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104Y1 -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 Google Patents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104Y1
KR0124104Y1 KR2019940023263U KR19940023263U KR0124104Y1 KR 0124104 Y1 KR0124104 Y1 KR 0124104Y1 KR 2019940023263 U KR2019940023263 U KR 2019940023263U KR 19940023263 U KR19940023263 U KR 19940023263U KR 0124104 Y1 KR0124104 Y1 KR 0124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lame
burner
hole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731U (ko
Inventor
이준수
Original Assignee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서
Priority to KR2019940023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104Y1/ko
Publication of KR9600117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7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6Protecting flame and burn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20Flame lift-off / s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염공과 부염공을 갖고 부염공상에서 회류하는 가스에 점화를 이루도록 하는 불꽃점화부를 형성한 가스버너에 있어서 불꽃점화부로의 가스토출을 안정되게 하므로써 점화는 물론 연소상태 또한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점화 안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원주상으로 다수의 주염공(12)을 갖고, 하단에 수개의 부염공(14) 및 그 외측에 수개의 지지돌기를 형성한 버너헤드(10)와, 버너헤드(10)와 결합시 지지돌기에 의해 형성되며 부염공(14)으로 토출된 가스가 토출되는 부염공유로(16)가 형성되는 버너본체(30)와, 부염공상에 슬릿홈(32)을 형성하여 슬릿홈으로 회류하는 가스에 점화를 이루는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의 내측에서 버너헤드(10)측으로 돌출되어 주위의 부염공유로(16)에 비해 비교적 작은 간격의 부염공유로(16a)를 구성하는 저항돌기(17)와, 저항돌기(17)에 대응하는 부염공(14)에 인접하는 양측의 부염공(14a)은 상기 부염공(14)에 비해 비교적 크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돌기(34)에 인접하는 양측의 부염공(34a)의 크기를 비교적 크게 구성하여 지지돌기(34)에 의해 가스토출을 방해받는 지역의 부족량을 보상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제1도는 종래기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의 버너본체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버너본체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버너헤드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너헤드 12 : 주염공
14,14a,34a : 부염공 16,16a : 부염공유로
17 : 저항돌기 30 : 버너본체
34 : 지지돌기
본 고안은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염공과 부염공을 갖고 부염공상에서 회류하는 가스에 점화를 이루도록 하는 불꽃점화부를 형성한 가스버너에 있어서 불꽃점화부로의 가스토출을 안정되게 하므로써 점화는 물론 연소상태 또한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점화 안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스버너는 버너캡을 본체상에 얹어 놓아 버너캡상에 형성되는 염공으로만 이루어진 단일 염공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가스압이 높게 되면 리프팅현상(불날림)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점화 또한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는 결점을 갖고 있어, 최근에는 버너캡의 주염공 하단에 부염공을 형성하여 버너캡을 본체에 결합시 이중염공을 구성토록 하여 부염공상에 형성된 슬릿홈으로 토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이루어 부염공상에 점화를 이루고 부염공의 불꽃이 주염공으로 토출되는 가스에 점화를 이루도록 하므로써 가스압이 높을때도 부염공상의 불꽃이 주염공상의 불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리프팅이 방지되며, 점화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버너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원주상으로 다수의 주염공(12)을 갖는 버너헤드(10)가 구비되고, 버너헤드(10)의 하단 주연에는 수개의 부염공(14)이 형성되는데 이 부염공(14)은 주염공(12)에 비해 비교적 적은 개수로 구성되며, 버너헤드(10)가 버너본체(30)에 얹혀질 때 틈새가 형성되어 부염공(14)으로 토출되는 가스가 분출되도록 하는 부염공유로(16)를 형성하였다.
부염공유로(16)의 하단중 소정위치에 부염공유로(16)를 연통되는 슬릿홈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슬릿홈의 외측하면에는 점화유도돌기(34)를 구성하였다. 미설명 부호 36은 가스 유입부이고, 38은 혼합관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혼합관(38)을 통과한 가스가 가스유입부(36)로 유입되면, 유입가스는 주염공(12) 및 부염공(14)을 통해 토출되고 이때 최초 개폐노브(미도시)를 이용하여 점화를 이룰때의 가스유입량을 최대로 유지되는 것이 통상의 점화방식이므로 부염공(14)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 중 일부는 슬릿홈을 통해 하부로 토출되어 진다.
