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779B1 -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779B1
KR101706779B1 KR1020100084606A KR20100084606A KR101706779B1 KR 101706779 B1 KR101706779 B1 KR 101706779B1 KR 1020100084606 A KR1020100084606 A KR 1020100084606A KR 20100084606 A KR20100084606 A KR 20100084606A KR 101706779 B1 KR101706779 B1 KR 10170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burner
gas
mixed ga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774A (ko
Inventor
황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7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가스 및 공기의 혼합가스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버너 포트와, 상기 복수의 버너 포트의 일측에서 각각의 버너 포트로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노즐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대적으로 외측에 구비되는 버너 포트에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통해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버너 포트 내부의 가스가 고르게 분산되어 점화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A heating device of cooking appliance }
본 발명은 가스를 이용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주방기기의 하나로써 전기 및 연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위치되는 조리 공간과, 상기 음식물을 향하여 열을 방출하는 가열장치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조리기기에는 가스를 공급받아 이를 연소시킴으로써 화염이 생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생성된 화염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 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함으로써 조리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가스를 이용하는 조리기기에서는 가열장치에서 생성되는 화염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열에 취약한 조리용기의 특정 부분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가 손상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화염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된 조리용기를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파지할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면에 세라믹플레이트가 구비되어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가열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열장치는 세라믹플레이트의 하측에서 노즐을 통해 버너 포트에 혼합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연소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버너 포트로 공급되는 가스가 버너 포트의 내측으로 강하게 분사되면서 공급되기 때문에 초기 분사 위치에서 가스가 버너 포트 일측에 충돌하면서 국부적으로 가스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스 압력의 상승에 의해 가스 연소시 불꽃의 세기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스가 공급될 경우 버너 포트 내부의 초기 착화시 불 옮김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면서 점화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너 포트 일측에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원활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버너 포트 내부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너 포트 내부의 혼합가스 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초기 점화시 불 옮김 속도가 향상되어 점화 성능이 개선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가스 및 공기의 혼합가스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버너 포트와, 상기 복수의 버너 포트의 일측에서 각각의 버너 포트로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노즐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대적으로 외측에 구비되는 버너 포트에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통해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가스 및 공기의 혼합가스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포트와, 상기 이너포트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서로 구획되어 상기 혼합가스의 다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포트와, 상기 이너포트 및 아우터포트의 일측과 각각 연결되어 혼합가스를 구분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과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이 구비되는 노즐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아우터포트에는 연결된 혼합관의 토출구 상측에서 유입되는 혼합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너 포트 내부로 가스가 공급되면서 가이드에 의해 확산되어 버너 포트 내부로 고르게 가스가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버너 포트 내부의 압력차이가 해소되면서 점화가 되었을 때 탑 커버 외부로 노출되는 불 밝기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이드에 의해 버너 포트 내부에 가스가 균일하게 분포함으로써 초기 점화시 불 옮김의 속도가 향상되고, 이로 인해 점화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인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요부구성인 버너 포트와 이에 설치된 가이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도 4의 I-I′부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인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10)는 본체(100)와 탑커버(600)에 의해 외관 대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할 가열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냉각홀(110)이 구비되어 공기에 의해 적어도 가열장치가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열장치에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 및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수개의 버너 어셈블리(200)와, 상기 버너 어셈블리(200)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 어셈블리(400), 이와 연결되는 혼합관 어셈블리(30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가 포함된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400)는 연소를 위한 가스를 고압으로 공급하고, 상기 혼합관 어셈블리(300)에서 고압으로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상기 버너 어셈블리(200)로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어셈블리(200)는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조리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500)에는 밸브 어셈블리(510)와 노브(520)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직접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불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점화 및 소화를 위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노브(520)를 조작하여 이와 연결된 밸브 어셈블리(510)를 제어함으로써 가스의 공급량은 물론 점화 및 소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520) 일측에는 표시램프(530)가 구비되어 상기 버너 어셈블리(200)의 점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을 발산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여 버너 어셈블리(200)의 점화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탑커버(600)는 탑프레임(610) 및 탑글래스(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탑프레임(610)은 상기 본체(100)에 대응되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상단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탑프레임(610)의 전측은 소정 면적이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와 같은 경사면에 상기 노브(520) 및 표시램프(5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노브홀(611) 및 램프홀(613)이 천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탑프레임(610)의 후측에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200)에서 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공기가 흡입되고, 가스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흡배기개구(615)가 마련된다.
