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308A - 폴리우레탄사 및 그것을 사용한 포백 및 수영복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사 및 그것을 사용한 포백 및 수영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308A
KR20140039308A KR20147001477A KR20147001477A KR20140039308A KR 20140039308 A KR20140039308 A KR 20140039308A KR 20147001477 A KR20147001477 A KR 20147001477A KR 20147001477 A KR20147001477 A KR 20147001477A KR 20140039308 A KR20140039308 A KR 20140039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yarn
fabric
carbonat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616B1 (ko
Inventor
가츠야 스즈키
도시히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오페론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오페론텍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오페론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9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other polycondensa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5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 C08K5/107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with poly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28Polyamin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중금속인 아연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아도 우수한 내염소취화 성능을 갖고, 특히 수영복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사 및 그것을 사용한 포백·수영복을 제공하기 위해서,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성 탄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사로 하고, 이것과 그 외의 섬유를 혼용하여 포백, 수영복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사 및 그것을 사용한 포백 및 수영복{POLYURETHANE YARN, AS WELL AS FABRIC AND SWIMWEAR USING SAME}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사 및 그것을 사용한 포백 및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질적으로 중금속류를 함유하지 않아도, 수영장 안과 같은 염소수 환경에서의 염소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로 수영 경기용 수영복으로서 유용한 폴리우레탄사와 그것을 사용한 포백,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사와 그 외의 섬유를 교편·교직하여 염색한 포백을 사용한 수영복은, 풀 안에서 활성 염소 농도 0.5 내지 3ppm의 염소수에 반복 폭로되면, 폴리우레탄사의 탄성 기능이 현저하게 손상되어, 실 끊어짐이 발생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폴리우레탄사의 내염소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디올을 원료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사가 바람직하지만, 그래도 내염소성은 불충분했다. 게다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생물활성이 높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사는 곰팡이에 침범되기 쉽다는 결점이 있으며, 사용 중 또는 보관 중에 수영복의 탄성 기능이 저하하여, 실 끊어짐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생물활성이 매우 적은 폴리에테르디올을 원료로 사용한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사는 곰팡이에 의한 취화의 우려는 적지만, 내염소성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사보다도 뒤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사의 내염소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각종 첨가제, 즉 무기계 염소 열화 방지제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연을 함유하는 무기계 염소 열화 방지제로서, 산화아연(특허문헌 1 참조), 산화마그네슘과 산화아연의 고용체(특허문헌 2 참조), 산화아연의 결정에 알루미늄이 고용한 산화아연계 고용체(특허문헌 3 참조), 아연과 알루미늄의 복합 산화물(특허문헌 4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무기계 염소 열화 방지제에 대해서는, 염색 공정이나 수영복 제품으로 했을 때의 착용 시에, 더 나아가 폐기했을 때 중금속인 아연이 유출, 축적되어, 환경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아연을 함유하지 않은 무기계 염소 열화 방지제로서는 산화마그네슘이나 산화알루미늄 등(특허문헌 5 참조),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히드로탈사이트 등(특허문헌 6, 7 참조), 훈타이트 및 히드로마그네사이트의 광물 혼합물(특허문헌 8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해서는 아연을 함유하는 무기계 염소 열화 방지제에 비해 내염소수성 면에서는 성능이 뒤떨어진 것이었다.
또한, 합성 탄산염의 탄산칼슘이나 탄산마그네슘 등을 함유시킨 폴리우레탄사도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9 참조). 그러나, 이러한 폴리우레탄사는 핫 멜트 접착성을 높일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내염소수성이라는 점에서는 성능이 뒤떨어진 것이었다.
일본 특허 공고 소60-4344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228,3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21537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2922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소61-352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9-133248호 공보 일본 특허 제2,887,4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평10-5089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7681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아연 등의 중금속류를 함유하지 않아도 우수한 내염소수성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우레탄사 및 그것을 사용한 포백, 수영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하의 어느 하나의 수단을 채용한다.
(1)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성 탄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사.
(2) 상기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을 0.15 내지 4중량% 함유하여, 상기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성 탄산염을 0.5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폴리우레탄사.
(3) 상기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이,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2개 포함하고, 또한 비스에스테르 및 알킬리덴으로부터 선택되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우레탄사.
(4) 상기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이, 에틸렌-1,2-비스(3,3-비스[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우레탄사.
(5) 상기 합성 탄산염이 탄산칼슘 또는 탄산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우레탄사.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우레탄사와 그 외의 섬유를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백.
(7) 상기 그 외의 섬유가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포백.
