하는 role 별 다이나믹 메뉴 표시부(⑤), 임베드(emmbed)된 외부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내용을 표시하는 외부응용프로그램 표시부(⑥), 자재리스트(BOM: Bill of Material)의 계층구조를 표시하는 BOM-Tree 표시부(⑦). 설계정보와 생산정보를 항목별로 리스트해서 표시하는 Right Panel 표시부(⑧) 그리고 자재리스트(BOM) 종보를 표시하는 Bottom Panel 표시부(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a에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부서간 협업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역할별 업무환경제공 순서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되고, 도 7b에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부서간 협업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역할(Role)의 예시가 도시된다.
단계 S1에서 AD체크(사용자 본인 PC인가?)를 실행하고, 사용자 본인 PC(Personal Computer)인 경우, 단계 S2로 진행하여 자동 로그인을 실행하고 단계 S5에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역할(Role)을 가졌는지 판단한다.
단계 S1의 판단결과 사용자 본인 PC(Personal Computer)이 아닌 경우, 단계 S3로 진행하여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전사포털 계정인증을 실행하고, 단계 S4로 진행하여 유효한 계정인지 체크하여 유효한 경우 단계 S5로 진행하고, 유효하지 않은 경우 단계 S3를 반복한다.
단계 S5의 판단결과 복수개의 담당역할(Role)를 가진 경우 복수개의 담당 역할 중에서 하나의 담당역할(Role)를 선택하도록 하고 단계 S5의 판단결과 복수개의 담당역할(Role)를 가지지 않은 경우 바로 단계 S7로 진행하여 담당역할(Role)별 업무환경 제공준비 및 시스템을 초기화 한다.
단계 S8에서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3)로부터 담당업무(Role)에 할당된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9로 진행하여 할당된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데이터처리장치로 제공한다.
또한 단계 S10에서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23)로부터 담당역할(Role)에 할당된 외부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단계 S11에서 동적메뉴를 구성하고 단계 S12에서 외부응용프로그램의 실행환경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의 역할 별로 업무환경을 제공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에 의해 설계에서 생산까지 3D 경량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d에 본 발명에 의한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관리도구를 나타내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담당역할(Role) 관리도구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와 생산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의 담당역할(Role)이 변경되면 변경된 역할을 리스트 업하여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제공되는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한다.
공지사항 관리도구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하고자 하는 대상의 역할을 선택하여 등록하여 놓음으로써 공지사항을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분 등)마다 등록된 역할을 담당하는 사용자는 모두 설정된 시간내에 자동으로 공지사항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 로그 및 레포트 도구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별로 사용빈도와 사용비율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막대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다.
동적메뉴 관리도구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10: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11: CAD 시스템
12: Legacy 시스템
13: 경량모델 처리 시스템
14: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
15: DM 시스템
16: 모바일 협업 처리 시스템
20: 부서간 협업 시스템 21: CAD 시스템
22: 경량모델 변환기 23: PMI 생성기
24: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 25: 레거시(Legacy)데이터베이스
26: 웹서비스 장치 27: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Claims (16)

  1. 설계 부서와 선체 및 의장 생산 부서가 연계하여 협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협업 시스템은,
    설계용 캐드 도면을 관리하는 CAD 시스템;
    이전 선박 설계에 사용된 구형 캐드 도면을 관리하는 Legacy 시스템;
    상기 CAD 시스템 및 Legacy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설계 캐드 도면과 구형 캐드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경량 모델을 생성함과 더불어 경량 모델에 연계된 제품생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생산관리정보(PMI)를 생성하는 일련의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량모델 처리시스템;
    뷰어 엔진을 이용하여 3D 생산모델을 가시화하고 도면을 단순화하여 제공하는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모델 처리시스템은 경량모델 변환기, 변환된 경량모델,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 배치알고리즘, 경량모델과 생산관리정보(PMI)를 연계하여 처리하는 JT'-PMI,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주문 도면을 제공하는 DoD(Drawing-On-Demand)(S-C), 3D PDF를 생성하기 위한 3D PDF 생성기(Generato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모델 변환기는 설계 캐드 도면과 구형 설계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경량화된 모델을 생성하고, 경량모델은 생성된 경량화된 모델을 관리하고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와 DM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는 Legacy 시스템과 배치알고리즘으로부터 각각 제품생산 관련 정보를 수집 가공한 후 JT'-PMI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JT'-PMI는 경량모델과 생산관리정보(PMI) 정보를 연계시키고 그 결과를 DoD(S-C),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 3D PDF 생성기(Generator) 및 모바일 협업 시스템에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모듈을 통해 3D 가시화 및 도면최소화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러한 도면 정보는 BOM과 연계된 맞춤 뷰어, 디자인 리뷰, 탑재간섭 검사, 전산 가시화, 설치 가시화, 공정 가시화, 라벨링(labeling), 조립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D PDF 생성기(Generator)는 3D 캐드 데이터를 간편하게 3D PDF로 변환한 도면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러한 도면 정보는 배관 SPOOL 도면, Component Ass'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가상의 디지털 조선소를 구현하기 위한 3D 모델링과 생산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DM 시스템과, 모바일 환경에서 모델 및 도면을 표시하고 생산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조선소를 가시화하기 위한 모바일 협업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M 시스템은 경량모델로부터 경량화된 모델에 vBOM Tree와 labeling을 적용한 정보를 제공받고 Legacy 시스템으로부터 송선, Stage 정보와 블록 및 송선 Tree, labeling 정보를 제공받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Product Modeling, 생산정보 통합/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협업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모델/도면 뷰어, 생산정보조회, 디지털 조선소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11. 