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566B1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566B1
KR101845566B1 KR1020120010997A KR20120010997A KR101845566B1 KR 101845566 B1 KR101845566 B1 KR 101845566B1 KR 1020120010997 A KR1020120010997 A KR 1020120010997A KR 20120010997 A KR20120010997 A KR 20120010997A KR 101845566 B1 KR101845566 B1 KR 10184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sensor
space
barri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555A (ko
Inventor
김양호
석준호
이국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5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너의 일 양태는, 가스 공급 공간 및 상기 가스 공급 공급과 구획되는 센서 설치 공간이 구비되고, 공기 공급 개구가 형성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믹싱 튜브가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가스 챔버 및 염공을 정의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관통하여 상기 버너 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 챔버로의 혼합 가스의 균일한 공급 및 용기의 온도의 정확한 감지, 및 혼합 가스의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BURNER, GAS COOKER AND BUILT-IN TYPE CAS COOK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 조리기기란,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가스 조리기기에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가스 조리기기 중 가스 레인지나 가스 오븐 레인지의 쿡탑 유닛에는,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화염으로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버너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버너는, 화염 버너(Flame Burner) 또는 쿡탑 버너(Cook-Top Burner)로 명명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버너는, 버너 바디,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포함한다. 상기 버너 바디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내부에 위치, 예를 들면,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상면을 정의하는 부재의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버너 바디에는, 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 공급관 및 노즐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상면을 정의하는 부재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캡은, 상기 버너 헤드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은,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어 가스와 혼합되어 전달되는 가스, 즉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 챔버 및 혼합 가스가 분사되는 염공을 정의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에서 가스가 분사되면, 공기와 혼합된 혼합 가스의 형태로 상기 가스 챔버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챔버로 공급된 혼합 가스가 상기 염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연소됨으로써, 화염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종래에는, 상기 염공을 통한 혼합 가스의 균일한 배출을 위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공급받고,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믹싱 튜브가 상기 버너 헤드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그런데 상기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는 용기 등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가 용기의 저면 중앙부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센서가 용기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용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거나, 상기 센서에 의하여 상기 믹싱 튜브가 상기 버너 헤드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염공을 통한 혼합 가스의 배출, 나아가 혼합 가스의 연소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버너,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 헤드 및 캡과 상기 센서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용기로부터 넘쳐흐른 조리물이 상기 노즐을 오염시킬 우려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을 통한 가스의 분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상기 버너의 연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 가스의 연소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센서를 통하여 용기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물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너의 일 양태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위치되는 가스 공급 공간 및 상기 가스 공급 공급과 구획되는 센서 설치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 설치 공간을 제외한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가스 공급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개구가 형성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 믹싱 튜브가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 챔버 및 상기 가스 챔버에 공급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을 정의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관통하여 상기 버너 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너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내부 공간을 2개의 가스 공급 공간 및 상기 가스 공급 공급과 구획되는 제1센서 설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그 상면에 상기 가스 공급 공간과 연통되는 2개의 공기 공급 개구 및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과 연통되는 센서 인입공이 형성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공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2개의 믹싱 튜브 및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과 상하로 연통되는 제2센서 설치 공간을 정의하는 센서 가이드가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와 연통되는 가스 챔버 및 상기 가스 챔버와 연통되는 염공을 정의하는 버너 캡;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설치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센서; 및 상기 버너 바디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센서 설치 공간을 통하여 유동되는 이물질이 상기 공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고,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를 포함하는 쿡탑 유닛; 상기 쿡탑 유닛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고,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오븐실, 상기 오븐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 도어, 및 상기 오븐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가열원을 포함하는 오븐 유닛; 및 상기 오븐 유닛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고, 용기의 워밍을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드로워를 포함하는 드로워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주방의 가구장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면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가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버너 헤드의 양측에 믹싱 튜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 챔버로의 혼합 가스의 균일한 공급 및 용기의 온도의 정확한 감지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너 헤드 및 버너 캡과 센서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조리물이 버너의 내부로 흘러 넘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물이 흘러 넘쳐서 노즐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혼합 가스의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리어 부재의 높이를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조리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구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외관을 캐비닛(10)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에는 쿡탑 유닛(20), 오븐 유닛(30), 드로워 유닛(40) 및 컨트롤 패널(50)이 구비된다.
상기 쿡탑 유닛(20)은,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쿡탑 유닛(20)의 상면을 탑 플레이트(21)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21)에는 다수개의 버너(10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100)는 공기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화염을 발생시킨다. 상기 버너(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쿡탑 유닛(20)에는 다수개의 그레이트(25)가 구비된다. 상기 그레이트(25)는, 상기 버너(100)에 의하여 가열되는 조리물, 실질적으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쿡탑 유닛(20)에는 상기 버너(100)의 조작을 위한 조작 노브(27)가 구비된다.