(8)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포백이 사용되어 이루어지는 수영복.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성 탄산염을 함유하므로,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중금속류를 함유하지 않아도, 수영장 등의 염소수에 의한 열화가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사나 포백·수영복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사는, 기본적으로 폴리우레탄 등에 의해 구성되는데, 우선 상기 폴리우레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은, 중합체 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출발 물질로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 합성법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중합체 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저분자량 디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우레아여도 되고, 또한 중합체 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저분자량 디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우레탄이어도 된다. 또한, 사슬연장제로서 수산기와 아미노기를 분자 내에 갖는 화합물을 사용한 폴리우레탄우레아여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3관능성 이상의 다관능성의 글리콜이나 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중합체 디올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 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특히 유연성, 신도를 실에 부여하는 관점에서 폴리에테르계 디올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계 디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유도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이하, PTMG라 약칭),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및 3-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의 공중합체인 변성 PTMG, THF 및 2,3-디메틸 THF의 공중합체인 변성 PTMG, 일본 특허 제2,615,131호 공보 등에 개시되는 측쇄를 양측에 갖는 폴리올, THF와 에틸렌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시드가 불규칙하게 배열한 랜덤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폴리에테르계 디올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 혹은 공중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사로서 내마모성이나 내광성을 얻는 관점에서는, 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카프로락톤디올, 일본 특허 공개 소61-26612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측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디올이나, 일본 특허 공고 평2-289516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중합체 디올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 혹은 공중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합체 디올의 분자량은, 실로 했을 때의 신도, 강도, 내열성 등을 얻는 관점에서, 수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8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 이상 6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분자량의 폴리올이 사용됨으로써, 신도, 강도, 탄성회복력, 내열성이 우수한 탄성사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이하, MDI라 약칭),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이소시아네이트벤젠,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내열성이나 강도가 높은 폴리우레탄을 합성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 예를 들어 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2,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2,6-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히드로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특히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황변을 억제할 때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어서 폴리우레탄을 합성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사슬연장제는, 저분자량 디아민 및 저분자량 디올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탄올아민과 같은 수산기와 아미노기를 분자 중에 갖는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저분자량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1,2-프로판디아민, 1,3-프로판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p-크실릴렌디아민, m-크실릴렌디아민, p,p'-메틸렌디아닐린, 1,3-시클로헥실디아민, 헥사히드로메타페닐렌디아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비스(4-아미노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이다. 에틸렌디아민을 사용함으로써 신도 및 탄성 회복성, 또한 내열성이 우수한 실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들 사슬연장제에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트리아민 화합물, 예를 들어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을 효과가 상실하지 않을 정도로 첨가해도 된다.
또한, 저분자량 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비스히드록시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메틸-1,2-에탄디올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이다. 이들을 사용하면, 디올로 연장된 폴리우레탄으로서는 내열성이 보다 높아지고, 또한 보다 강도가 높은 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의 분자량은, 내구성이나 강도가 높은 섬유를 얻는 관점에서, 수평균 분자량으로서 30000 이상 15000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량은 GPC로 측정하고, 폴리스티렌에 의해 환산한다.
폴리우레탄에는 말단봉쇄제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말단봉쇄제로서는, 디메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에틸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메틸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메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부틸메틸아민, 이소부틸메틸아민, 이소펜틸메틸아민, 디부틸아민, 디아밀아민 등의 모노아민,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알릴알코올, 시클로펜탄올 등의 모노올,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은 기본 구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사에,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성 탄산염을, 모두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첨가제의 조합으로 함유하는 경우, 큰 상승 효과를 발휘하여, 우수한 내염소열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로서는,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2개 포함하고, 또한 비스에스테르, 알킬리덴으로부터 선택되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히드록시페닐기에 있어서의 수산기에 인접하는 환 위치에 존재하는 알킬기는 tert-부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산기의 당량이 6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가 비스에스테르 골격에 공유 결합한 구조의 에틸렌-1,2-비스(3,3-비스[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하기의 화학식 1)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한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내염소열화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효과를 충분한 것으로 하고, 또한 섬유의 물리적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관점에서,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은 섬유 중량에 대하여 0.15 내지 4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3.5중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사에는, 상기한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과 함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알칼리 금속이란,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등의 주기율표 IA족 금속이며, 알칼리 토금속이란,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등의 주기율표 IIA족 금속이다.
그리고, 이들 금속의 탄산염으로서는, 천연으로 산출하는 탄산염을 분쇄하여 만드는 방법과,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만드는 방법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탄산염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만들어진 소위 합성 탄산염이다. 합성은 아니고, 천연으로 산출하는 광석을 그대로 분쇄한 탄산염(훈타이트(약 Mg3Ca(CO3)4), 수능고토석(약 Mg4(CO3)4·Mg(OH)2·4H2O) 등), 중질탄산칼슘 등 사용한 경우에는 광물 중 불순물로부터 Fe, Mn, Zn, As 등의 중금속 화합물이 몇% 혼입될 가능성이 있다.
