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530B1 -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530B1
KR101182530B1 KR1020107013439A KR20107013439A KR101182530B1 KR 101182530 B1 KR101182530 B1 KR 101182530B1 KR 1020107013439 A KR1020107013439 A KR 1020107013439A KR 20107013439 A KR20107013439 A KR 20107013439A KR 101182530 B1 KR101182530 B1 KR 10118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head
mixing tube
cap
mix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180A (ko
Inventor
류정완
양대봉
정용기
김영수
이대래
김양호
임재범
위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9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62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for cooking ranges having multiple flame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63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for cooking ranges having one flame ring fed by multiple ventur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그 테두리에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아웃터버너; 상기 아웃터버너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아웃터버너의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되는 그 테두리에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이너버너; 상기 아웃터버너의 내부에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제1믹싱튜브; 상기 이너버너의 내부에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제2믹싱튜브; 및 상기 아웃터튜브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너버너의 염공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물이 가열되는 동시에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스나 전기 등을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가스를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경우에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버너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는 통상적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버너본체, 상기 버너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버너헤드, 상기 버너헤드와의 사이에 가스가 분출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버너캡 및 상기 염공을 통하여 분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점화플러그를 포함한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물의 국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버너가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탑버너는,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제1버너; 상기 제1버너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버너의 염공에서 형성되는 화염과 구획되도록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제2버너; 및 상기 제2버너의 염공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탑버너는,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그 테두리에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아웃터버너; 상기 아웃터버너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아웃터버너의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되는 그 테두리에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이너버너; 상기 아웃터버너의 내부에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제1믹싱튜브; 상기 이너버너의 내부에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제2믹싱튜브; 및 상기 아웃터튜브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너버너의 염공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탑그리드 및 제 1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의 탑버너를 포함하는 탑버너부; 및 상기 탑버너의 하방에 구비되는 오븐부; 를 포함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물이 가열되는 동시에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1실시예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2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터버너헤드의 저면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3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터버너캡의 저면을 보인 사시 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5실시예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6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터버너헤드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7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8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9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10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1실시예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10)의 외관을 본체(100)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탑버너부(200), 오븐부(300), 워밍드로워(400), 백가드(500), 컨트롤패널(600) 및 탑버너컨트롤부(700)가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부(200) 및 오븐부(300)은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워밍드로워(400)는 조리물을 담는 용기를 데우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600)은 각각 상기 조리기기(10)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조리기기(1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탑버너컨트롤부(700)는 상기 탑버너부(200)에 가스를 공급하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백가드(500)는 상기 오븐부(300)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탑버너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부(200)에는 다수개의 탑버너(220)가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22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탑버너(2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탑버너부(200)에는 다수개의 탑그리드(290)가 구비된다. 상기 탑그리드(290)에는 상기 탑버너(220)에 의하여 가열되는 용기가 안착된다.
한편 상기 오븐부(300)은 상기 탑버너부(20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상기 오븐부(300)의 내부에는 히터(미도시)에 의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조리실(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은 도어(3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310)는 상기 본체(100)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도어(31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도어(310)를 여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핸들(3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워밍드로워(400)는 상기 오븐부(30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워밍드로워(400)는 드로워방식으로 상기 본체(100)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워밍드로워(400)에는 조리물을 담는 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워밍드로워(400)에 담겨진 용기는 상기 조리실에서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상기 히터 또는 별개로 구비되는 워밍용 히터의 히터열에 의하여 데워진다. 또한 상기 워밍드로워(400)의 전면에도 사용자가 상기 워밍드로워(400)를 출납시키기 위하여 파지하는 드로워핸들(410)이 구비된다.
