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664B1 -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 Google Patents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664B1
KR100682664B1 KR1020050119164A KR20050119164A KR100682664B1 KR 100682664 B1 KR100682664 B1 KR 100682664B1 KR 1020050119164 A KR1020050119164 A KR 1020050119164A KR 20050119164 A KR20050119164 A KR 20050119164A KR 100682664 B1 KR100682664 B1 KR 100682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small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기기의 버너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대버너와 소버너로 구성되는 이중버너에서 소버너에서 대버너로 또는 대버너에서 소버너로 볼 옮김을 위한 복수의 염공과 버너 헤드에 공기 유입로을 구비하는 이중버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 명에 따른 이중 버너 구조는 내측에 소버너부가 구비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며, 내측에 상기 소버너부가 관통되는 홀과, 외부공기가 상기 홀 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측에 돌출되는 과분사 방지턱이 포함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공기 유로의 직 상방에 다수 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캡;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에 의하여, 버너 헤드는 버너가 가스를 연소시키는 동안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2차공기 유입로가 대버너 헤드와 대 버너 캡 사이에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2차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화력을 중화력에서 대화력로 또는 소화력에서 대화력으로 조절할 때 안정적으로 불이 옮겨지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불 옮김 염공에 의해서 가스의 안정적인 연소가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안정적인 연소는 퍽퍽 거리는 폭발적 연소 소음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심적 안정감을 주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이중버너, 불 옮김 염공, 버너캡, 버너 헤드, 공기 유입로

Description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Double burner structure for transfering fire from small burner to lage burner or lage burner to small burner}
도 1은 종래의 가스 오븐레인지의 더블버너의 불 옮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오븐 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스 오븐 레인지의 버너부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버너 캡의 절개 사시도.
도 8은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48: 역화 방지턱 240: 버너 헤드
280: 불 옮김 염공 246: 공기 유입로
250: 대버너 캡 248: 과분사 방지턱
249: 공기 유입격벽
본 발명은 가스기기의 버너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대버너와 소버너로 구성되는 이중버너에서 소버너에서 대버너로 또는 대버너에서 소버너로 볼 옮김을 위한 복수의 염공과 버너 헤드에 공기 유입로을 구비하는 이중버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오븐레인지는 가스레인지와 캐비티 내에 음식물을 넣어 복사열과 대류열을 이용하는 가스오븐이 결합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하, 상기 가스오븐레인지의 일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스오븐레인지의 상부에는 가스의 연소열로 직접 음식물을 조리하는 탑버너부가 설치되며, 상기 탑버너부의 하부에는 가스 연소열의 열대류를 주로 이용해서 음식물을 만드는 오븐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부와 오븐의 사이에는 주로 복사열을 이용하여 생선이나 육류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그릴이 설치되고, 상기 탑 버너부의 배면에는 상기 오븐 및 그릴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배기하고 탑 버너부에서 발생하는 국물의 튀김을 방지하는 백가드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탑 버너부에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탑버너가 설치되며 이러한 탑 버너에는 노즐이 각각 구비되어 가스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븐과 그릴의 전면에는 음식물의 조리공간인 캐비티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소정의 힌지부에 의해 상하로 회동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도어 핸들이 구비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가스 오븐 레인지의 버너(1)는 화력의 범위를 넓게 하기 위하여 소버너(12)와 대버너(13)가 구비된 이중버너와 상기 소버너(12)와 대버너(13) 사이에는 불 옮김을 위한 불 옮김 홈(16)이 형성된 대버너 캡(11)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의 불 옮김 홈(16)은 납작한 도넛모양의 대버너 캡(11)의 일측을 톱을 이용하여 소정의 치수로 절삭 가공을 행하여 성형 된다. 