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668B1 - 기화버어너 - Google Patents

기화버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668B1
KR910000668B1 KR1019840003556A KR840003556A KR910000668B1 KR 910000668 B1 KR910000668 B1 KR 910000668B1 KR 1019840003556 A KR1019840003556 A KR 1019840003556A KR 840003556 A KR840003556 A KR 840003556A KR 910000668 B1 KR910000668 B1 KR 91000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gas generator
preheated
vapo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639A (ko
Inventor
깅고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와
미야하라 시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와, 미야하라 시게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와
Publication of KR85000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4Preheating devices; Vaporising devices
    • F23D11/441Vaporising devices incorporated with burners
    • F23D11/443Vaporising devices incorporated with burners heated by the main burner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24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by pressurisation of the fuel before a nozzle through which it is sprayed by a substantial pressure reduction into a spac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화버어너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기화버어너의 각종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일부를 절결한 종단정면도.
제2도는 제1도 A-A선 화살표시 방향의 단면도.
제3도는 요부의 일부를 절결한 확대종단 정면도.
제4도는 전개 사시도.
제5도는 제 2실시예의 종단측면도.
제6도 및 제9도는 제 3실시예로서, 제6도는 일부를 절결한 횡단 평면도.
제7도는 제6도 B-B선 화살표시 방향의 측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제4실시예로서, 제8도는 정면도.
제9도는 제8도 C-C선 화살표시 방향의 일부를 절결한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발생체 3 : 연소체
4 : 분염(噴焰) 간격 5 : 가스실
6 : 분염구 7 : 연통로
8 : 환류로 9 : 개폐덤퍼
본 발명은 분염간격을 두어서 서로 연통상으로 접속한 가스발생체 및 연소체(燃燒體)를 속히 기화가스발생 분위기 온도로 예열한 다음에 연소용 공기와 동시에 공급된 연료를 증발기화하여 완전한 혼기(混氣) 가스로 하여 다수의 분염구(噴焰)에서 기화 연소시키기 위한 예열연소염의 완전연소화를 용이하게 달성시킨 기화버어너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예열연소염이 유통되는 가스발생체와, 내부를 공동의 가스실로 형성하고, 또, 표면에 다수의 분염구를 마련한 연소체와를 분염간격을 두어서 설치하고, 상기 가스발생에의 선단측은 연통통로를 경유하여 연소체에 접속하고 가스발생체내에서 발생한 예열연소염의 유통작용으로 가스발생체 및 연소체를 속히 내부로부터 예열시킴과 동시에 예열연소염을 분염구에서 가스발생체를 향하여 분염하여 외부로부터 예열한 다음에 연소용 공기와 동시에 가스발생체내에 공급한 연료를 예열작용으로 증발기화하여 혼기가스로 한후 연소체의 분염구에서 가스발생체를 향하여 분염시켜서 가스발생체를 주위로부터 가열하는 것으로서, 안정한 기화연소의 계속화를 도모한 기화버어너는 먼저 본 출원인이 예시한 것만 아니라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종전의 