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197B1 -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197B1
KR101087197B1 KR1020090003657A KR20090003657A KR101087197B1 KR 101087197 B1 KR101087197 B1 KR 101087197B1 KR 1020090003657 A KR1020090003657 A KR 1020090003657A KR 20090003657 A KR20090003657 A KR 20090003657A KR 101087197 B1 KR101087197 B1 KR 101087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d
product
data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269A (ko
Inventor
정영수
원성환
정지운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1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은 여러 장치들로 이루어진 제품 설계의 기준이 되는 레이아웃(Layout) 파일을 생성한 후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 레이아웃 파일을 기준으로 캐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을 구성하는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등록하는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 및 등록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구성품으로 등록하고, 구성품을 통하여 관련 설계자들에게 캐드 데이터에 대한 검토 환경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형상 관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드 자료의 공유가 제품 개발의 초기부터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캐드 시스템,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 캐드 데이터, 실시간 공유, BOM(Bill Of Material)

Description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THE METHOD OF LINKING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WITH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IN REAL TIME}
본 발명은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기획, 설계, 제조, 인증 및 마케팅에 이르는 제품 개발의 각 과정에서의 모든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품 데이터 관리(Product Data Management) 기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제품의 개발은 크게 기획, 개념 설계, 상세 설계 및 제조의 공정을 거쳐 이루어지며, 각 공정에서 컴퓨터 지원 설계(Computer Aided Design, 이하 캐드라고 지칭한다.) 데이터, 해석 데이터, 문서 데이터 등 많은 종류의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의 몇 가지 방식의 개요 및 그 문제점을 설명한다.
먼저, 캐드 시스템과 제품 관리 시스템을 분리하여 관리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캐드 설계 자료가 파일 서버를 통하여 관리되거나 캐드에 특화된 툴을 이용하여 관리되다가, 어느 시점에서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별도로 재등록되고, 그 후에는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된다. 그리고 설계를 변경하는 경우, CAD 관리 툴(Tool)을 통해 변경된 최신 설계 자료를 관리하다가 설계가 완료되면 최종 설계 자료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 따르면, 설계자들이 최신 버전(Version)의 설계 파일을 공유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경된 파일은 파일 시스템이나 캐드 관리 툴에서 관리된 후,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최신 버전으로 재등록되어야 하므로, 공유의 어려움 및 공유를 위한 업무 처리의 중복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캐드 데이터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품 및 구조 자료와 비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 따르면, 설계자가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캐드 데이터를 등록하는 시점을 설계가 어느 정도 구현된 이후로 늦추도록 하여 설계자들 간의 설계 자료의 공유가 제품 설계의 초기에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 방식은 설계 자료 공유의 지연으로 인한 설계 효율성 저하 등을 통하여 설계자의 업무에 부담을 주는 방식이고, 이 방식에 따르면,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활용 측면의 효율성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킴으로써 설계자들이 캐드 설계 자료를 제품의 개발 초기부터 공유하도록 하여 동시공학적인 설계 업무가 진행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설계 시 상위에서 설계를 다루는 체계 종합 영역과 실제 설계를 수행하는 설계 영역 및 설계 검토를 위한 영역을 분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순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여 캐드 설계 자료가 설계초기에 충분히 검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설계 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은
상기 캐드 시스템 상에서, 여러 장치들로 이루어진 제품 설계의 기준이 되는 레이아웃(Layout) 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레이아웃 파일을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 상기 캐드 시스템 상에서, 상기 레이아웃 파일을 기준으로 상기 캐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등록하는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 및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 상에서, 상기 등록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구성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구성품을 통하여 관련 설계자들에게 상기 캐드 데이터에 대한 검토 환경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형상 관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 후 상기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 전에, 상기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에서 생성되어 등록된 레이아웃 파일과 상기 레이아웃 파일에 포함된 장치의 조립체 파일로 구성된 고정 BOM(Fixed Bill Of Material)을 생성하여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고정 BOM 생성/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에서 상기 캐드 데이터에 대한 수정과 삭제와 조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상 관리단계에서 상기 등록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디지털 모형 파일(Digital