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107B1 -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107B1
KR102366107B1 KR1020210108462A KR20210108462A KR102366107B1 KR 102366107 B1 KR102366107 B1 KR 102366107B1 KR 1020210108462 A KR1020210108462 A KR 1020210108462A KR 20210108462 A KR20210108462 A KR 20210108462A KR 102366107 B1 KR102366107 B1 KR 10236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occupant
control system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홍
오영달
류동운
예진해
이훈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0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107B1/ko
Priority to US17/889,749 priority patent/US2023005569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4Training, enrolment or model bui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9Driver vo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은 탑승자의 행동 정보, 차량 내 음성 정보 및 시트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인지부와, 인지부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행동 패턴이나 차량의 사용목적을 판별하는 판단부 및 차량의 사용목적이나 선호도에 따라 실내 조명 및 윈도우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T AND METHOD FOR INDOOR CONTROL BASED ON VEHICLE USE PURPOSE}
본 발명은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 탑승자의 능동적인 명령 입력(예: 버튼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등), 상태변화(얼굴 표정, 눈 깜박임 등), 실내외 조도환경에 따라 조명, 윈도우 투명도 등의 실내 제어를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 탑승자가 직접 명령을 입력하거나 운전자 상태변화, 실내외 환경조건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차량 사용 목적에 대해 자동으로 파악하고, 그 목적에 부합되도록 제공이 필요한 실내 기능에 대한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 내 탑승자의 차량 사용목적을 파악하고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하여, 차량의 내부 조명 또는 윈도우 투명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자동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실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은 탑승자의 행동 정보, 차량 내 음성 정보 및 시트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인지부와, 인지부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행동 패턴이나 차량의 사용목적을 판별하는 판단부 및 차량의 사용목적에 따라 실내 조명 및 윈도우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인지부는 차량 내부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자의 연령, 성별, 액세서리 착용 여부, 동작, 자세 표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탑승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하고, 판단부는 행동 정보를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인지부는 음성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목소리, 주변 소음,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내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판단부는 상기 음성 정보를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인지부는 시트의 위치, 회전 각도, 틸팅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트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판단부는 시트 위치 정보를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인지부는 시간대 별, 경로 구간별로 설정되는 사용 목적 정보를 더 획득한다.
제어부는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 상황별 표준 기준 조도 정보나 선호하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조명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탑승자의 행동 영역 및 조명 장치와 행동 영역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실내 조명에 대한 조도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하는 경우, 기획득된 사용 만족도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목적 별로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방법은 (a) 탑승자의 행동 정보, 차량 내 음성 정보 및 시트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b) (a) 단계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행동 패턴이나 차량의 사용목적을 판별하는 단계 및 (c) (b) 단계에서 판별된 사용목적에 따라 차량 내 실내 조명 및 윈도우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는 차량 내부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자의 연령, 성별, 액세서리 착용 여부, 동작, 자세 표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탑승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하고, 음성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목소리, 주변 소음,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내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시트의 위치, 회전 각도, 틸팅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트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b) 단계는 시간별, 구간별 기획득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용목적을 판별한다.
(c) 단계는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 상황별 표준 기준 조도 정보나 선호하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조명을 제어한다.
(c) 단계는 탑승자의 행동 영역 및 조명 장치와 행동 영역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실내 조명에 대한 조도를 제어한다.
(c) 단계는 외부 조도 정보, 윈도우 투명도에 대한 설정 정보를 고려하여 실내 조명을 제어한다.
