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482A - 수증기분사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수증기분사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482A
KR20140033482A KR1020140021642A KR20140021642A KR20140033482A KR 20140033482 A KR20140033482 A KR 20140033482A KR 1020140021642 A KR1020140021642 A KR 1020140021642A KR 20140021642 A KR20140021642 A KR 20140021642A KR 20140033482 A KR20140033482 A KR 20140033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ter
sump
steam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038B1 (ko
Inventor
김민우
Original Assignee
김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우 filed Critical 김민우
Priority to KR102014002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0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나음식물이 타지 않고 수증기를 발산하여 조리시간 단축과 에너지 절감 수냉식 직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이어 발명의 요지는 화로위에 안치되어 고기나 음식물를 굽는 불판의 구조는 원형상의 기름받이 수실과 수로, 불판 수실과 수로를 각각 형성되게 하되 기름받이 수실은 외측부(외부쪽)에 불판 수실은 내측부(안쪽)에 나란히 구성하고 상단을 절개하여 개방하고 중심부는 수실보다 낮게 하여 기름받이 수로는 아래로, 불판 수로는 위로, 구성하여 기름받이와 불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게 되면 기름받이 수실벽면과 불판수실벽면 공간은 수증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바닥의 기름받이 수로와 불판수로 사이는 수증기 배출구와 화염배출구가 형성된다. 형성된 배출구와 기름받이 수실과 불판수실의 개방된 상단에는 링(ring)형상으로 된 뚜껑을 덮어 수증기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면서 형성된 수증기배출구를 통해 기름받와 불판사이로 수증기를 발산하여 열수와 직화열의 합류로 인해 열효율 상승과 조리 시간이단축 되는 에너지 절감 수냉식 직화구이 불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직화 구이용 불판의 수냉식 기름받이 (출원번호;10-2013-0122024)“를 개선한 것으로 기름받이 수실과 수로, 불판수실과 수로를 각각 구성하고 기름받이 수실과 불판수실은 좌우로 이격하고 기름받이 수로와 불판 수로는 상하로 이격하게 되면 기름받이 수실과 불판수실 사이는 수증기 배출구가 되고 기름받이 수로와 불판 수로 사이는 수증기 배출구와 화염 통과구가 된다. 이격하여 생성된 배출구는 화구방향으로 개방되어 수실에서 수증기발산을 유도하는 역할뿐 아니라 발산한 수증기와 비례해서 화염 속에 높은 온도의 공기가 수실로 유입되어 열 교환이 급가속 되는 구조로 수증기를 발산하는 방향이 구이대상 물보다 아래로 발산을 유도한 뒤 고온의 수증기와 화염이 합류 하여 자연대류에 의해서 구이 대상물 쪽으로 올라가는 현상으로 음식물(고기나 어패류 야채 등)이 겉은 타지 않고 속까지 익혀지며 조리시간 단축으로 에너지 절약효과와 불판수로에서 구워지는 음식물이나 고기의 기름은 기름받이 수로에서 받아 가장자리 하단 기름받이로 흘러 화로에 유입이 방지되어 그을음 나지 않고 타거나 눌러 붙지 않아 세척이 용이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수증기분사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A direct roasting grill with steam injection for water cooling}
본 발명은 음식물이 타지 않는 수냉식 직화 구이용 불판의 수증기를 분사하면서 직화로 굽는 불판으로, 기름받이 수실과 수로, 불판 수실과 수로를 구성한 다음, 기름받이 수실과 수로, 불판의 수실과 수로 중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수증기 배출구를 형성 한다. 형성된 기름받이 수실과 불판의 수실, 수증기 배출구 상단에 증기 누출 방지 링 형상의 두껑을 덮어 수실과 화구를 연통 되게 하여 수실에서 수증기는 화구 방향으로 발산되고 화구의 높은 온도의 공기는 수실 속으로 열 교환을 급가속화 하여 열, 효율이 상승된다. 이 때, 발산된 수증기는 자연 대류에 의해서 열수와 화염과 합류하여 음식물이 안치된 중심부로 올라가게 하여 열효율 상승과 조리 시간 단축과 에너지가 절감된다. 이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냉식 직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이나 금속 등의 다양한 종류의 직화 구이용 불판이 사용되고 있으나 불판의 일 측에서는 과열로 인해서 음식물의 겉은 타고 눌어붙으며 불판을 자주교환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을 사용하게 된다.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은 물이 순환하여 가열시 온도가 일정해 태우지 않고 구이를 할수 있으나 순환하는 물의 가열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온으로 발산되는 수증기가 물주입구, 뚜껑상단 등 외부로 분출되어 에너지가 손실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수증기를 화구방향으로 유도하여 발산 하고 수실과 화구를 연통되게 하여 급가속 열 교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수냉식 불판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수냉식 불판몸체(200)의 수실(201)과 다수의 그릴수로(202)에 물을 보충하여 링(ring)형상의 뚜껑(203)을 덮어 화로(210)에서 가열하면 다수의 그릴 수로 사이 화구(206)방향으로 화염이 올라와서 구이가 개시 된다. 이 때, 수실(201)에서 발산하는 수증기는 수실 상단의 뚜껑의 틈새(204)와 물주입구(205) 등으로 수증기가 방출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수승기 발산이 구이대상물의 위에서(수실의 상단지점) 발산되거나 뚜껑의 일측 상단의 물주입구(205)나 뚜껑의 틈새(204)등 으로 방출되면 조리시간이 길어지며 열손실로 인해서 에너지가 손실이 된다.
