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906A - 버너 장치 - Google Patents

버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906A
KR20230111906A KR1020220007935A KR20220007935A KR20230111906A KR 20230111906 A KR20230111906 A KR 20230111906A KR 1020220007935 A KR1020220007935 A KR 1020220007935A KR 20220007935 A KR20220007935 A KR 20220007935A KR 20230111906 A KR20230111906 A KR 2023011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er
flame
gas
unit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권명근
김병규
칸카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906A/ko
Priority to PCT/KR2022/020347 priority patent/WO2023140513A1/ko
Priority to US18/106,658 priority patent/US20230228416A1/en
Publication of KR2023011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84Flame spreading or otherwise sha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 장치(100)는 버너(110), 상기 버너(110)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터(120) 및 상기 버너(110)의 주위에 위치되는 상기 가스가 연소되어 불꽃이 생성되는 화염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염부(130)는 상기 가스 버너 장치(100)가 설치되는 설치면(12)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1 화염부(131), 상기 설치면(12)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제3 화염부(133) 및 상기 제1 화염부(131) 및 상기 제3 화염부(13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화염부(131)의 불꽃을 상기 제3 화염부(133)로 전이시킬 수 있는 제2 화염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너 장치{BURNER DEVICE}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버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에는 생 조리, 그리고 열을 이용하는 조리가 있다. 조리 기기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이 가열되게 함으로써 상태를 변화시키기는 기기이다.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파(예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방식 또는 열원을 이용하여 직접 가열시키는 방식이 있다.
열원의 열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가스, 기름 및 석탄 등과 같은 연료를 이용할 수 있다.
가스 버너 장치는 가스를 연료로 하여 화염을 분사하고, 이 화염의 열을 통하여 음식을 조리한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1818822호는 공기 주입식 가스 버너를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머 화염을 메인 화염으로 용이하게 전이시킬 수 있는 버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염 리프팅을 방지하는 버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스가 용이하게 연소되어 메인 화염이 길어지지 않는 버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스가 용이하게 연소되어 역화 현상을 방지하는 버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 장치는 버너,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터 및 상기 버너의 주위에 위치되는 상기 가스가 연소되어 불꽃이 생성되는 화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염부는 상기 가스 버너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1 화염부,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제3 화염부 및 상기 제1 화염부 및 상기 제3 화염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화염부의 불꽃을 상기 제3 화염부로 전이시킬 수 있는 제2 화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 장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버너는 제1 스프레더 및 제2 스프레더가 상기 가스 버너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스택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프레더의 둘레를 따라 홀들이 두 개의 층으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레더의 둘레를 따라 홀들이 한 개의 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 장치는 버너,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의 일측에홀 위치하는 인젝터 및 상기 버너의 주위에 위치되는, 상기 가스가 연소되어 불꽃이 생성되는 화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버너는 커버, 제1 스프레더, 제2 스프레더 및 제3 스프레더가 상기 버너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스택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프레더는 제1 스프레더 몸체,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스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염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레더는 제2 스프레더 몸체,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1 스프레더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스프레더를 향하여 우묵하게 형성된, 제2 가스 수용 공간,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염공 및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염공보다 상기 설치면에 가깝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3 염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프레더는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과 상기 제2 스프레더의 내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스 분기 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스프레더는 제3 스프레더 몸체 및 상기 제3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2 스프레더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는 제3 가스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레더는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3 스프레더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프레더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과 구분되는,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염부는 상기 제1 스프레더에서 상기 제2 스프레더의 반대측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염공과 연통하는 제1 화염부, 상기 제2 스프레더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사이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염공과 연통하는 제2 화염부 및 상기 제3 스프레더 및 상기 제2 스프레더 사이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염공과 연통하는 제3 화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젝터는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 오리피스 및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은,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 또는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과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는 시머 화염을 메인 화염으로 용이하게 전이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는 화염 리프팅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너 장치는 가스가 용이하게 연소되어 메인 화염이 길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너 장치는 가스가 용이하게 연소되어 역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리 기기의 설치면에 설치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인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제1 스프레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제2 스프레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제3 스프레더와 벤츄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단면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I'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도 5에 표시된 단면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단면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II'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제1 스프레더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의 도 15에 표시된 단면선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중 "제1 방향"은 본원에 포함된 도면들에서 좌표축으로 표현된 +X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중 "제2 방향"은 본원에 포함된 도면들에서 좌표축으로 표현된 +Y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중 "제3 방향"은 본원에 포함된 도면들에서 좌표축으로 표현된 +Z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오븐(20), 쿡탑(10)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오븐(20) 및 쿡탑(10)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빌트-인(built-in) 또는 비 빌트-인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오븐(20)은 제1 방향을 향하여 마련되는 도어(21)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쿡탑(10)은 오븐(20)의 제3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쿡탑(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 버너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면(12) 및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조리 도구(미도시)를 지지할 수 있는 그레이트(grate)(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레이트(11)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레이트(11)는 버너 장치(100)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이 그레이트(11)가 지지하는 조리 도구(미도시)에 효과적으로 닿을 수 있도록 임의의 배열을 가진 선형 부재의 결합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그레이트(11)는 조리 도구(미도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조리 도구(미도시)를 적어도 3개의 지점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상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조리 도구(미도시)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레이트(11)의 선형 부재들의 배열 방식 또는 배열 간격은 다양한 크기의 조리 도구(미도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정될 수 있다.
