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91B1 -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91B1
KR101356191B1 KR1020110141137A KR20110141137A KR101356191B1 KR 101356191 B1 KR101356191 B1 KR 101356191B1 KR 1020110141137 A KR1020110141137 A KR 1020110141137A KR 20110141137 A KR20110141137 A KR 20110141137A KR 101356191 B1 KR101356191 B1 KR 10135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ork
project
network
detailed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341A (ko
Inventor
노태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Priority to KR102011014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1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관리단말과, 복수 개의 작업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협업프로젝트를 할당받은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관리단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작업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업단말이 수행하는 상기 협업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다수의 세부프로세스로 분할한 후 복수 개의 작업단말로 이를 할당하면, 상기 복수 개의 작업단말이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를 각각 수행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트의 수행에 따른 전체 소요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Collaboration project performing system and method using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단말로부터 협업 프로젝트를 할당받은 작업단말이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리단말에 저장된 상기 협업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급격히 고도해짐에 따라, 하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한 명이 혼자서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보다 오랜 프로젝트 수행시간이 소요되며,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서 전문성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나의 고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해당 프로젝트를 다수의 세부 세부프로세스로 분할하고, 각각 분할된 세부프로세스를 각각의 팀원에게 할당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에 효율적이면서, 높은 전문성을 갖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협업 시스템을 각 분야에서 적용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협업 시스템은 하나의 협업 프로젝트를 다수의 세부프로세스로 분할하여 협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협업 프로젝트에 대하여 새롭게 업데이트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기술 1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00686호(2011.01.04)로서, 컨텐츠 오브젝트와 통합하고, 연관짓고, 상호 작용하기 위한 오픈 프레임워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 1은 모바일 활동, 소셜 관계 및 연관내역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홈페이지로 전달되는 컨텐츠 오브젝트의 상대적 디스플레이를 판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선행기술 2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03550호(2011.01.12)로서, 소셜 네트워크의 브랜드 엔진에 의한 콘텐츠 표현의 변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 2는 제1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소셜네트워크에서의 추가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쪽으로 사용자에 관련된 공간, 시간, 소셜 및 주제데이터가 임의조합에 따른 매핑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매핑에 의해 수신 컨텐츠의 변경된 표현이 상기 제1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협업 프로젝트를 다수의 세부프로세스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업단말로 할당하면, 상기 작업단말이 자신과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관심단말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전문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협업 프로젝트가 다수의 세부프로세스로 분할되어 작업단말이 업무를 진행하는 도중에, 상기 작업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관심단말에서 상기 협업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이 업데이트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 시스템은 하나의 관리단말과, 복수 개의 작업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협업프로젝트를 할당받은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관리단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작업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업단말이 수행하는 상기 협업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생성된 세부프로세스를 할당받는 작업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을 관심단말로 지정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작업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노출한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한 단말을 관심단말로 지정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작업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심단말에 저장된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관심단말로부터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는 작업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젝트작업모듈;을 포함하는 작업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수행결과, 작업진행현황, 작업완료예정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젝트작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수행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작업수행결과를 업무진행순 또는 시계열순으로 재배열하는 프로젝트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관리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관리단말과, 복수 개의 작업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협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방법은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협업프로젝트를 할당받은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관심단말에 저장된 협업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수행단계;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수행결과를 상기 관리단말의 프로젝트관리모듈로 업로드하는 업로드단계; 상기 관리단말이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수행결과를 업무진행순으로 재배열하는 업무순서재배열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수행단계를 수행하기 전,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상기 협업프로젝트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생성된 세부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프로세스를 할당받는 세부프로세스할당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부프로세스할당단계 수행 후,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세부프로세스를 할당받은 작업단말이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관심단말로 지정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작업단말이 할당받은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수행결과, 작업진행현황, 작업완료예정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관리단말의 프로젝트관리모듈로 업로드하는 업로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무순서재배열단계 수행 후,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관심단말로부터 상기 협업프로젝트와 관련되어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는 업데이트정보수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다수의 세부프로세스로 분할한 후 복수 개의 작업단말로 이를 할당하면, 상기 복수 개의 작업단말이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를 각각 수행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트의 수행에 따른 전체 소요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은 협업프로젝트를 할당받은 작업단말이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심단말에 저장된 상기 협업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받은 협업 프로젝트의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함에 따라, 상기 협업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보다 정확한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은 하나의 관리단말이 하나의 협업프로젝트의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한 작업단말로부터 작업수행결과를 수신한 후, 이를 업무순서 또는 시계열순서로 재배열함으로써, 상기 관리단말로 하여금 전체적인 업무현황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단말에 포함된 프로젝트관리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로젝트관리모듈의 작업수행결과를 재배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단말에 포함된 프로젝트작업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관리단말의 출력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작업영역 중 채팅/팔레트영역 및 에디터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작업영역 중 위버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위버영역을 챕터별로 나누어 표시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퍼블리시 기능 및 최소/최대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관심단말로부터 수신한 작업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그룹네트워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작업영역 중 채팅/팔레트영역의 변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관리단말의 다른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컴포넌트영역 및 편집영역간 작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컴포넌트영역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100)은 하나의 관리단말(110), 적어도 하나의 작업단말(120) 및 관심단말(130)을 포함한다.
