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970B1 - 버너 및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버너 및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970B1
KR101450970B1 KR1020120140417A KR20120140417A KR101450970B1 KR 101450970 B1 KR101450970 B1 KR 101450970B1 KR 1020120140417 A KR1020120140417 A KR 1020120140417A KR 20120140417 A KR20120140417 A KR 20120140417A KR 101450970 B1 KR101450970 B1 KR 101450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sensor
gas
hea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655A (ko
Inventor
김양호
이국행
석준호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970B1/ko
Priority to CN201310651606.7A priority patent/CN103851616B/zh
Publication of KR2014007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위치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 믹싱 튜브가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관통하여 상기 버너 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캡에는 상기 혼합 가스의 연소에 의한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너 및 조리기기{Burner and cooking appliance}
본 명세서는 버너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란,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함으로써, 조리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조리기기 중에서 상기 가스 조리기기에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가스 조리기기 중 가스 레인지나 가스 오븐 레인지의 쿡탑 유닛에는,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화염으로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버너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버너는, 화염 버너(Flame Burner) 또는 쿡탑 버너(Cook-Top Burner)로 명명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버너는, 버너 바디,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포함한다. 상기 버너 바디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내부에 위치, 예를 들면,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상면을 정의하는 부재의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버너 바디에는, 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 공급관 및 노즐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상면을 정의하는 부재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캡은,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된다.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은,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어 가스와 혼합되어 전달되는 가스, 즉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 챔버 및 혼합 가스가 분사되는 염공을 정의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에서 가스가 분사되면, 공기와 혼합된 혼합 가스의 형태로 상기 가스 챔버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챔버로 공급된 혼합 가스가 상기 염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연소됨으로써, 화염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종래에는, 상기 염공을 통한 혼합 가스의 균일한 배출을 위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공급받고,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믹싱 튜브가 상기 버너 헤드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그런데 상기 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는 용기 등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가 용기의 저면 중앙부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센서가 용기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용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거나, 상기 센서에 의하여 상기 믹싱 튜브가 상기 버너 헤드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염공을 통한 혼합 가스의 배출, 나아가 혼합 가스의 연소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버너,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 헤드 및 캡과 상기 센서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용기로부터 넘쳐흐른 조리물이 상기 노즐을 오염시킬 우려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을 통한 가스의 분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상기 버너의 연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버너에 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는 화염이 상기 용기를 향하므로, 상기 센서의 온도 상승에 상기 화염의 영향이 없으나, 상기 버너에 용기가 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 예로 오징어나 쥐포 등을 조리하는 경우, 화염이 상기 센서 측을 향하게 되어 상기 센서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상기 버너로의 가스 공급이 의도치 않게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 가스의 연소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센서를 통하여 용기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너 및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염에 의해서 센서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는 버너 및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버너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위치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 믹싱 튜브가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관통하여 상기 버너 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캡에는 상기 혼합 가스의 연소에 의한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열 차단부재는 이격되는 다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차단부재 사이에 이물질 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열 차단부재와 상기 센서 사이에서 상기 유동통로를 통과한 이물질 또는 물은 상기 버너 캡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여 버너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스가 유동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고,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관통하여 상기 버너 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를 구비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캡에는 상기 센서와 상기 버너 캡의 외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 가스의 연소에 의한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 차단부재는 이격되는 다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차단부재 사이에 이물질 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열 차단부재와 상기 센서 사이에서 상기 유동통로를 통과한 이물질 또는 물은 상기 버너 캡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여 버너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버너는, 가스 공급 공간 및 상기 가스 공급 공급과 구획되는 제1센서 설치 공간을 가지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 믹싱 튜브와 제2센서 설치 공간이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 챔버 및 상기 가스 챔버에 공급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을 정의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및 제2센서 설치 공간에 위치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제2센서 설치 공간을 통하여 유동되는 이물질이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베리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 캡의 상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센서를 둘러싸는 센서 가이드와, 상기 센서 가이드의 외측에서 상기 버너 캡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혼합 가스의 연소에 의한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부재가 구비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센서가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버너 헤드의 양측에 믹싱 튜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가스 챔버로의 혼합 가스의 균일한 공급 및 용기의 온도의 정확한 감지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버너 헤드 및 버너 캡과 센서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조리물이 버너의 내부로 흘러 넘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물이 흘러 넘쳐서 노즐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혼합 가스의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버너에 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버너가 작동하여도 열 차단부재가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서에서 감지하는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캡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종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트에 용기가 놓인 상태에서 버너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트에 용기가 놓이지 않은 상태에서 버너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버너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버너 캡의 단면도.