패널(30)은 조리 기기(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30)에는 조리 기기(1)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게하는 조절부(예 : 조절 밸브(31))가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조리 기기(1)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3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30)에는 버너 장치(1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여 화염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31)가 배치될 수 있다. 조절 밸브(31)는 슬라이드형, 회전형 등의 다양한 조절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형의 조절 밸브(31)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조절 밸브(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버너 장치(100)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버너 장치(100)는 연료를 공급받아서 연소시킴으로써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 도구(미도시) 또는 조리 대상에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버너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너 장치(100)는 에어로졸 또는 분무 형태의 액체 연료, 또는 기체 연료(예 : LNG, LPG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버너 장치(100)에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하 설명될 내용은 다른 종류의 연료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조리 기기(1)의 설치면(12)에 설치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그레이트(11)와 설치면(12)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는 버너(110), 버너(110)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인젝터(120), 인젝터(120)로부터 공급받은 가스가 연소되어 불꽃이 생성되는 화염부(130) 및 인젝터(120)가 분사하는 가스와 주변의 공기를 버너(110) 내부로 공급하는 통로인 벤츄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버너 장치(100)의 일부만이 설치면(12)의 제3 방향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벤츄리(140)와 인젝터(120)는 조리 기기(예 : 도 1의 조리 기기(1))의 외부에서 관찰할 수 없다.
도 4를 참조하면, 버너 장치(100)의 버너(110) 및 화염부(130)가 설치면(12)의 제3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버너(110)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너(110)는 커버(114), 제1 스프레더(111), 제2 스프레더(112) 및 제3 스프레더(113)가 상기 설치면(12)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스택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염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버너(110) 주위에 위치하는 제1 화염부(131), 제2 화염부(132) 및 제3 화염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염부(131)는 제2 화염부(132) 및 제3 화염부(133)에 비하여 설치면(12)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할 수 있고, 제3 화염부(133)는 제1 화염부(131) 및 제2 화염부(132)에 비하여 설치면(12)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2 화염부(132)는 제1 화염부(131)와 제3 화염부(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염부(131)는 제1 스프레더(111)의 주위에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스프레더(112)의 반대측 주위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염부(132)는 제2 스프레더(112) 및 제1 스프레더(111) 사이의 주위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화염부(133)는 제3 스프레더(113) 및 제2 스프레더(112) 사이의 주위로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염부(130)는 버너(110)에서 분사되는 화염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화염부(130)는 버너(110)에 공급되는 가스 또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또한 시간에 따라서 형상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화염부(130)는 이러한 달라질 수 있는 모든 화염부(130)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염부(131), 제2 화염부(132) 및 제3 화염부(133)는 버너(110)에 공급되는 가스 또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서로 분리되거나 합쳐질 수 있다. 제1 화염부(131), 제2 화염부(132) 및 제3 화염부(133)는 하나의 화염부(130) 내에서 버너(110)와 관련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이고 불꽃이 명확하게 분리되거나 형상이 지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이하 도면들에서 동일하다.
