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692A -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692A
KR20120126692A KR1020110044699A KR20110044699A KR20120126692A KR 20120126692 A KR20120126692 A KR 20120126692A KR 1020110044699 A KR1020110044699 A KR 1020110044699A KR 20110044699 A KR20110044699 A KR 20110044699A KR 20120126692 A KR20120126692 A KR 20120126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upplier
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640B1 (ko
Inventor
이종화
이석태
윤영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64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Abstract

선박 건조에 참여하는 협력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공정별로 모듈화하는 컨텐츠 모듈화부; 적어도 하나의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모듈화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산 관리 컨텐츠를 선택 및 배치하여 해당 협력사에 적응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할 협력사의 사용자 권한 정보와 해당 협력사의 식별정보를 연관지어 관리하여, 해당 협력사의 사용자 또는 담당자로부터 접속 요청시 해당 협력사의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MANAGEMENT OF PARTNERS IN SHIP FABRIC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협력사의 기본정보를 기초로 선박 제조를 위해 필요한 생산 관리 컨텐츠와 생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여 협력사에는 적은 비용으로 선박 제조사와 협력사들간에 선박 건조를 위한 성공적인 협업이 이루어지게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수주된 선박의 종류별(상선, 특수선등), 크기별(배수량) 등에 따라 영업 설계(초기 설계)를 시작함과 아울러 생산 계획에서 대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영업 설계가 수립되면 상세 설계를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구매 일정을 수립하고, 다시 상기한 구매 일정과 연동하도록 중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상기한 상세 설계 및 중일정 계획이 수립되면 다시 생산에 필요한 생산 설계를 함과 아울러 생산에 필요한 소일정 계획을 부서별, 공정별로 수립함과 아울러 구매 자재가 입고되고, 생산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구매 자재는 협력사인 납품 회사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한 협력사는 선박 건조사의 각 부서별 즉, 생산, 설계, 구매, 품질 관리등의 부서와 문서, 전화, 팩스등의 수단을 통해 견적 및 납품 주문을 받게 된다.
또한, 납품하는 제품에 대해 각 부서별로 상기한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항상 연락을 주고 받으면서 납품 제품에 대해 점검을 하고, 납품 일자를 체크하면서 선박 건조사와 협력사가 서로 협력을 하게 된다.
즉, 생산 부서, 설계 부서, 자재를 구매하는 부서, 품질 관리 부서등이 각각 개별적으로 협력사와 전화 등으로 연락을 일일이 취해야 하는 선박 건조에 필요한 공정을 체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협력사의 공정 특성을 감안하여 협력사에서 생산 관리를 위해 필요로 하는 생산 관리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공된 생산 관리 컨텐츠에 공정 진행 현황을 업로드하여 협력사의 실정에 맞게 원하는 공정만을 골라서 협력사에서 진행하는 생산 공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협력사의 기본정보를 기초로 협력사의 공정에 맞는 생산 관리 컨텐츠를 제공하여, 협력사에서 적은 비용으로 생산 공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선박 건조에 참여하는 협력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공정별로 모듈화하는 컨텐츠 모듈화부; 적어도 하나의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모듈화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산 관리 컨텐츠를 선택 및 배치하여 해당 협력사에 적응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할 협력사의 사용자 권한 정보와 해당 협력사의 식별정보를 연관지어 관리하여, 해당 협력사의 사용자 또는 담당자로부터 접속 요청시 해당 협력사의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협력사 정보 양식을 제공하는 양식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협력사의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에 반영하여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관리하는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에 구성된 메뉴의 수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협력사의 기본 정보는 협력사가 발주사로부터 받은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수주메뉴, 설계 메뉴, 자재 메뉴, 생산 메뉴, 품질 메뉴, 인사 메뉴, 시스템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생산 관리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수주 메뉴는 각 고객사로부터 수주받은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주 정보 조회 메뉴와, 수주받은 정보의 변경 발생시 변경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납기변경/납품 현황 조회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수주 메뉴는 수주정보에 대한 로데이터 및 월별/고객사별 수주현황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납기변경/납품현황 조회 메뉴는 납기 변경 현황, 납품실적 현황 및 납품예정 현황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계 메뉴는, 상기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블록에 한하여 블록 디비전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블록 디비젼 조회 메뉴; 절단/LOT블록을 추가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절단/LOT블록 등록 메뉴; 상기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블록에 한하여 조립 BOM 현황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조립 BOM 현황 메뉴; 상기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블록에 한하여 절단 BOM 현황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절단 BOM 현황 메뉴; 및 상기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절단도면 조회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하는 절단 도면 조회/삭제 메뉴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산 메뉴는 가공메뉴, 블록제작 메뉴, 기자재 메뉴, 배관 제작 메뉴, 협력사기성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메뉴는 시스템 관리 메뉴와 공통 관리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관리 메뉴는 사용자 관리 메뉴, 기능별 권한 관리 메뉴, 일반 코드 관리 메뉴, 비밀 번호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관리 메뉴는 협력사/고객사 관리 메뉴, 생산 달력 관리 메뉴, IF 정보 업로드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품질 메뉴는 검사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 메뉴는 공정 검사 메뉴, 기준 정보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정 검사 메뉴는 검사 활동(activity) 등록 메뉴, 검사 신청 등록 메뉴, 검사 계획 등록 메뉴, 검사 실적 등록 메뉴, 검사 실적 조회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정보 메뉴는 표준 검사 항목 관리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에서 협력사 생산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선박 건조에 참여하는 협력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들로 구성된 생산 관리 컨텐츠를 공정별로 모듈화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모듈화된 생산 관리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산 관리 컨텐츠를 선택 및 배치하여 해당 협력사에 적응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할 협력사의 사용자 권한 정보와 해당 협력사의 식별정보를 연관지어 관리하여, 해당 협력사의 사용자 또는 담당자로부터 접속 요청시 해당 협력사의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은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협력사 정보 양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 수 있다.
