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673A -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673A
KR20140033673A KR1020120099782A KR20120099782A KR20140033673A KR 20140033673 A KR20140033673 A KR 20140033673A KR 1020120099782 A KR1020120099782 A KR 1020120099782A KR 20120099782 A KR20120099782 A KR 20120099782A KR 20140033673 A KR20140033673 A KR 20140033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rvice
information
external device
control auth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136B1 (ko
Inventor
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136B1/ko
Priority to US14/021,442 priority patent/US10013823B2/en
Priority to PCT/KR2013/008133 priority patent/WO2014038911A1/en
Priority to JP2015531014A priority patent/JP6366586B2/ja
Priority to AU2013313755A priority patent/AU2013313755B2/en
Priority to CN201380047101.8A priority patent/CN104620618B/zh
Priority to EP13183702.3A priority patent/EP2706725B1/en
Priority to BR112015004041A priority patent/BR112015004041A2/pt
Priority to RU2015113118A priority patent/RU2015113118A/ru
Priority to MX2015002029A priority patent/MX2015002029A/es
Priority to SG11201500765QA priority patent/SG11201500765QA/en
Publication of KR2014003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4Grouping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외부 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정보 처리 방법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제어 권한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제어 권한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외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달하게 되었고, 그 크기 또한 소형화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전화를 걸고 받는 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DMB 방송 시청, 네비게이션, 음악 파일 재생, 비디오 파일 재생,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라이프 사이클이 점차적으로 짧아지고 있으며,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양은 급속도로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반하여, 차량에서 제공되는 각종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차량 단말은 저사양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차량의 라이프 사이클이 휴대용 전자 기기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차량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양과 질이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의 서비스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면서, 차량의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차량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제어 권한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제어 권한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 권한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는, 차량에 대한 주 사용자 및 보조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주 사용자이면,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에 대한 제어 권한에,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의 식별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차량의 내부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실행 결과는 상기 차량의 내부 기기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차량에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하여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에게 인증 키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인증 키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권한은 상기 차량의 주 사용자에 대한 제어 권한 및 상기 차량의 보조 사용자에 대한 제어 권한으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의 처리를 상기 외부 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권한은, 상기 차량의 주 사용자에 대한 제어 권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의 식별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차량의 내부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한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의 처리 결과는 상기 차량의 내부 기기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제어 권한을 식별하는 제어 권한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제어 권한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에 프로세스가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실행하는 차량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차량에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됨을 인식하는 연결부; 및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제어 권한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정보의 처리가, 상기 외부 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처리되는 것인,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차량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측면은, 통신 연결된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상기 디바이스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에 매칭된 제어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것인, 디바이스가 차량 단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측면은,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정보의 처리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프로세스를 통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 포함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 설정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설정된 제어 권한에 매칭된 정보인 것인, 디바이스가 차량 단말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과 디바이스(200) 간에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에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제어 권한을 설정하고,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권한 설정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가 차량(100)에 연결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자동 운전에 관한 서비스를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네비게이션에 관한 서비스를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가 차량(100)에 연결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과 디바이스(200) 간에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차량(100)과 연결되며, 차량(1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차량(100)을 대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디바이스(2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디바이스(200)의 제어 권한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제어 권한에 따라 디바이스(200)에게 소정의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목록 및 서비스에 관한 세부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서 선택된 서비스와 관련된 기기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하여, 디바이스(200)에게 선택된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은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모듈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는 