관리단말(110)은 수행하고자 하는 하나의 협업 프로젝트를 소주제, 작업완료예상소요시간, 중요도순위 등의 세분기준에 따라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로 분할하고, 분할한 상기 세부프로세스를 각각의 작업단말(120)에 할당하며, 또한 각 작업단말(120)이 수행한 작업수행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작업수행결과를 업무순으로 재배열한다. 이러한 관리단말(110)은 다수의 세부프로세스를 관할하는 기업체의 프로젝트 매니저(PM: Project Manager), 학교강의 내 각 그룹의 조장 또는 교수 등이 사용하는 단말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관리단말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리단말에 포함된 프로젝트관리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관리모듈(112)은 프로세스선택모듈(112a), 표시모듈(112b), 채팅모듈(112c), 일정확인모듈(112d) 및 순서배열모듈(112e)을 포함한다.
프로세스선택모듈(112a)은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로부터 각 작업단말이 수행한 작업수행결과를 입력받아 이를 표시하며, 관리단말(110)의 사용자에 의해 현재 작업진행상황을 알고자 하는 세부프로세스를 선택받는다.
표시모듈(112b)은 상기 프로세스선택모듈(112a)에서 선택된 세부프로세스에 대하여 해당 작업단말(120)로부터 업로드된 정보인 작업수행결과, 작업진행현황, 작업완료예정일 등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채팅모듈(112c)은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을 수행한 작업단말(120)과 의견을 교환한다.
일정확인모듈(112d)은 상기 협업프로젝트의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일정별 작업수행결과를 상기 표시모듈(112b)을 통해 볼 수 있도록 3주차 또는 4주차와 같이, 해당 주차 또는 특정일에 대한 작업일정을 선택받는다.
순서배열모듈(112e)은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로부터 입력받은 작업수행결과를 상기 협업프로젝트의 전체 업무진행순으로 재배열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순서배열모듈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관리단말의 세부프로세스 수행결과에 대한 재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단말(110)이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로부터 각각 수행한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를 업로드 순서대로 수신함에 따라, 협업프로젝트의 전체 작업순서(A, B, C, D)와 다른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가 A, C, B, D의 순서로 업로드되어, 아이콘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순서는 상기 관리단말(110)로 하여금 협업프로젝트 전체 수행일정에 혼란을 가중시킴에 따라, 상기 관리단말(110)의 프로젝트관리모듈(112) 중 순서배열모듈(112e)이 업로드된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를 재배열하여, 상기 협업프로젝트의 전체 작업순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단말(110)은 정상적인 세부프로세스 수행결과의 순서에 해당하도록 재배열하고자 하는 작업단말 C로부터 업로드된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 C를 선택하여 드래그함으로써 활성화시킨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단말(110)은 드래그한 세부프로세스 수행결과 C를 재배열하고자 하는 위치에 드롭시켜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단말(110)의 프로젝트관리모듈(112) 내 순서배열모듈(112e) 상에서 상기 협업프로젝트의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가 처음 계획되었던 작업순서에 맞게 재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의 배열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업무순서에 의해 결정되거나, 상기 관리단말(110)을 구동하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은 자명하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작업단말(120)은 상기 관리단말(110)로부터 하나의 협업프로젝트에 대하여 복수 개로 분할된 세부프로세스 중 하나의 세부프로세스를 할당받고, 프로젝트작업모듈을 통해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단말에 포함된 프로젝트작업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단말에 포함된 프로젝트작업모듈(122)은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작업수행결과, 작업진행상황, 작업완료예정일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정보를 상기 관리단말(110)로 전송하여 업로드하며, 컴포넌트모듈(122a), 작업모듈(122b), 채팅모듈(122c) 및 일정확인모듈(122d)을 포함한다.