상기 흡배기개구(615)는 아래에서 설명할 버너 포트의 개수에 따라 복수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 밴트그릴(7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밴트그릴(700)은 상기 흡배기개구(615)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흡입과 연소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밴트그릴(700)에는 배기공(720)과 흡기공(710)이 구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기공(710)이 배기공(720) 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일종의 에어커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공(720)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의하여 조리기기(10)의 후방에 해당하는 주방의 벽면이 오염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글래스(620)는 상기 탑프레임(6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탑글래스(620)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20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된 열을 음식물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탑글래스(620)는 하측에 구비되는 버너 어셈블리(200)의 열을 상면에 안착되는 용기로 전달하여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글래스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탑글래스(620)의 상면에는 용기안착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버너 어셈블리(200)의 상측에 용기가 올바르게 안착된 상태에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버너 어셈블리(200)는 연소부와 점화부 및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소부는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복수의 버너 포트 및 상기 버너 포트의 상측에 구비되는 연소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 포트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구비되는 아우터포트(210)와 상기 아우터포트(210) 내부에 형성되는 이너포트(220) 및 연소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포트(210)와 이너포트(220)는 실질적으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포트(210)와 이너포트(220)에서의 혼합가스 연소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노브(52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밸브어셈블리(510)에 의하여 아우터포트(210) 및 이너포트(220)로 가스의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혼합가스의 연소가 구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포트(210)는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혼합가스가 공급되어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아우터포트(210)의 후면에는 상기 혼합관 어셈블리(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211)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포트(210)에는 복수의 혼합가스 공급홀이 형성된다.
상기 혼합가스 공급홀은 상기 아우터포트(210) 및 이너포트(220)에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혼합관 어셈블리(300)와 연통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우터포트(210)에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공급홀(213)과 상기 이너포트(220)에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제 2 공급홀(214)를 구분하며, 상기 제 1 공급홀(213)은 상기 제 2 공급홀(214)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아우터포트(210)의 내주면에는 플레이트안착부(215)가 구비된다. 상기 플레이트안착부(215)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저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아우터포트(210)의 상면 내주연 일부가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두께만큼 하방으로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포트(21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지지플랜지(21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플랜지(217)는 상기 아우터포트(21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플랜지(217)의 상면에는 상비 버너밴트(250)의 저면이 지지된다.