도 11은 버너 안착부와 버너 헤드 사이 간격에 따른 센서 온도와 일산화탄소 배출량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버너 캡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에는 쿡탑 유닛(20), 오븐 유닛(30), 드로워 유닛(40) 및 컨트롤 패널(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쿡탑 유닛(20)은,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쿡탑 유닛(20)의 상면은 탑 플레이트(21)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21)은 하나 이상의 버너(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4개의 버너(100)가 도시되나, 본 발명에서 버너(10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븐 유닛(20), 드러워 유닛(40)은 생략되고, 조리기기가 다수의 버너(100)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너(100)는 공기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화염을 발생시킨다. 상기 버너(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쿡탑 유닛(20)은 하나 이상의 그레이트(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트(25)는, 상기 버너(100)에 의하여 가열되는 조리물, 실질적으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쿡탑 유닛(20)은 상기 버너(100)의 조작을 위한 조작 노브(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븐 유닛(30)은, 상기 쿡탑 유닛(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오븐 유닛(30)에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오븐실(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실은, 오븐 도어(3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오븐실의 내부에는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가열원, 예를 들면, 브로일 버너, 베이크 버너 및 컨벡션 장치 중 적어도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상기 오븐 유닛(3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조리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워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상기 캐비닛(10)의 내외부로 인출되고, 용기가 수납되는 드로워(41)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쿡탑 유닛(2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후단에 위치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오븐 유닛(30) 및 드로워(41)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오븐 유닛(30) 및 드로워 유닛(4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캡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탑 플레이트(21)에는 버너 안착부(22)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 안착부(22)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안착부(22)에는 설치 개구(23)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 개구(23)는, 상기 버너 안착부(22)에 해당하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설치 개구(23)는, 버너(10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버너(10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된다.
상기 버너(100)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화염을 발생시킨다. 상기 버너(100)는, 버너 바디(200), 버너 헤드(300), 버너 캡(400), 센서(500), 및 점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버너 바디(2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바디(200)는, 상면부(210), 저면부(220) 및 테두리부(230)를 포함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210) 및 저면부(220)는, 상기 테두리부(23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면부(210)는, 상기 저면부(2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10)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저면부(220)의 테두리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하단과 연결된다.
상기 상면부(210)에는 다수의 공기 공급 개구(211) 및 1개의 센서 인입공(213)이 형성될 수 잇다.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 및 센서 인입공(213)은, 각각 상기 상면부(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 즉 1차 공기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 인입공(213)은, 후술할 센서(500)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공기 공급 개구(211) 사이에 상기 센서 인입공(213)이 위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 인입공(213)을 중심으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가 대칭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 즉 1차 공기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는, 1차 공기 공급 개구로 명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230)에는 다수의 와이어 인출 개구(231)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는, 센서(500)에 연결되는 후술할 와이어(미도시)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가, 상기 테두리부(23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후술할 믹싱 튜브(330)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로 넘쳐흐른 조리물, 즉 이물질을 외부로 청소하는 출구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 및 와이어 인출 개구(231)는, 각각 튜브 인입 개구 또는 이물질 청소 개구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실시예의 작용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버너 바디(200)의 하부에는 가스 공급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부(24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저면부(22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부(240)에는, 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 공급 파이프(미도시)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부(240)에는, 2개의 가스 공급구(241)가 형성된다. 상기 가스 공급구(241)는, 상기 가스 공급부(240)를 유동하는 가스가 배출되는 곳이다. 상기 가스 공급구(241)는, 후술할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가스 공급구(241)에는 각각 가스의 분사를 위한 노즐(24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에는 다수의 구획 플레이트(25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는, 각각 소정의 형상 및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는,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 상기 센서 인입공(213) 및 와이어 인출 개구(231)가 위치되도록 상기 버너 바디(200)에 고정 또는 상기 버너 바디(2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는 상기 센서 인입공(213)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양단은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하단은,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의하여 각각 공간이 정의된다.