합성 탄산염의 합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탄산칼슘(CaCO3)의 경우, 천연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석인 석회석을 소성하여, 탄산 가스와 산화칼슘(생석회)으로 분해하고, 수산화칼슘(석회유)과 탄산 가스로부터 다시 균질한 탄산칼슘을 얻는 석회유-탄산 가스 반응법이나, 그 외에도, 염화칼슘-소다회 반응법, 석회유-소다회 반응법 등이 있지만, 화학 합성이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합성 탄산염은, Fe, Mn, Zn, As 등의 중금속 화합물이 0.1% 이하로 되도록 정제 가능하여 조성이 균일하고, 색조도 우수하며, 미분체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제법에서 물을 비롯한 용질로부터의 석출에 의해 얻어지기 때문에, 다공질을 형성하기 쉽고, 비표면적이 높고 저비중이기 때문에 폴리우레탄에의 분산성에도 우수하다. 그리고, 폴리우레탄사의 방사 공정이나 고차 가공 공정에서 노출되는 가열 온도, 즉 약 80℃ 이상 약 30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안정되게 특성 변화가 적으므로, 고강신도, 고회복성, 고내열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내염소수성 등,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칼리 금속의 합성 탄산염,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탄산수소칼륨, 탄산칼륨(K2CO3), 탄산수소칼슘(Ca(HCO3)2), 탄산칼슘(CaCO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탄산나트륨(Na2CO3), 탄산리튬(Li2CO3), 탄산마그네슘(MgCO3) 등을 들 수 있고, 산화물, 수산화물, 염화물 등을 함유한 복염이어도 되고, 결정수, 즉 수화물이어도 된다. 이들은 단체 또는 혼합 혹은 혼합 고용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산마그네슘이면, 마그네슘염 수용액에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염기성 탄산마그네슘(mMgCO3·Mg(OH)2·nH2O), 탄산나트륨이면, 십수화물(Na2CO3·10H2O)이나 일수화물(Na2CO3·H2O)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안정된 물성 또한 불순물 원소 함유율이 낮은 고차 제품을 얻는 관점에서, 칼슘의 합성 탄산염, 마그네슘의 합성 탄산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상기한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과 함께 함유시킴으로써, 내염소열화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효과를 충분한 것으로 하고, 또한 섬유의 물리적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관점에서,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은 섬유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중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4중량%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은 방사 용액 중에 배합되어 방사되므로, 방사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평균 입경 2㎛ 이하의 미세한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 1㎛ 이하의 미세한 분말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분산성의 관점에서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0.01㎛보다 작은 경우, 응집력이 높아져 방사 원액 중에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미세 분말화하기 위해서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이하, DMAc라 약칭), 디메틸포름아미드(이하, DMF라 약칭), 디메틸술폭시드(이하, DMSO라 약칭), N-메틸피롤리돈(이하, NMP라 약칭) 등이나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제,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증점제 등과 혼합하여, 슬러리를 조제하여, 종형 또는 횡형 밀 등에 의해 분쇄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의 실 중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방사를 안정화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예를 들어 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 인산에스테르, 폴리올계 유기물 등의 유기물, 실란계 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물유리, 지방산 금속염 또는 이들 혼합물로 표면 처리된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사는, 필요에 따라 각종 안정제나 안료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내광제, 산화 방지제 등으로서, 소위 BHT나 스미또모가가꾸고교(주) 제조의 "스밀라이저"(등록상표) GA-80 등을 비롯한 입체장애 페놀계 약제, 시바가이기사 제조 "티누빈"(등록상표)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약제, 스미또모가가꾸고교(주) 제조의 "스밀라이저" P-16 등의 인계 약제, 각종 입체장애 아민계 약제, 산화티타늄,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안료,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을 기로 하는 불소계 수지 분체 또는 실리콘계 수지 분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의 금속 비누, 또한 은이나 아연이나 이들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살균제, 소취제, 또한 실리콘, 광물유 등의 활제, 황산바륨, 산화세륨, 베타인이나 인산 화합물,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각종 대전 방지제 등이 첨가되고, 또한 중합체와 반응하여 존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특히 광이나 각종 산화질소 등에의 내구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산화질소 포착제, 예를 들어 니혼히드라진(주) 제조의 HN-150, Clariant Corporation 제조 "Hostanox"(등록상표) SE10 등, 열산화 안정제, 예를 들어 스미또모가가꾸고교(주) 제조의 "스밀라이저" GA-80 등, 광안정제, 예를 들어 스미또모가가꾸고교(주) 제조의 "스미소브"(등록상표) 300#622 등의 광안정제 등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출발 물질로서 중합체 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고, 그들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의 방사 원액에,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군으로 이루어지는 1종의 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모두 함유시켜 방사한다. 중합을 안정화시킨다는 관점에서, 미리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작해 두고, 그 용액에,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의 용질인 폴리우레탄의 제법은, 용융 중합법에서도 용액 중합법 중 어느 것이든 상관없고, 다른 방법이어도 상관없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한 것은 용액 중합법이다. 용액 중합법의 경우에는, 폴리우레탄에 겔 등의 이물의 발생이 적어, 방사하기 쉽고, 저섬도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얻기 쉽다. 또한, 당연히, 용액 중합의 경우, 용액으로 하는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한 폴리우레탄으로서는, 중합체 디올로서 분자량이 1500 이상 6000 이하인 PTMG,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 MDI, 사슬연장제로서 에틸렌디아민, 1,2-프로판디아민, 1,3-프로판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해서 합성된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예를 들어 DMAc, DMF, DMSO, NMP 등이나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제 중에서, 상기의 원료를 사용해서 합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용제 중에, 각 원료를 투입, 용해시키고,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반응시켜서 폴리우레탄으로 하는, 소위 원샷법, 또한 중합체 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우선 용융 반응시키고, 그런 다음에, 반응물을 용제에 용해하여, 전술한 사슬연장제와 반응시켜서 폴리우레탄으로 하는 방법 등이, 특히 적합한 방법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사슬연장제에 디올을 사용하는 경우, 내열성이 우수한 것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폴리우레탄의 고온측의 융점을 200℃ 이상 260℃ 이하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방법은, 중합체 디올, MDI, 디올의 종류와 비율을 컨트롤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중합체 디올의 분자량이 낮은 경우에는, MDI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많게 함으로써, 고온의 융점이 높은 폴리우레탄을 얻을 수 있고, 마찬가지로 디올의 분자량이 낮을 때는 중합체 디올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적게 함으로써, 고온의 융점이 높은 폴리우레탄을 얻을 수 있다.
