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580B1 -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580B1
KR102052580B1 KR1020170183158A KR20170183158A KR102052580B1 KR 102052580 B1 KR102052580 B1 KR 102052580B1 KR 1020170183158 A KR1020170183158 A KR 1020170183158A KR 20170183158 A KR20170183158 A KR 20170183158A KR 102052580 B1 KR102052580 B1 KR 10205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mage
data
process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606A (ko
Inventor
박인하
강태선
박정서
최영수
황인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5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9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모바일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제공 시스템은, 도면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도면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가공하는 처리 서버; 및 상기 처리 서버와 사용자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도면 데이터는 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도면 데이터를 상기 속성 정보가 포함된 도면 이미지로 변환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TO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도면을 출력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의 구조물의 제작 과정에서 그 구조, 치수 또는 부속품의 위치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 사용된다.
이러한 도면은 구조물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정보를 선, 기호 등을 이용하여 기하학적으로 나타낸다.
구조물의 종류나 도면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도면들이 사용되나,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과 같이 규모가 큰 구조물은 그에 관한 도면의 수도 많을 뿐 아니라 하나의 도면에 각종 정보들이 복잡하게 담겨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 기기 등을 이용하여 도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휴대 기기에서 도면 데이터의 다양한 포맷을 읽어서 작업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에 도면 데이터를 이미지 상태로 변환하고 자재 정보와 작업 정보 등의 부가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면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도면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가공하는 처리 서버; 및 상기 처리 서버와 사용자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도면 데이터는 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도면 데이터를 상기 속성 정보가 포함된 도면 이미지로 변환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객체의 좌표값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좌표값을 상기 도면 이미지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객체의 자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도면 이미지 상에 증강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속성 정보에 대하여 상기 객체를 식별하는 식별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식별 신호와 대응되는 상기 자재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자재 정보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처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정보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현황 정보, 작업 정보, 및 실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객체의 레이어 정보 및 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자재 정보가 증강된 도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도면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도면정보에 따른 도면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연결된 저장공간에서 추출하여 도면 이미지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도면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면 데이터는 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단계에서, 상기 도면 데이터를 상기 속성 정보가 포함된 도면 이미지로 변환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변환 단계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의 자재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도면 이미지 상에 증강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된 상기 도면 이미지 상에서 필요한 객체를 선택하여 추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에 도면의 객체 정보가 포함된 도면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도면 이미지에 자재 정보와 작업 정보에 대한 증강 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는 도면 상의 자재에 대응한 자재 정보와 작업 정보를 도면 이미지와 함께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바,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도면이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면 데이터가 도면 이미지로 변환되는 일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면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도면 데이터가 도면 이미지로 변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면 이미지에 자재 정보가 증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면 데이터가 도면 이미지로 변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면 이미지에 자재 정보가 증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도면이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부(110), 처리 서버(130), 및 모바일 단말기(150)를 포함하며, 처리 서버(130)와 모바일 단말기(150) 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망(17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도면이 제공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도면을 입력하면(S201), 처리 서버(130)에서 데이터베이스부(110)에 해당 도면을 요청하고, 데이터베이스부(11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도면에 대한 도면 데이터를 처리 서버(130)로 제공한다(S202). 처리 서버(130)에서는 도면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도면 이미지로 변환하는 가공을 진행하며(S203), 변환된 도면 이미지는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204).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과 그를 통한 도면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부(110)는 도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면 DB(112) 및 부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ERP DB(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DB(112)는 도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HDD, SSD, RAM, ROM, 캐쉬, 레지스터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도면 DB(112)에는 다양한 도면 설계 프로그램에 따른 상이한 확장자를 가지는 도면 데이터, 예를 들어 sha, dwg 형식의 도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형식의 도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 DB(112)에 저장되는 도면 데이터는 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AD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작업된 도면 데이터에서 '객체'란 도면 내에 존재하는 모든 요소, 즉 도면 내에 존재하는 문자, 치수, 선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물체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부품 또는 자재를 객체로 정의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예시적으로 복수의 배관이 포함된 물체를 도시한 도면에서 최소 단위의 자재(예컨대 배관 피스)를 도면 상에서의 객체의 예로써 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객체의 '속성 정보'란, 도면 내에서의 객체의 좌표값 등의 위치 정보, 객체를 구성하는 레이어(layer) 정보, 객체와 관련된 문자 정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술한 복수의 배관이 포함된 물체를 도시한 도면 데이터는, 최소 단위의 자재에 대한 도면 상의 위치 정보(예컨대 좌표값), 해당 자재를 도시하는 레이어, 해당 자재를 설명하거나 해당 자재에 부가된 문자 등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ERP DB(114)는 기업 내의 모든 프로세스들을 통합적으로 연계 관리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의 저장 공간으로서, 설계, 영업, 구매, 생산, 자재 등의 통합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ERP DB(114)에는 부가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부가 데이터는 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자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재 정보'란 객체와 관련된 현황 정보, 작업 정보, 및 실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현황 정보는 자재 자체의 주문, 재고, 입출고 등의 현황에 대한 정보이고, 작업 정보는 자재와 관련된 설치, 용접, 오차나 불량률에 대한 정도 등 작업에 대한 정보이며, 실적 정보는 자재와 관련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한 정보이다.