Mock-Up File)로 변환한 후 상기 관련 설계자에게 설계 검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킴으로써 설계자들이 캐드 설계 자료를 제품의 개발 초기부터 공유하도록 하여 동시공학적인 설계 업무가 진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설계 시 상위에서 설계를 다루는 체계 종합 영역과 실제 설계를 수행하는 설계 영역 및 설계 검토를 위한 영역을 분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순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여 캐드 설계 자료가 설계초기에 충분히 검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설계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및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정의 등을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은 제품 개발자들이 3D 설계 자료를 제품 개발 초기부터 공유하여 제품 개발자들 간의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적인 설계 업무가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시공학이란 순차적인 단계로 진행되던 과거의 제품 개발과는 달리, 전체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모든 부서가 통합된 정보 통신망과 전산 시스템의 지원 아래 동시 진행과 상호 교류로 제품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개발 기간과 비용을 줄이는 제품 개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캐드 시스템은 CATIA V5(Computer Aided Three dimensional Interactive Application Version 5)를 예로 들고,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WISEMAN을 예로 든다. CATIA V5는 프랑스 다쏘사에서 개발한 3차원 캐드 프로그램이고, WISEMAN은 한국국방과학연구소의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CATIA V5 이외의 다른 캐드 시스템과 WISEMAN 이외의 다른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간의 연계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BOM(Bill of Material)은 그 활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개념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정 제품이 어떤 부품들로 구성되는 가에 대한 데이터인 제품 구조 정보(Product Structure Information)로 정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품 설계 시 상위에서 설계를 다루는 체계 종합 영역과 실제 설계를 수행하는 설계 영역 및 설계 검토를 위한 영역을 분리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에게 단순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고 3D 설계 자료가 설계 초기에 충분히 검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 품질 향상 및 설계 기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3D 캐드 시스템을 이용한 설계 시 설계 초기부터 3D 캐드 데이터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통해 동시 공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종래에 동시 공학적인 협업의 중요성으로 인해 설계 초기에 협업을 통한 설계 및 설계 검토가 중요하게 대두 되었으나, 3D 캐드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고, 초기 설계 자료의 등록/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적인 적용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3D 캐드 데이터가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 내에서 초기 개념 설계부터 관리될 수 있도록 환경을 제시하고, 제품 설계의 성숙도에 따라 3D 캐드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공유/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체계 종합을 위한 데이터 관리 방안, CATIA V5 시스템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WISEMAN과 통신하여 3D 캐드 데이터를 등록/관리 할 수 있는 방안, 등록된 3D 캐드 데이터를 통한 설계 검토 및 구성품 등록 방안을 구현하였다. API는 운영 체제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CATIA V5의 인터페이스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분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품명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재질정보 등 주기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검색 팝업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정보 수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CMS 구조탐색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CMS 역전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체계 GBL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체계 GBL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무기체계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정보/CMS 구조 관리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구성품 생성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설계검토요청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은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S12), 고정 BOM 생성/등록단계(S14),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S16) 및 형상 관리단계(S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S12)에서는 여러 장치들로 이루어진 제품 설계의 기준이 되는 레이아웃(Layout)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레이아웃 파일을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한다. 이러한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S12)는 앞서 설명한 체계 종합의 영역에 해당한다. 이 단계는 제품의 상위에서 제품 설계 시 기준이 되는 배치 파일을 관리하고 상위 장치의 구성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러 장치들로 이루어진 제품 설계의 일반 계획인 프로젝트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구현 시 해당 프로젝트의 배치를 구성하는 레이아웃 파일을 생성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레이아웃 파일 하위 장치 설계자들에게 자동 배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계 수준의 3D 자료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체계 수준의 레이아웃 파일은 프로젝트 최상위에서 버전이 관리되고 이를 기준으로 각 장치의 설계가 이루어진다.