또한 상기 상면부(210)의 저면,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의하여 다른 공간이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의하여 각각 정의되는 공간을 가스 공급 공간(Sa)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10)의 저면, 상기 테두리부(230)의 내면, 상기 저면부(220)의 상면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을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이라 칭한다. 따라서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에 의하여 2개의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 및 1개의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으로 구획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은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은, 가스가 공기와 함께 믹싱 튜브(330)로 공급되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 믹싱 튜브(330) 및 상기 가스 공급구(243)가 각각 위치된다.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상부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와 각각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1차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믹싱 튜브(330)가 인입된다.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은, 센서(500)가 설치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은, 상기 센서 인입공(213) 및 와이어 인출 개구(231)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에는 상기 센서 인입공(213)을 통하여 센서(500)가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를 통하여 센서(500)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바디(200)에는, 베리어 부재(260)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이물질, 예를 들면, 용기로부터 넘쳐흐르는 조리물 또는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기 상면부(2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상기 테두리부(230)의 상단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의 상단이 상기 상면부(210)의 상면에 비하여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상기 테두리부(230) 및 구획 플레이트(25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리어 부재(260)가 상기 테두리부(230) 및 구획 플레이트(250)와 별개로 성형되어 상기 상면부(210)의 상면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베리어 부재(260)는 제1베리어 부재(261) 및 제2베리어 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상기 센서 인입공(213)에 인접하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 일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는,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가 위치되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 일부를 제외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 나머지에 구비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25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는, 상기 테두리부(23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261)(262)는, 루프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의 높이가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충분한 양의 1차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실시예의 작용 부분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1차 공기가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각각 유동되도록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는, 구획 리브로 명명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버너 바디(200)에는 다수개의 서포팅 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부재(270)는, 상기 버너 헤드(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포팅 부재(270)는, 상기 상면부(21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서포팅 부재(270)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에 비하여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더 연장된다. 물론, 도 4에는, 상기 서포팅 부재(270)가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에 비하여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더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 형상에 따른 것이므로, 반드시 상기 서포팅 부재(270)가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에 비하여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서포팅 부재(270)는,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의 일부가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의 나머지에 비하여 기설정된 높이만큼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포팅 부재(270)가 상기 제2베리어 부재(262)와 별개로 성형되어 상기 상면부(2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도,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 접촉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서포팅 부재(27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베리어 부재(261)를 제1서포팅 부재라 칭하고, 상기 서포팅 부재(270)를 제2서포팅 부재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버너 헤드(3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상면,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 안착부(22)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버너 헤드(300)는, 상기 버너 바디(200), 즉 상기 서포팅 부재(270) 및 제1베리어 부재(26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300)는, 대략 상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300)에는 제1센서 설치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은,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 중앙부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은, 상기 버너 헤드(300)가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인입공(213)과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의 외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는 제1센서 가이드(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는, 센서(500)의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는, 센서(5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는,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을 관통하는 센서(500)가 설치되는 공간과 혼합 가스가 유동되는 공간, 즉 후술할 가스 챔버(110)(실질적으로 상기 버너 헤드(300) 및 버너 캡(40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버너 헤드(300)가 상기 버너 안착부(2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내주면에 의하여 소정의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은, 실질적으로 센서(500)가 위치되는 곳으로,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과 상하로 정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을 제2센서 설치 공간(Sb2)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설치 공간(Sb1)(Sb2)을 총칭하여 센서 설치 공간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상단에는 안착홈(321)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321)은,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상단 일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상단 외측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300)에는, 다수의 믹싱 튜브(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믹싱 튜브(330)는, 상기 노즐(243)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가스 챔버(110)로 전달다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믹싱 튜브(33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다. 상기 믹싱 튜브(330)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에서 상하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믹싱 튜브(330)의 하부는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믹싱 튜브(330)는 상기 노즐(243)과 상하로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믹싱 튜브(330)의 상단은,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의 상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믹싱 튜브(330)는, 상기 제1센서 설치공(31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위치된다.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에는 다수개의 염공 형성 치형(340)이 구비된다. 상기 염공 형성 치형(340)은, 혼합 가스의 배출을 위한 염공(12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 일측에는 점화저부(350)가 형성된다. 상기 점화저부(350)는 점화 플러그(미도시)가 위치되는 곳이다.