상기 이너포트(220)는 상기 아우터포트(2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아우터포트(210)와 구분된 혼합가스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너포트(220)가 상기 아우터포트(210)와 동심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포트(210)에 의해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포트(220)에는 연통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221)은 상기 제 2 공급홀(214)을 통하여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이너포트(2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너포트(220)에는 상기 제 2 공급홀(214)을 통과하는 제 2 혼합관(320)이 상기 연통공(221)과 대응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튜브(223)가 더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포트(220)에는 점화안내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점화안내부(225)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아래에서 설명할 플러그어셈블리(240)에 의하여 점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점화안내부(225)는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혼합가스가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 부근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아우터포트(210)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우터포트(210)와 이너포트(220)에는 혼합가스가 상기 연소플레이트(230)로 보다 원할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스유도리브(219, 229)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포트(210)에는 상기 이너포트(220)의 외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스유도리브(219)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포트(220)에는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막대형상의 가스유도리브(229)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가스유도리브(219, 229)는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소플레이트(230)로 보다 원활한 혼합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연소플레이트(230)는 실질적으로 혼합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세라믹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저면 가장자리는 상기 플레이트안착부(215)에 안착되고, 중앙부는 상기 이너포트(220)의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안착되는 연소플레이트(230)의 상단은 상기 지지플랜지(217)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가장자리는 일부가 하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화부는 상기 연소부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스파크를 방생시키는 곳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플러그어셈블리(240)가 점화부를 구성한다.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는 점화플러그(241) 및 플러그타킷(242)을 포함한다. 상기 점화플러그(241)에는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타킷(242)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점화플러그(241)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스파크를 발생시키면서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어셈블리(240)는 아래에서 설명할 버너밴트(25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실질적으로 스파크가 발생되는 상기 점화플러그(241) 및 플러그타깃(242)의 단부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포트(210)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하측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분산시키기 위한 가이드(9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900)는 상기 아우터포트(210)로 유입되는 혼합가스가 아우터포트(210)의 특정 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하기로 한다.
상기 배기부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기부는 버너밴트(250) 및 베리어(260)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밴트(250)는 상기 아우터포트(210), 이너포트(220) 및 연소플레이트(230)의 상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밴트(250)는 제 1 버너밴트(251) 및 제 2 버너밴트(25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버너밴트(256)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성형되어 용접이나 체결구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너밴트(251)는 그 바닥면이 상기 아웃터포트(210)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버너밴트(251)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제 2 버너밴트(256)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버너밴트(256)는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에서 전달받은 연소가스를 밴트그릴(7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버너밴트(251)는 상기 아우터포트(2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소플레이트(230)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탑글래스(620)로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개구(252)가 형성된다. 상기 열전달개구(252)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버너밴트(251)가 상기 아우터포트(21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상기 열전달개구(25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아우터포트(210), 연소플레이트(230) 및 버너밴트(250)의 상대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에는 가이드리브(253)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버너밴트(256)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는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분산되지 않고 연소플레이트(230)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탑글래스(620)로 집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는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후단을 제외한 제 1 버너밴트(251)의 상면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에는 제 1 글래스지지리브(254)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글래스지지리브(254)는 상기 탑글래스(620)의 이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글래스지지리브(254)는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 상단에서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개구(252)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5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55)은 상기 제 1 버너밴트(251)를 상기 아우터포트(2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 버너밴트(256)는 그 바닥면이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버너밴트(25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에서 전달받은 연소가스를 상기 밴트그릴(7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버너밴트(256)는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가이드리브(253)가 구비되지 않는 상기 제 1 버너밴트(251)의 후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버너밴트(256)의 양측단부에도 제 1 버너밴트(251)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리브의 상측으로 제 2 글래스지지리브(258)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글래스지지리브(258)는 상기 제 2 버너밴트(256)의 가이드리브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글래스지지리브(258)는, 상기 제 1 글래스지지리브(254)와 동일하게, 상기 탑글래스(6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버너밴트(256)에는 관통공(259)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59)은 상기 제 2 버너밴트(256)와 베리어(26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베리어(260)는 상기 제 2 버너밴트(256)의 상부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탑글래스(620)와 제 2 버너밴트(25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베리어(260)는 그 양측면 외측이 각각 상기 제 2 버너밴트(256)의 가이드리브의 내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대략 하방으로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리어(260)의 후단부는 상기 제 2 버너밴트(256)의 후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버너밴트(256) 및 베리어(260)에 의하여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배기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유로를 유동하는 연소가스는 상기 제 2 버너밴트(256)와 베리어(26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베리어(260)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6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61)은 상기 베리어(260)의 양측면에 구비된다. 즉,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제 2 버너밴트(256)의 관통공(259)을 관통한 이후 상기 체결공(26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베리어(260)와 제 2 버너밴트(256)가 고정된다.
