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285B1 -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285B1
KR101847285B1 KR1020160111163A KR20160111163A KR101847285B1 KR 101847285 B1 KR101847285 B1 KR 101847285B1 KR 1020160111163 A KR1020160111163 A KR 1020160111163A KR 20160111163 A KR20160111163 A KR 20160111163A KR 101847285 B1 KR101847285 B1 KR 10184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side wall
secondary air
burner head
air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635A (ko
Inventor
조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1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2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4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eans for pressurising the gaseous fuel or the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가스공급유로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버너바디와; 버너바디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격판, 및 격판의 테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버너헤드와; 버너헤드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버너캡을 포함하고, 버너헤드의 내부에는, 격판과 측벽과 버너캡으로 둘러싸인 공간부가 형성되고, 측벽에는, 일측이 공간부 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이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염공, 및 유입구가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고 배출구가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2차공기유입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BURNER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를 연소시켜 불꽃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조리기는, 음식물을 가스를 이용, 가열하여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상태로 요리하기 위한 주방기기이다.
이러한 가열조리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조리기기와,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조리기기로 크게 나누어진다.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조리기기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열을 이용하여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가스를 연소시키는 방법으로 동작되는 가열조리기기(예를 들어 가스레인지 등)에는,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화염으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버너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버너는, 화염 버너(Flame burneer) 또는 쿡탑 버너(Cook-top burner)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버너는, 가열조리기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의 하측에 위치하여 부재를 가열하면서 상판의 상부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판을 관통하여 상판의 상부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너는, 버너바디와, 버너헤드, 및 버너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버너바디는, 가열조리기기의 내부 공간 또는 상판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버너바디에는, 내부 공간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가스를 안내하는 가스 공급관과 가스의 분사를 위한 노즐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버너헤드는 상판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버너캡은 버너헤드의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버너헤드와 버너캡은,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혼합되면서 유동하는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가스챔버, 및 혼합가스가 분사되면서 화염이 형성되는 염공을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노즐에서 가스가 분사되어 가스챔버로 유입될 때,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일부(이하 "1차공기"라 한다)가 가스챔버로 유입되어 가스와 혼합되고, 이처럼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염공에서 연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소가 이루어지는 불꽃의 주위에서 다시 새로운 공기("2차공기"라 한다)가 불꽃 측으로 유입되면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2차공기의 유입은, 불꽃의 상부에 있는 조리용기로 인해 주로 불꽃의 하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버너의 연소에 따르면, 연소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충분한 양의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져야만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버너의 열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2차공기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연소가 이루어지는 불꽃의 주위로 2차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경로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버너의 구조에서는 2차공기의 유입경로가 상판과 불꽃 사이의 공간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으므로, 2차공기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2차공기의 유입경로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버너의 높이를 높이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으나, 이 경우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높이도 함께 높아져야 하므로, 조리용기의 안착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2차공기의 공급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향상된 열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버너는: 내부에 가스공급유로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바디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의 테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버너헤드와; 상기 버너헤드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버너캡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헤드의 내부에는, 상기 격판과 상기 측벽과 상기 버너캡으로 둘러싸인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일측이 상기 공간부 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염공, 및 유입구가 상기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고 배출구가 상기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2차공기유입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에는, 복수 개의 상기 염공이 상기 측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2차공기유입공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염공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염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공기유입공은, 상기 측벽의 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공기유입공은, 상기 측벽의 외측부에 상기 측벽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2차공기유입공의 유입구는, 상기 오목홈의 일측이 상기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차공기유입공의 상하방향 일부분을 외측에서 덮도록 상기 버너헤드의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2차공기유입공의 유입구와 인접한 영역을 덮도록 상기 측벽의 외측에 결합되는 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공기유입공의 배출구는, 상기 염공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와; 상기 쿡탑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덮이는 상판; 및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노즐홀더를 포함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내부에 가스공급유로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바디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의 테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버너헤드; 및 상기 버너헤드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버너캡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헤드의 내부에는, 상기 격판과 상기 측벽과 상기 버너캡으로 둘러싸인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일측이 상기 공간부 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염공, 및 유입구가 상기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고 배출구가 상기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2차공기유입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헤드는, 상기 격판이 상기 상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2차공기유입공의 유입구는, 상기 상판과 상기 격판 사이의 공간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버너 제조방법은: 상기 버너바디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격판과, 상기 격판의 테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염공을 포함하는 버너헤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유입구가 상기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고 배출구가 상기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2차공기유입공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2차공기유입공은, 상기 측벽 및 격판의 내부가 드릴링되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공기유입공은, 상기 측벽의 외측부에 상기 측벽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 형태로 상기 버너헤드와 함께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차공기유입공의 상하방향 일부분을 외측에서 덮도록 상기 버너헤드의 외측에 커버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불꽃의 하부 측에서뿐 아니라 염공과 염공 사이에 형성된 2차공기유입공을 통해 2차공기 공급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완전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의 안정성을 높이고 향상된 열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에 완전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2차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연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불꽃의 힘을 상승시킴으로써, 불꽃의 퍼짐, 처짐, 흔들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불꽃의 퍼짐, 처짐, 흔들림 발생으로 인한 상판 온도 상승 문제 및 조리용기 손잡이의 온도 상승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의 높이를 높이지 않아도 완전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2차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용기의 안착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안소의 안정성을 높여 청정연소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헤드의 측벽에 관통공 형태의 2차공기유입공을 성형하는 것만으로 2차공기 공급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열효율이 향상된 버너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너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버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버너에 2차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버너에서 링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버너에 2차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너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버너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쿡탑케이스(10)와 상판(20) 및 버너(100)를 포함한다.
