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478B1 -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478B1
KR100868478B1 KR1020060132203A KR20060132203A KR100868478B1 KR 100868478 B1 KR100868478 B1 KR 100868478B1 KR 1020060132203 A KR1020060132203 A KR 1020060132203A KR 20060132203 A KR20060132203 A KR 20060132203A KR 100868478 B1 KR100868478 B1 KR 10086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project
user
information
pro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560A (ko
Inventor
이석우
홍원표
남성호
류광열
최헌종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3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4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터넷, IT중심의 온라인기술과 오프라인의 협업적 비즈니스 모델의 결합을 통한 제조기업 간 기술협업 및 전 제조부문의 공정별 모듈화를 지원하고, 지식 중심의 프로세스에 대한 전문화, 협업화 및 통합관리를 제공하여 E-매뉴팩처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은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의 설계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 프로젝트 정보 저장부,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대응하는 설계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연관된 사용자에게 각 설계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설계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온라인 설계협업, 프로젝트 저장부, 체크인, 체크아웃

Description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n-line design co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설계협업의 전체 시스템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도1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인/체크아웃 수행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의, 설계협업시스템에 대한 공유부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의, 설계협업시스템에 대한 실시간 설계 정보 제공부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협업구성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설계 프로젝트 정보 저장부(101),
설계 정보 저장부(102),
설계 정보 제공부(103)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터넷, IT중심의 온라인기술과 오프라인의 협업적 비즈니스 모델의 결합을 통한 제조기업간 기술협업 및 전 제조부문의 공정별 모듈화를 지원하고, 지식 중심의 프로세스에 대한 전문화, 협업화 및 통합관리를 제공하여 E-매뉴팩처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매뉴팩처링은 기업과 기업간의 기술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회사 경영진, 공장, 영업망 전반에 걸친 모든 구성요소를 하나의 협업 허브를 통해 연결해 제품의 개발, 기획 단계부터 구매, 조달 생산관리, 서비스에 이르는 전 부문을 통합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디지털 생산 하이웨이(Digital Manufacturing Highway)를 구축해 산업 밸류 체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적용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미국에서는 NIST가 1999년부터 통합지능형 제품개발 환경프로젝트 "FIPER"를 통해 기업내-외부간 협업 인프라를 구축했고, GM은 DELMIA도구(3D가상생산시스템)을 이용한 가상 조립공장 모델 개발 및 최적 제조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 일본은 "국제 IMS프로그램"을 주도하며, 지식기반 가상기업을 통한 제품개발과 생산분야의 협업체계 방법을 개발 중이다. 특히, 도요타는 설계, 해석, 시뮬레이션 결과와 작업자들의 노하우를 VCS(Virtual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웹상에 DB화 했다. 유럽은 EU출범 이후 유럽 신발산업의 협업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인 "풋프린트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고, 독일의 아디다스사는 본사와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디자인센터와 전 세계에 분산돼 있 는 제조 협력업체들간의 글로벌 협업을 구현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현대자동차가 제품기획, 개발단계에서 디지털 매뉴팩처링를 구현할 E-매뉴팩처링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1,700억원을 투입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사내-부품협력업체와 공동협업할 수 있는 가상협업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경우에는, 일부 대기업을 위주로 생산라인에 적용이 되고 있으나, 국내 재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을 위한 E-매뉴팩처링 인프라는 사실상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기술력이 충분하지 않은 중소기업들에게 당해 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기술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경영 컨설팅 및 기술개발전략 지원해줄 수 있는 인프라가 절실한 상태이며, 이를 위해 동일한 산업분야를 연구하는 기술진 및 대학의 연구소, 중소기업간의 커뮤니티를 통합적으로 정보를 축적하고, 이를 지원해줄 수 있는 제조기업을 위한 E-매뉴팩처링 인프라는 국내의 