고온으로 방출되는 수증기를 다수의 배출공과 배출구를 형성하여 구이의 대상물이 안치된 화구 방향 불판 하단으로 유도하여 발산되면 수증기와 화염이 합류하여 자연 대류에 의해서 구이 대상물 쪽으로 올라가는 현상으로 음식물(고기나 어패류, 야채 등)이 속까지 익혀지며 조리시간 단축과 에너지를 절약하는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을 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테두리에 형성된 원형상의 외측수실(기름받이 수실)과 기름받이 수로, 내측수실(불판수실)과 불판수로 중간에 수증기 배출구를 형성한다. 각각의 수실 상단을 절개하여 개방하고 내, 외 측의 수실 가장자리 중심부는 낮게 하여 다수의 불판 수로는 위로하고 다수의 기름받이 수로를 아래로 하여 구성하는 구조로 수냉식 기름받이와 불판의 내, 외부 벽면을 이중벽체로 통공되게 하고 수실과 수로를 구성하여 기름받이 벽면과 불판의 벽면 중간의 공간 즉, 기름받이와 불판 사이에 수증기 배출구와 화구가 형성된다. 형성된 기름받이 수실과 불판수실 배출구의 상단에 별도로 구비한 링(ring)형상으로 된 뚜껑을 덮어 수실에 끓는 물의 넘침 방지와 수증기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수증기를 배출구로 유도하여 기름받이 다수의 수로와 불판 다수의 수로 공간 수증기 배출구를 통해 화구 방향 음식불이 안치된 중앙으로 수증기가 발산하여 열수와 화염으로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불판 수로관과 기름받이 수로관에 물이 순환되어 온도가 동일하여 음식물이 겉은 타지 않고 속까지 익혀지며 타거나 눌러 붙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음식물(고기, 어패류, 야채, 등)이 타지 않고 수증기가 발산하여 조리시간 단축으로 이어져 에너지가 절감이 되는 수냉식 불판에 관한 것으로 수증기를 화구 방향의 구이대상물이 안치된 불판 중앙으로 유도하여 발산하면 화염과 수증기는 대류에 의해 음식물(고기, 어패류, 야채 등)이 안치된 불판 중앙 쪽으로 상승하여 음식물이 속까지 골고루 익혀진다. 또한, 조리시간 단축과 타거나 눌러 붙지 않아 세척이 용이하고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의 수냉식 불판의 모식도.
도 2는 뚜껑 온오프(On/Off) 및 측평면 사시도
도 3은 결합 측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기름받이 몸체 평면도.
도 5는 불판 몸체 평면도.
도 6은 뚜껑 측평면도 및 사시도.
