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405Y1 -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 Google Patents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405Y1
KR200210405Y1 KR2020000023085U KR20000023085U KR200210405Y1 KR 200210405 Y1 KR200210405 Y1 KR 200210405Y1 KR 2020000023085 U KR2020000023085 U KR 2020000023085U KR 20000023085 U KR20000023085 U KR 20000023085U KR 200210405 Y1 KR200210405 Y1 KR 200210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burner body
body portion
ventu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만
Original Assignee
도우정밀공업주식회사
송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우정밀공업주식회사, 송석만 filed Critical 도우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3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405Y1/ko

Links

Landscapes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개의 염공이 배열배치되는 버너헤드를 내측버너헤드와 외측버너헤드 또는 다수의 버너헤드로 각각 분리되는 상태로하되,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으로 벤츄리관을 삽입하기 위한 벤츄리관 삽입구가 형성되는 버너몸체가 상기 각각의 버너헤드와 착탈자재하게 형성되어 분리체결가능하도록 하고, 조건에 따라 다수개의 버너헤드를 직경을 달리하며 체결, 분리 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증가시킴은 물론 버너헤드 일측에 형성되는 산소결핍장치에 의해 연소상태 및 실내 공기상태를 미연에 파악하거나 연소상태 불량으로 인하여 버너가 임의로 꺼질 경우 가스의 공급/차단 작용에 의해 불의의 가스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난방 및 주방용 다중 벤츄리관을 갖는 가스버너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 주방용 가스버너구조{A heating and kitchen logic gas-burner sturcture of the duplication venturipipe and burner head combination-exclusion free}
본 고안은 액화석유가스(LPG)나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하여 사용하는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 주방용 가스버너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염공이 배열배치되는 버너헤드를 내측버너헤드와 외측버너헤드 또는 다수의 버너헤드로 각각 분리되는 상태로하되,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으로 벤츄리관을 삽입하기 위한 벤츄리관 삽입구가 형성되는 버너몸체가 상기 각각의 버너헤드와 착탈자재하게 형성되어 분리체결가능하도록 하고, 조건에 따라 다수개의 버너헤드를 직경을 달리하며 체결, 분리 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증가시킴은 물론 버너헤드 일측에 형성되는 산소결핍장치에 의해 연소상태 및 실내 공기상태를 미연에 파악하거나 연소상태 불량으로 인하여 버너가 임의로 꺼질 경우 가스의 공급/차단 작용에 의해 불의의 가스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난방 및 주방용 다중 벤츄리관을 갖는 가스버너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화석유가스나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하는 가스용 버너는 외부의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버너에서 연소시켜 상부의 가열체를 가열하거나 또는 식당이나 가정등에서 조리물등을 조리할시 사용되는 것으로, 적정하게 공기와 혼합되어 버너헤드에서 점화 연소되어져 주위를 난방시키거나 조리물등을 가열 조리하게 된다.
이와같은 가스의 연소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하는 위치 및 미리 혼합하는 공기(1차공기혼합)의 양에 의해 불꽃의 형상, 온도, 불꽃의 안전성 등이 다르게 되고, 각각의 특성을 살펴 용도에 맞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인바, 이것에 의해 연소방식은 1차 공기의 혼합비율과 1차 공기의 혼합방법에 의해 전1차공기식연소법, 분젠식 연소법, 세미 분젠식 연소법으로 되는 예혼합 연소와, 적화식 연소법으로 구분되는 확산연소로 크게 나누어진다.
간략하게 각각의 연소법에 대한 기초적 설명을 하면,
전1차 공기식 연소법은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전부가 1차 공기로 이것을 가스와 혼합하여 연소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필요공기를 전부 1차 공기로 하여 흡입하므로 역화되기 쉬운 단점이 있어 이러한 현상을 배제하기 위해 염공을 특별한 구조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분젠식 연소법은 가스가 노즐로부터 일정한 압력으로 분출하고 그 제트(jet)류에 의해 주위 공기를 댐퍼로 유입, 1차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관(벤츄리관)내에서 혼합하여 염공으로부터 연소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때 불꽃은 주변에서 확산에 의해 공기를 필요로 하게 되는바, 이와같은 공기를 2차공기라 하게 되며, 불꽃은 내염(內炎)이라 하는 둥근상태의 청백부분과 바깥부분의 외염(外炎) 및 식별되지 않는 고온층등으로 구별된다. 본 고안은 주로 분젠식 연소법에의 연소에 의한 구성이 주가 되어 설명되어진다.
이밖에 적화식과 분젠식의 중간이라 할 수 있는 세미분젠식 연소법이 있으며, 가스를 그대로 대기중에 분출하여 연소시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전부 불꽃의 주변에서 취하게 되는 적화식 연소법이 있다.