제조산업에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E-매뉴팩처링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E-매뉴팩처링 인프라의 특성상 제조업 분야가 차지하는 상대적인 적용 비중이 가장 높다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중소기업들이 제조원가 절감에 대한 부담감, 신속한 신제품 대응력 부족, 제조 공정 및 장비의 노후화, 고급전문 인력 부족과 열악한 제조환경 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 으로서, IT 중심의 온라인기술과 오프라인의 협업적 비즈니스 모델의 결합으로 E-매뉴팩처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계 시방협의 기능강화(Hub를 통한 웹상의 회의), 시방 변경에 대한 신속한 대응, 웹상의 협업(Hub기능)을 통한 시방변경 관리, 신뢰성 및 품질결과의 관리강화(이력 관리)에 따른 협업을 통한 제품개발로 시방변경 감소 및 납기 단축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경 이력의 지식 정보화 교육자료로 활용, Hub를 통한 기술자료의 공유, 기술 공동대응 및 협력으로 고질불량 반복의 발생감소를 제2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은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의 설계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 프로젝트 정보 저장부;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대응하는 설계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연관된 사용자에게 각 설계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설계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의 설계 정보는 설계 도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는 각각 복수의 업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품의 생산을 위한 금형설계 프로젝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는 각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템플릿을 제공하는 업무 템플릿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은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의 설계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대응하는 설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연관된 사용자에게 각 설계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설계협업의 전체 시스템구조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설계 협업시스템은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의 설계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 프로젝트 정보 저장부(101),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대응하는 설계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 정보 저장부(102), 및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연관된 사용자에게 각 설계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설계 정보 제공부(10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설계 프로젝트 정보 저장부(101)는 견적서와 발주서에 대한 접수 및 관리, 제품도 변경이력 관리 및 공정과정(문서, 시방서, 변경사항) 등의 산출물을 관리, 금형조립도/금형부품도 관리, 담당자/부서별 정보관리 등의 업무를 내부 프로젝트와 외부 프로젝트 단위로 각각 크게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는 도1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의 설계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 프로젝트 정보 저장부(101)는 프로젝트의 생성 및 추가 단계(S201); 프로젝트 정보입력 단계(S202); 프로젝트 생성확인 단계(S203); 템플릿 설정 단계(S204); 업무구성 단계(S205);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단계(S206); 및 갱신단계(S207)등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1)는 기업의 내부/외부에서 업무가 시작될 때 협업을 할 위치와 정보를 제공하고, 프로젝트 수행자는 프로젝트 생성시 프로젝트관리자를 직접 선정하게 되며, 프로젝트 관리자는 상기의 선정단계를 통해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고유의 인식코드(프로젝트코드)를 할당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1)의 프로젝트코드는 협업을 위한 체계화되고, 분류별로 색인화된 프로젝트 코드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젝트관리자와 영업담당자 및 설계담당자를 직접 지정하여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인사를 사용자가 설계공정에 참여시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설계담당자는 금형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부여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2)는 프로젝트 관리자 선정단계(S221), 고유의 인식코드 할당단계(S222); 및 프로젝트 코드 부여단계(S223)를 포함한다.
프로젝트 생성확인 단계(S203)는 내부협업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생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생성된 프로젝트 리스트는 프로젝트 코드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4)는 업무 관리자가 업무 템플릿 설정을 통해 업무기준을 세우는 것으로, 프로젝트 생성 후 업무 흐름에 따른 업무 기준대로 업무 템플릿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에서 수행하는 업무의 기준대로 업무 템플릿을 만들어 업무를 체계화된 상태로 정보를 공유하게 되고, 프로젝트의 업무기준으로 템플릿을 설정하여 체계적인 협업 업무관리가 가능해진다.
