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683A -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683A
KR20140047683A KR1020147002451A KR20147002451A KR20140047683A KR 20140047683 A KR20140047683 A KR 20140047683A KR 1020147002451 A KR1020147002451 A KR 1020147002451A KR 20147002451 A KR20147002451 A KR 20147002451A KR 20140047683 A KR20140047683 A KR 20140047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resin composition
structural unit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804B1 (ko
Inventor
타카히로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하기 식(1), 식(2) 및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및 용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또는, 하기 식(1), 식(4) 및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및 용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S}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경화막, 마이크로 렌즈 및 평탄화막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CMOS 이미지 센서의 고정세화(高精細化)가 진행되어, 센서 감도의 향상이 요구되게 된 점에서, 탑재되는 마이크로 렌즈에 대해서는, 고투명성이나 고내열성이 요구된다.
CCD/CMOS 이미지 센서용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방법 중 하나로서, 에치백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즉, 컬러필터층 상에 형성한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 상에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열처리에 의해 이 레지스트 패턴을 리플로우하여 렌즈 패턴을 형성한다. 이 레지스트 패턴을 리플로우하여 형성한 렌즈 패턴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하층의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을 에치백하고, 렌즈 패턴형상을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에 전사함으로써 마이크로 렌즈를 제작한다.
에치백법에서는, 렌즈 패턴형상을 충실하게 하층의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에 전사하는데 있어서, 레지스트의 드라이 에칭레이트 X와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의 드라이 에칭레이트 Y가 동등(X:Y=1:0.8~1.2)할 것이 요구된다.
일본특허공개 H01-1066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H06-11245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우수한 투명성, 내열성, 내용제성, 평탄성 및 레지스트와 동등한 드라이 에칭레이트를 갖는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투명성,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갖는 마이크로 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식(1), 식(2) 및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또는 하기 식(1), 식(4) 및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및 용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페닐기 또는 할로게노기를 나타내고, a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며, R2는 단결합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나타내고, X는 -O-기 또는 -NH-기를 나타내고, R4는 단결합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는 치환기로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기로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는, 직쇄상, 분지상, 환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R6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10의 환상 탄화수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페네틸기를 나타내고, 혹은 상기 R6과 R7은 서로 결합하여 4 내지 7원환의 함산소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R8은 에폭시기, 또는 에폭시환을 갖는 탄소원자수 5 내지 10의 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 조성물 또는 평탄화막용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막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작되는 마이크로 렌즈이다. 해당 마이크로 렌즈는, 예를 들어 상술한 에치백법에 의해 제작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작되는 평탄화막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해당 조성물에 포함되는 공중합체가 자기 가교 타입이기 때문에 반드시 가교제가 첨가될 필요는 없으며, 열경화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식(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블록화되어 있으므로, 또한, 상기 식(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에 있어서 카르복실기가 블록화되어 있으므로, 보존안정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은, 우수한 투명성, 내열성, 내용제성, 평탄성 및 레지스트와 동등한 에칭레이트를 갖는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은, 그 형성 공정, 또는 배선 등의 주변장치의 형성 공정에서, 고온에서의 가열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마이크로 렌즈가 착색되고, 렌즈형상이 변형될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레지스트를 도포하는 경우, 및 마이크로 렌즈 또는 평탄화막을 형성 후에 전극/배선형성 공정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레지스트와의 믹싱, 유기용제에 의한 마이크로 렌즈 또는 평탄화막의 변형 및 박리 등의 문제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마이크로 렌즈 및 평탄화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호적하다.
도 1은, 단차기판 상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베이크하여 형성되는 경화막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공중합체와 용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외한 고형분은 통상, 1질량% 내지 50질량%이다.
<공중합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공중합체는, 상술한 식(1), 식(2) 및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또는 상술한 식(1), 식(4) 및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이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형성하는 화합물(모노머)의 구체예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tert-부틸스티렌, 4-메톡시스티렌, 4-시아노스티렌, 4-비닐안식향산, 4-비닐비페닐, 4-플루오로스티렌, 4-클로로스티렌, 4-브로모스티렌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1-1), 식(1-2), 식(1-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상기 식(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된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란, 이소시아네이트기(-NCO)가 열 탈리(熱脫離) 가능한 보호기에 의해 블록된 기를 의미하며, 즉,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블록제를 반응시킨 기이다.