컴포넌트모듈(122a)은 관리단말(110)로부터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를 수행 시, 상기 세부프로세스의 작업수행에 해당하는 각각의 컴포넌트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컴포넌트는 날짜, 주제, 활동, 업로드여부, 참조링크 등의 정보를 말한다.
작업모듈(122b)은 상기 관리단말(110)로부터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를 상기 컴포넌트모듈(122a)에 표시된 각각의 컴포넌트별로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채팅모듈(122c)은 상기 작업모듈(122b)이 수행한 세부프로세스의 작업수행결과에 대하여 상기 관리단말(110)과 의견을 교환한다.
일정확인모듈(122d)은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이러한 특징을 갖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 시스템은 하나의 관리단말과, 복수 개의 작업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수행결과를 주고 받는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하나의 관리단말(110)이 존재하고, 협업프로젝트의 세부프로세스를 직접 수행하는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이 상기 관리단말(110)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네트워크는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미투데이(me2day), 마이스페이스(myspace)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뿐만 아니라, 사내 통신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칭한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상기 작업단말(120)이 상기 단말을 관심단말(130)로 지정한다.
즉, 상기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있는 복수 개의 작업단말과 함께 동일한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하지는 않으나, 상기 작업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심이 있는 단말로 판단하고, 이러한 단말을 관심단말(130)로 지정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작업단말(120)은 앞서 지정한 관심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있는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만약 상기 관심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서도 관심단말로 지정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단말(120)은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에서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가 외부로 노출된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후, 정렬된 횟수 중 가장 높은 횟수를 갖는 상위 n개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한 단말을 관심단말(130)로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n개의 관심단말이 선택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한 개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이처럼, 동일한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하지는 않으나,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관심단말(130) 내 저장된 정보를 상기 작업단말(120)이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120)이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받은 상기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관심단말(130)에 저장된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작업단말(120)로 전송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120)은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별도의 검색과정 없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협업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협업 프로젝트를 수행하기에 앞서, 먼저 관리단말(110)과, 작업단말(120) 및 관심단말(130)간 협업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상기 관리단말(110)이 수행하고자 하는 하나의 협업프로젝트를 소주제, 작업완료예상소요시간, 중요도순위 등의 세분기준에 따라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로 분할하고, 분할한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를 각각의 작업단말(120)에 할당한다.
이와 같이, 상기 관리단말(110)로부터 상기 세부프로세스를 할당받은 작업단말(120)이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단말 중에서,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을 검색한 후, 검색된 단말을 관심단말(130)로 지정(S210)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즉, 상기 작업단말(120)과 함께 동일한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하지는 않으나, 상기 작업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심이 있는 단말로 판단하고, 이러한 단말을 관심단말(130)로 지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단말(120)은 앞서 지정한 관심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있는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만약 상기 관심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서도 관심단말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작업단말(120)은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에서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가 외부로 노출된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후, 정렬된 횟수 중 가장 높은 횟수를 갖는 상위 n개의 단말을 선택하여, 선택한 단말을 관심단말로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상위 n개의 단말의 선택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한 개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형성과정은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전, 한 번만 수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또한 업데이트 발생 시마다 네트워크를 재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작업하고자 하는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심단말(130)을 지정한 상기 작업단말(120)은 지정한 관심단말에 저장된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관심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한다(S220).