후술하겠지만, 버너 장치(100)에 가스가 공급되고 연소가 시작되면 제3 화염부(133)에는 지속적으로 연료가 공급되어 불꽃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를 시머(simmer) 화염이라고 할 수 있다. 조절 밸브(예 : 도 1의 조절 밸브(31))를 조절하면 제2 화염부(132) 및 제1 화염부(131)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화염부(131)에는 가스의 양의 공급에 따라 형성되는 화염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염부(131)를 메인 화염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화염부(132)에 형성되는 불꽃은 제3 화염부(133)에 형성되는 불꽃을 제1 화염부(131)로 전이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보조 화염(pilot flame)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상세 원리, 기능 및 장점은 이후 후술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인젝터(120)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5를 함께 참조하면, 인젝터(120)는 버너(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젝터(120)는 외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인렛(123), 인젝터(120)의 제3 방향에 배치될 수 있는 버너(예 : 도 4의 버너(110))를 지지할 수 있는 버너 받침대(124), 메인 벤츄리(예 : 도 12의 메인 벤츄리(141))를 통해 메인 화염(예 : 도 4의 제1 화염부(131))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제1 오리피스(121) 및 시머 벤츄리(예 : 도 10의 시머 벤츄리(142))를 통해 시머 화염(예 : 도 4의 제3 화염부(133))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제2 오리피스(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123)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복수 개일 경우 각각의 인렛(123)은 제1 오리피스(121) 및 제2 오리피스(122)에 각각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인렛(123)은 메인 화염 및 시머 화염에 각각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이들의 가스 주입량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버너 받침대(124)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리피스(121)와 제2 오리피스(122) 사이에서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인젝터(120)의 둘레에서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리피스(121) 및 제2 오리피스(122)의 위치는 인젝터(120) 상에서 다양할 수 있고, 그 개수도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리피스(122)는 인젝터(12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오리피스(121)는 제2 오리피스(122) 주위에 위치할 수 있고, 그 반대일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제1 스프레더(111)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5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스프레더(111)는 제1 스프레더 몸체(1111),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염공(1113), 커버(114)를 지지하는 커버 받침대(1116), 제2 스프레더(112) 및 제3 스프레더(113)와 결합하여 스택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하는 볼트 결합을 위한 볼트 안착면(1117) 및 메인 벤츄리(141)를 통하여 제1 오리피스(121)가 분사하는 가스를 공급받기 위한 통로인 제1 스프레더 벤츄리 홀(1115) 및 제2 스프레더(112)의 가스 공간으로 가스를 보낼 수 있는 가스 분기 홀(1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일 수 있다. 또한 제1 스프레더 몸체(1111)는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이 개방된 일측은 커버(114)에 의하여 덮힐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은 외부와 구분될 수 있다. 커버(114)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제1 스프레더(111)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커버(114)를 들어내고 제1 스프레더(111)의 내부에 접근하여 버너 장치(100)를 분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스프레더 몸체(1111)는 일측이 개방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은 공급받은 가스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에 있는 가스는 제1 염공(1113)을 통하여 버너(110)의 외부로 분사되어 제1 화염부(131)에서 연소될 수 있다.
제1 염공(1113)은 다양한 형태와 간격으로, 제1 스프레더 몸체(11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염공(1113)은 버너(110)가 발생시키는 화염 중 가장 큰 화염인 메인 화염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다른 스프레더의 염공(예 : 도 8의 제2 염공(1123)) 보다 단면적이 크거나 길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레더 벤츄리 홀(1115)은 메인 벤츄리(141)와 연결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9를 참조하면 제3 스프레더(11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메인 벤츄리(141)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메인 벤츄리(141)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스프레더(113)를 관통하여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부분은 제1 스프레더 벤츄리 홀(1115)을 관통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가스 분기 홀(1114)은 제1 스프레더 몸체(11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서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과 제2 스프레더(112)의 가스 수용 공간(예 : 도 8의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을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분기 홀(1114)은 제2 스프레더(112)의 가스 수용 공간(예 : 도 8의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에 전체적으로 가스가 퍼지게할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스프레더(1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제2 스프레더(112)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와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제2 스프레더(112)는 제2 스프레더 몸체(1121),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염공(1123), 제1 스프레더(111)와 제3 스프레더(113)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볼트 관통 홀(1127), 메인 벤츄리(141)가 관통할 수 있는 제2 스프레더 벤츄리 홀(1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프레더(112)가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구성들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형상은 제1 스프레더(111)와 마찬가지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프레더 몸체(1121)는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이 개방된 일측은 제1 스프레더(111)에 의하여 덮힐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은 외부와 구분될 수 있다.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에는 제1 가스 수용 공간(예 : 도 7의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에 수용된 가스가 가스 분기 홀(예 : 도 7 의 가스 분기 홀(1114))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은 제1 가스 수용 공간(예 : 도 7의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과 연통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은 제3 스프레더(113)의 가스 수용 공간과는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염공(1123)은 다양한 형태와 간격으로, 제2 스프레더 몸체(11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염공(1123)을 통하여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과 제2 화염부(132)는 연통할 수 있고,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의 가스는 제2 염공(1123)을 통하여 분사되어 제2 화염부(132)에서 연소될 수 있다.