고정 BOM 생성/등록단계(S14)에서는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S12)에서 생성되어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레이아웃 파일과 레이아웃 파일에 포함된 장치의 조립체(Assembly) 파일로 구성된 고정 BOM(Fixed Bill Of Material)을 생성하여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구성 시 상위에 고정 BOM을 구성하여 각 장치 설계 담당자들에게 배포한다. 고정 BOM은 변경되지 않는 상위 BOM이며, 위에서 정의한 레이아웃 파일과 조립체 파일로 구성되며 제품 설계자는 고정 BOM의 하위로 해당 장치의 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체계 종합은 고정 BOM 수준의 조립체파일과 레이아웃 파일을 통해 체계 배치 및 간섭을 통제할 수 있다.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S16)에서는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S12)에서 생성되어 등록된 레이아웃 파일을 기준으로 캐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을 구성하는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등록한다. 이와 같이 생성/등록된 캐드 데이터에 대한 수정과 삭제와 조회가 가능하다. 이러한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S16)는 3D 캐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CATIA V5에서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를 WISEMAN의 3D 관리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등록/수정/삭제/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3D 정보가 3D 캐드 모델 구조 및 정보의 형태 그대로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인 WISEMAN 내에서 관리되고 CATIA V5 툴과 연계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사용자 즉, 제품 설계자는 CATIA V5를 통해 WISEMAN의 3D 정보에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의 예로 구조정보에 따른 접근, 분류에 따른 접근, 연계정보에 따른 접근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료에 대한 접근성 및 공유 기능이 강화되었다. 또한 WISEMAN을 통해 임의로 구조를 생성하여 제품 설계자가 원하는 형태의 구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참조 설계 및 설계 초기의 설계검토 기능이 강화 되었다.
형상 관리단계(S18)는 관련 설계자들이 등록된 캐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호 검토를 수행하고 캐드 데이터를 근거로 구성품 및 구성품 BOM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형상 관리단계(S18)에서는 등록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정식 구성품으로 등록하여 정식 버전 관리 및 관련 설계자들이 실시간으로 구성품을 통해 캐드 데이터에 대한 검토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형상 관리단계(S18)에서 하위 장치의 설계에 대한 성숙도에 따라 하위 장치를 제품의 구성품으로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한다. 즉, 제품 설계자가 CATIA V5를 통해 하위 장치에 대한 설계를 진행하면서 설계의 성숙도가 올라가면 하위 장치를 정식 구성품으로 등록하게 된다. 이때, 이미 구축되어 있는 3D 정보를 활용하여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품 및 구성품 BOM이 구축될 수 있도록 기능을 구현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디지털 모형 파일(Digital Mock-Up File, DMU)로 변환한 후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관련 설계자에게 설계 검토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3D 정보를 통해 관련 설계자들 간의 검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디지털 모형 파일로 변환된 3D 모델 자료를 활 용하여 관련 설계자에게 설계 검토를 요청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킴으로써 설계자들이 캐드 설계 자료를 제품의 개발 초기부터 공유하도록 하여 동시공학적인 설계 업무가 진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설계 시 상위에서 설계를 다루는 체계 종합 영역과 실제 설계를 수행하는 설계 영역 및 설계 검토를 위한 영역을 분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순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여 캐드 설계 자료가 설계초기에 충분히 검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설계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3D 캐드 데이터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되 3D 캐드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구성형태 그대로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설계자에게 3D 모델의 관리 편의성을 제공하여 초기 모델이 시스템 내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3D 캐드 데이터의 자료를 추출하여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품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구성품 및 BOM을 구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체계종합, 설계, 설계검토자의 영역별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등록된 3D 모델의 활용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매체에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캐드 시스템 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CATIA V5의 인터페이스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분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품명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재질정보 등 주기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검색 팝업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정보 수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CMS 구조탐색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CMS 역전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체계 GBL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 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체계 GBL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무기체계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3D 정보/CMS 구조 관리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구성품 생성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의 설계검토요청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12: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
S14: 고정 BOM 생성/등록단계
S16: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
S18: 형상 관리단계

Claims (5)

  1. 캐드(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Product Data Management)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캐드 시스템 상에서, 여러 장치들로 이루어진 제품 설계의 기준이 되는 레이아웃(Layout) 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레이아웃 파일을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
