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328B1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328B1
KR100927328B1 KR1020070131556A KR20070131556A KR100927328B1 KR 100927328 B1 KR100927328 B1 KR 100927328B1 KR 1020070131556 A KR1020070131556 A KR 1020070131556A KR 20070131556 A KR20070131556 A KR 20070131556A KR 100927328 B1 KR100927328 B1 KR 100927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auxiliary
gas
hea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001A (ko
Inventor
김양호
이대래
류정완
양대봉
위재혁
정용기
임재범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3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웃터버너와 이너버너 이외에 추가적으로 심머기능을 위하여 가스를 배출하여 연소시키는 보조버너가 상기 아웃터버너의 외측에 구비되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의하면,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도 심머모드는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기, 버너, 아웃터버너, 이너버너, 보조버너

Description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스나 전기 등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가스를 사용하는 조리기기의 경우에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버너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는 통상적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버너본체, 상기 버너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버너헤드, 상기 버너헤드와의 사이에 가스가 분출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버너캡 및 상기 염공을 통하여 분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점화플러그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염공은 상기 버너헤드와 버너캡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염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는 상기 버너캡의 외주연에서 연소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캡의 외주연에 인접하는 부분에 불꽃이 형성되므로, 상기 버너캡의 직상방에 위치되는 음식물이 담겨진 상기 용기의 바닥면 일부, 즉 상기 용기의 바 닥면 중앙부 및 상기 버너캡의 범위를 벗어나는 크기의 용기의 바닥면 테두리부는 실질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염공을 원형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하면, 상기 염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불꽃도 찌그러지지 않고 불꽃 고유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헤드에 형성되는 염공형성치형 및 상기 버너캡의 저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장방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염공에 비하여 불꽃에 의한 미감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염공을 원형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주조가공되는 상기 버너헤드에 별도의 홀가공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불꽃의 형상에 의한 미감이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에 설치되고, 가스를 연소시켜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주버너; 및 상기 주버너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탑플레이트에 설치되고, 가스를 연소시켜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보조버너;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가스를 연소시켜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아웃터버너; 상기 아웃터버너의 상면에 설치되고, 가스를 연소시켜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이너버너; 및 상기 아웃터버너의 외측에 설치되고, 가스를 연소시켜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보조버너;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에 구비되고, 피가열물이 안착되는 탑그리드; 및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 느 한 항의 버너를 포함하는 탑버너; 및 상기 탑버너의 하방에 구비되는 오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의하면,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불꽃의 형상에 의한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도 심머모드는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10)의 외관을 본체(100)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탑버너(200), 오븐(300), 워밍드로워(400), 백가드(500), 컨트롤패널(600) 및 탑버너컨트롤부(700)가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200) 및 오븐(300)은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워밍드로워(400)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를 데우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600)은 각각 상기 조리기기(10)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조리기기(1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탑버너컨트롤부(700)는 상기 탑버너(200)에 가스를 공급하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백가드(500)는 상기 오븐(300)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탑버너(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200)에는 다수개의 버너(22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22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너(2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탑버너(200)에는 다수개의 탑그리드(215)가 구비된다. 상기 탑그리드(215)에는 상기 버너(220)에 의하여 가열되는 용기가 안착된다.
한편 상기 오븐(300)은 상기 탑버너(20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상기 오븐(300)의 내부에는 히터(미도시)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은 도어(3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310)는 상기 본체(100)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도어(31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도어(310)를 여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핸들(3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워밍드로워(400)는 상기 오븐(30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워밍드로워(400)는 드로워방식으로 상기 본체(100)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워밍드로워(400)에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워밍드로워(400)에 담겨진 용기는 상기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상기 히터 또는 별개로 구비되는 워밍용 히터의 히터열에 의하여 데워진다. 또한 상기 워밍드로워(400)의 전면에도 사용자가 상기 워밍드로워(400)를 출납시키기 위하여 파지하는 드로워핸들(410)이 구비된다.