제2 스프레더 벤츄리 홀(1125)은 메인 벤츄리(141)가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레더 벤츄리 홀(예 : 도 7의 제1 스프레더 벤츄리 홀(1115))의 경우와는 달리, 메인 벤츄리(141)는 제2 스프레더(112)로 분기되지 않을 수 있고, 메인 벤츄리(141)를 통과하는 가스는 제1 가스 수용 공간(예 : 도 7의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으로만 직접 공급될 수 있고,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은 제1 가스 수용 공간(예 : 도 7의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 및 가스 분기 홀(예 : 도 7의 가스 분기 홀(1114))을 통하여서만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제3 스프레더(113)와 벤츄리(140)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도9를 참조하면, 제3 스프레더(113)는 제3 스프레더 몸체(1131),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 볼트 결합구(1133), 인젝터 연결부(1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프레더 몸체(1131)의 형상은 제1 스프레더(111) 및 제2 스프레더(112)와 마찬가지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스프레더 몸체(1131)는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이 개방된 일측은 제2 스프레더(112)에 의하여 덮힐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은 외부와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은 제1 가스 수용 공간(예 : 도 7의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 및 제2 가스 수용 공간(예 : 도 8의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과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벤츄리(140)는 제3 스프레더 몸체(11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벤츄리(141)는 제3 스프레더 몸체(1131)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고, 시머 벤츄리(142)는 제3 스프레더 몸체(113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제3 스프레더 몸체(113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은 시머 벤츄리(142)를 통하여 제2 오리피스(122)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볼트 결합구(1133)에는 제1 스프레더(111) 및 제2 스프레더(112)를 관통할 수 있는 볼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어서, 제1 스프레더(111), 제2 스프레더(112) 및 제3 스프레더(113)를 포함하는 버너(110)가 조립될 수 있다.
인젝터 연결부(1134)에는 버너 받침대(예 : 도 6의 버너 받침대(124))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단면선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I'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면선 A-A가 관통하는 지점이 도시되어 있고 이는 도 11에 도시된 제3 염공(1124)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3 염공(1124)을 통해 배출된 가스가 제3 화염부(133)에서 시머 화염으로써 연소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스프레더(112)는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제3 스프레더(113)를 향한 면으로부터 제1 스프레더(111)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는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염공(11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은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과 연통하고, 제3 염공(1124)과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은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과 구분되어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염공(1124)은 제2 염공(1123) 보다 제3 스프레더(113)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2 염공(1123)은 제3 염공(1124)보다 제1 스프레더(11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염공(1124)은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과 연통하지 않을 수 있고, 제3 화염부(133)와 연통할 수 있다.
한편, 제3 염공(1124)은 제2 스프레더(112)의 몸체가 아닌 제3 스프레더(113)의 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3 염공(1124)은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 및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과 연통하여 가스를 제3 화염부(133)로 배출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가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점선과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2점 쇄선이 도시된다. 이하 다른 도면에서도 점선은 가스의 흐름을 나타내고 2점 쇄선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가스는 인렛(123)을 지나 제2 오리피스(122)를 통하여 분사된다. 가스는 제2 오리피스(122)를 통하여 시머 벤츄리(142)로 강하게 분사될 수 있고, 이 분사력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가 가스와 함께 시머 벤츄리(142)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머 벤츄리(142)와 제2 오리피스(1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가스와 함께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1차 공기라고 하고, 이는 가스와 함께 혼합되어 가스의 연소를 도울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시머 벤츄리(142)로 유입된 가스가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으로 진입되고,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이 제2 스프레더(112)에 포함되는 경우에 가스는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을 지나서 제3 염공(1124)을 통해 제3 화염부(133)로 분사된다.
제3 염공(1124)에서 분사된 가스는 스파크 발생기(미도시)를 통해 연소되기 시작하고, 밸브(예 : 도 1의 조절 밸브(31))를 조절하여 가스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는 이상 상기 밸브의 조절 정도와 무관하게 일정한 양의 가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서, 제3 화염부(133)의 불꽃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크기로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 제3 염공(1124) 및 제3 화염부(133)는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 제1 화염부(131) 및 제2 화염부(132)와 버너(110) 내부를 통하여 연통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으로 공급된 가스는 제3 염공(1124)을 통하여서만 버너(110) 외부로 배출되고 제3 화염부(133)에서 연소된다.
예를 들어, 제3 화염부(133)는 제1 화염부(131) 및 제2 화염부(132)로 배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시머 화염일 수 있기 때문에, 제3 화염부(133)의 불꽃의 크기는 밸브(예 : 조절 밸브(31))에 의하여 조절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3 화염부(133)에서 연소되는 불꽃은 제3 화염부(133) 주위의 공기를 추가적으로 공급받아서 연소될 수 있고, 이를 2차 공기라고 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도 5에 표시된 단면선 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단면선 C-C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의 'II'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벤츄리(141)를 지나도록 표현된 단면선 B-B가 나타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인렛(123)으로 주입된 가스가 제1 오리피스(121)를 통하여 분사되어서 공기와 함께 메인 벤츄리(14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1차 공기에 대한 내용은 여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가스는 메인 벤츄리(141)를 지나서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염공(1123)을 지나도록 표현된 단면선 C-C가 나타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의 가스는 제1 염공(1113)을 통해 제1 화염부(131)로 분사될 수 있고, 또한 가스 분기 홀(1114)을 지나서 제2 염공(1123)을 통해 제2 화염부(132)로 분사될 수 있다. 제1 오리피스(121)로부터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으로 공급된 가스는 제1 화염부(131) 및 제2 화염부(132)로 분사됨으로써 연소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염공(1123)보다 제3 스프레더(113)에 더 가깝도록 제2 스프레더 몸체(1121) 상에서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염공(1123)의 관통 형성 방향을 연장하는 선을 기준으로, 제3 스프레더(113)에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분기 홀(1114)이 제1 스프레더(111)의 둘레의 전체를 따라 형성되지 않을 때(도 7 참조)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에는 가스 분기 홀(1114)에 가까운 부분에만 우선적으로 가스가 공급될 수 있어서, 가스가 제2 염공(1123)으로 배출되기 전에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에 고르게 퍼지게 할 수 있도록 제2 염공(1123) 보다 낮게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예를 들어,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을 우묵하게 하지 않고 제2 염공(1123)의 크기 및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에 가스가 고르게 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작 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은 제2 염공(1123)의 위치와 무관하게 제작될 수 있다.