상세히, 절삭가공은 대버너 캡(11)의 외주부와 내주부를 통하도록 완전히 잘라내는 가공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중버너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중화력이 요구되면 대버너(13)에만 가스가 공급되면서 중 화력의 화염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화력을 요구하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자는 화력을 중에서 대로 조절하게 되면, 상기 대버너(13)의 화염이 상기 불 옮김 홈을 통하여 소버너(12)로 옮겨져서 소버너(13)에도 화염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히, 상기 불 옮김 현상은 외곽 버너에서 소버너(12)로 불 옮김 시 버너 캡의 상부에 형성된 홀, 상하로 폐쇄된 버너 헤드와 버너 캡의 전후공간에 의해 불꽃이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 버너캡(11)은 대 버너캡(11)의 외주부와 내주부를 통하도록 완전히 잘려진 홀로 인하여, 가열된 버너 캡은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뒤틀림 현상은 가스의 안정적인 연소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불 옮김 홀에 가스가 연소하는 데에 필요한 이차공기의 부족으로 인하여, 불 옮김 공 간에서 형성된 불 꽃이 퍽퍽 거리며 폭발적으로 연소거나 불완전 연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중버너를 가지는 버너에 있어서, 소 버너에서 대버너로 또는 대버너에서 소 버너로 불이 옮겨질 때 불 꽃이 퍽퍽 거리며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이중 버너 불 옮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 명에 따른 이중 버너 구조는 내측에 소버너부가 구비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며, 내측에 상기 소버너부가 관통되는 홀과, 외부공기가 상기 홀 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측에 돌출되는 과분사 방지턱이 포함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공기 유로의 직 상방에 다수 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캡;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에 의하여, 버너 헤드는 버너가 가스를 연소시키는 동안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연소는 퍽퍽 거리는 폭발적 연소 소음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범 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오븐 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스오븐레인지(100)는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6)과, 상기 캐비닛(106)의 상측에 안착되는 탑플레이트(104)와, 상기 탑플레이트(104)의 내측에 다수 개가 안착되어 가스의 연소열로 직접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버너부(200)와, 상기 버너부(200)의 하측에 구비되며, 복사열을 이용하여 생선이나 육류 등이 조리되도록 하는 그릴부(105)와, 상기 그릴부(105)의 하측에 구비되며, 가스의 열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오븐(103)과, 상기 탑플레이트(104)의 후측에 장착되는 백가드부(107)와, 상기 탑플레이트(104)의 전면부 하측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101)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버너부(200)의 외주에는 받침대(102)가 설치되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류를 지지하며, 용기류가 상기 버너부(200)로부터 발생되는 불꽃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01)의 후측, 다시 말하면 상기 탑플레이트(104)와 상기 그릴부(10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소정 용적의 전장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 내부에는 가스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가스 조절 밸브 또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101)에는 상기 버너부(110), 상기 그릴부(105)및 상기 오븐부(103) 내부의 화력을 조절하는 각종 조절 노브(101a) 및 상기 가스 오븐레인지(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01b)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븐부(103)과 그릴부(105)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가 구비되어, 음식물의 조리공간인 상기 캐비티(도시 생략)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도어 핸들(109)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상기 버너부(200)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스 오븐 레인지의 버너부(200)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너부(200)는 공급되는 가스를 버너 바디로 안내하는 버너 노즐 홀더(210)와, 상기 노즐 홀더(210)의 직상방에 안착되어 공급된 가스가 1차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버너 바디(230)와, 상기 버너 바디(230)의 상측에 형성되어 1차공기와 혼합된 가스가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는 버너 헤드()와, 상기 버너 헤드(240)의 상측에 안착되며 내측에 다수개의 불 옮김 염공(251)이 형성되는 대버너 캡(2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버너 노즐 홀더(210)에는 다수 개의 노즐(220)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가스가 상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버너 노즐 홀더(2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버너 바디(230)는 중심부에 소정 높이와 직경을 가지는 가스 혼합 연통(233)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혼합연통(233)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상측 개구부로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의 상 측에는 소버너 캡(260)이 안착되어, 화염이 상기 소버너 캡(260)의 외주면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240)의 상부면에는 다수 개의 염공(247)이 원형의 띠를 이루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염공(247)을 통하여 화염이 반경 방향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헤드(240)와 상기 대버너 캡(250) 사이에는 공기 유입로(246)가 형성되어 소버너와 대버너 사이의 불 옮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버너부(200)에서 이루어지는 가스 및 공기의 흐름과 연소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노즐 홀더(210)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노즐(220)을 통하여 상측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된 가스는 상기 버너 바디(230)와 상기 버너 헤드(240) 사이에 형성된 가스 공기 혼합 챔버(후술함)에서 공기와 혼합된다. 