쿡탑케이스(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쿡탑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쿡탑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판(20)이 설치되어 쿡탑케이스(10)의 내부공간을 차폐한다. 상판(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판(20)에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버너(100)를 노출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녹이 쉽게 생기지 않고 부식이 잘되지 않으며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금속(Stainless steel) 재질, 금속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피복시켜 내식성 및 청결성을 높인 법랑 재질, 또는 내열성이 좋은 강화유리 또는 세라믹 글래스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버너(100)는, 일부분이 쿡탑케이스(10) 내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판(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판(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버너(100)는, 노즐홀더(110)와 버너바디(120)와 버너헤드(130) 및 버너캡(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홀더(110)는 쿡탑케이스(10) 내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이러한 노즐홀더(110)에는 버너(100)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이 설치된다.
버너바디(120)는, 쿡탑케이스(10) 내부의 내부공간에서 노즐홀더(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버너바디(120)의 내부에는 노즐홀더(110)에 설치된 노즐과 연결되는 가스공급유로(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버너바디(120)의 상부는 버너바디(120) 내부의 가스공급유로(121)가 상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개방된 버너바디(120) 상부의 일부 영역은 상판(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판(20) 외부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판(20)의 외부로 개방된 부분이 버너(100)의 내부로 1차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1차공기유입공(123)이 된다.
버너헤드(130)는 버너바디(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격판(131) 및 측벽(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격판(131)은, 버너바디(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버너바디(120) 상부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격판(131)의 테두리 외측 테두리에는 측벽(133)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격판(131)은 상판(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되며, 격판(131)의 외측 테두리 영역과 상판(20) 사이에는 소정 높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격판(131)과 상판(2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은, 1차공기 및 2차공기가 버너(100) 측으로 유입되는 통로(이하 "공기유입로(a)"라 한다)가 된다.
이에 따르면, 외부공기가 공기유입로(a)를 통해 1차공기유입공(123) 측으로 이동하여 1차공기유입공(123)을 통해 버너바디(120) 내부의 가스공급유로(121)로 유입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가스공급유로(121)로 유입된 공기는 노즐에서 분출된 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1차공기로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버너헤드(130)는, 버너바디(120) 내부의 가스공급유로(121)와 버너헤드(130) 내부의 공간부(132)를 연통시키는 가스유입관(1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에서 분출된 가스 및 1차공기유입공(123)을 통해 유입된 1차공기는, 가스공급유로(121) 내부에서 가스유입관(139)을 통해 버너헤드(130) 내부의 공간부(132)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공간부(132)로 공급된 가스 및 1차공기는 공간부(132) 내부에서 혼합된 후 후술할 염공(1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출되는 혼합가스는 점화플러그(105)에 의해 발생된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어 불꽃을 형성하며 연소될 수 있다.
버너캡(140)은, 버너헤드(13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버너헤드(130)의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버너캡(140)이 버너헤드(130)의 개방된 상부에 덮임으로써, 버너헤드(130)의 내부에는 격판(131)과 측벽(133)과 버너캡(140)으로 둘러싸인 공간부(132)가 형성된다.
