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217B1 -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217B1
KR102395217B1 KR1020150143212A KR20150143212A KR102395217B1 KR 102395217 B1 KR102395217 B1 KR 102395217B1 KR 1020150143212 A KR1020150143212 A KR 1020150143212A KR 20150143212 A KR20150143212 A KR 20150143212A KR 102395217 B1 KR102395217 B1 KR 102395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lame
passage
gas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756A (ko
Inventor
문성철
테츠지 키타시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217B1/ko
Priority to CN201680060183.3A priority patent/CN108351102B/zh
Priority to PCT/KR2016/011519 priority patent/WO2017065540A1/en
Priority to US15/293,692 priority patent/US10488051B2/en
Priority to EP16855757.7A priority patent/EP3329183B1/en
Priority to EP22150738.7A priority patent/EP4001756A1/en
Publication of KR2017004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9/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2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using a mixture of gaseous fuel and pure oxygen or oxygen-enrich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3/00Assemblies of two or more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2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62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for cooking ranges having multiple flame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Abstract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가스버너장치는 1차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받아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1 버너; 상기 제1 버너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1차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받아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2 버너; 상기 제2 버너가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사이의 이격된 통로로 이어지는 2차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GAS BURN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차 공기를 상부 버너로 충분히 공급하여 상부 버너의 출력을 최대화하고, 하부 버너의 출력을 최소화하여 시머링(simmering)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버너를 구비한 조리기기는 가스를 연료로 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의 가스버너는 가스를 연소시켜 음식을 담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화염을 분사한다.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염공을 가진 가스버너는 수평(Horizontal) 타입 또는 스택(Stack)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가스버너는 TDR(turn down ratio, 버너의 입력에 대한 최대 입력의 비율)을 높이고 시머링(simmering)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주된 관점으로 하고 있다. 수평 타입 가스버너는 수평면에서 방사선으로 배치된 것으로 통상 파워 모드 시 외측 버너와 내측 버너를 동시에 사용하고, 시머링 모드시 으로 내측 버너를 사용한다. 스택타입 가스버너는 파워 모드 시 상하로 적층된 상부 및 하부 버너를 동시에 사용하며, 시머링 모드에서는 상부 및 하부 버너 중 1개를 사용한다.
또한, 종래의 가스버너는 가스 연소중에 2차 공기를 쿡탑 위 화염 주위로부터 공급받는다. 즉, 대부분의 버너는 2차 공기를 조리기기의 쿡탑(cook top) 상측으로부터 공급받는다. 따라서, 종래의 스택타입 가스버너는 상부 버너로 2차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없어 상부 버너의 출력을 높이기 어려웠다. 이는 가스버너의 전체적인 출력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버너의 출력을 최대로 하여 고출력을 구현함으로써 보일링(boiling) 시간을 단축하고, 하부 버너의 출력을 최소화하여 시머링(simmering)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버너로 충분한 양을 2차 공기를 공급하고, 상부 버너에서 분사되는 화염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차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받아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1 버너; 상기 제1 버너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1차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받아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2 버너; 상기 제2 버너가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사이의 이격된 통로로 이어지는 2차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가스버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버너는 상기 제2 버너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혼합가스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은 내주면이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버너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단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는 상기 차단리브와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 사이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버너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사이의 통로와, 상기 제2 버너의 내측과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측 사이의 통로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버너 사이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국물(soup) 배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버너는 외곽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버너는 외곽이 서로 비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는 외곽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버너의 외곽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는 외곽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버너는 외곽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의 외곽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에 적어도 하나의 염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 중 일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나머지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는 인접한 염공들 사이의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격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블록은 상기 제1 버너의 인접한 염공들 사이의 간격보다 1.2배 이상의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상기 제1 버너를 이루는 헤드 및 상기 헤드를 덮는 캡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헤드는 제1 경사각을 가지는 제1 경사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제2 경사각을 가지는 제2 경사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각은 수평면으로부터 30도~45도이고, 상기 제2 경사각은 수평면으로부터 35도~50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제2 버너의 화력을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 염공과, 제1 버너로 화염을 옮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염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너의 적어도 하나의 주 염공은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의 총 면적은 상기 제2 버너의 주 염공의 총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너로 각각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오리피스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 홀더는 상기 제1 버너의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측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버너의 혼합가스 공급관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차단부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차단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버너의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측면 사이의 통로는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1 버너; 상기 제1 버너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외주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2 버너; 및 상기 제2 버너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너로 각각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오리피스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사이에 형성된 통로로 이어지는 2차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가스버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1 버너; 상기 제1 버너 하측에 배치되며, 외주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2 버너; 및 상기 제2 버너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너로 각각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오리피스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2 버너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버너의 외주부 측으로 이어지는 2차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가스버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버너는 서로 외곽이 비일치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버너는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형성된 2차 공기 배출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너는 조리 용기로부터 넘치는 국물을 제2 버너 내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상측 주변부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경사 각도는 5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차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받아 복수의 염공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한 쌍의 버너; 상기 한 쌍의 버너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버너로 1차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하는 혼합 가스 공급부; 및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버너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가스버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버너는 상하로 적층 배치되며,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는 상기 한 쌍의 버너 중 하측에 배치된 버너를 관통하여 상측에 배치된 버너의 염공 주변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는 상기 한 쌍의 버너가 상하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형성된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버너는 하나의 버너를 다른 버너가 감싸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는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버너 사이를 통해 내측에 배치되는 버너의 염공 주변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체; 전술한 가스버너장치 중 어느 하나의 가스버너장치;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버너장치를 점화하고, 화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절밸브의 회전에 따라 가스버너장치의 화력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된 가스버너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 는 도 3a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의 염공 각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의 상부 버너의 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이격블록 위로 그래이트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a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의 국물(soup) 배출유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된 가스버너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의 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하부 버너의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스택 타입 가스버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된 가스버너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버너의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버너의 캡에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노즐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가스버너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절밸브의 회전에 따라 가스버너장치의 화력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된 가스버너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상부에 가스버너장치(100)를 구비하고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조리실(3)을 가지는 빌트인(built-in) 또는 비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몸체(10), 그래이트(grate)(30), 복수의 조절밸브(41-45), 패널부(50), 도어(70) 및 가스버너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오븐 역할을 하는 조리실(3)과, 조리실(3)을 개폐하는 도어(70)와, 패널부(50)가 생략될 수도 있다.