도 7은 평면 분해도 및 측면 분해 결합도.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직화 구이용 불판의 수냉식 기름받이 (출원번호: 10-2013-0122024)" 를 개선한 것으로, 화로 위에 안치되어 고기나 음식물을 굽는 불판의 구조는 원형상의 기름받이 수실과 수로, 불판 수실과 수로를 각각 형성되게 하되 기름받이 수실은 외측벽면(밖같쪽)에 불판 수실은 내측부(안쪽)에 나란히 구성하여 상단을 절개하여 개방하고 중심부는 수실보다 낮게 하여 기름받이 수로는 아래로, 불판 수로는 위로, 구성하고 기름받이와 불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 한다. 형성된 공간은 기름받이 수실과 불판 수실은 좌우로 이격하고 기름받이 수로와 불판 수로는 상하로 이격하게 되면 기름받이 수실과 불판수실 사이는 수증기 배출구가 형성 되고 기름받이 수로와 불판 수로 사이는 수증기 배출구와 화염 통과구가 형성된다. 형성된 배출구는 화구방향으로 개방되어 수실에서 수증기발산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발산한 수증기와 비례해서 화염 속에 높은 온도의 공기가 수실로 유입되어 열 교환이 급가속 되는 구조로 수증기를 발산하는 방향이 구이대상 물보다 아래로 발산을 유도하여 고온의 수증기와 화염이 합류하여 자연대류에 의해서 구이 대상물 쪽으로 올라가는 현상으로 음식물(고기나 어패류 야채 등)이 겉은 타지 않고 속까지 익혀지며 조리시간 단축으로 에너지 절약효과와 불판수로에서 구워지는 음식물이나 고기의 기름은 기름받이 수로에서 받아 가장자리 하단 기름받이로 흘러 화로에 유입을 방지하여 그을음이 나지 않고 타거나 눌러 붙지 않아 세척이 용이한 구조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0-기름받이 몸체 101-불판 몸체 102-뚜껑 10-화로 1-기름받이 수실
2-불판 수실 3-수증기 배출구 4-기름받이 수실 외측벽면 5-기름받이 수실 내측벽면 6-불판수실 외측벽면 7-불판수실 내측벽면 8-기름받이 수실(1)의 바닥 9-뚜껑과 수실의 공간 10-화로 11-수증기합류화구 12-불판 수실(2)의 내측벽면 바닥 13-불판 수로 14-기름받이 수로 15-기름받이 16-직화구 20-다수의 수증기 배출공 21-불판 수실 물주입구 22-기름받이 수실 물주입구 23-불판 수실 물주입구 벽면 24-기름받이 물 주입구 벽면 26-뚜껑 외측벽면 가장자리 27-뚜껑 내측벽면 가장자리 28-수증기 증수환원 홀 29-엔(n)자 형상
이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뚜껑 온오프(On/Off) 및 측평면 사시도이며,
도 3은 결합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기름받이 몸체 평면도이며,
도 5는 불판 몸체 평면도이고,
도 6은 뚜껑 측평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7은 평면 분해도 및 측면 분해 결합도이다.
원형상의 기름받이(100) 수실(1)과 수로(14), 불판(101) 수실(2)과 수로(13)를 각각 형성되게 하되 기름받이 수실은 외측벽면(4)과 내측벽면(5)으로 구성하고 불판수실(2)은 외측벽면(6)상단을 엔(n)자(29) 형으로 접어 기름받이 수실(1)의 내측벽면(5) 상단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안치하여 불판 수실(2) 내측벽면(7)를 구성 하면 수증기 배출구(3)가 형성된다. 형성된 상단(1)(2)(3)을 절개하여 개방하고 중심부는 수실(1)과 (2)보다 낮게 형성 하여 기름받이 수로(14)는 아래로, 불판 수로(13)는 위로, 구성하고 기름받이(100)와 불판(101)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 한다. 형성된 공간의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은 좌우로 이격 하고 기름받이(100) 수로(14)와 불판(101) 수로(13)는 상하로 이격하게 되면 기름받이 수실과 불판수실 사이는 수증기 배출구(3)가 형성되고 기름받이 수로(14)와 불판 수로(13) 사이는 수증기 배출구(3)와 직화구(16)가 형성된다. 또한 불판수실(2) 외측벽면(6) 상단 엔(n)자(29)형의 펑면 상단 일측 에는 증기 배출공(20) 을 다수 형성하여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 수실(2)의 압력 조절과 분출되는 증기를 수증기 배출구(3)와 연통되게 한다. 상기의 기름받이수실(1)과 불판수실(2) 수증기배출구(3) 증기배출공(20) 의 개방된 상단에 링(ring)형상으로 된 뚜껑(102)을 덮으면 기름받이수실(1) 불판수실(2)의 물이 끓어 넘침을 방지하고 증기 배출공(20)에서 품어나 오는 수증기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면서 형성된 수증기 배출구(3)를 통해 기름받이 수로(14)와 불판 수로(13)의 사이로 수증기의 발산을 화구 방향 의 구이 대상물이 안치된 불판 하단으로 수증기와 열수 화염을 자연대류에 의해 올라가게 유도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주요 장치의 구조와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형상으로 덮는 뚜껑(102)의 구조와 기능은 기름받이 수실의 물주입구(22)와 벽면(24)과 불판 수실 물주입구(21)와 벽면(23)을 뚜껑의 내측벽면가장자리(27), 외측벽면 가장자리(26)를 형성하여 뚜껑의 외측벽면 가장자리(26)는 기름받이 수실(1)의 바닥(8)까지 장입하고 뚜껑 내측벽면 가장자리(27)는 불판 수실(2)의 내측벽면 바닥(12)까지 장입하여 기름받이 수실(1), 불판수실(2),수증기 배출구(3)의 상단에 덮는 구조로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의 끓는 물의 압력으로 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수증기 외부 누출을 방지하며 수증기 다수의 배출공(20)과 수증기 배출구(3)로 수증기를 화구의 방향으로 발산하게 하며 화구의 높은 온도의 공기는 수실로 유도한다.