종래에 이러한 여러 종류의 연소법에 의해(특히 적화식, 분젠식) 구성되어지는 가스버너는 통상적으로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원형 가스통로들의 상부에 각각 일정크기의 염공들을 일정간격 배치하여 연소부를 구성하고, 그 위에 가열체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소부(버너헤드부)로부터 연소되는 불꽃에 의해 상기 가열체가 가열됨과 동시에 대기중의 공기가 가열되어져 난방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고 있는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8-062704 - 출원번호 실용신안 제 1997-7072 호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가스버너는 가스호스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고, 2차공기유입구와 가스와의 혼합에 의해 점화되되 염공이 다수개 배열되는 버너헤드가 내통체와 외통체로 구별되는 버너몸체 상부에 착설되고, 외통체 중앙으로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어져 상기 내통체와 외통체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며 연소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내통체와 외통체가 구획되는 형상이되 내통체측 중앙으로 2차공기유입구만 형성되어 있어 외통체측으로 적정한 공기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것이 어려워 황염등의 불완전연소를 일으키게 되므로 일산화탄소(CO)등의 중간생성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내통체측으로는 과다한 공기가 유입되어 가스와 혼합연소되어지게 되므로 과다한 공기의 유입에 의해 혼합가스의 연소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어져 결국 역화(가스의 분출속도가 평형점이하에 도달할 때 일어나며 불꽃이 염공속으로 빨려들어가 혼합관내에서 연소하는 현상) 현상을 유발하게 되거나 연소속도에 비교하여 분출속도가 평형점을 초과하여 불꽃이 리프팅되는 등의 이상연소를 피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식당이나 가정집등에서 사용되는 가스용 버너는 대한민국특허청에 실용신안 출원된 제1997-4588호등과 같은 여러가지의 가스용 버너가 출원되거나 상용화 되고 있는 실정이며 가스연소의 완전한 연소를 기대하고, 연소시 발생되는 불순물(예컨데 CO)의 발생을 억제하고자 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많은 고안과 연구,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나, 연소시의 안전연소의 발현이 어려움은 물론 경우에 따라 역화, 리프트, 소화음, 연소음등의 발생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순한 버너 구조에 의하면 가스버너의 연소성능이 저하되거나 버너의 화력을 정도이상으로 세게 조절하면 혼합기(벤츄리관)의 강한 분출에 의해 소위 화염의 날림 현상이 발생하여 이상연소나 연소중단이 일어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할 경우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형성되어 가스버너의 제작과정이 번잡하게 됨은 물론 수요가가 현저하게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공이 일정하게 배열된 상태의 버너헤드는 단 한번의 제조공정에 의해 셋팅되는 상태로 출고되므로, 필요에 따라 화력을 조절하게 되거나 보다 큰 화력을 갖는 버너등이 필요할 경우에는 별도로 가스버너를 재구입하거나 다른 가스버너와 병행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버너헤드를 버너몸체부와 착탈자재하게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벤츄리관(혼합기)으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각각의 버너헤드(즉 내측버너헤드와 외측버너헤드)부위로 연관,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분포 분출, 확산되어 점화될 수 있도록 하여 가스의 유량조절, 화력조절등을 가능하게 하고, 한조로 버너몸체와 버너헤드를 구성하여 각기 착탈 자재하도록 함으로서, 화력에 따라 한조의 버너를 추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자유롭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보다 신뢰성 있고 안전적 연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더욱 개선된 상태의 난방용 및 가정주방용 다중 벤츄리관을 갖는 가스버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근본적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너몸체부(100) 및 버너헤드(110,120)에 의해 형성되는 가스버너의 가스유입관(113,123)측으로 벤츄리관(114,124)을 삽입 연결하고, 상기 벤츄리관(114,124)에 공기혼합을 위한 공기유입공(116,126)을 갖는 댐퍼(115,125)를 결합하여서 되는 가스버너구조에 있어서,
중공형상의 환형상으로 되는 제1몸통부(112)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그 상단부는 삽입홈(111)이 환형상으로 천설되되, 제1가스유입관(113)이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상기 제1몸통부(112)와 연관되어지는 제1버너몸체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버너몸체부(110)의 외경보다 큰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버너몸체부(110)를 내합하도록 중공형상을 가지며, 환형상으로 되는 제2몸통부(122)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되어지고 그 상단부는 삽입홈(121)이 환형상으로 천설되되, 제2가스유입관(123)이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상기 제2몸통부(122)와 연관되어지는 제2버너몸체부(120)로 되는 버너몸체부(100)와,
상면으로는 염공(141,151)이 다수열 배치 배열되며 천공되고, 하단부는 개방되어지는 삽입구(142,152)를 내외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구(142,152)가 상기 각각의 제1,2버너몸체부(110,120) 상단 삽입홈(111,121)에 삽입되어지는 중공형상으로 되며 직경을 각각 달리하여 내합되는 제1,2버너헤드(140,150)로 구성되어 상기 버너몸체부(110,120)와 고정브라켓(160)에 의해 착탈자재하게 형성되는 버너헤드부(140,150))와,