차량(10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는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는 차량(100)과 디바이스(200)간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예를 들어, GPS 등을 이용하여 획득된 위치 정보를 차량(100)과 디바이스(200)가 공유하는 서비스,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정보가 차량(100)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차량(100)의 상태 및 주행에 관련된 정보가 디바이스(200)에게 제공되어 활용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는 차량(100)과 디바이스(200)간의 미디어 콘텐트 공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트 공유 서비스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음악 또는 동영상을 공유하는 서비스, 디바이스(200)의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1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서비스,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음악 또는 동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차량(100)에게 전송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는 차량(100)과 디바이스(200) 간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 공유 서비스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차량(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는 차량(100)과 디바이스(200) 간의 연결에 관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과 디바이스(200) 간의 연결에 관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UPnP를 이용한 기기 검색 서비스, 및 USB, Bluetooth, Wi-Fi Direct를 이용한 기기 연결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과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와 연결되고,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에게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100)은 차량의 제조 시에 설치된 헤드 유닛 뿐만 아니라, 차량에 별도로 설치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랩톱,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0에서 차량(100) 및 디바이스(200)가 서로 통신 연결된다. 단계 S200에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의 계기판 주변에 위치한 덱(Deck)에 삽입되어 차량(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및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차량(100)과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는, WiFi (Wireless Fidelity) 통신, Bluetooth 통신을 통하여 차량(100)과 연결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의 제어 권한을 식별한다. 차량(100)은 디바이스(2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식별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에게 미리 발급한 식별 값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에게 미리 발급한 식별 값은 디바이스(200)의 제어 권한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차량(200)이 디바이스(200)에게 미리 발급한 식별 값은, 예를 들어, “주 사용자” 및 “부 사용자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차량(200)이 디바이스(200)에게 미리 발급한 식별 값은, 예를 들어, “차량 주인”, “운전자 1”, “운전자 2”, 및 “게스트”와 같이 구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권한은,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 및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차량(100)에 포함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한다. 또한, 서비스는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는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차량(100)에 의하여 생성되어 디바이스(200)에게 미리 제공될 수 있으며, 차량(100)은 생성된 인증 정보와 제어 권한을 미리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100)의 주 사용자의 디바이스(200)에 대한 인증 정보에 대하여,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에 대한 제어 권한을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100)의 보조 사용자의 디바이스(200)에 대한 인증 정보에 대하여,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의 주 사용자는 차량(100)을 운전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100)의 소유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보조 사용자는 차량(100)을 운전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자로서, 예를 들어, 차량(100)의 소유주의 지인일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차량(100)은 식별된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차량(100)은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의 목록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의 목록은, 디바이스(200)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주 사용자의 디바이스(200)에게,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의 목록 및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에 관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100)은 보조 사용자의 디바이스(200)에게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의 목록만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한다.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으로부터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디바이스(200)는 선택된 서비스를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디바이스(200)는 선택된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선택된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차량(100) 내의 장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자동 운전 서비스인 경우에,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자동 운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자동 운전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차량(100) 내의 장치 정보로서, 예를 들어, 핸들, 엑셀레이터, 브레이크, 기어 변속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자동 운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의 핸들, 엑셀레이터, 브레이크, 기어 변속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300 에서 차량(100) 및 디바이스(200)는 서로 통신 연결된다. 단계 S300에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의 계기판 주변에 위치한 덱(Deck)에 삽입되어 차량(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및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차량(100)과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는, WiFi (Wireless Fidelity) 통신, Bluetooth 통신을 통하여 차량(100)과 연결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인증 정보는 차량(100)으로부터 디바이스(200)에게 미리 발급되어 디바이스(200)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차량(100)과 디바이스(200)가 연결됨에 따라 디바이스(200)로부터 차량(1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인증 정보를 요청하고, 디바이스(200)는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차량(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차량(100)의 ID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의 ID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차량(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디바이스(200) 또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의 ID, 사용자의 ID, 및 인증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디바이스(200) 내에 미리 발급된 인증 키가 없는 경우에는, 디바이스(200)는 empty key를 차량(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별도의 인증 키를 발급받을 수 있다.