    상기 캐드 시스템 상에서, 상기 레이아웃 파일을 기준으로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등록하는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 및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 상에서, 상기 등록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구성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구성품을 통하여 관련 설계자들에게 상기 캐드 데이터에 대한 검토 환경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형상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 후 상기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 전에, 상기 레이아웃 파일 생성/등록단계에서 생성되어 등록된 레이아웃 파일과 상기 레이아웃 파일에 포함된 장치의 조립체 파일로 구성된 고정 BOM(Fixed Bill Of Material)을 생성하여 상기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고정 BOM 생성/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캐드 데이터 생성/등록단계에서
    상기 캐드 데이터에 대한 수정과 삭제와 조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관리단계에서
    상기 등록된 하위 장치의 캐드 데이터를 디지털 모형 파일(Digital Mock-Up File)로 변환한 후 상기 관련 설계자에게 설계 검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의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03657A 2009-01-16 2009-01-16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KR10108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57A KR101087197B1 (ko) 2009-01-16 2009-01-16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57A KR101087197B1 (ko) 2009-01-16 2009-01-16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69A KR20100084269A (ko) 2010-07-26
KR101087197B1 true KR101087197B1 (ko) 2011-11-29

Family

ID=4264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57A KR101087197B1 (ko) 2009-01-16 2009-01-16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1980A (zh) * 2012-08-28 2014-03-12 万控集团(成都)电气有限公司 工程智能设计系统
KR20140059720A (ko) * 2012-11-07 2014-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992A (ko) 2014-07-17 2016-01-27 임팩트온 주식회사 냉감제 조성물
CN116629760B (zh) * 2023-05-26 2023-10-20 湖北诚佰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bom管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834A (ja) 2002-04-22 2003-11-07 Hitachi Ltd 3d−cadとpdmシステムの連携システム。
JP2007025896A (ja) 2005-07-13 2007-02-01 Hitachi Eng Co Ltd 部品表連携3次元cadデータ生成装置及び生成方法
JP2008040547A (ja) 2006-08-01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三次元データ構成変更システム及び三次元データ構成変更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834A (ja) 2002-04-22 2003-11-07 Hitachi Ltd 3d−cadとpdmシステムの連携システム。
JP2007025896A (ja) 2005-07-13 2007-02-01 Hitachi Eng Co Ltd 部品表連携3次元cadデータ生成装置及び生成方法
JP2008040547A (ja) 2006-08-01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三次元データ構成変更システム及び三次元データ構成変更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1980A (zh) * 2012-08-28 2014-03-12 万控集团(成都)电气有限公司 工程智能设计系统
CN103631980B (zh) * 2012-08-28 2016-12-21 万控集团(成都)电气有限公司 工程智能设计系统
KR20140059720A (ko) * 2012-11-07 2014-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KR102187710B1 (ko) 2012-11-07 2020-1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69A (ko) 201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A dedicated collaboration platform for Integrated Project Delivery
CN107533453B (zh) 用于生成数据可视化应用的系统和方法
Aguilar-Savén Business process modelling: Review and framework
US7783678B2 (en) Method for automating software manufacturing process based on user interface form desig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same
CN105528418B (zh) 一种设计文档生成方法及装置
Barnett et al. Bootstrapping mobile app development
KR101588592B1 (ko) 객체관계 매핑 기반 하이브리드 앱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47253A (zh) 一种三维工艺数据的集成方法
US20070203679A1 (en) Virtual prototyping system and method
KR101087197B1 (ko) 캐드 시스템과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시키는 방법
Lee et al. Concurrent material flow analysis by P3R-driven modeling and simulation in PLM
Kornyshova et al. Industry 4.0 impact propagation on enterprise architecture models
CN105243237A (zh) 一种装配工艺结构树及其构建方法
JP2002279005A (ja) 三次元解析モデル生成方法、装置、三次元解析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CN114491964A (zh) 一种可进行协同工作的数字孪生建模系统
Faraj et al. A Modularised Integrated Computer Environment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SPACE.
Wei et al. An automated system for product specification and design
Kretz et al. Implementing ISO standard 10303 application protocol 224 for automated process planning
KR100383211B1 (ko) 파라메트릭 정보를 갖는 3차원 cad 모델의 모델링 데이터를 디지털 카탈로그의 형태로써 제공하기 위한 부품 정보 제공 시스템
Tziantzioulis et al. OPDB: A Scalable and Modular Design Benchmark
Belkadi et al. Functional architecture and specifications for Tolerancing Data and Knowledge Management
Baella et al. ICC topographic databases: Design of a MRDB for data management optimization
Wefers et al. Digital 3D reconstructed models A proposition for structuring visualisation workflows using semantic technologies for recommendations
Mauger et al. A Conceptual Model for Building Requirements Processing
Ströter et al. Integrating GPU-Accelerated Tetrahedral Mesh Editing and S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