이 종류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는 가스발생체의 선단측이 접속된 연소체는 분염구 이외는 그 주위가 폐쇄된 밀봉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발생체로부터 연소체내에 도입된 예열연소염은 차례로 연소체내에 충만 정체해서 가스발생체측에 역류하는 현상을 일으켜, 그 결과, 예열연소염을 연소실의 면적이 작은 것으로 불완전 연소상태로 타서 분염구를 발생한 그을음에 의하여 막혀져서 가스발생체의 예열효과를 감퇴시킬뿐만 아니라 가스발생체 및 연소체내면에도 많은 그을음이 부착하여 이후에 있어서의 기화가스 발생능률을 현저하게 감퇴시켜 일정량의 기화연소를 안정하게 계속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발생체의 선단측에 환류창을 경유하여 접속시켜서, 예열연소염이 연소체내부에 있어서 충만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가스발생실 및 연소체내부에 걸쳐 자유로히 환류되도록 하여 연소실의 증대를 도모하고, 예열연소염의 완전연소화를 행하게 하고, 가스발생실 및 연소체의 예열촉진을 달성시켜서 단시간내에 생연소상태로부터 기화연소상태로의 자동적 이행을 행하게 하여 따라서 이후의 기화연소를 안정하게 계속시킬수가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환류구는 연소상태에 따라 폐구 또는 개구정도를 임의로 조절시켜서 예열연소 및 기화연소의 조절을 도모한 기화버어너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비추어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그 구성을, 내부를 예열연소염이 유통되는 가스발생체와 내부를 공동의 가스살로 하여 더욱 표면에 가스발생체에 향하여 예열연소염의 전부 주는 그 일부를 분염하는 다수의 분염구를 개구한 연소체와를 분염간격을 두어서 설치하고 상기 가스발생체의 선단측은 연통로를 경유하여 연소체의 도입측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연소체의 도입측과 반대측은 가스발생체의 베이스(base) 쪽에 환류로를 경유하여 접속한 기화버어너 및 내부를 예열연소염이 유통되는 가스발생체와 내부를 공동의 가스실로 하여 더우기 표면에 가스발생체에 향하여 예열연소염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분염하는 다수의 분염구를 개구한 연소체를 분염간격을 두어서 설치하고, 상기 가스발생체의 선단측은 연통로를 경유하여 연소체의 도입측에, 또 연소체의 도입측과 반대측은 가스발생체의 기단측에 환류로를 경유하여 각각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환류로는 개폐덤퍼로 폐구, 또는, 개구정도를 임의로 조절한 기화버어너로 한 것으로서, 그러한 기화버어너에 의하면 연소의 시동시에 가스발생체 및 연소체를 기화가스 발생분위기 온도에 예열시키기 위한 예열연소염의 연소실의 면적을 현저하게 증대시켜서 연소체내에 예열연소염이 충만하여 정체하여 연소체측으로 부터 가스발생체 측에 역류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항상 예열연소염을 연소체로부터 환류로를 경유하여 가스발생체내에 다시 환류시키면서 연소시켜서 그 완전연소화를 용이하게 달성시킬 수가 있고, 그 결과, 예열연소염의 불완전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그을음때문에 분염구가 막히든지 혹은 가스발생체 및 연소체내면에의 그을음의 부착현상을 없게하여, 가스발생체 및 연소체를 단시간내에 소정온도에 예열하여 이후가스 발생 체내에 연소용 공기와 공히 공급한 연료를 속히 증기화하여 발생한 기화가스를 혼기가스로 하면서 다수의 분염구로부터 분염시켜서 안정한 기화연료를 장기간에 걸쳐 계속시키게 되는 것은 물론, 연료가 예열작용에 의하여 기화연소에 이행된후는 환류로를 개폐덤퍼에 의하여 폐구시킨다든지, 또는, 개구정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발생한 혼기가스의 환류량을 수시증감 조절시켜서 기화연소량의 증감조절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기화버어너를 각종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표시된 것은 가스발생체 및 연소체를 공히 횡으로 긴 통상(筒狀)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가스발생체의 바로밑에 분염간격을 두어서 연소체를 배설하여 