블록제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에톡시헥산올, 2-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페놀, o-니트로페놀, p-클로로페놀, o-크레졸, m-크레졸, p-크레졸 등의 페놀류, ε-카프로락탐 등의 락탐류, 아세톤옥심, 메틸에틸케톤옥심, 메틸이소부틸케톤옥심, 시클로헥사논옥심, 아세토페논옥심, 벤조페논옥심 등의 옥심류, 피라졸, 3,5-디메틸피라졸, 3-메틸피라졸 등의 피라졸류, 도데칸티올, 벤젠티올 등의 티올류, 말론산디에스테르, 아세토아세트산에스테르, 말론산디니트릴, 아세틸아세톤, 메틸렌디설폰, 디벤조일메탄, 디피발로일메탄, 아세톤디카르본산디에스테르 등의 활성 메틸렌계 화합물류를 들 수 있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형성하는 화합물(모노머)의 구체예로는, 2-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타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네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에, 메틸에틸케톤옥심, ε-카프로락탐, 3,5-디메틸피라졸, 말론산디에틸 등의 블록제를 부가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식(2-1) 또는 식(2-2)로 표시된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2개의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메틸기를 나타내고, b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식(3-1)로 표시된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는 -O-기 또는 -NH-기를 나타내고, R5는 치환기로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기로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는, 직쇄상, 분지상, 환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치환기로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메틸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프로필기, 2-하이드록시부틸기, 3-하이드록시-1-아다만틸기,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기, 3,5-디하이드록시-1-아다만틸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형성하는 화합물(모노머)의 구체예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1-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5-디하이드록시-1-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페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하이드록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페닐)(메트)아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페닐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메트)아크릴아미드는 메타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아미드를 의미하며,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상기 식(1), 식(2) 및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상기 식(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합 100mol%에 대하여, 상기 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함유율은 20mol% 내지 90mol%이고, 바람직하게는 30mol% 내지 80mol%, 상기 식(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함유율은 5mol% 내지 75mol%이고, 바람직하게는 10mol% 내지 60mol%,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함유율은 5mol% 내지 75mol%이고, 바람직하게는 10mol% 내지 60mol%이다.
상기 식(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형성하는 화합물(모노머)은, 아크릴산 혹은 메타크릴산과 알케닐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혹은 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하는 방법, 또는 아크릴산 혹은 메타크릴산의 중합체와 알케닐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서 이용되는 상기 알케닐에테르 화합물은 하기 식(6)으로 표시된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 중, R6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10의 환상 탄화수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페네틸기를 나타내고, 혹은 상기 R6과 R7은 서로 결합하여 4 내지 7원환의 함산소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과 알케닐에테르 화합물의 반응은, 예를 들어, 특허 제304203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산에스테르류 하나인 인산모노옥틸을 촉매로 하고, 70℃에서 교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식(6)으로 표시되는 알케닐에테르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이소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tert-부틸비닐에테르, n-헥실비닐에테르,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2-에틸헥실비닐에테르, 노보닐비닐에테르, 1-아다만틸비닐에테르, 2-아다만틸비닐에테르 등의 지방족 비닐에테르 화합물, 페닐비닐에테르 등의 아릴비닐에테르 화합물, 벤질비닐에테르, 페네틸비닐에테르 등의 아랄킬비닐에테르 화합물, 2,3-디하이드로퓨란, 4-메틸-2,3-디하이드로퓨란, 2,3-디하이드로-4H-피란 등의 환상 비닐에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식(4-1) 또는 식(4-2)로 표시된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중,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10의 환상 탄화수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페네틸기를 나타내고, c는 1 또는 2를 나타낸다.)