상기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은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협력사의 공정 진행 현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공정 진행 현황을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에 반영하여 공정 진행 현황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력사의 기본 정보는 협력사가 발주사로부터 받은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산 관리 컨텐츠는 수주메뉴, 설계 메뉴, 자재 메뉴, 생산 메뉴, 품질 메뉴, 인사 메뉴, 시스템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생산 관리 컨텐츠에 구성된 메뉴의 수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공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하여 협력사의 생산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주사가 상기 협력사에게 발주한 생산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발주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산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여 협력사 생산 관리를 위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데이터는 협력사가 발주사로부터 받은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수주메뉴, 설계 메뉴, 자재 메뉴, 생산 메뉴, 품질 메뉴, 인사 메뉴, 시스템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생산 관리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협력사의 사용자 단말기, 발주사 서버, 및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의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발주사 서버로부터 발주사가 협력사에게 발주한 생산 관리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은 단계;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산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여 협력사 생산 관리를 위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하여 협력사의 생산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데이터는 협력사가 발주사로부터 받은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수주메뉴, 설계 메뉴, 자재 메뉴, 생산 메뉴, 품질 메뉴, 인사 메뉴, 시스템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생산 관리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술한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협력사의 기본정보를 기초로 협력사의 생산 공정에 맞는 생산 관리 컨텐츠를 제공하여, 협력사 생산 공정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협력사에는 비용을 줄이면서도 발주사와의 선박 제조를 위한 협업 공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의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의 협력사 생산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발주사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시스템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IF 정보 업로드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수주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설계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생산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품질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 통신망(200), 웹서버(300),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 데이터베이스(500), 발주사 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망(200)을 통해 웹서버(300) 및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거나 또는 직접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여 임의의 요청정보를 입력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협력사에서 수행되는 각종 생산 공정에 대한 생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망(200)을 통해 웹서버(300) 및 발주사 서버(600)에 접속하거나 또는 직접 발주사 서버(600)에 접속하여 발주사가 발주사 서버(600)를 통해 협력사에게 제공하는 각종 협력사 생산 관리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웹서버(300) 및/또는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 발주사 서버(6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 폰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선박 건조시의 협력 업체인 협력사의 담당자 또는 사용자, 협력사를 총괄하는 시스템 관리자의 정보 입력 수단 및 정보 출력 수단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로,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 및 발주사 서버(600)는 정보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 예를 들면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협력사의 담당자 또는 사용자인지, 아니면 시스템 관리자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통신망(200)은 웹서버(300),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 또는 발주사 서버(600)와 사용자 단말기(10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이다. 통신망(200)을 구성하는 기반 통신 기술의 구성은 본 발명의 구현에 본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통신망(200)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통신망(200)은 웹서버(300),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 또는 발주사 서버(600)와 사용자 단말기(100) 사이에서 정보 교환이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종류의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교환 과정의 신뢰성 및 보안을 위한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통신망(2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웹 서버(300)를 통해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해당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서비스를 통해 협력사 생산 관리를 위한 SQL 수행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접속 기반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통신망(200)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협력사의 공정에 맞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협력사 측에서는 협력사에서 필요로 하는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어, 협력사의 실정에 맞는 시스템을 제작하는데 드는 제작비용 및 사후에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자바 기반의 WAS(Web Application Server)로, 자바 가상 머신에 로드되는 WAS 