(c) 단계는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하는 경우, 기획득된 사용 만족도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목적 별로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음성,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 내 탑승자의 차량 사용목적이나 선호도를 파악하고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하며, 차량의 내부 조명 또는 윈도우 투명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자동 조절함으로써, 차량 내 탑승자의 피로도를 최소화시키고, 탑승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은 탑승자의 행동 정보, 차량 내 음성 정보 및 시트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인지부(110)와, 인지부(110)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행동 패턴이나 차량의 사용목적을 판별하는 판단부(120) 및 차량의 사용목적에 따라 실내 조명 및 윈도우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인지부(110)는 차량 내부(룸미러, 선바이저 등)에 장착된 카메라(적외선, RGB 및 ToF 등)를 기반으로 차량 내부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자의 연령, 성별, 액세서리(안경, 선글라스, 모자 등) 착용 여부, 동작, 자세 및 표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탑승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하고, 판단부(120)는 행동 정보를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 때, 판단부(120)는 인지부(110)를 통해 전달받은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취침, 회의, 업무, 독서, 식사 등)을 판단한다. 판단부(120)는 차량 사용자 별 움직임, 자세, 외모 특징, 표정 기반 감정 정보, 선호도 정보 등을 판단 및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인지부(110)는 음성인식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된 음성인식 모듈을 기반으로 목소리, 주변 소음,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내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판단부(120)는 음성 정보를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 때, 판단부(120)는 전달받은 음성 정보를 활용하여 화자의 수, 발화 간격, 발화 크기 및 사용 어휘 등을 판단하고, 사용자별 목소리, 발화속도/크기, 음성기반 감정상태, 어휘 등을 판단 및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인지부(110)는 시트의 위치, 회전 각도, 틸팅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트 위치 정보(공간 인식 정보)를 획득하고, 판단부(120)는 시트 위치 정보를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 때, 판단부(120)는 전달받은 공간 인식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차량의 공간 사용 형태(취침 공간 형태, 업무 공간 형태, 회의 공간 형태 및 식사 공간 형태 등)를 판단한다. 판단부(120)는 사용자별 사용목적에 따른 선호 시트 위치 및 각도 등을 판단 및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판단부(120)는 인지부(110)를 통하여 취득한 영상, 음성 및 공간인식, 선호도 정보를 통합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차량 사용목적을 도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120)를 통한 영상, 음성 및 공간 정보 기반 판단 결과를 활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차량 사용목적을 판단하고, 개인화된 데이터를 추가 확인하여 사용목적 추정의 정확도 및 개인별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인지부(110)는 시간대 별, 경로 구간별로 설정되는 사용 목적 정보를 더 획득하며, 사용자가 차량의 사용 목적에 대해 시간대별, 경로 구간대별로 수동 설정한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30)는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 상황별 표준 기준 조도 정보나 선호하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조명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차량 내 다양한 조명장치를 활용하여 차내 조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거나, 차량 내 장착된 다양한 디스플레이(클러스터, CID, AVN 등)의 밝기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차량사용 목적에 따라 KS 조도기준과 같은 표준 자료를 기반으로 차량의 조명 값을 변경시킨다.
제어부(130)는 탑승자의 행동 영역 및 조명 장치와 행동 영역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실내 조명에 대한 조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하는 경우, 기획득된 사용 만족도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목적 별로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차량 윈도우 유리에 삽입되어 태양광을 차폐 또는 투과시키는 수동형 방식과 외부 조도 환경(조사 방향 및 강도 등)에 따라 자유로운 차폐가 가능한 능동형 방식을 통해 제어를 수행하며, 유리의 투명도를 변화시키거나 자동차용 전기변색(Electrochromic : EC)을 이용하여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차량 사용목적에 따라 기정의된 윈도우 투명도 값으로 변경시킨다.
제어부(130)는 개인화 데이터기반 차량 내부 조명 또는 윈도우 투명도 제어를 수행하며, 누적된 사용자 데이터 기반 학습을 통해 차량의 특정 용도별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개인화된 조도값 또는 윈도우 투명도 값으로 변경시킨다.
또한, 인지부(110)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목적 및 스케줄에 기반하여 실내 조도 또는 윈도우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과정을 도시한다.