수증기 증류수 환원 홀(28)은 뚜껑(102)의 평면 상단 좌, 우 일측에 대칭으로 엔(n)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위로 홀을 형성 하되 불판(101)수실 외측벽면(6)의 상단 엔(n)자(29)형상의 평면 다수 증기 배출공(20) 상단에 방향을 일치되게 하여 분사된 수증기가 부딪혀 증류수가 되어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로 환원 되게 하여 물소모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불판 몸체(101)는 불판 수실(2)과 외측벽면(6), 내측벽면(7), 불판수로(13)를 구성하며 불판수실 외측벽면(6)의 상단벽면에 엔(n)자(29) 형상으로 접어 기름받이 수실 내측벽면(5)의 상단위에 안치하여 불판몸체(101)와 기름받이 몸체(100)를 분리 결합 고정 역할을 한다. 또한 엔(n)자(29)형상으로 접은 상단 평면 일측에는 좌, 우, 대칭으로 다수의 증기 배출공(20)을 형성하여 수증기 배출구(3)로 수증기를 유도하고 화구의 높은 온도의 공기를 수증기 배출구(3)을 통해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 수실(2)로 유입되게 한다.
수증기 배출구(3)는 기름받이 수실(1)의 내측벽면(5)와 불판수실 외측벽면(6)의 공간으로 다수의 증기 배출공(20)과 불판수로(13)와 기름받이 수로(14)사이의 화구(11,16)와 연통되는 구조로 기름받이 수실(1), 불판수실(2)의 수증기는 화구방향으로 발산되게 하고 화구의 높은 온도의 공기는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에 유입되게 하여 수실과 화구의 급가속 열 교환을 유도하여 조리 시간 단축과 에너지를 절감하게 한다.
기름받이(100)는 기름받이 수실(1)과 외측벽면(4), 내측벽면(5), 기름받이 수로(14)를 구성하며 기름받이 수실 내측벽면(5) 상단에 불판 몸체(101)의 외측벽면(6) 상단의 엔(n)자(29) 형상으로 접힌 불판수실의 외측벽면(6)이 안치되어 기름받이 몸체(100)와 불판 몸체(101)를 분리 결합 고정 역할을 한다. 또한, 기름받이 수실 내측벽면(5)과 불판수실 외측벽면(6)과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형성된 공간이 수증기 배출구(3)와 기름받이 수로(14)와 불판 수로(13)의 상, 하의 공간은 수증기 배출구와 수증기합류 화구(11),직화구(16)가 되며 수증기 배출구(3)와 다수의 증기 배출공(20)과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 수실(2)은 수증기 합류 화구(11)와 연통되어 열효율 상승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름받이 몸체(100) 불판 몸체(101) 뚜껑(102)의 모양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구조로 구성 할 수 있음을 주지의 사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냉식 기름받이 몸체(100)와 기름받이 수실(1)과 기름받이 다수의수로(14), 불판몸체(101)의 불판수실(2)과 불판의 다수의수로(13)를 구성하여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의 내측벽면의 중심부는 수실(1,2)보다 낮게 하여 통공되게 하고 불판 다수의 수로(13)는 위로하고 기름받이 다수의 수로(14)는 아래로 하여 수증기합류화구(11)와 직화구(16)를 형성하고 기름받이 몸체(100)와 불판몸체(101)의 중간에 수증기 배출구(3)를 형성하며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의 중간에 수증기 배출구(3)를 형성한다. 형성된 기른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의 증간을 수증기 배출구(3)로 형성하되 상단의 높이를 같이하고 상단을 절개하여 개방한다. 개방된 상단을 뚜껑(102)으로 덮어 안착한다. 이 때, 뚜껑(102)의 외측벽면 가장자리(26)는 기름받이 수실(1)의 바닥(8)까지 내려오고 뚜껑(102)의 내측벽면 가장자리(27)는 불판수실(2)의 내측벽면 바닥(12)에 내려 물이 장입 되게 하면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에서 발생되는 압력과 수증기는 기름받이 수실 내측벽면(5)상단과 불판수실 외측벽면(6)의 상단 뚜껑과 수실의 공간(9)을 통과해서 불판수실 외측벽면(6)상단 엔(n)자(29)형상으로 접은 평면 일측에 다수의 증기배출공(20)을 통해 수증기배출구(3)와 수증기합류화구(11)방향으로 발산을 유도하고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내부의 증기 외부 누출과 압력으로 인한 물의 넘침을 방지 한다.