만약, 디바이스(200) 내에 미리 발급된 인증 키가 있는 경우에는, 디바이스(200)는 미리 발급된 인증 키를 소정의 절차를 통해 차량(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서 소정의 인증키가 선택됨에 따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의 비밀 번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비밀 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비밀 번호들이 서로 일치하면, 선택된 인증키를 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를 인증한다. 차량(100)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200)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자신이 미리 발급한 인증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함으로써 디바이스(200)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 S306 에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에게 서비스 정보를 요청한다.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을 대신하여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앞서, 차량(100)으로부터 디바이스(200)가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08에서 수신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식별한다. 제어 권한은,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 및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차량(100)에 포함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한다. 또한, 서비스는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는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안전관 관련된 서비스 및 차량의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미리 분류되어 차량(100)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은 차량(100)에 의하여 미리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100)의 주 사용자의 디바이스(200)에 대한 인증 정보에 대하여,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에 대한 제어 권한을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100)의 보조 사용자의 디바이스(200)에 대한 인증 정보에 대하여,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의 주 사용자는 차량(100)을 운전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100)의 소유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보조 사용자는 차량(100)을 운전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자로서, 예를 들어, 차량(100)의 소유주의 지인일 수 있다. 인증 정보와 매칭된 제어 권한에 대하여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10에서 차량(100)은 식별된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한다. 차량(100)은 식별된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목록을 DB(미도시)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인증 키 ‘A’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이 주 사용자의 제어 권한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 운전 서비스’ 및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100)은 인증 키 ‘B’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이 보조 사용자의 제어 권한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영상 재생 서비스’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312에서 차량(100)은 추출된 서비스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차량(100)은 추출된 서비스 목록을 디바이스(200)의 프로토콜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서비스 목록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14에서 디바이스(200)는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선택한다.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운전 서비스’ 및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자동 운전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동영상 재생 서비스’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S316에서 디바이스(200)는 선택된 서비스의 식별 값을 차량(100)에게 제공한다. 디바이스(200)는 선택된 서비스의 이름 또는 ID를 차량(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18에서 차량(100)은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장치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위하여 차량(100) 내의 다양한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 입력 장치 등과 같은 차량(100) 내의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장치에 관한 정보를 DB(미도시)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장치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자동 운전 서비스’인 경우에, 차량(100)은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동영상 재생 서비스’인 경우에, 차량(100)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200)는 자신의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장치 정보에 포함된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장치 정보에 포함된 장치를 디바이스(200)의 외부 리소스로 활용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장치 정보에 포함된 장치를 디바이스(200)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320에서 차량(100)은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차량(100)은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200)가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차량(100)은 소정의 링크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322에서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서비스를 실행한다. 디바이스(200)는 선택된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100) 내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자동 운전 서비스’인 경우에, 디바이스(200)는 자동 운전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AA’를 실행하고 차량(100) 내의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동영상 재생 서비스’인 경우에, 디바이스(200)는 자동 운전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BB’를 실행하고 차량(100) 내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동영상의 재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에는 차량(100)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에이전트(agent)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에이전트는 디바이스(200)가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는 차량(100)에 포함된 장치를 디바이스(200)에 연결된 외부 리소스로 인식하고, 디바이스(200)의 내부 리소스 및 외부 리소스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서비스가 실행되면, 에이전트는 차량(100)에 포함된 장치를 통해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에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400에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에게 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인증 정보는 차량(100)으로부터 디바이스(200)에게 미리 발급되어 디바이스(200)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차량(100)과 디바이스(200)가 연결됨에 따라 디바이스(200)는 인증 정보를 차량(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인증 정보를 요청하고, 디바이스(200)는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차량(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디바이스(200) 또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의 ID, 사용자의 ID, 및 인증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차량(100)은 수신된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식별한다. 단계 S402에서 차량(100)은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200)를 인증하고,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 권한은,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 및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차량(100)에 포함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한다. 또한, 서비스는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은 차량(100)에 의하여 미리 매칭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차량(100)은 식별된 제어 권한이 주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인지를 판단한다. 차량(100)의 주 사용자는 차량(100)을 운전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100)의 소유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주 사용자가 아닌 자는 차량(100)을 운전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자로서, 예를 들어, 차량(100)의 소유주의 지인일 수 있다.
단계 S404에서의 판단 결과, 식별된 제어 권한이 주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이 아니면, 단계 S406에서 차량(100)은 차량의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 정보만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의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의 목록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의 판단 결과, 식별된 제어 권한이 주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이면, 단계 S408에서 차량(100)은 차량의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 정보 및 차량의 안전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는, 예를 들어,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안전관 관련된 서비스 및 차량의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미리 분류되어 차량(100)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단계 S408에서 차량(100)은 차량의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 및 차량의 안전에 관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목록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제어 권한을 설정하고,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500에서 차량(100) 및 디바이스(200)는 서로 통신 연결된다. 단계 S500에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의 계기판 주변에 위치한 덱(Deck)에 삽입되어 차량(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및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차량(100)과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는, WiFi (Wireless Fidelity) 통신, Bluetooth 통신을 통하여 차량(100)과 연결될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차량(100)은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차량(100)는 디바이스(200)가 차량(100)에 최초로 접속하는 경우에,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디바이스(200)에 대한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100)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대하여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100)은 난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200)에 대한 인증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100)은 공개키 및 개인키 중 적어도 하나를 디바이스(200)에 대한 인증 키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소정의 식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값은 제어 권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값은, 예를 들어, “주 사용자” 및 “부 사용자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식별 값은, 예를 들어, “차량 주인”, “운전자 1”, “운전자 2”, 및 “게스트”와 같이 구별될 수도 있다.