어플리케이션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웹서버(300)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며, 데이터베이스(500)에 협력사의 기본 정보와, 협력사의 담당자 또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업로드된 첨부파일 등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정보 또는 첨부파일을 읽어들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웹서버(300)를 통하여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웹서버(3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에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하여 제공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협력사의 공정에 필요한 메뉴들로 구성될 수 있음에 따라 공정별로 차등적인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협력사의 기본 정보 및 첨부파일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협력사의 기본 정보 및 게시판에 올려진 정보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그리고 첨부파일들을 제 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여 제 1 및 제 2 데이터베이스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0)는 협력사의 공정에 적용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들로 구성된 그룹웨어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협력사의 기본 정보 중 협력사의 공정을 추출하여 추출된 공정에 해당하는 그룹웨어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500)를 참조하여 선택해서 협력사에서 필요로 하는 그룹웨어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발주사 서버(600)는 발주사가 선박 제조를 위하여 다양한 협력사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예컨대, 발주사 서버(600)는 선박 제조를 위한 협력사 관리를 위해 수주관리, BOM 관리, 생산관리, 자재관리, 품질 관리, 인사관리, 공통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컨텐츠 모듈화부(410), 수신부(420), 컨텐츠 생성부(430), 컨텐츠 관리부(440), 양식 제공부(450) 및 현황 관리부(4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모듈화부(410)는 선박 건조에 참여하는 협력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들, 예컨대 '수주', '설계', '자재', '생산', '품질', '인사', '시스템'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공정별로 모듈화한다. 이와 같은 공정별로 필요로 하는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수신부(420)는 협력사에 적응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만들어주기 위한 기초 데이터인, 협력사의 기본 정보, 예를 들면 인사/조직정보, 메일 계정, 담당자, 결재 양식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발주사 서버(6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생산 관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주사 서버(6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생산 관리 데이터는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주 관리 정보는 예컨대, 수주정보 , 납품실적정보 , 납기변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OM 관리 정보는 블록분할정보 , 조립품 트리 정보 , 조립품사양정보 , 절단도면정보 , 강재 Rel.정보 , 절단부재정보, 부재마스터정보 , 선판계 강재 Rel.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 작업 관리 정보는 잔재마스터 , 선판계강재사양정보 , 절단물량정보 , 절단계획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공정 관리 정보는 생산 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제작 관리 정보는 배관제작품정보 , 배관원자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재 관리 정보는 소요자재정보 , 자재신청정보 , 배관재불출정보, 강재선별지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품질 관리 정보는 검사 실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420)는 협력사의 담당자에 의해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지만,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받은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해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는 협력사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다. 협력사는 선박 건조에 참여하는 협력사들로, 협력사의 공정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생성부(430)는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 매칭되는, 특히 공정에 매칭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선택 및 배치하여 해당 협력사에 적응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한다.
더 자세하게 컨텐츠 생성부(430)는 수신부(42)에 의해 수신된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모듈화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 중에서 해당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 포함된 공정 정보에 필요로 하는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선택 및 배치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생성부(430)는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에 구성된 메뉴를 수정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생성부(430)는 협력사의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메뉴외에 추가로 협력사에서 관심을 가지는 공정의 메뉴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 생성부(430)는 협력사의 공정에 매칭되게 모듈화된 복수의 메뉴들 중에서 협력사에서 필요로 하지 않는 메뉴를 삭제하고 나머지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성 관리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생성부(430)는 협력사의 공정에 맞춰 제공되는 기본 메뉴(예를 들면, 업무지원, 일정관리, 지식센터, 개인관리, 메일, 메인화면 등)와, 협력사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메뉴(예를 들면, 조직도, 개인화, 주소록, 시스템관리, 권한관리, 메뉴관리, 자원관리, 통계 등)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컨텐츠 생성부(430)는 협력사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협력사의 메일 도메인을 생성하고, 웹 메일을 설정한 후 협력사의 생산 관리 컨텐츠 생성 및 메일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해당 협력사의 생산 관리 컨텐츠에 표시된 웹페이지상에 알림창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440)는 컨텐츠 생성부(430)에 의해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할 협력사의 사용자 권한 정보를 지정받으며, 지정받은 사용자 권한 정보는 협력사의 식별정보와 연관지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협력사의 사용자는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로의 접속 후 로그인 이루어지면 메일 계정이 생성되고, 해당 사용자의 권한에 상응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거하여, 협력사의 사용자가 원활하게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양식 제공부(450)는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협력사 기본 정보 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협력사 기본 정보 양식도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양식 제공부(450)는 협력사의 공정 진행 현황 등을 업로드하기 위한 양식을 더 제공할 수 있다.