상기 버너헤드(140,150)중 어느 한측 버너헤드에 이그나이트 스위치(200)와 산소결핍장치(300)를 구비하고, 제1,2 버너몸체부(110,120) 각각의 가스유입관 (113,123)과 연결되는 벤츄리관(114,124) 및 상기 벤츄리관(114,124)과 연결되어 공기와 가스를 1차 혼합하기 위한 공기유입공(116,126)을 갖는 댐퍼(115,125)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퍼(115,125)의 노즐삽입구(n1,n2)로 삽입되는 노즐(400; 410,420)의 밸브제어에 따라 제1 또는 제2버너몸체부(110,120)로 가스를 공급하여 연소되도록 하여, 버너헤드(140,150)와 버너몸체부(110,120)간의 상호 착탈자재함을 특징으로 함은 물론, 버너헤드(140,150)와 버너몸체부(110,120)가 결합된 것을 한조로 하여 외측으로 다단의 동일구조의 버너를 연결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가스버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가스버너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가스버너가 장착된 상태의 난방기기를 도시한 간략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가스버너가 장착된 상태의 주방기기를 도시한 간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가스버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이그나이트스위치와 산소결핍점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종래의 난방용 가스버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버너몸체부 110: 제1버너몸체부 111: 삽입홈
112: 제1몸통부 113: 제1가스유입관 a,a',b,b': 체결공
c,c': 2단절곡단턱 d,d': 돌출편 114: 제1벤츄리관
115: 제1댐퍼 116: 제1공기유입공 117: 결착구
118: 통공 119: 유동로 n1, n2: 노즐삽입구
120: 제2버너몸체부 121: 삽입홈 122: 제2몸통부
123: 제2가스유입관 124: 제2벤츄리관 125: 제2댐퍼
126: 제2공기유입공 127: 안착구 128: 결착구
129: 나사공 130: 유동로 140: 제1버너헤드
150: 제2버너헤드 141,151: 염공 142,152: 삽입구
160: 고정브라켓 161: 구멍 162: 고정볼트
170: 공간부 200: 이그나이트스위치 300: 산소결핍장치
400: 노즐 410: 제1노즐 420: 제2노즐
500: 가이드판 B: 밸브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가스버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가스버너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가스버너가 장착된 상태의 난방기기를 도시한 간략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가스버너가 장착된 상태의 주방기기를 도시한 간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가스버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이그나이트스위치와 산소결핍점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너몸체부(100)와, 버너헤드부 (130, 140), 산소결핍점검장치(400) 및 댐퍼(115,125), 혼합기(이하 벤츄리관으로 통칭함) (114, 124)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너몸체부(100)는 상방이 개방되는 환형상의 몸체로 형성되어 가스가 유동되기 위한 유동로(119,130))를 구비하도록 하고, 일측 또는 중앙으로 버너몸체부(110,120) 각각의 몸통부(112,122)와 관통되어 연관되어지며 일체로 되는 가스유입관(113,123)을 형성하여서 된다.
여기서 상기 버너몸체부(100)는 서로 직경을 달리하며 내합되는 제1,2버너몸체부(110,120)로 구분되어지며, 적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공간부(170)를 형성하여 각각 상호 결합 및 탈거가 자유롭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인바 그 구성을 설명한다.
즉, 상기 버너몸체부(100; 110,120)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직경이 다소 작은 제1버너몸체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버너몸체부(110)를 내합(內合)하기 위한 직경이 상기 제1버너몸체부(110)의 외경보다 크며 적정간격으로 이격되어져 공간부(170)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2버너몸체부(120)를 구비하여 상기 제2버너몸체부(120)내에 상기 제1버너몸체부(110)가 내합되어지며 결합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화력의 선택에 따라) 제1버너몸체부(110) 또는 제2버너몸체부(120)만을 단독으로 구비하여 이그나이트스위치(200) 및 산소결핍장치(300)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버너몸체부(100; 110,120)의 바람직한 형상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먼저 제1버너몸체부(110)의 경우 상기한 제2버너몸체부(120)에 내합되는 형상을 갖게 되므로, 그 직경이 소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염공(141,151)을 통해 불꽃이 점화되어 연소될 시, 염공(141,151)을 통해 분출되는 불꽃과 대기중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2차 혼합되어 불꽃의 리프팅 현상을 배제하고 완전한 연소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1버너몸체부(110)의 상방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개방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내경과 외경사이에 형성되는 폭의 간극과 깊이만큼의 공간인 제1몸통부 (112)를 형성시켜 가스가 유입되어져 유동되는 유동로(119)를 갖도록 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상단부의 외경과 내경간에 각각 일정정도의 깊이를 갖으며 형성되는 삽입홈(111)을 환설하게 된다.