상기 식(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형성하는 화합물(모노머)의 구체예로는, 1-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프로폭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이소프로폭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n-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tert-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n-헥실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시클로헥실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 식(5-1) 또는 식(5-2)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예를 들어, 단락[0027]에서 언급한 화합물(모노머)로부터 얻어지는 구조단위일 수도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중,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형성하는 화합물(모노머)의 예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중,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형성하는 화합물(모노머)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펜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5,6-에폭시-2-비시클로[2.2.1]헵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트리시클로[5.2.1.02,6]데칸-8-일(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1), 식(4) 및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상기 식(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상기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합 100mol%에 대하여, 상기 식(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함유율은 20mol% 내지 90mol%이고, 바람직하게는 30mol% 내지 80mol%, 상기 식(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함유율은 5mol% 내지 75mol%이고, 바람직하게는 10mol% 내지 60mol%, 상기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함유율은 5mol% 내지 75mol%이고, 바람직하게는 10mol% 내지 60mol%이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통상, 1,000 내지 1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50,000이다. 한편, 중량평균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표준시료로서 폴리스티렌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해당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중의 함유량에 기초하여 통상, 1질량% 내지 99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질량% 내지 95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를 얻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상기 식(1), 식(2) 및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형성하는 화합물(모노머), 또는 상기 식(1), 식(4) 및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형성하는 화합물(모노머),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화합물 X로 약칭한다.)을, 중합개시제 존재 하의 용제 중에서, 통상 50℃ 내지 120℃의 온도 하에서 중합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는, 통상, 용제에 용해한 용액상태이며, 이 상태로 단리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을, 교반시킨 헥산, 디에틸에테르, 메탄올, 수 등의 빈용매에 투입하여 해당 공중합체를 재침전시키고, 생성한 침전물을 여과·세정 후, 상압 또는 감압 하에서 상온 건조 또는 가열 건조함으로써, 해당 공중합체를 분체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상기 공중합체와 공존하는 중합개시제나 미반응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공중합체의 분체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혹은 그 분체를, 예를 들어 후술하는 용제에 재용해하여 용액 상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합물 X의 구체예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γ-부티로락톤(메트)아크릴레이트, 인덴,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벤질말레이미드, N-(4-하이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2-하이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3-하이드록시프로필비닐에테르, 4-하이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5-하이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하이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4-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조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식(1), 식(2) 및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또는 상기 식(1), 식(4) 및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용제에 용해하고, 균일한 용액으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이 조제방법의 적당한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공중합체를 용해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2-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하이드록시아세트산에틸, 2-하이드록시-3-메틸부탄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피루브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유산에틸, 유산부틸, 2-헵타논, γ-부티로락톤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용제 중에서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막의 레벨링성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헵타논, 유산에틸, 유산부틸 및 시클로헥사논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도포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해당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코폴리머류,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올리에이트, 솔비탄트리올리에이트, 솔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EFTOP〔등록상표〕 EF301, EF303, EF352(이상, Mitsubishi Materials Electronic Chemicals Co., Ltd.제), MEGAFAC〔등록상표〕 F-171, F-173, R-30(이상, DIC Corporation제), FLUORAD FC430, FC431(이상, Sumitomo 3M Limited.제), ASAHI GUARD 〔등록상표〕 AG710, SURFLON 〔등록상표〕 S-382, SC101, SC102, SC103, SC104, SC105, SC106(Asahi Glass Co., Ltd.제), FTX-206D, FTX-212D, FTX-218, FTX-220D, FTX-230D, FTX-240D, FTX-212P, FTX-220P, FTX-228P, FTX-240G 등의 FTERGENT 시리즈(Neos Co., Ltd.제) 등의 불소계 계면활성제, 오가노실록산 폴리머 KP341(Shin-Etsu Chemical Co., Ltd.제)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해당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중의 함유량에 기초하여, 3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가교제, 경화조제, 자외선 흡수제, 증감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밀착조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판{예를 들어, 산화규소막으로 피막된 실리콘 등의 반도체기판, 질화규소막 또는 산화질화규소막으로 피막된 실리콘 등의 반도체기판, 질화규소기판, 석영기판, 유리기판(무알칼리 유리, 저알칼리 유리, 결정화 유리를 포함함), ITO막이 형성된 유리기판} 상에, 스피너, 코터 등의 적당한 도포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도포 후,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베이크하여 경화시켜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을 형성한다.
베이크 조건은, 베이크 온도 80℃ 내지 300℃, 베이크 시간 0.3분 내지 60분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된다. 베이크는 2스텝 이상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의 막두께로는, 예를 들어 0.001㎛ 내지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이다.