상기 오븐 유닛(30)은, 상기 쿡탑 유닛(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오븐 유닛(30)에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오븐실(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실은, 오븐 도어(3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오븐실의 내부에는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가열원, 예를 들면, 브로일 버너, 베이크 버너 및 컨벡션 장치 중 적어도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상기 오븐 유닛(3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조리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워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상기 캐비닛(10)의 내외부로 인출되고, 용기가 수납되는 드로워(41)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쿡탑 유닛(2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후단에 위치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오븐 유닛(30) 및 드로워(41)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오븐 유닛(30) 및 드로워 유닛(4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탑 플레이트(21)에는 버너 안착부(22)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 안착부(22)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일부가 상방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안착부(22)에는 설치 개구(23)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 개구(23)는, 상기 버너 안착부(22)에 해당하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설치 개구(23)는, 버너(10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버너(10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상면,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 안착부(22) 상에는 버너(10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버너(100)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화염을 발생시킨다. 상기 버너(100)는, 버너 바디(200), 버너 헤드(300), 버너 캡(400), 센서(500), 및 점화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버너 바디(200)는, 상기 버너 안착부(22)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버너 바디(200)는, 상면부(210), 저면부(220) 및 테두리부(230)를 포함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210) 및 저면부(220)는, 실질적으로 상기 테두리부(230)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기 상면부(210)는, 상기 저면부(2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10)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저면부(220)의 테두리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하단과 연결된다.
상기 상면부(210)에는 2개의 공기 공급 개구(211) 및 1개의 센서 인입공(21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 및 센서 인입공(213)은, 각각 상기 상면부(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 즉 1차 공기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 인입공(213)은, 후술할 센서(500)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 사이에 상기 센서 인입공(213)이 위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 인입공(213)을 중심으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가 대칭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 즉 1차 공기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는, 1차 공기 공급 개구로 명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230)에는 2개의 와이어 인출 개구(231)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는 적어도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는, 센서(500)에 연결되는 후술할 와이어(미도시)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가, 상기 테두리부(23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후술할 믹싱 튜브(330)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넘쳐흐른 조리물, 즉 이물질을 외부로 청소하는 출구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 및 와이어 인출 개구(231)는, 각각 튜브 인입 개구 또는 이물질 청소 개구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실시예의 작용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버너 바디(200)의 하부에는 가스 공급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가스 공급부(24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저면부(220)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가스 공급부(240)에는, 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 공급 파이프(미도시)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부(240)에는, 2개의 가스 공급구(241)가 형성된다. 상기 가스 공급구(241)는, 상기 가스 공급부(240)를 유동하는 가스가 배출되는 곳이다. 상기 가스 공급구(241)는, 후술할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가스 공급구(241)에는 각각 가스의 분사를 위한 노즐(24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에는 2개의 구획 플레이트(25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는, 각각 소정의 형상 및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는,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 상기 센서 인입공(213) 및 와이어 인출 개구(231)가 위치되도록 상기 버너 바디(200)에 고정 또는 상기 버너 바디(2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는 상기 센서 인입공(213)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상단은 상기 센서 인입공(213)에 인접하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내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상면부(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양단은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하단은,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의하여 각각 공간이 정의된다. 또한 상기 상면부(210)의 저면,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의하여 다른 공간이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의하여 각각 정의되는 공간을 가스 공급 공간(Sa)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10)의 저면,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을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이라 칭한다. 따라서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에 의하여 2개의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 및 1개의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으로 구획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은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은, 가스가 공기와 함께 믹싱 튜브(330)로 공급되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 믹싱 튜브(330) 및 상기 가스 공급구(243)가 각각 위치된다.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상부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와 각각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1차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믹싱 튜브(330)가 인입된다.