상기 버너 캡(400)은, 판상, 예를 들면, 상기 버너 헤드(300)의 횡단면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원판 형상의 캡 바디(4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캡(400)은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버너 캡(400)의 저면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 상단 및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의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과 테두리면 및 상기 버너 캡(400)의 저면에 의하여 가스 챔버(110)가 정의된다. 상기 가스 챔버(110)는 상기 믹싱 튜브(330)를 유동하면서 혼합된 가스 및 공기, 즉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 즉 상기 염공 형성 치형(340)과 상기 버너 캡(400)의 저면에 의하여 상기 염공(120)이 정의된다.
상기 버너 캡(400)에는 제2센서 설치공(4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센서 설치공(410))은, 상기 버너 캡(400)의 일부, 예를 들면, 상기 버너 캡(400)의 중앙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센서 설치공(410))은,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테두리면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인입공(213) 및 제1센서 설치공(310)과 상하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버너 캡(400)에는 제2센서 가이드(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는,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와 동일하게, 센서(5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는,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와 동일한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버너 캡(4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는,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 가이드(320)와 상하로 정렬된다.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는 상기 제2센서 설치공(410)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버너 캡(400)에는 안착 돌기(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 돌기(430)는, 상기 제2센서 설치공(410))의 외주연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는 상기 버너 캡(40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안착 돌기(430)는,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321)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 캡(400)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버너 캡(400)의 상면에는 상기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5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 차단부재(440)는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열 차단부재(440)는 제1차단부재(442)와 제2차단부재(4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차단부재(442, 444)는 상기 캡 바디(405)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차단부재(442, 444)는 상기 캡 바디(40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단부재(442, 4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각 차단부재(442, 444)는 라운드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차단부재(442, 444)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차단부재(432, 444)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차단부재(442, 444) 사이에는 상기 각 차단부재(442, 444) 사이 영역으로 낙하된 조리물 또는 물이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동통로(446)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열 차단부재(440)는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일의 열 차단부재(440)가 상기 캡 바디(405)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일의 열 차단부재(440)는 상기 센서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센서 측면 둘레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열 차단부재(440)에는 상기 열 차단부재(440)의 내측 영역으로 낙하된 조리물 또는 물이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동통로(4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유동통로(446)는 상기 열 차단부재(44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유동통로(446)는 상기 센서(500)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통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조리용기가 상기 그레이트(25)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센서(500)가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열 차단부재(440)의 상단부는 상기 그레이트(25)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너 캡(400)의 중심에서 상기 열 차단부재(440) 까지의 거리(D1)는 상기 버너 캡(400)의 반경(R)의 1/2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열 차단부재(440)가 상기 버너 캡(400)의 반경(R)의 1/2 지점에서 상기 버너 캡(400)의 외측 단부에 가까울수록 상기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5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버너 캡(400)의 반경(R)의 1/2 지점에서 상기 버너 캡(400)의 외측 단부에 가까울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도 상기 화염의 열 차단 효과가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열 차단부재(440)가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의 높이가 일정 높이까지 연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열 차단부재(440)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가 열 차단부재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센서(500)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의 상단부는 상기 캡 바디(405)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센서(500)의 돌출 높이의 1/2 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열 차단부재(440)와 함께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가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센서(500)는, 상기 버너(100), 즉 상기 염공(120)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 가스가 연소되어 형성되는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는 조리물, 실질적으로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500)는 상기 센서 설치 공간, 즉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설치 공간(Sb1)(Sb2)에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센서(500)는, 