이와같이 환설되는 삽입홈(111)은 후술하는 버너헤드(140,150)의 하단부(즉 삽입구(142,152))가 각각 삽입되어 제1버너몸체부(110)는 물론이거니와 제2버너몸체부(120)에 각각 대응되는 버너헤드(140,150)가 삽입 결합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제1버너몸체부(110)의 중앙으로 상기 제1몸통부(112)의 유동로(119)와 관통되는 제1가스유입관(113)을 일체로 성형하여 가스가 원할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제1버너몸체부(110) 외주면으로 통공(118)을 갖는 결착구 (117)를 다수개 환설시키는바, 상기 결착구(117)는 제2버너몸체부(120)의 내측 내주면으로 환설되는 안착구(127)에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2버너몸체부(120)는 상기한 제1버너몸체부(110)를 내합하도록 하여서 되는 것으로, 제2버너몸체부(120)의 내경과 제1버너몸체부(110)의 외경사이에는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공간부(170)를 형성하여 불꽃점화시 후술하는 제1버너헤드(140) 및 제2버너헤드(150)에 형성되는 염공(151,161)을 통해 점화되는 불꽃의 리프팅 현상을 배제하고 완전연소를 위하여 가스와 공기와의 2차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같은 제2버너몸체부(120)는 제1버너몸체부(110)와 같이, 상방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개방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내경과 외경사이에 형성되는 폭의 간극과 깊이만큼의 제2몸통부(122)의 공간을 형성시켜 가스가 유입되어져 유동되는 유동로 (130)를 갖도록 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상단부의 외경과 내경간에 각각 일정정도의 깊이를 갖으며 형성되는 삽입홈(121)을 환설하게 되는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버너몸체부(110)는 제2버너몸체부(122)내에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버너몸체부(110) 외경과 제2버너몸체부(122) 내경사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공간부(170)를 갖도록 하고, 제2버너몸체부(122) 일측으로 제2가스유입관(123)을 일체로 연관시키도록 하여 제2벤츄리관(124)과 제2댐퍼(125)등이 결합되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버너몸체부(110)와 제2버너몸체부(120) 각각의 가스유입관 (113,123) 단부에는 2단절곡단턱(c)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와같이 형성되는 2단절곡단턱(c)에 각각 결합되는 벤츄리관(혼합기 - 제1벤츄리관, 제2벤츄리관) (114,124) 단부가 상기 2단절곡단턱(c)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으며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2단절곡단턱(c)에 의해 벤츄리관(114,124)을 통해 각각의 버너몸체부 (110,120)로 혼합가스가 역류되는 현상없이 공급을 원할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에는 이와같은 연결부위를 평활하게 하거나 'ㄴ'자 형상의 단턱을 준 후에 기밀성 유지를 위해 패킹등을 이용하여 실링처리를 함으로써,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벤츄리관등 내에서의 밀봉, 기밀효과를 기대하였으나, 유지보수등을 위해 결합 및 분해등의 작업등을 할 경우 상기 패킹등이 마모되거나 분실, 파손되는 등의 현상으로 인하여 공급되는 가스가 외부로 새는 현상이 있어 안전상 매우 위험하였고 항상 실링부위를 점검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본 고안에서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버너몸체부(120)의 최외주면측으로 제1버너몸체부(110)의 외주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구(117)와 동일한 결착구(128)가 동일개수로 형성되도록 하여, 예컨데 화력을 좀더 배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제2버너몸체부(120)보다 더 큰 직경을 갖으며 제1버너몸체부(110)와 제2버너몸체부(120)간의 공간부(170)와 동일한 공간부(미도시)를 형성시켜서 되는 제3버너몸체부(미도시)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버너몸체부(100)가 3개 내지 그 이상의 구조를 갖으며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장소 및 화력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너헤드부(140,150)는 각기 직경을 달리하며 형성되는 제1버너헤드 (140)와 제2버너헤드(150)로 구분되어 상기한 제1버너몸체부(110)와 제2버너몸체부 (150)의 상단 삽입홈(111)에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단면으로 다수개의 염공(141,151)이 배열배치되어서 되는 것으로, 상기 제1버너헤드(140)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1버너몸체부(110)의 내경 및 외경과 동일한 내외경을 갖으며 하방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내외경 하단부가 상기한 제1버너몸체부(110)의 삽입홈(111)에 끼워지게 되는 삽입구(142)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갖되 직경을 달리하는, 즉 제2버너몸체부(120)의 내외측 상단으로 각각 형성되는 삽입홈(121)에 결합되기 위한 내외측 직경을 갖으며 상면으로 다수개의 염공(151)이 배열배치되며, 그 하방으로 개방되어져 내외측 하방으로 삽입구(152)가 형성되어지는 제2버너헤드(150)를 구비하여 상기 제2버너몸체부(120)의 삽입홈(121)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제1버너헤드(140)와 제2버너헤드(150)를 각각 제1버너몸체부(110)와 제2버너몸체부(120) 상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111,121)에 각각 취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이와같이 제1버너몸체부(110)와 제2버너몸체부(120)간의 