상기 베리어(260)의 상면 후단부에는 배기가이드(263)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가이드(263)는 상기 배기유로를 유동하는 연소가스를 상기 밴트그릴(700)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가이드(263)는 상기 베리어(260)의 상면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베리어(260)에는 구획리브(265)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리브(265)는 상기 버너어셈블리(200)의 배기유로를 통하여 상기 밴트그릴(700)로 안내되는 연소가스를 서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리어(260)의 구획리브(265)는 상기 배기가이드(263)의 양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혼합관 어셈블리(300)는 실질적으로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아웃터포트(210) 및 이너포트(220)의 내부에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혼합관 어셈블리(300)에는 상기 제 1 공급홀(213) 및 제 2 공급홀(214)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제 1 혼합관(310) 및 제 2 혼합관(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혼합관(320)은 상기 이너포트(220)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혼합관(310)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공급홀(214)를 통과하여 전술한 연결튜브(22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혼합관(310)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혼합관(310)은 상기 아우터포트(210)의 좌우 양측으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혼합관(320)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혼합관(310)의 단부인 제 1 토출구(313)는 상기 아우터포트(210)이 형성된 제 1 공급홀(213)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혼합관(320)의 단부인 제 2 토출구(314)는 상기 연결튜브(223)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연통공(221)과 연결되어 혼합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혼합관(310) 및 제 2 혼합관(320)의 타단은 상기 노즐어셈블리(400)와 서로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혼합관(310) 및 제 2 혼합관(320)의 타단에도 연결리브(340)가 더 구비되어 전후측 간격이 모두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혼합관(310) 및 제 2 혼합관(320)은 판상의 밀착부(330)에 의해 동일 간격이 유지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11)와 결합된다.
즉, 상기 밀착부(330)는 상기 제 1 혼합관(310) 및 제 2 혼합관(320)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혼합관 어셈블리(300)가 상기 버너 어셈블리(200)에 고정되어 가스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211)와 밀착부(330) 사이에는 혼합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어셈블리(400)는 노즐본체(410)와 다수개의 분사노즐(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본체(410)의 후면에는 호스연결부(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호스연결부는 가스호스와 연결되어 가스를 연소될 가스를 노즐본체(41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노즐본체(410)의 전면에는 3개의 분사공(412)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공(412)은 상기 노즐본체(4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를 상기 분사노즐(430)을 통하여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사공(412)은 상기 제 1 혼합관(310) 및 제 2 혼합관(320)에 대응되도록 상기 노즐본체(410)의 전면(前面)에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열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요부구성인 버너 포트와 이에 설치된 가이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도 4의 I-I′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아우터포트(220)에는, 상기 제 1 토출구(313)과 연통되어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제 1 공급홀(213)의 상측에 상기 가이드(9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9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폭이 상기 아우터포트(210)의 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900)는 적어도 상기 제 1 혼합관(310)의 직경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혼합관(310)의 직경과 상기 제 1 공급홀(213)의 직경은 서로 대응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900)는 제 1 공급홀(213)의 직경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아우터포트(210)의 저면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급홀(213)의 상측에서 유입되는 혼합가스를 가이드(900)의 저면 좌우측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900)는 상기 제 1 토출구(313)과 연통되는 제 1 공급홀(213) 상단보다 높고, 상기 이너포트(220)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아우터포트(210)에는 상기 가이드(900)의 하측으로 “B”와 같은 높이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900)의 상측으로 “A”와 같은 높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혼합관(310)의 제 1 토출구(313)을 통해 상기 아우터포트(210)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아우터포트(210)와 연결튜브(223) 사이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900)에 의해 좌우로 분산된다.