단계 S504에서 차량(100)은 생성된 인증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차량(100)은 생성된 인증 정보를 차량(100)의 DB(미도시)에 저장하고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차량(100)은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설정한다. 차량(100)은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인증 정보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권한은 주 사용자의 제어 권한 및 보조 사용자의 제어 권한으로 분류되어 인증 정보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 권한은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조합에 대하여 매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에서,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에 관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인증 정보에 매칭할 수 있다.
단계 S508에서 차량(100)은 설정된 제어 권한에 관한 서비스를 확인한다. 차량(100)은 단계 S506에서 제어 권한에 매칭된 서비스들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차량(100)은 확인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의 처리를 디바이스(200)에게 요청한다. 단계 S510에서 차량(100)은 확인된 서비스의 목록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확인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차량(100) 내의 장치, 확인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 내의 장치는, 예를 들어,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파일 및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510에서 차량(100)은 확인된 서비스 중에서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의 처리를 디바이스(200)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100)은 확인된 서비스의 목록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하고, 디바이스(200)로부터 선택된 서비스의 식별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12에서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정보를 처리한다. 단계 S512에서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확인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100) 내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권한 설정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권한 설정 테이블은, 인증키 필드(60), 제어 권한 필드(62), 서비스 필드(64), 장치 필드(66), 및 애플리케이션 필드(68)를 포함한다.
인증키 필드(60)에는 차량(100)에 의해 생성된 인증 키의 식별 값이 기록된다.
제어 권한 필드(62)에는 인증 키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의 속성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사용자’ 또는 ‘보조 사용자’가 기록될 수 있다.
서비스 필드(64)에는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식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서비스 필드(64)에는,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서비스’, ‘동영상 재생 서비스’, ‘네비게이션 서비스’ 및 ‘졸음 방지 알람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장치 필드(66)에는, 서비스 필드(64)에 기록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차량(100) 내의 장치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장치 필드(66)에는, 예를 들어,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필드(68)에는 서비스 필드(64)에 기록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별로 세부적인 제한 사항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운전 서비스의 운전 속도의 범위가 제어 권한 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운전 속도의 범위 내에서 자동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검색 지역이 제어 권한 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검색 지역에 대하여 경로 안내를 위한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를 통해 공유되는 콘텐트의 종류 별로 제어 권한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차량(100) 및 디바이스(200)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별로 주 사용자 및 부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권한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에서 획득된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 차량(100)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 디바이스(200)의 전화 통화를 차량(100)에 연결할 수 있는 권한, 차량(100)의 스피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 디바이스(200)의 음악 또는 동영상을 차량(100)에게 스트리밍 할 수 있는 권한, 디바이스(200)의 화면을 차량(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는 권한, 차량(100)의 기능을 검색할 수 있는 권한, 검색된 차량(100)의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사용자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ODB(On-Board Diagnostic)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사용자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가 차량(100)에 연결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의 계기판 주변의 deck(10) 내에 삽입됨으로써, 차량(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deck(10) 내에는 디바이스(200)와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접속 단자(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및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차량(100)과 유선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200)는 차량(100)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는, WiFi (Wireless Fidelity) 통신, Bluetooth 통신을 통하여 차량(1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자동 운전에 관한 서비스를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자동 운전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지도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차량의 자동 운전을 위하여 필요한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 내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 장치 정보 내에 포함된 장치를 디바이스(200)가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100)내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핸들, 엑셀레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을 운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네비게이션에 관한 서비스를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지도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디스플레이, 스피커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 장치 정보 내에 포함된 장치를 디바이스(200)가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목적지를 향한 경로 정보를 차량(100)의 장치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차량(100) 내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의 경로 정보를 차량(1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을 별도로 제어하지 않고 차량(100)에게 경로 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가 차량(100)에 연결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위한 동영상 파일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동영상의 재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디스플레이, 스피커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 장치 정보 내에 포함된 장치를 디바이스(200)가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동영상을 재생하고, 동영상의 재생 결과를 차량(100)의 장치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차량(100) 내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동영상의 재생 결과를 차량(1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200)는 차량(100)을 별도로 제어하지 않고 차량(100)에게 동영상의 재생 결과 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연결부(210105), 제어 권한 설정부(110), 인증부(115), 제어 권한 식별부(120), 서비스 정보 추출부(125), 서비스 정보 제공부(130), 장치 정보 제공부(135),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140), 출력부(145), DB(150), 송수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연결부(210105)는 디바이스(200)와 차량(100)을 통신 연결한다. 디바이스(200)가 차량(100)의 계기판 주변에 위치한 덱(Deck)에 삽입되면, 연결부(210105)는 디바이스(200)와 차량(1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210105)는, 예를 들어, 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및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디바이스(200)를 차량(100)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0105)는 디바이스(200)를 차량(100)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10105)는, WiFi (Wireless Fidelity) 통신, Bluetooth 통신을 통하여 디바이스(200)를 차량(100)과 연결할 수 있다.