예를 들어, 상기 협업프로젝트를 학교 강의 내 조별 프로젝트라고 정의한 경우, 교수(또는 조교)가 '주차보조 시스템 조사'라는 협업 프로젝트에 대하여 상기 교수에 의해 구동되는 관리단말(110)이 상기 협업프로젝트를 주요 알고리즘 검색, 국내외 기술동향검색, 기술의 실제적용 예, 사용자 의견검색 등의 소주제에 따른 4개의 세부프로세스로 분할한다. 이후, 상기 관리단말(110)은 분할한 4개의 세부프로세스를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4개의 작업단말(작업단말 A, B, C, D)을 선정하여, 상기 4개의 작업단말(작업단말 A, B, C, D)로 분할한 4개의 세부프로세스(주요 알고리즘 검색, 국내외 기술동향검색, 기술의 실제적용 예, 사용자 의견검색)를 각각 할당한다.
이에 따라, 작업단말 A는 주차보조시스템의 주요 알고리즘에 대하여 조사하고, 작업단말 B는 주차보조시스템의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조사하며, 작업단말 C는 주차보조 시스템이 실제 자동차의 적용되어 사용되는 예에 대하여 조사하고, 작업단말 D는 주차보조시스템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의 의견을 조사한다.
이때, 각 작업단말(120)은 앞서 210과정에서 지정한 관심단말(130)에 저장된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관련된 정보 중 자신이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단말(120)은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직접적인 관여를 하지 않는 단말일지라도 평소에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관심이 있어, 관련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단말에 대하여 관심단말로 지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120)이 상기 관심단말(130) 내 저장된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세부프로세스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업모듈(120)은 내부에 포함된 프로젝트작업모듈(122)을 통해,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에 대하여 각 컴포넌트별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세부프로세스를 할당해준 상기 관리모듈(110)과 채팅을 통해 작업수행결과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현재 작업속도에 따른 작업완료예상일정 등을 확인한다.
이처럼,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업무를 수행한 각각의 작업단말(120)은 작업수행결과 및 작업진행현황, 작업완료예정일 등의 정보를 관리단말(110)의 프로젝트관리모듈(112)로 업로드한다(S230).
이에 따라, 상기 관리단말(110)은 협업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해 분할한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수행결과를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로부터 모두 수신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단말(110)은 상기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수행결과를 별도의 저장서버(미도시)에 저장하여, 상기 저장서버에 저장된 상기 작업수행결과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관리단말(110)은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로부터 각자 수행한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를 분할한 세부프로세스의 순서와 상관없이 업로드 순서대로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단말(110)은 업로드된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를 업무순서에 맞도록 재배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관리단말(110)은 상기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로부터 각각 수신한 상기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를 프로젝트관리모듈(112)의 순서배열모듈(112e)을 통해 아이콘형태로 표시된 해당 작업수행결과를 드래그한 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드롭하여 재배열한다(S240).
이에 더하여, 상기 관심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에는 업데이트된 정보를 해당 작업단말(120)로 전송하여(S250), 상기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작업단말(120)이 해당 세부프로세스의 최신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관리단말의 출력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단말(110)의 출력화면(1)은 크게 선택영역(12)과 작업영역(14)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관리단말이 상기 선택영역(14)을 통해 작업하고자 하는 세부프로세스 표시부분(12a, 12b, 12c, 12d, …)을 드래그(drag)하여, 상기 작업영역(14)에 드롭(drop)시킴으로써, 선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영역(14)은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 및 간략한 작업기록 등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며, 채팅/팔레트영역(14a), 에디터영역(14b) 및 위버영역(14c)으로 구성된다.
상기 채틸/팔레트영역(14a)은 다시 선택한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단말과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채팅영역(14a1)과, 실질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팔레트영역(14a2)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에디터영역(14b)은 상기 세부프로세스의 작업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작업결과물(이하, 셀이라 한다.)을 상기 팔레트영역(14a2)에 저장한다.