상기 백가드(500)는 상기 탑버너(2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 후단에 구비된다. 상기 백가드(5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백가드(50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3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유로를 유동하여 상기 조리실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컨트롤패널(600)은 상기 백가드(50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600)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오븐(300) 또는 워밍드로워(4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오븐(300) 및 워밍드로워(400)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컨트롤부(700)에는 상기 버너(220)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조작노브(71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노브(710)는 각각 상기 버너(220)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탑버너(200)의 상면 외관을 탑플레이트(210)가 형성한다. 상기 탑플레이트(210)에는 상기 버너(220)가 설치되는 버너설치부(211)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설치부(211)는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일부가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이루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은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 치된다.
상기 탑플레이트(210)에는 제1 내지 제3삽입홀(212)(213)(214)이 형성된다.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내지 제3삽입홀(212)(213)(214)은 후술할 제1 및 제2가스공급관(241)과 보조가스공급관(293)이 각각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 내지 제3삽입홀(212)(213)(214)은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버너(220)는 아웃터버너(230), 이너버너(260) 및 다수개의 보조버너(29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버너(230), 이너버너(260) 및 보조버너(290)는 조리모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가열하는 심머모드(simmer mode)에서는 상기 보조버너(290)만 사용되고, 일반적인 조리모드에서는 상기 아웃터버너(230), 이너버너(260) 및 보조버너(290)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230), 이너버너(260) 및 보조버너(290)는 각각 아웃터버너헤드(250) 및 아웃터버너캡(240), 이너버너헤드(270) 및 이너버너캡(280), 및 보조가스분사부(291) 및 보조가스공급관(293)을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 아웃터버너캡(240), 이너버너헤드(270) 및 이너버너캡(280)은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재질을 주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는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에는 2개의 제1가스공급관(241)이 구비된다. 상기 제1가스공급관(241)은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버너(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노즐(미도시)에서 분사되어 공기와 혼합된 상태의 가스(이하에서는 '혼합가스'라 칭함)를 상기 아웃터버너(23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가스공급관(241)의 상단부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스공급관(241)의 하단부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탑플레이트(210)의 제1삽입홀(212)에 삽입된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저면에는 3개의 지지돌기(24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242)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를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는 그 저면이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돌기(242)의 높이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중앙부에는 관통개구(243)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관통개구(243)는 제2가스공급관(271)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관통개구(243)는 제2가스공급관(271)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관통개구(243)의 내주연은 제2가스공급관(27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상면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염공형성치형(244)이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염공형성치형(244)은 혼합가스가 배출되어 연소되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을 형성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염공형성치형(244)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상면 내주연이 각각 반원통형상, 즉 반원형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은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도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에 대응하여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상면에는 이너버너안착부(251)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는 대략 상기 아웃터버너캡(240)과 동일한 원중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에는 관통개구(252)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관통개구(252)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관통개구(243)와 동일하게 제2가스공급관(271)이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관통개구(252)는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것이다.
또한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에는 지지리브(25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253)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을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상면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리브(253)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관통개구(252)의 내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저면, 즉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253)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관통개구(243)의 내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상면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에는 고정보스(254)가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고정보스(254)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40)과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고정보스(254)는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의 상면에 2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고정보스(254)에는 고정홀(255)이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고정홀(255)은 아래에서 설명할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돌기(274)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저면 내주연에는 염공형성치형(255)이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염공형성치형(255)은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염공형성치형(244)과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주염공(2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염공형성치형(255)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저면 내주연도 반원형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이 원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40), 실질적으로는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버너헤드(270)는 대략 상기 이너버너안착부(251)에 대응하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에는 1개의 제2가스공급관(271)이 구비된다. 