상기 백가드(500)는 상기 탑버너부(2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 후단에 구비된다. 상기 백가드(5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백가드(50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부(3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실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유로를 유동하여 상기 조리실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컨트롤패널(600)은 상기 백가드(50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600)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오븐부(300) 또는 워밍드로워(4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오븐부(300) 및 워밍드로워(400)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컨트롤부(700)에는 상기 탑버너(220)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조작노브(71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노브(710)는 각각 상기 탑버너(220)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한편 상기 탑버너부(200)의 상면 외관을 탑플레이트(210)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탑버너(220)가 설치되는 버너설치부(211)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설치부(211)는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일부가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이루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은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테두리면은,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 테두리에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탑플레이트(210)에는 제1 및 제2삽입홀(212)(213)이 형성된다.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및 제2삽입홀(212)(213)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가 각각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및 제2삽입홀(212)(213)은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탑버너(220)는 아웃터버너(230) 및 이너버너(26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버너(230) 및 이너버너(260)는 조리모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물을 저온으로 가열하는 심머모드(simmer mode)에서는 상기 아웃터버너(230)만 사용되고, 일반적인 조리모드에서는 상기 아웃터버너(230) 또는/및 이너버너(260)가 모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230) 및 이너버너(260)는 각각 아웃터버너헤드(240) 및 아웃터버너캡(250), 이너버너헤드(270) 및 이너버너캡(28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 아웃터버너캡(250), 이너버너헤드(270) 및 이너버너캡(280)은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재질을 주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는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에는 2개의 제1믹싱튜브(2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믹싱튜브(241)는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버너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노즐(미도시)에서 분사되어 공기와 혼합된 상태의 가스(이하에서는 '혼합가스'라 칭함)를 상기 아웃터버너(23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믹싱튜브(241)의 상단부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믹싱튜브(241)의 하단부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삽입홀(212)에 삽입된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에는 3개의 지지돌기(24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242)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를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는 그 저면이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돌기(242)의 높이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중앙부에는 관통개구(243)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는 제2믹싱튜브(271)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는 제2믹싱튜브(271)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의 내주연은 제2믹싱튜브(27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상면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주염공형성치형(244)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45)이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주염공형성치형(244)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45)은 각각 혼합가스가 배출되어 연소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주염공형성치형(244)은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보조염공형성치형(24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상면 외주연 일측에는 점화저부(246)가 형성된다. 상기 점화저부(246)는 스파크가 발생되는 점화플러그(미도시)의 단부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점화저부(246)에 인접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이 상기 점화플러그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하여 먼저 점화되고, 점화된 화염이 옮겨짐으로써,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전체적으로 점화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은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50)도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에 대응하여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저면 외주연은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주염공형성치형(244)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45)과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을 형성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상면에는 이너버너안착부(251)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는 대략 상기 아웃터버너캡(250)과 동일한 원중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에는 관통개구(252)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관통개구(252)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와 동일하게 제2믹싱튜브(271)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관통개구(252)는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것이다.
또한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에는 지지리브(25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253)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을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상면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리브(253)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관통개구(252)의 내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저면, 즉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253)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의 내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상면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에는 고정보스(254)가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고정보스(254)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과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고정보스(254)는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의 상면에 2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고정보스(254)에는 고정홀(255)이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고정홀(255)은 아래에서 설명할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돌기(274)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상면에는 유입방지턱(256)이 구비된다. 상기 유입방지턱(256)은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국물 등이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관통개구(252) 및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를 통하 여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방지턱(256)이 실질적으로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와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를 제외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경계선상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에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화염, 즉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화염을 이너버너(260)의 염공(261)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불옮김슬릿(257)이 구비된다. 상기 불옮김슬릿(257)은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상면 일부가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너버너헤드(270)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 실질적으로는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버너헤드(270)는 대략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에 대응하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에는 1개의 제2믹싱튜브(271)가 구비된다. 상기 제2믹싱튜브(271)는 혼합가스를 상기 이너버너(26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믹싱튜브(271)의 상단부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믹싱튜브(271)의 하단부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관통개구(252) 및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를 차례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홀(213)에 삽입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주염공형성치형(272)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73)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주염공형성치형(272)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73)은 각각 혼합가스가 배출되어 연소되는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에는 3개의 고정돌기(274)가 구비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돌기(274)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과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돌기(274)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가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고정홀(255)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돌기(274)가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고정홀(25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은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고정보스(254)의 상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상면과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은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는 3개의 고정보스(27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보스(275)에는 고정홀(276)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보스(275) 및 고정홀(276)은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와 이너버너캡(28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에는 가스챔버(276)가 구비된다. 상기 가스챔버(276)에는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에서의 화염이 소화되는 경우에 이를 재점화시키기 위한 혼합가스가 저장된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은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저면 내주연은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주염공형성치형(272)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73)과의 사이에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버너캡(280)이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저면은 상기 제2믹싱튜브(27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저면에는 3개의 고정돌기(281)가 구비된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고정돌기(281)는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너버너캡(280)이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홀(276)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버버캡(280)에는 차폐리브(283)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리브(283)는 상기 불옮김슬릿(257)으로 피가열물의 국물 등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폐리브(283)는 실질적으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외주연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불옮김슬릿(257)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하여 상기 이너버너(260)에 추가적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유로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는 제1 내지 제3유로(P1)(P2)(P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로(P1)는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과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P2)는 상기 제2믹싱튜브(271)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리브(253)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3 유로(P3)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상면과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유로(P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 및 제3유로(P2)(P3)를 유동하여 상기 이너버너(260), 즉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으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심머모드의 경우에는 아웃터버너(230)만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작노브(710)(도 1참조)를 조작하면, 제1가스믹싱튜브(241)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에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따라서 제2가스믹싱튜브(271)를 통한 이너버너(260)로의 혼합가스의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가스믹싱튜브(241)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에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점화플러그가 동작하여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형성되는 화염에 의하여 탑그리드(290)에 안착된 용기(C)가 가열됨으로써, 조리물이 조리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조리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아웃터버너(230) 및 이너버너(260)를 모두 사용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710)를 조작하면, 상기 제1 및 제2가스믹싱튜브(241)(271)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 및 이너버너(260)에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230) 및 이너버너(260)에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각각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과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을 통하여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점화플러그에 의하여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먼저 점화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에서 혼합가스의 점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화염이 불옮김슬릿(257)을 통하여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으로 전달되어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된다.