상기 위버영역(14c)은 상기 팔레트영역(14a2)에 저장된 셀을 드래그 및 드롭과정을 통해 선택하여 가져옴에 따라 상기 셀의 순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버영역(14c)은 그 크기가 가변될 수 있으며, 최대화 상태에서는 현재 위버영역(14c)상에 표시된 셀(14c1, 14c2, 14c3, 14c4)을 퍼블리시(publish) 기능을 통해 온라인 상에 전자책(e-book) 형태로 출판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은 작업영역 중 채팅/팔레트영역 및 에디터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영역과 에디터영역이 모두 활성화되어,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영역(14a2)에 표시된 세부프로세스의 적어도 한 항목(1)이 선택되면, 상기 팔레트영역(14a2)의 옆에 배치된 에디터영역(14b)의 편집탭(14b2)이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에디터영역(14b)의 편집탭(14b2)의 하부에 배치되는 내용편집영역(14b3)에서 선택된 세부프로세스의 항목이 편집된다.
이후, 상기 세부프로세스의 선택된 항목(1)에 대한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내용편집영역(14b3)의 하부에 배치되는 첨부/저장탭(14b4)이 선택되어, 상기 세부프로세스의 항목(1)에 대한 편집된 내용을 저장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첨부/저장탭(14b4)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프로세스의 항목(1)에 대한 내용편집과정에서 사용되는 링크참조 또는 추가 파일이 첨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에디터영역(14b)의 왼쪽 상단에 배치된 생성탭(14b1)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면, 상기 내용편집영역(14b3)이 활성화되어, 앞서 팔레트영역(14a)에서 선택된 세부프로세스의 선택된 항목(1)에 대한 새로운 작업을 통해 문서작성, 링크참조 또는 파일 첨부를 수행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작업영역 중 위버영역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작업영역 중 위버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영역 중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을 통해 표시된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항목을 선택한 후 드래그하여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 및 에디터영역(14b)의 하부에 배치된 위버영역(14c) 중 원하는 위치에 드롭시킴으로써, 선택한 항목이 위버로서 등록된다. 이때, 상기 위버영역(14c)은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과 상호 연동되어,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에서 표시된 항목과, 상기 위버영역(14c)상에서 표시되는 위버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한다.
하지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버영역(14c)의 순서 즉,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으로부터 드래그하여 등록된 위버의 순서가 기설정된 작업순서와 어긋나는 경우 또는 복수 개의 작업단말(120)로부터 각각 수행한 복수 개의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를 업로드 순서대로 수신함에 따라, 협업프로젝트의 전체 작업순서(14c1, 14c2, 14c3, 14c4)와 다른 세부프로세스 작업수행결과가 14c1, 14c3, 14c2, 14c4의 순서로 업로드되어, 아이콘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순서는 상기 관리단말로 하여금 협업프로젝트 전체 수행일정에 혼란을 가중시킴에 따라, 기설정된 작업순서에 맞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위버영역(14c)은 정상적인 작업수행결과의 순서에 해당하도록 재배열하고자 하는 세부프로세스의 항목 즉, 위버(14c3)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시킨 위버(14c3)를 기설정된 작업순서에 따른 위치로 드래그한 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한 상기 위버(14c3)를 기설정된 작업순서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드롭시킨다.
이에 따라,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작업순서에 해당하는 위치에 세부프로세스의 항목 즉, 위버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열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업무순서에 의해 결정되거나, 상기 관리단말(110)을 구동하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9는 위버영역을 챕터별로 나누어 표시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버영역은 상단에 챕터가 표시되어, 각각의 챕터별로 해당하는 위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버영역(14c)이 현재 챕터 1에 해당하는 위버가 표시되는 중에, 상단의 챕터 4가 선택되어 활성화되면, 상기 챕터 4에 해당하는 위버가 표시되어, 표시내용이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위버영역(14c)이 상기 챕터 4에 해당하여 표시된 위버 중 어느 한 위버를 선택(예를 들면, 더블클릭)하는 경우, 팝업이 발생되고, 선택된 위버의 정보가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버영역(14c)의 우측상단에 형성된 생성탭(14ca)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면, 새로운 챕터가 생성되고, 이에 따라 앞서 생성된 챕터의 번호와 연속하는 번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버영역(14c)이 챕터 5까지 생성되어 표시되는 상황에서 상기 생성탭(14ca)을 통해 상기 챕터 5에 이어지는 챕터6이 새롭게 생성되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퍼블리시 기능 및 최소/최대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버영역(14c)은 우측상단에 앞서 도 9을 통해 설명한 생성탭(14ca)외에도 최대화탭(14cb), 최소화탭(14cd) 및 퍼블리시탭(14c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버영역(14c)은 상기 최대화탭(14cb)이 선택되면, 자신의 크기를 전체화면이 되도록 최대화시킨다. 이와 반대로, 상기 최소화탭(14cd)이 선택되면, 자신의 크기를 채팅/팔레트영역(14a) 및 에디터영역(14b)의 하단에 배치되도록 감소시킨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위버영역(14c)은 상기 퍼블리시탭(14cc)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하고 있는 위버를 작업순서대로 퍼블리시하여, 온라인스토어 상에 전자책(e-book)의 형태로 출판한다.
