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165B1 -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165B1
KR101798165B1 KR1020160081283A KR20160081283A KR101798165B1 KR 101798165 B1 KR101798165 B1 KR 101798165B1 KR 1020160081283 A KR1020160081283 A KR 1020160081283A KR 20160081283 A KR20160081283 A KR 20160081283A KR 101798165 B1 KR101798165 B1 KR 10179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information
construction drawing
work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경
이동은
손상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3D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공사일정정보, 작업진행현황정보 및 시공전문업체정보가 저장되는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각 공간 및 공종별 3차원 모델링 시공도면정보가 저장되는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 사용자 정보에 맞는 작업정보와 상기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작업정보에 따른 시공도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시공관리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를 작업대상 벽면에 원척도로 투사시키는 증강현실 이미지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작업자에 맞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시공도면 이미지를 작업대상 벽면에 원척도로 투사시켜 작업자가 투영된 시공도면에 맞춰 그대로 동일한 자재로 설치하도록 유도함에 의해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대상 벽면에 투영된 시공도면에 퍼즐을 맞추듯이 시공가능하여, 숙련공이 아니어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며, 상시 완료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불량률을 낮추고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시공도면정보가 금일 공정뿐만 아니라 선행공정 및 후속공정 시공도면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선행공정의 불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후속공정에서의 특이점을 찾아 사전에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기준마크를 기준으로 작업대상 벽면에 투영된 시공도면이 외곽으로 가면서 약간의 치수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시공기준마크를 선행공정 및 후속공정의 시공도면정보를 기초로 자재가 변경되는 부분이나 특정 구조체가 형성되는 벽면에 시공기준마크를 형성시켜, 시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e construction using an augmented real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의 실내 마감공사에서 작업대상 벽면에 각 공정별로 완료된 시공도면정보가 원척도로 투사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의 실내 마감공사에서는 자재를 해당 작업대상 벽면에 시공하기 전에 실측작업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측과정은 작업자가 두꺼운 시공도면을 들고 다니면서 작업대상 벽면에 해당되는 도면을 일일이 찾아 치수를 읽어야 하며, 치수가 빠진 부분은 현장에서 재계산하고, 줄자와 레벨기 등을 사용하여 시공면을 반복적으로 실측하고 기준선을 긋는 등 번거로운 작업들이 수반된다.
특히, 건설 시공현장에서는 시공전문업체가 공정별로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도면은 숙련된 작업자 이외에는 파악할 수 없어 보조 작업자는 숙련자의 지시에 따라 작업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설계도와 달리 유사한 자재를 착오하여 규격에 맞지 않은 자재를 시공하여, 추후 재시공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아울러, 재시공이 필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후속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자가 사전에 불량을 확인하지 못하고 후속공정을 진행해버림으로 인해 후속공정까지 다시 재시공해야 되어, 막대한 손실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건축물 시공 방법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각 작업자에 맞는 시공도면 이미지가 원척도로 작업대상 벽면에 투사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도면을 숙지하지 않고서도 시공이 가능한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716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작업자에 맞는 시공도면 이미지가 원척도로 작업대상 벽면에 투사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별도의 도면 숙지없이도 작업대상 벽면에 즉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공사일정정보, 작업진행현황정보 및 시공전문업체정보가 저장되는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각 공간 및 공종별 3차원 모델링 시공도면정보가 저장되는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 사용자 정보에 맞는 작업정보와 상기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작업정보에 따른 시공도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시공관리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를 작업대상 벽면에 원척도로 투사시키는 증강현실 이미지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시공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작업이력 생성부와, 상기 작업이력 생성부에서 생성된 작업이력정보중 금일 예정공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작업정보 제공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시공관리서버는 상기 작업정보 제공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특정 시공도면정보를 추출하는 시공도면 생성부와, 상기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추출된 시공도면정보에 기초하여 금일 시공자재 정보를 생성하는 자재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시공관리서버는 상기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시공도면정보에 시공기준마크를 형성시키는 시공위치기준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증강현실이미지처리수단을 통해 상기 시공기준마크가 상기 작업대상 벽면에 형성된 식별마크에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시공도면정보가 원척도로 투영된다.