인증부(115)는 차량(100)에 연결된 디바이스(200)를 인증한다. 인증부(115)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200)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15)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자신이 미리 발급한 인증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함으로써 디바이스(200)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15)는 디바이스(200)에게 인증 정보를 발급할 수 있다.
제어 권한 설정부(110)는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설정한다. 제어 권한 설정부(110)는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인증 정보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권한은 주 사용자의 제어 권한 및 보조 사용자의 제어 권한으로 분류되어 인증 정보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 권한은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조합에 대하여 매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권한 설정부(110)는,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에서,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에 관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인증 정보에 매칭할 수 있다.
제어 권한 식별부(12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식별한다. 또한, 서비스 정보 추출부(125)는 식별된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를 DB(150)로부터 추출한다. 제어 권한 식별부(120)는 식별된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목록을 DB(15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권한 식별부(120)는 인증 키 ‘A’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이 주 사용자의 제어 권한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 운전 서비스’ 및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 권한 식별부(120)는 인증 키 ‘B’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이 보조 사용자의 제어 권한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영상 재생 서비스’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제공부(130)는 추출된 서비스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정보 제공부(130)는 추출된 서비스 목록을 디바이스(200)의 프로토콜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서비스 목록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정보 제공부(135)는 디바이스(200)에서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장치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위하여 차량(100) 내의 다양한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 입력 장치 등과 같은 차량(100) 내의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장치 정보 제공부(135)는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장치에 관한 정보를 DB(15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장치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자동 운전 서비스’인 경우에, 장치 정보 제공부(135)는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동영상 재생 서비스’인 경우에, 장치 정보 제공부(135)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200)는 자신의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장치 정보에 포함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140)는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140)는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200)가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140)는 소정의 링크 정보를 디바이스(2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출력부(145)는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된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출력한다. 출력부(145)는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된 서비스의 실행 영상 및 사운드를 차량(100) 내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5)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100) 내의 장치의 제어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100) 내의 장치를 동작시킨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별도의 출력부(145)를 통하지 않고, 디바이스(200)가 차량(100) 내의 장치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DB(150)는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부(160)는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각종의 정보를 디바이스(200)와 송수신한다.
제어부(160)는 차량(100)이 차량(100)이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연결부(210105), 제어 권한 설정부(110), 인증부(115), 제어 권한 식별부(120), 서비스 정보 추출부(125), 서비스 정보 제공부(130), 장치 정보 제공부(135),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140), 출력부(145), DB(150), 및 송수신부(160)를 제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의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연결부(210), 인증 정보 제공부(220), 서비스 선택부(230), 서비스 실행부(240), DB(250), 송수신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연결부(210)는 디바이스(200)와 차량(100)을 통신 연결한다. 디바이스(200)가 차량(100)의 계기판 주변에 위치한 덱(Deck)에 삽입되면, 연결부(210)는 디바이스(200)와 차량(100)을 연결할 수 있다.
인증 정보 제공부(220)는 차량(100)에게 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인증 정보는 차량(100)으로부터 디바이스(200)에게 미리 발급되어 디바이스(200)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차량(100)과 디바이스(200)가 연결됨에 따라 디바이스(200)로부터 차량(1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디바이스(200)에게 인증 정보를 요청하고, 디바이스(200)는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차량(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디바이스(200) 또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의 ID, 사용자의 ID, 및 인증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디바이스(200) 내에 미리 발급된 인증 키가 없는 경우에는, 디바이스(200)는 empty key를 차량(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선택부(23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한다. 서비스 선택부(23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선택부(23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운전 서비스’ 및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자동 운전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 선택부(23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동영상 재생 서비스’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서비스 실행부(240)는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서비스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실행부(240)는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차량(100) 내의 장치, 확인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 내의 장치는, 예를 들어,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파일 및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링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서비스 실행부(240)는 선택된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100) 내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자동 운전 서비스’인 경우에, 서비스 실행부(240)는 자동 운전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AA’를 실행하고 차량(100) 내의 핸들,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가 ‘동영상 재생 서비스’인 경우에, 서비스 실행부(240)는 자동 운전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BB’를 실행하고 차량(100) 내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동영상의 재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DB(250)는 디바이스(200)가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부(260)는 디바이스(200)가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각종의 정보를 차량(100)과 송수신한다.