그 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 상에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소정의 마스크를 통해 노광하고, 필요에 따라 노광후 가열(PEB)을 행하고, 알칼리 현상, 린스, 건조함으로써,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노광에는, 예를 들어, g선, i선, KrF 엑시머 레이저, ArF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가열처리함으로써, 상기 레지스트 패턴을 리플로우하여 렌즈 패턴을 형성한다. 이 렌즈 패턴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하층의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을 에치백하여, 렌즈 패턴형상을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에 전사함으로써 마이크로 렌즈를 제작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의 측정〕
장치: JASCO Corporation제 GPC 시스템
컬럼: Shodex〔등록상표〕 KF-804L 및 803L
컬럼오븐: 40℃
유량: 1mL/분
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퓨란
[공중합체의 합성]
<합성예 1>
스티렌 36.0g, 2-(O-[1'-메틸프로필리덴아미노]카르복시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KARENZ 〔등록상표〕 MOI-BM(Showa Denko K.K.제)) 10.5g,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6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1.0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6.0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7)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3,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합성예 2>
스티렌 28.0g, 2-[(3,5-디메틸피라졸릴)카르복시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KARENZ 〔등록상표〕 MOI-BP(Showa Denko K.K.제)) 14.5g,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8.3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9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98.0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5.0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8)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5,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합성예 3>
스티렌 22.0g, 2-(O-[1'-메틸프로필리덴아미노]카르복시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KARENZ 〔등록상표〕 MOI-BM(Showa Denko K.K.제)) 17.1g, 4-하이드록시페닐메타크릴레이트 12.5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7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9.0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5.4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9)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5,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합성예 4>
스티렌 23.0g, 2-(O-[1'-메틸프로필리덴아미노]카르복시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KARENZ 〔등록상표〕 MOI-BM(Showa Denko K.K.제)) 17.8g, N-(4-하이드록시페닐)메타크릴아미드 13.0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1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4.0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6.7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10)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3,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합성예 5>
스티렌 38.0g, 1-n-부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8.5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6.5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3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3.0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6.0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1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4,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합성예 6>
스티렌 30.0g, 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메타크릴레이트 10.5g,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CYCLOMER〔등록상표〕 M100(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제)) 12.1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0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2.0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6.0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3,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합성예 7>
스티렌 36.0g,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1.2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1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2.0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4.0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1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3,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합성예 8>
스티렌 26.0g, 2-(O-[1'-메틸프로필리덴아미노]카르복시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KARENZ 〔등록상표〕 MOI-BM(Showa Denko K.K.제)) 25.9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8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0.0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5.6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1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2,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합성예 9>
스티렌 30.0g, 1-n-부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3.0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0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2.2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6.2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1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1,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합성예 10>
스티렌 33.0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9.3g,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1.3g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6.0g을 75℃로 유지한 플라스크 중에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8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식(16)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Mw는 10,000(폴리스티렌 환산)이었다.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수지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 및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0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
합성예 2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 및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0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3>
합성예 3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 및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5.0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4>
합성예 4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 및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5.0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5>
합성예 5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 및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0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6>
합성예 6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 및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0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7>
합성예 1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 및 가교제로서 NIKALAC〔등록상표〕 MW-390(Sanwa Chemical Co., Ltd.제) 0.75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0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8>
가교제로서 NIKALAC〔등록상표〕 MW-390 대신에 EPOLEAD〔등록상표〕GT-401(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제) 0.75g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9>
가교제로서 NIKALAC〔등록상표〕 MW-390 대신에 VESTANAT〔등록상표〕 B1358/100(Evonik Degussa Japan Co., Ltd.제) 0.75g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1>
합성예 7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 및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1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9.0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2>
합성예 8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 및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6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3>
합성예 9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에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4>
합성예 10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용액 50.0g에 계면활성제로서 MEGAFAC〔등록상표〕 R-30(DIC Corporation제) 0.03g을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내용제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조제한 수지 조성물을 각각, 실리콘 웨이퍼 상에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 100℃에서 1분간, 다시 230℃에서 5분간 베이크하여, 막두께 2㎛의 막을 형성하였다. 이들 막에 대하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유산에틸, 아세트산부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헵타논, 2-프로판올, 및 2.38질량% 농도의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 수용액에, 각각 23℃의 온도 조건 하, 10분간 침지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침지 전후의 막두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침지용제 중 1개라도, 침지 전 막두께에 대하여 5% 이상의 막두께 증감이 있었던 경우에는 “×”, 전체 용제에 대하여 막두께 증감이 5% 미만이었던 경우에는 “○”로 하여 내용제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투과율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서 조제한 수지 조성물을 각각, 석영기판 상에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 100℃에서 1분간, 다시 230℃에서 5분간 베이크하여, 막두께 2㎛의 막을 형성하였다. 이들 막에 대하여, 자외선 가시분광 광도계 UV-2550(Shimadzu Corporation제)를 이용하여 파장 400㎚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다시 이 막을 260℃에서 5분간 가열한 후, 파장 400㎚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드라이 에칭레이트의 측정]
드라이 에칭레이트의 측정에 이용한 에처 및 에칭가스는, 이하와 같다.