단계(S204)는 업무 기준이 변하면 변화된 업무 템플릿을 등록 및 적용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업무 템플릿과 신규 업무 명, 업무 삭제 등이 적용된 업무 템플릿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 가능한 업무 템플릿은 업무 기준을 수립하여 시스템에 반영해 놓은 것을 포함하고, 현재 프로젝트에서 수행할 업무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S204)는 사용 가능한 업무 템플릿에 없는 업무 명을 추가할 수 있도록 업무명 필드 항목을 템플릿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5)는 업무 템플릿이 표시되는 업무명 필드 및 공유되는 업무명이 표시되는 공유업무명 필드를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5)에 의하면, 상기의 업무명 필드 및 공유업무명 필드를 이용할 경우, 프로젝트 수행자의 업무와 공유되는 다른 업무를 조회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수행하는 협업 업무를 조직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단계(S205)는 업무 목록을 이용하여 업무 템플릿의 구성과 공유 업무명 및 정보조회를 수행하고, 공유되어 있는 업무는 공유 업무명에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6)는 도면, 문서를 프로젝트에 구성된 업무에 따라 등록시키고 필요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단계(S206)는 업로드 및 다운로드 수행자를 통해 수행되는 해당 파일에 대한 정보입력을 위한 템플릿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6)는 문서, 도면 등의 파일을 파일의 정보와 함께 시스템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문서의 정보관리 및 이력관리 및 변경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여 정보의 관리 및 이력관리가 가능해진다. 이때, 파일다운로드는 문서, 도면 등의 파일을 여러 개를 동시에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6)는 수정된 정보를 찾아서 업로드 시킬 수 있도록 체크인/체크아웃 단계를 포함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인/체크아웃 수행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01)의 프로젝트 수행자는 변경된 문서, 도면 등의 파일을 선택하고, 단계(S302)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된 정보에 대한 파일정보의 작성을 위해 체크아웃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02)는 단계(S303)과 같이 정보 변경의 확인을 위한 작업자의 이름 및 수정을 위한 파일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상태 표시에 의한 수정단계는 체크아웃 상태에서의 해당파일에 대한 삭제는 불가하고, 체크아웃/체크인 기능은 같은 이름과 확장자를 가진 파일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03)를 통해 표시된 상기 파일에 대하여 단계(S304)와 같이, 파일의 내용 수정하고, 변경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변경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당해 프로젝트의 정보를 변경한 이유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05)의 프로젝트 수행자는 상기 수정된 프로젝트 파일을 업로드 시켜 다른 연관된 프로젝트 멤버들에게 공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의 파일정보에 대한 변경 시, 파일의 변경 사유 등의 이력정보는 트랜잭션에 로그파일로 기록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S306)은 상기 로그파일에 기록된 특정 프로젝트 멤버에 의한 파일수정의 기록내용을 메시지 설정을 통해 다른 포로젝트 멤버가 체크인 시 SMS메시지 발송으로 업로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07)은 상기 수정된 프로젝트에 연관된 다른 프로젝트 멤버가 작업의 진행을 위해 본 프로젝트에 체크인 시 상기 SMS메시지를 확인하고, 상기 프로젝트 수행자에 의한 파일의 사용이력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07)에 의하면, 상기 프로젝트의 수정여부의 전달에 대한 부재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도3에서 수행된 프로젝트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과정을 통해 프로젝트수행자는 수정된 프로젝트에 대한 갱신단계(S307)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갱신이란, 기존의 프로젝트에 변동 및 수정된 내용으로 대체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S307)는 프로젝트수행자가 파일 업로드 시 해당파일의 변경 내용이 그대로 적용되어 변경내용에 대한 파일의 이력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07)은 파일명, 확장자에 관계없이 수정파일에 대한 업로드에 의한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값 변경 시 프로젝트 구성원에게 수정내용을 SMS메시 지를 통해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307)는 프로젝트의 멤버가 프로젝트에 체크인시 파일 업로드를 통해 변경된 해당파일의 이력내용을 확인하도록 공지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의, 설계협업시스템에 대한 공유부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협업시스템에 대한 설계 정보 저장부(102)는 업무협업을 위한 공유프로젝트를 검색하는 단계(S401); 검색된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공유를 설정하는 단계(S402); SMS를 통한 공유 요청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S403); 프로젝트 명 및 공유신청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404);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폴더나 파일을 공유시켜 협업업무를 수행하는 단계(S405); 및 프로젝트 멤버에 대한 보안 설정단계 단계(S40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1)는 공유대상파일 및 폴더와 업무협업을 위해 공유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이때의 프로젝트 검색은 해당 프로젝트 선택 시 프로젝트 명과 프로젝트 코드로 검색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2)와 같이,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 또는 폴더를 상기 검색된 프로젝트에서 선택하여 