연소염의 전부를 가스발생체를 향하여 분염시킨 경우의 기화버어너로서, (1)은 일측 베이스폭을 약간 굵은 접속통(2)으로 하고, 또, 내부를 공동(空胴)으로 하여 횡으로 긴 통상의 가스발생체로서, (3)은 상기 가스발생체(1)의 바로밑에 분염간격(4)을 두어서 평행상으로 위치된 연소체로서, 이 연소체(3)는 가스발생체(1)와 동일하게 전체가 횡으로 긴 통상으로 되고, 또 내부는 공동의 가스실(5)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상반부 표면에는 가스발생체(1)를 향하여 연소염을 힘차게 분염시키기 위한 분염구(6)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발생체(1)의 선단측은 연통로(7)를 경유하여 연도체(3)의 도입측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연소체(3)의 도입측의 반대측은 환류로(8)를 개재하여 가스발생체(1)의 베이스쪽에 마련된 접속통(2)에 접속시켜서, 가스발생체(1)내에 있어서 발생된 예열연소염을 연소실(5)을 경유하여 다시 가스발생체(1)의 베이스쪽에 도입하여 항상 원활하게 환류되게 한다. (9)는 환류로(8)를 전부 열거나 닫아서 그 개구정도를 수시로 조절할 수가 있는 개폐(開閉) 덤퍼로서, 이 개폐덤퍼(9)는 접속통(2)의 내측에 감합된 옆을 향한 중공통(10)에 의하여 형성되고, 또, 이 중공통(10)의 주벽에는 환류로(8)와 거의 일치하는 연통구(11)가 개구되는 동시에 이 연통구(11)의 개구위치와 반대측의 주벽에는 자유단측을 접속통(2) 주벽에 마련한 긴 구멍으로부터 외측에 신장시킨 조작봉(12)의 단부를 장착되고 또, 중공통(10)의 일측에는 중앙을 뚫은 절곡벽(13)이 내측을 향하여 절곡형성하고, 이것이 절곡벽 (13)에 적당수의 통기공(14‥‥)을 동간격을 두어서 천공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덤퍼(9)의 중공통(10)의 내측에는 선단측을 좁게하고, 외측주위를 향하여 신장한 부착 플랜지(16)를 접속통(12)의 단부에 설치한 플랜지부(15)에 장착한 횡으로 긴 통상의 송풍통(17)을 배설하여서, 중공통(10)의 내주면과 송풍통(17)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부송풍로(副送風路)(19)를 또한, 송풍통(17)의 내부를 주(主) 송풍로(18)에 각각 형성시킴과 동시에 부송풍로(19)에 면하는 송풍통(17)의 부착 플랜지(16)에는 통기공(14‥‥)과 합치하는 동수의 통기구(20‥‥)를 동간격을 두고 뚫어서 조작봉(12)의 좌우 회전 조작으로 환류로(8)가 전부 열려진 상태시에는 통기공(14)과 통기구(20)는 일치하여 전개되고, 또, 환류로(8)가 중공통(10)의 주벽에 의하여 폐쇄되어서 전부 닫혀진 상태로 되었을때에는 통기구(20)와 통기공(14)의 위치가 어긋나져서 절곡벽(13)에 의하여 통기구(20)가 전부 닫히고, 또, 환류로(8)가 그 개구정도를 임의로 개구된 상태로 되면 통기구(20)의 개구정도로 그것에 용한것 같이 수시 개구조절되게 되어있다. (21)은 송풍통(17)의 중앙에 설치한 분무노즐이고, (22)는 연소시동용의 점화전으로서, (23)은 선단개구측을 가스발생에 (1)의 베이스 저부에 임하게 한 기화연소용의 송유관이다.
상술한 접속통(2)의 베이스측 플랜지부(15)에는 일단에 송풍기(24)를 구비한 통풍통(25)의 선단측 플랜지부(26)를 연결하여 송통기(24)에 의하여 일으켜진 연소용 공기를 주송풍로(18) 및 부송풍로(19)를 경유하든지 혹은 주송풍로(18)를 경유하여 가스발생체(1)내에 송출시킨다. (27)은 연소체(3)의 분염구(6) 근방위치에 배설한 기화연소용의 점화전이다.
제5도에 표시된 것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걸쳐서 설명한 횡으로 긴 통상의 연소체(3)를 편평방형상의 연소체(3')로 하여 가스발생체(1)의 바로밑에 분염간격(4')을 두어서 배설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 1실시예의 변형에 관한 제 2실시예의 기화버어너이고, 이 제 2실시예에 관한 연소체(3')는 전체가 편평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또, 내부를 중공으로 하여 가스실(5')에 형성하는 동시에 연소체(3')의 상표면에는 다수의 분염구(6')를 개구시킨 이외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 2실시예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는 분염구(6')로부터 분출하는 연소염의 일부에 의하여 가스발생체 (1)는 가열된다.