버너캡(140)은, 버너헤드(13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이물질(예를 들면, 조리용기에서 흘러넘친 국물)이 버너헤드(130) 내부의 공간부(13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버너헤드(130) 내부의 공간부(132)로 공급된 가스가 버너캡(140)의 하부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버너헤드(130)에 형성된 염공(135)을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염공(135)은, 버너헤드(130)의 측벽(133)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염공(135)은, 일측이 버너헤드(130) 내부의 공간부 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이 측벽(133)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측벽(133)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아울러 버너헤드(130)는, 측벽(133)에 형성되는 2차공기유입공(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차공기유입공(137)은, 유입구(137a)가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고 배출구(137b)가 측벽(133)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측벽(133)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133)에는 복수 개의 염공(135)이 측벽(133)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2차공기유입공(137)은, 배출구(137b)가 염공(135)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염공(135)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공기유입공(137)이 측벽(133)의 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2차공기유입공(137)의 유입구(137a)는, 상판(20)과 격판(131) 사이의 공간, 즉 공기유입로(a)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2차공기유입공(137)의 배출구(137b)는, 염공(135)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염공(135)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공기유입로(a)를 통해 버너헤드(130)의 하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 일부는 1차공기유입공(123)을 통해 가스공급유로(121)로 유입되어 1차공기로 공급되고, 공기유입로(a)를 통해 버너헤드(130)의 하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 다른 일부는 2차공기유입공(137)의 유입구(137a)를 통해 2차공기유입공(137)의 내부로 유입된다.
2차공기유입공(137)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2차공기유입공(137)의 배출구(137b)를 통해 염공(135)의 측부, 즉 측벽(133)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염공(135) 사이로 배출됨으로써, 염공(135)의 외측에서 연소되는 불꽃의 완전연소를 위한 2차공기로 공급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버너에 2차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너(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버너(100)를 이루는 노즐홀더(110)와 버너바디(120)와 버너헤드(130) 및 버너캡(140)을 각각 제조한다(S10).
이 중 버너헤드(130)는, 버너바디(120) 상부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격판(131)의 테두리 외측 테두리에 측벽(133)이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벽(133)에 염공(135)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버너헤드(130)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 등과 같이 금형을 이용한 주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버너헤드(130)의 제조가 완료되면, 버너헤드(130)에 2차공기유입공(137)을 성형한다(S20). 버너헤드(130)에 성형되는 2차공기유입공(137)은, 유입구(137a)가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고 배출구(137b)가 측벽(133)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측벽(133)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배출구(137b)가 염공(135)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염공(135)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2차공기유입공(137)은 측벽(133)의 내부가 드릴링되어 성형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2차공기유입공(137)은 측벽(133)의 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2차공기유입공(137)은, 유입구(137a)이 공기유입로(a)를 향해 개방되고 배출구(137b)가 염공(135)과 대응되는 높이에서 염공(135)과 염공(135) 사이에 위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써 측벽(133)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각 염공(135) 사이에는, 버너헤드(130)의 하부로부터 공기가 버너헤드(13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와 같이 버너헤드(13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염공(135)과 염공(135) 사이로 공급되는 2차공기의 공급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버너헤드(130)의 제조 및 2차공기유입공(137)의 성형이 완료되면, 노즐홀더(110)와 버너바디(120)와 버너헤드(130) 및 버너캡(140)을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버너(100)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버너(100)의 연소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쿡탑케이스(10) 내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노즐홀더(110)는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과 연결되며, 이러한 노즐홀더(110)에는 노즐이 설치된다.
노즐은 버너(100)의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버너바디(120) 내부에 형성된 가스공급유로(121)를 향해 가스를 분출하며, 이와 같이 가스공급유로(121)를 향해 분출된 가스는, 버너바디(120)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된 가스유입관(139)을 통해 버너헤드(130) 내부의 공간부(132)로 유입된다.
한편 버너헤드(130)와 상판(20) 사이의 공간에는, 외부공기가 버너헤드(13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로(a)가 형성된다.
공기유입로(a)를 통해 버너헤드(130)의 하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 일부는 1차공기유입공(123)을 통해 가스공급유로(121)로 유입되고, 공기유입로(a)를 통해 버너헤드(130)의 하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 다른 일부는 2차공기유입공(137)의 유입구(137a)를 통해 2차공기유입공(137)의 내부로 유입된다.