공유설정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402)의 검색된 공유프로젝트는 공유대상과 공유가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및 상호 참조 가능한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2)의 공유 요청 자는 참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공유요청 제목과 상기 요청된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요청의 필요성을 기입하여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공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2)는 프로젝트 수행자가 상기 수신된 공유메시지를 이용하여 공유대상 프로젝트명 및 공유 신청자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3)는 공유 요청 자에 의한 프로젝트 공유요청시 해당 공유프로젝트의 업무관리자에게 SMS 메시지를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4)에서, 프로젝트 관리자는 단계(S403)에 의하여 요청된 프로젝트 공유요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404)는 상태 창을 통한 상기 프로젝트 내용의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5)에서 프로젝트 공유를 요청받은 프로젝트 관리자는 공유할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 공유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여 공유가 필요한 프로젝트에 공유를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05)는 공유업무명에 포함되는 해당프로젝트와 공유설정이 되어있는 업무 폴더로 연계정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5)를 통해, 프로젝트 협업정보의 내용 및 변경을 부서간에 확인하여 활용할 수 있고, 또한 같은 업무이력의 관리로 정확한 업무 수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단계(S404)는 프로젝트 관리자의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방법으로 상기 공유 요청된 수신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개인계정설정을 통한 메시지함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04)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프로젝트관리자가 온라인 상태에 있을 경 우 실시간으로 개인 메시지함에 도착한 신규메시지를 검색하여 팝업 및 브라우저에 표시된 메시지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2)을 위해, 공유업무명을 필드로 해당프로젝트와 공유설정이 되어있는 업무 폴더로 이동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S405)는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폴더나 파일을 공유시켜 협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02)는 공유과정에 있어서의 엄격한 정보비밀유지단계(S406)가 수행되는데, 이는 공유설정된 프로젝트의 대부분이 기업의 산업비밀영역에 해당하는 정보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유프로세스는, 기업 내부와 외부 프로젝트로 구분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단계; 한정된 멤버 사이의 실시간 공유단계; 및 배포 흐름관리의 모니터링 단계를 통한 프로젝트의 보안유지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수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S402)는 프로젝트의 멤버일 경우만 파일을 볼 수 있도록 그 사용권한을 설정하고, 공유된 전체 프로젝트 중 협업에 이용되는 자료만 공개하도록 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보안유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의, 설계협업시스템에 대한 실시간 설계 정보 제공부(103)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협업시스템에 대한 설계 정보 제공부(103)는 부서간 또는 기업간 설계협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단계(S501); 기업간 컨퍼런스(SMS/메시지)로 프로젝트에 대한 이력관리 단계(S502); 프로젝트의 진척관리와 리포팅 단계(S503); 및 멤버 정보에 대한 보안관리 단계(S504)를 포함한다. 단 계(S501)는 프로젝트 업무 수행을 총괄하는 프로젝트 관리자와, 수행할 업무를 정의하여 업무 템플릿을 설정하는 업무관리자, 설정된 업무 기준에 따라 업무 수행하는 일반사용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1)의 프로젝트 관리자는 내부 및 외부협업 업무에 대한 업무별 구분 및 프로젝트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권한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S501)의 업무관리자는 상기 프로젝트관리자의 설정내용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업무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업무별로 각각의 템플릿을 제공하여 업무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1)은 사용자의 업무분담 및 프로젝트의 수행정보는 사용자의 체크아웃/체크인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되고, 프로젝트의 사용이력에 대한 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체크아웃/체크인 및 갱신기능의 사용으로 파일이 수정되어 업로드 되었을 경우, 수정된 파일의 내용정보와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의 프로젝트 사용이력이 트랜잭션부에 로그기록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S501)은 프로젝트의 파일업로드 빈도수에 따라, 숫자가 증가(초기값은 1)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1)의 트랜잭션 부에 생성된 로그기록은 조회상태 및 조회 중에 있는 파일의 이름과, 작업한 사람에 대한 ID, 작업이 수행된 날짜 및 가장 최신버전의 파일을 등록할 때 작성한 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2)는 단계(S501)의 트랜잭션 부에 생성된 로그기록을 통해 프로젝트 변경에 대한 이력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기업 간 컨퍼런스(SMS/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2)의 프로젝트 관리자는 상기 파일의 정보를 열람하여 정확한 파일을 확인하고 작업자 및 진행상황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2)는 