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721A -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 Google Patents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721A
KR20140137721A KR1020130058566A KR20130058566A KR20140137721A KR 20140137721 A KR20140137721 A KR 20140137721A KR 1020130058566 A KR1020130058566 A KR 1020130058566A KR 20130058566 A KR20130058566 A KR 20130058566A KR 20140137721 A KR20140137721 A KR 2014013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lame
burner head
ga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800B1 (ko
Inventor
임재범
박장희
정용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800B1/ko
Priority to EP14167546.2A priority patent/EP2806213B1/en
Priority to US14/285,587 priority patent/US9528708B2/en
Publication of KR2014013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62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for cooking ranges having multiple flame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다층 형태의 화염이 형성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는, 노즐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화염이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외부버너 헤드와, 화염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내부버너 헤드를 가지는 버너 헤드; 상기 외부버너 헤드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를 연결하여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상기 외부버너 헤드에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로 안내하는 가스안내부; 및 상기 외부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혼합가스가 배기되는 외부화염공을 형성하는 외부버너 캡과, 상기 내부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혼합가스가 배기되는 내부화염공을 형성하는 내부버너 캡을 가지는 버너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버너 헤드에는 화염의 전파를 위한 화염전파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버너 헤드에는 상기 화염전파구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여 상기 화염전파구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점화되도록 상기 혼합가스가 분출되는 점화구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부버너 헤드에 형성되는 화염전파구 이하의 위치에 내부버너 헤드의 점화구가 형성되어 외부버너 헤드에서 내부버너 헤드로의 화염 전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Double burner type gas burner}
본 발명은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다층 형태의 화염이 형성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에 관한 발명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에서 공급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 기기의 하나이다.
상기 조리기기는 공급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가스 조리기기와 전기 조리기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가스 조리기기에는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버너가 가열원으로 제공되고, 전기 조리기기에는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가열원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가스 조리기기 중 가스 레인지나 가스 오븐 레인지 등의 쿡탑 유닛에는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버너가 제공된다. 이러한 버너는, 화염 버너(Flame Burner) 또는 쿡탑 버너(Cook-Top burner) 등으로 명명되기도 한다.
상기 버너는 상기 조리기기의 상면을 정의하는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부재를 가열하면서 상기 부재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구성과, 상기 조리기기의 상면을 정의하는 부재를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여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인 버너 즉, 상기 조리기기의 상면을 정의하는 부재를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여 장착되면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상기 버너는 버너 몸체, 버너 헤드 및 버너 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몸체는 가스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 공급관과 가스의 분사를 위한 노즐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가스조리기기의 상면을 정의하는 부재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버너 캡이 상기 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상기 버너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와 상기 버너 캡은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상기 노즐 주위의 공기가 혼합되어 전달되는 혼합가스를 공급받는 공간과 상기 혼합가스가 외부 공간으로 유동되면서 화염이 외부 공간으로 분출되는 염공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상기 버너는 화염의 효율적 활용과 다양한 조리 용기에 적합한 화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동심원으로 배치되는 2개의 버너 즉, 이중 버너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기 이중 버너는 상대적으로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지름이 작은 원형 링의 형상으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중앙 버너와, 상기 중앙 버너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원형 링의 형상으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외부 버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대용량의 조리 용기를 가열하거나, 바닥 면적이 넓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중앙 버너와 상기 외부 버너를 동시에 사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골고루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5664호에는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등록특허공보에는 대버너와 소버너로 구성되는 이중버너에서 소버너에서 대버너 또는 대버너에서 소버너로 불 옮김을 위한 복수의 염공과 버너 헤드에 공기 유입로를 구비하는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등록특허공보는 이중 버너를 가지는 버너에 있어서, 소버너에서 대버너로 또는 대버너에서 소버너로 불이 옮겨질 때 불꽃이 퍽퍽거리면서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발명이 개시되며, 버너가 가스를 연소시키는 동안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2차공기가 유입되는 장점과, 가스의 안정적인 연소가 확보되는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6558호에는 다수의 동심형 화염 크라운이 제공된 형태의 가스 조리기를 위한 이중 버너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공보에는 가스를 이중 버너의 모든 화염 크라운으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손실이 발생될 가능성이 없어, 단순하고 값싼 변형을 이용하여 규격의 버너 즉 입구들 중 한 입구에 장착된 하나의 탭을 가진 버너로 변환될 수 있는 가스 조리기용 이중 버너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는 발명은 수직의 축보다 기울어진 2개의 벤투리 챔버를 형성함으로써 버너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이중 버너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공보와 공개특허공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근래에는 이중 버너가 다수 활용되고 있으며, 이들 이중 버너를 구성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다만, 이중 버너의 경우 동심원을 형성하는 두 