제1 화염부(131) 및 제2 화염부(132)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과정은 제3 화염부(133)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방식(예 : 스파크를 이용한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염부(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화염부(133)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어서, 이미 제3 화염부(133)에서 연소되어 생성되는 시머 화염에 의하여 제2 화염부(132)로 분사되는 가스가 연소됨으로써 제2 화염부(132)에 불꽃이 생성될 수 있다. 이후 제2 화염부(132)에 생성된 불꽃은 제2 화염부(132)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화염부(131)로 분사되는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제1 화염부(131)에 불꽃을 생성시켜 메인 화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염부(132)의 불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머 화염을 메인 화염으로 전이시키는 보조 화염일 수 있다.
한편,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으로 전달되는 가스가 제1 염공(1113)과 제2 염공(1123)을 통해 제1 화염부(131) 및 제2 화염부(132)로 각각 분사되는 양은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염부(132)로 분사되는 가스의 양은 제1 화염부(131)로 분사되는 가스의 양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염부(132)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은 제1 화염부(131)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의 10%이하일 수 있다.
한편, 제3 방향에 따른 제1 염공(1113)과 제2 염공(1123) 사이의 거리 및 제2 염공(1123) 및 제3 염공(1124) 사이의 거리의 비율은 다양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제2 화염부(132)를 포함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 버너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양의 가스를 분사시킴으로써 시머 화염을 생성시키고, 가스의 양이 조절되는 부분을 시머 화염에 노출시킴으로써 메인 화염을 생성시킨다. 시머 화염을 메인 화염으로 효과적으로 전이시키기 위해서는 시머 화염과 메인 화염이 가까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시머 화염과 메인 화염이 너무 가까운 경우에는 시머 화염과 메인 화염의 불꽃이 합쳐지면서 화염의 장벽을 형성하게 되고 불꽃 주위의 2차 공기가 불꽃의 안쪽까지 쉽게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분사되는 가스가 잘 연소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불꽃이 길어져서 조리 도구(미도시)와 불필요하게 접촉할 수 있고, 연소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불꽃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메인 화염 쪽으로 분사되는 가스가 제대로 연소되지 않기 때문에, 미처 연소되지 못한 가스가 화염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염공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생성되는 화염 불안정 현상인 화염 리프팅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반대로 시머 화염과 메인 화염이 너무 먼 경우에는 화염의 전이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분사되는 가스가 제대로 연소되지 않을 수 있어서 화염 리프팅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역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한편, 큰 출력을 내기 위해서 커다란 버너 장치가 필요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시머 화염과 메인 화염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가장 약한 정도의 불을 공급하기 위해서 최대한 작은 불꽃을 가지는 시머 화염이 요구될 수 있다.