결착구(117)와 안착구(127)간의 결합에 의한 내합 완료 후, 상기와 같이 제1버너헤드(140)와 제2버너헤드(150)를 각각 버너몸체부(110,120)의 삽입홈(111,121)에 삽입하게 되면, 각각의 버너헤드(140,150)와 버너몸체부(110,120)를 완전하게 체결하기 위해,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형상으로 되며 그 중앙에 구멍을 갖는 고정브라켓(160)을 제2버너몸체부(120) 내경측으로 돌출 성형되는 안착구(127)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제1버너몸체부(110)의 결착구(117) 상부에 위치시킨 후, 별도의 고정볼트(162)등을 이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18은 제1버너몸체부(110)의 결착구(117) 중앙에 천공되는 통공(118)이고, 미설명부호 129는 제2버너몸체부(120)의 안착구(127) 중앙에 천공되는 나사공(129)으로, 상기 고정볼트(162)가 삽입되어 고정 체결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162)와 고정브라켓(160)의 체결시 이미 버너헤드부 (140, 150)는 각각 버너몸체부(100; 110,120)에 삽입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브라켓(160)의 하단 원주면이 각각 제1버너헤드(140)의 상면과 제2버너헤드(120)의 상면 일부분을 눌러주며 결합하게 되므로, 결합후에는 충격등에 의한 탈거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산소결핍점검장치(300)는 버너헤드부(140,150)의 염공(141, 151)을 통해 분출, 확산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트스위치(200)가 장착되는 적정부위에 같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너헤드부(140, 150)의 염공(141, 151)을 통해 분출 확산되어 점화되는 혼합가스에 공기의 비율이 과다하게 되어 불꽃이 리프팅되거나 또는 이상연소에 의해 이산화탄소등의 발생이 현저할 경우, 상기 산소결핍점검장치(300)에서 불꽃주위의 온도저하를 감지하게 되면 MPU(미도시)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신호를 인가한 MPU는 가스공급원(미도시)의 밸브(B)를 차단하여 가스가 더이상 공급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이상연소등에 의해 산소결핍점검장치(300) 주변의 온도 저하에 따라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 함유량 과다로 인한 인체에 끼치는 악영향과 불꽃의 리프팅현상 및 소등현상에 의한 불의의 안전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혼합기는 일반적으로 벤츄리관(500)을 일컫는 것으로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버너몸체부(100)내로 공기와 가스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혼합기 즉, 벤츄리관(114, 1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버너몸체부(100; 110, 120)의 제1버너몸체부(110)와 제2버너몸체부(120)로부터 각각 연관되어 인출되는 제1,2가스유입관(113,123) 단부측에 형성되는 2단절곡단턱(c)에 취부 결합한 후 각각의 돌출편(d,d')에 천공되는 체결공(a,a')을 통해 볼트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서 되는 것으로, 상기 벤츄리관(114,124)의 역할 및 작용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그 단부에 댐퍼(115,125)와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400; 410,420)등을 취부 결합한다.
상기 댐퍼(115,125)는 종래와 같이 가스와 공기를 벤츄리관(114,124)내에서 1차 혼합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채택 채용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벤츄리관(114,124) 각각의 직경 중심과 동일중심선상에 각각의 노즐(400)이 삽치될 수 있는 노즐삽입구(n1, n2)를 각각 천공하고 소정직경을 갖는 공기유입공(116, 126)이 상기 노즐삽입구(n1, n2) 외주면 주위에 각각 다수개 천공되어진다.
이와같이 되는 댐퍼(115, 125)의 노즐삽입구(n1, n2)로 노즐(400; 410,420)이 삽치되어져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가스가 노즐(400; 410,420)을 따라 댐퍼(115,125)를 통과하여 각각의 벤츄리관(114,124)으로 고속 유입될시 벤츄리관(114,124) 주위의 고속 저압 현상에 의해 상기 댐퍼(115,125)에 천공되어 있는 공기유입공(116,126)을 통해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어지면서 상기 벤츄리관(114,124)내에서 혼합되어지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1차 가스와 공기의 혼합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댐퍼(115,125)의 공기유입공(116,126)의 지름 및 개수와 각각의 노즐삽입구(n1,n2)의 지름은 버너몸체부(100) 각각의 제1버너몸체부(110). 제2버너몸체부(120)에 안착되는 제1버너헤드(140), 제2버너헤드(150)의 염공(141,151) 수와 화력등을 종합적으로 계산하고, 이에따른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량을 계산하여서 되는 결정값에 따라 결정한다.
- 실시예 -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1버너몸체부(110)의 상단 삽입홈(111)에 동일직경의 중공형상을 갖는 제1버너헤드(140)의 삽입구 (142)가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한 후, 상기의 제2버너몸체부(120) 내경에 형성되는 안착구(127)에 제1버너몸체부(110)의 결착구(117)가 안착되도록 하고, 제2버너몸체부(120)의 상단 삽입홈(121)에도 동일하게 제2버너헤드(150)의 삽입구(152)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160)을 이용하여 제1버너몸체부(110)의 결착구(117)와 제2버너몸체부(120)의 안착구(127)에 각각 천공되어 있는 통공(118)과 나사공(129)을 관통하며 고정볼트(162)등으로 고정 체결한다.