따라서, 도면 DB(112)에 저장된 도면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객체는 ERP DB(114)에 저장된 해당 객체의 자재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도면 DB(112)와 ERP DB(114)가 구분되어 있으나,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도면 DB(112)가 ERP DB(114)에 물리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처리 서버(130)와 연결되는데, 처리 서버(130)는 도면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가공하는 구성으로서, 가공된 정보를 사용자, 즉 모바일 단말기(150)에 제공한다. 이하 처리 서버(13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처리 서버(130)는 도면 데이터를 도면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 데이터가 이미지로 변환된 후의 도면을 '도면 이미지'로 정의한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도면 이미지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150)는 도면 데이터를 가시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라이브러리가 존재해야 하는데, 모바일 단말기(150)는 다양한 포맷의 도면 데이터를 가시화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이 모두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면 데이터의 포맷과 상관없이 특별한 프로그램의 구동 없이도 다양한 포맷의 도면 데이터가 모두 모바일 단말기(150)에서 가시화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 DB(112)에 저장된 다양한 포맷의 도면 데이터를 처리 서버(130)에서 도면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다양한 포맷의 도면 데이터를 모두 효과적으로 가시화할 수가 있다. 즉, 이미지화된 도면 이미지만 사용자에게 출력하면 되므로, 모바일 단말기(150)에 도면의 포맷에 따라 상이한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필요가 없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면 데이터가 도면 이미지로 변환되는 일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면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도면 데이터가 도면 이미지로 변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도면에 대한 도면 데이터(D1)는 데이터베이스부(110)의 도면 DB(112)로부터 처리 서버(130)에 제공되고, 처리 서버(130)에서 가공, 즉 도면 이미지(D2)로의 변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면 데이터(D1)가 도면 이미지(D2)로 변환되는 과정 중 좌표값 변환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면 데이터(D1)의 가로와 세로의 제 1 해상도(A, B)를 확인한다(S21). (S21) 단계는 도면 이미지(D2)로 변환되기 이전에 도면 DB(112)에 저장된 도면 데이터(D1)의 원본의 가로(A)와 세로(B)의 길이인 제 1 해상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때,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구성하는 객체를 T1, T2, T3라고 예시한다.
다음, (S21) 단계의 도면 데이터(D1)에 표시된 객체(예를 들어, T1, T2, T3 중 T2)의 위치 정보인 제 1 좌표값(X, Y)를 확인한다(S22). 이어서, 도면 데이터(D1)로부터 변환된 도면 이미지(D2)의 가로(a)와 세로(b)의 제 2 해상도 크기(a, b)를 확인한다(S23). 도면 데이터(D1)를 도면 이미지(D2)로 변환하면 도면의 좌표 원점이 달라지고, 해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도면 데이터(D1)의 좌표값을 도면 이미지(D2)의 좌표값으로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S23) 단계에서, 제 2 해상도는 도면 이미지의 외곽선 외부로부터 형성된 공백 영역(마진)의 크기를 뺀 값으로 보정될 수 있다. 여기서 외곽선은 도면 이미지(D2)의 RGB(적색, 녹색, 블루)가 표시된 부분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한다.