기업간 컨퍼런스(SMS/메시지)로 프로젝트에 대한 이력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S502)는 컨퍼런스(회의)를 진행하기 위한 회의실 생성 단계; 회의 참석자에 대한 추가 및 삭제 단계; 회의에 사용할 문서 또는 도면을 등록하는 단계; 도면을 조회하는 단계; 회의실 진행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회의 결과를 협업프로젝트에 반영하는 단계 등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02)는 이전 버전의 파일을 보기, 다운로드, 변경이력 확인 등의 기능을 프로젝트와 연관된 멤버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2)는 협업설계와 관련된 도면과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설계 도면을 제공하고, 상기 설계 도면과 연관된 사용자들간의 컨퍼런스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퍼런스 기능은 상기 설계 도면과 연관된 사용자들간의 대화 기능 및 설계 도면에 별도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템플릿 표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S502)는 파일의 수정/변경된 사항에 대한 이전의 정보에 대하여 조회이력, 이전의 정보 등을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2)의 템플릿 표시 기능은 상기 설계 도면과 연관된 사용자들 중 하 나의 사용자가 상기 설계 도면에 소정의 표시를 하면,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상기 표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02)에 의할 경우, 기업 간 컨퍼런스(SMS/메시지)로 프로젝트 변경에 대한 이력관리가 가능하고, 파일의 정보를 열람하여 정확한 파일을 확인하고 작업자 및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이득효과가 있다. 또한, 정보가 필요한 파일을 선택하여 파일의 수정/변경된 사항조회를 통해 정보의 변경에 따른 히스토리 관리 및 정보의 통합적인 이력관리가 가능하고, 잘못된 정보로 인한 사후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진척관리와 리포팅 단계(S503)는 프로젝트그룹 리포팅, 프로젝트 리포팅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3)의 프로젝트그룹 리포팅은 프로젝트그룹에 연계된 단품 프로젝트들의 진척상황을 조회하는 프로젝트그룹 진척상황 리포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S503)의 프로젝트 리포팅은 조회할 프로젝트를 목록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프로젝트의 진행 현황을 기간별 연도별로 조회하는 프로젝트 진척현황 리포팅 단계, 조회할 프로젝트를 목록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프로젝트의 공정별 진행상태를 기간별 또는 연도별로 조회하는 공정별 진행상태 리포팅 단계, 조회할 프로젝트를 목록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프로젝트의 시작 공정을 기준으로 공정별 진행 상태를 기간별 또는 연도별로 조회하는 시작공정 리포팅 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S503)의 프로젝트 리포팅은 조회할 프로젝트를 목록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프로젝트의 완료 공정을 기준으로 공정별 진행 상태를 기간별 또는 연도별로 조회하는 완료공정 리포팅 단계, 조회할 프로젝트를 목록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프로젝트의 공정을 기준으로 공정별 비용 점유율을 기간별 또는 연도별로 조회하는 공정별 비용 점유율 리포팅 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4)는 멤버 정보에 대한 보안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04)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실제 사용자를 구성 및 관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멤버간의 정보공유가 가능하도록 프로젝트 생성 후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를 멤버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S504)는 각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연관된 업무에 관련된 설계 정보만을 제공하고, 제1 사용자가 소정의 설계 정보에 접근 중인 경우, 상기 설계 정보에 접근하는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접근정보를 알리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 정보 제공부(103)는 제1 사용자가 소정의 설계 정보에 접근 중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게 상기 설계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504)는 관리자가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권한을 설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권한 설정에 따른 멤버들의 수행업무 지정단계는 프로젝트 멤버를 일반 사용자, 관리자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504)는 관리자만이 멤버관리가 가능하도록 권한이 설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협업구성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협업구성은, 파일/폴더의 이동단계(S601); 파일연계 단계(S602); 협업을 위한 업무공유 단계(S603); 및 상기 공유 설정된 정보를 프로젝트관계자 등에게 배포하는 단계(S604)를 포함한다.
단계(S601)는 프로젝트 수행자가 첨부 및 게시를 위하여 프로젝트의 원하는 위치로 파일을 이동 시킬 경우, 상기 파일 이동에 대한 이력으로 기록되어 템플릿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계(S601)은 상기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수정일 변경 표시방법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S602)는 현재 업무와 연관된 다른 업무 파일들을 연계할 있으며, 프로젝트 수행자 및 프로젝트 관리자는 관련 있는 프로젝트, 업무 템플릿, 파일 등을 통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와 연계되어 있는 다른 업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S602)는 프로젝트와 업무템플릿을 찾아 연계대상파일을 추가함으로써 해당 파일을 참고하기 위한 파일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 명은 연계설정이 이루어지는 파일에 대한 프로젝트 이름을 말하고, 상기 업무명은 연계설정이 이루어지는 파일에 대한 업무 템플릿을 의미한다.