몸체(10)는 내부에 조리실(3)을 구비하며, 조리실(3)에 수납된 음식물 등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와, 몸체(10)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10)를 냉각한 후 다시 몸체(10)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레이트(30)는 가스버너장치(100)의 상측에 조리 용기(9)를 얹어 놓을 수 있는 프레임으로, 후술하는 지지 플레이트(101)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된다. 그레이트(30)는 가스버너장치(1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조절밸브(41-45)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몸체의 상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조절밸브(41-45)는 일부 조절밸브(41,42,43,44)가 복수의 가스버너장치(100) 각각을 점화, 소화 및 화력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고, 나머지 조절밸브(45)는 오븐용으로 조리실(3)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를 온/오프하고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가스버너장치(100)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41-44)는 상부 버너(110) 및 하부 버너(130)를 온, 오프하거나 각 버너(110,130)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조절밸브(41)가 오프 위치의 각도로 설정되는 경우 상부 버너(110) 및 하부 버너(130)에 가스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점화를 위해 조절밸브(41)를 온 위치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오리피스 홀더(150)를 통해 상부 버너(110) 및 하부 버너(130)로 동시에 혼합 가스가 공급되고, 점화플러그(미도시)에 불꽃이 발생하면서 상부 버너(110) 및 하부 버너(130)의 각 염공을 통해 분출되는 혼합 가스가 점화되면서 화염(F1,F2, 도 3b 참조)이 형성된다.이 경우, 조절밸브(41)를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회전시키는 방향(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A1 구간(후술하는 파워 모드가 구현되는 구간)은 상부 버너(110) 및 하부 버너(130)가 모두 온 되며, A2 구간(후술하는 시머링 모드가 구현되는 구간)은 상부 버너(110)가 오프되고 하부 버너(130)만 온 상태를 유지한다. A1 구간에서 조절밸브(41)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버너(110)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의 양이 점차 줄어들어 상부 버너(110)의 화력이 점차 약해지며, 조절밸브(41)가 A1 구간 및 A2 구간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 버너(110)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가 차단되고 상부 버너(110)는 오프된다. 또한, A2 구간에서 조절밸브(41)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하부 버너(130)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의 양이 점차 줄어들어 하부 버너(130)의 회력이 점차 약해지며, 조절밸브(41)가 오프 위치까지 오면 하부 버너(130)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가 차단됨에 따라 하부 버너(110)는 오프된다.
패널부(50)는 몸체(10)의 상부 후방에 돌출 형성되며, 조리실의 온도이나 조리상태 등의 조리기기(1)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부(50)는 내측에 디스플레이부(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몸체(10)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 히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51)는 패널부(50)에 배치되지 않고, 복수의 조절밸브(41-45)가 위치하는 몸체(1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어(70)는 조리실(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몸체(1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며, 조리실(3)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중 유리층을 가진다. 다중 유리층은 냉각을 위한 공기가 통과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버너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버너가 상하로 적층되는 스택 타입('수직 타입'이라고도 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가스버너장치(100)는 상부 버너(110) 및 하부 버너(130)의 외곽이 모두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상부 버너(110)의 외곽은 하부 버너(130)의 외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부 버너(110) 및 하부 버너(130)의 외곽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가스버너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가스버너장치(100)는 지지 플레이트(101), 상부 버너(110), 하부 버너(130), 오리피스 홀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01)는 몸체(10)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관통구멍(103)이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101)는 상면에 하부 버너(130)가 안착되고, 저면에는 오리피스 홀더(1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 플레이트(101)는 후술하는 오리피스 홀더(150)의 차단부재(159)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 홀더(150)의 차단부재(159)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관통구멍(103)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버너장치(100)는 지지 플레이트(101)의 하측으로부터 상부 버너(110)의 화염(F1)을 향해 2차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부 버너(110)에서 분사되는 화염(F1)이 완전 연소될 수 있어 상부 버너(110)의 출력을 최대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상부 버너(110)는 조리 시 파워 모드에서 하부 버너(130)와 함께 동시에 화염(F1,F2)을 분사하여 사용한다. 시머링(simmering) 모드에서는 시머링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리 용기(9)로부터 상부 버너(110) 보다 더 멀리 배치된 하부 버너(130) 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버너(110)는 하부 버너(130)의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 버너(130)의 상단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 버너(110)와 하부 버너(130) 사이에는 2차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통로(S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로(S1)는 상부 버너(110)의 다수의 염공(112)이 배치된 상부 버너(110)의 주변부로 2차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로(S1)는 조리 중에 조리 용기(9)에 담겨 있는 국물이 조리 용기(9)로부터 넘쳐 흐르는 경우, 넘친 국물을 하부 버너(130)의 관통구멍(135)으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상부 버너(110)는 상부가 개방된 헤드(111)와, 헤드(111)의 상부를 폐쇄하는 캡(113)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111)는 대략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혼합가스 공급관(111a)을 구비한다.