본 발명을 음식물(고기, 어패류 야채 등) 조리하는 불판(100,101)으로 사용할 경우에 수실(1,2)에 물을 충분히 주입한 다음 조리를 하면 고기나 음식물이 타지 않고 또한, 수증기의 발산은 조리시간 단축으로 이어져 에너지 절감과 친환경적인 요소가 된다. 즉, 기름받이(100)의 수실(1)과 불판(101)의 수실(2)중간에 수증기배출구(3)를 형성하여 수실(1,2)과 수증기배출구(3)의 상단을 링(ring)형상으로 된 뚜껑(102)을 수실(1)의 외측벽면(4) 수실바닥(8)과 수실(2)의 내측벽면(12)까지 내려 덮어 수증기 외부(수실(1,2상단, 물주 입구) 누출을 과 수실(1,2)의 물이 끓어 넘침을 방지하고 뚜껑(102)과 수실(1,2)의 상단 엔(n)자(29) 형상의 공간(9)으로 다수의 증기 배출공(20)과 수증기배출구(3)를 통공되게 하여 수실(1,2)에서 발산되는 수증기는 화염과 합류(11)하여 구이대상물 방향으로 자연 대류에 의해서 올라가고 발산된 수증기와 비례해서 화구(16)의 높은 온도의 공기는 수실(1,2)로 유입되어 수실(1,2)과 화구(11,16)와 열교 환이 급가속 되어 조리시간 단축과 수증기의 발산을 화구(11,16)방향 불판과 구이대상 물의 밑으로 유도하여 화염과 수증기 합류와 다수의 수로(13,14)에서 물이 순환 하여 음식물(고기나 어패류 야채 등)이 타지 않고 불판에 눌러 붙지 않아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특징이 있다.

Claims (6)

  1. 본 발명의 기름받이 몸체(100) 불판 몸체(101) 뚜껑(102)의 모양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구조로 구성 할 수 있다.
  2. 기름받이 수실의 물주입구(22)와 벽면(24)과 불판 수실 물주입구(21)와 벽면(23)을 뚜껑의 내측벽면가장자리(27), 외측벽면 가장자리(26)를 형성하여 뚜껑의 외측벽면 가장자리(26)는 기름받이 수실(1)의 바닥(8)까지 장입하고 뚜껑 내측벽면 가장자리(27)는 불판 수실(2)의 내측벽부 바닥(12)까지 장입하여 기름받이 수실(1), 불판수실(2), 수증기 배출구(3)의 상단에 덮는 구조로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의 끓는 물의 압력으로 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수증기 외부 누출을 방지하며 수증기 다수의 배출공(20)과 수증기 배출구(3)로 수증기 발산과 화구의 높은 온도의 공기를 수실로 유도되게 하는 뚜껑(102).
  3. 뚜껑(102)의 평면 상단 좌, 우 일측에 대칭으로 엔(n)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위로 홀을 형성 하되 불판(101) 증기 배출공(20)의 상단에 방향을 일치되게 하여 분사된 수증기가 부딪혀 증류수가 되어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로 환원 되게 하는 수증기 증류수 환원 홀(28).
