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280A -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280A
KR20200027280A KR1020180105381A KR20180105381A KR20200027280A KR 20200027280 A KR20200027280 A KR 20200027280A KR 1020180105381 A KR1020180105381 A KR 1020180105381A KR 20180105381 A KR20180105381 A KR 20180105381A KR 20200027280 A KR20200027280 A KR 20200027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voice
vehicle
controlling
auth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768B1 (ko
Inventor
최명빈
양승욱
이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7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4Segmentation; Word boundary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9Driver vo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환경 내에서 발화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되는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단계에서, 인식된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발화자가 권한자이면, 인식된 음성에 따라 안전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vehicle using speech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인식 시, 안전문제에 따라 주행 및 시야에 방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음성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인식 기술은 화자의 음성을 인식한 후 잡음을 처리하는 전처리부와 인식된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고, 음성모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음성과 비교하여 그 음성인식 결과를 시스템 제어에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에 탑재된 음성인식 기술은 집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기능과 같이 발전하지 못하고, 주로 사진 촬영, 목적지 설정 등과 같은 편의 사항에 대한 기능 위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 환경에서는 일반 환경과 달리 발화자의 권한을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발화자의 음성인 인식할 경우 차량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환경에서의 음성인식은 탑승자 중 발화자를 인식하고, 그 발화자의 권한을 확인해야 하며, 특정 기능에 대해서는 작동 권한자를 지정하여 해당 권한자가 발화자 일 때에만 작동하도록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는 차량 환경 내에서 발화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인식된 음성을 발화한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권한자 판단부; 상기 인식되는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하는 음성 기능 판단부; 및 상기 인식된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상기 음성을 발화한 발화자가 권한자인지의 여부에 따라 음성에 따른 안전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권한자 판단부는, 발화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발화자의 영상과 기등록된 권한자의 영상을 비교하여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음성이 편의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음성에 따른 편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기능 및 편의기능을 위한 제어 시, 해당 음성이 제한 기능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제한 기능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화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권한을 설정, 권한자에 따른 안전기능 및 편의기능에 대한 제어 여부를 설정 및 권한자에 대한 기능 제한 여부를 설정하는 권한 정보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기능은 차량의 주행에 영항을 미치는 기능으로, 차량의 주행모드 기능, 안전기능 설정 기능 중 하나이고, 기능인 상기 편의기능은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능으로 미디어 제어기능, 전화 연결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은 차량 환경 내에서 발화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되는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단계에서, 인식된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발화자가 권한자이면, 인식된 음성에 따라 안전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발화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얼굴 비교를 통해 안전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단계에서, 인식된 음성이 편의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인식된 음성에 따라 편의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인식된 음성에 따라 안전기능 또는 편의기능 수행 시, 기능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제한 기능이 설정되면, 수행중인 안전기능 또는 편의기능에 대한 제어를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안전기능은 차량의 주행에 영항을 미치는 기능으로, 차량의 주행모드 기능, 안전기능 설정 기능 중 하나이고, 기능인 상기 편의기능은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능으로 미디어 제어기능, 전화 연결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발화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발화자의 음성에 대하여 안전기능 및 편의기능의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권한자에 대한 기능 제한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을 인식하면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함으로써, 무분별한 음성인식 제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음성 인식 시 발화자의 권한에 따라 음성인식의 안전기능을 제어함으로써, 무분별한 음성인식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권한자 판단부의 세부 구성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권한자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에서 권한자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는 음성인식부(100), 권한자 판단부(200), 음성 기능 판단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음성인식부(100)는 차량 환경 내에서 발화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음성인식부(100)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입력되는 음성에 대하여 특징인 인식구간을 추출하고, 추출된 인식구간을 음성모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발화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그리고 권한자 판단부(200)는 상기 인식된 음성을 발화한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음성 기능 판단부(300)는 상기 인식되는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기능은, 차량의 주행을 상황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모드 기능, 안전기능 설정 기능 중 하나이고, 상기 편의기능은 차량의 주행과는 관계없는 미디어 제어기능, 전화 연결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이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인식된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상기 음성을 발화한 발화자가 권한자인지의 여부에 따라 음성에 따른 안전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을 인식하면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함으로써, 무분별한 음성인식 제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음성 인식 시 발화자의 권한에 따라 음성인식의 안전기능을 제어함으로써, 무분별한 음성인식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권한자 판단부(200)의 세부 구성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한자 판단부(200)는 촬영부(210)와 판단부(220)를 포함한다.