에처: RIE-10NR(SAMCO Inc.제)
에칭가스: CF4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서 조제한 수지 조성물을 각각, 실리콘 웨이퍼 상에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 100℃에서 1분간, 다시 230℃에서 5분간 베이크하여, 막두께 2㎛의 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에처 및 에칭가스를 이용하여, 이들 막의 드라이 에칭레이트를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레지스트 용액(THMR-iP1800(Tokyo Ohka Kogyo Co., Ltd.제)을, 실리콘 웨이퍼 상에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 90℃에서 1.5분간, 110℃에서 1.5분간, 다시 180℃에서 1분간 베이크하여, 막두께 1㎛의 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드라이 에칭레이트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레지스트막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서 조제한 수지 조성물로로부터 얻어진 막의 드라이 에칭레이트비를 구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보존안정성]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서 조제한 수지 조성물을 각각, 35℃(가속시험)에서 3주간 보관하고, 조제 직후의 점도와 비교하여, 점도 변화가 10% 미만인 것을 “○”, 10% 이상인 것을 “×”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단차 평탄화성]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서 조제한 수지 조성물을, 각각 높이 0.5㎛, 라인폭 30㎛, 라인간 스페이스 30㎛의 단차기판 상에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 100℃에서 1분간, 다시 230℃에서 5분간 베이크하여, 막두께 2㎛의 막을 형성하였다. 도 1에 나타내는 h1(단차기판의 단차)과 h2(경화막의 막두께차)로부터, “식:(1-(h2/h1))×100”을 이용하여 평탄화율을 구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19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막은, 고 내용제성, 고 투명성인 것과 동시에, 260℃에서 가열한 후에도 착색되지 않는 고 내열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에치백법에서는, 렌즈 패턴형상을 충실하게 하층의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에 전사하는데 있어서, 레지스트의 드라이 에칭레이트 X와 마이크로 렌즈용 수지층의 드라이 에칭레이트 Y가 동등(X:Y=1:0.8~1.2)할 것이 요구되는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이것을 만족하는 결과가 나왔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막은, 모두 평탄화율 50% 이상의 단차 평탄화성을 가지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9에서 조제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막에 대해서는, 평탄화율 80% 이상의 우수한 단차 평탄화성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조제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막에 대해서는, 내용제성을 만족하지 않는 결과가 나와, 마이크로 렌즈용 및 평탄화막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단차기판
2: 경화막
3: 라인폭
4: 라인간 스페이스
h1: 단차기판의 단차
h2: 경화막의 막두께차

Claims (11)

  1. 하기 식(1), 식(2) 및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또는 하기 식(1), 식(4) 및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및 용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20

    (식 중, R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페닐기 또는 할로게노기를 나타내고, a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며, R2는 단결합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나타내고, X는 -O-기 또는 -NH-기를 나타내고, R4는 단결합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는 치환기로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기로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는, 직쇄상, 분지상, 환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R6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10의 환상 탄화수소기, 페닐기, 벤질기 또는 페네틸기를 나타내고, 혹은 상기 R6과 R7은 서로 결합하여 4 내지 7원환의 함산소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R8은 에폭시기, 또는 에폭시환을 갖는 탄소원자수 5 내지 10의 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하기 식(2-1) 또는 식(2-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인,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00021

    (식 중, R0 및 R2는 제1항에 기재된 정의와 동일하고, 2개의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메틸기를 나타내고, b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하기 식(3-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인,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ct00022

    (식 중, R0, X 및 R5는 제1항에 기재된 정의와 동일하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하기 식(4-1) 또는 식(4-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인, 수지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ct00023

    (식 중, R0 및 R7은 제1항에 기재된 정의와 동일하고, c는 1 또는 2를 나타낸다.)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하기 식(5-1) 또는 식(5-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인, 수지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pct00024

    (식 중, R0 및 R4는 제1항에 기재된 정의와 동일하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인,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용인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탄화막용인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막.