다음, 도면 이미지(D2)에 표시되는 해당 객체(T2)의 위치 정보인 제 2 좌표값(x, y)을 도출한다(S24).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4 및 도 5에서 도면 데이터(D1)의 제 1 해상도는 가로(A) 800이고 세로(B) 600 이고, 도면 이미지(D2)의 제 2 해상도는 가로(a)는 1600이고 세로(b)는 1200을 예시한다. 도 5에서 도면 이미지 외부의 공백 영역의 가로 길이는 Mx이고 세로 길이는 My를 예시한다. 이 때, 도면 이미지(D2)에 표시되는 객체(T2)의 x 좌표는 400:800=x:(1600-Mx)의 비례식으로 도출될 수 있고, y 좌표는 200:600=y:(1200-My)의 비례식으로 도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 서버(130)에서는 도면 데이터(D1)에 표시된 객체의 위치가 도면 이미지(D2)의 해상도 변경과 공백 영역에 대응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상기 설명에서는 일 객체(T2)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도면을 구성하는 모든 객체에 대해서도 도면 이미지(D2)로의 변환시에 동일한 방식으로 좌표값이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하였듯이 도면 데이터(D1)는 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포맷의 도면 데이터(D1)는 도면 이미지(D2)로 변환되면서 객체의 속성 정보를 도면 이미지(D2) 내에 포함할 수가 없게 되며, 결국 도면 이미지(D2)는 전술한 자재 정보와도 연동될 수가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서버(130)는 객체의 속성 정보에 대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식별 신호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면 이미지에 자재 정보가 증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면 데이터가 도면 이미지로 변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면 이미지에 자재 정보가 증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처리 서버(130)는 도면 데이터(D1)에서 도면 이미지(D2)로 변환할 때, 도면 내에 도시된 물체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자재인 모든 객체(T1, T2, T3)의 속성 정보를 추출하고, 각각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각 객체의 속성 정보에 대한 식별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처리 서버(130)는 도면 데이터(D1)를 추출할 때, 도면 데이터(D1)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객체에 대한 좌표값, 레이어, 문자 정보 등의 속성 정보(속성 정보 1, 속성 정보 2, ?, 속성 정보 n)를 종합하여, 객체마다 객체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 신호, 예컨대 ERP DB(114)에 저장된 자재 이름(또는 자재 번호)에 매칭되는 식별 신호를 각각의 객체마다 생성하여 도면 이미지(D2)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 이미지(D2) 상에서 객체의 속성 정보는 존재하지 않지만, 도면 이미지(D2) 내의 객체에 대한 좌표값(변환된 좌표값), 레이어, 문자 정보 등을 통하여 식별될 수 있는 식별 신호가 각각의 객체마다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면 이미지(D2) 상에서 일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객체에 대한 식별 신호가 감지되어 ERP DB(114)를 통해 해당 객체에 대한 자재 정보를 제공받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서버(130)는 ERP DB(114)로부터 자재 정보를 전달받아서 도면 이미지(D2) 상에 증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필요로 하는 객체(T2)의 자재 정보를 도시한 증강 이미지(AR)를 도면 이미지(D2)에 겹쳐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자재 정보는 도면을 구성하는 객체(T2)와 관련된 현황 정보, 작업 정보, 및 실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처리 서버(130)는 필요시 도면 이미지(D2) 상에 도시된 객체(T2)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ERP DB(114)에 객체(T2)에 해당되는 자재와 관련된 주문 일시, 입고 일시, 작업 일시, 재고 현황 등 객체(T2)와 관련된 현황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 정보를 도면 이미지(D2) 상에 증강하여 증강 이미지(AR)를 도면 이미지(D2)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도면 이미지(D2)에서 각각의 객체(또는 자재, 예컨대 도 4, 5에서 T1, T2, T3) 별로 객체와 관련된 현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서버(130)는 ERP DB(114)에 요청하여 해당 객체(T2)와 관련된 설치작업이나 용접작업, 오차나 불량률에 대한 정도 등을 포함하는 작업 정보, 및 작업자가 해당 객체(T2)에 대응되는 자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 입력하는 실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하여 도면 이미지(D2) 상에 증강하여 도면 이미지(D2)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와 관련된 현황 정보, 작업 정보, 및 실적 정보 등의 자재 정보는 ERP DB(114)에 기 저장된 데이터이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처리 서버(130)가 수신한 후 ERP DB(114)에 저장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면을 구성하는 객체의 자재 정보는 도면 이미지(D2)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출력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사용자가 객체의 자재 정보를 수정 또는 입력하여 ERP DB(114)에 다시 저장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도면 이미지(D2)에 자재 정보가 증강되는 과정을 다시 정리하면,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처리 서버(130)로 객체에 대한 식별 신호가 발신된다. 이 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50)에 출력된 도면 이미지(D2) 상에서 자재 정보를 필요로 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객체에 대한 식별 신호를 처리 서버(130)로 발신할 수 있다. 이어서 처리 서버(130)에서는 식별 신호에 대한 자재 정보를 ERP DB(114)로 요청하게 되고, ERP DB(114)로부터 자재 정보를 제공받는다. 다음으로 처리 서버(130)는 자재 정보를 도면 이미지(D2) 상에 증강하여, 모바일 단말기(150)에 제공하며, 모바일 단말기(150)는 도면 이미지(D2) 상에 자재 정보에 대한 증강 이미지(AR)를 겹쳐서 출력한다.