따라서 상기 탑그리드(290)에 안착된 상기 용기(C)가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과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형성되는 화염에 의하여 가열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유로(P1)(P2)(P3)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이너버너(260)로 공급되어 상기 이너버너(260)에서 혼합가스가 보다 완전하게 연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심머모드 또는 일반적인 조리모드에서, 상기 용기(C)에 담겨진 조리물, 특히 조리물의 국물이 과열되어 넘쳐흐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C)에서 흘러넘치는 조리물의 국물은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상면, 즉 아웃터버너캡(250)의 상면으로 흘러내리거나, 상기 이너버너(260)의 상면, 즉 이너버너캡(280)의 상면을 타고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상면으로 흘러내린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상면에 유입방지턱(256)이 구비된다. 따라서 조리물의 조리과정에서 상기 용기(C)에서 넘쳐흐르는 조리물의 국물이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으로 흘러내려서 상기 제1 내지 제3유로(P1)(P2)(P3)를 유동하여 상기 이너버너(26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불옮김슬릿(257)은 차폐리브(283)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이므로, 상기 용기(C)에 담겨진 조리물의 국물이 넘쳐흐르더라도, 넘쳐흐르는 국물이 상기 불옮김슬릿(257)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C)로부터 넘쳐흐르는 조리물의 국물에 의하여 상기 이너버너(260)로의 불옮김이 간섭받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2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터버너헤드의 저면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 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주염공형성치형(244)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45)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테두리면에는 하단에는 제1에어가이드(247)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247)는, 이너버너(260)에서의 불완전연소를 감소시키는 위하여 버너설치부(211)의 상면 및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 사이의 공간, 즉 제1유로(P1)로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247)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테두리면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에어가이드(247)의 외주연은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테두리의 외측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에어가이드(247)는,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테두리면에 대응하여,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테두리면 하단에서 하향경사지게 연장된다. 아래의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에어가이드(247)의 구비여부에 따른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Figure 112010039111404-pct00001
즉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가이드(247)가 구비되는 경우가, 상기 제1에어가이드(247)가 구비되지 않는 종래에 비하여 상기 탑버너(220), 특히 상기 이너버너(260)에서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가 감소됨으로써,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제2에어가이드(248)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도, 상기 이너버너(260)에서의 불완전연소를 감소시키는 위하여,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 및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 사이의 공간, 즉 제1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를 통하여 상기 이너버너(260)로 공급되는 공기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 및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 사이의 공간으로 방사상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구획하여 안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와류의 형성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는,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의 저면은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관통개구(243)를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는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의 저면 일부만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에 지지된다. 아래의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의 구비여부에 따른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Figure 112010039111404-pct00002
즉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가 구비되는 경우가,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가 구비되지 않는 종래에 비하여 상기 탑버너(220), 특히 상기 이너버너(260)에서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가 감소됨으로써,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유로(P1)의 입구부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테두리면 하단에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247)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로(P1) 상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유로(P1)(P2)(P3)를 유동하는 공기, 특히 상기 제1유로(P1)로의 공기의 유입이 상기 제1에어가이드(247)에 의하여 안내되고,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2에어가이드(248)에 의하여 구획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3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터버너캡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믹싱튜브(241)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아웃터버너캡(250)의 저면에 믹싱보스(291)가 구비된다. 상기 믹싱보스(291)는 상기 제1믹싱튜브(241)를 통하여 아웃터버너(230)로 공급되는 혼합가스, 즉 가스와 공기의 혼합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아웃터버너(230)에서의 불완전연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믹싱보스(291)는, 상기 제1믹싱튜브(241)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믹싱보스(291)는 상기 제1믹싱튜브(241)와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중첩,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믹싱튜브(241) 전부와 상하로 중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믹싱튜브(241)의 상단 및 상기 믹싱보스(291)의 저면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공간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공간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체적이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믹싱튜브(241)의 상단 및 상기 믹싱보스(291)의 저면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믹싱튜브(241)에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로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기 믹싱보스(291)의 두께만큼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제1믹싱튜브(241)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상기 제1믹싱튜브(241)의 상단 및 상기 믹싱보스(291)의 저면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공간의 다른 부분)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가스와 공기의 혼합율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에서의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가 감소되어 이에 따른 일산화탄소(CO)의 발생량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아래의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믹싱보스(291)의 구비여부에 따른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Figure 112010039111404-pct00003
즉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믹싱보스(291)가 구비되는 경우가, 상기 믹싱보스(291)가 구비되지 않는 종래에 비하여 탑버너(220), 특히 상기 아웃터버너(230)에서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가 감소됨으로써,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4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믹싱튜브(241)에 인접하는 아웃터버너헤드(240)의 바닥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테두리면 내측과 상기 제1믹싱튜브(241)의 외주면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바닥면에 믹싱홈(249)이 형성된다. 상기 믹싱홈(249)은,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바닥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믹싱홈(249)이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테두리면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기설정된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믹싱홈(249)의 중심각은, 상기 믹싱홈(249)의 양단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상기 제1믹싱튜브(241)의 직경 이상이 되는 각도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믹싱홈(249)은,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 중 특히, 상기 제1믹싱튜브(241)에 인접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으로 혼합가스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믹싱튜브(241)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을 통하여 배출되어 연소된다. 