<성인 1명이 탑승하여 시간대별/경로구간대별 차량 목적 설정(스케쥴 설정) - 도 2>
S201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 목적 및 스케줄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
S20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차량 목적 및 스케줄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S211 단계는 사용자 입력 기반의 차량 내부 조명 및 윈도우 투명도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S211 단계는 전체 운행 경로(서울-부산)에 대한 설정 정보, 서울-천안 경로에 대해서는 업무 목적으로, 천안-대전 경로에 대해서는 점심식사 구간으로, 대전-부산의 경우 수면 구간으로 설정한 정보에 따라 실내 제어를 수행한다.
S211 단계는 업무 목적으로 설정된 구간에 있어서, 차량 내부 조도 및 윈도우 투명도를 표준/개인화/직접 입력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전체 운형 경로 중 특정 경로 구간에서 수행할 실내 제어 기능을 설정하고, 시스템은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가 특정 경로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그에 대응하는 실내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S211 단계는 점심식사 구간에서, "지금은 점심 시간입니다. 편안하게 식사하시면서 회의로 쌓인 피로를 해소하시기 바랍니다" 등의 안내를 제공하고, 조도 및 투명도를 표준/개인화/직접 입력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S211 단계는 수면 구간에서, "지금은 수면 시간입니다. 목적지에 도착하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등의 안내를 제공하고, 차량 내부 조도 및 윈도우 투명도를 표준/개인화/직접 입력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S20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차량 목적 및 스케줄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202 단계는 영상 정보를 입력 받고, S203 단계는 음성 정보를 입력 받고, S204 단계는 공간 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어서 S205 단계에서 영상 정보 기반의 사용자 행동 인식이 수행되고, S206 단계에서 음성 정보 기반 사용자 인식이 수행되며, S207 단계에서 공간정보 기반 실내 공간 인식이 수행된다.
S208 단계는 인식 결과를 토대로 개인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S209 단계는 차량 사용 목적에 대한 통합 판단을 수행한다.
S210 단계는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의 양이 기설정된 양 이상으로 축적되었는지 확인한다.
S212 단계는 개인화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차량 내부 조명 및 윈도우 투명도 제어를 수행하고, 개인화 데이터베이스의 양이 부족한 경우, S213 단계는 표준 데이터 기반의 차량 내부 조명 및 윈도우 투명도 제어를 수행한다.
<성인 2명이 탑승하여 서로 마주보며 회의하는 경우 - 도 3>
S301 단계는 카메라 기반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S302 단계는 마이크 기반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S303 단계는 시트위치 기반의 공간정보를 수신한다.
S304 단계는 센서기반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 인원 및 탑승 위치를 판단한다(탑승자 성인 2명 또는 남성 1명과 여성 1명).
S305 단계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판단하며, 화자가 서로 대화 중이며 업무 관련 어휘가 발언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S306 단계는 시트 틸팅 각도가 일반적인 착석 각도인 것으로 판단하고, 시트 로테이션 각도가 서로 마주보고 앉아 있는 시트 포지션인 것으로 판단한다.
S307 단계는 영상 정보 판단 결과, 음성 정보 판단 결과, 공간 정보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성인 2명이 서로 마주앉은 형태로 업무 관련 어휘를 다수 발언하는 것으로 보아 현재 차량을 회의실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통합 판단한다.
S308 단계는 현재 차량 사용 목적이 업무를 위한 회의실로 통합판단되므로, "KS 조도기준표" 상의 회의실 조도분류인 F(150-200-300)로 차량 실내 조도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S308 단계는 현재 차량 사용 목적이 회의실로 통합 판단된 결과에 따라, 기 정의되어있는 회의실 추천 윈도우 투명도 값으로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S308 단계는 프레젠테이션 상황에 있어서, 프레젠테이션 자료 시인성 향상을 위해 윈도우 투명도를 기설정 수치(0%)에 가깝도록 하향 설정한다.
또한, S308 단계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의 밝기 역시 사용목적에 부합된 기설정 값으로 조절한다.
<성인 1명이 탑승하여 수면하는 경우 - 도 4>
S401 단계는 카메라 기반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S402 단계는 마이크 기반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S403 단계는 시트위치 기반의 공간정보를 수신한다.