중합체 디올의 분자량이 1800 이상인 경우, 고온측의 융점을 20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MDI의 몰수)/(중합체 디올의 몰수)=1.5 이상인 비율로, 중합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폴리우레탄의 합성 시에 있어서, 아민계 촉매나 유기 금속 촉매 등의 촉매가 1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아민계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벤질아민, 트리에틸아민, N-메틸 모르폴린, N-에틸모르폴린,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1,3-프로판디아민, N,N,N',N'-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N,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테트라메틸구아니딘, 트리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피페라진, N-메틸-N'-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라진, N-(2-디메틸아미노에틸)모르폴린, 1-메틸이미다졸, 1,2-디메틸이미다졸, 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N,N,N'-트리메틸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메틸-N'-(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N,N-디메틸아미노헥산올,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금속 촉매로서는, 옥탄산주석, 디라우르산디부틸주석, 옥탄산납디부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용액에 있어서의 폴리우레탄의 농도는, 통상, 3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영장 물 안의 염소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폴리우레탄 용액에,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함유하게 한다.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을 방사 원액에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단독으로 방사 원액과 혼합해도 되고,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에 미리 혼합해 두어도 된다.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폴리우레탄 용액에 첨가하는 경우,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서는, 스태틱 믹서에 의한 방법, 교반에 의한 방법, 호모 믹서에 의한 방법, 2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방법 등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영장 물 안의 염소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을, 예를 들어 0.15중량% 이상 4.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폴리우레탄사에 함유시키고, 또한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예를 들어 0.5중량% 이상 1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폴리우레탄사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서는, 방사 전의 폴리우레탄 방사 원액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필요가 있으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용매로 하는 폴리우레탄의 방사 원액에, 상술한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하도록 교반, 혼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을, 미리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용매로 분산하여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 분산액으로 하고, 그 분산액을 폴리우레탄 방사 원액에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첨가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 분산액의 용매는, 폴리우레탄 용액에의 균일한 첨가를 행하는 관점에서, 폴리우레탄 용액과 동일한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합성 탄산염의 폴리우레탄 용액에의 첨가 시에는, 상기한, 예를 들어 내광제, 내산화 방지제 등의 약제나 안료 등을 동시에 첨가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방사 원액을, 예를 들어 건식 방사, 습식 방사, 혹은 용융 방사하여, 권취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사를 얻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얇은 실에서 두꺼운 실까지 모든 섬도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방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건식 방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사의 섬도, 단면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여도 되고, 또한 편평이어도 된다.
그리고, 건식 방사 방식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하는 특성이나 방사 설비에 적당한 방사 조건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방사하면 된다.
또한, 방사 속도는,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50m/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사는, 예를 들어 그 외의 섬유와 혼용되어 포백으로 된다. 상기 그 외의 섬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구성, 감촉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양이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나일론66, 나일론6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섬유는, 광택 소거제, 안정제, 제전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그 외의 섬유와 교편 교직되는 폴리우레탄사는, 나사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그 외의 섬유를 감은 커버링사 등의 가공사를 사용해도 된다.
폴리우레탄사와 그 외의 섬유를 포함하는 편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편 방법이 사용된다. 교편 편지는, 경편이나 위편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트리코트, 러셀, 환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편 조직은, 하프편, 역하프편, 더블아틀라스편, 더블덴비편 등 어느 편 조직이든 상관없다.
폴리우레탄사와 그 외의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된다. 폴리우레탄사를 경 혹은 위에만 사용한 원웨이 스트레치, 경위 양쪽에 사용한 투웨이 스트레치 중 어느 직물이든 상관없다.
폴리우레탄사와 그 외의 섬유를 포함하는 포백에는, 평상 시의 조건으로, 정련, 릴랙스, 세트가 행해진다. 포백의 염색은, 통상, 포백에 대하여 혼율이 높은 그 외의 섬유에 적합한 염료, 조건으로 행한다. 염료는, 분산 염료, 산성 염료, 금 함유 염료 외에, 공지된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염료를 고착시키기 위한 픽스 처리나 항균 처리, 유연 처리, 발수 가공 등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사와 그 외의 섬유를 포함하는 포백은, 수영복, 거들, 브래지어, 인티메이트 상품, 내의 등 각종 스트레치 파운데이션, 양말용 리브톱, 타이츠, 팬티 스타킹, 허리띠, 보디슈트, 스패츠, 스트레치 스포츠웨어, 스트레치 아우터, 붕대, 서포터, 의료용웨어, 스트레치 안감, 종이 기저귀 등의 용도를 들 수 있다. 특히 풀에서 사용되는 수영복 용도에 적합하다. 얻어진 수영복은 수영장 등의 염소수에 의한 열화가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사용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 포백이나 실의 각종 특성은 다음 방법으로 측정했다.