그런다음, 제1버너몸체부(110) 중앙으로 연관되는 제1가스유입관(113)으로 제1벤츄리관(114)을 삽입한 후, 당접되는 제1가스유입관(113) 하단과 제1벤츄리관 (114)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편(d)의 체결공(a,b)을 통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제2버너몸체부(120)의 일측으로부터 연관되는 제2가스유입관(123)으로 제2벤츄리관(124)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2가스유입관(123)과 제2벤츄리관(124) 하단부로 돌출되며 당접되는 돌출편(d')의 체결공(a',b')을 통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각각의 벤츄리관(114,124) 단부측으로 공기유입공(116,126)과 노즐삽입구(n1,n2)가 각각 천공되는 댐퍼(115,125)를 결합하고, 상기 댐퍼(115,125)에 천공되는 각각의 노즐 삽입구(n1, n2)로 도시하지 않은 가스공급원과 연결되는 노즐(400; 410,420)을 삽입하여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여서 되는 것으로, 가스 공급원의 별도의 밸브(B)등의 개방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어져, 각각의 노즐(400; 410,420)을 통해 댐퍼(115,125)측으로 유동되어지면 각각의 노즐(400; 410,420)과 벤츄리관(제1벤츄리관, 제2벤츄리관)(114, 124)으로 빠른 유속으로 유동되면서 주위의 저압,고속유동에 의해 댐퍼(115, 125)에 다수개 천공된 공기유입공(116, 126)으로 공기가 흡입되어져 각각의 제1,2벤츄리관(114, 124)을 지나며 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가스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혼합가스를 1차혼합가스라 하고, 이렇게 1차혼합된 혼합가스는 벤츄리관(114, 124)을 통해 제1버너몸체부(110) 또는 제2버너몸체부(122)의 유동로(119, 130)를 통해 유동되는 흐름을 갖는바, 선택적으로 제1버너헤드(140)를 초기점화하거나 또는 제2버너헤드(150)를 초기점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데 제1버너헤드(140) 주위(즉 제1버너헤드(140) 내경측)에 이그나이트스위치(200) 및 산소결핍장치(300)가 구비될 경우에는 혼합가스는 제2댐퍼(125)와 연결되는 제2노즐(420)의 가스를 밸브(B)의 조작에 의해 제어하여 제2버너헤드(150)로 유입되는 혼합가스를 제어하게 되므로 결국 제2벤츄리관(124)으로 가스가 유입되지 못하고 제1벤츄리관(114)으로만 가스가 유입되어져 혼합가스를 형성한 후 제1버너몸체부(110)의 유동로(119)로 유입유동되어져, 이그나이트스위치(200)의 작동에 의해 혼합가스가 제1버너몸체부(110) 상부에 형성되는 제1버너헤드(140)의 염공(141)을 통해 점화되어진다.
즉, 제1버너몸체부(110)의 제1버너헤드(140)만으로 점화되어 화력이 약한 상태에서 난방기기(1)의 가열체(2)를 가열하여 실내를 난방시키게 되며, 예컨데 주방기기(3)에 적용할 경우에는 비교적 작은 화력으로 조리물을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버너몸체부(110)를 통해 제1버너헤드(140)를 점화시킨 후, 필요에 따라 제2버너헤드(150)까지 점화를 시킬 경우에는 밸브(B)를 조작하여 제2버너헤드(150)측의 제2버너몸체부(120) 및 제2가스유입관(123)과 연관되는 제2벤츄리관(124)의 제2노즐(420)을 개방하게 되고, 상기 제2노즐(420)의 개방에 따라 가스가 제2벤츄리관(124)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2댐퍼(125)를 통해 일정량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2벤츄리관(124)내에서 혼합되어 혼합가스를 형성한 후, 제2버너몸체부(120)로 유입되어져 제2버너헤드(150)의 염공(151)으로 분출됨과 동시에 제1버너헤드(140)의 화기에 의해 점화 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제2버너몸체부(120)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은 상대적으로 많아야 하므로, 제2노즐(420)의 직경이 제1벤츄리관(114)내로 삽입되는 제1노즐(410)의 직경보다 다소 커야 하며 이에따라 제2댐퍼(125)의 제2공기유입공(126)의 직경도 상대적으로 제1노즐(410)의 제1댐퍼(115)측 제1공기유입공(11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벤츄리관(114, 124)으로 유입되는 가스와 외기가 혼합되어져 버너몸체부(100; 110,120)의 제1버너몸체부(110)와 제2버너몸체부(120)로 공급 유동되는 혼합가스가 각각의 버너헤드부(140,150)에서 점화되어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별도의 2차혼합가스를 형성하지 않고, 염공(141,151)으로 분출되는 혼합가스가 연소시 제1버너몸체부(110)와 제2버너몸체부(120)간에 형성되는 공간부(170)에 의해 자연스럽게 외기와 혼합되어지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별도의 장치에 의한 가스와 공기와의 2차혼합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한편 이와는 달리, 즉 제1버너헤드(140)가 먼저 점화되는 것과는 달리, 이그나이트스위치(200) 및 산소결핍점검장치(300)를 제2버너헤드(150) 외주면 주위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한 점화작동순서가 반대로 형성되어지는바, 먼저 화력이 상대적으로 큰 제2버너헤드(150)가 점화되고 필요에 따라 밸브(B)의 조작에 의해 제1버너헤드(140)가 부가되어 점화되는 것이다.