종합하면, 설계상의 이유(예 : 큰 버너, 화염 뭉침 방지, 리프팅 방지 등)로 시머 화염과 메인 화염의 거리가 먼 경우에, 시머 화염과 메인 화염 사이에 보조 화염을 위치시킴으로써 작은 시머 화염으로도 메인 화염에 불꽃이 생성되게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는 제1 화염부(131) 및 제3 화염부(133) 외에 그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화염부(13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3 화염부(133)에 생성되는 불꽃을 제2 화염부(132)가 보조함으로써 제1 화염부(131)로 쉽게 전이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에는 화염 리프팅, 역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는 대형으로 설계될 수 있고, 최소한의 시머 화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200)의 측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100)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하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200)의 버너(210)는, 버너 장치(200)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제1 스프레더(211) 및 제2 스프레더(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200)의 제1 스프레더(211)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 장치(200)의 도 15에 표시된 단면선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스프레더(211)는 제1 스프레더 몸체(2111), 제1 스프레더 몸체(2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스 수용 공간(2112), 제1 스프레더 몸체(211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두개의 층의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레더(211)는 제1 스프레더 몸체(211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염공(2113) 및 제1 스프레더 몸체(211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동시에 제1 염공(2113)보다 제2 스프레더(212)에 가깝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염공(21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염공(2113) 및 제2 염공(2114)은 제1 스프레더 몸체(21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가스 수용 공간(2112)을 통해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가스 수용 공간(2112)으로 공급된 가스는 제1 염공(2113) 및 제2 염공(2114)으로 배출되어 연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염공(2114)으로 분사되는 가스는 시머 화염이 전이되어 연소되고, 제2 염공(2114) 주위에서 연소되는 불꽃은 제1 염공(2113)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메인 화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염공(2113)의 관통 형성되는 방향에 따른 단면적은 제2 염공(2114)의 관통 형성되는 방향에 따른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 장치(100)는 버너(110), 상기 버너(110)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터(120) 및 상기 버너(110)의 주위에 위치되는 상기 가스가 연소되어 불꽃이 생성되는 화염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염부(130)는 상기 가스 버너 장치(100)가 설치되는 설치면(12)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1 화염부(131), 상기 설치면(12)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제3 화염부(133) 및 상기 제1 화염부(131) 및 상기 제3 화염부(13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화염부(131)의 불꽃을 상기 제3 화염부(133)로 전이시킬 수 있는 제2 화염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염부(131) 및 상기 제2 화염부(132)는, 연통할 수 있고, 상기 제3 화염부(133)는, 상기 제1 화염부(131) 및 상기 제2 화염부(132)와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120)는 상기 제1 화염부(131)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 오리피스(121) 및 상기 제3 화염부(133)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 오리피스(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너(110)는 제1 스프레더(111), 제2 스프레더(112) 및 제3 스프레더(113)가 상기 설치면(12)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스택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스프레더(113) 및 상기 제2 스프레더(112) 사이의 주위로 제3 화염부(133)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레더(112) 및 상기 제1 스프레더(111) 사이의 주위로 제2 화염부(132)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프레더(111)에서 상기 제2 스프레더(112)의 반대측 주위로 제1 화염부(131)가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너(110)는 상기 제1 스프레더(111)를 상기 제1 스프레더(111)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스프레더(112)의 반대편에서 커버(114)하도록 적층되는 커버(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더(111)는 제1 스프레더 몸체(1111),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염공(11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염공(1113)은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에 관통 형성되어서,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 및 상기 제1 화염부(131)는 상기 제1 염공(1113)을 통해 연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레더(112)는 제2 스프레더 몸체(1121),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상기 제1 스프레더(111)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스프레더(113)를 향하여 우묵하게 형성된,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 및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염공(112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염공(1123)은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 및 상기 제2 화염부(132)는 상기 제2 염공(1123)을 통해 연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더(111)는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과 상기 제2 스프레더(112)의 내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스 분기 홀(1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기 홀(1114)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스프레더(1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염공(1123)의 관통 형성 방향을 연장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스프레더(113)에 더 가깝도록,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 상에서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레더(112)는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 상에서, 상기 제2 염공(1123)보다 상기 제3 스프레더(113)에 가깝게,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염공(112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염공(1124)은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과 연통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3 염공(1124)은 상기 제3 화염부(133)와 연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프레더(113)는 상기 제3 스프레더(1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염공(112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염공(1124)은 상기 제3 화염부(133)와 연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프레더(113)는 제3 스프레더 몸체(1131) 및 상기 제3 스프레더 몸체(1131)의 상기 제2 스프레더(112)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설치면(12)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는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레더(112)는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상기 제3 스프레더(113)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프레더(111)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과 구분되는,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은 상기 제3 염공(1124)과 연통할 수 있고, 상기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은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과 연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프레더(113)는 제3 스프레더 몸체(1131) 및 상기 제3 스프레더 몸체(1131)의 상기 제2 스프레더(112)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설치면(12)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는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은 상기 제3 염공(1124)과 연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염부(132)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은, 상기 제1 화염부(131)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의 10%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 장치(200)는, 버너(210) 및 상기 버너(210)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2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터(2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버너(210)는 제1 스프레더(211) 및 제2 스프레더(212)가 상기 가스 버너 장치(200)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스택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프레더(211)의 둘레를 따라 홀들이 두 개의 층으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레더(212)의 둘레를 따라 홀들이 한 개의 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더(211)는 제1 스프레더 몸체(1111),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스 수용 공간(2112),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염공(2113)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염공(2113)보다 상기 제2 스프레더(212)에 가깝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염공(211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염공(2113) 