현황 관리부(460)는 협력사의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수신하여 수신된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컨텐츠 생성부(430)에 의해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에 반영하여 협력사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의 협력사 생산관리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의 협력사 생산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발주사 서버(600)에 접속하여 발주사 서버(600)로부터 생산 관리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S10). 사용자 단말기(100)가 발주사 서버(6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생산 관리 데이터는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주 관리 정보는 예컨대, 수주정보 , 납품실적정보 , 납기변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OM 관리 정보는 블록분할정보 , 조립품 트리 정보 , 조립품사양정보 , 절단도면정보 , 강재Rel.정보 , 절단부재정보, 부재마스터정보 , 선판계 강재 Rel.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 작업 관리 정보는 잔재마스터 , 선판계강재사양정보 , 절단물량정보 , 절단계획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공정 관리 정보는 생산 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제작 관리 정보는 배관제작품정보 , 배관원자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재 관리 정보는 소요자재정보 , 자재신청정보 , 배관재불출정보, 강재선별지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품질 관리 정보는 검사 실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에 협력사 기본 정보를 업로드한다(S20). 협력사 기본 정보는 협력사 생산 관리를 위한 기본 정보, 예를 들면 인사/조직정보, 메일 계정, 담당자, 결재 양식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발주사 서버(6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생산 관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협력사 기본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발주사 서버(6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생산 관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여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서비스를 통해 생산 관리를 수행한다(S3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의 협력사 생산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선박 건조에 참여하는 협력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공정별로 모듈화한다(S101). 이와 같이 모듈화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생산 공정별로 상이할 수 있다.
다음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한다(S103).
이때 협력사의 기본 정보는 협력사 담당자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직접 수신될 수도 있지만, 협력사별로 구분하기 위한 협력사의 식별정보를 기본 정보에 포함시키는 점을 감안하여 협력사를 총괄하는 시스템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협력사의 기본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협력사의 담당자와 시스템 관리자는 통신 접속을 이룬 후 로그인을 수행한 로그인 정보에 기반하여 구분될 수 있다.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추출하기에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양식, 예를 들면 협력사 기본 정보 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협력사의 그룹웨어 컨텐츠가 생성된 이후에, 협력사의 공정 진행 현황을 추출하기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양식, 예를 들면 공정 진행 양식을 더 제공할 수 있다.
협력사의 기본 정보는 협력사의 생산 공정정보를 포함한다. 협력사의 공정에 적용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생산 공정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협력사의 생산 공정에 적응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한다(S105). 더 자세하게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500)를 참조하여 협력사의 기본 정보, 특히 협력사의 생산 공정에 매칭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선택 및 배치하여 해당 협력사의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생산 관리 컨텐츠는 협력사의 생산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메뉴들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해당 협력사의 생산 공정외에 다른 생산 공정에 참여하는 협력사의 메뉴가 구성되도록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할 협력사의 사용자 권한 정보를 지정받는다(S107). 협력사의 사용자 권한 정보는 협력사의 담당자로부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 중 '권한 관리' 메뉴를 선택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협력사의 담당자로부터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사용자 권한 정보를 제공받은 시스템 관리자가 해당 협력사의 '권한 관리'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협력사의 사용자 권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다음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사용자 권한 정보를 해당 협력사의 식별정보와 연관지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 및 관리한다(S109).
이후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로의 접속 요청시 로그인 정보에 기반하여 협력사의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한다(S111). 이에 따라 협력사측에서는 협력사의 자체 관리자 없이도 손쉽게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의 제작이 가능하다.