제어부(270)는 디바이스(200)가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인증 정보 제공부(220), 서비스 선택부(230), 서비스 실행부(240), DB(250), 송수신부(26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제어 권한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제어 권한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상기 외부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정보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 권한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식별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차량에 대한 주 사용자 및 보조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키 값을 포함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주 사용자이면,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에 대한 제어 권한에,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포함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의 식별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가 실행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차량의 내부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실행 결과는 상기 차량의 내부 기기에 의해 출력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8. 차량에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정보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하여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에게 인증 키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인증 키에 대응되는 제어 권한을 매칭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권한은 상기 차량의 주 사용자에 대한 제어 권한 및 상기 차량의 보조 사용자에 대한 제어 권한으로 구별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의 처리를 상기 외부 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통하여 수행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권한은, 상기 차량의 주 사용자에 대한 제어 권한에 포함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자동 운전 기능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졸음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 관한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콘텐트 재생 기능, 및 전화 통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의 식별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가 처리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차량의 내부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한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의 처리 결과는 상기 차량의 내부 기기에 의해 출력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6.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제어 권한을 식별하는 제어 권한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제어 권한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된 서비스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에 프로세스가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실행하는 차량 단말.
  17. 차량에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됨을 인식하는 연결부; 및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제어 권한 설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제어 권한에 대응되는 정보의 처리가, 상기 외부 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처리되는 것인,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차량 단말.
  18. 디바이스가 차량 단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연결된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상기 디바이스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에 매칭된 제어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것인, 디바이스의 서비스 실행 방법.
  19. 디바이스가 차량 단말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정보의 처리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프로세스를 통하여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 포함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차량 단말에 의해 설정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설정된 제어 권한에 매칭된 정보인 것인, 디바이스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0120099782A 2012-09-10 2012-09-10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974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82A KR101974136B1 (ko) 2012-09-10 2012-09-10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4/021,442 US10013823B2 (en) 2012-09-10 2013-09-09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2015531014A JP6366586B2 (ja) 2012-09-10 2013-09-10 車両の情報を処理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U2013313755A AU2013313755B2 (en) 2012-09-10 2013-09-10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PCT/KR2013/008133 WO2014038911A1 (en) 2012-09-10 2013-09-10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201380047101.8A CN104620618B (zh) 2012-09-10 2013-09-10 车辆信息处理系统和方法
EP13183702.3A EP2706725B1 (en) 2012-09-10 2013-09-10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BR112015004041A BR112015004041A2 (pt) 2012-09-10 2013-09-10 método de processamento de informação do veículo executado usando um aparelho externo conectado a um veículo, veículo para execução de um serviço utilizando um aparelho externo, e método em que um dispositivo executa um serviço que é fornecido por um veículo
RU2015113118A RU2015113118A (ru) 2012-09-10 2013-09-10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MX2015002029A MX2015002029A (es) 2012-09-10 2013-09-10 Sistema y metod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on de vehiculo.