도 11은 관심단말로부터 수신한 작업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영역(14)은 앞서 설명한 채팅/팔레트영역(14a), 에디터영역(14b) 및 위버영역(14c) 외에도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의 상부에 배치되는 디그리변경영역(14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그리(degree)라 함은, 상기 관심단말로부터 세부프로세스를 할당받은 작업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따라 한 개부터 수십개의 디그리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디그리변경영역(14d)은 상기 관심단말로부터 작업결과를 수신하여 작업영역에서 편집 및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그리변경영역(14d)에 표시된 6단계의 디그리 중에서 4번 디그리가 선택되면,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이 상기 4번 디그리에 속하는 관심단말로부터 수신한 작업수행결과를 항목별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디터영역(14b)이 선택된 항목에 대한 각종 편집등의 작업을 수행한 후, 위버영역(14c)이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으로부터 상기 항목을 드래그한 후 드롭됨으로써, 선택된 항목에 대한 세부 작업결과를 표시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에서 표시된 항목 중 다른 항목을 선택하여 현재 작업 중인 상기 위버영역(14c)에 드래그를 통해 끌어다 놓는 경우, 상기 위버영역(14c)은 선택된 다른 항목의 내용이 포함되어 표시됨으로써, 상기 다른 항목을 인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위버영역(14c)이 인용을 위해 다른 항목을 선택한 후 드래그한 경우, 인용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을 발생시켜 사용자로부터 다른 항목에 대한 인용여부를 선택받는다.
도 12는 그룹네트워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단말의 출력화면(10)은 상술한 선택영역(12), 작업영역(채팅/팔레트영역(14a), 에디터영역(14b)), 구성원영역(16) 및 그룹네트워킹영역(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선택영역(12), 작업영역(14a, 14b), 구성원영역(16) 및 그룹네트워크영역(18) 중 상술한 내용과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이 상기 관심단말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단말 중 세부프로세스에 대하여 검색한 적이 있거나,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수행을 한 적이 있거나, 상기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검색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채팅/팔레트영역(14a) 상에 표시된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드래그한 후 상기 그룹네트워킹영역(18) 상에 드롭시킴으로써, 상기 그룹네트워크영역(18)이 드롭된 단말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초대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초대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이 상기 초대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관심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새로운 네트워크가 생성된다.
또한 구성원영역(16)은 현재 상기 관리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있는 다수의 단말을 나타낸다.
도 13은 작업영역 중 채팅/팔레트영역의 변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영역(14a)의 왼쪽 상단에 생성된 채팅탭이 선택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영역(14a)의 배경색이 변경되면서 상기 팔레트영역(14a)이 채팅영역(14a)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경된 채팅영역(14a)을 통해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단말과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단말은 다른 출력화면의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관리단말의 다른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단말의 출력화면은 코스정보영역(22), 채팅/팔레트영역(24), 실라버스영역(26) 및 관련정보영역(28)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출력화면 중 상이한 기능을 갖는 실라버스영역(26) 및 관련정보영역(28)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라버스영역(26)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편집탭(29)이 선택되면, 상기 실라버스영역(26)이 최대화되어, 상기 관리단말의 출력화면이 실라버스 편집모드로 변경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아 같이, 실라버스 편집모드로 변경된 관리단말의 출력화면은 코스정보영역(22) 및 관련정보영역(28)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채팅/팔레트영역이 없어지고, 실라버스영역(26)이 없어진 채팅/팔레트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로 확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라버스영역(26)은 컴포넌트영역(26a), 편집영역(26b) 및 실라버스세부영역(26c)으로 이루어진다.
