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321Y1 -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 Google Patents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321Y1
KR200247321Y1 KR2019980015330U KR19980015330U KR200247321Y1 KR 200247321 Y1 KR200247321 Y1 KR 200247321Y1 KR 2019980015330 U KR2019980015330 U KR 2019980015330U KR 19980015330 U KR19980015330 U KR 19980015330U KR 200247321 Y1 KR200247321 Y1 KR 200247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grooves
primary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774U (ko
Inventor
이석구
Original Assignee
김근수
주식회사 선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주식회사 선양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19980015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32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321Y1/ko

Links

Landscapes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버너는 가스 유입공(55, 56)을 통해 가스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로 채어지며 상면이 개방된 둘 이상의 홈(51, 52)이 형성되는 버너 몸체(50); 홈들의 개방면을 밀폐하도록 버너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그 상측과 홈들을 소통시키는 다수의 소통공(63, 64, 65)이 형성되는 커버(60); 및 그 내부를 커버의 소통공과 연통시키는 연통공(71)과 1차 공기가 유입되는 1차 공기 유입공(72, 73)이 하부에 형성되고, 연통공 및 1차 공기 유입공을 통해 각각 유입된 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기가 분출되는 분출공이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버너 헤드(70)를 포함한다. 홈들은 각각 버너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형홈(52) 및 원형홈 둘레에 형성되는 환형홈(51)이다. 원형홈과 환형홈은 그 외측벽 및 내측벽에 각각 다수의 아치홈들(53, 54)이 형성되고, 이 아치홈들은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소통공들은 아치홈들에 대응하는 위치 및 원형홈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의 커버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는, 각 버너 헤드에 1차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버너헤드로 유입되는 가스가 1차 공기와 충분히 혼합될 수 있어 완전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본 고안은 액화석유가스(LPG)나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히터 등과 같은 난방기기에 사용되는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석유가스나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히터 등은 외부의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버너로 연소시켜 그 상부의 가열체를 가열함으로써 일정 공간을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버너는 연소 불꽃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그 한 예를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버너는 외부의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는 버너 몸체(10)와, 이 버너 몸체(10)의 상부에 복개되는 버너 헤드(20)와, 버너 헤드(20)의 연소공(21)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착화시키기 위한 압전 유니트(30)를 포함하고 있다.
버너 몸체(10)는 소정 크기의 원판체(11)의 상부에 외통체(12), 내통체(13) 및 1차 공기 주입구(14)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차례로 배설되어, 두 개의 가스 통로(15,15')를 형성하고 있고, 각 가스 통로(15,15')에는 두 개의 가스 유입 파이프(16,16')가 연결되어 있다. 각 가스 유입 파이프(16,16')에는 가스 호스(17,17')가 각각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가스 호스(17,17')에는 가스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콕크(1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1차 공기 주입구(14)를 통해 버너 몸체(10)로 공급된 1차 공기는, 버너 헤드(20)에 공급된 가스와 사전에 혼합되어 불완전 연소를 방지함과 아울러 버너 헤드(20) 중앙부의 연소 불꽃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버너 헤드(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원판체에는 복수개의 연소공(21)이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버너헤드(20)는 버너 몸체(10)의 상부에 장착되어서, 버너 몸체(10)로 공급된 가스는 연소공(21)을 통해 분출된다.