상기 버너 바디(2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센서(500)의 하부는 상기 센서 인입공(213)을 통하여 인입되어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버너 안착부(22)에 상기 버너 헤드(300) 및 버너 캡(400)이 차례로 안착되면, 상기 센서(500)의 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설치공(410)310)(410))을 관통하여 상기 제2센서 설치 공간(Sb2)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센서(500)의 외면은, 상기 제2센서 설치 공간(Sb2)의 내주면, 즉 상기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의 내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는, 청소나 수리 등을 위하여 상기 버너 헤드(300) 및 버너 캡(40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500)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센서(500)가 상기 센서 설치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와 상기 센서(50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센서(500)에는 고정 브라켓(51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10)은 상기 센서(500)의 외면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10)은, 상기 센서(500)를 상기 버너 바디(2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브라켓(510)은, 상기 센서 인입공(213)에 인접하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일측, 즉 상기 상면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 브라켓(510)에 상기 센서(50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500)의 하측을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용기가 하방으로 라운드지더라도 상가 센서(50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용기와 상기 센서(500)의 접촉이 가능하게 되고, 용기가 그레이트(25)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500)에는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 및 전원의 공급 등을 위한 와이어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센서(500)의 하부, 즉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센서(500)의 하부에 연결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센서(500)가 상기 센서 설치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인출 개구(231)를 통하여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외부, 즉 상기 버너 바디(2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점화 장치는, 상기 염공(120)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 가스를 점화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점화 장치는, 점화 플러그(미도시) 및 점화 타깃(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화 플러그 및 점화 타깃은, 상기 염공(120)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상기 점화 장치는, 상기 조작 노브(27)에 의하여 조작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스 공급 파이프를 통한 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작 노브(27)에 의하여 개폐 및 개방 정도가 조절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트에 용기가 놓인 상태에서 버너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트에 용기가 놓이지 않은 상태(이하 "무부하 상태")에서 버너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C)를 그레이트(25)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그레이트(25)에 안착되는 용기(C)의 저면 일측은 센서(500)와 접촉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조작 노브(27)(도 1참조)를 조작하면, 밸브가 개방되어 가스 공급 파이프(미도시)에 의하여 가스 공급부(240)에 가스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 공급부(240)에 공급된 가스는, 상기 가스 공급부(240)를 유동하면서 노즐(243)에 의하여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243)에 의하여 분사되는 가스는,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즉 1차 공기와 함께 믹싱 튜브(33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는, 버너 안착부(22)의 상면 및 버너 헤드(300)의 저면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가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공급된다. 즉, 상기 버너 안착부(22)와 상기 버너 헤드(300)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버너 안착부(22)와 상기 버너 헤드(300)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믹싱 튜브(330)로 유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 설치 공간으로 유동하여 센서(500)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즉 1차 공기는, 제1베리어 부재(261)에 의하여 구획되어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각각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공급되는 1차 공기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저면과 제2베리어 부재(262) 사이의 공간을 유동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믹싱 튜브(330)로 전달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믹싱 튜브(330)를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혼합 가스의 형태로 가스 챔버(1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가스 챔버(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는, 염공(120)을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조작 노브(27)에 의하여 동작하는 점화 장치에 의하여 점화된다. 따라서 혼합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화염에 의하여 용기(C)가 가열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화염 측으로는 상기 버너 캡(400)과 용기 사이의 공간으로 2차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혼합 가스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용기(C)에 담겨진 조리물은 용기(C)의 외부로 넘쳐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용기(C)의 외부로 넘쳐 흐르는 조리물, 즉 이물질 중 일부는, 상기 센서(500)와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흘러 내릴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의 테두리에 베리어 부재(260), 즉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261)(26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500)와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흘러 내린 이물질이, 상기 제1 및 제2베리어 부재(261)(262)에 의하여 상기 공기 공급 개구(211)를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 공급 