컴포넌트영역(26a)은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날짜, 주제, 리딩, 활동, 할당, 시험, 업로드, 링크, 참조 등의 세부항목을 표시하며, 해당하는 세부항목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편집영역(26b)이 선택된 세부항목에 대한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컴포넌트영역(26a) 중 업로드가 선택되면, 편집영역(26b)에서 파일업로드대화상자(26b1)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파일업로드대화상자(26b1)가 업로드하고자 하는 파일검색 및 확인 또는 취소 등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컴포넌트영역(26a) 중 링크가 선택되면, 편집영역(26b)에서 링크업로드대화상자(26b2)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링크업로드대화상자(26b2)가 업로드하고자 하는 링크에 대한 확인 또는 취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라버스세부영역(26c)은 코스정의에 따른 각 작업주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라버스세부영역(26c)에서 선택된 각 작업주간동안 작업한 작업결과를 상기 편집영역(26b)이 표시한다.
도 15는 컴포넌트영역 및 편집영역간 작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영역에서 표시된 항목 중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항목의 탭이 드래그되어 편집영역에 드롭된다. 이처럼, 특정 항목의 탭이 선택되어, 편집영역상에 드롭되면, 상기 탭이 드롭된 위치 옆에 별도의 팝업이 발생되고, 발생된 팝업 상에 별도의 텍스트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포넌트영역(26a) 중 '주제'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제'의 탭이 드래그되어 편집영역(26b) 상에 드롭된다. 이후, 상기 '주제'라는 탭이 드롭된 위치의 옆에 별도의 팝업이 발생하고, 발생된 팝업 상에 선택한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영역(26a)의 내부에 포함하는 구성항목은 실라버스영역(26)에 의해 조금씩 상이할 수 있다.
도 16은 컴포넌트영역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영역은 상기 실라버스영역에 따라, 크게 주간 컴포넌트영역, 코스정의영역, 정책 및 가치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주간 컴포넌트영역은 앞서 도 14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코스정의 컴포넌트영역은 코스콘텐츠, 코스목적, 클래스활동, 실행계획, 업로드, 링크 등의 항목구성을 갖는다.
또한, 정책 및 가치 컴포넌트영역은 포괄성, 진실성, 책임성, 목표기대, 업로드, 링크 등의 항목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다수의 세부프로세스로 분할한 후 복수 개의 작업단말로 이를 할당하면, 상기 복수 개의 작업단말이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를 각각 수행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트의 수행에 따른 전체 소요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은 협업프로젝트를 할당받은 작업단말이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심단말에 저장된 상기 협업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받은 협업 프로젝트의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함에 따라, 상기 협업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보다 정확한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은 하나의 관리단말이 하나의 협업프로젝트의 세부프로세스를 수행한 작업단말로부터 작업수행결과를 수신한 후, 이를 업무순서 또는 시계열순서로 재배열함으로써, 상기 관리단말로 하여금 전체적인 업무현황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관리단말 120: 작업단말
130: 관심단말

Claims (14)

  1. 하나의 관리단말과, 복수 개의 작업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협업프로젝트를 할당받은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관리단말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작업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업단말이 수행하는 상기 협업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단말은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상기 협업 프로젝트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생성된 세부프로세스를 할당받고,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을 관심단말로 지정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되,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노출한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한 단말을 관심단말로 지정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단말은
    상기 관심단말에 저장된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관심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단말은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할당받은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젝트작업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작업모듈은
    상기 세부프로세스에 대한 작업수행결과, 작업진행현황, 작업완료예정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수행결과를 입력받는 프로젝트관리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관리모듈은
    상기 작업수행결과를 업무진행순으로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9. 하나의 관리단말과, 복수 개의 작업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관심단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협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상기 협업프로젝트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생성된 세부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프로세스를 할당받는 세부프로세스할당단계;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세부프로세스를 할당받은 작업단말이 자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관심단말로 지정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형성단계;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협업프로젝트를 할당받은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관심단말에 저장된 협업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수행단계;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수행결과를 상기 관리단말의 프로젝트관리모듈로 업로드하는 업로드단계;
    상기 관리단말이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수행결과를 업무진행순으로 재배열하는 업무순서재배열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형성단계는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중 상기 세부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노출한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한 단말을 관심단말로 지정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단계는
    상기 작업단말이 할당받은 협업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수행결과, 작업진행현황, 작업완료예정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관리단말의 프로젝트관리모듈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순서재배열단계 수행 후,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관심단말로부터 상기 협업프로젝트와 관련되어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는 업데이트정보수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프로젝트 수행방법.