이때 개폐노브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는 점화플러그(40)에서 불꽃이 튀겨지게 되고 이 불꽃은 점화플러그(40)로부터 점화유도돌기(34)로의 고압 방전에 의해 발생되므로 슬릿홈의 하방에 불꽃이 튀게 되어 슬릿홈으로 토출되는 가스는 점화를 이루게 된다.
이어서 이 점화 불꽃을 슬릿홈 상부에 부염공유로(16)로 토출되는 가스에 옮겨지고 이 부염공유로(16)의 불꽃을 다시 주염공(12)의 토출되는 가스에 불 옮김되어 버너의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부염공을 통과한 가스가 별다른 저항없이 부염공유로로 토출되고 그 압력에 비례하여 슬릿홈으로 토출되는 점화에 필요한 가스의 압력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어 점화 성공률이 떨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것은 점화에 필요한 조건 즉 필요가스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소정의 부염공유로의 간격이 형성되어져야만 하는 종래의 상황에서는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인 것이다.
한편 종래의 버너헤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부염공유로는 그 크기가 일정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염공유로에서 점화되는 불꽃은 버너의 주연상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단속되는 부분이 발생되어 리프팅현상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불꽃 점화부로의 가스토출을 안정되게 함으로써 점화는 물론 연소상태 또는 안정되게 함과 동시에 부염공유로의 불꽃의 단속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점화 안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염공 및 부염공을 갖고 부염공상에 형성된 슬릿홈을 통해 점화를 이루는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의 내측에서 버너헤드측으로 돌출되어 주위의 부염공유로에 비해 비교적 작은 간격의 부염공유로를 구성하는 저항돌기와, 저항돌기에 대응하는 부염공에 인접하는 양측의 부염공은 상기 부염공에 비해 비교적 크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돌기에 인접하는 양측의 부염공의 크기를 비교적 크게 구성하여 지지돌기에 의해 가스토출을 방해받는 지역의 부족량을 보상토록 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종래와 동일 구성은 그 부호를 같이하여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면에 원주상으로 다수의 주염공(12)을 갖는 버너헤드(10)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단에는 버너캡(2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너헤드(10)는 버너본체(30)에 얹혀지게 된다.
버너헤드(10)의 하단 주연에는 수개의 부염공(14)이 형성되는데 이 부염공(14)은 주염공(12)에 비해 비교적 적은 개수로 구성되며, 버너헤드(10)가 버너본체(30)에 얹혀질 때 틈새가 형성되어 부염공(14)으로 토출되는 가스가 분출되도록 하는 부염공유로(16)가 형성되어 있다.
부염공유로(16)의 하단중 소정위치에 부염공유로(16)를 연통되는 슬릿홈이 형성되며, 슬릿홈의 외측하면에 점화유도돌기(34)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본체(30)의 내면중 상기 슬릿홈이 형성된 부분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헤드(10)측으로 돌출되어 주위의 부염공유로(16)에 비해 비교적 작은 간격의 부염공유로(16a)를 구성하는 저항돌기(17)가 형성되고, 이 저항돌기(17)는 슬릿홈이 위치한 부염공유로로 토출되는 가스의 토출작용을 방해하여 토출압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돌기(17)에 대응하는 부염공(14)에 인접하는 양측의 부염공(14a)은 상기 부염공(14)에 비해 비교적 크게 구성되어 저항돌기(17)의 저항에 의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슬릿홈으로의 가스토출량을 보상해 주게 된다.