그런데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경우에는 상기 제1믹싱튜브(241)와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 사이의 거리가, 상기 아우터버너(230)의 염공(231)(232)의 위치에 따라서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 중 상기 제1믹싱튜브(241)에 인접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다량의 혼합가스가 배출되거나 고속으로 유동하여 정확하게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믹싱튜브(241)에 인접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에서 혼합가스가 배출되어 형성되는 화염만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화염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거나 정확하게 연소되지 못할 우려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믹싱튜브(241)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믹싱홈(249)을 유동하면서 그 유동속도가 감소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믹싱튜브(241)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믹싱홈(249)을 유동하면서 와류가 발생됨으로써, 그 유동속도가 감소되는 동시에 가스와 공기와의 혼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즉 상기 제1믹싱튜브(241)에 인접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을 통하여 다량의 혼합가스가 고속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5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5실시예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에 다수개의 제1차폐부재(293)가 구비되고,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에 제2차폐부재(295)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차폐부재(293)(295)는, 버너설치부(21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탑플레이트(210)의 제1 및 제2삽입홀(212)(213)을 통하여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하방, 즉 탑버너부(200)의 내부로 조리물의 국물 등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차폐부재(293)(295)가, 각각 그 내주면이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 또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및 제2차폐부재(293)(295)는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믹싱튜브(241)(271)를 둘러싸도록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 또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차폐부재(293)(295)는 각각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또는 제2삽입홀(212)(213)에 인접하는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에 지지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차폐부재(293)(295)는,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또는 제2삽입홀(212)(213)을 차폐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차폐부재(293)(295)는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또는 제2삽입홀(212)(213)의 직경 초과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물의 국물 등이 넘쳐흐르더라도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및 제2삽입홀(212)(213)을 통하여 상기 탑버너부(200)의 내부로 흘러내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6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6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웃터버너헤드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터버너헤드(240)에 4개의 제1믹싱튜브(297)가 구비된다. 즉 4개의 상기 제1믹싱튜브(297)를 통하여 아웃터버너(230)의 내부공간에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제1믹싱튜브(297)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저면에 기설정된 각도, 즉 90°만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믹싱튜브(297)는 제2에어가이드(248)와 교호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믹싱튜브(297)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로 보다 다량의 혼합가스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아웃터버너(230)로 다량의 가스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급됨으로써,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탑버너(220), 특히 상기 아웃터버너(230)에서의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가 감소되어 이에 따른 일산화탄소(CO)의 발생량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아래의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믹싱튜브(297)의 개수에 따른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의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Figure 112010039111404-pct00004
즉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믹싱튜브(297)가 4개로 구성되는 경우가, 상기 제1믹싱튜브(241)가 2개로 구성되는 종래에 비하여 탑버너(220), 특히 상기 아웃터버너(230)에서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가 감소됨으로써,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믹싱튜브(297)의 개수가 증가됨으로 인하여 단순히 상기 아웃터버너(230)로의 혼합가스의 공급량만 증가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버너(230)에서의 혼합가스의 불완전연소가 감소됨으로써,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이 감소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7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7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터버너헤드(240)의 테두리면 상단에는 다수개의 주염공형성치형(244)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45)이 서로 교호되게 구비된다. 또한 아웃터버너캡(250)의 테두리면 하단에는 다수개의 주염공형성치형(258)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59)이 서로 교호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주염공형성치형(244)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45)과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주염공형성치형(258)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59)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이 각각 형성된다.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도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이너버너캡(270)의 테두리면 상단에 다수개의 주염공형성치형(272)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73)이 서로 교호되게 구비되고, 이너버너캡(280)의 테두리면 상단에는 다수개의 주염공형성치형(285)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86)이 서로 교호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버너캡(270)의 주염공형성치형(272)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73)과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주염공형성치형(285)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86)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주염공형성치형(244)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45), 및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주염공형성치형(258)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59)은 각각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을 통하여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버너캡(270)의 주염공형성치형(272)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73), 및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주염공형성치형(285) 및 보조염공형성치형(286)은, 각각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을 통하여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동일한 직경의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보조염공(232), 및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 및 보조염공(262)이, 각각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232) 및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262)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은 그 고유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화염의 형상에 의한 미감이 증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8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8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버너캡(280)의 테두리면 상단에 화염안내부(298)가 구비된다. 상기 화염안내부(298)는 이너버너(260)의 염공(261)(262), 특히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을 상기 이너버너(260)의 외측으로 퍼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262)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화염이 상기 이너버너(260)의 외측으로 퍼지도록 안내됨으로써,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의 바닥면의 보다 넓은 면적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염안내부(298)가,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262)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테두리면 상단이 전체적으로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9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9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이 아웃터버너캡(250)의 테두리면 일측이 대략 수평방향 또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테두리면을 홀가공함으로써,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은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테두리면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보조염공형성치형(233)이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보조염공형성치형(233)은 아웃터버너(230)의 보조염공(23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보조염공(232)은 아웃터버너헤드(240)의 상면 내주연 및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보조염공형성치형(233)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보조염공(232)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에서 배출되어 연소되는 혼합가스가 소화되는 경우에 불꽃을 옮겨주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보조염공(232)은 실질적으로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것이 아니라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보조하는 보조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보조염공(232)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형성되는 불꽃은,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형성되는 불꽃에 비하여 외부로 잘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이너버너캡(280)에는 다수개의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은 실질적으로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테두리면이 홀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도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과 동일하게 실질적으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도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과 동일하게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버너캡(280)에는 다수개의 보조염공형성치형(233)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보조염공형성치형(233)은 이너버너(260)의 보조염공(26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이너버너(260)의 보조염공(262)은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 내주연 및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보조염공형성치형(233)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 및 상기 이너버너(260)의 주염공(261)은 후가공인 홀가공에 의하여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보조염공(232) 및 상기 이너버너(260)의 보조염공(26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보조염공(232) 및 상기 이너버너(260)의 보조염공(262)은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므로, 홀가공이 아닌, 상기 아웃터버너캡(250)의 보조염공형성치형(233) 및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보조염공형성치형(263)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0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의 제10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의 외주면에 탈거방지부재(299)가 구비된다. 