이것은 화력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변경 가능한 것이며,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그나이트스위치(200) 및 산소결핍점검장치(300)의 설치는 중공형상으로 되며 테두리를 갖는 원판형상의 가이드판(5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제1버너헤드(140)가 1차점화되는 경우에는 제1버너헤드(140) 중앙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가이드판(500) 외측에 이그나이트스위치(200)와 산소결핍점검장치(300)를 구비하여 설치하고, 이와는 달리 제2버너헤드(150)가 1차점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판(500)의 내경이 제2버너헤드(150)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판(500) 내경에 전체적으로 제1버너헤드(140)와 제2버너헤드 (150)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예컨데 화력이 더욱 크게 요구되는 실내나 주방기기(3)와 같은 경우에는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1버너헤드(140)와 제2버너헤드(150)로 이루어지는 2개의 버너헤드부 (140,150)만을 구비하는 것과는 달리 다단의 버너헤드부를 구비하여, 즉 3개내지 4개 또는 그 이상의 버너헤드를 상호 교호 내합 및 외합되는 상태로 결합 구비하고, 각각의 버너헤드부가 버너몸체부의 상면에 착탈자재하게 하고, 각각의 버너몸체부는 교호되며 형성되는 결착구와 안착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버너헤드를 다수개로 구비하여 다단점화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탈자재하도록 하여 실내의 조건이나 조리물등의 조건에 따라 화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1차혼합가스가 버너헤드의 염공에서 외기와 2차혼합되어 연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전연소에 근접되는 연소효율을 기대할 수 있어 이산화탄소의 발생률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연소불꽃이 리프팅되어 이상연소를 일으키거나 또는 실내의 산소량이 감소될 경우 자동적으로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여 가스안전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스유입관의 단부측 즉 본 고안의 가스유입관플레이트측으로 벤츄리관이 삽입체결되는 부위를 2단절곡단턱으로 성형하여 별도의 패킹이나 실링처리과정 없이 벤츄리관을 삽입체결하도록 하여,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역류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따라 별도의 패킹설치작업이 불필요하여 종전의 패킹등의 마모나 부식, 파손등에 의한 주기적인 교체, 유지보수작업이나 가스의 누출, 이로인한 안전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버너몸체부와 버너헤드의 상호 착탈자재하게 함은 물론, 버너몸체부와 버너몸체부간의 결합 및 탈거도 용이하게 하도록 함으로서, 화력의 조절을 임의로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주기적인 버너헤드와 버너몸체부간의 청소등 유지보수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본 고안의 생산시 생산공정과 조립공정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은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버너몸체부(100) 및 버너헤드(110,120)에 의해 형성되는 가스버너의 가스유입관(113,123)측으로 벤츄리관(114,124)을 삽입 연결하고, 상기 벤츄리관(114,124)에 공기혼합을 위한 공기유입공(116,126)을 갖는 댐퍼(115,125)를 결합하여서 되는 가스버너구조에 있어서,
    중공형상의 환형상으로 되는 제1몸통부(112)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그 상단부는 삽입홈(111)이 환형상으로 천설되되, 제1가스유입관(113)이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상기 제1몸통부(112)와 연관되어지는 제1버너몸체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버너몸체부(110)의 외경보다 큰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버너몸체부(110)를 내합하도록 중공형상을 가지며, 환형상으로 되는 제2몸통부(122)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되어지고 그 상단부는 삽입홈(121)이 환형상으로 천설되되, 제2가스유입관(123)이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상기 제2몸통부(122)와 연관되어지는 제2버너몸체부(120)로 되는 버너몸체부(100)와,
    상면으로는 염공(141,151)이 다수열 배치 배열되며 천공되고, 하단부는 개방되어지는 삽입구(142,152)를 내외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구(142,152)가 상기 각각의 제1,2버너몸체부(110,120) 상단 삽입홈(111,121)에 삽입되어지는 중공형상으로 되며 직경을 각각 달리하여 내합되는 제1,2버너헤드(140,150)로 구성되어 상기 버너몸체부(110,120)와 고정브라켓(160)에 의해 착탈자재하게 형성되는 버너헤드부(140,150))와,
    상기 버너헤드(140,150)중 어느 한측 버너헤드에 이그나이트 스위치(200)와 산소결핍장치(300)를 구비하고, 제1,2 버너몸체부(110,120) 각각의 가스유입관 (113,123)과 연결되는 벤츄리관(114,124) 및 상기 벤츄리관(114,124)과 연결되어 공기와 가스를 1차 혼합하기 위한 공기유입공(116,126)을 갖는 댐퍼(115,125)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퍼(115,125)의 노즐삽입구(n1,n2)로 삽입되는 노즐(400; 410,420)의 밸브제어에 따라 제1 또는 제2버너몸체부(110,120)로 가스를 공급하여 연소되도록 하여, 버너헤드(140,150)와 버너몸체부(110,120)간의 상호 착탈자재함을 특징으로 함은 물론, 버너헤드(140,150)와 버너몸체부(110,120)가 결합된 것을 한조로 하여 외측으로 다단의 동일구조의 버너를 연결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 주방용 가스버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몸체부(100; 110,120)의 제1버너몸체부(110) 외주면으로 통공(118)을 갖는 결착구(117)가 다수개 형성되고, 제2버너몸체부(120) 내주면으로 상기 결착구(117)가 안착될 수 있는 나사공(129)을 갖는 안착구(127)가 결착구(117)와 동일개수로 형성되며, 제2버너몸체부(120) 외주면으로 통공(118)을 갖는 동일개수의 결착구(128)가 형성되어져 제1버너몸체부(110)와 제2버너몸체부(120)의 상호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 주방용 가스버너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관(113, 123) 단부는 2단절곡단턱(c,c')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2단절곡단턱(c,c')에 벤츄리관(114,124)이 삽입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 주방용 가스버너구조.