아울러, 상기 시공도면정보는 특정 작업대상 벽면의 벽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양측 벽면과 천정 및 바닥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외곽 벽면선 또는 특정 공정별로 시공도면상에 임의의 가상선이 형성되며, 상기 시공도면정보에는 특정 공정별로 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이미지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상기 외곽 벽면선의 모서리를 연결한 대각선상의 중심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상기 각 외곽 벽면선상에 복수개의 시공기준마크가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십자형태로 형성되는 기준선과, 상기 기준선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기준원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시공기준마크에는 시공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표식이 표기된다.
또한, 상기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시공도면정보는 금일 시공도면정보와 선행공정 시공도면정보 및 후속공정 시공도면정보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시공위치기준설정부는 상기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선행공정 및 후속공정 시공도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금일 시공도면정보에 생성되는 시공기준마크가 상기 외곽 벽면선 또는 임의의 가상선 중 어느 하나의 선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시공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시공관련 정보를 제공받는 건축물 시공 시스템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관리서버에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공정의 작업이력정보 및 금일 예정공사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금일 예정공사정보에 기초하여 시공도면정보 및 시공자재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금일 예정공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공도면정보에 시공기준마크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시공관리서버에서 상기 작업이력정보, 금일 예정공사정보, 시공도면정보 및 시공자재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시공도면정보를 작업대상 벽면에 원척도로 투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는 금일 시공도면정보와 선행공정의 시공도면정보 및 후속공정의 시공도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상기 선행공정 및 후속공정의 시공도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금일 시공도면정보의 특정 위치에 형성시킨다.
아울러, 상기 시공도면정보는 특정 작업대상 벽면의 벽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양측 벽면과 천정 및 바닥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외곽 벽면선 또는 특정 공정별로 시공도면상에 임의의 가상선이 형성되며, 상기 시공도면정보에는 특정 공정별로 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이미지정보가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상기 외곽 벽면선의 모서리를 연결한 대각선상의 중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상기 각 외곽 벽면선상에 복수개의 시공기준마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십자형태로 형성되는 기준선과, 상기 기준선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기준원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공기준마크에는 시공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표식이 표기된다.
아울러, 상기 금일 시공도면정보에 따라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시공관리서버로 완료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시공관리서버에서는 후속공정에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로 작업개시승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작업자에 맞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시공도면 이미지를 작업대상 벽면에 원척도로 투사시켜 작업자가 투영된 시공도면에 맞춰 그대로 동일한 자재로 설치하도록 유도함에 의해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대상 벽면에 투영된 시공도면에 퍼즐을 맞추듯이 시공가능하여, 숙련공이 아니어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며, 상시 완료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불량률을 낮추고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시공도면정보가 금일 공정뿐만 아니라 선행공정 및 후속공정 시공도면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선행공정의 불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후속공정에서의 특이점을 찾아 사전에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기준마크를 기준으로 작업대상 벽면에 투영된 시공도면이 외곽으로 가면서 약간의 치수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시공기준마크를 선행공정 및 후속공정의 시공도면정보를 기초로 자재가 변경되는 부분이나 특정 구조체가 형성되는 벽면에 시공기준마크를 형성시켜, 시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의 시공관리서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기준마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작업진행현황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로 출력되는 금일 예정공사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 및 자재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시공도면에 형성되는 시공기준마크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시공도면에 형성되는 시공기준마크를 작업대상 벽면에 형성된 식별마크와 일치시켜 원척도로 투영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금일 작업현황을 시공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팝업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관리자 단말(200),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410),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420),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430), 시공관리서버(300) 및 증강현실 이미지처리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시공전문업체의 작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로, 