  14. 제9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10141137A 2011-12-23 2011-12-23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356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137A KR101356191B1 (ko) 2011-12-23 2011-12-23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137A KR101356191B1 (ko) 2011-12-23 2011-12-23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341A KR20130073341A (ko) 2013-07-03
KR101356191B1 true KR101356191B1 (ko) 2014-01-27

Family

ID=4898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137A KR101356191B1 (ko) 2011-12-23 2011-12-23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82B1 (ko) * 2014-06-26 2017-03-23 주식회사 코센 문서수발기능을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US10860958B2 (en) 2015-04-24 2020-12-08 Delta Pds Co., Ltd Apparatus for processing work object and method performing the same
KR101945181B1 (ko) * 2015-06-04 2019-04-17 주식회사 모티링크 Sns 플랫폼 기반의 업무 관리 시스템
KR102103750B1 (ko) * 2017-01-13 2020-04-24 최재호 업무 객체 기반의 업무활동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903476B1 (ko) * 2017-06-07 2018-10-02 (주)오투팜 협업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프로그램
KR20200046656A (ko) 2018-10-25 2020-05-07 손철수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2453579B1 (ko) * 2022-07-07 2022-10-14 주식회사 바람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560A (ko) * 2006-12-21 2008-09-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09655A (ko) * 2009-04-01 2010-10-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협업프로젝트 관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560A (ko) * 2006-12-21 2008-09-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온라인 설계 협업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09655A (ko) * 2009-04-01 2010-10-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협업프로젝트 관리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341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91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
Hao et al. Virtual factory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Integrated sustainable manufacturing
Agrawal et al. A collaborative ant colony algorithm to stochastic mixed-model U-shaped disassembly line balancing and sequencing problem
Foumani et al. A cross-entropy method for optimising robotic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Bensmaine et al. A new heuristic for integrated process planning and scheduling in reconfigurable manufacturing systems
Demir et al. An effective genetic algorithm for flexible job-shop scheduling with overlapping in operations
US20180053127A1 (en) Project and resource planning methods and systems
Ali et al. The effect of routing flexibility on a flexible system of integrated manufacturing
Campos Ciro et al. Open shop scheduling problem with a multi-skills resource constraint: a genetic algorithm and an ant colony optimisation approach
Kouider et al. Multi-agent job shop scheduling system based on co-operative approach of idle time minimisation
Süer et al. Multi-period operator assignment considering skills, learning and forgetting in labour-intensive cells
Manupati et al. Optimal process plan selection in networked based manufacturing using game-theoretic approach
EP1897007A2 (en) Engineering method and tools for capability-based families of systems planning
KR20180081021A (ko) 할일-평가 아이템 기반의 업무전략의 수행을 지원하는 업무전략맵 관리 방법 및 장치
Zandieh Scheduling of virtual cellular manufacturing systems: a biogeography-based optimization algorithm
Frederix An extended enterprise planning methodology for the discrete manufacturing industry
Dusadeerungsikul et al. Multi-agent system optimisation in factories of the future: cyber collaborative warehouse study
Zangiacomi et al. Process planning and scheduling for mass customised shoe manufacturing
Srinoi et al. A fuzzy logic modelling of dynamic scheduling in FMS
KR102121870B1 (ko) 할일-평가 아이템 기반의 업무전략의 수행을 지원하는 업무전략맵 관리 방법 및 장치
Harned Hands-On Agile Software Development with JIRA: Design and manage software projects using the Agile methodology
Jaramillo et al. The generalised machine layout problem
FERREIRA de Sousa
Caricato et al. An online approach to dynamic rescheduling for production planning applications
Kesen et al. How important is the batch splitting activity in scheduling of virtual manufacturing cells (VM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