혼합가스 공급관(111a)은 후술하는 오리피스 홀더(150)의 차단부재(159)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삽입될 수 있도록 차단부재(159)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혼합가스 공급관(111a)은 내부에서 오리피스 홀더(150)의 노즐(154)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와 1차 공기가 혼합된다. 혼합가스 공급관(111a)은 혼합가스 공급관(111a) 내부로 빠른 속도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혼합가스 공급관(111a)의 내부에 부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혼합가스 공급관(111a)의 하단부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는 혼합가스 공급관(111a)으로 빨려들어가 가스와 혼합되는 1차 공기로 사용될 수 있다.
혼합가스 공급관(111a)은 상단부(111b)가 상부 버너(110)의 캡(113)의 저면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상부 버너(110)의 내측의 공간보다 좁은 통로(P)를 형성한다. 상기 좁은 통로(P)를 통해 혼합가스 공급관(111a)으로부터 상부 버너(110)의 챔버(C1)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빠른 속도로 상부 버너(110)의 챔버(C1)로 공급될 수 있다. 상부 버너(110)의 챔버(C1)는 상부 버너(110)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112)을 통해 화염(F1)을 지속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혼합가스가 저장된다.
또한, 혼합가스 공급관(111a)의 외측면은 오리피스 홀더(150)의 차단부재(159)의 내측면과 이격됨에 따라 제2 통로(S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로(S2)는 지지 플레이트(101) 하측으로부터 2차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제1 통로(S1)와 연통됨으로써 2차 공기를 제1 통로(S1)로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통로(S1,S2)는 2차 공기를 상부 버너(110)의 주변부로 공급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01)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2차 공기는 가스버너장치(100)를 파워 모드에서 작동 시, 상부 버너(110)의 염공으로부터 화염(F1)이 분출되면서 상부 버너()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복사열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부 버너(110)의 열이 하부에 배치된 오리피스 홀더(150)로 전도되는 전도열에 의해 상부 버너(110)의 주변은 물론 제2 통로(S1.S2)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통로(S1,S2)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면서 밀도가 낮아지고 동시에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제2 통로(S1,S2)를 따라 염공(112) 주변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101) 하측에 존재하는 공기는 밀도가 낮아진 상부 버너(110) 측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제2 통로(S1,S2)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대류 현상에 의해, 2차 공기는 지지 플레이트(101) 하측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제2 통로(S1,S2)로 공급될 수 있다.도 4를 참조하여, 상부 버너(110)에 형성된 복수의 염공(112)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의 염공 각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상부 버너(130)의 복수의 염공(112)은 헤드(111)와 캡(113)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형성된다. 복수의 염공(112)은 대략 상방향으로 소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염공(112)의 경사를 상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은 화염(F1)의 각도를 높임으로써 상부 버너(110)에 의한 보일링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복수의 염공(112)이 상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기 위해, 헤드(111)는 상면에 헤드(111)의 외곽의 내측을 따라 형성된 제1 경사블록(112a)을 형성하며, 캡(113)은 저면에 캡(113)의 외곽의 내측을 따라 형성된 제2 경사블록(112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경사블록(112a)의 제1 경사각(α1)은 수평면으로부터 25도~45도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35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경사블록(112b)의 제2 경사각(α2)은 수평면으로부터 35도~50도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45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경사각(α1)이 45도를 초과하거나 제2 경사각(α2)이 50도를 초과하면 화염(F1) 뭉침이 발생하고, 제1 경사각(α1)이 25도 미만이거나 제2 경사각(α2)이 35도 미만이면 화염(F1)이 방사방향으로 퍼짐에 따라 보일링 시간이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부 버너(110)의 헤드(111)에 형성된 염공(112) 간 최적의 설정 간격을 살펴본다.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의 상부 버너의 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부 버너(130)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상부 버너(110)의 염공 부하를 높여 상부 버너(110)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염공 부하는 상부 버너(110)의 입력(input)을 상부 버너(110)의 총 염공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한편, 상부 버너(110)의 복수의 염공(112) 간 거리인 피치(pitch)가 작을 경우 염공(112)에서 나오는 화염이 서로 뭉쳐(Merged) 각 염공(112)에 2차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화염(F1)이 길어지고 옐로우 팁(Yellow tip) 등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버너(110)의 크기는 최소화하면서 고출력을 구현하기 위해, 염공(112-1,112-2) 간의 간격(D1)을 늘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염공(112-3,112-4) 사이에 이격블록(115)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블록(115)이 배치되는 염공(112-1,112-2)간의 간격(D2)은 염공(112-1,112-2) 간의 간격(D1) 보다 더 벌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염공(112-3,112-4)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F1)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버너(110)의 챔버(C1) 내의 혼합가스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블록(115)의 폭(W)은 염공(112b,112c) 간의 간격(D)의 1.2배~2.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블록(115)의 폭(W)이 염공(112-1,112-2) 간의 간격(D1)의 1.2배 미만인 경우, 화염 뭉침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화염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되고 연소성이 저하된다. 또한, 이격블록(115)의 폭(W)이 염공(112-1,112-2) 간의 간격(D1)의 2.5배를 초과하는 경우, 불 옮김(flame carryover)이 불량하고 염공면적 증대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결국 화력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이격블록(115)의 폭(W)은 실험 결과에 따른 하기와 같은 표 1 내지 표 3을 통해서 뒷받침될 수 있다.