촬영부(210)는 발화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촬영부(210)는 카메라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부(220)는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발화자의 영상과 기등록된 권한자의 영상을 비교하여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인식된 음성이 편의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음성에 따른 편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히 발화자의 음성에 따라 차량의 안전기능 또는 편의기능을 제어하지 않고, 권한자에 맞게 안전기능과 편의기능을 제어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어부(400)는 안전기능 및 편의기능을 위한 제어 시, 해당 음성이 제한 기능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제한 기능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제한 기능은 기본적으로 발화자에 의해 설정될 것이나, 타인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기능 제한이 설정된 편의기능이나 개인정보와 관련된 개인화 기능에 해당하면, 편의기능이라 하더라도 실행에 대한 권한 여부를 더 판단한다.
만약, 제한이 설정된 편의기능에 대한 권한이 없는 경우, 해당 편의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편의기능에 특정 개인 정보와 관련된 개인화 기능이라면, 발화자가 편의기능을 수행하고자 발화하더라도 해당 개인화 기능을 설정한 설정자가 아니면 해당 편의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의기능 중 시트를 음성으로 조작하기 위한 편의기능을 예로 설명한다.
사전에 음성으로 시트를 조작하기 위한 편의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트를 고속주행 모드 시의 시트의 위치, 기울기, 높이 등으로 변경하고자 "시트를 고속 운행 모드로 변경해 줘!"라고 발화한다.
그러면, 제어부(400)는 시트 위치 변경이 특정 개인에게 맞는 개인화 기능으로 설정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발화자의 음성이 해당 개인화 기능을 설정한 자인지를 확인하여 "시트를 고속 운행 모드로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화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권한을 설정, 권한자에 따른 안전기능 및 편의기능에 대한 제어 여부 즉, 개인화 기능을 설정하거나 권한자에 대한 기능 제한 여부를 설정하는 권한 정보 설정부(500)를 더 포함한다.
개인화 기능의 예로서, 편의기능 중 일정관리나 전술한 속도별 시트의 위치, 높이, 기울기 등과 같은 편의기능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화 기능 설정은 발화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실행(예컨대, 속도별로 시트 위치 조정)하고, 음성 등록 단계로 진입하여 발화자가 자신의 음성을 해당 기능에 등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은 차량내 장착된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음성 인식부는 차량 환경 내에서 발화되는 음성을 인식한다(S100).
이어서, 상기 인식되는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한다(S200).
만약, 상기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단계(S200)에서, 인식된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YES),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g한다(S3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0)는 발화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인식한다(S310).
이어서, 인식된 얼굴 비교를 통해 안전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자인지를 판단한다(S320).
여기서, 상기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0)에서 발화자가 권한자이면(YES), 인식된 음성에 따라 안전기능을 제어한다(S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얼굴 인식 기능을 통해 권한자를 판단하였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단계(S200)에서, 인식된 음성이 편의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NO), 인식된 음성에 따라 편의기능을 제어한다(S500).
여기서, 상기 안전기능은 차량의 주행에 영항을 미치는 기능으로, 차량의 주행모드 기능, 안전기능 설정 기능 중 하나이고, 기능인 상기 편의기능은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능으로 미디어 제어기능, 전화 연결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한편, 상기 안전기능을 제어하는 단계(S400)와 편의기능을 제어하는 단계(S500)는 인식된 음성에 따라 안전기능 또는 편의기능 수행 시, 기능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기능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행중인 안전기능 또는 편의기능에 대한 제어를 거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에서 권한자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한자를 설정하는 방법은 발화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S510).
이어서, 입력된 발화자의 음성에 대하여 안전기능 및 편의기능의 권한을 설정한다(S520).