그리고 이 혼합된 가스는 가스 공급홀(244: 도 6 참조)을 통하여 상기 버너 헤드(240)와 버너 캡(250)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염공(247)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 바디(230)를 관통하여 돌출된 점화 플러그(미도시됨)의 스파크 불 꽃에 의하여 연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중버는 불 옮김 염공(251)에 의하여 상기 대버너(295)에서 소버너(290)로 또는 상기 소버너(290)에서 상기 대버너(295)로 불이 옮겨진다. 그리고 상기 불 옮김 염공(251)의 하방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로(246)에 의하여, 불 옮김 시 상기 붊 옮김 염공(251)에서 가스가 안정적으로 연소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 홀더(210)는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공급관(211)과, 상기 가스 공급관(211)에서 분지 되는 분지관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분지관은 가운데에 위치한 센터 분지관(212)과, 상기 센터 분지관(212)의 양측에 형성되는 아우터 분지관(2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지관의 단부에는 가스 노즐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센터 분지관(212)의 단부에 장착되는 센터 노즐(215)과, 상기 아우터 분지관(213)의 단부에 결합되는 아우터 노즐(2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터 노즐(215)은 상기 가스 공급관(211)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버너 바디(230)의 가스 혼합 연통(233)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 노즐(215)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는 상기 가스 혼합 연통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노즐(214)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는 상기 버너 바디(230)의 외측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가스 혼합 챔버(232: 도 5참조)에 모이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너 바디(230)는 플레이트 바디(231)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231)의 상면에 소정 폭과 깊이로 함몰되는 가스 혼합 챔버(232)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23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가스 혼합 연통(233)과, 상기 플레이트 바디(231)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점화 플러그 지지홀(234)과, 상기 플레이트 바디(231)의 내측에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염검지 장치 홀(235)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스 혼합 챔버(232)의 저면에는 가스 공급홀(236)이 형성되 어, 상기 노즐 홀더(210)의 아우터 노즐(214)이 상기 가스 혼합 챔버(232) 내에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노즐(214)로부터 분사되는 가스가 상기 가스 혼합 챔버(232)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231)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돌기(237)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너 헤드(240)가 버너 바디(230)와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은 상기 플레이트 바디(231)의 상부면으로 소정의 직경과 높이로 돌출되고, 저면으로 소정의 직경과 높이로 더 연장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의 하단부 중심에 상기 센터 노즐(215)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는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 내부로 모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플레이트 바디(231)의 상부면과 상기 버너 헤드(240)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틈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바디(231)의 상부면에 돌출된 돌기(237)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가스 혼합 챔버(232)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의 외주면을 타고 상승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플레이트 바디 바디 상부면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가스 혼합 챔버(232)로 유입되어 1차 공기가 되고,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 외주면을 타고 상승하는 나머지 일부는 2차 공기가 된다. 여기서, 1차공기는 가스가 발화될 때 필요한 공기를 의미하며, 2차 공기는 발화후 연소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공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바디(231)의 저면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가스 혼합 연통의 하단부를 통하여 상기 가스 혼합 연통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센터 노즐(215)로터 분사되는 가스의 발화를 위한 1차 공기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노즐 홀더(210)는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의 하단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이격되는 틈새를 통하여 공기가 상기 혼합 연통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센터 노즐(215)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혼합된다.