개의 원형을 가지는 화염이 형성됨에 따라 화염의 전파가 중요한 사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 버너의 화염 전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발명으로, 화염의 전파 성능 향상을 위하여 다층 구조의 화염 구조를 가지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염의 전파를 위하여 형성되는 화염보다 낮은 위치에서 화염을 받는 부분의 혼합가스가 낮은 위치에서 배기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는, 노즐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화염이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외부버너 헤드와, 화염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내부버너 헤드를 가지는 버너 헤드; 상기 외부버너 헤드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를 연결하여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상기 외부버너 헤드에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로 안내하는 가스안내부; 및 상기 외부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혼합가스가 배기되는 외부화염공을 형성하는 외부버너 캡과, 상기 내부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혼합가스가 배기되는 내부화염공을 형성하는 내부버너 캡을 가지는 버너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버너 헤드에는 화염의 전파를 위한 화염전파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버너 헤드에는 상기 화염전파구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여 상기 화염전파구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점화되도록 상기 혼합가스가 분출되는 점화구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화염을 형성하고, 노즐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공기와 혼합하여 혼합가스를 형성하는 외부버너; 상기 외부버너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내측에 화염을 형성하는 내부버너; 상기 외부버너에서 상기 내부버너로 상기 혼합가스가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버너와 상기 내부버너 사이에 위치하는 가스안내부; 상기 외부버너에 형성되어 상기 화염을 전달하는 화염전달구; 및 상기 내부버너에 형성되어 상기 화염전달구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혼합가스를 분출하는 점화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버너 헤드에 다층의 화염이 형성되고, 화염전파구보다 낮은 위치에서 혼합가스가 배기되도록 구성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구성이 개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부버너 헤드에서 내부버너 헤드로의 화염 전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환경에 의해 내부버너의 화염이 소화되더라도 외부버너에서 내부버너로의 화염 전파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화염 전파가 원활하여 가스의 누설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스의 분사를 위한 노즐이 외부버너에 장착되고, 외부버너에서 혼합가스가 내부버너로 공급되어 노즐의 수가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노즐의 수 감소에 따라 노즐의 장착에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노즐의 장착을 위한 제품의 생산 공정이 감소하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가 장착된 가스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외형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 은 도 2의 A-A' 방향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정상 연소 시 화염 형태를 나타낸 사진과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에서 내부버너의 화염이 소염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과 부분 절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의 구성을 첨부되는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될 수는 없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이므로 그 용어에 의해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첨부되는 도면의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가 장착된 가스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버너가 장착된 가스 조리기기(10)는 쿡탑 유닛(20)과, 오븐 유닛(30) 및 드로워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널(5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쿡탑 유닛(20)은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화염에 의해 직접 가열하여 조리하는 부분으로, 그 상면은 탑 플레이트(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21)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나 이상의 버너(100)가 장착될 수 있다. 첨부되는 도 1에는 4개의 상기 버너(100)가 장착된 형태가 도시되나, 상기 버너(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량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21)에는 상기 버너(100)의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일정 정도의 면적이 절제되고, 이러한 절제된 부분으로 상기 버너(100)의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버너(100)가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21)를 가열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버너(100)의 장착 형태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형태와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버너(100)는 공급되는 가스와 유입되는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화염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화염에 의해 음식물 또는 상기 조리용기를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상기 조리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그레이트(22)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그레이트(22)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강도와 형태를 가지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트(22)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상기 버너(100)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일부의 상기 버너(100) 상측을 동시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트(22)가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조리용기를 상기 버너(100)와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상면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위치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쿡탑 유닛(20)의 전면에는 상기 버너(100)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노브(2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노브(23)는 상기 버너(100)와 대응되는 수량으로 장착되어 사용자는 각각의 상기 버너(100)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쿡탑 유닛(20)의 하측에는 상기 오븐 유닛(30)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오븐 유닛(30)의 하측에는 상기 드로워 유닛(40)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븐 유닛(30)과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생략 가능하여 상기 쿡탑 유닛(20)만으로 상기 가스 조리기기(1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븐 유닛(30)은 내부 공간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위치시킨 후 음식물이 위치된 공간을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부분으로, 전면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오븐실(미도시)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오븐도어(31)가 장착된다.