설계용 캐드 도면 데이터를 생성 및 처리하는 CAD 시스템과;
    경량 모델에 연계된 제품생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생산관리정보(PMI)를 생성하여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생산관리정보(PMI) 생성기와;
    상기 CAD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설계 캐드도면 데이터와 레거시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구형 캐드도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량 모델을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생성된 경량 모델에 연계된 제품생산 정보를 PMI 생성기에서 입력받아 상기 경량모델에 라벨링을 하고 상기 생산관리정보(PMI)를 첨부하여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량모델 변환기와;
    상기 경량모델 변환기로부터 라벨링과 생산관리정보(PMI)가 첨부된 경량모델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이전 선박 설계에 사용된 구형 캐드 도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는 레거시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비스에 의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에 상기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웹서비스 장치와;
    3D 모델 데이터 및 처리를 제공하는 3D 모델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 담당 역할(role)관리도구, 공지사항 관리도구, 애플리케이션과 로그 레포트 도구 및 다이나믹 메뉴관리도구를 포함하는 관리애플리케이션과, 개인설정 데이터베이스, BOM(Bil Of Material) 뷰어 애플리케이션 및 다아나믹 메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은 웹서비스 장치를 통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 및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3D 모델 데이터 및 처리를 제공하며, 3D 모델 뷰어, 클리어런스 및 체크 등의 간섭검사 애플리케이션,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가시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웹서비스 장치를 통해 설계부서 데이터처리장치와 생산부서 데이터처리장치 및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고 처리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OM(Bil Of Material) 뷰어 애플리케이션은 캐드 시스템에서 생성된 생산블록별 3D 데이터에 의거 3D 모델 형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3D모델 뷰어수단과; 생산블록별로 생성된 3D 데이터에 의거 3D모델을 주변블록에 조립했을 때 간섭을 검사하는 클리어런스 체크수단과; 생산블록별 3D 데이터에 의거 생산블록을 시뮬레이션하는 3D모델 시뮬레이션수단과; 생산블록별로 생산공정을 가시화하여 모니터에 표시하는 공정가시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경량모델과 라벨링 및 생산관리정보(PMI)가 결합된 경량모델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여 3D 모델 뷰어에 의해 생성된 3D 모델 데이터를 저장하고, 간섭검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간섭검사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시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가시화 데이터를 웹서비스 장치를 통해 제공받아 저장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설계부서 또는 생산부서의 사용자 컴퓨터, 모바일 단말기의 모니터에 표시되며, 협력부서간 공지사항을 표시하는 공지사항 표시부, 다른 웹사이트, 개인 홈페이지에 링크되는 링크 연동부, Outlook 일정 표시부, 3D 모델 뷰어, 간섭검사 애플리케이션,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가시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3D 모델 애플리케이션 메뉴, 사용자가 3D 모델 애플리케이션 메뉴에서 선택한 3D 모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 3D모델 영상을 표시하는 3D 모델표시부, 사용자가 담당하는 역할별 다이나믹 메뉴를 표시하는 role 별 다이나믹 메뉴 표시부, 임베드(emmbed)된 외부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내용을 표시하는 외부응용프로그램 표시부, 자재리스트(BOM)의 계층구조를 표시하는 BOM-Tree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KR1020130128041A 2012-11-07 2013-10-25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KR102187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5409 2012-11-07
KR1020120125409 2012-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720A true KR20140059720A (ko) 2014-05-16
KR102187710B1 KR102187710B1 (ko) 2020-12-08

Family

ID=5088945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392A KR101506629B1 (ko) 2012-11-07 2013-09-26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KR1020130117553A KR102137498B1 (ko) 2012-11-07 2013-10-01 상선 및 해양호선의 대용량 경량모델 관리 시스템
KR1020130118647A KR101575721B1 (ko) 2012-11-07 2013-10-04 디지털 목업 생성 장치 및 이의 방법
KR1020130128041A KR102187710B1 (ko) 2012-11-07 2013-10-25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KR1020130128021A KR20140059719A (ko) 2012-11-07 2013-10-25 Wsd 기반 선박 건조 시뮬레이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392A KR101506629B1 (ko) 2012-11-07 2013-09-26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KR1020130117553A KR102137498B1 (ko) 2012-11-07 2013-10-01 상선 및 해양호선의 대용량 경량모델 관리 시스템