시공관리서버(300)를 통해 공사승인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시공관련 정보를 전송받으며, 작업자에 의해 완료된 시공관련 정보를 시공관리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관리자 단말(200)은 건설현장의 관리감독자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로, 시공관리서버(300)를 통해 각 시공전문업체별 작업진행현황 정보를 수신하고, 시공관련 예정일정정보를 변경하거나 시공도면 관련 정보를 시공관리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410)는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200)의 고유 ID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시공전문업체 및 시공전문업체에 속한 작업자들의 ID 정보와 시공관리업체 및 각 관리자의 ID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ID 정보에 따라 시공관리서버(300)를 통해 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권한 수준이 결정되도록 한다.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시공관리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작업진행현황정보가 저장되며,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공사일정정보 및 시공전문업체정보가 저장된다.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430)에는 시공관리서버(30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시공작업 현장의 각 공간 및 공종별 3차원 모델링된 시공도면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시공도면정보는 특정 작업대상 벽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좌우양측 벽면과 천정 및 바닥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외곽 벽면선(331) 또는 특정 공정별로 주요한 부분에 임의의 가상선(332)이 형성되며, 시공도면정보에는 특정 공정별로 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이미지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벽면 타일작업 공정의 시공도면에서는 벽면에 특정제품의 타일이 기설정된 배치에 의해 벽면에 부착완료된 상태의 이미지정보가 포함되며, 도기설치 공정의 시공도면에서는 벽면에 도기가 설치된 상태의 이미지정보가 포함된다.
시공관리서버(30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시공관리서버(300)로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고유 ID 정보를 확인하고,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420)를 통해 각 사용자 고유 ID 정보에 맞는 작업정보를 생성하고,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430)를 통해 작업정보에 따른 시공도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증강현실 이미지처리수단(500)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를 작업대상 벽면에 원척도 즉, 1:1 축척으로 투사시켜, 작업자가 투사된 시공도면정보를 통해 별도의 선행작업 없이 시공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증강현실 이미지처리수단(500)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 이미지 형태의 시공도면정보를 빔프로젝트로 작업대상 벽면에 투사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증강현실 이미지처리수단(500)을 통해 작업자는 축척이 표시된 종이도면을 일일이 확인하거나 시공대상 작업면에 기준선을 긋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과정이 필요 없으며, 투영된 시공도면 이미지대로 동일한 재료를 설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작업속도를 높이고, 재작업율을 낮추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의 시공관리서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공관리서버(300)는 작업이력 생성부(310), 작업정보 제공부(320), 시공도면 생성부(330), 자재정보 생성부(340) 및 시공위치기준설정부(350)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작업이력 생성부(310)는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420)를 통해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이력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작업이력정보에는 시공전문업체의 작업 날짜별, 작업공간별 작업진행상태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작업정보 제공부(320)는 작업이력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작업이력정보 중 금일 예정공사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정보 제공부(320)를 통해 제공되는 예정 공사정보에는 금일 시공이 필요한 각 작업대상 공간정보와 공사진행에 관련된 장애사항 정보 등의 특이사항이 포함되어 작업자가 예정 공사정보를 통해 금일 이동해야 할 작업동선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자재운반 동선을 정확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시공도면 생성부(330)는 작업정보 제공부(320)에서 제공되는 금일 예정공사정보에 기초하여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430)를 통해 시공도면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추출되는 시공도면정보는 금일 시공도면정보와 선행공정의 시공도면정보 및 후속공정의 시공도면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작업자가 금일 작업간에 선,후행 공정의 시공도면정보를 확인하여 특이사항 등을 미리 파악하여 이에 알맞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자재정보 생성부(340)는 시공도면 생성부(330)에서 추출된 시공도면정보에 기초하여 금일 시공자재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공자재 정보는 금일 시공에 소요되는 자재의 규격 및 자재의 총소요수량정보 등이 포함된다.
시공위치기준설정부(350)는 시공도면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시공도면정보에 시공기준마크(351)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시공기준마크(351)는 증강현실이미지처리수단을 통해 시공기준마크(351)가 작업대상 벽면에 형성된 식별마크와 일치시켜 시공도면이 원척도로 작업대상 벽면에 투영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기준마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공기준마크(351)는 십자형태로 수직, 수평선이 형성되는 기준선(351a)과, 수직, 수평선이 교차되는 기준선(351a)의 중심으로부터 직경이 10cm인 기준원(351b)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기준원(351b) 내에는 시공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표식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외곽 벽면선(331) 또는 임의의 가상선(332)에 알아보기 쉽게 수치를 넣어 순서별로 표시되게 설정된다.