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은, 센서(500)가 설치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은, 상기 센서 인입공(213) 및 와이어 인출 개구(231)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에는 상기 센서 인입공(213)을 통하여 센서(500)가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를 통하여 센서(500)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바디(200)에는, 베리어 부재(260)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이물질, 예를 들면, 용기로부터 넘쳐흐르는 조리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기 상면부(2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상단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상단이 상기 상면부(210)의 상면에 비하여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상기 테두리부(230) 및 구획 플레이트(25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리어 부재(260)가 상기 테두리부(230) 및 구획 플레이트(250)와 별개로 성형되어 상기 상면부(210)의 상면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261)(2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상기 센서 인입공(213)에 인접하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 일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는,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가 위치되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 일부를 제외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 나머지에 구비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는, 상기 테두리부(23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261)(262)는, 루프(loof)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가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에 비하여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더 연장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충분한 양의 1차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실시예의 작용 부분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1차 공기가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각각 유동되도록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구획 리브로 명명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버너 바디(200)에는 다수개의 서포팅 부재(270)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팅 부재(270)는, 상기 버너 헤드(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포팅 부재(270)는, 상기 상면부(21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서포팅 부재(270)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에 비하여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더 연장된다. 물론, 도 3에는, 상기 서포팅 부재(270)가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에 비하여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더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 형상에 따른 것이므로, 반드시 상기 서포팅 부재(270)가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에 비하여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서포팅 부재(270)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의 일부가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의 나머지에 비하여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포팅 부재(270)가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와 별개로 성형되어 상기 상면부(2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도,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 접촉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서포팅 부재(27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를 제1서포팅 부재라 칭하고, 상기 서포팅 부재(270)를 제2서포팅 부재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버너 헤드(3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상면,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 안착부(22)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버너 헤드(300)는, 상기 버너 바디(200), 즉 상기 서포팅 부재(270) 및 제1베리어 부재(261)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버너 헤드(300)는, 대략 상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너 헤드(300)에는 제1센서 설치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은,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 중앙부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은, 상기 버너 헤드(300)가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인입공(213)과 상하로 연통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의 외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는 제1센서 가이드(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는, 센서(500)의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는, 센서(5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는,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을 관통하는 센서(500)가 설치되는 공간과 혼합 가스가 유동되는 공간, 즉 후술할 가스 챔버(110)(실질적으로 상기 버너 헤드(300) 및 버너 캡(40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버너 헤드(300)가 상기 버너 안착부(2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내주면에 의하여 소정의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은, 실질적으로 센서(500)가 위치되는 곳으로,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과 상하로 연통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을 제2센서 설치 공간(Sb2)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설치 공간(Sb1)(Sb2)을 총칭하여 센서 설치 공간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상단에는 안착홈(321)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321)은,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상단 일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상단 외측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300)에는, 2개의 믹싱 튜브(330)가 구비된다. 상기 믹싱 튜브(330)는, 상기 노즐(243)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가스 챔버(110)로 전달다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믹싱 튜브(33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다. 상기 믹싱 튜브(330)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서 상하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믹싱 튜브(330)의 하부는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믹싱 튜브(330)는 상기 노즐(243)과 상하로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믹싱 튜브(330)의 상단은,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의 상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믹싱 튜브(330)는,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위치된다.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에는 다수개의 염공 형성 치형(340)이 구비된다. 상기 염공 형성 치형(340)은, 혼합 가스의 배출을 위한 염공(12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 일측에는 점화저부(350)가 형성된다. 상기 점화저부(350)는 점화 플러그(미도시)가 위치되는 곳이다.
상기 버너 캡(400)은, 기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판상, 예를 들면, 상기 버너 헤드(300)의 횡단면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너 캡(400)은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버너 캡(400)의 저면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 상단 및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과 테두리면 및 상기 버너 캡(400)의 저면에 의하여 가스 챔버(110)가 정의된다. 상기 가스 챔버(110)는 상기 믹싱 튜브(330)를 유동하면서 혼합된 가스 및 공기, 즉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 즉 상기 염공 형성 치형(340)과 상기 버너 캡(400)의 저면에 의하여 상기 염공(120)이 정의된다.
상기 버너 캡(400)에는 제2센서 설치공(4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센서 설치공(410))은, 상기 버너 캡(400)의 일부, 예를 들면, 상기 버너 캡(400)의 중앙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센서 설치공(410))은,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인입공(213) 및 제1센서 설치공(310)과 상하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버너 캡(400)에는 제2센서 가이드(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는,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와 동일하게, 센서(5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는,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와 동일한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버너 캡(4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기설정된 높이만큼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는,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와 상하로 연통된다.