상기 탈거방지부재(299)는 상기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 및 탑플레이트(210)의 제1 및 제2삽입홀(212)(2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거방지부재(299)가 상기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기설정된 반경을 가지는 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은 상기 탈거방지부재(299)에 의하여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및 제2삽입홀(212)(2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억지끼움된다. 그러나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및 제2삽입홀(212)(21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가 상기 탈거방지부재(299)에 의하여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서만 탈거되고, 예를 들면, 상기 탑플레이트(210)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거방지부재(299)가 상기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의 외주면에서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구형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탈거방지부재(299)가 상기 제1 및 제2믹싱튜브(241)(271)이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및 제2삽입홀(212)(213)에 삽입 또는 탈거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하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조리물이 담겨지는 용기의 테두리부분은 아웃터버너에 의하여 가열되고, 중앙부분은 이너버너에 의하여 가열된다. 따라서 조리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리물을 저온으로 가열하는 심머모드에서 상기 아웃터 버너가 사용되므로, 상기 이너버너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심머모드에서도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가 가열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심머모드에서 조리물이 타는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너버너에서 혼합가스가 보다 완전하게 연소된다. 따라서 조리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기 이너버너에서의 불완전연소에 의한 일산화탄소의 발생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유입방지턱 및 차폐부재 등에 의하여 조리물로부터의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보다 청결하게 탑버너 및 조리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염공이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화염이 그 고유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탑버너가 탑플레이트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탑버너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7)

  1.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제1버너;
    상기 제1버너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버너의 염공에서 형성되는 화염과 구획되도록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제2버너; 및
    상기 제2버너의 염공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 를 포함하는 탑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적어도 상기 제1버너가 설치되는 탑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1버너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는 탑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적어도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2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믹싱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탑버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적어도 상기 제1버너의 상면과 상기 제2버너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탑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1버너가 설치되는 탑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1버너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2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믹싱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 및
    상기 제1버너의 상면과 상기 제2버너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3유로를 포함하는 탑버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탑버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버너의 테두리면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탑버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버너의 테두리면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탑버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구획하는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탑버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버너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탑버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2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믹싱튜브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버너의 저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관통개구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중심각만큼 서로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탑버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저면은, 상기 제2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믹싱튜브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버너의 저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관통개구를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탑버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에어가이드; 및
    상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구획하는 제2에어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탑버 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적어도 상기 제1버너가 설치되는 탑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제1버너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에어가이드는, 방사상으로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제2에어가이드는, 방사상으로 상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구획하는 탑버너.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버너 중 적어도 1개의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는 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탑버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방지부재는, 상기 제2버너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상기 제1버너의 상면에는 구비되는 탑버너.
  17. 제 1 항에 있어서,
    믹싱튜브를 통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의 유동을 방해하여 공기와 가스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믹싱부재를 더 포함하는 탑버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공간 일측에서 상기 믹싱튜브로부터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공간으로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탑버너.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공간 일측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믹싱튜브의 일단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탑버너.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믹싱튜브의 상단 및 상기 믹싱튜브의 상단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공간 일부의 천장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탑버너.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믹싱 튜브의 일단과 상기 믹싱튜브를 통하여 혼합가스가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탑버너.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너가 설치되는 탑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제1 및 제2버너의 저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탑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로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1개의 믹싱튜브가 관통하는 삽입홀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탑버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하단이 상기 삽입홀에 인접하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되는 탑버너.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저면과 연통되는 상기 믹싱튜브의 외주면과 그 내주면이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버너의 저면에 구비되는 탑버너.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저면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되게 위치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믹싱튜브에 의하여 공급되는 탑버너.