이러한 시공기준마크(351)는 외곽 벽면선(331)의 모서리를 연결한 대각선상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외곽 벽면선(331)상에 복수개의 시공기준마크(35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시공기준마크(351)는 선행공정 및 후속공정 시공도면정보에 기초하여 금일 시공도면정보에서 외곽 벽면선(331) 또는 임의의 가상선(332) 중 어느 하나의 선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시공기준마크(351)가 작업대상 벽면의 외곽 벽면선(331)상에 형성되도록 하나, 특정 공정단계에서 천정이나 바닥에 구조물이 설치될 경우에는 외곽 벽면선(331)이 변경되어 시공기준마크(351)를 다시 설정하기 위해 구조물이 설치된 높이선상에서 임의의 가상선(332)을 형성하고, 그 가상선(332)상에 시공기준마크(351)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또한, 외곽 벽면선(331)이 변경되지 않더라도, 타일공정 등에서 타일이 취부되는 면적이 벽면전체가 아닌 특정 위치에서만 취부되거나, 둘 이상의 다른 종류의 타일이 취부될 경우 재료가 달라지는 면에 특정 가상선(332)을 형성시키고, 그 가상선(332) 상에 시공기준마크(351)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시공도면이 시공기준마크(351)를 기준으로 작업대상 벽면에 투영되어 외곽으로 치수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상기와 같이 주요한 시공부위의 가상선(332) 상에 시공기준마크(351)가 형성되도록 하여 치수오차 없이 더욱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 인식단계(S410), 작업이력정보 및 금일 예정공사정보 생성단계(S420), 시공도면정보 및 시공자재정보 생성단계(S430), 시공도면정보에 시공기준마크 형성시키는 단계(S440), 시공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450) 및 시공도면정보를 작업대상 벽면에 투사하는 단계(S460)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사용자 정보 인식단계(S41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정보 데이베이스(410)에 구축된 사용자 고유 ID 정보를 통해 작업자가 소속되어 있는 시공전문업체를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이력정보 및 금일 예정공사정보 생성단계(S420)에서는 파악된 시공전문업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특정 공정의 작업이력정보 및 해당 작업자의 금일 예정공사정보를 작업이력 생성부(310)에서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420)를 통해 생성시키도록 한다.
시공도면정보 및 시공자재정보 생성단계(S430)에서는 시공도면 생성부(330)와 자재정보 생성부(340)에서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430)를 통해 시공도면정보를 추출하고, 시공도면정보에 기초하여 금일 시공자재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아울러, 시공도면 생성부(330)에서 추출되는 시공도면정보는 금일 시공도면정보와 선행공정의 시공도면정보 및 후속공정의 시공도면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시공도면정보에 시공기준마크 형성시키는 단계(S440)에서는 시공도면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시공도면정보에 시공기준마크(351)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시공기준마크(351)는 선행공정 및 후속공정의 시공도면정보에 기초하여 금일 시공도면정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시공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450)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공관리서버(300)에서 생성된 시공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게 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상기의 시공관련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출력되도록 한다.