S404 단계는 탑승자 성인 1명이 시트에 누워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S405 단계는 대화가 없는 상황임을 판단한다.
S406 단계는 탑승자의 시트 틸팅 각도가 기준 각도 이상임을 판단한다.
S407 단계는 S404, S405, S406 단계의 판단 결과를 종합하며, 차량 사용 목적이 수면 목적임을 판단한다.
S408 단계는 개인화 데이터가 누적된 상황이라면, 차량 실내 조도 및 윈도우 투명도를 사용자가 기존에 수면 목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값으로 변경시키도록 제어한다.
S408 단계는 개인화 데이터가 누적되지 않은 경우, KS 조도 기준표 상 조도 분류 E(60-100-150)으로 차량 실내 조도를 제어하며, 숙면 및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차량 윈도우 투명도를 하향 제어한다.
<연인이 탑승하여 저녁식사 하는 경우 - 도 5>
S501 단계는 카메라 기반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S502 단계는 마이크 기반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S503 단계는 시트위치 기반의 공간정보를 수신한다.
S504 단계는 탑승자 성인 2명(남성 1명, 여성 1명)이 마주보고 음식을 섭취하는 상황임을 판단한다.
S505 단계는 화자가 서로 대화 중이고, 연애 관련 어휘 및 식사 관련 어휘가 주로 발언되고 있는 상황임을 판단한다.
S506 단계는 탑승자의 시트 틸팅 각도가 일반적인 착석 각도이고, 시트 로테이션 각도가 서로 마주보는 각도임을 판단한다.
S507 단계는 S504, S505, S506 단계의 판단 결과를 종합하며, 차량 사용 목적이 연인간의 식사인 것으로 판단한다.
S508 단계는 개인화 데이터가 누적된 상황이라면, 고급 음식점에서 주로 사용되는 조도로 차량 실내 조도를 제어하고, 식사 중 야경 감상이 가능하도록 차량 윈도우 투명도를 상향 제어한다.
S508 단계는 개인화 데이터가 누적되지 않은 경우, KS 조도 기준표 상 조도 분류 E(60-100-150)으로 차량 실내 조도를 제어하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차량 윈도우 투명도를 하향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인 1명 / 소인 1명 탑승하여 성인은 독서, 소인은 수면하는 경우 - 도 6>
S601 단계는 카메라 기반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S602 단계는 마이크 기반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S603 단계는 시트위치 기반의 공간정보를 수신한다.
S604 단계는 탑승자 성인 1명, 소인 1명이고, 성인은 책을 보고 있으며 소인은 누워 있는 상황임을 판단한다.
S605 단계는 대화가 없으며, 책장을 넘기는 종이 소리가 발생되는 상황임을 판단한다.
S606 단계는 성인 탑승자의 시트는 일반 착석 각도이고, 소인 탑승자의 시트는 기설정 각도 이상 리클라이닝 되어 있는 상황임을 판단한다.
S607 단계는 S604, S605, S606 단계의 판단 결과를 종합하며, 독서와 수면이 차량 사용 목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S608 단계는 개인화 데이터가 누적된 상황이라면, 차량 실내 조도 및 윈도우 투명도를 사용자가 기존에 독서 및 수면 목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값으로 변경시키도록 제어한다.
S608 단계는 개인화 데이터가 누적되지 않은 경우, 성인 탑승자에게는 스팟 조명을 활용하여 KS 조도 기준표 상 조도 분류 D(30-40-60)로 차량 실내 조도를 제어하며, 소인 탑승자에게는 스팟 조명을 활용하여 KS 조도 기준표 상 조도 분류 E(60-100-150)로 차량 실내 조도를 제어하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차량 윈도우 투명도를 하향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방법은 (a) 탑승자의 행동 정보, 차량 내 음성 정보 및 시트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b) (a) 단계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행동 패턴이나 차량의 사용목적을 판별하는 단계 및 (c) (b) 단계에서 판별된 사용목적에 따라 차량 내 실내 조명 및 윈도우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는 차량 내부 영상을 분석하여 탑승자의 연령, 성별, 액세서리 착용 여부, 동작, 자세 및 표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탑승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하고, 음성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목소리, 주변 소음,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내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시트의 위치, 회전 각도, 틸팅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트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한다.