SG11201500765QA SG11201500765QA (en) 2012-09-10 2013-09-10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82A KR101974136B1 (ko) 2012-09-10 2012-09-10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673A true KR20140033673A (ko) 2014-03-19
KR101974136B1 KR101974136B1 (ko) 2019-04-30

Family

ID=4944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782A KR101974136B1 (ko) 2012-09-10 2012-09-10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013823B2 (ko)
EP (1) EP2706725B1 (ko)
JP (1) JP6366586B2 (ko)
KR (1) KR101974136B1 (ko)
CN (1) CN104620618B (ko)
AU (1) AU2013313755B2 (ko)
BR (1) BR112015004041A2 (ko)
MX (1) MX2015002029A (ko)
RU (1) RU2015113118A (ko)
SG (1) SG11201500765QA (ko)
WO (1) WO2014038911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3227B2 (en) 2014-09-23 2017-06-27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linkage between devices using comparison between service identifiers
KR20180076464A (ko) * 2016-12-28 2018-07-06 (주)이로움 운전자 졸음 경고 시스템
WO2020028206A1 (en) * 2018-07-30 2020-02-06 Drivent Llc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KR20200027280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WO2020111352A1 (ko) * 2018-11-30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장치 및 차량 제어방법
KR20200134038A (ko) * 2019-05-21 2020-1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인포테인먼트 마스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통합 관리 시스템
US11221622B2 (en) 2019-03-21 2022-01-11 Drivent Llc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1644833B2 (en) 2018-10-01 2023-05-09 Drivent Llc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1789460B2 (en) 2018-01-06 2023-10-17 Drivent Llc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10752A1 (de) * 2014-07-21 2016-01-21 Wabco Gmbh Verfahren zum Aufbau einer drahtlosen Verbindung
WO2016075865A1 (ja) * 2014-11-12 2016-05-1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更新管理方法、更新管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835935B2 (ja) * 2014-11-12 2021-02-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更新管理方法、更新管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A2968973C (en) 2014-11-29 2024-03-05 The Coca-Cola Company Novel diterpene glycosides, compositions and purification methods
KR101683648B1 (ko) * 2015-01-16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의 음향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US20160380914A1 (en) * 2015-06-25 2016-12-29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ource load distribution for embedded systems
DE102015214505A1 (de) * 2015-07-30 2017-02-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tausch von Daten mit der Steuerelektronik eines Kraftfahrzeugs
US9640066B2 (en) 2015-09-21 2017-05-0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remote control betwe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ne or more vehicle systems
CN106228653B (zh) * 2016-07-29 2020-04-21 合肥西杰电子科技有限公司 虚拟车钥匙的解锁方法、请求终端、车钥匙及系统
CN106330940A (zh) * 2016-08-31 2017-01-1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车辆终端、虚拟钥匙分享方法及系统
CN106408701A (zh) * 2016-08-31 2017-02-15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车辆终端、虚拟钥匙分享方法及系统
CN107809359B (zh) * 2016-09-08 2021-01-19 深圳华一汽车科技有限公司 基于局域网udp协议的汽车系统支持即插即用设备的方法
CN106559566B (zh) * 2016-11-10 2021-06-04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增值服务的智能控制方法及系统
CN106878292A (zh) * 2017-01-23 2017-06-20 斑马信息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车载设备和交通运输工具
CN108734816A (zh) * 2017-04-21 2018-11-02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车辆门锁的控制方法及装置
US10462193B2 (en) * 2017-06-07 2019-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add-on multimedia playback and capture devices
CN109144040B (zh) * 2017-06-16 2023-09-05 纵目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系统通过识别控制信息控制车辆的方法和系统
JP7069730B2 (ja) * 2018-01-11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14946B2 (ja) * 2018-03-07 202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管理プログラム
JP7069975B2 (ja) * 2018-03-30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装置用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6962258B2 (ja) * 2018-03-30 2021-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装置用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184A (ja) * 2000-09-19 2002-03-26 Mazda Motor Corp 車両用情報処理装置および車両用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録媒体
US20100037057A1 (en) * 2008-08-11 2010-02-11 Tel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networked mobile devices in vehicles
JP2010514604A (ja) * 2006-12-20 2010-05-06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モートディスプレイ再現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4639A (en) * 1980-12-02 1983-09-13 Chevron Research Company Automotive diagnostic system
US6993421B2 (en) * 1999-07-30 2006-01-31 Oshkosh Truck Corporation Equipment service vehicle with network-assisted vehicle service and repair
US6662233B1 (en) 1999-09-23 2003-12-09 Intel Corporation System dynamically translates trans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version of a content element having a bandwidth corresponding to bandwidth capability of a recipient
JP4186440B2 (ja) 2001-08-07 2008-11-26 オムロン株式会社 車両搭載機器の制御システム、携帯電話機、及び車両搭載機器の制御方法
CN1722621A (zh) 2004-07-16 2006-01-18 廖用铁 用移动电话遥控车辆的方法及装置
JP4598734B2 (ja) 2006-09-12 2010-1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鍵情報配信サーバー、携帯端末、鍵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車両設定用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9324230B2 (en) 2008-12-04 2016-04-26 Gente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control system of a vehicle using induction field communication