상기 오븐 유닛(30)에는 상기 오븐실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가열원 즉, 브로일 버너, 베이크 버너, 컨벡션 버너 등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들 가열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원이 장착되어 상기 오븐실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오븐실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음식물을 데우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 유닛(40)에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가스 조리기기(10)의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드로워(4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41)의 내부 공간에 상기 조리용기 또는 음식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조리기기(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음식물을 데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워 유닛(40)에는 상기 조리용기 또는 음식물을 데우기 위한 가열원이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오븐 유닛(30)에 장착되는 가열원에 의해 음식물을 데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쿡탑 유닛(20)의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 조리기기(10)의 동작 상태 또는 현재의 상태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50)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상기 가스 조리기기(10)의 동작 상태 또는 현재 상태의 정보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되는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의 외형을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개시되는 상기 버너(100)는 전체적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는 이중 버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동심원이 아닌 동심을 가지는 사각 형상과 같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너(100)는 노즐(21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버너 바디(200)와, 상기 버너 바디(200)의 상측에 위치하여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의 점화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헤드(300)와,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측에 놓이면서 안착되어 상기 화염을 외측으로 안내하는 버너 캡(500) 및 상기 혼합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스안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바디(2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쿡탑 유닛(20)의 내부 공간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하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바디(20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노즐(210)로부터 분사되는 가스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바디(200)에는 외부 공간에서 공급되는 가스의 유입을 안내하는 가스공급관(220)이 장착된다.
상기 가스공급관(220)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일측 다시 말해 상면 또는 측면에는 상기 노즐(2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관(220)의 한쪽 끝 부분은 외부 공간에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부분은 상기 버너 바디(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관(220)에 의해 상기 가스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안내되면서 상기 노즐(210)을 통해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되는 가스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면서, 주위 공간의 공기와 혼합되면서 혼합가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버너 바디(200)의 상측에 놓이는 상기 버너 헤드(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너 헤드(300)는 상대적으로 화염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외부버너 헤드(310)와 상대적으로 화염이 좁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내부버너 헤드(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300)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는 전체적으로 동심원의 형태를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가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내측에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가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버너 헤드(300)가 동심원의 형태가 아닌 동심을 가지는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이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에서 형성되는 혼합공기가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될 수 있다.
도 2에서 볼 때,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는 상반부 공간(320)과 하반부 공간(33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반부 공간(320)과 상기 하반부 공간(330) 사이에는 상기 혼합가스를 점화하여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가 장착되는 플러그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홀(340)의 반대 방향에는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온도 등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장착되는 감지부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반부 공간(320)과 상기 하반부 공간(330)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기 버너 바디(200)로 가스를 분사하는 상기 노즐(210)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사이에는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스안내부(4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안내부(400)는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안내부(4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혼합가스가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고, 이러한 혼합가스에 의해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상기 혼합가스가 분출되면서 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안내부(400)는 상기 버너 헤드(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와 상기 가스안내부(40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버너 헤드(300)와 상기 가스안내부(400)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개방된 상면은 상기 버너 캡(500)에 의하여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너 캡(500)은 상기 버너 헤드(300)와 상기 가스안내부(400)의 상면을 닫을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와 상기 가스안내부(400)의 상면을 닫는 외부버너 캡(510)과,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상면을 닫는 내부버너 캡(520)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는 상기 가스안내부(4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일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닫히고, 별도로 형성되는 상기 내부버너 캡(520)에 의해 나머지 일부가 닫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가스안내부(400)에서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더욱 잘 공급받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어떠한 형태로 상기 버너 헤드(300)와 상기 가스안내부(400) 및 상기 버너 