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430B1 -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430B1
KR102516430B1 KR1020180161590A KR20180161590A KR102516430B1 KR 102516430 B1 KR102516430 B1 KR 102516430B1 KR 1020180161590 A KR1020180161590 A KR 1020180161590A KR 20180161590 A KR20180161590 A KR 20180161590A KR 102516430 B1 KR102516430 B1 KR 102516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lightweight model
lightweight
mesh data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441A (ko
Inventor
황인혁
박인하
이병학
이정훈
정진기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4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7Database tu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은, 입력된 대용량 CAD 모델을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인덱스로 하는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경량 모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 상기 경량 모델을 저장하는 경량 모델 DB; 및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경량 모델 DB에서 상기 경량 모델을 상기 어셈블리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기반 방식으로 조회하여 가시화하는 경량 모델 뷰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Database-based lightweight model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혹은 해양구조물과 같이 수백만 이상의 요소로 만들어지는 구조물의 경우 그 설계 데이터(설계 모델)가 매우 방대하고 대용량으로 작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대용량 설계 데이터에 대해 전체 정보를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불러와서 사용하는 것은 데이터 처리 속도 측면에서 무리가 있다.
따라서, 대용량 설계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 설계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거나 설계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 중 설계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경량 설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데, 파일 기반의 경량 모델(예컨대, JT)을 이용한 가시화 방법은 성능 및 보안 측면에서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CAD와 같은 설계 모델은 경량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그 모델이 큰 경우(예컨대, 全船 모델) 로딩 속도와 메모리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된다. 파일 방식의 설계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리기 과정에서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며, 지속적인 파일 입출력(I/O) 발생으로 인해 속도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2424호 (경량모델 기반의 해석모델 최적화방법)
본 발명은 대용량 모델을 파일 기반이 아닌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경량 모델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뷰어에서는 시각화 시점에서 필요한 데이터만을 찾아 활용하고 활용 완료 시에는 이를 제거함으로써, 화면의 확대/축소 등의 변화에 대해서도 매번 일정한 양의 메쉬 데이터가 가시화되도록 유지되게 구현됨으로써 사용자 체감 성능 및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된 대용량 CAD 모델을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인덱스로 하는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경량 모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 상기 경량 모델을 저장하는 경량 모델 DB; 및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경량 모델 DB에서 상기 경량 모델을 상기 어셈블리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기반 방식으로 조회하여 가시화하는 경량 모델 뷰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는, 상기 대용량 CAD 모델을 입력받는 대용량 모델 입력부와; 상기 대용량 CAD 모델을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각 파트들에 대한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상기 각 파트들의 형상에 대한 모델 형상 정보로 구분하고, 상기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인덱스로 하여 상기 모델 형상 정보를 연결시킨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상기 경량 모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경량 모델을 상기 경량 모델 DB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각 파트들에 대한 바운딩 박스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공간 서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경량 모델 뷰어는,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는 입력 분석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이 경량 모델 선택 명령인 경우 상기 경량 모델 DB에서 상기 경량 모델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경량 모델에 대해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조회하고, 형상 정보를 가지는 상기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에 상응하면서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는 DB 조회부와; 상기 DB 조회부에서 조회된 상기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로드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로드된 상기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모델 가시화하는 가시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이 모델 확대 명령인 경우, 상기 입력 분석부는 상기 모델 확대 명령에 상응하여 확대가 요구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파트를 확인하고, 상기 DB 조회부는 상기 입력 분석부에서 확인한 파트에 대해 이전보다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이전 단계 LOD의 메쉬 데이터는 제거하고 새롭게 조회된 상기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로드하고, 상기 가시화부는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로드된 상기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모델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가시화부는 상기 경량 모델에 대해 함께 저장된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와이어 프레임의 가시화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경량 모델 뷰어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경량 모델 선택 명령인 경우 상기 경량 모델 DB에서 상기 경량 모델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경량 모델에 대해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형상 정보를 가지는 상기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에 상응하면서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상기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로드하는 단계; 상기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모델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이 모델 확대 명령인 경우, 상기 모델 확대 명령에 상응하여 확대가 요구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파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파트에 대해 이전보다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 이전 단계 LOD의 메쉬 데이터는 제거하고 새롭게 조회된 상기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로드하는 단계; 로드된 상기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모델 가시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용량 모델을 파일 기반이 아닌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경량 모델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뷰어에서는 시각화 시점에서 필요한 데이터만을 찾아 활용하고 활용 완료 시에는 이를 제거함으로써, 화면의 확대/축소 등의 변화에 대해서도 매번 일정한 양의 메쉬 데이터가 가시화되도록 유지되게 구현됨으로써 사용자 체감 성능 및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 모델 DB에 저장되는 경량 모델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량 모델 DB에 저장되는 경량 모델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100)은 대용량 CAD 데이터(대용량 모델)가 입력되면 인덱스(연결 정보)가 되는 어셈블리 데이터와 형상 데이터로 분리한 경량 모델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뷰어를 통해 가시화하고자 하는 경량 모델이 선택되면 가시화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조회하여 연결 정보와 함께 전달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형상 데이터가 가시화되도록 유지하여 사용자가 항상 비슷한 성능과 품질의 모델을 활용하고 있다고 느끼도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량 모델은 데이터량이 작아 인터넷 상에서 전달이 용이하다. 따라서, 유지보수 작업자 혹은 검사자가 PDA 혹은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로 설계 정보를 가시화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고가의 CAD 패키지가 없어도 설계 결과를 가시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100)은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110), 경량 모델 DB(120), 경량 모델 뷰어(130)를 포함한다.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110)는 대용량 모델(CAD 모델)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포맷의 데이터를 가지는 경량 모델로 변환한 후 경량 모델 DB(120)에 저장한다.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110)는 대용량 모델 입력부(112), 변환부(114), 저장부(116)를 포함한다.