1차공기유입공(123)을 통해 가스공급유로(121)로 유입된 공기는, 가스유입관(139)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따라 가스유입관(139)으로 빨려들어가 버너헤드(130) 내부의 공간부(132)에 1차공기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공간부(132)로 유입된 1차공기 및 가스는, 공간부(132) 내부에서 혼합되어 혼합가스 형태로 염공(135)을 통해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되는 혼합가스는 점화플러그(105)에 의해 발생된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어 불꽃을 형성하며 연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소가 이루어지는 버너(100)는, 연소가 이루어지는 불꽃의 주위에서 2차공기를 흡입하여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소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충분한 양의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져야만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버너(100)의 열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일반적인 버너의 경우, 2차공기의 공급은 불꽃의 상부에 있는 조리용기로 인해 주로 불꽃의 하부에서 이루어지는데, 불꽃과 상판(20) 사이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 충분한 양의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지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실시예의 버너(100)에 따르면, 2차공기의 공급이 불꽃의 하부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염공(135)과 염공(135)의 사이사이에서도 함께 이루어도록 함으로써, 완전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버너(100)의 염공(135) 외측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는 동안 불꽃과 상판(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에 더하여, 염공(135)과 염공(135) 사이에 형성된 2차공기유입공(137)을 통해서도 2차공기 공급이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완전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불꽃의 하부 측에서뿐 아니라 염공(135)과 염공(135) 사이에 형성된 2차공기유입공(137)을 통해 2차공기 공급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완전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의 안정성을 높이고 향상된 열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버너(100)에 완전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2차공기가 공급되어 연소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불꽃의 힘이 상승되므로, 불꽃의 퍼짐, 처짐, 흔들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불꽃의 퍼짐, 처짐, 흔들림 발생으로 인한 상판 온도 상승 문제 및 조리용기 손잡이의 온도 상승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버너의 높이를 높이지 않아도 완전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2차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용기의 안착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안소의 안정성을 높여 청정연소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버너헤드(130)의 측벽에 관통공 형태의 2차공기유입공(137)을 성형하는 것만으로 2차공기 공급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열효율이 향상된 버너(100)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버너에서 링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버너에 2차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200)에서는 2차공기유입공(237)이 측벽(133)의 외측부에 측벽(133)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2차공기유입공(237)의 유입구(237a)는 측벽(133)의 외측부에 형성된 오목홈의 일측이 격판(131)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2차공기유입공(237)의 배출구(237b)는 상기 오목홈의 외측으로 개방된 부분이 된다.
상기 2차공기유입공(237)은 버너헤드(230)의 제조시에 버너헤드(230)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너헤드(230)는 금형을 이용한 주조에 의해 성형되는 주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버너헤드(230)의 성형 과정에서 2차공기유입공(237)도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2차공기유입공(237)이 관통공 형태가 아닌 측벽(133)의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 형태로 형성되므로, 버너헤드(230)를 주조하기 위한 금형에 2차공기유입공(237)의 형상이 반영되도록 금형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번의 주조로 버너헤드(230)의 제조 작업과 2차공기유입공(237)의 성형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측벽(133)을 드릴링하여 2차공기유입공을 성형하는 형태에 비해 더욱 쉽고 빠르며 저렴한 비용으로 버너헤드(230)에 2차공기유입공(237)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버너(200)는, 커버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50)는, 2차공기유입공(237)의 상하방향 일부분을 외측에서 덮도록 버너헤드(1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벽(133)의 외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부재(250)는, 버너헤드(230)의 제조 및 2차공기유입공(237)의 성형이 완료된 후, 버너헤드(23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250)는 내주면이 측벽(133)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버부재(250)는, 2차공기유입공(237)의 유입구(237a)와 인접한 영역을 덮도록 측벽(133)의 외측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너헤드(230)는 하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커버부재(250) 또한 이러한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커버부재(250)는 버너(200)의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버너헤드(230)의 측벽(133) 외측에 끼워지는 형태로 버너헤드(2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부재(250)는, 버너헤드(230)와의 끼움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그 하단부가 버너헤드(230)보다 하부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부재(250)는 그 하단부가 버너헤드(230)의 하부면, 즉 격벽(131)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코킹(Caulking)됨으로써 버너헤드(230)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버너와,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연소의 안정성 및 열효율이 향상되면서도, 쉽고 빠르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할 뿐 아니라 미감이 향상된 버너(100) 및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커버부재(250)는, 2차공기의 배출에 필요한 배출구(237b)가 노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오목홈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고, 이와 같이 오목홈 영역이 커버된 부분에 커버부재(250)의 매끄러운 표면만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버너(100)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50)는, 2차공기유입공(237)의 유입구(237a)와 배출구(237b)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버너헤드(230)의 외측으로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입구(237a)를 통해 유입된 2차공기가 배출구(237b)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차단벽의 역할 또한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쿡탑케이스