즉, 상기 제 1 토출구(313)을 통해 상기 아우터포트(210)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B”공간으로 고압분사되면서 상기 가이드(900)의 저면을 따라 좌우로 분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산되는 혼합가스는 다시 상기 아우터포트(210)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상기 “A”공간을 채우게 되면서 아우터포트(210) 내부의 혼합가스 분포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900)는 상기 아우터포트(210)와 연결되는 혼합관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아우터포트(210)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혼합관(310)이 상기 제 2 혼합관(320)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므로, 제 1 가이드(910)와 제 2 가이드(920)가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이드(900)에 의해 혼합가스가 상기 아우터포트(210) 내부에서 균일하게 분포되면, 실질적으로 연소가 일어나는 연소플레이트(230)로 가스의 공급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플레이트(230)에서는 상기 점화플러그(241)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보다 빠른속도로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포트(210) 내부의 균일한 혼합가스 분포에 의해 상기 탑글래스(620) 외부로 균일한 불꽃 상태를 나타내면서 점화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100.....본체 200..... 버너 어셈블리
210..... 아우터포트 220..... 이너포트
300..... 혼합관 어셈블리 400..... 노즐 어셈블리
600..... 탑커버 700..... 벤트 그릴
900..... 가이드

Claims (7)

  1. 적어도 가스 및 공기의 혼합가스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버너 포트;
    상기 복수의 버터 포트 각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버터 포트로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급홀; 및
    상기 복수의 버너 포트의 일측에서 상기 복수의 공급홀로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노즐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대적으로 외측에 구비되는 버너 포트에는, 상기 버너 포트에 제공되는 공급홀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좌우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상기 공급홀의 직경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공급홀의 상측에서, 상기 복수의 버너 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2. 적어도 가스 및 공기의 혼합가스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포트;
    상기 이너포트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서로 구획되어 상기 혼합가스의 다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포트;
    상기 아우터포트와 상기 이너포트 각각에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홀;
    상기 복수의 공급홀의 일측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혼합가스를 구분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과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이 구비되는 노즐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아우터포트에는,
    상기 아우터포트에 제공되는 공급홀의 상측에서, 상기 아우터포트와 상기 이너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급홀의 직경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공급홀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좌우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폭이 상기 아우터포트의 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적어도 상기 혼합관의 직경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혼합관의 토출구 상단보다 높고, 상기 이너포트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포트와 연결되는 혼합관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포트 및 아우터포트에는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이 상측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스유도리브가 마련되는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KR1020100084606A 2010-08-31 2010-08-31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KR10170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06A KR101706779B1 (ko) 2010-08-31 2010-08-31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06A KR101706779B1 (ko) 2010-08-31 2010-08-31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74A KR20120020774A (ko) 2012-03-08
KR101706779B1 true KR101706779B1 (ko) 2017-02-27

Family

ID=4612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606A KR101706779B1 (ko) 2010-08-31 2010-08-31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35B1 (ko) * 2015-09-03 201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의 버너
KR101885919B1 (ko) * 2018-03-28 2018-08-06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회전식 구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417B1 (ko) 2006-01-20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버너 및 이를 이용한 히팅장치
KR100809745B1 (ko) * 2007-01-23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050B1 (ko) * 2008-07-29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417B1 (ko) 2006-01-20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버너 및 이를 이용한 히팅장치
KR100809745B1 (ko) * 2007-01-23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74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36155B1 (ko) 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816308B1 (ko) 조리기기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59007A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789826B1 (ko) 조리기기
KR20120118814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7717105B2 (en) Gas radiation burner
KR101706779B1 (ko)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KR10184556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KR20090059006A (ko) 조리기기
KR20100069016A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23588B1 (ko) 조리기기
KR100938387B1 (ko) 조리기기
KR100829628B1 (ko) 가열조리기기
KR20100069017A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00069015A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217978937U (zh) 气电两用的组合灶具
KR20120118810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059004A (ko) 플러그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20118811A (ko) 조리기기
KR10130352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CN115076686A (zh) 一种燃烧器及燃气灶
KR101304610B1 (ko) 조리기기
KR100926443B1 (ko) 밴트그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