단계(S602)는 연계 설정된 파일에 대한 확인 화면을 표시하여 연계파일을 확인하도록 업무템플릿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602)의 업무 템플릿은 프로젝트 명, 업무명, 파일명, 설정한 사람, 설 정일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한 사람이란 연계설정을 수행한 사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연계된 프로젝트는 해당 프로젝트의 멤버들만이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603)는 연계를 통해 연관된 프로젝트를 알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S603)은 진행중인 프로젝트와 관련된 다른 프로젝트를 연계하여 현재 프로젝트와 관련된 프로젝트에 대하여 연결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603)의 프로젝트 업무관계자에게 표시되는 업무 템플릿은 프로젝트번호, 프로젝트코드, 프로젝트 명, 설정프로젝트 코드, 설정일 등을 포함하여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계된 프로젝트는 해당 프로젝트의 멤버들만이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604)는 공유 설정된 정보를 프로젝트관계자 등에게 배포하는 단계로, 시스템에 있는 파일을 프로젝트에 속해 있지 않은 구성원에게 파일을 보내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업무에 참고해야 하는 파일을 내부 및 외부 협업 프로젝트의 사용자들에게 파일을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포송신자가 배포내용 작성 후 배포하게 되면 파일배포 승인자에게로 SMS를 통한 확인메시지 가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604)의 업무템플릿은 배포제목, 배포자, 수신자, 승인자, 배포 항목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수신자는 배포파일을 받는 사람, 승인자는 내부조직으로서 배포파일을 승인하는 사람, 배포항목은 송신자에게 보내고자 하는 파일항목. 배포파일은 수신자에게 보내질 파일 명칭, 승인은 해당문서가 외부조직으로의 이동을 승인하는 절차 등을 각각 의미한다.
단계(S604)은 내부조직에서 외부조직으로 파일이나 도면 등이 이동 시 해당부서의 장에게 승인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업무템플릿은 상기 업무결제를 위한 사내 인프라 구성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604)의 배포파일의 내용을 승인 메시지 상에서 확인(파일보기)를 통해 승인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승인자에게 표시되는 업무 템플릿은 발신자, 제목, 발송날짜, 상태 등을 포함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포수신자 및 배포파일의 이력은 송신자가 입력한 수신자에게 모두 NOTIFY되고, 배포제목, 배포자, 수신자, 승인자, 배포파일, 배포폴더, 내용 등을 포함하여 화면표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604)는 수신자에게 수신된 메시지를 프로젝트 구성원에게 공유 및 문서관리를 위해 내부 및 외부프로젝트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604)는 수신 파일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위해 배포파일의 프로젝트 템플릿의 파일을 프로젝트에 선택적으로 저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604)는 프로젝트의 협업을 위해 프로젝트 별로 기존에 배포되었던 내용 중 일부를 수정하여 다시 배포할 수 있도록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단계(604)는 배포물의 재사용을 위한 재활용 선택기능을 템플릿에 포함하여 표 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업무템플릿은 배포제목, 배포자, 수신자, 승인자, 배포항목, 설명 등을 포함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S604)에 의할 경우, 내부 및 외부 협업 프로젝트에 필요한 파일을 배포하여 빠르고 편하게 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계 정보는 설계 도면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는 각각 복수의 업무를 포함하고, 제품의 금형에 관한 설계 프로젝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 도면을 확인할 수 있는 전용뷰어(viewer) 프로그램을 상기 서비스 신청자에게 온라인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T 중심의 온라인기술과 오프라인의 협업적 비즈니스 모델의 결합으로 E-매뉴팩처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은 설계 시방협의 기능강화(Hub를 통한 웹상의 회의), 시방 변경에 대한 신속한 대응, 웹상의 협업(Hub기능)을 통한 시방변경 관리, 신뢰성 및 품질결과의 관리강화(이력 관리)에 따른 협업을 통한 제품개발로 시방변경 감소 및 납기단축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경 이력의 지식 정보화 교육자료로 활용, Hub를 통한 기술자료의 공유, 기술 공동대응 및 협력으로 반복적인 고질불량의 발생감소를 감속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를 생성 및 추가하고,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의 설계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의 산출물을 관리하는 설계 프로젝트 정보 저장부;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대응하는 설계 정보를 저장하는 설계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연관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각 설계 프로젝트에 대응되고 설계 도면을 포함하는 설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간의 컨퍼런스 기능을 제공하는 설계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퍼런스 기능은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간의 대화 기능 및 설계 도면에 별도의 표시가 가능하게 하는 표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설계 정보 제공부는,
    상기 대화 기능 및 상기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로그 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로그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설계 프로젝트의 변경에 대한 설계 정보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설계 정보 이력 데이터를 상기 설계 프로젝트에 연관된 제3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는 각각 복수의 업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각각의 사용자에게 상기 각각의 사용자가 연관된 업무에 관련된 설계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템플릿을 제공하는 업무 템플릿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 제공부는,
    상기 설계 도면을 확인할 수 있는 전용뷰어(viewer) 프로그램을 상기 서비스 신청자에게 온라인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능은,
    상기 설계 도면과 연관된 사용자들 중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설계 도면에 소정의 표시를 하면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상기 표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정의 설계 정보에 접근 중인 경우 상기 설계 정보에 접근하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정의 설계 정보에 접근 중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게 상기 설계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는 제품의 생산을 위한 금형에 관한 설계 프로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15.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를 생성 및 추가하고,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의 산출물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대응하는 설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 각각에 연관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각 설계 프로젝트에 대응되고, 설계 도면을 포함하는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간의 대화 기능 및 상기 설계 도면에 별도의 표시가 가능하게 하는 표시 기능을 포함하는 컴퍼런스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대화 기능 및 상기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로그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로그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설계 프로젝트의 변경에 대한 설계 정보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설계 정보 이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설계 프로젝트에 연관된 파일에 대한 수정, 변경 사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수정, 변경 사항을 상기 설계 프로젝트에 연관된 제3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는 각각 복수의 업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각각의 사용자에게 상기 각각의 사용자가 연관된 업무에 관련된 설계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설계 도면을 확인할 수 있는 전용뷰어 프로그램을 상기 서비스 신청자에게 온라인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능은,