캡(500)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가스안내부(400)에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로의 상기 혼합가스는 원활하게 공급되는 형태를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버너 바디(200)의 상측에는 상기 버너 헤드(3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300)의 상측에는 상기 버너 캡(500)이 안착되어 상기 버너(1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캡(500)은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외부버너 캡(510)과,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상면에 안착되는 내부버너 캡(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방된 상면은 상기 외부버너 캡(510)에 의해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버너 캡(510)의 하면 부분과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개방된 상면 부분이 접하면서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단면은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테두리 부분과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된 상면을 상기 외부버너 캡(510)이 위치하면서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중심부에는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중심부 공간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센서가 장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버너(100)의 상측에 상기 조리 용기가 놓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일 수 있고, 상기 버너(1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즉, 상기 센서에서 상기 버너(100)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상기 조리 용기가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중심부에 상기 센서가 장착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고, 이때에는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대략 "∪"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중심부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그 단면이 대략 "∪"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헤드(3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버너 바디(200)에서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점화플러그의 동작에 의해 점화되면서 화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는 상단부 내측과 외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외부화염공(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화염공(311)은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상기 혼합가스가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외부화염공(311)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고,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점화플러그에 의해 점화되면서 화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처럼, 상기 혼합가스가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면서 점화되어 발생되는 화염은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외부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는 화염을 전파하기 위한 화염전파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염전파구(312)는 상기 점화플러그와 상기 감지부가 형성되는 공간으로 화염을 분출하여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테두리 부분으로 유동하는 상기 혼합가스를 점화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염전파구(312)는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상단 중앙부에 하방으로 절개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상단 중앙부에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절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염전파구(312)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 방향으로 전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화염전파구(312)는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혼합가스가 점화되면서 발생하는 화염을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로 전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상단부 외측과 내측 테두리 부분에는 테두리 부분을 따라 상기 가스안내부(40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외측 공간으로 배기되는 내부화염공(3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화염공(351)을 통해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화염전파구(312)에서 전파되는 화염에 의하여 점화되면서 화염을 생성하여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화염공(351)의 하측에는 상기 화염전파구(312)에서 전파되는 화염에 의하여 점화되도록 상기 혼합가스가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점화구(3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화구(352)는 상기 화염전파구(312)를 향하는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일측면에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절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화구(352)를 통해 상기 혼합가스가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외측으로 배기되면, 상기 화염전파구(312)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하여 상기 혼합가스가 점화되고, 점화되는 화염에 의하여 상기 내부화염공(351)을 통해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점화될 수 있다.
상기 내부화염공(351)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점화구(352)에 의해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에는 전체적으로 다층 구조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내부화염공(351)과, 그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점화구(352)에 의해 다층 구조의 내부화염공(351) 및 점화구(3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에 다층 구조의 내부화염공(351) 및 상기 점화구(35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화염이 소염되더라도 상기 화염전파구(312)에서 전파되는 화염에 의해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에 화염이 회생하게 됨으로써 화염의 소염에 의한 가스의 누설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점화구(352)는 상기 화염전파구(312)에 비하여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화구(352)가 상기 화염전파구(312)의 하측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점화구(35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화염전파구(312)에서 전파되는 화염에 의해 점화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화구(352)가 상기 화염전파구(312)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점화구(352)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상기 화염전파구(312)의 화염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화염전파구(312)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점화되어 화염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점화구(352)가 상기 화염전파구(312)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화염전파구(312)에서 분출되는 화염보다 상기 점화구(312)에서 분출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상측으로 배기되어 화염이 상기 혼합가스를 점화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점화구(352)는 상기 