이격블록의 폭(mm) 1.0 1.1 1.2 1.3 1.4 1.5 1.6
근접하는 염공의 화염상태 뭉침
뭉침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화염길이(그래이트 윗부분)(mm) 5 4.5 3 2.5 2.2 2.2 2.2
COAFCO(%) 0.035 0.025 0.012 0.01 0.008 0.007 0.007
표 1과 같이, 이격블록(115)의 폭(W)이 1.2㎜ 보다 작은 경우, 근접하는 염공의 화염이 서로 뭉치게 되며 화염이 길어지게 된다. 이 경우, 화염길이는 바닥 직경이 270㎜의 조리 용기를 그래이트(30) 위에 올리고 그래이트(30) 위로 올라오는 화염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이격블록(115)의 폭(W)이 1.2㎜ 미만인 경우 현격히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격블록(115)의 폭(W)이 1.2㎜ 이상일 경우, COAFCO는 0.012% 이하로 현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는 화염 뭉침이 생기지 않아 각 화염에 2차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어 연소성이 양호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격블록의 폭(mm) 2.2 2.3 2.4 2.5 2.6 2.7 2.8
불 옮김(%) 100 100 100 100 90 70 30
표 2를 참조하면, 이격블록(115)의 폭(W)이 2.5㎜ 이하일 경우, 불 옮김은 100%가 되지만, 2.5㎜를 초과할 경우 불 옮김은 현격히 줄어든다. 이와 같이 이격블록(115)의 폭(W)이 2.5㎜ 이상에서는 각 화염간 거리가 멀어져 화염전파가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도 6은 이격블록 위로 그래이트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이격블록(115)은 각각 그래이트(30)의 하측에 위치시켜 상부 버너(110)의 화염(F1)이 그래이트(3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보일링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일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격블록(115)은 2차 공기가 상부 버너(110)의 화염(F1)과 더 많이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 뭉침을 방지하고, 연소성을 향상시켜 상부 버너(110)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블록(115)을 소형 버너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고화력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격블록(115)의 구조를 2차 공기 공급유로를 갖춘 가스버너장치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2차 공기 공급유로가 생략되거나, 2차 공기가 직접 버너의 염공 주변으로 공급되거나, 2차 공기가 상부 및 하부 버너 사이를 통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가스버너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화염 뭉침 및 화염 길이 증대를 방지할 수 있어 고화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버너의 입력(input)은 염공 면적을 최대로 하고 혼합가스를 많이 공급할수록 증가한다. 이와 같이 버너의 입력을 크게 하기 위해, 대체로 버너가 대형화되고 버너에서 분사되는 화염도 길어진다. 이와 같이 버너의 크기가 커지고 화염이 길어지면, 효율, 보일링 시간(최대 입력에서 조리 용기(9)에 담긴 일정한 물을 일정 온도에서 가열하기 시작하여 일정 온도에 도달할 때 까지 걸리는 시간) 및 안전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버너는 그래이트와 상부 및 하부 버너 사이의 제한된 간격, 조리 용기를 그래이트 위에 놓았을 때 화염의 늘어지는 정도, 화염의 리프팅(lifting)/역화/불완전연소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물론, 각 나라의 안전규격 등을 고려하여 버너의 적정 염공 면적이 정해지고 이에 따라 버너의 입력 및 버너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 버너(110)는 큰 염공 면적을 가지게 하거나 염공 부하(버너의 입력을 염공 면적으로 나눈 값)를 크게 함으로써 고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버너(110)는 입력을 고출력으로 하되 버너 크기는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 버너(110)의 염공 면적은 줄고, 염공 부하는 증가함에 따라 상부 버너(110)가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고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공기는 상부 버너(110)의 챔버(C1)로 공급하고, 화염의 리프팅을 방지하도록 상부 버너(110)와 하부 버너(130) 사이의 제1 통로(S1)로 2차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버너(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머링(simmering) 용으로 사용한다. 하부 버너(130)는 상부 버너(110)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개방된 헤드(131)와, 헤드(131)의 상부를 폐쇄하는 캡(133)을 포함하 수 있다.
하부 버너(130)의 헤드(131)는 중앙에 오리피스 홀더(150)의 차단부재(159)가 통과하는 관통구멍(135)이 형성된다. 이 경우, 관통구멍(135)은 오리피스 홀더(150)의 차단부재(159)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관통구멍(135)의 내주면은 오리피스 홀더(150)의 차단부재(159)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제3 통로(S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버너(130)의 헤드(131)는 하측의 일부가 지지 플레이트(101) 및 오리피스 홀더(150)의 플랜지부(150a)와 이격되어 제4 통로(S4)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통로(S3)는 일측이 제1 통로(S1)와 연통되고, 타측이 제4 통로(S4)와 연통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의 국물(soup) 배출유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제3 및 제4 통로(S1,S3,S4)는 국물 배출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국물 배출유로는 조리 용기(9)에서 끓어 넘친 국물이 지지 플레이트(101) 하측 또는 오리피스 홀더(15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차단하여 조리기기(10)의 오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국물 배출유로는 상부 버너(110)의 주변부로 2차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른 2차 공기 공급유로가 될 수 있다. 즉, 하부 버너(130)의 주변의 공기는 제4 통로(S4), 제3 통로(S3) 및 제1 통로(S1)를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부 버너(110) 주변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통로(S2) 및 제1 통로(S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공급되는 2차 공기의 양이 상기 국물 배출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2차 공기의 양보다 더 많다. 따라서 상부 버너(110)의 주변부로 공급되는 2차 공기는 대부분 제1 및 제2 통로(S1,S2)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버너(130)의 헤드(131)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혼합가스 공급관(131a)을 구비한다. 혼합가스 공급관(131a)은 오리피스 홀더(150)의 가이드관(158) 내측에 가이드관(158)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삽입된다. 혼합가스 공급관(131a)은 내부에서 오리피스 홀더(150)의 노즐(157)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와 1차 공기가 혼합된다. 혼합가스 공급관(131a)은 혼합가스 공급관(131a) 내부로 빠른 속도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혼합가스 공급관(131a)의 내부에 부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혼합가스 공급관(131a)의 하단부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는 혼합가스 공급관(131a)으로 빨려 들어가 가스와 혼합되는 1차 공기로 사용될 수 있다.