US20090265055A1 (en) * 2008-04-17 2009-10-22 Winston Lynn Gillie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omotive diagnostics
JP2009286343A (ja) 2008-05-30 2009-12-10 Fujitsu Ten Ltd 遠隔車両制御システム、乗員認証装置および遠隔車両制御方法
KR100998654B1 (ko) 2008-08-28 2010-12-07 정대철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출력 방법
KR20100037488A (ko)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US20100125387A1 (en) * 2008-11-17 2010-05-20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of integrated telematics ser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JP5560582B2 (ja) 2009-04-13 2014-07-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載装置、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端末システム
TWM389063U (en) 2010-03-16 2010-09-21 Wonde Proud Technology Co Ltd Vehicle mobile device control system
KR20120088008A (ko) 2010-09-13 2012-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텐츠 연동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연동 방법
US8886398B2 (en) 2010-09-17 2014-11-11 Clarion Co., Ltd. In-car information system, in-car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CN102063101A (zh) 2010-11-05 2011-05-1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远程控制方法、系统和装置
KR20120053895A (ko) 2010-11-18 2012-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US8918230B2 (en) * 2011-01-21 2014-12-23 Mitre Corporation Teleoperation of unmanned ground vehicle
US9126545B2 (en) * 2011-02-25 2015-09-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ystems activ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US8731627B2 (en) * 2011-04-04 2014-05-20 General Motors Llc Method of using a smart phone as a telematics device interface
US20110307188A1 (en) 2011-06-29 2011-12-15 State Farm Insurance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river feedback using a handheld mobile device
KR20130004824A (ko) * 2011-07-04 2013-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184A (ja) * 2000-09-19 2002-03-26 Mazda Motor Corp 車両用情報処理装置および車両用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録媒体
JP2010514604A (ja) * 2006-12-20 2010-05-06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モートディスプレイ再現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037057A1 (en) * 2008-08-11 2010-02-11 Tel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networked mobile devices in vehicle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3227B2 (en) 2014-09-23 2017-06-27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linkage between devices using comparison between service identifiers
KR20180076464A (ko) * 2016-12-28 2018-07-06 (주)이로움 운전자 졸음 경고 시스템
US11789460B2 (en) 2018-01-06 2023-10-17 Drivent Llc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WO2020028206A1 (en) * 2018-07-30 2020-02-06 Drivent Llc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KR20200027280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US11644833B2 (en) 2018-10-01 2023-05-09 Drivent Llc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WO2020111352A1 (ko) * 2018-11-30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장치 및 차량 제어방법
KR20200066583A (ko) * 2018-11-30 2020-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장치 및 차량 제어방법
US11221622B2 (en) 2019-03-21 2022-01-11 Drivent Llc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1221621B2 (en) 2019-03-21 2022-01-11 Drivent Llc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KR20200134038A (ko) * 2019-05-21 2020-1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인포테인먼트 마스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136B1 (ko) 2019-04-30
WO2014038911A1 (en) 2014-03-13
BR112015004041A2 (pt) 2017-07-04
AU2013313755B2 (en) 2017-04-13
MX2015002029A (es) 2015-06-22
JP6366586B2 (ja) 2018-08-01
AU2013313755A1 (en) 2015-02-26
EP2706725A1 (en) 2014-03-12
RU2015113118A (ru) 2016-10-27
CN104620618B (zh) 2019-05-31
US20140074318A1 (en) 2014-03-13
US10013823B2 (en) 2018-07-03
SG11201500765QA (en) 2015-02-27
JP2015535358A (ja) 2015-12-10
EP2706725B1 (en) 2018-07-18
CN104620618A (zh)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136B1 (ko)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832027B (zh) 用于向显示设备认证用户设备的方法、系统和介质
US201400257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ontent
KR20170048239A (ko)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10291967B2 (en) Function upgrad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90095582A (ko) 다른 전자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08829481B (zh) 基于控制电子设备的遥控器界面的呈现方法
US959080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by means of a motor vehicle
EP3261318A1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472405B1 (ko) 차량용 avn과 사용자 단말기 간 멀티 미러링 방법
US9172985B2 (en) Video playback system allowing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o control the same video decoder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20170088017A (ko)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0093A (ko) 차량용 avn 및 모바일 단말장치
KR102062805B1 (ko) 자동차와 연동되는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15225627A (zh) 文件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50327300A1 (en) Vehicle-mounted device,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757167A (zh) 移动终端及其投影车载屏幕的方法和车载投影系统
KR20200053752A (ko)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90090535A (ko) 외부 전자 장치와 페어링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22166B1 (ko) 사용자별 미디어 컨텐츠 생성 및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536049B1 (ko) 단말간 기능 공유 방법
KR20230033554A (ko) 차량용 주차연락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