[포백의 내염소취화 성능]
차아염소산 나트륨액을 이온 교환수로 희석해서 유효 염소 농도 3ppm으로 하고, 또한 요소를 첨가하여 요소 농도 2ppm으로 하고, 희류산의 완충 용액으로 pH를7.2로 조정하여 염소수를 조제했다. 이 염소수를 35℃로 온도 조절한 항온조에 넣어, 가로 방향으로 50% 신장한 상태의 편지를 침지하고, 편지 중 폴리우레탄사의 끊김이 인정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실 끊어짐의 확인은 12시간마다 행하고, 측정값은 n=3의 평균값으로부터 구했다.
[포백 중 아연 함유량의 정량]
원사 흡광 광도법에 의해 측정했다. 검출 한계는 1ppm이며, 측정값은 n=2의 평균값으로부터 구했다.
[폴리우레탄사 중 아연분의 측정]
원사 흡광 광도법에 의해 측정했다. 검출 한계는 1ppm이며, 측정값은 n=2의 평균값으로부터 구했다.
[폴리우레탄사 중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의 정량]
시료(폴리우레탄사) 1g을 칭량하여, 메탄올 20㎖에 넣어, 23℃ 하에서 24시간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을 추출했다. 추출액에 대해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 파장 280㎚로 측정했다. 또한, 측정값은 n=2의 평균값으로부터 구하고, 정량은 미리 작성해 둔 표준액으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서 구했다.
Figure pct00002
[폴리우레탄사 중 금속류의 정량]
처음에, 폴리우레탄사를 원사 흡광 광도법에 의해 분석하여, 함유하고 있는 금속종과 양을 측정했다. 측정은 n=2로 행하여 평균값으로부터 구했다.
이어서, 폴리우레탄사 1g을 10㎖의 DMAc에 완전히 용해하고, 원심 분리기에서 석출물을 추출했다. 또한, 이 석출물을 DMAc로 세정하여, 실온에서 2일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석출물에 대해서, IR 분석을 행하여, 금속 화합물을 동정했다.
상기 원사 흡광 광도법에서의 금속종과 양의 결과와, IR 분석에 의해 동정된 금속 화합물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식으로부터, 폴리우레탄사에 함유되는 금속 화합물의 함유율을 구했다.
Figure pct00003
[폴리우레탄사와 폴리아미드계 실과의 포백의 제작 방법]
프론트에 44데시텍스 34필라멘트의 나일론6 섬유(타입 2694(도레이(주) 제조 나일론6))를 사용하고(혼율 83.5%), 백에 44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혼율 16.5%), 통상의 방법으로 2웨이 트리코트를 편직했다.
이 혼용 트리코트 편지를, 3조식의 연속 릴랙스 정련기로 정련하고, 계속해서, 핀 텐터로 프리세트한 후, 계속해서, 액류 염색기를 사용해서 염색 처리했다. 이들 처리 시의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정련 처리 : 처리 용수로서, 전체 경도 10ppm의 연수에, 비이온 계면활성제 "선몰"(등록상표) BL650(닛까가가꾸(주) 제조) 2g/L, 소다회 0.5g/L, EDTA계 금속 이온 봉쇄제 "아크로머"(등록상표) DH700(나가세켐텍스(주) 제조) 1500ppm을 첨가한 용액을 조제하고, 이 처리 용액을 사용해서 80℃에서 20분간의 처리를 했다.
프리세트 : 폭내기율(tentering rate) 10%(정련 후의 포백폭에 대해서 10% 폭내기율), 유장(정련 후의 포백 길이와 동일한 길이 : 신장률 0%)으로, 190℃, 45초간 프리세트했다.
염색 처리 : 산성 염료 "Kayanol milling terquoise blue 3G"(닛본가야꾸(주) 제조)를 사용해서, 0.5%owf의 농도로 98℃에서 30분간 염색했다.
[폴리우레탄사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포백의 제작 방법]
프론트에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섬유(타입FS92: 도레이(주) 제조)를 사용하고(혼율 85%), 백에 44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혼율 15%), 통상의 방법으로 2웨이 트리코트를 편직했다.
이 혼용 트리코트 편지를, 3조식의 연속 릴랙스 정련기로 정련하고, 계속해서, 핀 텐터로 프리세트한 후, 계속해서, 액류 염색기를 사용해서 염색 처리했다. 이들 처리 시의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정련 처리 : 처리 용수로서, 전체 경도 10ppm의 연수에, 비이온 계면활성제 "선몰"(등록상표) BL650(닛까가가꾸(주) 제조) 2g/L, EDTA계 금속 이온 봉쇄제 "아크로머"(등록상표) DH700(나가세켐텍스(주) 제조) 1500ppm을 첨가한 용액을 조제하고, 이 처리 용액을 사용해서 80℃에서 20분간의 처리를 했다.