대용량 모델 입력부(112)는 대용량에서 경량으로 변환하여 경량 모델 DB(120)에 저장하고자 하는 CAD 모델을 입력받는다. 대용량 CAD 모델은 선박, 해양구조물과 같은 다수의 요소(부품)를 가지는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일 수 있다.
변환부(114)는 대용량 모델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된 대용량 모델을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분리하고, 새로운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경량 모델로 변환한다.
대용량 모델은 전술한 것과 같이 CAD 모델일 수 있다. 해당 모델은 다수의 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용량 모델은 각 파트의 조합 관계를 나타내는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각 파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모델 형상 정보로 분리될 수 있다.
모델 형상 정보는 메쉬 데이터(Mesh data)와 메쉬 이외의 기타 형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어셈블리 구조 정보는 다수의 메쉬 데이터로 이루어진 모델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모델을 가시화하기 위한 각각의 파트의 형상 정보에 대한 상하위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CAD 모델에는 재질, 공차, 제조 기법 등의 비형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량 모델의 데이터 포맷에는 이러한 비형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어셈블리 구조 정보가 인덱스로서 기능하여, 이러한 비형상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연결 데이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변환부(114)는 대용량 모델을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모델 형상 정보로 분리하고,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해당 모델에 속하는 모델 형상 정보들의 데이터 연결을 위한 인덱스(index)로서 설정한다.
변환부(114)에서 변환된 경량 모델은 저장부(116)에 의해 경량 모델 DB(120)에 저장된다.
저장부(116)는 바운딩 박스 정보 및/또는 에지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바운딩 박스 정보는 변환된 경량 모델에 속하는 각 파트에 대한 모델 형상 정보가 차지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직육면체 구조의 바운딩 박스의 형태, 크기, 좌표 등의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정보는 각 파트에 대한 모델 형상 정보가 경계 표현(boundary representation) 및/또는 와이어 프레임(wireframe)으로 구분될 때 모서리(에지)에 관한 길이, 좌표 등의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경량 모델 DB(120)는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110)에서 변환된 경량 모델을 저장한다.
경량 모델은 도 2에 도시되고 전술한 것과 같이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모델 형상 정보(메쉬 데이터 및 메쉬 이외 기타 형상 데이터)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PMI(Product Manufacturing Information) 정보(일정 데이터, 생산 데이터, 기타 데이터 등)와 같은 비형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셈블리 구조 정보는 해당 경량 모델을 구성하는 각 파트들에 대한 조합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나머지 정보들의 연결을 위한 인덱스, 즉 연결 데이터로서 기능한다.
경량 모델 뷰어(130)는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가시화하고자 하는 경량 모델을 경량 모델 DB(120)에서 찾아 가시화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경량 모델 뷰어(130)는 경량 모델 DB(120)에 대해 경량 모델에 대응되는 다수의 데이터 중에서 현재 시각화에 요구되는 데이터만을 조회하여 연결 데이터와 함께 전달받게 된다.
경량 모델 뷰어(130)는 입력 분석부(132), DB 조회부(134), 가시화부(136), 데이터 관리부(138)를 포함한다.