상기 제2가스공급관(271)은 혼합가스를 상기 이너버너(26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가스공급관(271)의 상단부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가스공급관(271)의 하단부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관통개구(252) 및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관통개구(243)를 차례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홀(213)에 삽입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염공형성치형(272)이 구비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염공형성치형(272)은 혼합가스가 배출되어 연소되는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염공형성치형(27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 내주연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에는 3개의 고정돌기(274)가 구비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돌기(274)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40)과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돌기(274)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가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고정홀(255)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돌기(274)가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고정홀(25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은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고정보스(254)의 상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상면과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은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는 3개의 고정보스(27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보스(275)에는 고정홀(276)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보스(275) 및 고정홀(276)은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와 이너버너캡(28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은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이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저면은 상기 제2가스공급관(27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저면에는 3개의 고정돌기(281)가 구비된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고정돌기(281)는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너버너캡(280)이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고정홀(276)에 삽입된다.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저면 내주연에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염공형성치형(272)과의 사이에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공형성치형(28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염공형성치형(28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저면 내주연은,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염공형성치형(27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상면 내주연에 대응하여,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염공형성치형(272) 및 상기 이너버너캡(280)의 염공형성치형(283)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은 원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가스분사부(291)는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 즉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제3삽입홀(214)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가스분사부(291)는 심머모드의 경우에 가스를 배출하여 연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가스분사부(291)에는 상기 보조버너(290)의 염공(292)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가스공급관(293)은 상기 보조가스분사부(291)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가스공급관(293)은, 그 상단이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제3삽입홀(21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가스공급관(293)의 상단에는 상기 보조가스분사부(29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220)는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점화장치, 예를 들면, 점화플러그(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화플러그는 상기 아웃터버너(230), 이너버너(260) 및 보조버너(290)에서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아웃터버너(230)에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형성되는 불꽃을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 또는/및 상기 보조버너(290)의 보조가스분사부(291)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로 전달하기 위한 불옮김을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에서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하여 상기 이너버너(260)에 추가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로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는 제1 내지 제3유로(P1)(P2)(P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로(P1)는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상기 버너설치부(211)의 상면과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P2)는 상기 제2가스공급관(271)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리브(253)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3유로(P3)는 상기 아웃터버너캡(240)의 상면과 상기 이너버너헤드(27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유로(P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 및 제3유로(P2)(P3)를 유동하여 상기 이너버너(260), 즉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으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조리모드의 경우에는 아웃터버너(230), 이너버너(260) 및 보조버너(290)를 모두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작노브(710)(도 1참조)를 조작하면, 제1 및 제2가스공급관(241)(271)과 보조가스공급관(293)을 통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 이너버너(260) 및 보조버너(290)에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상기 아웃터버너(230), 이너버너(260) 및 보조버너(290)에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각각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 및 상기 보조버너(290)의 염공(292)을 통하여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점화플러그에 의하여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하여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먼저 점화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에서 혼합가스의 점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불꽃이 불옮김염공을 통하여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 및 상기 보조버너(290)의 염공(292)으로 전달되어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 및 상기 보조버너(290)의 염공(292)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 및 상기 보조버너(290)의 염공(292)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형성되는 불꽃에 의하여 탑그리드(215)에 안착된 용기(C)가 가열된다. 이때 추가적으로 공 기가 제1 내지 제3유로(P1)(P2)(P3)를 유동하여 상기 이너버너(260)로 공급되어 상기 이너버너(260)에서 혼합가스가 보다 완전하게 연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버너(260), 나아가 버너(220)에서의 가스의 연소효율이 증진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심머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보조버너(290)만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웃터버너(230), 이너버너(260) 및 보조버너(29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710)를 조작하면, 상기 제1 및 제2가스공급관(241)(271)을 통한 상기 아웃터버너(230) 및 이너버너(260)로의 가스의 공급은 중단되고, 상기 보조가스공급관(293)을 통하여 상기 보조버너(290)에만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보조버너(290)의 염공(292)을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만 연소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탑그리드(215)에 안착된 용기(C)가 저온으로 가열되는 심머모드가 실행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버너(290)의 염공(292)이 실질적으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의 영역을 벗어나는 크기의 용기의 경우에도, 심머모드에서 실질적인 가열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 및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은 종방향, 즉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 및 상기 이너버너(260) 의 염공(261)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형성되는 불꽃은 그 고유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불꽃의 형상에 의한 미감이 증진된다.