프리세트 : 폭내기율 30%(정련 후의 포백폭에 대하여 30% 폭내기율), 유장(정련 후의 포백 길이와 동일한 길이 : 신장률 0%)으로, 190℃, 60초간 프리세트했다.
염색 처리 : 양이온 염료 "Kayacryl Black"(등록상표) FB-ED(닛본가야꾸사 제조)를 사용해서, 8%owf의 농도로 125℃에서 60분간 염색했다.
[실시예 1]
분자량(1800)의 PTMG과 MDI를 몰비로 MDI/PTMG=1.58/1이 되도록 용기에 넣어, 90℃에서 반응하게 하고,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에틸렌디아민 및 디에틸아민을 함유하는 DMAc 용액을 상기 반응물이 용해한 용액에 첨가하여, 중합체 중 고체분이 35중량%인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A1)을 조제했다.
또한, 산화 방지제로서, p-크레졸 및 디비닐벤젠의 축합 중합체(듀퐁사 제조 "메타 크롤"(등록상표) 2390)과 자외선 흡수제로서,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사이테크사 제조 "사이아소브"(등록상표) 1164)를 3대2(중량비)로 혼합하여, DMAc 용액(농도 35중량%)을 조정하고, 이것을 첨가제 용액 B1(35중량%)이라 했다.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A1)과 첨가제 용액(B1)을 98중량%, 2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중합체 용액(X1)로 했다.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로서, 에틸렌-1,2-비스(3,3-비스[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클레리언트 코포레이션(Clariant Corporation) 제조 "Hostanox"(등록상표) O3)를 DMAc에 용해하여, 농도 35중량%의 용액(C1)을 조제했다.
또한 염소 열화 방지제로서 시라이시고교(주) 제조 탄산칼슘 백염화 A(CaCO3, 평균 1차 입자 직경:1.0㎛)를 사용해서 35중량% DMAc 분산액을 조정했다. 그 조정에는, 수평 밀 WILLY A. BACHOFEN사 제조 DYNO-MIL KDL을 사용해서, 85% 지르코니아비즈를 충전, 80g/분의 유속의 조건으로 균일하게 미분산시켜, 합성 탄산염의 DMAc 분산액 D1(35중량%)로 했다.
중합체 용액 X1, C1, D1을 각각 97중량%, 1중량%, 2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 원액 Y1을 조제했다. 이 방사 원액 Y1을 580m/분의 권취 속도로, 건식 방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사(44데시텍스, 4필라멘트)(Z1)를 제조하여 권취했다.
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 포백을 제작하여, 내염소수성과 포백 중 아연의 함유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중합체 용액 X1, C1, D1을 각각 92중량%, 3중량%, 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 원액 Y2를 조제했다. 이 방사 원액 Y2를 580m/분의 권취 속도로, 건식 방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사(44데시텍스, 4필라멘트)(Z2)를 제조하여 권취했다.
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 포백을 제작하여, 내염소수성과 포백 중 아연의 함유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염소 열화 방지제로서 고우노시마가가꾸고교(주) 제조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GP-30(4MgCO3Mg(OH)24H2O, 평균 1차 입자 직경:1.5㎛)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35중량%의 DMAc 분산액 D2를 조제했다.
중합체 용액 X1, C1, D2를 각각 93중량%, 1중량%, 6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 원액 Y3을 조제했다. 이 방사 원액 Y3을 580m/분의 권취 속도로, 건식 방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사(44데시텍스, 4필라멘트)(Z3)를 제조하여 권취했다.
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 포백을 제작하여, 내염소수성과 포백 중 아연의 함유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로서 "Hostanox"(등록상표) O3 대신에, 1,1,3-트리스[2-메틸-5-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탄("Lowinox"(등록상표) CA22(그레이트 레이크스 케미컬(Great Lakes Chemicals) 제조)를 사용해서, 농도 35중량% 용액(C2)을 조제했다.
중합체 용액 X1, C2, D1을 각각 94중량%, 2중량%, 4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 원액 Y4를 조제했다. 이 방사 원액 Y4를 580m/분의 권취 속도로, 건식 방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사(44데시텍스, 4필라멘트)(Z4)를 제조하여 권취했다.
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 포백을 제작하여, 내염소수성과 포백 중 아연의 함유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염소 열화 방지제로서 혼죠케미컬사(주) 제조의 산화아연(ZnO, 평균 1차 입자 직경:0.2㎛)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35중량%의 DMAc 분산액 D3을 조제했다.
중합체 용액 X1, C1, D3을 각각 95중량%, 2중량%, 3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 원액 Y5를 조제했다. 이 방사 원액 Y5를 580m/분의 권취 속도로, 건식 방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사(44데시텍스, 4필라멘트)(Z5)를 제조하여 권취했다.