  26. 제 1 항에 있어서,
    믹싱튜브에 의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의 혼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믹싱홈을 더 포함하는 탑버너.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튜브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믹싱홈은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믹싱튜브의 일단 및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염공 중 상기 믹싱튜브의 일단과 가장 인접되는 1개 이상의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염공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에 위치되는 탑버너.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튜브는 그 상단이 상기 버너의 바닥면을 통하여 상기 버너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믹싱홈은 상기 믹싱튜브의 상단 및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염공 중 상기 믹싱튜브의 상단과 가장 인접되는 1개 이상의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염공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의 바닥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 어 형성되는 탑버너.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튜브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믹싱홈은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염공 중 1개 이상의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염공 및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믹싱튜브의 일단 사이를 따라서 기설정된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는 탑버너.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홈의 중심각은, 상기 믹싱홈의 양단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상기 믹싱튜브의 직경 이상이 되는 각도로 설정되는 탑버너.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버너 중 적어도 하나는,
    버너헤드;
    상기 버너헤드의 상면에 안착되는 버너캡; 을 포함하고,
    상기 염공 중 일부는 홀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염공 중 나머지는 상기 버너헤드 또는 버너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염공형성치형 및 나머지 하나 사이에 형성되는 탑버너.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염공 중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화염을 형성하는 주염공은 상기 버너헤드 또는 버너캡을 홀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염공 중 상기 주염공에서 배출되어 연소되는 혼합가스가 소화시 불옮김을 위한 보조염공은 상기 염공형성치형 및 상기 버너헤드 또는 버너캡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탑버너.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버너 중 적어도 하나는,
    염공형성치형이 형성되는 버너헤드;
    상기 버너헤드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헤드의 염공형성치형에 대응하는 염공형성치형이 형성되는 버너캡; 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헤드의 염공형성치형 및 상기 버너캡의 염공형성치형에 의하여 상기 염공이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탑버너.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너의 염공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화염이 퍼지도록 안내하는 화염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탑버너.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안내부는, 상기 제2버너의 테두리면이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기설정된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탑버너.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너는,
    상기 제1버너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버너헤드; 및
    상기 제2버너헤드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버너캡; 을 포함하고,
    상기 화염안내부는, 상기 제2버너캡의 테두리면이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기설정된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탑버너.
  3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가 탑플레이트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탈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탑버너.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방지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버너의 내부로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믹싱튜브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돌기인 탑버너.
  39.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그 테두리에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아웃터버너;
    상기 아웃터버너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아웃터버너의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되는 그 테두리에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염공이 구비되는 이너버너;
    상기 아웃터버너의 내부에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다수개의 제1믹싱튜브;
    상기 이너버너의 내부에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제2믹싱튜브; 및
    상기 아웃터버너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너버너의 염공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 를 포함하는 탑버너.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아웃터버너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아웃터버너와 상기 제2믹싱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아웃터버너의 상면과 상기 이너버너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3유로; 를 포함하는 탑버너.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버너는,
    상기 제1믹싱튜브와 연결되는 아웃터버너헤드; 및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의 상면에 안착되고, 그 상면에 상기 이너버너가 설치되는 아웃터버너캡; 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버너는,
    상기 제2믹싱튜브와 연결되고,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의 상면에 안착되는 이너버너헤드; 및
    상기 이너버너헤드의 상면에 안착되는 이너버너캡; 을 포함하는 탑버너.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의 테두리면에는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에어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의 저면에는 상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구획하는 제2에어가이드가 구비되는 탑버너.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적어도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아웃터버너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에어가이드는, 방사상으로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제2에어가이드는, 방사상으로 상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구획하는 탑버너.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버너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상기 아웃터버너캡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유입방지부재가 구비되는 탑버너.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버너캡의 저면에는, 상기 제1믹싱튜브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버너의 내부로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유동을 방해하여 공기와 가스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믹싱부재가 구비되는 탑버너.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는, 상기 아웃터버너캡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탑버너.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의 저면과 연통되는 상기 제1믹싱튜브의 상단과 상기 아웃터버너캡의 저면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탑버너.
  48.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 및 상기 이너버너헤드의 저면에는, 상기 탑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믹싱튜브가 관통하는 삽입홀을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구비되는 탑버너.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 및 상기 이너버너헤드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하단이 상기 삽입홀에 인접하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되는 탑버너.
  50.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의 바닥면 또는 상기 아웃터버너캡의 저면에는, 상기 제1믹싱튜브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버너 또는 이너버너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가 혼합되는 믹싱홈이 형성되는 탑버너.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홈은, 상기 아웃터버너의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제1믹싱튜브의 상단 및 상기 아웃터버너의 염공 중 상기 제1믹싱튜브의 상단과 가장 인접되는 1개 이상의 상기 아웃터버너의 염공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의 바닥면 또는 상기 아웃터버너캡의 저면이 하방 또는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탑버너.