  10. 제7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작되는 마이크로 렌즈.
  11. 제8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작되는 평탄화막.
KR1020147002451A 2011-07-07 2012-06-27 수지 조성물 KR101822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0765 2011-07-07
JP2011150765 2011-07-07
JPJP-P-2011-163026 2011-07-26
JP2011163026 2011-07-26
JP2011277329 2011-12-19
JPJP-P-2011-277329 2011-12-19
PCT/JP2012/066391 WO2013005619A1 (ja) 2011-07-07 2012-06-27 樹脂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021A Division KR101852528B1 (ko) 2011-07-07 2012-06-27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683A true KR20140047683A (ko) 2014-04-22
KR101822804B1 KR101822804B1 (ko) 2018-01-29

Family

ID=474369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021A KR101852528B1 (ko) 2011-07-07 2012-06-27 수지 조성물
KR1020147002451A KR101822804B1 (ko) 2011-07-07 2012-06-27 수지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021A KR101852528B1 (ko) 2011-07-07 2012-06-27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94685B2 (ko)
JP (2) JP5950125B2 (ko)
KR (2) KR101852528B1 (ko)
CN (1) CN103608396B (ko)
TW (1) TWI597299B (ko)
WO (1) WO20130056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829A (ko) * 2016-12-09 2018-06-19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기재 상에 평탄화막 또는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 감수성 조성물, 경화체의 제조 방법, 경화체,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및 cmos 이미지 센서
KR20180072697A (ko) * 2015-10-27 2018-06-29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중합체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90103278A (ko) * 2017-01-19 2019-09-04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세상분리 패턴형성을 위한 자기조직화막 형성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5619A1 (ja) * 2011-07-07 2013-01-1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EP2913352B1 (en) * 2012-10-23 2018-05-02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Non-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N104870499B (zh) * 2012-12-14 2016-11-23 昭和电工株式会社 共聚物、含有该共聚物的感光性树脂组合物及树脂膜
JP6237986B2 (ja) * 2013-07-11 2017-11-29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用高屈折率膜形成組成物
JP6478053B2 (ja) * 2014-01-30 2019-03-06 日産化学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形成用樹脂組成物
CN105934693B (zh) 2014-02-13 2018-10-16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树脂组合物
JP6601628B2 (ja) * 2014-05-22 2019-11-06 日産化学株式会社 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構造を含むポリマーを含むリソグラフィー用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JP6587068B2 (ja) 2014-07-24 2019-10-09 日産化学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下層膜形成用樹脂組成物
CN106663627B (zh) 2014-08-08 2020-06-09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平坦化膜用或微透镜用树脂组合物
KR102353991B1 (ko) 2015-10-13 2022-01-21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JP6792207B2 (ja) * 2015-12-21 2020-11-25 日産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6623839B2 (ja) * 2016-02-29 2019-12-25 日産化学株式会社 平坦化膜形成用樹脂組成物
WO2018021049A1 (ja) * 2016-07-28 2018-02-01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6946062B2 (ja) * 2017-06-06 2021-10-0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樹脂、硬化性組成物、硬化物、硬化物の製造方法、及びマイクロレンズの製造方法
KR20200022473A (ko) * 2017-08-03 2020-03-03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공중합체 및 컬러 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TWI786237B (zh) * 2018-11-21 2022-12-11 日商日產化學股份有限公司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2020132749A (ja) * 2019-02-19 2020-08-31 メルク、パテ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Merck Patent GmbH ポリマー、ポリマーを含んでなる半導体組成物、および半導体組成物を用いた膜の製造方法
CN113631586A (zh) 2019-03-29 2021-11-09 日产化学株式会社 低温固化性树脂组合物
WO2021090576A1 (ja) * 2019-11-06 2021-05-14 日産化学株式会社 非感光性樹脂組成物
JP2024005323A (ja) 2022-06-30 2024-01-17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20610A1 (de) * 1967-01-27 1971-06-1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nkomponenteneinbrennlacken auf Acrylharzbasis