하부 버너(130)의 챔버(C2)는 하부 버너(110)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132)을 통해 화염(F2)을 지속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혼합가스가 저장된다
또한, 하부 버너(130)는 하부 버너(130)의 염공 면적은 상부 버너(110)의 염공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이는 하부 버너(130)의 출력을 상부 버너(110)의 출력보다 작게함으로써 시머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하부 버너(130)의 복수의 염공(135,137) 중 일부(135)는 화염을 분사하기 위한 주 염공이며, 나머지(137)는 상부 버너(110)로 화염을 옮기기 위한 보조 염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주 염공(135)은 상부 버너(110)의 복수의 염공 중 어느 하나의 염공(1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하에서, 하부 버너(130)의 화염(F2)은 상부 버너(110)의 화염(F1)과 접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버너(110)의 화염(F1)이 리프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염공(137)은 주 염공(135)에 비해 염공 면적을 좁게 형성하여, 보조 염공(137)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이 불 옮김(flame carryover)만 가능한 정도의 소형 화염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오리피스 홀더(150)는 복수의 체결나사(160)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101)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랜지부(15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 홀더(150)는 소정의 연결튜브(미도시)를 통해 가스 공급원(미도시)과 각각 연결되는 제1 가스 공급관(151) 및 제2 가스 공급관(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스 공급관(151)은 연결부재(152)를 통해 플랜지부(150a)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가스 공급관(151)은 상부 버너(110)의 혼합가스 공급관(111a)의 하측 개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노즐 지지부(154)를 구비한다. 노즐 지지부(154)에는 가스를 상부 버너(110)의 혼합가스 공급관(111a)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154)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노즐(154)이 상부 버너(110)의 혼합가스 공급관(111a) 내부로 분사하는 경우, 벤츄리 효과에 의해 상부 버너(110)의 혼합가스 공급관(111a)의 하단부 주변의 공기(2차 공기로 사용됨)가 상부 버너(110)의 혼합가스 공급관(111a)으로 빨려들어 가 상부 버너(110)의 혼합가스 공급관(111a) 내부에서 가스와 혼합된다.
제2 가스 공급관(155)은 하부 버너(130)의 혼합가스 공급관(131a)의 하측 개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노즐 지지부(156)를 구비한다. 노즐 지지부(156)에는 가스를 하부 버너(130)의 혼합가스 공급관(131a)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157)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가스 공급관(155)에는 하부 버너(130)의 혼합가스 공급관(131a)과 노즐 지지부(156)를 동시에 감싸는 가이드관(158)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스 공급관(155)은 가이드관(158)을 통해 플랜지부(158a)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노즐(157)이 하부 버너(130)의 혼합가스 공급관(131a) 내부로 분사하는 경우, 벤츄리 효과에 의해 하부 버너(130)의 혼합가스 공급관(131a)의 하단부 주변의 공기(2차 공기로 사용됨)가 하부 버너(130)의 혼합가스 공급관(131a)으로 빨려 들어 가 하부 버너(130)의 혼합가스 공급관(131a) 내부에서 가스와 혼합된다.
오리피스 홀더(150)는 중앙에 상부 버너(110)의 혼합가스 공급관(111a)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50b)을 형성한다. 이 경우 오리피스 홀더(150)의 관통구멍(150b)은 상부 버너(110)를 향해 소정 높이를 가지는 통 형상의 차단부재(159)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159)는 상단이 대략 하부 버너(130)의 캡(133)의 상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올 수 있다. 이는 제2 통로(S2)를 통해 공급되는 2차 공기가 차단부재(159)의 상단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제1 통로(S1)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오리피스 홀더(150)의 차단부재(159)는 내주면이 상부 버너(110)의 혼합가스 공급관(111a)의 외주면과 이격됨에 따라 제2 통로(S2)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부재(159)는 제2 및 제3 통로(S2,S3)를 구획하는 동시에, 제2 및 제3 통로(S2,S3)를 이루는 구성에 해당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 홀더(150)가 차단부재(159)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차단부재(159)는 지지 플레이트(101)의 관통구멍(103)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부재(159)는 하단이 지지 플레이트(101)의 관통구멍(103)의 주변에 연장되고 상부 버너(110)를 향해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101)의 관통구멍(103)은 도 3에 도시된 차단부재(159)가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직경이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리피스 홀더(150)는 지지 플레이트(10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 경우 오리피스 홀더(150)의 플랜지부(150a)가 지지 플레이트(101)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가스버너장치(100)는 상부 버너(110)의 외곽이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버너(130)의 외곽 역시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부 버너(110)의 외곽의 직경은 하부 버너(130)의 외곽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통로(S1)로 배출되는 2차 공기가 하부 버너(130)의 염공(135,137)으로 공급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대부분의 2차 공기를 상부 버너(110)의 복수의 염공(112)으로 공급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다른 예에 따른 가스버너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된 가스버너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된 가스버너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하부 버너의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100')의 구성은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와 대부분 동일하다. 이에 따라 가스버너장치(100')의 구성 중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스버너장치(100')는 상부 버너(110')가 대략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버너(130)는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버너(110')는 그 외곽이 하부 버너(130)의 외곽 일부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버너(110')와 하부 버너(130)는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의 제1 및 제2 버너(110,130)와 달리 서로 이격되지 않는 상태로 적층된다. 이와 같이 상부 버너(110')와 하부 버너(130)가 서로 이격되지 않는 경우에도 2차 공기를 오리피스 홀더(150) 하측으로부터 제2 버너(130)의 내부를 거쳐 상부 버너(110')의 요입부(G)에 형성된 염공(112')으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가스버너장치(100')의 상부 버너(110')는 4군데의 요입부(G)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요입부(G)는 상부 버너(110')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조리 용기(9)의 저면의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하여 조리 용기(9)의 콜드 스팟(cold spot)을 줄이고 핫 스팟(hot spot)을 늘려 보일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부 버너(110')는 전술한 상부 버너(110, 도 3a 참조)와 마찬가지로 헤드(111')와 캡(113')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버너(110')의 주변을 따라 복수의 염공(1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111')는 염공(112') 간의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이격블록(1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염공(112') 중 일부는 상부 버너(110')의 요입부(G)의 주변에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통로(S1)로부터 배출되는 2차 공기가 요입부(G)의 주변에 형성된 염공(112') 측으로 충분히 공급되므로, 요입부(G)의 주변 염공(112')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은 요입부(G) 외에 형성된 염공(112')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과 동일한 정도의 크기로 양호하게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제1 통로(S1)로 공급되는 2차 공기는 지지 플레이트(101)의 하부 또는 오리피스 홀더(150) 하부로부터 공급된다.