  5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버너의 염공 중 일부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 또는 아웃터버너캡을 홀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버너의 염공 중 나머지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 또는 아웃터버너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염공형성치형 및 상기 아웃터버너캡 또는 아웃터버너헤드 사이에 형성되는 탑버너.
  5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버너의 염공 중 일부는 상기 이너버너헤드 또는 이너버너캡을 홀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너버너의 염공 중 나머지는 상기 이너버너헤드 또는 이너버너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염공형성치형 및 상기 이너버너캡 또는 이너버너헤드 사이에 형성되는 탑버너.
  5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 및 아웃터버너캡에는 상기 아웃터버너의 염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염공형성치형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의 염공형성치형 및 상기 아웃터버너캡의 염공형성치형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버너의 염공이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탑버너.
  5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버너헤드 및 이너버너캡에는 상기 이너버너의 염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염공형성치형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너버너헤드의 염공형성치형 및 상기 이너버너캡의 염공형성치형에 의하여 상기 이너버너의 염공이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단면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탑버너.
  5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버너헤드 또는 이너버너캡의 테두리면에는, 상기 아웃터버너의 염공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화염이 퍼지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기설정된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화염안내부가 구비되는 탑버너.
  57.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탑그리드 및 제 1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의 탑버너를 포함하는 탑버너부; 및
    상기 탑버너의 하방에 구비되는 오븐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07013439A 2007-12-14 2008-12-15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182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59 2007-12-14
KR20070130664 2007-12-14
KR1020070130664 2007-12-14
KR20070130659 2007-12-14
KR1020070130665 2007-12-14
KR20070130665 2007-12-14
KR1020070130657 2007-12-14
KR20070130657 2007-12-14
KR20070130658 2007-12-14
KR1020070130658 2007-12-14
KR1020070131870 2007-12-17
KR20070131870 2007-12-17
PCT/KR2008/007426 WO2009078647A2 (en) 2007-12-14 2008-12-15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180A KR20100096180A (ko) 2010-09-01
KR101182530B1 true KR101182530B1 (ko) 2012-09-12

Family

ID=4079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439A KR101182530B1 (ko) 2007-12-14 2008-12-15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32049B2 (ko)
EP (1) EP2232150A4 (ko)
KR (1) KR101182530B1 (ko)
WO (1) WO20090786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55B1 (ko) * 2007-12-05 2010-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0690351B2 (en) * 2009-02-10 2020-06-23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pedestal burner
MX345335B (es) * 2009-12-18 2017-01-25 Mabe S A De C V * Quemador de tres sectores de flama.
IT1400182B1 (it) * 2010-05-19 2013-05-17 Defendi Italy Srl Bruciatore a gas a più corone di fiamme.
ES2407592R1 (es) * 2010-12-21 2013-06-28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Punto de cocción a gas con un mando automático
US20140113238A1 (en) * 2012-08-01 2014-04-24 International Thermal Investments Ltd. Vapor flame burn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078769B1 (ko) * 2013-01-10 202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캡 및 버너
US20150107577A1 (en) * 2013-10-18 2015-04-23 Lg Electronics Inc. Burner
MX2014006384A (es) * 2014-05-28 2015-11-30 Mabe Sa De Cv Quemador de bajo costo.
CA2934675A1 (en) * 2015-07-02 2017-01-02 Mabe, S.A. De C.V. Multi burner ovni
USD787041S1 (en) * 2015-09-17 2017-05-16 Whirlpool Corporation Gas burner
US10837651B2 (en) 2015-09-24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Oven cavity connector for operating power accessory trays for cooking appliance
KR102395217B1 (ko) 2015-10-14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1777190B2 (en) 2015-12-29 2023-10-03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including an antenna using a portion of appliance as a ground plane
US10145568B2 (en) 2016-06-27 2018-12-04 Whirlpool Corporation High efficiency high power inner flame burner
USD901277S1 (en) 2016-12-22 2020-11-10 Whirlpool Corporation Handle
US10627113B2 (en) 2016-12-29 2020-04-21 Whirlpool Corporation Distributed vertical flame burner
CN108343958B (zh) * 2017-01-23 2019-11-19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燃气灶的燃烧器的火盖、燃气灶及燃气灶的燃烧器
US10551056B2 (en) 2017-02-23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Burner base
US10451290B2 (en) 2017-03-07 2019-10-22 Whirlpool Corporation Forced convection steam assembly
US10660162B2 (en) 2017-03-16 2020-05-19 Whirlpool Corporation Power delivery system for an induction cooktop with multi-output inverters
US10274202B2 (en) * 2017-04-19 2019-04-3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burner assembly for an appliance
US10753617B2 (en) * 2017-08-16 2020-08-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top appliance with a gas burner assembly
US10627116B2 (en) 2018-06-26 2020-04-21 Whirlpool Corporation Ventilation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US10619862B2 (en) 2018-06-28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Frontal cooling towers for a ventilation system of a cooking appliance
ES2737125A1 (es) * 2018-07-04 2020-01-10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Quemador de doble circuito, disposicion de quemador de gas, y cocina de gas
US10837652B2 (en) 2018-07-18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secondary door
US11149418B2 (en) * 2019-02-22 2021-10-19 Brasstech, Inc. Faucet handle hub
US11549688B2 (en) * 2019-04-22 2023-01-10 Whirlpool Corporation Anti-rotation feature for a burner
US10948181B2 (en) 2019-05-22 2021-03-1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Multi-level gas burner having ultra low simmer
CN111853788B (zh) * 2020-07-17 2022-07-12 海信(广东)厨卫系统有限公司 一种平板式燃烧器及平板式燃气灶
US11940148B2 (en) 2021-10-28 2024-03-2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ulti injection dual ring gas burner for domestic gas cooking units
CN114321917B (zh) * 2022-01-26 2023-04-0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燃烧器以及燃气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64B1 (ko) 2005-12-08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202118A (nl) * 1982-05-24 1983-12-16 Atag Bv Apparatenfab Gasbrander.