상기 버너 캡(400)에는 안착 돌기(430)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 돌기(430)는, 상기 제2센서 설치공(410))의 외주연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는 상기 버너 캡(40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안착 돌기(430)는,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321)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센서(500)는, 상기 버너(100), 즉 상기 염공(120)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 가스가 연소되어 형성되는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는 조리물, 실질적으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500)는 상기 센서 설치 공간, 즉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설치 공간(Sb1)(Sb2)에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센서(500)는, 상기 버너 바디(2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센서(500)의 하부는 상기 센서 인입공(213)을 통하여 인입되어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버너 안착부(22)에 상기 버너 헤드(300) 및 버너 캡(400)이 차례로 안착되면, 상기 센서(500)의 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설치공(410)310)(410))을 관통하여 상기 제2센서 설치 공간(Sb2)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센서(500)의 외면은, 상기 제2센서 설치 공간(Sb2)의 내주면, 즉 상기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의 내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는, 청소나 수리 등을 위하여 상기 버너 헤드(300) 및 버너 캡(40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500)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센서(500)가 상기 센서 설치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와 상기 센서(50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센서(500)에는 고정 브라켓(51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10)은 상기 센서(500)의 외면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10)은, 상기 센서(500)를 상기 버너 바디(2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브라켓(510)은, 상기 센서 인입공(213)에 인접하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일측, 즉 상기 상면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500)에는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 및 전원의 공급 등을 위한 와이어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센서(500)의 하부, 즉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센서(500)의 하부에 연결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센서(500)가 상기 센서 설치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를 통하여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외부, 즉 상기 버너 바디(2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점화 장치는, 상기 염공(120)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 가스를 점화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점화 장치는, 점화 플러그(미도시) 및 점화 타깃(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화 플러그 및 점화 타깃은, 상기 염공(120)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상기 점화 장치는, 상기 조작 노브(27)에 의하여 조작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스 공급 파이프를 통한 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작 노브(27)에 의하여 개폐 및 개방 정도가 조절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조리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C)를 그레이트(25)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그레이트(25)에 안착되는 용기(C)의 저면 일측은 센서(500)와 접촉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조작 노브(27)(도 1참조)를 조작하면, 밸브가 개방되어 가스 공급 파이프(미도시)에 의하여 가스 공급부(240)에 가스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 공급부(240)에 공급된 가스는, 상기 가스 공급부(240)를 유동하면서 노즐(243)에 의하여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243)에 의하여 분사되는 가스는,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즉 1차 공기와 함께 믹싱 튜브(33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는, 버너 안착부(22)의 상면 및 버너 헤드(300)의 저면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가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공급된다.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즉 1차 공기는, 제1베리어 부재(261)에 의하여 구획되어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각각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공급되는 1차 공기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과 제2베리어 부재(262) 사이의 공간을 유동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믹싱 튜브(330)로 전달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믹싱 튜브(330)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혼합 가스의 형태로 가스 챔버(1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가스 챔버(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는, 염공(120)을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조작 노브(27)에 의하여 동작하는 점화 장치에 의하여 점화된다. 따라서 혼합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화염에 의하여 용기(C)가 가열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용기(C)에 담겨진 조리물은 용기(C)의 외부로 넘쳐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용기(C)의 외부로 넘쳐 흐르는 조리물, 즉 이물질 중 일부는, 상기 센서(500)와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흘러 내릴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에 베리어 부재(260), 즉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261)(26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500)와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흘러 내린 이물질이,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261)(262)에 의하여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상기 센서(500)의 오염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500)에 의한 가스의 분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100)에 의한 가스의 연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500)와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흘러 내린 이물질의 일부는, 상기 센서(500)와 버너 헤드(300) 사이의 틈새, 즉 상기 센서(500)와 센서 인입공(213)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와이어 인출 개구(231)를 통하여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센서 설치 공간(Sb1)에 해당하는 버너 바디(200)의 테두리면 일측, 즉 테두리부(23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이물질 배출 개구(231)가 각각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231)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와이어 인출 개구(231)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테두리부(230)의 동일한 일부가 절개되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저면 일측, 즉 저면부(220)에 경사 안내부(221)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 안내부(221)는,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231)를 통하여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 안내부(221)는, 상기 저면부(220)의 일부가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231)를 향하여 각각 하향 경사짐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231)를 통하여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외부로 각각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잔존하여 센서(500)나 와이어 등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는, 주방에 구비되는 가구장(F)의 상면에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는 빌트인 가스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상면을 탑 플레이트(60)가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탑 플레이트(60)는, 상기 가구장(F)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60)에는 다수개의 버너(100)가 설치된다. 상기 버너(100)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실시예의 버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10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 플레이트(60)의 전단에는, 상기 버너(100)의 동작을 위한 다수개의 조작 노브(6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60)의 상면에는 상기 버너(100)에 의하여 가열되는 조리물, 실질적으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그레이트(6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위치되는 가스 공급 공간 및 상기 가스 공급 공간과 구획되는 센서 설치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 설치 공간을 제외한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가스 공급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개구가 형성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 믹싱 튜브가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 챔버 및 상기 가스 챔버에 공급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을 정의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관통하여 상기 버너 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바디에는,
    상기 센서 설치 공간에 인접하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의 테두리 일부에서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너 헤드의 저면에 접촉되는 제1베리어 부재;
    상기 제1베리어 부재가 위치되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의 테두리 일부를 제외한 테두리 나머지에서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너 헤드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는 제2베리어 부재; 및
    상기 제2베리어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2베리어 부재에 비하여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버너 헤드의 저면에 접촉되는 서포팅 부재를 포함하는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리어 부재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리어 부재는, 상기 버너 바디의 내부 공간을 상기 가스 공급 공간 및 센서 설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가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버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리어 부재는, 상기 버너 바디의 테두리면 일부가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버너.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면에 형성되는 센서 인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센서 설치 공간의 내부로 인입되는 버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바디에는,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상기 센서 설치 공간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와이어 인출 개구가 형성되는 버너.