입력 분석부(132)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한다. 사용자 입력으로는 경량 모델 DB(120)에 저장된 다수의 경량 모델 중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 화면의 확대 및/또는 축소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 분석부(132)에서의 사용자 입력 분석 결과 임의의 경량 모델에 대한 호선 전체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단계 S200), DB 조회부(134)는 경량 모델 DB(120)에서 해당 경량 모델을 조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 모델이 선박인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 조회된 경량 모델에 대해서는 호선 전체에 대한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 형상 정보를 가지는 어셈블리 구조까지의 정보(예컨대,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205).
최상위 어셈블리는 호선을 의미하는 루트 노드(Root Node)이다. 최상위 어셈블리는 따로 형상에 대한 정보를 가지지 않고, 차상위 어셈블리에 연결된 모델의 조립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어셈블리 정보만을 가지는 노드(최상위 어셈블리)와 형상 정보를 함께 가지는 노드(블록에 대응되는 차상위 어셈블리)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조회한 어셈블리 구조를 인덱스로 하여 해당 어셈블리 구조와 연결된 가장 낮은 LOD(Level of Detail)를 갖는 메쉬 데이터도 함께 조회한다(단계 S210). 여기서, LOD는 모델 정보의 상세화 정도를 의미하며, 하나의 어셈블리 구조에는 여러 단계의 LOD에 해당하는 메쉬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단계의 LOD에 해당하는 메쉬 데이터로 인해 사용자의 동작(확대/축소 등)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오고 버리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함께 조회한 경우,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는 어셈블리 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바, 형상 정보를 가지는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의 메쉬 데이터 하나만이 조회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138)는 DB 조회부(134)에서 조회된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로드한다.
가시화부(136)는 데이터 관리부(138)에 의해 로드된 최저 LOD 메쉬 데이터(최상위 어셈블리 구조에 연결된 메쉬 데이터)로 모델 가시화를 수행한다(단계 S215). 즉, 호선 전체에 대한 가장 낮은 품질의 메쉬 데이터가 모델 가시화 대상이 된다.
이후 입력 분석부(132)에서의 사용자 입력 분석 결과 현재 가시화된 경량 모델에 대한 모델 확대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단계 S2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 분석부(132)는 모델 확대 명령에 상응하여 확대가 요구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파트를 확인한다(단계 S225).
그리고 DB 조회부(134)는 입력 분석부(132)에서 확인한 파트에 대해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조회한다(단계 S230). 예를 들어, 이전에 가시화되고 있던 메쉬 데이터의 LOD가 1단계라면 2단계 LOD를 가지는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어셈블리 구조 정보가 인덱스로서 기능하여, 이전 단계 LOD 메쉬 데이터와 연결되는 다음 단계 LOD 메쉬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데이터 관리부(138)는 모델 확대 이전에 모델 가시화 대상이었던 이전 단계 LOD의 메쉬 데이터를 메모리(미도시)에서 제거한다(단계 S235). 그리고 DB 조회부(134)에 의해 새롭게 조회된 보다 높은 단계의 LOD를 가지는 메쉬 데이터를 로드한다.
가시화부(136)는 데이터 관리부(138)에 의해 로드된 한 단계 높은 LOD 메쉬 데이터로 모델 가시화를 수행한다. 가시화부(136)는 경량 모델에 대해 함께 저장된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와이어 프레임의 가시화 속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DB 조회부(134)는 경량 모델 DB(120)에 함께 저장되어 있는 바운딩 박스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서치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즉, 일정 영역(즉, 확대 대상 영역)에 속하는 파트만 조회하여 데이터 관리부(138)에 의해 로딩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110: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 112: 대용량 모델 입력부
114: 변환부 116: 저장부
120: 경량 모델 DB
130: 경량 모델 뷰어 132: 입력 분석부
134: DB 조회부 136: 가시화부
138: 데이터 관리부

Claims (7)

  1. 입력된 대용량 CAD 모델을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인덱스로 하는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경량 모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
    상기 경량 모델을 저장하는 경량 모델 DB; 및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경량 모델 DB에서 상기 경량 모델을 상기 어셈블리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기반 방식으로 조회하여 가시화하는 경량 모델 뷰어를 포함하되,
    상기 경량 모델 DB 관리 장치는,
    상기 대용량 CAD 모델을 입력받는 대용량 모델 입력부와;
    상기 대용량 CAD 모델을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각 파트들에 대한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상기 각 파트들의 형상에 대한 모델 형상 정보로 구분하고, 상기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인덱스로 하여 상기 모델 형상 정보를 연결시킨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상기 경량 모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경량 모델을 상기 경량 모델 DB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량 모델 뷰어는,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는 입력 분석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이 경량 모델 선택 명령인 경우 상기 경량 모델 DB에서 상기 경량 모델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경량 모델에 대해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조회하고, 형상 정보를 가지는 상기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에 상응하면서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는 DB 조회부와;
    상기 DB 조회부에서 조회된 상기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로드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로드된 상기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모델 가시화하는 가시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는 어셈블리 정보만을 가지고 있어, 상기 DB 조회부는 상기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로부터 상기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모델 확대 명령인 경우,
    상기 입력 분석부는 상기 모델 확대 명령에 상응하여 확대가 요구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파트를 확인하고,