상기와 같이 버너헤드(20)의 연소공(21)을 통하여 분출되는 가스가 압전 유니트(30)에 의해 착화되면, 각각의 연소공(21)에서 연소 불꽃이 생성되어 상부의 가열체(40)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연소 불꽃은 연소공(21) 주위에 있는 공기, 즉 2차 공기를 제공받아 유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버너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버너는 단 하나의 1차 공기 주입구(14)만을 가지기 때문에, 1차 공기 주입구를 통해 버너 몸체(10)로 공급된 1차 공기가 버너 헤드(20)에 공급된 가스와 미처 충분히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너 헤드(20)의 각 연소공(21)을 통해 유출된다. 따라서, 연소공들(21)에서 불완전 요소가 이루어져 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버너에서, 버너 헤드(20)는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 구조물이이기 때문에, 버너 헤드920)의 외부, 즉 가장자리로부터 공급되는 2차 공기는 버너 헤드(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연소공(21)으로 충분한 양이 공급될 수 있지만, 버너 헤드(20)의 중앙에 위치한 연소공(21)에는 2차 공기가 가장자리에서 대부분 소비되기 때문에, 공기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부의 화력이 가장자리에 비해 약하여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종래의 가스 버너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문제점과 연소 효율 저하에 따라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너의 전 부분에서 가스가 1차 공기 및 2차 공기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버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버너를 나타낸 분해 및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버너 헤드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버너 헤드의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버너 몸체 51 - 환형홈
52 - 원형홈 53,54 - 아치홈
55,56 - 가스 유입공 60 - 버너 커버
61 - 스터드 볼트 63,64,65 - 소통공
70 - 버너 헤드 71 - 연통공
72 - 1차 공기 유입공 73 - 지연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버너는 가스 유입공을 통해 가스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로 채워지며 상면이 개방된 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버너 몸체; 홈들의 개방면을 밀폐하도록 버너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그 상측과 홈들을 소통시키는 다수의 소통공이 형성되는 커버; 및 그 내부를 커버의 소통공과 연통시키는 연통공과 1차 공기가 유입되는 1차 공기 유입공이 하부에 형서오디고, 연통공 및 1차 공기 유입공을 통해 각각 유입된 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기가 분출되는 분출공이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버너 헤드를 포함한다.
홈들은 각각 버너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형홈 및 원형홈 둘레에 형성되는 환형홈이다. 원형홈과 환형홈은 그 외측벽 및 내측벽에 각각 다수의 아치홈들이 형성되고, 이 아치홈들은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소통공들은 아치홈들에 대응하는 위치 및 원형홈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의 커버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버너 헤드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또한, 버너 헤드의 연통공 및 1차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가스와 1차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도록 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기의 분출을 지연시키는 그물망 형상의 지연체가 버너 헤드의 분출공에 설치된다.
또한, 하부는 소통공에 체결되고 상부는 버너 헤드의 연통공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소통공과 버너 헤드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중공이 형성된 스터드 볼트에 의해 버너 헤드는 소통공과 연통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는, 각 버너 헤드에 1차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버너 헤드로 유입되는 가스가 1차 공기와 충분히 혼합될 수 있어 완전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버너를 도시한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주요부인 버너 헤드를 도시한 저면도 및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버너는 가스가 유입되는 버너 몸체(50), 버너 몸체(50)의 상부에 볼트(69)로 결합된 버너 커버(60), 및 버너 커버(60) 상부에 배열된 다수의 버너 헤드(70)를 포함하고 있다.
원판 형상의 버너 몸체(50)는 그 중앙에 상면이 개방된 원형홈(52)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홈(52)의 둘레에 따라 역시 상면이 개방된 환형홈(51)이 형성되어 있다. 버너 몸체의 환형홈(51) 둘레에는 볼트(68) 체결을 위한 다수의 볼트공(57)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홈(52)와 환형홈(51)은 각각 가스 유입공(55,56)을 통해 가스 호스(미도시)와 소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형홈(52)과 환형홈(51)에 동시에 가스가 채워지거나 또는 원형홈(52)과 환형홈(51) 중 어느 한 홈에만 선택적으로 가스가 채워진다.
원형홈(52)의 외측벽에 4개의 아치홈(54)이 원주를 따라 9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환형홈(51)의 내측벽에도 역시 4개의 아치홈(53)이 원주를 따라 9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아치홈(53)은 인접된 두 개의 아치홈들(54) 사이에 위치된다.