  9. 내부 공간을 2개의 가스 공급 공간 및 상기 가스 공급 공급과 구획되는 제1센서 설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그 상면에 상기 가스 공급 공간과 연통되는 2개의 공기 공급 개구 및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과 연통되는 센서 인입공이 형성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공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2개의 믹싱 튜브 및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과 상하로 연통되는 제2센서 설치 공간을 정의하는 센서 가이드가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와 연통되는 가스 챔버 및 상기 가스 챔버와 연통되는 염공을 정의하는 버너 캡;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설치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센서; 및
    상기 버너 바디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센서 설치 공간을 통하여 유동되는 이물질이 상기 공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베리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 부재는,
    상기 센서 인입공에 인접하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의 테두리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베리어 부재; 및
    상기 제1베리어 부재가 위치되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의 테두리 일부를 제외한 테두리 나머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베리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2베리어 부재에 비하여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버너 헤드의 저면에 접촉되는 서포팅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버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리어 부재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테두리면 일부가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는, 상기 버너 바디의 테두리면 나머지 일부가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버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바디에는,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 개구가 형성되는 버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는, 상기 버너 바디의 테두리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버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경사 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버너.
  17.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고,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제14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를 포함하는 쿡탑 유닛;
    상기 쿡탑 유닛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고,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오븐실, 상기 오븐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 도어, 및 상기 오븐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가열원을 포함하는 오븐 유닛; 및
    상기 오븐 유닛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고, 용기의 워밍을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드로워를 포함하는 드로워 유닛; 을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쿡탑 유닛의 상면을 탑 플레이트가 형성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버너 헤드의 저면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 조리기기.
  19. 주방의 가구장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구장에 안착되고, 상면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 1 항 내지 제 4항,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 를 포함하는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버너 헤드의 저면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는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KR1020120010997A 2012-02-02 2012-02-02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KR10184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997A KR101845566B1 (ko) 2012-02-02 2012-02-02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997A KR101845566B1 (ko) 2012-02-02 2012-02-02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555A KR20130089555A (ko) 2013-08-12
KR101845566B1 true KR101845566B1 (ko) 2018-04-04

Family

ID=4921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997A KR101845566B1 (ko) 2012-02-02 2012-02-02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65B1 (ko) 2023-03-17 2023-08-25 주식회사 쿡메이트 조리도구 쉐이킹 기능이 구비된 조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6489B (zh) * 2021-01-07 2022-08-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燃气灶的集热罩及具有该集热罩的燃气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186A (ja) * 2006-12-27 2008-07-17 Rinnai Corp 鍋底温度センサ付きガスコンロ
JP2009127909A (ja) 2007-11-21 2009-06-11 Rinnai Corp センサ付きコンロ用バー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186A (ja) * 2006-12-27 2008-07-17 Rinnai Corp 鍋底温度センサ付きガスコンロ
JP2009127909A (ja) 2007-11-21 2009-06-11 Rinnai Corp センサ付きコンロ用バー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65B1 (ko) 2023-03-17 2023-08-25 주식회사 쿡메이트 조리도구 쉐이킹 기능이 구비된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555A (ko) 201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8978637B2 (en) Top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9388992B2 (en) Gas oven range
US9528708B2 (en)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US20140144423A1 (en) Gas oven range
KR100926442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713402B1 (ko) 조리기기
KR101450970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20120120535A (ko) 조리기기
KR10184556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72634B1 (ko) 조리기기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8625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0215405B2 (en) Cooking device and burner
KR101617442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105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0948181B2 (en) Multi-level gas burner having ultra low simmer
KR101706779B1 (ko)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KR100938200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