    상기 DB 조회부는 상기 입력 분석부에서 확인한 파트에 대해 이전보다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이전 단계 LOD의 메쉬 데이터는 제거하고 새롭게 조회된 상기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로드하고,
    상기 가시화부는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로드된 상기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모델 가시화하며,
    상기 DB 조회부는 상기 경량 모델 DB에 함께 저장되어 있는 바운딩 박스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서치가 이루어지게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경량 모델 뷰어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경량 모델 선택 명령인 경우 경량 모델 DB에서 상기 경량 모델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경량 모델에 대해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와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형상 정보를 가지는 상기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에 상응하면서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상기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로드하는 단계;
    상기 가장 낮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모델 가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최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는 어셈블리 정보만을 가지고 있어, 상기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상위 어셈블리 구조 정보로부터 상기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모델 확대 명령인 경우,
    상기 모델 확대 명령에 상응하여 확대가 요구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파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파트에 대해 이전보다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
    이전 단계 LOD의 메쉬 데이터는 제거하고 새롭게 조회된 상기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로드하는 단계;
    로드된 상기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를 모델 가시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단계 높은 LOD의 메쉬 데이터 조회 단계에서는 상기 경량 모델 DB에 함께 저장되어 있는 바운딩 박스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서치가 이루어지게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방법.
  7. 삭제
KR1020180161590A 2018-12-14 2018-12-14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516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90A KR102516430B1 (ko) 2018-12-14 2018-12-14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90A KR102516430B1 (ko) 2018-12-14 2018-12-14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41A KR20200073441A (ko) 2020-06-24
KR102516430B1 true KR102516430B1 (ko) 2023-03-30

Family

ID=7140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90A KR102516430B1 (ko) 2018-12-14 2018-12-14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5257A (zh) * 2020-10-10 2021-02-23 北京仿真中心 一种cad模型轻量化服务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483B1 (ko) *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Lod데이터를 구성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629B1 (ko) * 2012-11-07 2015-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KR20160032281A (ko) * 2014-08-29 2016-03-2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용량 설계 데이터의 경량화 방법
KR102279061B1 (ko) 2015-04-14 2021-07-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경량모델 기반의 해석모델 최적화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483B1 (ko) *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Lod데이터를 구성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41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843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ottom-up aggregation in a multidimensional database environment
CN105183735B (zh) 数据的查询方法及查询装置
US20130222388A1 (en) Method of graph processing
CN109815283B (zh) 一种异构数据源可视化查询方法
US9753960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subset of a graph for display, based on search criteria
US10904316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ystem, and the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ystem
KR101355273B1 (ko) 컴퓨팅 시스템 및 그 실행 제어 방법과, 그 실행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9705986B2 (en) Elastic scalability of a content transformation cluster
CN111324577B (zh) 一种Yml文件读写的方法及装置
US20190079982A1 (en) Content transformations using a transformation node cluster
CN113312392A (zh) 轻量级的规则引擎处理方法及装置
KR102516430B1 (ko) 데이터베이스 기반 경량 모델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7702A (ko) 영상 콘텐츠의 스토리 그래프 및 사용자 구조 질의를 이용한 콘텐츠 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140368511A1 (en) Interactive visualization for highlighting change in top and relative ranking
CN101388018A (zh) 电脑辅助设计文件的管理方法
US10387024B2 (en) Interactive analysis of data based on progressive visualizations
CN111309704B (zh) 数据库操作方法和数据库操作系统
CN112800056A (zh) 基于多粒度时空数据的多层索引构建方法
CN109684329A (zh) 一种基于数据中心设备的资源管理方法
US20170132236A1 (en) Semi-structured spatial data conversion
CN114416738B (zh) 一种基于关系型数据库的数据聚合方法以及装置
CN106687999B (zh) 产生实现被设计为更新根据应用数据模型指定的对象的规则的指令集
US10074058B2 (en)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CN115480754A (zh) 一种数据获取方法、设备及介质
CN116304463A (zh) 一种前端开发中的网页文案管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