나아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협력사의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수신하여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에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협력사의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공유할 수 있으며, 협력사의 공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발주사 서버에 의해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주사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하면, 협력사 생산 관리를 위한 생산 관리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발주사 서버(600)에 접속한 후 발주사 서버(600)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통해 협력사 생산관리를 위한 생산 관리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발주사 서버(600)로부터 제공되는 화면 메뉴 중에서 협력사 특성에 맞게 수신할 항목 선택하여 생산 관리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생산 관리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위해 발주사 서버(60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화면 정보는 수주 관리 메뉴, BOM 관리 메뉴, 가공 작업 관리 메뉴, 블록공정 관리 메뉴, 배관 제작 관리 메뉴, 자재 관리 메뉴, 품질 관리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주 관리 메뉴는 수주정보 , 납품실적정보 , 납기변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OM 관리 메뉴는 블록분할정보 , 조립품 트리 정보 , 조립품사양정보 , 절단도면정보 , 강재Rel.정보 , 절단부재정보, 부재마스터정보 , 선판계 강재 Rel.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 작업 관리 메뉴는 잔재마스터 , 선판계강재사양정보 , 절단물량정보 , 절단계획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공정 관리 메뉴는 생산 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제작 관리 메뉴는 배관제작품정보 , 배관원자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재 관리 메뉴는 소요자재정보 , 자재신청정보 , 배관재불출정보 , 강재선별지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품질 관리 메뉴는 검사 실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시스템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시스템 관리자의 로그인에 반응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수주 메뉴, 설계 메뉴, 자재 메뉴, 생산 메뉴, 품질 메뉴, 인사 메뉴, 시스템 메뉴 등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표시된 화면 예시도는 시스템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 예시도이다. 시스템 메뉴는 크게 시스템 관리 메뉴와 공통 관리 메뉴로 구분될 수 있다. 시스템 관리 메뉴는 사용자 관리 메뉴, 기능별 권한 관리 메뉴, 일반 코드 관리 메뉴, 비밀 번호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관리 메뉴는 협력사/고객사 관리 메뉴, 생산 달력 관리 메뉴, IF 정보 업로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메뉴는 사용자에게 각 기능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는 메뉴이다. 즉, 신규 사용자에게 시스템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메뉴이다. 이때, 시스템 관리(admin) 사용자는 마스터(Master)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고, 마스터 사용자는 최종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도 6에 표시된 화면 예시도는 사용자 관리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 예시도이다.
기능별 권한 관리 메뉴는 시스템 관리(admin) 사용자가 사용자별 기능에 대한 권한을 관리하는 메뉴이다.
일반 코드 관리 메뉴는 협력사별 특성에 맞게 코드의 추가, 변경, 삭제를 위한 메뉴이다. 즉, 일반 코드 관리 메뉴는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각종 코드(code)를 관리하는 메뉴이다. 마스터 코드와 하위 단위의 코드에 대한 등록,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다. 이때, 삭제는 데이터 삭제가 아닌 마감일자로서 관리할 수 있다.
비밀 번호 관리 메뉴는 시스템 로그인시에 필요한 비밀 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이다.
협력사/고객사 관리 메뉴는 거래하고 있는 협력사(사내/외 모두) 및 고객사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메뉴이다.
생산 달력 관리 메뉴는 협력사별 특성에 맞게 달력을 생성하고 수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IF 정보 업로드 메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주사에서 제공받은 생산 관리 데이터를 협력사 생산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메뉴이다. IF 정보 업로드 메뉴는 발주사에서 제공받은 생산 관리 데이터 외에도 협력사에서 협력사 생산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를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이다.
도 8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수주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주 메뉴는 수주 정보 조회 메뉴와, 납기변경/납품 현황 조회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주 메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객사로부터 수주받은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메뉴이다. 수주 메뉴는 수주정보에 대한 로데이터 및 월별/고객사별 수주현황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납기변경/납품현황 조회 메뉴는 수주받은 정보의 변경 발생시 변경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메뉴이다. 납기변경/납품현황 조회 메뉴는 납기 변경 현황, 납품실적 현황 및 납품예정 현황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설계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설계 메뉴는 블록 디비젼(Division) 조회 메뉴, 절단/LOT블록 등록 메뉴, 조립 BOM 현황 메뉴, 절단 BOM 현황 메뉴, 절단 도면 조회/삭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디비젼 조회 메뉴는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블록에 한하여 블록 디비전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즉, 블록 디비젼 조회 메뉴는 수신받은 BOM 정보중에서 블록 디비전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블록 디비젼 조회 메뉴는 해당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호선/블록만을 조회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절단/LOT블록 등록 메뉴는 절단/LOT블록을 추가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절단/LOT블록 등록 메뉴는 수신받은 BOM 정보중 블록의 절단/LOT 블록 정보를 조회 및 추가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조회시 해당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호선/블록만 조회가능하고 추가시 별도의 제약 조건은 없다. 또한, 추가에 해당하는 경우는 절단/LOT 블록의 정보가 BOM 정보에서 누락된 경우나 긴급 발주가 가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조립 BOM 현황 메뉴는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블록에 한하여 조립 BOM 현황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즉, 조립 BOM 현황 메뉴는 수신받은 BOM 정보중 조립 BOM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조립 BOM 현황 메뉴는 호선/블록의 조립품 트리 및 어셈블리의 부재 정보의 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절단 BOM 현황 메뉴는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블록에 한하여 절단 BOM 현황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절단 BOM 현황 메뉴는 수신받은 BOM 정보 중 절단 BOM 정보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절단 BOM 현황 메뉴는 호선/블록의 절단도면 및 절단 부재 정보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절단 도면 조회/삭제 메뉴는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절단도면 조회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절단 도면 조회/삭제 메뉴는 수신받은 절단도면에 대한 조회 및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절단 도면 조회/삭제 메뉴는 물량의 긴급 변경 발생(선통보 물량 이관)시 수기로 도면을 선택하여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있다.