시공도면정보를 작업대상 벽면에 투사하는 단계(S46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 시공도면정보를 작업대상 벽면에 원척도로 투사시키는 단계로서, 이러한 시공도면 투사방법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각 세대 화장실에서 방수공사가 실시된 다음, 화장실 벽면의 타일취부작업이 시행되는 공정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작업진행현황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사용자 단말로 출력되는 금일 예정공사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 및 자재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방수전문 시공업체에서 화장실 벽면에 방수액을 사용하여 방수공사가 완료된 다음, 타일시공전문업체의 작업자가 금일 아파트 단지 시공현장을 방문하여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시공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시공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하여 시공관리서버(300)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410)를 통해 시공관리서버(300)에서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 정보에 맞는 작업이력정보 및 금일 예정공사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이력정보는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420)를 통해 생성되며,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 작업일자, 동·호수, 작업진행상태 및 작업알림 등의 시공관련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 출력된 금일 2015년 3월 7일의 작업알림창 영역을 클릭하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금일 예정공사정보가 포함된 팝업창이 활성화된다. 이러한 금일 예정공사정보는 금일 예정공사현장에서의 공사장애요인 등의 특이사항 정보가 출력된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일 예정된 타일공사는 102동의 101호에서 501호까지 이루어지며, 201호실은 방수공사 하자가 발생되어 재시공이 예정됨에 따라 타일공사 승인이 나지않았으며 금일 공사에서는 제외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정보에 의해 작업자는 금일 작업이동 동선 및 자재운반 동선을 미리 정확하게 계획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금일 예정공사정보에는 공사에 필요한 자재정보 등이 더 포함되어 미리 작업자가 미리 필요한 자재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자재수급 계획을 미리 마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일 예정공사정보를 통해 타일공사를 실시할 세대 호수를 확인한 다음, 각 세대에 들어가 화장실의 벽면 일측에 설치된 QR코드 등의 표식을 사용자 단말(100)로 인식시켜 시공관리서버(300)로부터 특정 시공도면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QR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가 101동-301호-화장실-동쪽벽면이라면, 동(B)-호(F)-실(R)-작업부위(W)를 나타내는 'B101-F301-R1-W1'이라는 코드가 부여되며,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QR코드에 해당되는 시공도면이 도 7에서와 같이 출력되도록 한다.
아울러, 자재정보 생성부(340)에서 금일 시공자재정보를 생성하여, 도 7의 (b)에서와 같은 자재정보가 별도로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자재정보는 해당 벽면의 가로 및 세로길이, 타일의 규격 및 종류와 요구수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작업자는 현장에 필요한 자재량을 정확하게 운반할 수 있어, 잔여자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재재고현황을 실시간으로 집계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준비해 온 빔프로젝트를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시켜 금일 시공도면을 작업대상 벽면(A)에 시공도면을 원척도로 투사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에는 도 8에서와 같이 금일 시공도면정보 이외에 선행공정에 해당되는 방수공사 시공도면정보와 후속공정에 해당되는 도기공사 시공도면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시공도면을 벽면에 차례로 투사하여 선행공사인 방수공사가 제대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후속공사인 위생도기가 설치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타일 시공시 배관연결부위, 긴결철물 설치위치 등 주의가 필요한 부분을 사전에 파악하여 벽면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시공도면에 형성되는 시공기준마크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시공도면에 형성되는 시공기준마크를 작업대상 벽면에 형성된 식별마크와 일치시켜 원척도로 투영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로 금일 시공도면정보가 제공되기 전에 시공위치기준설정부(350)에서 시공도면상에 시공기준마크(351)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시공기준마크(351)는 도 9에서와 같이 외곽 벽면선(331)과 벽면중심에 복수개의 시공기준마크(351)를 형성시킬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금일공정의 특성 또는 선행공정 또는 후속공정에서 외곽 벽면선(331)이 달라질 경우 이러한 선행공정과 후속공정의 시공도면정보를 기초로 하여 임의의 가상선(332)상에 시공기준마크(351)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의 일예를 살펴보면, 동일 벽면상에 타일공정 이외에 벽면의 중심부에 무늬목 문양이 프린트된 유리가 취부되는 다른 공정이 포함된 시공도면으로, 이와 같이 공정이 다른 경우 타일과 유리가 취부되는 경계선을 임의의 가상선(332)으로 하여 가상선(332)상에 시공기준마크(351)가 형성되도록 하여 축척을 맞추는 기준이 되는 위치를 재료가 변경되는 경계선으로 하여 더욱 정밀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시공기준마크(351)가 포함된 시공도면을 도 11에서와 같이 빔프로젝트로 작업대상 벽면에 투사시키고, 작업대상 벽면에 미리 형성된 식별마크에 시공기준마크(351)의 기준원(351b) 및 십자형태의 기준선(351a) 축방향이 일치되도록 빔프로젝트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벽면상에 타일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이미지가 원척도로 투사되기 때문에 기존에 작업자가 별도로 수직선과 수평선을 