화염전파구(312)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구성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고, 상기 화염전파구(312)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더라도 상기 버너 캡(500)에 형성되는 리브(501)에 의해 상기 혼합가스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도록 유동함으로써 상기 화염전파구(312)에서 전파되는 화염보다 상기 점화구(352)에서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501)는 상기 버너 캡(50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버너 캡(51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상기 외부화염공(31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501)는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상기 내부화염공(35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점화구(352)의 상단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501)에 의해 상기 외부화염공(311)과 상기 내부화염공(351) 및 상기 점화구(352)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리브(501)에 의해 안내되어 하방으로 향하여 유동한 다음 상기 리브(501)의 하단부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유동한 후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501)에 의해 상기 외부화염공(311)과 상기 내부화염공(351) 및 상기 점화구(352)와 상기 리브(501) 사이 공간에서는 상기 혼합공기의 와류 현상 또는 방향 전환에 의한 속도 저하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화염이 상기 버너 헤드(300)의 외측 테두리를 벗어나는 현상 즉, 리프팅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와 상기 가스안내부(400)가 접하는 부분에는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안내부(400)에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혼합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급부(353)가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부공급부(353)는 상기 가스안내부(400)를 향하는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일 측면에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절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스안내부(400)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가 접하는 부분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가 정상 연소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과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의 내부 버너가 소화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과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노즐(210)에서 가스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되면, 분사되는 가스와 동시에 공기가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버너 바디(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상기 혼합가스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 형성되는 상기 외부화염공(311)과, 상기 화염전파구(312)를 통해 외측 공간으로 배기될 수 있다.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혼합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스안내부(400)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여 상기 내부화염공(351)과 상기 점화구(352)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상기 점화플러그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의 외측으로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에서 화염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가 점화될 수 있다.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가 점화되면 화염은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가 점화되어 정상 연소하게 되면,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 의해 화염이 상대적으로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에 의해 화염이 상대적으로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 공기의 영향 또는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라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소화되면, 도 5에 도시된 사진과 같이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만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만 화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에 형성되는 상기 화염전파구(312)를 통해 화염이 분출되고, 상기 점화구(352)를 통해 상기 혼합가스가 배기되면서, 상기 화염전파구(312)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상기 혼합가스가 점화될 수 있다.
상기 점화구(352)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점화되면, 점화된 화염에 의해 상기 내부화염공(351)을 통해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가 점화될 수 있다. 상기 내부화염공(351)을 통해 배기되는 혼합가스가 점화되면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에서 배기되는 혼합가스 전체가 점화되어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가 점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화구(352)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리브(501)에 의해 하측으로 향한 다음, 비중에 의해 상방으로 향하면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해 상기 화염전파구(312)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으로 인하여 점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는 다층 구조의 화염 형성에 의해 화염의 전파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전술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상기 버너 바디(200)에 두 개의 상기 버너 헤드(300) 즉, 상기 외부버너 헤드(310)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350)가 장착되는 구성이 개시되나, 두 개의 상기 버너 바디(200)에 두 개의 상기 버너 헤드(300)가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는, 다층 구조의 화염 형성에 의해 화염의 전파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며, 이로 인해 가스의 누설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많은 장점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는, 가스 버너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0. 가스 조리기기 20. 쿡탑 유닛
21. 탑 플레이트 22. 그레이트
23. 조작 노브 30. 오븐 유닛
31. 오븐 도어 40. 드로워 유닛
41. 드로워 50. 컨트롤 패널
100. 버너 200. 버너 바디
300. 버너 헤드 310. 외부버너 헤드
350. 내부버너 헤드 400. 가스안내부
500. 버너 캡

Claims (7)

  1. 노즐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의 상방에 위치되고, 화염이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외부버너 헤드와, 화염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내부버너 헤드를 가지는 버너 헤드;
    상기 외부버너 헤드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를 연결하여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를 상기 외부버너 헤드에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로 안내하는 가스안내부; 및