20 : 상판
100,200 : 버너
105 : 점화플러그
110 : 노즐홀더
120 : 버너바디
121 : 가스공급유로
123 : 1차공기유입공
130,230 : 버너헤드
131 : 격판
133 : 측벽
135 : 염공
137,237 : 2차공기유입공
137a,237a : 유입구
137b,237b : 배출구
139 : 가스유입관
140 : 버너캡
250 : 커버부재
a : 공기유입로

Claims (13)

  1. 내부에 가스공급유로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버너바디;
    상기 버너바디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의 테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버너헤드;
    상기 버너헤드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버너캡;
    상기 측벽의 상하방향 일부분을 외측에서 덮도록 상기 버너헤드의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헤드의 내부에는, 상기 격판과 상기 측벽과 상기 버너캡으로 둘러싸인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일측이 상기 공간부 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염공, 및 유입구가 상기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고 배출구가 상기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2차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2차공기유입공은, 상기 측벽의 외측부에 상기 측벽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오목홈의 하부가 상기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의 외측으로 개방된 부분 중에서 상기 염공과 인접한 상부가 상기 배출구가 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오목홈의 상하방향 일부분을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측방향으로 덮도록 상기 버너헤드의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오목홈의 측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부분 중에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영역을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측방향으로 덮도록 상기 측벽의 외측에 결합되는 링 형태로 마련되는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복수 개의 상기 염공이 상기 측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2차공기유입공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염공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염공 사이에 배치되는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공기유입공의 배출구는, 상기 염공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버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
    상기 쿡탑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덮이는 상판;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는, 상기 격판이 상기 상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2차공기유입공의 유입구는, 상기 상판과 상기 격판 사이의 공간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버너바디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격판과, 상기 격판의 테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염공을 포함하는 버너헤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유입구가 상기 격판의 하부 측으로 개방되고 배출구가 상기 측벽의 외측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버너헤드에 2차공기유입공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2차공기유입공의 상하방향 일부분을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측방향으로 덮도록 상기 버너헤드의 외측에 커버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공기유입공은, 상기 측벽의 외측부에 상기 측벽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 형태로 상기 버너헤드와 함께 성형되는 버너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11163A 2016-08-30 2016-08-30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84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163A KR101847285B1 (ko) 2016-08-30 2016-08-30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163A KR101847285B1 (ko) 2016-08-30 2016-08-30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635A KR20180024635A (ko) 2018-03-08
KR101847285B1 true KR101847285B1 (ko) 2018-04-09

Family

ID=6172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163A KR101847285B1 (ko) 2016-08-30 2016-08-30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733A (ko) 2021-09-03 2023-03-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KR20230034734A (ko) 2021-09-03 2023-03-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KR20230034725A (ko) 2021-09-03 2023-03-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KR20230041524A (ko)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레인지
KR20230041525A (ko)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레인지
KR20230053894A (ko)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KR20230102833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레인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4472A (zh) * 2014-12-11 2015-04-22 阿诗丹顿电气(中山)有限公司 一种火盖和灶具燃烧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4472A (zh) * 2014-12-11 2015-04-22 阿诗丹顿电气(中山)有限公司 一种火盖和灶具燃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635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285B1 (ko)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8253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P2773905B1 (en) Gas burner, in particular for a cooking appliance
KR20140137721A (ko)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EP3781871B1 (en) A pan support, a gas stov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n support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1009234B2 (e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pedestal burner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5384854B2 (ja) こんろバーナ
EP3591289B1 (en) A dual circuit burner, a gas burner arrangement and a gas stove
JP6842957B2 (ja) コンロバーナ
JP2003194310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JP6666201B2 (ja) コンロ用バーナ及びコンロ
JP7240941B2 (ja) 加熱調理器
TWI797355B (zh) 瓦斯爐用燃燒器以及瓦斯爐
KR20100069015A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357487B1 (ko) 가스조리기 버너헤드의 비정상결합 방지구조
JP2005291666A (ja) 燃焼機器
WO2023152652A1 (en) An improved gas burner
JP4595532B2 (ja) ガスコンロ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23072360A (ja) コンロバーナ、ガスコンロ
KR20140033482A (ko) 수증기분사 수냉식 직화구이용 불판
TW202340651A (zh) 爐灶燃燒器及燃氣灶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