상부 버너(110')의 요입부(G)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하부 버너(130)의 복수의 염공(135,137) 중 불 옮김을 목적으로 하는 보조 염공(137)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 버너(130)의 보조 염공(137)에서 분사되는 화염이 제1 통로(S1)를 통해 요입부(G)로 공급되는 2차 공기와 접촉되는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요입부(G)에 형성된 염공(112')에서 분사되는 화염은 2차 공기와 충분히 접촉하여 화염 뭉침이 방지되고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버너(110')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요입부(G) 외에 형성된 염공(112')으로 제공되는 2차 공기는 상부 버너(110')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이다. 마찬가지로 하부 버너(130)의 염공(135)으로 제공되는 2차 공기 역시 하부 버너(130)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이다.
상부 커버(110')의 외곽은 도 8과 같이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비원형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비원형의 상부 버너는 하부 버너의 외곽을 벗어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요입부를 가짐으로써, 상부 커버(110')에서 분사하는 화염이 조리 용기(9) 바닥의 중앙에 인접한 측으로 배치하여 조리 용기(9)의 콜드 스팟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일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8에서 미설명 부호 150c는 하부 버너(130)에 공급된 혼합가스에 스파크를 발생시켜 화염을 형성하기 위한 점화플러그(미도시)가 장착되는 장착홈이다. 이러한 점화플러그 및 장착홈은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와, 후술하는 가스버너장치(100'')에도 각각 동일하게 구비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상부 버너(110')에 형성된 복수의 염공 배열을 설명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의 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부 버너(110') 역시 전술한 상부 버너(110, 도 5)와 마찬가지로 상부 버너(110')의 크기는 최소화하면서 고출력을 구현하기 위해 염공(112') 간의 간격을 늘일 수 있도록, 인접한 한 쌍의 염공(112') 사이에 이격블록(115')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 버너(130)의 캡(133')은 국물을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주변부(134')가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경우 경사 각도(β)는 5도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변부(134')의 경사 각도(β)가 5도 미만인 경우 국물의 배출 흐름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버너(130)의 캡(133')은 조리 용기(9, 도 3a 참조)로부터 넘치는 국물이 하부 버너(130)의 캡(133')에 떨어진 경우 경사 각도(β)를 이용하여 하부 버너(130)의 헤드(131)로 빠르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고, 헤드(131)로 유입된 국물은 헤드(131) 내부에서 증발하게 된다. 국물의 증발에 따라 발생하는 수증기는 제1 통로(S1)와 격리된 상태이므로 제1 통로(S1)를 통해 상부 버너(110')의 염공(112')으로 공급되는 2차 공기를 차단하여 화염이 꺼지게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버너(210) 및 하부 버너(23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택 타입 가스버너장치(200)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2의 미설명부호 212는 상부 버너(210)의 염공이며, 235는 하부 버너(230)의 염공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또 다른 예에 따른 가스버너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된 가스버너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가스버너장치(100'')는 전술한 스택 타입의 가스버너장치(100,100')와 달리 싱글 타입이다. 즉, 가스버너장치(100'')는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100')의 하부 버너에 해당하는 버너를 구비하지 않고, 상부 버너에 해당하는 버너(110'')만 구비한다. 즉, 가스버너장치(100'')는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에서 하부 버너(130')를 생략하고, 상부 버너(110') 및 오리피스 홀더(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스버너장치(100'')는 대부분의 구성이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버너(110'')는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의 상부 버너(110')와 같이 외곽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성 또한 전술한 가스버너장치(100')의 상부 버너(110')와 버너(110'')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버너(110'')는 헤드(111'')와 헤드(111'')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캡(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111'')는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이격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버너(110'')의 요입부(G)에는 적어도 하나의 염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요입부(G)에 형성된 염공(112'')에서 분사되는 화염은 버너(110'')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통로(S1)를 통해 공급되는 2차 공기와 충분히 접촉함으로써 완전 연소될 수 있다. 이로써, 버너(110'')는 조리 용기(9)에 대하여 콜드 스팟을 줄이고 핫 스팟을 늘려 보일링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버너의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버너의 캡에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노즐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버너(110''')가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버너(110''')는 외곽을 따라 복수의 염공이 배치되며, 복수의 요입부(G'')에도 적어도 하나의 염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너(110''')는 중앙에 화염이 분사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19''')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구멍(119''')의 내주부를 따라 복수의 염공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버너(110''')가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101''')에는 버너(110''')의 형상을 고려한 복수의 2차 공기 공급용 구멍(H1,H2,H3,H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2차 공기 공급용 구멍(H1,H2,H3,H4)은 버너(110''')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와 같이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타원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2차 공기 공급용 구멍(H1,H2,H3,H4) 중 어느 하나의 구멍(H1)에는 버너(110''') 내부의 챔버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혼합가스 공급관(111a''')과 노즐(154''')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몸체
30: 그래이트(grate)
41-45: 복수의 조절밸브
50: 패널부(50)
70: 도어
100,100',100'': 가스버너장치
101: 지지 플레이트
110,110',110'',110''': 상부 버너
130,130': 하부 버너
150: 오리피스 홀더
S1-S4: 제1 내지 제4 통로

Claims (36)

1차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받아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1 버너;
상기 제1 버너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1차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받아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2 버너;
상기 제2 버너가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사이의 이격된 통로로 이어지는 2차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는,