공간(Sa)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상기 센서(500)의 오염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500)에 의한 가스의 분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버너(100)에 의한 가스의 연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500)와 제1 및 제2센서 가이드(320)(4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흘러 내린 이물질의 일부는, 상기 센서(500)와 버너 헤드(300) 사이의 틈새, 즉 상기 센서(500)와 센서 인입공(213)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와이어 인출 개구(231)를 통하여 청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500)는 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센서(50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밸브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가스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무부하 상태에서 버너가 작동하면 화염이 상기 센서(500) 측을 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열 차단부재(44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센서(500)로 상기 화염의 열이 전달되어 상기 센서(500)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의도치 않게 상기 밸브가 자동으로 오프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열 차단부재(440)가 상기 센서(500)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화염의 열이 상기 열 차단부재(440)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무부하 상태에서 상기 버너가 작동하여도 상기 센서(500)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버너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센서 설치 공간(Sb1)에 해당하는 버너 바디(200)의 테두리면 일측, 즉 테두리부(23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이물질 배출 개구(231)가 각각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231)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와이어 인출 개구(231)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테두리부(230)의 동일한 일부가 절개되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저면 일측, 즉 저면부(220)에 경사 안내부(221)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 안내부(221)는,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231)를 통하여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 안내부(221)는, 상기 저면부(220)의 일부가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231)를 향하여 각각 하향 경사짐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배출 개구(231)를 통하여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외부로 각각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제1센서 설치 공간(Sb1)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잔존하여 센서(500)나 와이어 등을 오염시키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열 차단부재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버너는, 상기 센서(5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커버하는 열 차단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차단부재(450)가 상기 센서(500)의 전부를 커버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 차단부재(450)의 일부, 일 예로 상면은 상기 센서(500)와 접촉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용기(500)의 열이 열 차단부재(450)를 통하여 상기 센서(500)로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열 차단부재(450)가 상기 센서(500)의 일부를 커버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 차단부재(450)는 적어도 상기 센서(500)의 측면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화염의 열은 상기 센서(500)의 측방을 향하여 전달되므로, 상기 센서(500)의 측면 둘레를 상기 열 차단부재(450)가 커버하여야 열 차단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열 차단부재(450)는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 상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열 차단부재(450)가 상기 제2센서 가이드(420)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열 차단부재(450)의 내면은 상기 센서(500)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 차단부재(450)와 상기 센서(500) 사이의 공간의 공기가 단열 역할을 추가로 할 수 있다.
상기 열 차단부재(450)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하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열 차단부재(45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열 차단부재(450)는 상기 버너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무부하 상태에서 조리를 할 경우에만, 상기 열 차단부재(450)를 상기 버너 캡(400)의 상측에 놓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버너 캡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열 차단부재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캡(400)에는 열 차단부재(4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열 차단부재(400)의 하측에는 돌출부(448)가 형성되고, 상기 버너 캡(400)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448)가 삽입되는 홈(406)이 형성된다. 물론, 반대로 상기 버너 캡(400)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 차단부재(400)에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도, 무부하 상태에서 조리를 할 경우에만, 상기 열 차단부재(440)를 상기 버너 캡(400)의 상측에 놓을 수 있다.
도 11은 버너 안착부와 버너 헤드 사이 간격에 따른 센서 온도와 일산화탄소 배출량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무부하 상태에서 열 차단부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의 결과를 보여주며, 가로축은 버너 안착부와 버너 헤드 사이 간격(H)이고, 왼쪽 세로축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이며, 오른쪽 세로 축은 일산화탄소(CO) 배출량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간격(H)이 증가 할수록 상기 간격을 통하여 상기 버너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량이 증가되어, 상기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낮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너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센서를 냉각하므로, 상기 버너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량이 증가되면, 상기 센서(500)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지므로, 상기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낮아질 수 있다.