제6도 및 제7도에 걸쳐 기재된 기화버어너는 가스발생체(1")내의 선단측을 향하여 유통한 예열연소염을 좌우 2방향으로 분류하여 가스발생체(1")의 좌우 양측에 분염간격(4"), (4")을 두어서 가스발생체(1")와 평행상으로 배설한 좌우 2개의 연소체(3"), (3")내에 분할 도입시킨 제 3실시예의 것으로서, 이 제 3실시예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는 한개의 가스발생체(1")의 좌우 양측에 분염간격(4") 및 (4")를 거처서 전체가 횡으로 긴 통상을 이루고, 또 내부를 중공의 가스실(5"), (5")로 한 좌우 2개의 연소체(3"), (3")를 평행상으로 배설시키는 동시에 이 2개의 연소체(3"), (3")의 상반부 표면에는 다수의 분염구(6"···)를 천공하여 연소염의 일부를 가스발생체(1")를 향하여 분염시킨다. 그리고, 한개의 가스발생체(1")의 선단측을 2개로 분류된 접속로(7"), (7")를 거처서 2개의 연소체(3"), (3")의 도입측에 각각 접속시키는 동시에 도입측과 반대측의 연소체(3"), (3")는 각각 환류로(8"), (8")를 경유하여 접속통(2")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3실시예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는, 개폐덤퍼 (9")의 중공통(10")의 주벽에는 2개의 환류로 (8"), (8")를 동시에 전부 개폐시키든지 혹은 개구정도를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연통구(11"), (11")가 2개 뚫인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기화버어너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기화연소용의 점화전(27)은 연소체(3"), (3")가 2개인 것에 의하여 2개 배설되어 있다. 또,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된 제4실시예의 것은 횡으로 긴 원통상의 가스발생체(1"')의 주위에 환상의 분염간격(4"')을 두어서 오우닛상의 연소체(3"')을 옆 방향으로 배설하고, 연소체(3"')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소염을 분염시키도록 형성한 기화버어너이고, 이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소체(3"')는 전체가 옆을 향하며, 또 편평한 중공환상으로 형성되고 더우기 내부는 공동의 가스실로 되어 그 전면측 표면에는 다수의 분염구(6"')를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소체(3"')는 그 중공부내에 가스발생체(1"')의 접속통(2"')이 분염간격 (4"')을 두어서 위치되게 배설하고 있다.
그리고, 가스발생체(1"')의 선단측은 상향만곡상의 연통로(7"')를 경유하여 연소체(3"')의 상부 전면측의 도입측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연소체(3"')는 상기 도입측과 반대측을 환류로(8"')를 경유하여 접속통(2"')에 개구 접속시켜서 가스발생체(1"')내부를 선단측을 향하여 유통하는 예열연소염을 연소체(3"')내에 도입시킴과 동시에 그 예열연소염을 더욱 접속통(2"')을 경유하여 가스발생체(1"')내에 환류시킨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유관(23)을 설치하지 않고 분무노즐(21)만에 의하여 연료의 송유작동을 해하게 한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조작봉(12)의 좌우 회동 조절조작에 의하여 개폐덤퍼(9)의 중공통(10)에 마련한 연통구(11)를 환류로(8)와 일치시키면 통기공(14···)도 통기구(20)와 일치시킴과 동시에 전부 열린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송풍기(24)를 운전하면, 바람이 생겨 송풍용 공기는 주 · 부(主 · 副) 송풍로(18), (18)를 경유하여 가스발생체(1)내에 분송된후, 연통로(7), 연소체(3), 환류로(8) 및 연통구(11)를 경유하여, 부송풍로(19) 중에 분출한후 다시 가스발생체(1)내에 환류되는 작용을 한다. 거기서 분무노즐(21)부터 연료를 분산함과 동시에 점화전(22)에 통전하여 착화하면 가스발생체(1)내에 있어서 예열연소염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예열연소염은 상기 연소용 공기의 보급을 받으면서 가스발생체(1), 연통로(7), 연소체(3), 환류로(8), 연통구(11) 및 부송풍로(19)를 경유하여 환류되는 사이에 완전연소되어 가스발생체(1) 및 연소체(3)를 내부부터 예열하는 동시에 일부의 예열연소염을 다수의 분염구(6···)로부터 분염간격 (4)를 향하여 분염시켜서, 그 분염된 예열연소염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가열한다.
따라서 가스발생체(1)내에 발생한 예열연소염은 상기와 같이 원활하게 완류되기 때문에 연소실은 현저하게 증대되므로 종래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와 같이 앞이 막히는 상태에 의한 역류현상을 일으키는 일없이 완전 연소되므로 그을음의 발생도 없이 연소되어 가스발생체(1) 및 연소체(3)를 단시간내에 기화분위기 온도로 예열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온도로 예열되면, 예열연소상태를 장지하고, 이어서 송풍기(24)를 운전시킨 상태하에서 송유관(23)으로부터 생연료를 가스발생에 (1)의 베이스측 저부에 송유하면, 이 생연료는 연소용 공기에 의하여 선단측에 향하여 송출되는 사이에 예열작용으로 속히 증발기화되는 동시에 발생한 기화가스는 그 유통 중에 연료용 공기와 교반혼합하여 완전한 혼기가스로 되어 연통로(7)를 경유하여 연소체(3)내에 압입되고, 일부의 혼기가스를 분염구(6···)로부터 분염간격(4)중에 분기(噴氣)시켜 점화전(27)의 착화로 속히 기화연소를 일으켜 전부의 기화연소염으로 가스발생체(1)를 외측으로부터 가열한다.