FR2545196B1 (fr) * 1983-04-29 1985-08-16 Gaz De France Bruleur pour combustibles gazeux a systemes d'allumage et de securite incorpores
FR2620199B1 (fr) * 1987-09-08 1992-02-28 Sourdillon Airindex Sa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bruleurs a gaz a flamme pilote et chapeau de bruleur pour ces bruleurs perfectionnes
US5040970A (en) * 1990-04-12 1991-08-20 Robertshaw Controls Company Burn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83915A (en) * 1990-04-12 1992-01-28 Robertshaw Controls Company Burn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4125308C2 (de) * 1991-07-31 2002-06-13 Isphording Germany Gmbh Gasbrenner
SG45044A1 (en) * 1993-08-06 1997-12-19 Tri Suqare Ind Co Ltd Gas burner
US5405263A (en) * 1993-09-20 1995-04-11 Caloric Corporation Sealed gas burner assembly
US6095802A (en) * 1995-08-31 2000-08-01 Eaton Corporation Gaseous fuel bur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9990001978A (ko) * 1997-06-18 1999-01-15 구자홍 불옮김염공을 구비하는 이중버너
EP0903538A1 (en) * 1997-09-23 1999-03-24 SABAF S.p.A. Gas burner
DE69712060T2 (de) * 1997-10-08 2002-09-26 Sabaf Spa Gasbrenner für Haushaltsgeräte
KR200178206Y1 (ko) * 1997-10-10 2000-06-01 구자홍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KR100272358B1 (ko) * 1997-10-10 2000-12-01 구자홍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US6299436B1 (en) * 1997-10-20 2001-10-09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Plurality fingered burner
IT1311777B1 (it) * 1999-01-29 2002-03-19 Ohg Defendi Srl Bruciatore a gas, particolarmente per piani di cottura ad incasso.
DE19905198A1 (de) * 1999-02-09 2000-08-10 Agt Gas Technology Gmbh Kochstelle für Gasherde
FR2804496B1 (fr) * 2000-01-28 2002-07-19 Sourdillon Sa Bruleur a gaz a multiples couronnes de flammes
IT1318126B1 (it) * 2000-07-06 2003-07-23 Sabaf Spa Bruciatore con separatore interno
DE10222641A1 (de) * 2002-05-20 2003-12-04 Isphording Germany Gmbh Gasbrenner mit oberer Simmerflamme
DE10315343A1 (de) * 2003-04-03 2004-10-14 Isphording Germany Gmbh Gasbrenner mit Abdeckung
US7291009B2 (en) * 2004-09-08 2007-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stacked gas burner and a venturi for improving burner operation
FR2889293B1 (fr) * 2005-07-29 2009-12-18 Burner Systems Int Bsi Bruleur a gaz a multiples couronnes de flammes concentriques
US7661954B2 (en) * 2005-09-13 2010-02-16 Uwe Harneit Gas burner
US8302593B2 (en) * 2005-12-30 2012-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burner assembly including inner and outer burner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ame
DE102006053426A1 (de) * 2006-11-13 2008-05-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rennerring
WO2009078673A2 (en) * 2007-12-17 2009-06-25 Lg Electronics Inc.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8535052B2 (en) * 2008-08-11 2013-09-17 General Electric Company Cap for a gas burner
PL2359061T3 (pl) * 2008-12-12 2019-02-28 Sabaf S.P.A. Palnik gazowy do kuchenek domowy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64B1 (ko) 2005-12-08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2150A4 (en) 2016-03-02
KR20100096180A (ko) 2010-09-01
WO2009078647A3 (en) 2009-10-15
EP2232150A2 (en) 2010-09-29
WO2009078647A2 (en) 2009-06-25
US20110011389A1 (en) 2011-01-20
US8932049B2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P2232148B1 (en)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8978637B2 (en) Top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0926442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450970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17442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105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8625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84556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KR100938200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30352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KR20090064608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6498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63318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KR20090064607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