(b) 단계는 시간별, 구간별 기획득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용목적을 판별한다.
(c) 단계는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 상황별 표준 기준 조도 정보나 선호하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조명을 제어한다.
(c) 단계는 탑승자의 행동 영역 및 조명 장치와 행동 영역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실내 조명에 대한 조도를 제어한다.
(c) 단계는 외부 조도 정보, 윈도우 투명도에 대한 설정 정보를 고려하여 실내 조명을 제어한다.
(c) 단계는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하는 경우, 기획득된 사용 만족도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목적 별로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5)

  1. 탑승자의 행동 정보, 차량 내 음성 정보 및 시트 위치 정보, 시간대 별, 경로 구간 별, 탑승자 별로 설정되는 사용 목적 정보를 획득하는 인지부;
    상기 인지부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행동 패턴이나 차량의 사용목적을 판별하는 판단부; 및
    상기 차량의 사용목적에 따라 실내 조명 및 윈도우 투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되, 상기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하는 경우, 기획득된 목적별 사용 만족도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목적 별로 상기 윈도우 투명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차량 내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탑승자의 연령, 성별, 액세서리 착용 여부, 동작, 자세 표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행동 정보를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
    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음성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목소리, 주변 소음, 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내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음성 정보를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
    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시트의 위치, 회전 각도, 틸팅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시트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시트 위치 정보를 학습하여 개인화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
    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 상황별 표준 기준 조도 정보나 선호하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것
    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탑승자의 행동 영역 및 조명 장치와 상기 행동 영역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실내 조명에 대한 조도를 제어하는 것
    인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108462A 2021-08-18 2021-08-18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62A KR102366107B1 (ko) 2021-08-18 2021-08-18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7/889,749 US20230055693A1 (en) 2021-08-18 2022-08-17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in-vehicle environment based on purpose of using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62A KR102366107B1 (ko) 2021-08-18 2021-08-18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107B1 true KR102366107B1 (ko) 2022-02-23

Family

ID=8049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462A KR102366107B1 (ko) 2021-08-18 2021-08-18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9857A (zh) * 2022-06-22 2022-10-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休憩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80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00145962A (ko) * 2019-06-21 2020-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장치 및 방법
KR20210014727A (ko) * 2021-02-01 2021-0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80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기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00145962A (ko) * 2019-06-21 2020-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장치 및 방법
KR20210014727A (ko) * 2021-02-01 2021-0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탑승객 인식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9857A (zh) * 2022-06-22 2022-10-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休憩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2577B2 (en) Differential amplification relative to voice of speakerphone user
US11217240B2 (en) Context-aware control for smart devices
US103106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user interface thereof
US10189434B1 (en) Augmented safety restraint
US20230045237A1 (en) Wearable apparatus for active substitution
US10360876B1 (en) Displaying instances of visual content on a curved display
US10325614B2 (en) Voice-based realtime audio attenuation
US11545115B1 (en) Variable density content display
KR20180102871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US11082771B2 (en) Directed audio system for audio privacy and audio stream customization
US11516570B2 (en) Silent voice input
KR102366107B1 (ko) 차량 사용목적 기반 실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1815502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298281A1 (en) Displaying a virtual display
JPWO2020157991A1 (ja) 空間管理システム、移動体、プログラム及び空間管理方法
US20230055693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in-vehicle environment based on purpose of using vehicle
KR20210077076A (ko)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JP2023089768A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等
US11385851B2 (en) Robot
WO202201911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30033358A (ko) 차량의 hmi 모드 제공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