한편 연소체(3)내에 압입된 혼기가스의 일부는 연소체(3)로부터 환류로(8), 연통구(11)를 경유하여 다시 가스발생체(1)내에 환류되어 새로이 발생한 혼기가스와 혼합하여 연소체(3)내에 압입된다.
따라서 연료가 생연소상태로부터 기화연소상태로 이행된 이후는 조작봉(12)을 회동조절시켜서 조절덤퍼(9)를 작동시켜 중공통(10)의 주벽에 의하여 환류로(8)를 전폐상태로하게 하는 동시에 통기구(20)도 절곡벽(13)으로 폐쇄하여 부송풍로(19)의 송풍작용을 정지시켜 발생한 혼기가스의 모드를 분염구(6)로부터 분염시켜 가스발생체(1)를 외측으로부터 가열한후, 송유관(23)으로부터 가스발생체(1)내에 송유된 생연료를 상기 가열작용과 연소용 공기의 보급작용과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혼기가스로 하여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기화연소를 계속시킬 수가 있다.
또, 기화연소의 이행시 혹은 예열연소시에 있어서도 연소상태에 응하여 조작봉(12)을 임의로 회동 조절시켜서 환류로(8) 및 통기구(20)의 개구정도를 수시 조절하면 혼기가스 및 예열연소염의 환류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분염구(6)로부터의 분염량을 소망량으로 할 수가 있는것은 물론 연소체(3)가 예열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기화연소의 이행시에 발생한 혼기가스가 냉각에 의하여 액화상태로 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 제5도에 표시된 제2실시예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는 가스발생체(1)내에서 발생한 예열연소염은, 연통로(7)를 경유하여 평방형상의 연소체(3")내에 도입되어서 그 일부의 예열연소염을 다수의 분염구(6')로부터 분염시켜 분염연소염의 일부에 의하여 가스발생에 (1)를 외측으로부터 가열시키는 동시에 다른 예열연소염을 연소체(3')로부터 환류로(8), 연통구(11) 및 부송풍로(19)를 경유하여 가스발생체(1)내에 환류시키면서, 그 완전연소화를 행하고 가스발생체(1) 및 연소체(3')를 내부로부터 예열시킨후, 그 연소를 일시정지하고, 이후 제1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으로 혼기가스를 연속하여 발생시켜 안정한 기화연소를 계속시킬 수가 있다.
또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된 제3실시예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는, 가스발생체(1")내에 있어서 발생한 예열연소염은, 2본의 연통로(7"), (7")를 경유하여 가스발생체(1")의 좌우 양측에 분염간격 (4"), (4")을 두어서 배설된 2개의 연소체(3"), (3")내에 동일되고, 그 예열연소염의 유통작용으로 가스발생에 (1') 및 좌우의 연소체(3"), (3")를 예열하면서 그의 일부를 다수의 분염구(6"), (6")로부터 분염시켜 연소염의 일부로 가스발생체(1")를 좌우 양측부터 가열하는 동시에 2개의 연소체(3")를 통과한 예열연소염은 환류로(8"), (8"), 연통구(11"), (11") 및 부송풍로(19)를 경유하여, 다시 가스발생체(1")내에 환류시켜서 예열연소염의 완전연소시켜 이후는 예열연소염의 발생을 일시정지한후 제1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으로 혼기가스를 발생시켜서 대용량의 기화연소를 용이하게 행한다.
이상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기화버어너는, 그 어느것도 예열연소염 및 기화연소염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향하여 분염시킨 것이지만, 제8도 및 제9도에 걸쳐서 표시된 제4실시예의 기화버어너에 있어서는, 예열연소염 및 기화연소염을 전방에 분염시킬 수가 있다.