긋는 번거로운 과정이 생략되고, 작업자가 종이로 된 도면을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 대신에 벽면에 투영된 도면을 보면서 퍼즐을 맞추듯이 타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벽면에 다양한 크기와 색상의 타일이 적용되더라도 작업자는 실수없이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금일 작업현황을 시공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팝업창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와 같이 각 벽면상에 타일시공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 작업진행상태를 클릭하여 저장한 다음, 시공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되도록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101동 301호에 타일취부 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정보가 갱신되면, 시공관리서버(300)에서는 해당 장소에 투입되는 후속작업자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후속작업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작업개시승인정보를 전송하고, 후속 작업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상기의 타일시공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관리자 단말
300 : 시공관리서버 310 : 작업이력 생성부
320 : 작업정보 제공부 330 : 시공도면 생성부
331 : 외곽 벽면선 332 : 가상선
340 : 자재정보 생성부 350 : 시공위치기준설정부
351 : 시공기준마크 351a : 기준선
351b : 기준원
410 :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420 :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
430 :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500 : 증강현실 이미지처리수단

Claims (18)

  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공사일정정보, 작업진행현황정보 및 시공전문업체정보가 저장되는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와;
    각 공간 및 공종별 3차원 모델링 시공도면정보가 저장되는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 사용자 정보에 맞는 작업정보와 상기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작업정보에 따른 시공도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시공관리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시공도면정보를 작업대상 벽면에 원척도로 투사시키는 증강현실 이미지처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공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사일정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작업이력 생성부와,
    상기 작업이력 생성부에서 생성된 작업이력정보중 금일 예정공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작업정보 제공부와,
    상기 작업정보 제공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공도면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특정 시공도면정보를 추출하는 시공도면 생성부와,
    상기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추출된 시공도면정보에 기초하여 금일 시공자재 정보를 생성하는 자재정보 생성부와,
    상기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시공도면정보에 시공기준마크를 형성시키는 시공위치기준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처리수단을 통해 상기 시공기준마크가 상기 작업대상 벽면에 형성된 식별마크에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시공도면정보가 원척도로 투영되되,
    상기 시공도면정보에는 특정 작업대상 벽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양측 벽면과 천정 및 바닥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외곽 벽면선과 특정 공정별로 시공도면상에 임의의 가상선 및 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이미지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시공도면정보는 금일 시공도면정보와 선행공정 시공도면정보 및 후속공정 시공도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공위치기준설정부는 상기 시공도면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선행공정 및 후속공정 시공도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금일 시공도면정보에 생성되는 시공기준마크가 상기 외곽 벽면선 및 특정 공정단계에서의 가상선상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상기 외곽 벽면선의 모서리를 연결한 대각선상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상기 각 외곽 벽면선상에 복수개의 시공기준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기준마크는
    십자형태로 형성되는 기준선과,
    상기 기준선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기준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기준마크에는 시공위치를 나타내는 특정표식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081283A 2016-06-29 2016-06-29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9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83A KR101798165B1 (ko) 2016-06-29 2016-06-29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83A KR101798165B1 (ko) 2016-06-29 2016-06-29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165B1 true KR101798165B1 (ko) 2017-11-15

Family

ID=6038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83A KR101798165B1 (ko) 2016-06-29 2016-06-29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16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759B1 (ko) * 2017-11-22 2018-07-04 김동광 시공성이 향상된 스테인리스 판재 절단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설비 시스템