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 포백을 제작하여, 내염소수성과 포백 중 아연의 함유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중합체 용액 X1, D1을 각각 95중량%, 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 원액 Y6을 조제했다. 이 방사 원액 Y6을 580m/분의 권취 속도로, 건식 방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사(44데시텍스, 4필라멘트)(Z6)를 제조하여 권취했다.
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 포백을 제작하여, 내염소수성과 포백 중 아연의 함유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염소 열화 방지제로서 히드로탈사이트(Mg6Al2(OH)16CO3·4H2O)의 분체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35중량%의 DMAc 분산액 D4를 조제했다.
중합체 용액 X1, C1, D4를 각각 94중량%, 2중량%, 4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 원액 Y7을 조제했다. 이 방사 원액 Y7을 580m/분의 권취 속도로, 건식 방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사(44데시텍스, 4필라멘트)(Z7)를 제조하여 권취했다.
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 포백을 제작하여, 내염소수성과 포백 중 아연의 함유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중합체 용액 X1, C1을 각각 97중량%, 3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 원액 Y8을 조제했다. 이 방사 원액 Y8을 580m/분의 권취 속도로, 건식 방사함으로써, 폴리우레탄사(44데시텍스, 4필라멘트)(Z8)를 제조하여 권취했다.
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해서 포백을 제작하여, 내염소수성과 포백 중 아연의 함유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사는, 수영장 등의 염소수에 의한 열화가 적으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포백·수영복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8)

  1.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1개 갖는 분자량이 300 이상인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성 탄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을 0.15 내지 4중량% 함유하여, 상기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성 탄산염을 0.5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이, 부분 입체장애 히드록시페닐기를 적어도 2개 포함하고, 또한 비스에스테르 및 알킬리덴으로부터 선택되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이, 에틸렌-1,2-비스(3,3-비스[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탄산염이 탄산칼슘 또는 탄산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우레탄사와 그 외의 섬유를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 외의 섬유가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백.
  8.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포백이 사용되어 이루어지는 수영복.
KR1020147001477A 2011-06-23 2012-06-12 폴리우레탄사 및 그것을 사용한 포백 및 수영복 KR101972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9040A JP5688601B2 (ja) 2011-06-23 2011-06-23 ポリウレタン糸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布帛および水着
JPJP-P-2011-139040 2011-06-23
PCT/JP2012/064957 WO2012176648A1 (ja) 2011-06-23 2012-06-12 ポリウレタン糸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布帛および水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308A true KR20140039308A (ko) 2014-04-01
KR101972616B1 KR101972616B1 (ko) 2019-04-25

Family

ID=4742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477A KR101972616B1 (ko) 2011-06-23 2012-06-12 폴리우레탄사 및 그것을 사용한 포백 및 수영복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82973B2 (ko)
EP (1) EP2725126B1 (ko)
JP (1) JP5688601B2 (ko)
KR (1) KR101972616B1 (ko)
CN (3) CN108864398A (ko)
BR (1) BR112013033315B1 (ko)
HK (1) HK1198550A1 (ko)
MX (1) MX2013015258A (ko)
SG (1) SG10201408510VA (ko)
TW (1) TWI573904B (ko)
WO (1) WO20121766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54A1 (ko) * 2015-10-20 2017-04-27 주식회사 효성 염색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8601B2 (ja) 2011-06-23 2015-03-25 東レ・オペロンテ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糸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布帛および水着
JP6677936B2 (ja) * 2014-05-29 2020-04-08 東レ・オペロンテックス株式会社 消臭布帛
KR101766269B1 (ko) * 2016-03-25 2017-08-08 태광산업주식회사 내열성 및 항염소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CN111432769B (zh) * 2017-12-07 2022-07-29 东丽奥培隆特士有限公司 复合层合物体和一次性尿布
JP7138071B2 (ja) * 2019-04-01 2022-09-15 美津濃株式会社 水着
CN110885423B (zh) * 2019-11-26 2021-08-17 中交上海航道装备工业有限公司 一种齿销橡胶垫及其制备方法
EP4234786A1 (en) * 2022-02-23 2023-08-30 Nueva Expression Textil SA Protective garments made from auxetic seamless knitted fabric combined with non-newtonian fluids
EP4234788A1 (en) * 2022-02-23 2023-08-30 Nueva Expression Textil SA Auxetic seamless knitted fabric and garments made from the fabric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248A (ja) 1983-01-20 1984-07-31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S6043444A (ja) 1983-08-18 1985-03-08 Nippon Jiryoku Senko Kk 特殊鋼ダスト,スラツジ類からの有価金属回収方法
JPS6135283A (ja) 1984-07-27 1986-02-19 Ricoh Co Ltd 感熱記録材料
JPH10508916A (ja) 1995-09-07 1998-09-0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フンタイト及びヒドロマグネサイト添加物を含有するスパンデックス
JPH10292225A (ja) 1997-02-13 1998-11-04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887402B2 (ja) 1990-04-10 1999-04-26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3228351B2 (ja) 1992-09-02 2001-11-12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系弾性繊維
JP2002121537A (ja) 2000-10-11 2002-04-26 Kaisui Kagaku Kenkyusho:Kk 塩素系殺菌剤の中和剤および、樹脂および繊維組成物
KR20040007647A (ko) * 2001-06-05 2004-01-2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페놀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스판덱스
JP2005187995A (ja) * 2003-12-26 2005-07-14 Opelontex Co Ltd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2009007681A (ja) 2007-06-26 2009-01-15 Opelontex Co Ltd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35330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효성 내염소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503163A0 (es) 1980-06-20 1982-11-01 Du Pont Un procedimiento mejorado para la preparacion de una fibra spandex.