도 10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생산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생산 메뉴는 가공메뉴, 블록제작 메뉴, 기자재 메뉴, 배관 제작 메뉴, 협력사기성 메뉴, SQL 포맷터 메뉴 등과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화면 예시도는 생산 메뉴중에서 기자재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를 보여준다. 기재재 메뉴는 작업 지시 메뉴, 공정 관리 메뉴, 납품 관리 메뉴, 기준 정보 메뉴와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지시 메뉴는 WO(생산 오더) 등록 메뉴, 작업 계획 등록 메뉴, 작업 지시서 출력 메뉴와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WO 등록 메뉴는 협력사 특성에 맞게 묶음을 정하여 WO 등록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WO 등록 메뉴는 도 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WO 생성 기준에 따라 협력사 특성에 맞게 WO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 계획 등록 메뉴는 생성한 WO를 표준공정을 참조하여 계획 수립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주/월간 작업 계획 물량 메뉴는 주/월간의 계획된 물량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 지시서 출력 메뉴는 생산 현장에 작업지시를 위한 WO 발행 및 지시서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정 관리 메뉴는 제작공정 실적 등록 메뉴, 제작 실적 조회 메뉴, WO별 진행실적 조회 메뉴와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공공정 실적 등록 메뉴는 WO별 공정 실적 등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작 실적 조회 메뉴는 제작품의 제작 실적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WO별 진행 실적 조회 메뉴는 WO별 진행 현황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납품 관리 메뉴는 납품실적 등록 메뉴, 미납품 현황 조회 메뉴, 월간 납품 실적 조회 메뉴와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납품실적 등록 메뉴는 납품에 대한 실적 등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미납품 현합 조회 메뉴는 조호일 기준으로 미납품된 현황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월간 납품실적 조회 메뉴는 주/월간 납품 실적을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준 정보 메뉴는 제품유형별 표준 공정 등록 메뉴, 제품유형별 외주단가 등록 메뉴와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유형별 표준공정 등록 메뉴는 협력사별로 구분한 제품유형에 따른 공정 및 관리 절점 등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품 유형별 외주 단가 등록 메뉴는 협력사별로 구분한 제품유형에 따른 외주 단가 등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에 의해 품질 메뉴가 실행되었을 때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품질 메뉴는 검사 메뉴, QL 포맷터 메뉴등과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메뉴는 공정 검사 메뉴와 기준 정보 메뉴와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정 검사 메뉴는 검사 활동(activity) 등록 메뉴, 검사 신청 등록 메뉴, 검사 계획 등록 메뉴, 검사 실적 등록 메뉴, 검사 실적 조회 메뉴와 같은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활동 등록 메뉴는 검사를 수행할 활동 등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검사 신청 등록 메뉴는 검사수행 조직에서의 검사 신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검사 계획 등록 메뉴는 신청한 검사에 대해 검사조직에서의 계획 등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검사 실적 등록 메뉴는 도 11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수행 후 검사조직에서의 실적 등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검사 실적 조회 메뉴는 검사가 완료된 항목에 대한 검사 실적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준 정보 메뉴는 표준 검사 항목 관리 메뉴를 하위 메뉴로 포함할 수 있다. 표준 검사 항목 관리 메뉴는 공정별로 어떤 검사항목이 있는지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인사 관리 메뉴는 회사별 기본정보 및 회사별 부서/그룹/사용자라는 세부 메뉴를 포함하고, 시스템 환경 변수 관리 메뉴는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설정을 관리할 수 있고, 결재 관리 메뉴는 회사별 결재 업무 관리, 예를 들면 결재차수, 협조결제 유무 등을 관리하는 세부 메뉴를 포함하고, 화면 관리 메뉴는 회사별 메뉴(담당자/사용자)와 컨텐츠를 관리하는 세부 메뉴를 포함하고, 권한 관리 메뉴는 메뉴별, 컨텐츠별로 권한을 설정하는 세부 메뉴를 포함하고, 게시판 관리 메뉴는 회사별 지식관리(지식센터)의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세부 메뉴를 포함하고, 자원 관리 메뉴는 회사별 공용자원 분류, 대분류, 자원유형, 지역 등의 정보를 관리하는 세부 메뉴를 포함하고, 프로젝트 관리 메뉴는 회사별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세부 메뉴를 포함하며, 시스템 정보 관리 메뉴는 시스템 환경 변수, 전체 시스템 공지, 캐쉬 등을 관리하는 세부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400)는 로그인시 입력되는 로그인정보에 기반하여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협력사측에서는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업로드하거나, 기타 필요한 업무를 등록 및 수정이 가능하여 별도의 시스템 관리자 없이도 협력사에서 필요로 하는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e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통신망
300 : 웹서버 400 :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
410 : 컨텐츠 모듈화부 420 : 수신부
430 : 컨텐츠 생성부 440 : 컨텐츠 관리부
450 : 양식 제공부 460 : 현황 관리부
500 : 데이터베이스 600: 발주사 서버

Claims (24)

  1. 선박 건조에 참여하는 협력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들로 구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공정별로 모듈화하는 컨텐츠 모듈화부;