한편 버너헤드(10)의 주연에 형성되어 버너본체(30)와 결합시 소정의 간격(부염공유로)을 형성하게 되는 지지돌기(34)에 인접하는 양측의 부염공(34a)의 크기도 비교적 크게 구성하여 지지돌기(34)에 의해 가스토출을 방해받는 지역에 가스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버너헤드(10)와 버너본체(30)의 결합시 회전을 방지토록 고정홈(37)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5)의 주연에 위치하는 부염공(35a)의 크기로 상기 부염공(34a)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비교적 많은 가스가 토출토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36은 가스 유입부이고, 38은 혼합관이며, 40은 점화플러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혼합관(38)을 통과한 가스가 가스유입부(36)로 유입되면, 유입가스는 주염공(12) 및 부염공(14)을 통해 토출되고 부염공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 중 일부는 슬릿홈을 통해 하부로 토출되어 진다. 이때 부염공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가스는 그 부분에 제공된 저항돌기(17)에 의해 저항을 받으며 그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가스가 토출되어 진다. 또한 저항돌기(17)에 대응하는 부염공(14)의 양측에 형성되는 비교적 크게 구성되는 부염공(14a)으로는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가스가 토출되어 상기 저항돌기(17)가 설치되므로 인해 감소되는 가스량을 보충하여 적정압력을 유지하면서 점화에 필요한 가스량을 슬릿홈상으로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점화플러그(40)로부터 불꽃이 튀게 되어 슬릿홈으로 토출되는 가스는 점화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 점화 불꽃은 통상과 같이 슬릿홈 상부에 부염공유로(16)로 토출되는 가스에 옮겨지고 이 부염공유로(16)의 불꽃을 다시 주염공(12)의 토출되는 가스에 불 옮김되어 버너의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지지돌기(34)가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 형성되는 부염공(34a)의 크기가 비교적 크게 구성되어 있어 가스토출량이 많아지게 되고 토출된 가스는 지지돌기(34)에 의해 토출이 제어되는 지역으로 확산되어 부염공 주연에는 전체적으로 고른 상태의 가스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점화시 부염공상의 불꽃은 끊어지지 않고 연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통일된 가열공간을 형성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게 되고, 나아가서 외관상 불꽃의 형태를 보기 좋은 상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의 점화 안전장치는 부염공유로상에 저항돌기를 형성하고 부염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저항돌기로 인한 가스부족량을 보상하여 적정압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점화 및 연소를 이루게 됨으로써 점화실패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됨은 물론 연소시에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리프팅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염공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배열 함으로써 부염공상의 불꽃이 버너주연에 걸쳐 끊어지지 않고 고르게 유지되어 불꽃이 외관을 좋게 하고, 리프팅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상면에 원주상으로 다수의 주염공(12)을 갖고, 하단에 수개의 부염공(14) 및 그 외측에 수개의 지지돌기를 형성한 버너헤드(10)와, 상기 버너헤드(10)와 결합시 지지돌기에 의해 형성되며 부염공(14)으로 토출된 가스가 토출되는 부염공유로(16)가 형성되는 버너본체(30)와, 상기 부염공(16)상에 슬릿홈을 형성하여 슬릿홈으로 회류하는 가스에 점화를 이루는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의 내측에서 버너헤드(10)측으로 돌출되어 주위의 부염공유로(16)에 비해 비교적 작은 간격의 부염공유로(16a)를 구성하는 저항돌기(17)와, 상기 저항돌기(17)에 대응하는 부염공(14)에 인접하는 양측의 부염공(14a)은 상기 부염공(14)에 비해 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34)에 인접하는 양측의 부염공(34a)을 지지돌기(34)에 의해 가스토출을 방해받는 지역의 부족량을 보상토록 부염공(14)보다 크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KR2019940023263U 1994-09-08 1994-09-08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KR0124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263U KR0124104Y1 (ko) 1994-09-08 1994-09-08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263U KR0124104Y1 (ko) 1994-09-08 1994-09-08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731U KR960011731U (ko) 1996-04-15
KR0124104Y1 true KR0124104Y1 (ko) 1998-10-01

Family

ID=1939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263U KR0124104Y1 (ko) 1994-09-08 1994-09-08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1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226B1 (ko) * 1998-02-04 2000-07-01 양주용 고열량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731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8051B2 (en) Gas burner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533867B1 (ko) 가정용 조리기를 위한 가스버너
KR0124104Y1 (ko)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KR100272358B1 (ko)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CN109140444B (zh) 火盖组件、燃烧器及燃气灶
JPH02106607A (ja) ラジアントガスバーナ
CN210861204U (zh) 一种完全上进风式燃烧器及应用该燃烧器的集成灶
JP2003194310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KR200178206Y1 (ko)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KR100531436B1 (ko) 가스버너
KR101792822B1 (ko) 팁 과열방지 구조를 가지는 연소기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KR100260226B1 (ko) 고열량 버너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JPH11264517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CN109140447B (zh) 火盖组件、燃烧器及燃气灶
CN219283333U (zh) 燃烧器及包含其的燃气灶具
KR100782121B1 (ko)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KR20010095891A (ko) 가스버너의 버너캡 구조
CN211372406U (zh) 一种完全上进风式燃烧器
KR200141457Y1 (ko) 버너의 1차공기 공급장치
KR0170166B1 (ko) 곤로버너
JP2023079076A (ja) コンロバーナ、ガスコンロ
KR20010095890A (ko) 가스버너
KR100257612B1 (ko)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JP3667834B2 (ja) 低NOxガス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