이어서, 정보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모바일 단말기(1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기(150)는 통신망(170)을 통하여 처리 서버(130)와 통신이 가능하며, 정보의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mobile device)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50)는 사용자 개인 별로 휴대가 가능한 휴대폰(스마트폰), 테블릿(Tablet), PDA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50)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도면 정보를 입력 받고, 그에 대한 도면 이미지(D2)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도면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50)에 입력하면 입력 정보가 처리 서버(130)에 전송되며, 처리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부(110)로부터 해당 도면의 도면 데이터(D1)를 전달받는다. 처리 서버(130)는 도면 데이터(D1)를 도면 이미지(D2)로 변환한 후 모바일 단말기(150)로 전송하여,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출력된 도면 이미지(D2)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50)는 도면 이미지(D2)와 함께 도면을 구성하는 객체의 자재 정보를 도면 이미지(D2) 상에 증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처리 서버(130)는 도면을 구성하는 객체의 식별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객체의 자재 정보를 ERP DB(114)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50)에 출력된 도면 이미지(D2) 상에서 원하는 객체를 미리 지정된 방법으로 선택, 예컨대 해당 객체를 클릭하여 선택하거나 해당 객체가 포함되는 영역을 선택하여, 해당 객체의 식별 신호가 인식되어 처리 서버(130)로 전달된다. 이 때, 처리 서버(130)는 해당 식별 신호와 대응되는 객체에 대한 자재 정보를 ERP DB(114)로부터 전달받은 후 모바일 단말기(150)로 전송하며, 모바일 단말기(150)는 도면 이미지(D2)와 함께 자재 정보를 함께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50)는 도면을 구성하는 객체에 대한 자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하여 도면 이미지 상에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자재 정보를 출력한 경우, 사용자가 자재 정보에 대한 신규 내용을 입력하거나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자재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객체에 대한 추가 작업이 있거나 새로운 실적 정보가 발생된 때에는, 사용자가 자재 정보 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정 또는 입력할 수 있고, 수정 또는 입력된 정보는 처리 서버(130)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부(110) 또는 ERP DB(114)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가 해당 자재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에 수정 또는 입력된 새로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통합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 데이터(D1)를 추출할 때 도면을 구성하는 객체의 속성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50)에 도면의 객체 정보가 포함된 도면 이미지(D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객체를 식별함으로써, 출력된 도면 이미지(D2)에 객체의 자재 정보에 대한 증강 이미지(AR)가 겹쳐진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50)를 통해 자재 정보를 수정 또는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50)에 출력되는 도면 이미지(D2) 상에서 편리하게 자재 정보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바,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자재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는 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통합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110 데이터베이스부
112 도면 DB 114 ERP DB
130 처리 서버 150 모바일 단말기
170 통신망 T1, T2, T3 객체
D1 도면 데이터 D2 도면 이미지
AR 증강 이미지

Claims (11)

  1. 도면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도면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가공하는 처리 서버; 및
    상기 처리 서버와 사용자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도면 데이터는 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도면 데이터를 상기 속성 정보가 포함된 도면 이미지로 변환하되,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객체의 자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객체의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도면 이미지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식별 신호에 대응되는 객체의 자재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도면 이미지 상에 상기 자재 정보를 증강한 증강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객체의 좌표값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좌표값을 상기 도면 이미지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변환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자재 정보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정보는 상기 객체와 관련된 현황 정보, 작업 정보, 및 실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객체의 레이어 정보 및 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증강 이미지를 출력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9.