버너 커버(60)는 버너 몸체(50)와 크기가 동일한 원판 형상을 가진다. 버너 커버(60)는 그 외곽 가장자리에 버너 몸체(50)의 볼트공(57)과 대응되는 다수의 볼트공(6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너 커버(60)는 버너 몸체(50)의 각 아치홈(53, 54)에 대응되는 위치 및 원형홈(52)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소통공들(63, 64, 65)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홈(51)의 아치홈(53)에 대응되는 소통공은 63, 원형홈(52)의 아치홈(54)에 대응되는 소통공은 64, 그리고 원형홈(52)의 중심에 대응되는 소통공은 65로 각각 지시하였다. 또한, 버너 몸체(50)의 홈들(52, 53)으로 유입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실링 부재(62)가 버너 몸체(50)와 커버(60)사이에 개재된다.
버너 헤드(70)는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중공 스터드 볼트(66)에 의해 각 소통공(63, 64, 65) 마다 설치되어 있다. 즉,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중공(68)이 형성된 스터드 볼트(61)는 그 하부가 커버(60)의 소통공(63, 64, 65)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커버(6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 헤드(70)는, 그 저면에 연통공(71)과 1차 공기 유입공(72, 73)이 형성되어 있고(도 4 참조), 그 상면에는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출공에는 그물망 형상의 지연체(73)가 설치되어 있다. 연통공(71)은 버너 헤드(7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61)의 상부가 연통공(71)에 체결된다. 1차 공기 유입공(72, 73)은 호형상을 가지며 연통공(7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1차 공기 유입공(72, 73)을 통해 외부의 1차 공기가 버너 헤드(70)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기를 착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압전 유니트가 각 버너 헤드(70)의 상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 헤드의 연소 불꽃에 의해 가열되어 그 열을 주변으로 복사하는 복사체가 버너 헤드(7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버너는 연소 불꽃의 세기가 3단으로 조정된다. 연소 불꽃이 가장 약한 1단의 경우, 외측의 가스 유입공(55)을 통해 환형홈(51)으로만 가스가 공급되어, 환형홈(51)의 아치홈들(53)과 연통된 4개의 버너 헤드들(70)에서 연소 불꽃이 생성된다. 2단의 경우, 내측의 가스 유입공(56)을 통해 원형홈(52)으로만 가스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원형홈(52)의 중앙 및 원형홈(52)의 아치홈들(54)과 연통된 5개의 버너 헤드들(70)에서 연소 불꽃이 생성된다. 연소 불꽃이 가장 강한 3단의 경우, 우너형홈(52)과 환형홈(51) 모두로 가스가 공급되어 9개의 버너 헤드(70) 모두에서 연소 불꽃이 생성된다.
이중에서 3단의 경우를 예를 들어, 연소 불꽃이 생성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 유입공들(55,56)을 통해 원형홈(52)과 환형홈(51)에 공급되는 가스는, 소통공들(63, 64, 65)에 체결된 스터드 볼트들(61)의 중공(68)을 통해 버너 헤드(70)내부로 유입된다. 동시에, 1차 공기가 1차 공기 유입공(72, 73)을 통해 버너 헤드(70) 내부로 유입되어 가스와 혼합된다. 1차 공기는 가스와 미리 혼합됨으로써 가스가 용이하게 착화되고 또한 완전 연소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기는 버너 헤드의 분출공을 통해 버너 헤드의 상측으로 분출되는데, 분출공에 설치된 지연체에 의해 그 분출 속도가 지연된다. 혼합기의 분출이 지연되는 동안 가스와 1차 공기는 충분히 혼합될 수 있다.
버너 헤드의 상측으로 분출된 혼합기는 압전 유니트에 의해 착화되어 연소되며, 그 연소 불꽃은 버너 헤드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2차 공기에 의해 유지된다.