및 상기 제2 염공(2114)은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2112)과 연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염공(2113)의 관통 형성되는 방향에 따른 단면적은, 상기 제2 염공(2114)의 관통 형성되는 방향에 따른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염공(2114)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은 상기 제1 염공(2113)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의 10% 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 장치(100)는 버너(110), 상기 버너(110)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터(120) 및 상기 버너(110)의 주위에 위치되는, 상기 가스가 연소되어 불꽃이 생성되는 화염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버너(110)는 커버(114), 제1 스프레더(111), 제2 스프레더(112) 및 제3 스프레더(113)가 상기 버너(110)가 설치되는 설치면(12)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스택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프레더(111)는 제1 스프레더 몸체(1111),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염공(11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레더(112)는 제2 스프레더 몸체(1121),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상기 제1 스프레더(111)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스프레더(113)를 향하여 우묵하게 형성된,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염공(1123) 및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염공(1123)보다 상기 설치면(12)에 가깝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3 염공(112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프레더(111)는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과 상기 제2 스프레더(112)의 내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1111)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스 분기 홀(111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스프레더(113)는 제3 스프레더 몸체(1131) 및 상기 제3 스프레더 몸체(1131)의 상기 제2 스프레더(112)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설치면(12)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는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레더(112)는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1121)의 상기 제3 스프레더(113)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프레더(111)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과 구분되는,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112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염부(130)는 상기 제1 스프레더(111)에서 상기 제2 스프레더(112)의 반대측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염공(1113)과 연통하는 제1 화염부(131), 상기 제2 스프레더(112) 및 상기 제1 스프레더(111) 사이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염공(1123)과 연통하는 제2 화염부(132) 및 상기 제3 스프레더(113) 및 상기 제2 스프레더(112) 사이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염공(1124)과 연통하는 제3 화염부(1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젝터(120)는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 오리피스(121) 및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 오리피스(1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1132)은,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1112) 또는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1122)과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조리 기기
10 : 쿡탑 11 : 그레이트 12 : 설치면
20 : 오븐 21 : 도어
30 : 패널 31 : 조절 밸브 32 : 디스플레이
100 : 버너 장치
110 : 버너 120 : 인젝터 130: 화염부 140 : 벤츄리
111 : 제1 스프레더 112 : 제2 스프레더 113 : 제3 스프레더
131 : 제1 화염부 132 : 제2 화염부 133 : 제3 화염부

Claims (20)

  1. 가스 버너 장치에 있어서,
    버너;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터; 및
    상기 버너의 주위에 위치되는, 상기 가스가 연소되어 불꽃이 생성되는 화염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부는,
    상기 가스 버너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1 화염부;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제3 화염부; 및
    상기 제1 화염부 및 상기 제3 화염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화염부의 불꽃을 상기 제3 화염부로 전이시키는 제2 화염부;
    을 포함하는,
    가스 버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염부 및 상기 제2 화염부는, 연통하고,
    상기 제3 화염부는, 상기 제1 화염부 및 상기 제2 화염부와 연통하지 않는,
    가스 버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는,
    상기 제1 화염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 오리피스; 및
    상기 제3 화염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 오리피스;
    를 포함하는,
    가스 버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제1 스프레더, 제2 스프레더 및 제3 스프레더가 상기 설치면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스택 구조;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프레더 및 상기 제2 스프레더 사이의 주위로 제3 화염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프레더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사이의 주위로 제2 화염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스프레더에서 상기 제2 스프레더의 반대측 주위로 제1 화염부가 위치하는,
    가스 버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상기 제1 스프레더를, 상기 제1 스프레더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스프레더의 반대편에서 커버하도록 적층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가스 버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더는,
    제1 스프레더 몸체;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스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염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염공은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에 관통 형성되어서,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화염부는 상기 제1 염공을 통해 연통하는,
    가스 버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레더는,
    제2 스프레더 몸체;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1 스프레더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스프레더를 향하여 우묵하게 형성된, 제2 가스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염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염공은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화염부는 상기 제2 염공을 통해 연통하는,
    가스 버너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더는,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과 상기 제2 스프레더의 내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스 분기 홀;
    를 더 포함하는,
    가스 버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기 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스프레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스 버너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염공의 관통 형성 방향을 연장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스프레더에 더 가깝도록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 상에서 우묵하게 형성되는,
    가스 버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레더는,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 상에서, 상기 제2 염공보다 상기 제3 스프레더에 가깝게,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염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염공은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과 연통하지 않고,
    상기 제3 염공은 상기 제3 화염부와 연통하는,
    가스 버너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프레더는, 상기 제3 스프레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염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염공은 상기 제3 화염부와 연통하는,
    가스 버너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프레더는,
    제3 스프레더 몸체; 및
    상기 제3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2 스프레더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는 제3 가스 수용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레더는,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3 스프레더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프레더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과 구분되는,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은 상기 제3 염공과 연통하고,
    상기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은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가스 버너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프레더는,
    제3 스프레더 몸체; 및
    상기 제3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2 스프레더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는 제3 가스 수용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은 상기 제3 염공과 연통하는,
    가스 버너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염부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은,
    상기 제1 화염부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의 10% 이하인,
    가스 버너 장치.