  4. 불판 몸체(101)는 불판 수실(2)과 외측벽면(6), 내측벽면(7), 불판수로(13)를 구성하며 불판수실 외측벽면(6)의 상단부에 엔(n)자(29) 형상으로 접어 기름받이 수실 내측벽면(5)의 상단위에 안치되게하여 불판몸체(101)와 기름받이 몸체(100)를 분리 결합 고정 역할을 한다, 또한 엔(n)자(29)형상으로 접은 상단 평면 일측에는 좌, 우 대칭으로 다수의 증기 배출공(20)을 형성하여 수증기 배출구(3)로 수증기를 유도하고 화구의 높은 온도의 공기를 수증기 배출구(3)를 통해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 수실(2)로 유입되게 하는 불판(101).
  5. 수증기 배출구(3)는 기름받이 수실(1)의 내측벽면(5)와 불판수실 외측벽면(6)의 공간으로 다수의 증기 배출공(20)과 불판수로(13)와 기름받이 수로(14)사이의 화구(16)와 연통되는 구조로 기름받이 수실(1), 불판수실(2)의 수증기는 수증기합류화구(11) 방향으로 발산되게 하고 직화구(16)의 높은 온도의 공기는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수실(2)에 유입되게 하여 수실과 화구의 급가속 열 교환을 유도하여 조리 시간단축과 에너지를 절감하게 하는 수증기 배출구(3).
  6. 기름받이(100)는 기름받이 수실(1)과 외측벽면(4), 내측벽면(5), 기름받이 수로(14)를 구성하며 기름받이 수실 내측벽면(5) 상단에 불판 몸체(101)의 외측벽면(6) 상단의 엔(n)자 형상으로 접힌 불판수실의 외측벽면(6)이 안치되어 기름받이 몸체(100)와 불판 몸체(101) 분리 결합 고정 역할을 한다. 또한 기름받이 수실 내측벽면(5)과 불판수실 외측벽면(6)과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 한다. 형성된 공간이 수증기 배출구(3)와 기름받이 수로(14)와 불판 수로(13)의 상, 하의 공간은 수증기 배출구와 수증기합류 화구(11),직화구(16)가 되며 수증기 배출구(3)와 다수의 증기 배출공(20)과 기름받이 수실(1)과 불판 수실(2)은 수증기 합류 화구(11)와 연통되게 하는 수냉식 기름받이 몸체(100).
KR1020140021642A 2014-02-25 2014-02-25 수증기분사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 KR10152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42A KR101523038B1 (ko) 2014-02-25 2014-02-25 수증기분사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42A KR101523038B1 (ko) 2014-02-25 2014-02-25 수증기분사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482A true KR20140033482A (ko) 2014-03-18
KR101523038B1 KR101523038B1 (ko) 2015-05-26

Family

ID=5064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642A KR101523038B1 (ko) 2014-02-25 2014-02-25 수증기분사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849A (ko) * 2015-02-16 2015-04-07 김민우 수랭식 다기능 불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787Y1 (ko) * 2006-01-21 2006-03-31 김덕수 음식물이 타지 않는 불판
KR200472338Y1 (ko) * 2012-06-08 2014-04-21 이진희 미니 구이판
KR20130126884A (ko) * 2013-10-11 2013-11-21 김민우 직화구이용 불판의 수냉식 기름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849A (ko) * 2015-02-16 2015-04-07 김민우 수랭식 다기능 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038B1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285B1 (ko)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CN205807411U (zh) 一种燃烧加热器具
KR20130126884A (ko) 직화구이용 불판의 수냉식 기름받이
CN113509056A (zh) 燃气烹饪器具、尤其是燃气炉
KR20140033482A (ko) 수증기분사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
KR101035696B1 (ko) 고효율 가스 버너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CN203609210U (zh) 改良的烹饪锅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101669920B1 (ko) 수랭식 다기능 불판
KR200409516Y1 (ko) 직화푸라이팬
KR102147534B1 (ko) 열효율이 높은 불판
TW201440707A (zh) 加熱調理器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20110005564U (ko)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JP2010063730A (ja) グリル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150098475A (ko) 수냉식 구이용 불판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CN210291881U (zh) 灶具燃烧器
KR200378543Y1 (ko) 구이용 그릴
KR200401102Y1 (ko) 양면이중가열냄비
JP4353437B2 (ja) 焼成調理器
KR101938531B1 (ko)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