KR20190080606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KR20200066762A (ko) * 2018-12-03 2020-06-11 (주)에프엠종합건설 Bim 데이터를 이용한 건축 공사 시방서 생성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CN111311741A (zh) * 2020-03-23 2020-06-19 重庆忽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的交互式室内空间构建装置及方法
KR102184833B1 (ko) * 2020-07-19 2020-11-30 박헌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231640B1 (ko) * 2020-07-20 2021-03-23 주용성 스마트 건물 시공 현장 및 건물 관제 시스템
KR102297794B1 (ko) * 2021-05-06 2021-09-03 주식회사 엠제이테크 공사 현황 관리 장치
KR20230164790A (ko) 2022-05-25 2023-12-05 주식회사 메타뷰 산업현장에서의 영상인식기반 가상물체 정합방법을 활용한 작업보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3266A (ja) * 2002-04-08 2003-10-24 Ricoh Co Ltd 労務管理方法及び労務管理プログラム
KR101496761B1 (ko) * 2014-08-25 2015-02-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면 스크린 프로젝션 기반 휴대용 3차원 모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3266A (ja) * 2002-04-08 2003-10-24 Ricoh Co Ltd 労務管理方法及び労務管理プログラム
KR101496761B1 (ko) * 2014-08-25 2015-02-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면 스크린 프로젝션 기반 휴대용 3차원 모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759B1 (ko) * 2017-11-22 2018-07-04 김동광 시공성이 향상된 스테인리스 판재 절단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설비 시스템
KR20190080606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KR102052580B1 (ko) 2017-12-28 2019-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바일 도면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도면 제공 방법
KR20200066762A (ko) * 2018-12-03 2020-06-11 (주)에프엠종합건설 Bim 데이터를 이용한 건축 공사 시방서 생성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KR102123450B1 (ko) * 2018-12-03 2020-06-16 (주)에프엠종합건설 Bim 데이터를 이용한 건축 공사 시방서 생성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CN111311741A (zh) * 2020-03-23 2020-06-19 重庆忽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的交互式室内空间构建装置及方法
KR102184833B1 (ko) * 2020-07-19 2020-11-30 박헌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231640B1 (ko) * 2020-07-20 2021-03-23 주용성 스마트 건물 시공 현장 및 건물 관제 시스템
KR102297794B1 (ko) * 2021-05-06 2021-09-03 주식회사 엠제이테크 공사 현황 관리 장치
KR20230164790A (ko) 2022-05-25 2023-12-05 주식회사 메타뷰 산업현장에서의 영상인식기반 가상물체 정합방법을 활용한 작업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165B1 (ko) 증강현실 기반 건축물 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526799B2 (en) Automated drywall cutting and hanging system and method
CN107220741B (zh) 利用标记机器人的施工现场管理与支持系统的方法与系统
US9031585B2 (en) Integrating position information into a handheld tool
US9817839B2 (en) Managing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US9666090B2 (en) Reference based positioning of handheld tools
CN107218933B (zh) 用于工地基准定位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192178B2 (en) Application information for power tools
CN110857591B (zh) 测量和/或标记设备、得出设备的安置区域的方法、系统
US10460267B2 (en) Integration of as built data of a project
US108243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installation of elements in a construction work
JP7390956B2 (ja) 建設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建設作業支援方法
EP2786338A2 (en) Managing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CN116703127B (zh) 一种基于bim的建筑施工监管方法及系统
US2022000467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reating a Digital Building Model
EP3779875A1 (de) Computergestütztes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inmessen von bauelementen auf einer baustelle für die errichtung oder den ausbau eines gebäudes
JP2021152497A (ja) 被覆材の厚さ計測方法、被覆材の厚さ計測システム、および、被覆材の施工方法
EP4254288A1 (en)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gram
JP7289175B1 (ja) 建築用システム
US20020059177A1 (en) Method of forming a template and associated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software program product
CN115906263A (zh) 一种基于bim的建筑装饰方法
Clark et al. A case study of integrating 3D high definition laser scanning technology and BIM into drywall installation
EA040005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ланировки сооружений
CN116202499A (zh) 建筑工程抹灰控制靶点标定件定位方法及设备
JP2002364175A (ja) 内装用または設備用部材の準備方法および配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