    상기 설계 도면과 연관된 사용자들 중 하나의 사용자가 상기 설계 도면에 소정의 표시를 하면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에게 상기 표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정의 설계 정보에 접근 중인 경우 상기 설계 정보에 접근하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정의 설계 정보에 접근 중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에게 상기 설계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계 프로젝트는 제품의 생산을 위한 금형에 관한 설계 프로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계 협업 방법.
  29. 제15항 내지 제 18항, 제22항 및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60132203A 2006-12-21 2006-12-21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086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203A KR100868478B1 (ko) 2006-12-21 2006-12-21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203A KR100868478B1 (ko) 2006-12-21 2006-12-21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560A KR20080086560A (ko) 2008-09-26
KR100868478B1 true KR100868478B1 (ko) 2008-11-12

Family

ID=4002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203A KR100868478B1 (ko) 2006-12-21 2006-12-21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52A (ko) * 2009-04-01 2010-10-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협업기반 설계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56191B1 (ko) * 2011-12-23 2014-01-27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6966A (ko) * 2012-10-23 2014-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개방형 공중망을 이용한 협업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45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관리서버에서의 개발 프로젝트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KR20040022951A (ko) *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 방법
KR20050063993A (ko) * 2003-12-23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업간 협업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KR20060059330A (ko) * 2004-11-27 2006-06-01 (주)유비텍 웹기반 신발설계 협업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45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관리서버에서의 개발 프로젝트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KR20040022951A (ko) *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 방법
KR20050063993A (ko) * 2003-12-23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업간 협업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KR20060059330A (ko) * 2004-11-27 2006-06-01 (주)유비텍 웹기반 신발설계 협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560A (ko) 200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wood et al. Development of automated communication of system for managing site information using internet technology
US7606699B2 (en) Modeling of forecasting and production planning data
Philpotts An introduction to the concepts, benefits and terminology of product data management
US68509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data access and workflow in a network environment
Boyson et al. The e-supply chain portal: a core business model
US2002004030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managing capital asset business exchanges
US10296859B1 (en) Workflow discovery through user action monitoring
US96089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secure sharing of data
US200201658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arts requirements processes
WO2014013551A1 (ja) ワークフロー管理装置及びワークフロー管理方法
JP7489506B2 (ja) クラウド型契約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Braglia et al. Virtual pooled inventories for equipment-intensive industries. An implementation in a paper district
US80555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business management personnel of business risk
US2005026777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lifecycle management of a facility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KR100868478B1 (ko)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Vogel et al. mySAP ERP for Dummies
US20160132472A1 (en) Process intelligence system
KR20080083723A (ko) 온라인 생산 협업 시스템 및 방법
Al-Asmari et al. Experiences in Distributed Software Development with Wiki.
Djedović et al. Optimization of the business processes via automatic integration with the document management system
Simonova Identification of IT-service metrics for a business process when planning a transition to outsourcing
Dixit et al. Integrating facility management functions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 review of key issues and challenges
Pamungkas et al.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Using Bpi Method in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to Support Online Bank Branch Office and ATMs
US8868438B1 (en) Web-based computer-supported work order and specification management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