KR1020130118647A KR101575721B1 (ko) 2012-11-07 2013-10-04 디지털 목업 생성 장치 및 이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021A KR20140059719A (ko) 2012-11-07 2013-10-25 Wsd 기반 선박 건조 시뮬레이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1506629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575A (ko) * 2014-08-11 2016-02-22 (주)코에버정보기술 3d 뷰어 기반의 설계기술정보를 이용한 협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90486A (ko) * 2015-01-22 2016-08-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화된 가변 스케일의 조선해양 구조물 건조공정의 계획 및 실행정보 비교분석 시스템
KR20160096796A (ko) * 2015-02-05 2016-08-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자재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0366A (ko) * 2015-04-07 2016-10-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바일 기반 정도 관리 시스템
KR101687497B1 (ko) * 2015-10-29 2016-12-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용량 플랜트 설계 데이터의 경량화 방법
KR20170007943A (ko) * 2015-07-13 2017-0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조물의 소구역 단위의 물량 산출 장치 및 그의 물량 산출 방법
KR20180028737A (ko) * 2016-09-09 2018-03-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작업 구역의 생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827227B1 (ko) * 2017-12-19 2018-03-22 이승호 스마트플랜트 다차원공간 3d 배관설계 협업서비스방법
KR20190106246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3d 뷰 기반의 블록 반출입 시뮬레이션 장치
KR20200041560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00130914A (ko) * 2019-05-13 2020-1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선해양용 설치도 3d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3410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창림 선박 부품용 3d 제작도 경량화 방법
KR20210023409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뎁스 경량화된 선박 부품용 3d 제작도 제공 방법
WO2022085859A1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팀솔루션 기계 학습용 이미지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224B1 (ko) * 2013-04-02 2015-07-17 주식회사 지노스 조선소 물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012494B1 (ko) * 2018-08-08 2019-08-2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설계공정 기반 간섭체크 자율 운영 시스템
KR102012497B1 (ko) * 2018-08-08 2019-10-21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지능형 설계 자율검증 시스템
KR102013763B1 (ko) * 2018-09-10 2019-10-21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선각화 의장품 자율 설계 시스템
KR102516430B1 (ko) * 2018-12-14 2023-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70664B1 (ko) * 2019-10-14 2020-01-29 주식회사 바론시스템 3d 기반의 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
CN114379726A (zh) * 2020-10-21 2022-04-22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船舶的空船重量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348372A (zh) * 2020-11-12 2023-06-27 国立研究开发法人海上·港湾·航空技术研究所 基于统一数据库的船舶的建造模拟方法、程序及系统、以及船舶的品质数据库的构建方法
CN113722855B (zh) * 2021-08-30 2024-01-1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基于模型的船舶建造工装仿真评估方法、系统、介质及终端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919A (ko)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생산 설계 일정과 생산 일정의 연계 방법
KR100877510B1 (ko) * 2007-02-15 2009-01-07 주식회사 한국캐드캠솔루션즈 캐드프로그램을 이용한 3차원 금형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911501B1 (ko) * 2007-06-29 2009-08-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설계 전자도면 작성방법
KR20100005846A (ko) * 2008-07-08 2010-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설계 디자인 리뷰 방법 및 그 서비스 시스템
KR101087197B1 (ko) * 2009-01-16 2011-11-29 현대로템 주식회사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KR20120126692A (ko) * 2011-05-12 2012-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387B1 (ko) * 1997-11-07 2000-02-01 정선종 인쇄회로기판 설계의 전자파장해 예측방법
US6282697B1 (en) 1998-09-18 2001-08-28 Wylci Fables Computer processing and programming method using autonomous data handlers
US6691140B1 (en) * 1999-07-30 2004-02-10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dimensional storage model with interdimensional links
KR100362382B1 (ko) * 1999-12-27 2002-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의 특징형상 모델링 방법
JP4676630B2 (ja) 2001-03-16 2011-04-27 富士通株式会社 三次元解析モデル生成方法、装置、三次元解析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WO2007115254A2 (en) 2006-03-31 2007-10-11 Vist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disparate datastores via a remote device
JP2008071276A (ja) * 2006-09-15 2008-03-27 Mazda Motor Corp Cad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874288B1 (ko) * 2007-03-29 2008-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3d 모델 및 자산관리 시스템
KR101456245B1 (ko) * 2008-11-18 2014-1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대표 스펙을 이용한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48912B1 (ko) * 2009-09-01 2015-09-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협업 검색 수행 시스템, 서버, 휴대단말 및 방법