상기 제1 버너의 하측과 상기 제2 버너의 상측 사이에 상기 제1 버너의 하측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통로;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하측으로부터 2차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와 연결되는 제2통로;를 포함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는 상기 제2 버너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혼합가스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은 내주면이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제2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버너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단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차단리브와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 사이의 통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버너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사이의 제1통로와, 상기 제2 버너의 내측과 상기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측 사이의 통로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버너 사이의 통로로 이루어지는 국물(soup)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너는 외곽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너는 외곽이 서로 비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는 외곽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버너의 외곽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는 외곽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버너는 외곽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의 외곽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에 적어도 하나의 염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 중 일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나머지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는 인접한 염공들 사이의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블록은 상기 제1 버너의 인접한 염공들 사이의 간격보다 1.2배~2.5배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상기 제1 버너를 이루는 헤드 및 상기 헤드를 덮는 캡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헤드는 제1 경사각을 가지는 제1 경사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제2 경사각을 가지는 제2 경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각은 수평면으로부터 30도 ~ 45도이고,
상기 제2 경사각은 수평면으로부터 35도 ~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너의 복수의 염공은 제2 버너의 화력을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 염공과, 제1 버너로 화염을 옮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염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너의 적어도 하나의 주 염공은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의 총 면적은 상기 제2 버너의 주 염공의 총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너로 각각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오리피스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 홀더는 상기 제1 버너의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측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버너의 혼합가스 공급관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차단부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차단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버너의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측면 사이의 통로는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1 버너;
상기 제1 버너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외주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2 버너;
상기 제2 버너가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2 버너 하측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너로 각각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오리피스 홀더; 및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사이에 형성된 통로로 이어지는 2차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는,
상기 제1 버너의 하측과 상기 제2 버너의 상측 사이에 상기 제1 버너의 하측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통로; 및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하측으로부터 2차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와 연결되는 제2통로;를 포함하는 가스버너장치.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홀더는 상기 제1 버너의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측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버너의 혼합가스 공급관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는 상기 차단부재의 외내면과 상기 제1 버너의 혼합가스 공급관의 외측면 사이의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1 버너;
상기 제1 버너 하측에 배치되며, 외주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염공을 통해 화염을 분사하는 제2 버너;
상기 제2 버너가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2 버너 하측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너로 각각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오리피스 홀더; 및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2 버너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버너의 외주부 측으로 이어지는 2차 공기 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공기 공급유로는,
상기 제1 버너의 하측과 상기 제2 버너의 상측 사이에 상기 제1 버너의 하측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통로; 및
상기 오리피스 홀더의 하측으로부터 2차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와 연결되는 제2통로;를 포함하는 가스버너장치.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너는 서로 외곽이 비일치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버너는 상기 제1 버너의 복수의 염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형성된 2차 공기 배출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너는 조리 용기로부터 넘치는 국물을 제2 버너 내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상측 주변부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너의 상측 주변부의 경사 각도는 5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장치.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청구항 1항 내지 29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스버너장치;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버너장치를 점화하고, 화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50143212A 2015-10-14 2015-10-14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395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212A KR102395217B1 (ko) 2015-10-14 2015-10-14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201680060183.3A CN108351102B (zh) 2015-10-14 2016-10-14 燃气燃烧器装置以及包括其的烹饪装置
PCT/KR2016/011519 WO2017065540A1 (en) 2015-10-14 2016-10-14 Gas burn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5/293,692 US10488051B2 (en) 2015-10-14 2016-10-14 Gas burn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6855757.7A EP3329183B1 (en) 2015-10-14 2016-10-14 Gas burn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2150738.7A EP4001756A1 (en) 2015-10-14 2016-10-14 Gas burn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212A KR102395217B1 (ko) 2015-10-14 2015-10-14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756A KR20170043756A (ko) 2017-04-24
KR102395217B1 true KR102395217B1 (ko) 2022-05-10

Family

ID=5851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212A KR102395217B1 (ko) 2015-10-14 2015-10-14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88051B2 (ko)
EP (2) EP3329183B1 (ko)