    적어도 하나의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모듈화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산 관리 컨텐츠를 선택 및 배치하여 해당 협력사에 적응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할 협력사의 사용자 권한 정보와 해당 협력사의 식별정보를 연관지어 관리하여, 해당 협력사의 사용자 또는 담당자로부터 접속 요청시 해당 협력사의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협력사 정보 양식을 제공하는 양식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협력사의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에 반영하여 생산 공정 진행 현황을 관리하는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에 구성된 메뉴의 수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의 기본 정보는 협력사가 발주사로부터 받은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수주메뉴, 설계 메뉴, 자재 메뉴, 생산 메뉴, 품질 메뉴, 인사 메뉴, 시스템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생산 관리 컨텐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주 메뉴는 각 고객사로부터 수주받은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주 정보 조회 메뉴와, 수주받은 정보의 변경 발생시 변경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납기변경/납품 현황 조회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수주 메뉴는 수주정보에 대한 로데이터 및 월별/고객사별 수주현황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납기변경/납품현황 조회 메뉴는 납기 변경 현황, 납품실적 현황 및 납품예정 현황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계 메뉴는,
    상기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블록에 한하여 블록 디비전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블록 디비젼 조회 메뉴;
    절단/LOT블록을 추가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절단/LOT블록 등록 메뉴;
    상기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블록에 한하여 조립 BOM 현황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조립 BOM 현황 메뉴;
    상기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블록에 한하여 절단 BOM 현황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절단 BOM 현황 메뉴; 및
    상기 협력사에서 수주받은 절단도면 조회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하는 절단 도면 조회/삭제 메뉴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생산 메뉴는 가공메뉴, 블록제작 메뉴, 기자재 메뉴, 배관 제작 메뉴, 협력사기성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메뉴는 시스템 관리 메뉴와 공통 관리 메뉴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관리 메뉴는 사용자 관리 메뉴, 기능별 권한 관리 메뉴, 일반 코드 관리 메뉴, 비밀 번호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관리 메뉴는 협력사/고객사 관리 메뉴, 생산 달력 관리 메뉴, IF 정보 업로드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품질 메뉴는 검사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 메뉴는 공정 검사 메뉴, 기준 정보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정 검사 메뉴는 검사 활동(activity) 등록 메뉴, 검사 신청 등록 메뉴, 검사 계획 등록 메뉴, 검사 실적 등록 메뉴, 검사 실적 조회 메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정보 메뉴는 표준 검사 항목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12.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에서 협력사 생산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선박 건조에 참여하는 협력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들로 구성된 생산 관리 컨텐츠를 공정별로 모듈화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협력사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모듈화된 생산 관리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산 관리 컨텐츠를 선택 및 배치하여 해당 협력사에 적응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할 협력사의 사용자 권한 정보와 해당 협력사의 식별정보를 연관지어 관리하여, 해당 협력사의 사용자 또는 담당자로부터 접속 요청시 해당 협력사의 생산 관리 컨텐츠가 표시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협력사 정보 양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협력사의 공정 진행 현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공정 진행 현황을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에 반영하여 공정 진행 현황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의 기본 정보는 협력사가 발주사로부터 받은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생산 관리 컨텐츠는 수주메뉴, 설계 메뉴, 자재 메뉴, 생산 메뉴, 품질 메뉴, 인사 메뉴, 시스템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생산 관리 컨텐츠에 구성된 메뉴의 수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
  18. 제공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하여 협력사의 생산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주사가 상기 협력사에게 발주한 생산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발주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산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여 협력사 생산 관리를 위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데이터는 협력사가 발주사로부터 받은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수주메뉴, 설계 메뉴, 자재 메뉴, 생산 메뉴, 품질 메뉴, 인사 메뉴, 시스템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생산 관리 컨텐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21. 협력사의 사용자 단말기, 발주사 서버, 및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의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발주사 서버로부터 발주사가 협력사에게 발주한 생산 관리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은 단계;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산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협력사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여 협력사 생산 관리를 위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된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를 이용하여 협력사의 생산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데이터는 협력사가 발주사로부터 받은 수주 관리 정보, BOM 관리 정보, 가공 작업 관리 정보, 블록공정 관리 정보, 배관 제작 관리 정보, 자재 관리 정보, 품질 관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생산 관리 컨텐츠는 수주메뉴, 설계 메뉴, 자재 메뉴, 생산 메뉴, 품질 메뉴, 인사 메뉴, 시스템 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생산 관리 컨텐츠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방법.