KR20120056327A (ko) * 2010-11-25 2012-06-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3차원 공간을 이용한 의장품에 대한 생산 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7582A (ko) * 2011-10-06 2013-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설계를 위한 동적 간섭체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919A (ko)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생산 설계 일정과 생산 일정의 연계 방법
KR100877510B1 (ko) * 2007-02-15 2009-01-07 주식회사 한국캐드캠솔루션즈 캐드프로그램을 이용한 3차원 금형 자동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911501B1 (ko) * 2007-06-29 2009-08-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설계 전자도면 작성방법
KR20100005846A (ko) * 2008-07-08 2010-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설계 디자인 리뷰 방법 및 그 서비스 시스템
KR101087197B1 (ko) * 2009-01-16 2011-11-29 현대로템 주식회사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KR20120126692A (ko) * 2011-05-12 2012-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지식경제부, "2011년도 공정IT융합지원센터 결과보고서 (1차년도 연차보고서)"* *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575A (ko) * 2014-08-11 2016-02-22 (주)코에버정보기술 3d 뷰어 기반의 설계기술정보를 이용한 협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90486A (ko) * 2015-01-22 2016-08-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화된 가변 스케일의 조선해양 구조물 건조공정의 계획 및 실행정보 비교분석 시스템
KR20160096796A (ko) * 2015-02-05 2016-08-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자재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0366A (ko) * 2015-04-07 2016-10-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바일 기반 정도 관리 시스템
KR20170007943A (ko) * 2015-07-13 2017-0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조물의 소구역 단위의 물량 산출 장치 및 그의 물량 산출 방법
KR101687497B1 (ko) * 2015-10-29 2016-12-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용량 플랜트 설계 데이터의 경량화 방법
KR20180028737A (ko) * 2016-09-09 2018-03-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작업 구역의 생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827227B1 (ko) * 2017-12-19 2018-03-22 이승호 스마트플랜트 다차원공간 3d 배관설계 협업서비스방법
KR20190106246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3d 뷰 기반의 블록 반출입 시뮬레이션 장치
KR20200041560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00130914A (ko) * 2019-05-13 2020-1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선해양용 설치도 3d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3410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창림 선박 부품용 3d 제작도 경량화 방법
KR20210023409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뎁스 경량화된 선박 부품용 3d 제작도 제공 방법
WO2022085859A1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팀솔루션 기계 학습용 이미지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710A (ko) 2014-05-16
KR101575721B1 (ko) 2015-12-11
KR20140059719A (ko) 2014-05-16
KR20140059706A (ko) 2014-05-16
KR101506629B1 (ko) 2015-03-30
KR102187710B1 (ko) 2020-12-08
KR102137498B1 (ko) 2020-07-27
KR20140059707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9720A (ko)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Alizadehsalehi et al. From BIM to extended reality in AEC industry
US20230065286A1 (en) Cloud-enabled generation of construction metrics and documentation
CN101681335B (zh) 用于向外围系统分发计算机仿真产品设计和制造数据的方法和系统
Serván et al. Assembly work instruction deployment using augmented reality
US8626477B2 (en) Spreadsheet-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deling of products using the systems engineering process
US20090125359A1 (en) Integrating a methodology management system with project tasks in a project management system
Müller et al. Le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ol to connect shop and top floor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CN111309315B (zh) 一种基于工业物联网数据和业务建模的自动化配置方法
US10417924B2 (en) Visual work instructions for assembling product
CN112598391B (zh) 业务流程创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19643B1 (ko) 조선, 플랜트산업 중소 제조업의 생산고도화를 위한 3d 기반 스마트 작업정보 시스템
Lee et al. Simulation-based work plan verification in shipyards
Larek et al. Industry 4.0 in manual assembly processes–a concept for real time production steering and decision making
KR101584575B1 (ko) 선박의 제조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5846A (ko) 선박의 설계 디자인 리뷰 방법 및 그 서비스 시스템
KR102213639B1 (ko) 다중 케이블 관통(mct) 슬리브 최적 배치 알고리즘 및 가시화 방법론
Handley The Human Viewpoint for System Architectures
KR102103272B1 (ko) 혼합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자재의 최적조립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2580B1 (ko)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Petrucciani et al. A platform for product-service design and manufacturing intelligence
JP2008305006A (ja) グラフィック情報生成装置
KR101156132B1 (ko) 항공기의 임무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Murray et al. A virtual environment for building construction
Han et al. Development of a collaboration system based on mobile framework in the field of ships and marine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