또한,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의 직경은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에 이르는 지점까지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그 이후부터는 다시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것은 혼합가스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제트기류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가스가 빠른 속도로 상기 가스 공기 혼합 연통(233)의 상부로 상승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 공기 혼합 연통(233)의 상단 외주에는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는 홈(23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버너 캡(260)의 하단부에도 상기 홈과 대향되게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가스가 반경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염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스 혼합 챔버(232)와 상기 가스 혼합 연통(233)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버너 헤드(240)의 하면에 소정 높이의 지지대(도면에 미도시됨)가 별도로 또는 돌기부와 함께 형성되어 상기 버너 바디(230)와 상기 버너 헤드(24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를 발화시키는 점화 플러그는 상기 버너 바디의 몸체(231)의 일측에 형성된 점화 플러그 홀(234) 및 버너 헤드(240)의 점화 플러그 홀(245: 도 6참조)을 관통한다. 그리고 가스의 연소를 감지하는 염검지 장치가 상기 버너 바디 몸체(231)의 일측에 형성된 염검지 장치 홀(235)을 관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버너 헤드(240)는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원반 형상의 몸체(241)와, 상기 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환형의 내벽(243)과, 상기 몸체의 외주연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환형의 외벽(242)과, 상기 외벽(242)과 내벽(243) 사이의 몸체 부분에 형성되는 가스 공급홀(244)과, 상기 외벽(242)의 일 지점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점화 플러그 홀(245)과, 상기 점화 플러그 홀(245)로부터 대략 대향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 격벽(249)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스 공급홀(244)은 상기 버너 바디(230)의 가스 혼합 챔버(232)에 형성된 가스 공급 홀(236)의 직 상방에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 격벽(249)은 상기 몸체(241)의 외벽과 내벽을 연결하여 상기 버너 헤드(240)의 외주연과 내주연이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격벽(249) 사이에 공기 유입로(270)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로(270)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대버너 캡(250)의 불 옮김 염공(251)으로 공급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외벽(242)의 상단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되는 염분사 홈(24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염 분사홈(247)은 외벽의 상부면에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염 분사홈(247)은 홈과 홈이 교번하여 깊이의 차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즉, 첫 번째 홈의 깊이는 얕고 두 번째 홈의 깊이는 깊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염 분사홈(247)은 불 꽃이 중심 방향으로 향하는 역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242)의 내주연으로부터 외주연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 격벽(249)의 상부면에도 다수 개의 염 분사홈(249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 헤드(240)의 중앙에 형성되는 홀에는 상기 버너 바디(240)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된 가스 혼합 연통(233)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바디(230)의 상부면을 따라 중심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버너 헤드(240)의 내벽과 상기 가스 공기 혼합 연통(23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내벽(243)의 상단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이 소정 깊이로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대버너 캡(250)의 하단부가 상기 단차진 부위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버너 캡(250)이 상기 버너 헤드(240)에 적층되면, 상기 버너 헤드(240)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는 가스 유동 챔버(244a)가 형성된다. 