KR2020000023085U 2000-08-14 2000-08-14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KR200210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085U KR200210405Y1 (ko) 2000-08-14 2000-08-14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085U KR200210405Y1 (ko) 2000-08-14 2000-08-14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976A Division KR20020013292A (ko) 2000-08-14 2000-08-14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405Y1 true KR200210405Y1 (ko) 2001-01-15

Family

ID=7305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085U KR200210405Y1 (ko) 2000-08-14 2000-08-14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40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430B1 (ko) 2007-05-22 2008-06-26 박명선 고화력 이중 버너헤드를 갖는 가스버너
KR101072606B1 (ko) * 2009-05-12 2011-10-11 박명선 서브 버너 헤드 조립식 조리용 가스버너
WO2013073772A1 (ko) * 2011-11-14 2013-05-23 Choi Jin-Min 내외염 복합식 다단 버너
KR101413901B1 (ko) 2012-11-16 2014-06-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꽃수로 화력을 조절하는 가스레인지
KR101856453B1 (ko) * 2017-09-29 2018-05-10 김종석 고효율 가스버너 및 그것이 적용된 취반기
CN114543093A (zh) * 2022-03-11 2022-05-27 佛山市宇煜五金有限公司 一种燃烧器的风幕环总成
KR102455831B1 (ko) * 2022-05-06 2022-10-17 김정숙 업소용 가스버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430B1 (ko) 2007-05-22 2008-06-26 박명선 고화력 이중 버너헤드를 갖는 가스버너
KR101072606B1 (ko) * 2009-05-12 2011-10-11 박명선 서브 버너 헤드 조립식 조리용 가스버너
WO2013073772A1 (ko) * 2011-11-14 2013-05-23 Choi Jin-Min 내외염 복합식 다단 버너
KR101310535B1 (ko) * 2011-11-14 2013-09-23 최진민 내외염 복합식 다단 버너
CN103492806A (zh) * 2011-11-14 2014-01-01 崔镇玟 内外焰复合式多段燃烧器
KR101413901B1 (ko) 2012-11-16 2014-06-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꽃수로 화력을 조절하는 가스레인지
KR101856453B1 (ko) * 2017-09-29 2018-05-10 김종석 고효율 가스버너 및 그것이 적용된 취반기
CN114543093A (zh) * 2022-03-11 2022-05-27 佛山市宇煜五金有限公司 一种燃烧器的风幕环总成
KR102455831B1 (ko) * 2022-05-06 2022-10-17 김정숙 업소용 가스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85883B (zh) 内环火盖、燃烧器及燃气灶
JP3814604B2 (ja) 多段制御を具現するガス燃焼バーナ
KR200210405Y1 (ko)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CN112161268A (zh) 一种炉头和燃烧器和燃气灶
KR100495505B1 (ko) 다단제어를 구현하는 가스연소 버너
KR20040040577A (ko) 예혼합연소방식의 표면연소 가스버너
KR200332814Y1 (ko)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구조
US20050026100A1 (en) Inshot burner
KR20020013292A (ko)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KR101080305B1 (ko) 환경친화적인 표면연소방식의 고효율 가스버너가 장착된 고효율 가정용 가스렌지
CN201281332Y (zh) 节能燃烧器
CN210320030U (zh) 聚能预混节能炉头
KR20050020553A (ko) 가스버너
KR200264260Y1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KR100395412B1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EP3926236A2 (en) Ported burner
CN1131390C (zh) 底小火旋流鼓风式燃烧器
CN201281334Y (zh) 节能燃烧器
KR102264587B1 (ko) 이중가스버너
JP2006226619A (ja) ガスバーナー
KR100531436B1 (ko) 가스버너
KR101019559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CN201281333Y (zh) 节能燃烧器
KR20210013465A (ko) 이중가스버너
KR200387555Y1 (ko) 가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