  24.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7,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44699A 2011-05-12 2011-05-12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KR101245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699A KR101245640B1 (ko) 2011-05-12 2011-05-12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699A KR101245640B1 (ko) 2011-05-12 2011-05-12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92A true KR20120126692A (ko) 2012-11-21
KR101245640B1 KR101245640B1 (ko) 2013-03-20

Family

ID=4751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699A KR101245640B1 (ko) 2011-05-12 2011-05-12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6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720A (ko) * 2012-11-07 2014-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KR20210067952A (ko) * 2019-11-29 2021-06-0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 선·수미 곡블록 생산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선·수미 곡블록 생산관리 기록매체
KR20220077163A (ko) * 2020-11-29 2022-06-09 스마트로봇연구소(주) 조선 철의장품 제작 중 조선소와 협력사 간 작업도면의 가공데이터 전달을 위한 가공요소 표현 데이터의 표준화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093B1 (ko) 2018-08-30 2023-06-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재의 제작 공정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5563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이엠포커스 중소기업을 위한 클라우드형 스마트공장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23B1 (ko) * 2006-04-25 2006-12-13 엠씨지컨설팅(주) 파트너를 위한 관리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93197B1 (ko) * 2008-10-31 2010-11-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용 메뉴 구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720A (ko) * 2012-11-07 2014-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경량 모델 기반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
KR20210067952A (ko) * 2019-11-29 2021-06-0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 선·수미 곡블록 생산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선·수미 곡블록 생산관리 기록매체
KR20220077163A (ko) * 2020-11-29 2022-06-09 스마트로봇연구소(주) 조선 철의장품 제작 중 조선소와 협력사 간 작업도면의 가공데이터 전달을 위한 가공요소 표현 데이터의 표준화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640B1 (ko)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873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and tracking tasks, such as under an electronic auction
US200400735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national procurement, such as via an electronic reverse auction
CN111402005B (zh) 电商erp系统及其管理方法
US10296859B1 (en) Workflow discovery through user action monitoring
US11238467B2 (en) User active lead management system and uses thereof
US200200996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ommunicating with suppliers, such as under an electronic auction
US20130159034A1 (en) Business process guide and record
KR101245640B1 (ko)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AU2002367047B2 (en) Portal for implementation of multiple software components
US20130054294A1 (en) Sales productivity system
US20160247102A1 (en) Enterprise Pro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30144880A1 (en) Business partner grouping
Căruţaşu et al. Cloud ERP Implementation.
US20140180749A1 (en) Scheduling management environment for cordinating allocation of external resources to a plurality of competing company activities
Chao et al. Multi-agent-based cloud utilization for the IT office-aid asset distribution chain: An empirical case study
CN103473622A (zh) 基于业务方案的范围界定
JP2009288986A (ja) 多品種少量電子機器生産支援システム及び多品種少量電子機器生産支援プログラム
KR20220010895A (ko) Erp 통합 관리 시스템
US20230316197A1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KR100868478B1 (ko)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JP2017102651A (ja) 部品調達システム
Sarkar et al. Cloud based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 for construction projects
KR20010087747A (ko) 웹 서버상에서 구현되는 플랜트 건설을 위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13346A (ko) 협력사의 그룹웨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7114953A (ja) 情報システム、アクション送信装置およびアクション送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