KR (1) KR102395217B1 (ko)
CN (1) CN108351102B (ko)
WO (1) WO20170655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0351B2 (en) * 2009-02-10 2020-06-23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pedestal burner
US9709281B2 (en) * 2014-03-31 2017-07-18 W.C. Bradley Co. High efficiency side burner and outdoor cooker
US10222069B2 (en) * 2016-07-19 2019-03-05 Whirlpool Corporation Sliding orifice holder for a gas powered cooktop
ES2702785A1 (es) * 2017-09-05 2019-03-05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cion de quemadores de gas y aparato de coccion domestico
US20190086078A1 (en) * 2017-09-18 2019-03-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burner assembly for a cooktop appliance
US10677469B2 (en) * 2017-10-19 2020-06-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Fuel supply system for a gas burner assembly
US10451289B2 (en) * 2017-10-19 2019-10-2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Fuel supply system for a gas burner assembly
US10739009B2 (en) * 2017-12-14 2020-08-11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heat from a burner
US10724735B2 (en) 2017-12-14 2020-07-28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heat from a burner
US10830451B2 (en) * 2018-04-10 2020-11-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Boosted gas burner assembl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00032997A1 (en) * 2018-07-25 2020-01-3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burner with a compact injet
CN111256140B (zh) * 2018-12-03 2023-10-2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燃气灶的燃烧器的火盖、炉头、燃烧器及燃气灶
JP7132111B2 (ja) * 2018-12-11 2022-09-06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並びにガスコンロ
JP7200044B2 (ja) * 2019-05-17 2023-01-06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
US11460190B2 (en) * 2019-07-29 2022-10-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burner assembly for a cooktop appliance
KR20210087184A (ko) * 2020-01-02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갖는 조리기기
US11209171B1 (en) 2020-06-30 2021-12-28 Midea Group Co., Ltd. Gas burner lighting via rotation
US11940148B2 (en) 2021-10-28 2024-03-2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ulti injection dual ring gas burner for domestic gas cooking units
KR20230111906A (ko) * 2022-01-19 202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버너 장치
KR20230130454A (ko) * 2022-03-03 202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버너 장치 및 이를 갖는 조리 기기
EP4261459A1 (en) * 2022-04-13 2023-10-1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Burner module for a cooking hob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1718A1 (en) * 2004-09-08 2006-03-09 Azfar Kamal Dual stacked gas burner and a venturi for improving burner operation
CN2791485Y (zh) * 2005-05-13 2006-06-28 台湾樱花股份有限公司 能使燃烧效率提升的瓦斯炉炉头
US20100326420A1 (en) * 2007-02-27 2010-12-30 Indesit Company S.P. A. Cooking to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8722A1 (de) 1989-05-13 1990-11-22 Oedoen Gyoergy Dipl I Kuzselka Gasbrenner mit konvergenter+divergenter flamme fuer haushaltsherde (-kocher) und aehnlichen anwendungen
ATE149662T1 (de) * 1990-11-12 1997-03-15 De Longhi Spa Brenner, insbesondere für gaskochervorrichtung, mit einer grossen betriebsflexibilität
CN2140028Y (zh) * 1992-09-10 1993-08-11 天津大学 集中火焰强化燃烧煤气燃烧器
ITRN20070012A1 (it) 2007-02-27 2008-08-28 Indesit Company Spa Piano cottura
EP2232150A4 (en) * 2007-12-14 2016-03-02 Lg Electronics Inc HEAD BURNER AND HEAD THEREFORE
EP2232148B1 (en) * 2007-12-17 2016-08-17 LG Electronics Inc.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8689779B2 (en) 2009-01-23 2014-04-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Gas burner
KR101623979B1 (ko) 2009-11-19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조리기기
US8845326B2 (en) * 2010-10-13 2014-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burner assembly
CN102692018B (zh) * 2011-03-22 2016-08-0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燃气灶
CN203010612U (zh) * 2012-12-27 2013-06-19 张祺生 一种聚能式燃烧器
KR102064800B1 (ko) 2013-05-23 2020-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US9677768B2 (en) * 2015-06-11 2017-06-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ulti-ring gas bur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1718A1 (en) * 2004-09-08 2006-03-09 Azfar Kamal Dual stacked gas burner and a venturi for improving burner operation
CN2791485Y (zh) * 2005-05-13 2006-06-28 台湾樱花股份有限公司 能使燃烧效率提升的瓦斯炉炉头
US20100326420A1 (en) * 2007-02-27 2010-12-30 Indesit Company S.P. A. Cooking t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9183A4 (en) 2018-09-19
US10488051B2 (en) 2019-11-26
CN108351102B (zh) 2020-10-13
KR20170043756A (ko) 2017-04-24
WO2017065540A1 (en) 2017-04-20
EP3329183A1 (en) 2018-06-06
EP4001756A1 (en) 2022-05-25
US20170108226A1 (en) 2017-04-20
EP3329183B1 (en) 2022-02-16
CN108351102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217B1 (ko)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P2232148B1 (en)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RU2498157C2 (ru) Система горелок бытовой газовой плиты
US8932049B2 (en)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8978637B2 (en) Top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9528708B2 (en)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5164594B2 (ja) 加熱調理器
KR100738697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159649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304847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10153105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98625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17442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19501B1 (ko) 곤로버너
JPH11264517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KR0124104Y1 (ko)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KR100829626B1 (ko) 가열조리기기
JP5107082B2 (ja) 加熱調理器
KR20120020774A (ko) 조리기기의 가열장치
JP5107083B2 (ja) 加熱調理器
TW202340651A (zh) 爐灶燃燒器及燃氣灶
KR20230111906A (ko) 버너 장치
KR101533847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530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