JPS5959912A (ja) 1982-09-22 1984-04-05 Toyobo Co Ltd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の製造法
JPS6126612A (ja) 1984-07-17 1986-02-05 Kuraray Co Ltd 耐加水分解性の良好なポリウレタンの製法
JP2615131B2 (ja) 1988-05-11 1997-05-28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セグメント化ポリウレタ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89516A (ja) 1989-02-28 1990-11-29 Asahi Chem Ind Co Ltd (+)―プラノプロフェン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JP2733321B2 (ja) * 1989-07-26 1998-03-30 旭化成工業株式会社 着用感の優れた編地
US5359732A (en) * 1991-07-17 1994-11-01 Waldman Herman B Swimsuit having control holding power integral in body fabric layer
US6248197B1 (en) * 1996-07-02 2001-06-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shaped multifilament, non-thermoplastic, elastomeric yarn
US6531514B2 (en) * 2000-03-15 2003-03-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ispersant slurries for making spandex
TWI238206B (en) * 2001-03-14 2005-08-21 Su Pont Toray Company Ltd Polyurethane elastic fiber and preparation thereof, cloth and swimming suit
JP2003113303A (ja) * 2001-10-04 2003-04-18 Toyobo Co Ltd ポリウレタン組成物および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
TW200728529A (en) * 2005-12-27 2007-08-01 Opelontex Co Ltd Polyurethane elastic filamen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80395B1 (ko) * 2006-09-04 2007-11-29 태광산업주식회사 항염소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및 그의제조방법
CN101809209B (zh) * 2007-06-22 2012-08-29 因维斯塔技术有限公司 聚氨酯弹性纱线及其制造方法
JP5688601B2 (ja) 2011-06-23 2015-03-25 東レ・オペロンテ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糸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布帛および水着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248A (ja) 1983-01-20 1984-07-31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S6043444A (ja) 1983-08-18 1985-03-08 Nippon Jiryoku Senko Kk 特殊鋼ダスト,スラツジ類からの有価金属回収方法
JPS6135283A (ja) 1984-07-27 1986-02-19 Ricoh Co Ltd 感熱記録材料
JP2887402B2 (ja) 1990-04-10 1999-04-26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3228351B2 (ja) 1992-09-02 2001-11-12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系弾性繊維
JPH10508916A (ja) 1995-09-07 1998-09-0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フンタイト及びヒドロマグネサイト添加物を含有するスパンデックス
JPH10292225A (ja) 1997-02-13 1998-11-04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21537A (ja) 2000-10-11 2002-04-26 Kaisui Kagaku Kenkyusho:Kk 塩素系殺菌剤の中和剤および、樹脂および繊維組成物
KR20040007647A (ko) * 2001-06-05 2004-01-2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페놀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스판덱스
JP2005187995A (ja) * 2003-12-26 2005-07-14 Opelontex Co Ltd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2009007681A (ja) 2007-06-26 2009-01-15 Opelontex Co Ltd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35330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효성 내염소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54A1 (ko) * 2015-10-20 2017-04-27 주식회사 효성 염색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33315A2 (pt) 2017-01-31
US10882973B2 (en) 2021-01-05
CN107059153A (zh) 2017-08-18
EP2725126B1 (en) 2019-08-21
TW201307629A (zh) 2013-02-16
HK1198550A1 (en) 2015-05-15
EP2725126A1 (en) 2014-04-30
TWI573904B (zh) 2017-03-11
WO2012176648A1 (ja) 2012-12-27
EP2725126A4 (en) 2015-06-03
CN103842565A (zh) 2014-06-04
KR101972616B1 (ko) 2019-04-25
SG10201408510VA (en) 2015-04-29
CN108864398A (zh) 2018-11-23
JP2013007125A (ja) 2013-01-10
MX2013015258A (es) 2014-07-09
US20140109280A1 (en) 2014-04-24
JP5688601B2 (ja) 2015-03-25
BR112013033315B1 (pt)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616B1 (ko) 폴리우레탄사 및 그것을 사용한 포백 및 수영복
JP5168401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52425B2 (ja) 繊維生地
KR100866054B1 (ko)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JP2008261071A (ja) 染色布帛の製造方法
US20220022566A1 (en) Swimsuit
TWI467068B (zh) 聚胺基甲酸酯彈性紗及其製造方法
KR20090102797A (ko) 폴리우레탄 탄성사 및 그의 제조 방법
JP3909468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の製造方法
KR20170008272A (ko) 탈취 직물
JP6061245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87995A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4613802B2 (ja) ポリウレタン系弾性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7281325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これを用いた繊維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28669A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弾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4984150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97194A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