즉, 가스발생체(1"')내에 있어서 발생한 예열연소염은 연통로(7"')를 경유하여 도우닛상의 연소체(3)내에 도입되어서 다수의 분염구(6"')로부터 전방에 향하여 분염시켜서 그 예열연소염의 전부 혹은 일부에 의하여 가스발생체(1')를 내외로부터 예열시킴과 동시에 연소체(3')내에 도입한 예열연소염의 일부를 환류로(8'), 연통구(11) 및 부송풍로(19)를 경유하여 가스발생체(1")내에 환류시켜, 예열연소염의 완전연소화를 도모한다.
그리고, 가스발생체(1"')가 소정온도로 예열되면, 이후는 예열연소를 일시 정지하고, 다시 분무노즐(21)로 부터 생연소료를 가스발생체(1"')내에 부산하여 제1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으로 혼기가스를 유효적으로 발생시켜 양호한 기화연소를 장기에 걸쳐 계속시킬 수가 있다.
요컨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스발생체와 연소체를 분염간격을 두어서 배설한 기화버어너에 있어서도 예열연소염의 연소실을 현저하게 증대시켜 그 완전연소화를 행하게 하고, 양호한 기화연소상태로 이행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예열연소염이 내부를 유통하는 가스발생체(1)와, 그 내부를 공동의 가스실(5)로 하여, 상기 가스발생체(1)를 향하여 예열연소염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분염하는 다수의 분염구(6)를 표면에 개구한 연소체(3)를 분염간격(4)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하고, 상기 가스발생체(1)의 선단측은 연통로(7)를 개재하여 연소체(3)의 도입측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연소체(3)의 도입측의 반대측은 가스발생체(1)의 베이스쪽에 환류로(8)를 개재하여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버어너.
  2. 예열연소염이 내부를 유통하는 가스발생체(1)와, 그 내부를 공동의 가스실로 하여, 상기 가스발생체를 향하는 예열연소염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분염하는 다수의 분염구(6)를 표면에 개구한 연소체(3)를 분염간격(4)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하고, 상기 가스발생체(1)의 선단측은 연통로(7)를 개재하여 연소체(3)의 도입측에, 또 연소체(3)의 도입측의 반대측은 가스발생체(1)의 베이스쪽에 환류로(8)를 개재하여 각각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환류로(8)를 개폐덤퍼(9)로 폐구정도를 임의로 조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버어너.
KR1019840003556A 1983-06-24 1984-06-23 기화버어너 KR910000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114093 1983-06-24
JP58114093A JPS608608A (ja) 1983-06-24 1983-06-24 気化バ−ナ
JP?58-114093 1983-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639A KR850000639A (ko) 1985-02-28
KR910000668B1 true KR910000668B1 (ko) 1991-01-31

Family

ID=1462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556A KR910000668B1 (ko) 1983-06-24 1984-06-23 기화버어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8608A (ko)
KR (1) KR910000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7037B2 (ja) * 1992-06-22 1998-04-08 サンポット株式会社 液体燃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9522A (en) * 1980-04-21 1981-11-19 Sanpotsuto Kk Vaporizing type liquid combustor
JPS6130008Y2 (ko) * 1981-02-18 1986-09-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8608A (ja) 1985-01-17
KR850000639A (ko) 1985-02-28
JPH0368289B2 (ko) 199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668B1 (ko) 기화버어너
US4551089A (en) Evaporation burner
KR880000395Y1 (ko) 기화 버어너
KR890001521B1 (ko) 기화 버어너
JPS6310323B2 (ko)
JPS5811316A (ja) 気化バ−ナ
US1353010A (en) Hydrocarbon-burner
KR890000340B1 (ko) 기화버어너에 있어서의 연소시동방법
JPH0138206B2 (ko)
KR880000698Y1 (ko) 기화 버어너
JP2639676B2 (ja) 気化バーナ
JPH0232978Y2 (ko)
JPS6246972Y2 (ko)
JPS5841411B2 (ja) 気化バ−ナ
JPS58138910A (ja) 気化バ−ナ
JPS5913450Y2 (ja) 気化バ−ナ
JPS5819933B2 (ja) 気化バ−ナ
JPS6335216Y2 (ko)
JPS60162112A (ja) ガンタイフ青炎オイルバ−ナ
JPS5888514A (ja) 気化バ−ナ
JPH01302013A (ja) 燃料燃焼装置
JPH0451726B2 (ko)
JPS5888516A (ja) 気化バ−ナ
JPS6119881B2 (ko)
JPS612220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