또한 이와 같이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상기 아웃터버너(230)의 염공(231) 및 상기 이너버너(260)의 염공(261)은, 주조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아웃터버너헤드(250), 아웃터버너캡(240), 이너버너헤드(270) 및 이너버너캡(280)에 별도로 드릴가공을 하지 않고 형성된다. 따라서 불꽃의 형상에 의한 미감은 유지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상기 아웃터버너(230) 및 이너버너(26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의 테두리부분은 아웃터버너에 의하여 가열되고, 중앙부분은 이너버너에 의하여 가열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가열하는 심머모드에서 상기 아웃터버너가 사용되므로, 상기 이너버너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심머모드에서도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가 가열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심머모드에서 음식물이 타는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 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웃터버너 및 이너버너의 염공이 각각 아웃터버너헤드 및 아웃터버너캡, 이너버너헤드 및 이너버너캡에 형성되는 염공형성치형에 의하여 원형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불꽃의 형상에 의한 미감은 유지한 상태에서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은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심머모드의 경우에 보조버너에서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웃터버너를 벗어나는 크기의 용기의 경우에도 심머모드에서의 가열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Claims (10)

  1. 가스를 연소시켜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아웃터버너;
    상기 아웃터버너의 상면에 설치되고, 가스를 연소시켜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이너버너; 및
    상기 아웃터버너의 외측에 설치되고, 가스를 연소시켜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보조버너;를 포함하는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버너는,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이 형성되는 보조가스분사부; 및
    상기 보조가스분사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보조가스공급관; 을 포함하는 버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스공급관은 공기와 혼합된 상태의 가스를 상기 보조가스분사부에 공급하는 버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버너의 상면에는, 상기 이너버너가 안착되기 위하여, 하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이너버너안착부가 구비되는 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버너는,
    조리기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아웃터버너헤드; 및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아웃터버너헤드와 염공을 형성하는 아웃터버너캡; 을 포함하는 버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버너는,
    상기 이너버너의 상면에 안착되는 이너버너헤드; 및
    상기 이너버너헤드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이너버너헤드와 염공을 형성하는 이너버너캡; 을 포함하는 버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버너는, 조리기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다수개가 구비되는 버너.
  8. 제 1 항에 있어서,
    피가열물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웃터버너, 이너버너 및 보조버너에서 가스가 연소되고,
    피가열물을 저온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버너에서만 가스가 연소되는 조리기기.
  9.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에 구비되고, 피가열물이 안착되는 탑그리드; 및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를 포함하는 탑버너; 및
    상기 탑버너의 하방에 구비되는 오븐;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070131556A 2007-12-14 2007-12-14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27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556A KR100927328B1 (ko) 2007-12-14 2007-12-14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556A KR100927328B1 (ko) 2007-12-14 2007-12-14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001A KR20090064001A (ko) 2009-06-18
KR100927328B1 true KR100927328B1 (ko) 2009-11-19

Family

ID=4099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556A KR100927328B1 (ko) 2007-12-14 2007-12-14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305B1 (ko) 2009-12-24 2012-09-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다중화염 버너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739296U (zh) * 2016-03-20 2017-12-12 孙瑜 一种焰心增氧助燃式燃气燃烧器
KR20230130454A (ko) * 2022-03-03 202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버너 장치 및 이를 갖는 조리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608A (ko) * 2003-08-08 2005-02-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멀티버너용 멀티버너
KR20050081678A (ko) * 2004-02-16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밀폐식 버너구조
KR20070053917A (ko) * 2005-11-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드 더블 버너
KR100738697B1 (ko) 2005-11-22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드 더블 버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608A (ko) * 2003-08-08 2005-02-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멀티버너용 멀티버너
KR20050081678A (ko) * 2004-02-16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밀폐식 버너구조
KR20070053917A (ko) * 2005-11-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드 더블 버너
KR100738697B1 (ko) 2005-11-22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드 더블 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305B1 (ko) 2009-12-24 2012-09-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다중화염 버너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001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150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18253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9528708B2 (en)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KR100926442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20100263658A1 (en) Gas cooker
KR100938200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82645B1 (ko) 가스조리기기
KR101598625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105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17442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64608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1519606B1 (en) Burner with an optional pilot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30352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64607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710202B1 (ko) 가스 오븐레인지
KR20100069932A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63318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KR101650577B1 (ko) 가스 오븐
KR20090071828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