이때, 각 버너 헤드(70) 간의 사이가 충분히 넓기 때문에 버너의 중앙에 설치된 버너 헤드(70)에도 충분한 양의 2차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의 버너 헤드(70)의 연소 불꽃도 외곽의 버너 헤드들(70)의 연소 불꽃 못지 않게 강하고 완전 연소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버너 몸체(50)와 커버(60)를 원판 형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버너 몸체(50)와 커버(6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예로서, 버너 몸체(50)와 커버(60)는 직사각형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 형상에 따라 버너 몸체(50)에 형성되는 홈들의 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원기둥 혀상의 버너 헤드(70)도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는, 각각의 버너 헤드에 1차 공기가 유입되는 1차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각 버너 헤드로 공급되는 가스가 1차 공기와 충분히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완전 연소가 이루어져 오염 물질의 배출이 크게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버너 헤드 사이의 공간을 통해 충분한 양의 2차 공기가 버너의 중앙에 설치된 버너 헤드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의 버너 헤드의 연소 불꽃도 외곽의 버너 헤드들의 연소 불꽃 못지 않게 강하고 완전 연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버너는 완전 연소가 가능하여 오염 물질이 크게 저감되고, 버너의 내, 외부가 고르게 연소되므로 연소 효율이 높아 경제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가스 유입공을 통해 가스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로 채워지며 상면이 개방된 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버너 몸체;
    상기 홈들의 개방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버너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그 상측과 상기 홈들을 소통시키는 다수의 소통공이 형성되는 커버; 및
    그 내부를 상기 커버의 소통공과 연통시키는 연통공과 1차 공기가 유입되는 1차 공기 유입공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 및 1차 공기 유입공을 통해 각각 유입된 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기가 분출되는 분출공이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버너 헤드를 포함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은 각각 상기 버너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형홈 및 상기 원형홈 둘레에 형성되는 환형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홈과 환형홈은 그 외측벽 및 내측벽에 각각 다수의 아치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아치홈들은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소통공들은 상기 아치홈들에 대응하는 위치 및 상기 원형홈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의 커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헤드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헤드의 연통공 및 1차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가스와 1차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도록 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기의 분출을 지연시키는 그물망 형상의 지연체가 상기 버너 헤드의 분출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소통공에 체결되고 상부는 상기 버너 헤드의 연통공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소통공과 버너 헤드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중공이 형성된 스터드 볼트에 의해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소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KR2019980015330U 1998-08-14 1998-08-14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KR200247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30U KR200247321Y1 (ko) 1998-08-14 1998-08-14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330U KR200247321Y1 (ko) 1998-08-14 1998-08-14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774U KR20000004774U (ko) 2000-03-15
KR200247321Y1 true KR200247321Y1 (ko) 2001-12-17

Family

ID=6952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330U KR200247321Y1 (ko) 1998-08-14 1998-08-14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3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774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776A (en) Vortex burner
CN101509672B (zh) 燃气灶
GB2091408A (en) A Burner for a Boiler
KR100784950B1 (ko) 자연연소식 표면연소버너
CA2127651C (en) Multi-fuel burner
KR101425387B1 (ko) 버너장치
KR200247321Y1 (ko)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CA1188609A (en) Pulse combustor
US5937539A (en) Dual-purpose combuster for ordinary combustion and pulse combustion
KR200476819Y1 (ko) 휴대용 고 화력 토치램프
WO2018122948A1 (ja) 赤外線放射ヒータ
KR200264260Y1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KR200210405Y1 (ko)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KR100395412B1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KR200324393Y1 (ko) 가스렌지용 버너
CN208349339U (zh) 一种带有复合火焰的打火机喷气装置
KR10190901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KR102573037B1 (ko) 가스조리기용 버너
KR100260226B1 (ko) 고열량 버너
KR200315932Y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KR100782121B1 (ko)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KR100187039B1 (ko) 화력조절이 용이한 2중버너
KR200271628Y1 (ko) 가스버너
SU1574995A1 (ru) Газова горелка
CA2423551C (en) Chimney mount fo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