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면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도면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도면정보에 따른 도면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연결된 저장공간에서 추출하여 도면 이미지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도면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도면 데이터는 도면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단계에서, 상기 도면 데이터를 상기 속성 정보가 포함된 도면 이미지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속성 정보에 대한 식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도면 이미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면 이미지 상에서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식별 신호가 감지되어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식별 신호에 대응되는 객체의 자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제공받은 자재 정보를 상기 도면 이미지 상에 증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된 상기 도면 이미지 상에서 필요한 객체를 선택하여 추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KR1020170183158A 2017-12-28 2017-12-28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KR10205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58A KR102052580B1 (ko) 2017-12-28 2017-12-28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58A KR102052580B1 (ko) 2017-12-28 2017-12-28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606A KR20190080606A (ko) 2019-07-08
KR102052580B1 true KR102052580B1 (ko) 2019-12-05

Family

ID=6725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58A KR102052580B1 (ko) 2017-12-28 2017-12-28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885B1 (ko) * 2019-12-09 2022-05-12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문자를 포함한 이미지 정렬 처리방법
KR102610146B1 (ko) * 2021-06-10 2023-12-06 (주)대우건설 건설 자재의 발주 및 입고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64B1 (ko) 2010-08-30 2012-08-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건축 구조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JP5896690B2 (ja) * 2011-11-11 2016-03-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図面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7182362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Okiデータ・インフォテック データ保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KR101798165B1 (ko) 2016-06-29 2017-11-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64B1 (ko) 2010-08-30 2012-08-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건축 구조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JP5896690B2 (ja) * 2011-11-11 2016-03-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図面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7182362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Okiデータ・インフォテック データ保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KR101798165B1 (ko) 2016-06-29 2017-11-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606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507B2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interactive issue creation and management
US87321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and operations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US20140330867A1 (en) Software design pattern for adapting a graph database visualization software
CN102196000A (zh) 一种基于b/s结构的业务流程可视化方法及系统
US20170286449A1 (en) System for Connecting Computer Dashboards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KR102052580B1 (ko)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US11625140B2 (en) Configuring remote devices through volumetric video telepresence interfaces
CN105989213A (zh) 一种通信工程图纸生成方法及图纸设计客户端
KR20210128822A (ko)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WO2020220891A1 (zh) 用于生成物联网系统中的站点的配置文件的方法及装置
KR101584575B1 (ko) 선박의 제조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3333B1 (ko) 이기종 시스템에서의 배관 2d 도면과 3d 모델간 검증방법
JP628750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42819B2 (ja) 道路構造物の点検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40069497A (ko) 엠알피시스템을 이용한 루프와이어링 다이어그램 작성방법
KR102099362B1 (ko) 마이크로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처리 장치 및 방법
Hartman Evaluating lightweight 3D graphics formats for product visualization and data exchange
US98182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plitting object an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gistering file
JP7121215B1 (ja) 建設作業管理システム、建設作業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29584B1 (ja) 建設作業管理システム、建設作業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74870B2 (en) Transfer of embedded software data into PLM instance
Heo et al. Development of Mobile Shipbuilding Information Solution for Real-Time Visualization of 3D Models, Drawings, and ERP Data
KR200488831Y1 (ko) 프로세스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제품 이상 관리 시스템
CN104205096A (zh) 多租用环境中的拓扑查询
KR101113699B1 (ko) 모바일 기기에 연동되는 공간정보 프레임 제작도구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