DE2342775C2 (de) * 1972-08-25 1984-04-12 Nippon Paint Co., Ltd., Osak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lbsthärtenden Polymeren
US3857818A (en) * 1972-09-18 1974-12-31 Cook Paint & Varnish Co Blocked polyurethane powder coating compositions
JP2776810B2 (ja) 1987-07-03 1998-07-1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3254759B2 (ja) 1992-09-25 2002-02-12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オンチップレンズの製造方法
JPH075301A (ja) 1993-06-15 1995-01-10 Tosoh Corp マイクロレンズ形成用感光性組成物
JP3781862B2 (ja) * 1997-05-19 2006-05-31 昭和電工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JP4243884B2 (ja) 1999-03-25 2009-03-25 Dic株式会社 感光性組成物、印刷版原版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2357901A (ja) 2001-05-31 2002-12-13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転写材料、及び画像形成方法
JP4207604B2 (ja) 2003-03-03 2009-01-14 Jsr株式会社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層間絶縁膜およびマイクロレンズ、ならびにそれらの形成方法
JP3960281B2 (ja) 2003-05-28 2007-08-15 Jsr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保護膜および保護膜の形成方法
TWI363251B (en) 2003-07-30 2012-05-01 Nissan Chemical Ind Ltd Sublayer coating-forming composition for lithography containing compound having protected carboxy group
KR101058176B1 (ko) * 2004-03-25 2011-08-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JP4671016B2 (ja) 2004-03-29 2011-04-13 Jsr株式会社 熱硬化性組成物、固体撮像素子のハレーション防止膜およびその形成方法、ならびに固体撮像素子
JP4733360B2 (ja) * 2004-03-31 2011-07-27 共栄社化学株式会社 熱硬化被膜形成組成物用の表面調整剤
JP4830306B2 (ja) * 2004-06-23 2011-12-07 凸版印刷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KR101423057B1 (ko) 2006-08-28 2014-07-25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액상첨가제를 포함하는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US20100022090A1 (en) 2006-11-28 2010-01-2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Resist underlayer film forming composition for lithography, containing aromatic fused ring-containing resin
US7759048B2 (en) 2007-07-09 2010-07-20 Tokyo Ohka Kogyo Co.,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microlens formed with use thereof
TWI452444B (zh) * 2008-07-14 2014-09-11 Jsr Corp 光阻圖型不溶化樹脂組成物及使用其之光阻圖型形成方法
JP5077137B2 (ja) 2008-08-11 2012-11-21 Jsr株式会社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ポジ型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
TW201027247A (en) 2008-10-21 2010-07-16 Jsr Corp Resist pattern coating ag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resist pattern using
JP5515584B2 (ja) 2009-10-02 2014-06-11 Jsr株式会社 レジストパターンコーティング剤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FR2957716B1 (fr) 2010-03-18 2012-10-05 Soitec Silicon On Insulator Procede de finition d'un substrat de type semi-conducteur sur isolant
WO2013005619A1 (ja) * 2011-07-07 2013-01-1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697A (ko) * 2015-10-27 2018-06-29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중합체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80066829A (ko) * 2016-12-09 2018-06-19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기재 상에 평탄화막 또는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 감수성 조성물, 경화체의 제조 방법, 경화체, 마이크로 렌즈의 제조 방법, 및 cmos 이미지 센서
KR20190103278A (ko) * 2017-01-19 2019-09-04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세상분리 패턴형성을 위한 자기조직화막 형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325A (ko) 2018-01-31
KR101822804B1 (ko) 2018-01-29
CN103608396A (zh) 2014-02-26
KR101852528B1 (ko) 2018-04-27
WO2013005619A1 (ja) 2013-01-10
US20140135426A1 (en) 2014-05-15
TWI597299B (zh) 2017-09-01
JP2016194079A (ja) 2016-11-17
TW201315748A (zh) 2013-04-16
JPWO2013005619A1 (ja) 2015-02-23
US9994685B2 (en) 2018-06-12
JP5950125B2 (ja) 2016-07-13
CN103608396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804B1 (ko) 수지 조성물
JP2015174877A (ja) 特定の硬化促進触媒を含む樹脂組成物
KR101626472B1 (ko) 수지 조성물
KR20160122698A (ko) 수지 조성물
KR101935033B1 (ko) 비감광성 수지 조성물
JP6478053B2 (ja) マイクロレンズ形成用樹脂組成物
JP6687906B2 (ja) 平坦化膜用又はマイクロレンズ用樹脂組成物
KR102414942B1 (ko) 수지 조성물
KR102461668B1 (ko) 열경화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