이후, 권한자에 대한 기능 제한 여부를 설정한다(S530).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음성인식부 200 : 권한자 판단부
300 : 음성 기능 판단부 400 : 제어부

Claims (14)

  1. 차량 환경 내에서 발화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되는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단계에서, 인식된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발화자가 권한자이면, 인식된 음성에 따라 안전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발화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얼굴 비교를 통해 안전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단계에서, 인식된 음성이 편의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인식된 음성에 따라 편의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인식된 음성에 따라 안전기능 또는 편의기능 수행 시, 기능제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제한 기능이 설정되면, 수행중인 안전기능 또는 편의기능에 대한 제어를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능은,
    차량의 주행모드 기능, 안전기능 설정 기능 중 하나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기능은,
    미디어 제어기능, 전화 연결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발화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발화자의 음성에 대하여 안전기능 및 편의기능의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권한자에 대한 기능 제한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방법.
  8. 차량 환경 내에서 발화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인식된 음성을 발화한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권한자 판단부;
    상기 인식되는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지를 판단하는 음성 기능 판단부; 및
    상기 인식된 음성이 안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상기 음성을 발화한 발화자가 권한자인지의 여부에 따라 음성에 따른 안전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자 판단부는,
    발화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발화자의 영상과 기등록된 권한자의 영상을 비교하여 발화자가 권한자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음성이 편의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이면, 음성에 따른 편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기능 및 편의기능을 위한 제어 시, 해당 음성이 제한 기능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제한 기능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것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발화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권한을 설정, 권한자에 따른 안전기능 및 편의기능에 대한 제어 여부를 설정 및 권한자에 대한 기능 제한 여부를 설정하는 권한 정보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능은,
    차량의 주행모드 기능, 안전기능 설정 기능 중 하나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기능은,
    미디어 제어기능, 전화 연결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KR1020180105381A 2018-09-04 2018-09-04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60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81A KR102602768B1 (ko) 2018-09-04 2018-09-04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81A KR102602768B1 (ko) 2018-09-04 2018-09-04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80A true KR20200027280A (ko) 2020-03-12
KR102602768B1 KR102602768B1 (ko) 2023-11-15

Family

ID=6980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381A KR102602768B1 (ko) 2018-09-04 2018-09-04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107B1 (ko) * 2021-08-18 2022-02-23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026A (ko) * 2006-07-25 2008-01-30 (주)영신전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3673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85346B1 (ko) * 2014-10-27 2016-01-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026A (ko) * 2006-07-25 2008-01-30 (주)영신전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차량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3673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85346B1 (ko) * 2014-10-27 2016-01-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107B1 (ko) * 2021-08-18 2022-02-23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768B1 (ko)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20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image data to aid voice recognition
US20090055178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ersonalized settings in a vehicle
JP2005096744A (ja) 乗員認証装置
JP2004259255A (ja) 認証装置
JP2007216920A (ja) 自動車の座席制御装置、座席制御用プログラムおよび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354930A (ja) 音声認識システム
JP2019182244A (ja) 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方法
KR20200027280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9067012A (ja) 車両制御装置、車両、及び自動配車方法
WO2021254141A1 (zh) 一种车辆交互方法和一种车辆
US10645494B1 (en) Active control system for a vehicular dual micropho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O2007145331A1 (ja) カメラ制御装置、カメラ制御方法、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260053B1 (ko) 동작 및 음성을 이용한 지능형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16423A (ko) 차량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40111138A (ko) 테일 게이트 작동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248996A (zh) 用于车辆的车内摄像头的控制方法和控制系统
WO2022176038A1 (ja)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
WO2022137534A1 (ja) 車載用音声認識装置及び車載用音声認識方法
WO2021038736A1 (ja) 音場制御装置及び音場制御方法
KR20200082906A (ko) 음주 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EP4328904A1 (en) Techniques for authorizing and prioritizing commands directed towards a virtual private assistant device from multiple sources
KR101710695B1 (ko) 차량용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로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4330979A (ja) 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2019003244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並びに車両
JP2022014313A (ja) 音声出力制御装置および音声出力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