반면, 상기 간격(H)이 증가하면, 상기 버너의 높이도 증가하게 된다. 상기 버너의 높이가 증가하는 경우, 조리물과 버너 사이 간격이 낮아지게 되어 2차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2차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면 화염 측으로 2차 공기의 공급량이 줄어들게 되어 불완전 연소되는 혼합가스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증가된다.
한편, 버너의 사용 시 상기 밸브가 자동으로 오프되는 기준온도는 28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산화탄소 배출량은 11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1의 그래프를 참조할 때, 센서의 온도와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고려할 때, 상기 간격(H)은 4mm이상 8mm 이하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열 차단부재가 상기 버너 캡에 놓여지거나 구비된 상태에서 버너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500)의 감지 온도는 도 11의 그래프에서 더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열 차단부재가 분리 가능한 구조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열 차단부재를 상기 버너 캡에 안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버너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간격(H)이 4mm이상 8mm 이하를 만족하는 것이 안정성 및 신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버너 캡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열 차단부재의 형 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버너 캡(400)은 열 차단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차단부재(460)는, 다수의 제1차단부재(461A, 461B)와, 다수의 제2차단부재(462A, 46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차단부재(461A, 461B, 462A, 462B)는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각 제2차단부재(462A, 462B)의 길이는 상기 각 제1차단부재(461A, 461B)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제1차단부재(461A, 461B)는 이격되어 배치되며, 두 개의 제1차단부재(461A, 461B) 사이에 각 제2차단부재(462A, 462B)가 배치된다. 이 때, 상기 각 차단부재(461A, 461B, 462A, 462B)는 이격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가 번갈아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차단부재(461A, 461B, 462A, 462B) 사이에는 각 차단부재(461A, 461B, 462A, 462B) 사이 영역으로 낙하된 조리물 또는 물이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동통로(463)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열 차단 효과 뿐만 아니라, 유동통로(463)가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조리물 또는 물이 용이하게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100: 버너 200: 버너 바디
300: 버너 헤드 400: 버너 캡
500: 센서

Claims (15)

  1.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위치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 믹싱 튜브가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관통하여 상기 버너 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캡에는 상기 혼합 가스의 연소에 의한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열 차단부재는 이격되는 다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차단부재 사이에 이물질 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열 차단부재와 상기 센서 사이에서 상기 유동통로를 통과한 이물질 또는 물은 상기 버너 캡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여 버너의 외부로 배출되는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부재는 상기 센서의 외측으로 상기 센서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버너.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부재는, 다수의 제1차단부재와, 상기 다수의 제1차단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는 번갈아 배치되며, 길이가 서로 다른 버너.
  5.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위치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 믹싱 튜브가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관통하여 상기 버너 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캡에는 상기 혼합 가스의 연소에 의한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 차단부재는 상기 센서의 외측에서 상기 센서의 측면 둘레를 커버하며, 상기 열 차단부재에는 상기 열차단부재와 센서 사이의 이물질 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통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동통로를 통과한 이물질 또는 물은 상기 버너 캡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여 버너의 외부로 배출되는 버너.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캡의 중심에서 상기 열 차단부재까지의 거리는 상기 버너 캡의 반경의 1/2과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부재와 상기 버너 캡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버너.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캡에는 상기 센서가 관통하는 센서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 설치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열 차단부재가 구비되는 버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버너 캡의 상면으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센서의 높이의 1/2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버너.
  10. 삭제
  11.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헤드가 안착되는 버너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너 헤드와 상기 버너 안착부 사이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은 4mm이상 8mm이하인 버너.
  12. 가스가 유동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고,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관통하여 상기 버너 캡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를 구비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캡에는 상기 센서와 상기 버너 캡의 외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 가스의 연소에 의한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 차단부재는 이격되는 다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차단부재 사이에 이물질 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열 차단부재와 상기 센서 사이에서 상기 유동통로를 통과한 이물질 또는 물은 상기 버너 캡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여 버너의 외부로 배출되는 조리기기.