다라서, 가스 공급홀(244)에서 유입되는 혼합가스가 상기 유동 챔버(244a) 내부에 분포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유동 챔버 내에 분포되는 혼합 가스는 상기 버너 헤드(240)의 외벽에 형성되는 염분사 홈(24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대버너 캡(250)이 버너 헤드(240)에 안착되면, 상기 염 분사 홈(247)은 상측 개구부가 밀폐되고 전단 및 후단부만이 개구되는 터널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공기 유입로(2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벽(242)과 상기 내벽 (243)을 연결하는 공기 유입 격벽(249)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유입로(246)의 외측 개구부의 하단에 과분사 방지턱(248)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과분사 방지 턱(248)은 불 옮김 시 상기 공기 유입로(246)에서 혼합가스가 연소하는 경우 불꽃이 외측으로 과도하게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과분사 방지 턱(248)은 상기 외벽 높이의 절반 정도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외부 공기가 적절한 양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불꽃이 외측으로 과도하게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최적의 높이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과분사 방지턱이 외벽의 절반 이상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외부 공기 유입량이 너무 적어지고, 절반 이하로 돌출되는 경우 불꽃의 과분사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버너 캡(250)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대버너 캡(250)은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환형의 띠 형상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대버너 캡(250)은 내주연을 따라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내측 리브(253)와, 외주연을 따라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외측 리브(252)와, 소정 직경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불 옮김 염공(251)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불 옮김 염공(251)은 상기 대버너 캡(250)의 내주연으로부터 외주연 방향으로 다수 개사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리브(253)는 상기 버너 헤드(240)의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불 옮김 염공(251)의 직경은 상기 대버너 캡(25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 면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화염의 역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나아가, 화염의 역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염공에서 상측으로 소정거리 만큼 염공의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그 이후부터 상기 대버너 캡의 상부면까지는 염공의 직경이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염공(251)은 불 옮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소 버너(290) 측에 가깝게 형성되는 염공(251)은 소버너(290)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대버너(295)의 외주측에 가갑게 형성되는 염공(251)은 대버너의 밖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 개의 불 옮김 염공 중 일부는 소버너 쪽으로 경사지게, 나머지 일부는 대버너의 외주연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다수 개의 염공(251)에 의하여 소 버너(290)에서 대버너(295)로 또는 대버너(295)에서 소버너(290)로 불 꽃이 용이하게 옮겨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버너 헤드(240)의 공기 유입로(246)의 상측에 상기 대버너 캡(250)의 불 옮김 염공(251)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불 옮김 염공(251)에 의하여 불꽃이 상기 소버너(290)에서 상기 대버너(295)로 또는 상기 대버너(295)에서 상기 소버너(290)로 용이하게 옮겨가게 된다.
이하에서는 불꽃이 상기 소버너(290)에서 상기 대버너(295)로 옮겨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소버너(290)에 가스가 연소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스 조절노브(미 도시)를 소화력에서 대화력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아우터 노즐(225)에서 가스가 분사되어, 상기 버너 바디의 가스 혼합챔버(232) 내에서 공기와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혼합 챔버(232)에 저장된 공기 혼합 가스는 상기 버너 헤드(240)에 형성된 가스 공급홀(244)을 통과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공급홀(244)을 통과한 공기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 헤드(24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가스 유동 챔버 내부에 분포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유동 챔버(244a) 내부에 분포되는 공기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 헤드(240)의 외벽에 형성된 염 분사홈(247)과 공기유입 격벽(249)의 상단에 형성된 염 분사홈(249a)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상세히, 상기 공기유입 격벽(249)의 상단에 형성된 염 분사홈(249a)을 통하여 유출된 공기 혼합가스는 상기 대버너 캡(250)의 상면에 형성된 불 옮김 염공(251)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불 옮김 염공(251)으로 유출된 가스는 상기 소버너에 형성되는 불꽃에 의하여 점화된다. 그리고 상기 소버너에 가까운 쪽의 불 옮김 염공(251)부터 점화되기 시작하여 반경방향으로 불꽃이 옮겨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과분사 방지턱(248)은 불 옮김 동안에 발생하는 불꽃이 외측으로 과분사 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는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로(246)는 가스가 연소하는 데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여 불 옮김 과정이 원활히 진행되게 하고 안정적인 가스연소를 도와준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에 의하여, 버너 헤드는 버너가 가스를 연소시키는 동안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2차공기 유입로가 대버너 헤드와 대 버너 캡 사이에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2차공기가 유입된다.