    상기 외부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혼합가스가 배기되는 외부화염공을 형성하는 외부버너 캡과, 상기 내부버너 헤드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혼합가스가 배기되는 내부화염공을 형성하는 내부버너 캡을 가지는 버너 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버너 헤드에는 화염의 전파를 위한 화염전파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버너 헤드에는 상기 화염전파구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여 상기 화염전파구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점화되도록 상기 혼합가스가 분출되는 점화구가 형성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헤드의 테두리 부분에는 화염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리브가 형성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외부버너 헤드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버너 헤드에는 외부로 분출되는 상기 혼합가스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플러그가 장착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5. 노즐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공기와 혼합하여 혼합가스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분포되는 화염을 형성하는 외부버너 헤드;
    상기 외부버너 헤드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분포되는 화염을 형성하는 내부버너 헤드;
    상기 외부버너 헤드에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로 상기 혼합가스가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버너와 상기 내부버너 사이에 위치하는 가스안내부;
    상기 외부버너 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화염을 전달하는 화염전파구; 및
    상기 내부버너 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화염전파구 이하의 위치에서 상기 혼합가스를 분출하는 점화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버너 헤드에는,
    상기 화염전파구에서 전달되는 화염에 의해 점화되는 상기 점화구의 화염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내부화염공이 상기 점화구의 상측에 형성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버너 헤드와 상기 내부버너 헤드의 상측에는 버너 캡이 안착되고,
    상기 점화구와 상기 내부화염공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버너 캡의 테두리 하단부는 상기 점화구와 상기 내부화염공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KR1020130058566A 2013-05-23 2013-05-23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KR102064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566A KR102064800B1 (ko) 2013-05-23 2013-05-23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EP14167546.2A EP2806213B1 (en) 2013-05-23 2014-05-08 Burner for cooking appliance
US14/285,587 US9528708B2 (en) 2013-05-23 2014-05-22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566A KR102064800B1 (ko) 2013-05-23 2013-05-23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721A true KR20140137721A (ko) 2014-12-03
KR102064800B1 KR102064800B1 (ko) 2020-01-10

Family

ID=5063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566A KR102064800B1 (ko) 2013-05-23 2013-05-23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28708B2 (ko)
EP (1) EP2806213B1 (ko)
KR (1) KR102064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6553S1 (en) * 2013-05-31 2015-08-1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Gas range
US20150107577A1 (en) * 2013-10-18 2015-04-23 Lg Electronics Inc. Burner
KR101705426B1 (ko) * 2015-01-28 201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버너
USD811164S1 (en) * 2015-06-05 2018-02-27 BSH Hausgeräte GmbH Gas cook top
KR102395217B1 (ko) * 2015-10-14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5605575B (zh) * 2016-03-11 2018-03-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炉头、燃烧器和带燃烧器的厨具
IT201900004867A1 (it) * 2019-04-01 2020-10-01 Sabaf Spa Bruciatore a gas
CN113739147A (zh) * 2021-08-02 2021-12-0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上进风防干烧燃烧器
CN117553296B (zh) * 2024-01-08 2024-04-02 广东万和电气有限公司 燃烧器及灶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6929A1 (de) * 1983-12-24 1985-07-11 Paul Isphording Metallwerke GmbH & Co KG, 5952 Attendorn Brenneroberteil fuer eine gaskochstelle
GB2223302A (en) * 1988-09-28 1990-04-04 Tiao Ho Yen Gas burner
IT1258754B (it) * 1992-01-13 1996-02-27 Smeg Spa Bruciatore perfezionato per fornelli di cottura a gas a tre fiamme concentriche
US6780009B2 (en) 2002-10-09 2004-08-24 Uwe Harneit Gas burner head assembly
KR100908352B1 (ko) * 2002-11-12 2009-07-20 사바프 에스. 피. 에이. 개별적인 화염공급크라운부를 갖춘 가스버너
US7661954B2 (en) 2005-09-13 2010-02-16 Uwe Harneit Gas burner
KR100682664B1 (ko) * 2005-12-08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버너의 불 옮김 구조
US8302593B2 (en) * 2005-12-30 2012-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burner assembly including inner and outer burner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ame
KR20090064608A (ko) * 2007-12-17 2009-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S2525209T3 (es) * 2008-02-15 2014-12-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Cabeza de quemador de gas
DE102008014841B4 (de) * 2008-03-07 2015-05-28 E.G.O. Elektro-Gerätebau GmbH Gasbrenner-Modul für ein Gaskochfeld sowie Gaskochf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6213B1 (en) 2018-11-28
US20140345597A1 (en) 2014-11-27
KR102064800B1 (ko) 2020-01-10
US9528708B2 (en) 2016-12-27
EP2806213A2 (en) 2014-11-26
EP2806213A3 (en)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7721A (ko)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US8978637B2 (en) Top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WO2008033238A2 (en) Improved gas burner
KR101847285B1 (ko)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20170038077A1 (en) System of gas burners, in particular for a cooking top for household use
JPH09303719A (ja) ガス調理器のバーナ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6434250B2 (ja) ガスバーナー
KR101623979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6247545B2 (ja) ガスコンロ
KR101300899B1 (ko) 버너
KR10153105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09276020A (ja) こんろバーナ
KR101598625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30089555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및 빌트인 타입 가스 조리기기
KR101623633B1 (ko) 조리기기
KR20100069014A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30352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기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40137743A (ko) 가스 버너
JP2023079076A (ja) コンロバーナ、ガス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