  13. 가스 공급 공간 및 상기 가스 공급 공급과 구획되는 제1센서 설치 공간을 가지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가스 및 공기를 전달받아서 혼합시키는 믹싱 튜브와 제2센서 설치 공간이 구비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버너 헤드와 함께 상기 믹싱 튜브를 유동하면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 챔버 및 상기 가스 챔버에 공급된 혼합 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을 정의하는 버너 캡; 및
    상기 버너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및 제2센서 설치 공간에 위치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제2센서 설치 공간을 통하여 유동되는 이물질이 상기 가스 공급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베리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 캡의 상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센서를 둘러싸는 센서 가이드와, 상기 센서 가이드의 외측에서 상기 버너 캡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혼합 가스의 연소에 의한 화염의 열이 상기 센서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부재가 구비되는 버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열 차단부재는,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차단부재 사이에 이물질 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통로가 형성되는 버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부재는 상기 센서의 외측에서 상기 센서의 측면 둘레를 커버하며, 상기 열 차단부재에는 이물질 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버너.
KR1020120140417A 2012-12-05 2012-12-05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450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17A KR101450970B1 (ko) 2012-12-05 2012-12-05 버너 및 조리기기
CN201310651606.7A CN103851616B (zh) 2012-12-05 2013-12-05 燃烧器及烹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17A KR101450970B1 (ko) 2012-12-05 2012-12-05 버너 및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655A KR20140072655A (ko) 2014-06-13
KR101450970B1 true KR101450970B1 (ko) 2014-10-22

Family

ID=5085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417A KR101450970B1 (ko) 2012-12-05 2012-12-05 버너 및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0970B1 (ko)
CN (1) CN10385161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48B1 (ko) * 2018-10-29 2020-04-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버너
KR20220167102A (ko)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KR20220167103A (ko)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157B1 (ko) * 2020-08-18 2022-05-18 (주)한백금속산업 가스 버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9998B2 (ja) * 1998-08-20 2003-08-25 リンナイ株式会社 こんろ用のバーナ
JP2006084066A (ja) * 2004-09-14 2006-03-30 Worldwing Co Ltd ガスコンロ用温度検出装置
JP2008164186A (ja) * 2006-12-27 2008-07-17 Rinnai Corp 鍋底温度センサ付きガスコンロ
KR20120067486A (ko) * 2010-12-16 2012-06-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빌트인용 가스버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979B1 (ko) * 2009-11-19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조리기기
CN202020046U (zh) * 2011-03-26 2011-11-02 叶鸿煦 一种多功能煮食储物烤炉
CN202048598U (zh) * 2011-05-03 2011-11-23 张祺生 一种防回火上进风调空气式燃气灶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9998B2 (ja) * 1998-08-20 2003-08-25 リンナイ株式会社 こんろ用のバーナ
JP2006084066A (ja) * 2004-09-14 2006-03-30 Worldwing Co Ltd ガスコンロ用温度検出装置
JP2008164186A (ja) * 2006-12-27 2008-07-17 Rinnai Corp 鍋底温度センサ付きガスコンロ
KR20120067486A (ko) * 2010-12-16 2012-06-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빌트인용 가스버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48B1 (ko) * 2018-10-29 2020-04-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버너
KR20220167102A (ko)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KR20220167103A (ko)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KR102645954B1 (ko) * 2021-06-11 2024-03-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KR102652090B1 (ko) * 2021-06-11 2024-03-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655A (ko) 2014-06-13
CN103851616A (zh) 2014-06-11
CN103851616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8351102B (zh) 燃气燃烧器装置以及包括其的烹饪装置
US9528708B2 (en)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KR101450970B1 (ko) 버너 및 조리기기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84556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KR101713435B1 (ko)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의 버너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8625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105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17442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60087118A (ko) 조리기기 및 가스 버너 유닛
JP5384854B2 (ja) こんろバーナ
KR101705426B1 (ko) 조리기기 및 버너
KR101304847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101623633B1 (ko) 조리기기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40091288A (ko) 조리 기기
KR101596498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20121115A (ko) 조리기기
KR20140137743A (ko) 가스 버너
KR101665708B1 (ko) 가스 오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