  16. 가스 버너 장치에 있어서,
    버너; 및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터;
    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제1 스프레더 및 제2 스프레더가 상기 가스 버너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스택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레더의 둘레를 따라 홀들이 두 개의 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스프레더의 둘레를 따라 홀들이 한 개의 층으로 배열되는,
    가스 버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더는,
    제1 스프레더 몸체;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스 수용 공간;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염공;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염공보다 상기 제2 스프레더에 가깝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염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염공 및 상기 제2 염공은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가스 버너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염공의 관통 형성되는 방향에 따른 단면적은, 상기 제2 염공의 관통 형성되는 방향에 따른 단면적보다 큰,
    가스 버너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염공으로 분사되는 가스 양은,
    상기 제2 염공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이 상기 제1 염공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단위 시간당 열량의 10% 이하가 되도록 분사되는,
    가스 버너 장치.
  20. 가스 버너 장치에 있어서,
    버너;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버너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젝터; 및
    상기 버너의 주위에 위치되는, 상기 가스가 연소되어 불꽃이 생성되는 화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커버, 제1 스프레더, 제2 스프레더 및 제3 스프레더가 상기 버너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향하여 차례로 적층되는 스택 구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레더는,
    제1 스프레더 몸체;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가스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염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레더는,
    제2 스프레더 몸체;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1 스프레더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스프레더를 향하여 우묵하게 형성된, 제2 가스 수용 공간;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염공; 및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염공보다 상기 설치면에 가깝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3 염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레더는,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과 상기 제2 스프레더의 내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스프레더 몸체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스 분기 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프레더는,
    제3 스프레더 몸체; 및
    상기 제3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2 스프레더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는 제3 가스 수용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레더는,
    상기 제2 스프레더 몸체의 상기 제3 스프레더를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프레더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우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과 구분되는, 제3 가스 수용 보조 공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염부는,
    상기 제1 스프레더에서 상기 제2 스프레더의 반대측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염공과 연통하는 제1 화염부;
    상기 제2 스프레더 및 상기 제1 스프레더 사이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염공과 연통하는 제2 화염부; 및
    상기 제3 스프레더 및 상기 제2 스프레더 사이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염공과 연통하는 제3 화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젝터는,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 오리피스; 및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 오리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가스 수용 공간은, 상기 제1 가스 수용 공간 또는 상기 제2 가스 수용 공간과 연통하지 않는,
    가스 버너 장치.
KR1020220007935A 2022-01-19 2022-01-19 버너 장치 KR20230111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935A KR20230111906A (ko) 2022-01-19 2022-01-19 버너 장치
PCT/KR2022/020347 WO2023140513A1 (ko) 2022-01-19 2022-12-14 버너 장치
US18/106,658 US20230228416A1 (en) 2022-01-19 2023-02-07 Burn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935A KR20230111906A (ko) 2022-01-19 2022-01-19 버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906A true KR20230111906A (ko) 2023-07-26

Family

ID=8734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935A KR20230111906A (ko) 2022-01-19 2022-01-19 버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1906A (ko)
WO (1) WO20231405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108A (ja) * 1999-08-18 2001-02-27 Osaka Gas Co Ltd ガスバーナ
JP5291696B2 (ja) * 2010-12-15 2013-09-18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
KR102395217B1 (ko) * 2015-10-14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S2747707T3 (es) * 2016-12-20 2020-03-11 Electrolux Appliances AB Quemador de gas y encimera de cocción que comprende un quemador de gas
JP7281067B2 (ja) * 2018-12-07 2023-05-25 山岡金属工業株式会社 多炎孔バ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513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217B1 (ko) 가스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9134033B2 (en) Open loop gas burner
KR100938392B1 (ko) 가스버너
CN106257138B (zh) 输出热源温度可控的燃烧装置
AU2008311275B2 (en) Venturi housing assembly and method
KR101310535B1 (ko) 내외염 복합식 다단 버너
KR20230111906A (ko) 버너 장치
US20230228416A1 (en) Burner device
KR101220624B1 (ko) 가스레인지용 그릴 상부버너
KR200427314Y1 (ko)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KR100739545B1 (ko) 가스복사 버너
KR100826712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102536464B1 (ko) 고효율 가스버너 및 이를 이용한 취반기
KR100782121B1 (ko)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KR910000668B1 (ko) 기화버어너
JP2000274608A (ja) バーナー
JP2005351573A (ja) コンロ
JPS62297615A (ja) 燃焼装置
KR200328090Y1 (ko) 업소용 가스버너의 노즐구조
JPH03263502A (ja) 低窒素酸化物バーナ
KR200247321Y1 (ko)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GB2213924A (en) Burner for fuel-effect fire
JPS6039609Y2 (ja) 表面燃焼バ−ナ
KR101274725B1 (ko) 가스레인지
JP2005207668A (ja) ガスコン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