또한,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화력을 중화력에서 대화력로 또는 소화력에서 대화력으로 조절할 때 안정적으로 불이 옮겨지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불 옮김 염공에 의해서 가스의 안정적인 연소가 확보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안정적인 연소는 퍽퍽 거리는 폭발적 연소 소음을 제거 하여 사용자에게 심적 안정감을 주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내측에 소버너부가 구비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며, 내측에 상기 소버너부가 관통되는 홀과, 외부공기가 상기 홀 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측에 돌출되는 과분사 방지턱이 포함되는 버너 헤드;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공기 유로의 직 상방에 다수 개의 염공이 형성되는 버너 캡;이 포함되는 이중 버너의 불 옮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공은 하부 직경이 상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공의 직경은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일지점까지 축소되고, 상기 일지점으로부터 상단부까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공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버너캡의 중심 방향 또는 외주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KR1020050119164A 2005-12-08 2005-12-08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KR10068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64A KR100682664B1 (ko) 2005-12-08 2005-12-08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64A KR100682664B1 (ko) 2005-12-08 2005-12-08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664B1 true KR100682664B1 (ko) 2007-02-15

Family

ID=3810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164A KR100682664B1 (ko) 2005-12-08 2005-12-08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66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8673A3 (en) * 2007-12-17 2009-10-15 Lg Electronics Inc.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WO2009078647A3 (en) * 2007-12-14 2009-10-15 Lg Electronics Inc.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0938200B1 (ko) 2007-12-17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38201B1 (ko) 2007-12-17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00069932A (ko) * 2008-12-17 201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71802B1 (ko) 2008-11-24 2011-10-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버너본체
KR101528113B1 (ko) * 2014-11-21 2015-06-11 주식회사 동양매직 가스기기의 이중 화염 버너
CN104949170A (zh) * 2014-03-26 2015-09-30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燃气灶的火盖、燃气灶及其制造方法、燃气灶燃烧器
KR102064800B1 (ko) * 2013-05-23 2020-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654B1 (ko) 2000-04-14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실드탑 버너 구조
KR100516627B1 (ko) 2003-07-28 2005-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실드버너 설치구조
KR100516667B1 (ko) 2003-05-13 2005-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실드버너 설치구조
KR100531436B1 (ko) 2004-02-10 2005-11-28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654B1 (ko) 2000-04-14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실드탑 버너 구조
KR100516667B1 (ko) 2003-05-13 2005-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실드버너 설치구조
KR100516627B1 (ko) 2003-07-28 2005-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실드버너 설치구조
KR100531436B1 (ko) 2004-02-10 2005-11-28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530B1 (ko) 2007-12-14 2012-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WO2009078647A3 (en) * 2007-12-14 2009-10-15 Lg Electronics Inc.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8932049B2 (en) 2007-12-14 2015-01-13 Lg Electronics Inc.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EP2232148A4 (en) * 2007-12-17 2014-06-25 Lg Electronics Inc HEAD BURNER AND HEAD THEREFORE
EP2232148A2 (en) * 2007-12-17 2010-09-29 LG Electronics Inc.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0938201B1 (ko) 2007-12-17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8464703B2 (en) 2007-12-17 2013-06-18 Lg Electronics Inc.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WO2009078673A3 (en) * 2007-12-17 2009-10-15 Lg Electronics Inc.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0938200B1 (ko) 2007-12-17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71802B1 (ko) 2008-11-24 2011-10-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버너본체
KR20100069932A (ko) * 2008-12-17 201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6498B1 (ko) * 2008-12-17 201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64800B1 (ko) * 2013-05-23 2020-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CN104949170A (zh) * 2014-03-26 2015-09-30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燃气灶的火盖、燃气灶及其制造方法、燃气灶燃烧器
KR101528113B1 (ko) * 2014-11-21 2015-06-11 주식회사 동양매직 가스기기의 이중 화염 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664B1 (ko)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KR101292112B1 (ko) 호스 버너
KR20140137721A (ko)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KR101231948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0650101B1 (ko) 가스버너
KR20090063349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738696B1 (ko) 실드 더블 버너
JPH09303719A (ja) ガス調理器のバーナ
KR100738697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0531436B1 (ko) 가스버너
KR20050020553A (ko) 가스버너
KR100516627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실드버너 설치구조
KR10190901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EP3473928A1 (en) Radial flame plate and gas burner using same
KR101232006B1 (ko) 실드 더블 버너
KR200392768Y1 (ko) 업소용 가스버너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KR200328077Y1 (ko) 가스버너
KR100990442B1 (ko) 세라믹판형 버너
KR200315932Y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JP2019158234A (ja) ガスコンロ
JP2023079076A (ja) コンロバーナ、ガスコンロ
KR20030059904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이실 버너 점화장치
KR100618547B1 (ko) 가스조리기의 공기 공급장치
JP2023072360A (ja) コンロバーナ、ガス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