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612B1 -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 Google Patents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612B1
KR100257612B1 KR1019970080674A KR19970080674A KR100257612B1 KR 100257612 B1 KR100257612 B1 KR 100257612B1 KR 1019970080674 A KR1019970080674 A KR 1019970080674A KR 19970080674 A KR19970080674 A KR 19970080674A KR 100257612 B1 KR100257612 B1 KR 100257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ignition
pilot
flam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448A (ko
Inventor
김현학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8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61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기구의 버너구조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버너헤드(30)와버너캡(40)를 파일롯트방식 버너와 직접점화방식 버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버너헤드(30)의 상면에 다수개의 염공(32,33,34)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버너헤드(30)에 점화공간(31)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화공간(31)에서 하부로 점화가이드(39)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점화공간(31)에 점화전극(20)의 쵸크(21)를 위치시켜 직접점화방식 버너를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점화가이드(39)에 대응되는 위치에 파일롯트버너를 설치하여 파일롯트방식 가스버너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본 발명은 가스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롯트 점화방식과 직접점화방식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스기구의 버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기구의 버너구조는 점화방식에 따라 크게 파일롯트 점화방식과 직접점화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직접점화방식의 버너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의 버너구조는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전극(1)과, 상기 점화전극(1)에 의해 화염을 형성하는 버너헤드(2)와, 상기 버너헤드(2)로부터의 화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염공(4)이 형성된 버너캡(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점화전극(1)은 사용자가 노브(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킴에 의해 그 선단부의 쵸크(1a)에서 고전압을 방전하여 점화를 위한 스파크를 일으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버너헤드(2)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점화전극(1)이 위치되는 가이드홈(2a)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홈(2a)내에 위치된 점화전극(1)에서 스파크가 발생되면, 상기 버너헤드(2)로 공급된 가스가 점화되어 화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버너헤드(2)의 내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너캡(3)의 안착돌기(3a)를 수용하는 안착홈(2b)이 형성되는데, 이는 버너캡(3)과 버너헤드(2)가 결합될 때 상기 안착돌기(3a)가 상기 안착홈(2b)내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버너헤드(2)의 상부에 안착되는 버너캡(3)은 상기 버너헤드(2)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외부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염공(4)이 버너캡(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안착홈(2b)의 내부로 안착되어 버너캡(3)을 버너헤드(2)에 고정시키는 안착돌기(3a)가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염공(4)은 점화전극(1)의 쵸크(1a)에 의한 스파크에 의해 최초로 화염이 이루어지는 점화염공(4a)과 상기 점화염공(4a)으로부터 전달되어 주화염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대염공(4c) 그리고 조리시에 양측면으로 불꽃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염공(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버너기구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노브를 조작하면 순간적으로 고전압이 상기 점화전극(1)에서 발생되어 쵸크(1a)에는 스파크가 발생하게 된다. 동시에 가스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서 공급된 가스는 버너헤드(2)를 통해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점화전극(1)의 쵸크(1a)는 점화염공(4a)과 인접되어 위치되어 있으므로 점화염공(4a) 부위에서 화염이 발생하고, 상기 화염이 상기 대염공(4c)과 소염공(4b)을 통하여 옮겨지면서 버너 전체의 염공(4)을 통해 화염이 분사되게 된다.
한편, 제2도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일롯트 점화방식의 버너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파일롯트 점화방식의 버너구조는 점화를 위한 파일롯트버너(5)와, 상기 파일롯트버너(5)의 점화에 의해 화염을 형성하는 버너헤드(7)와, 상기 버너헤드(7)로부터의 화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염공(9)이 형성된 버너캡(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일롯트버너(5)는 점화를 위한 불꽃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가스버너의 내부에 위치되어 별도의 경로를 통해 전달된 가스를 연소시켜 점화를 위한 불꽃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파일롯트버너(5)에 의해 제공되는 불꽃을 안내하기 위한 점화 가이드(6)가 상기 버너헤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7)는 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로 가스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 가스가 공급된다. 상기 버너캡(8)은 상기 버너헤드(7)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 가장자리 하부에 다수개의 염공(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일롯트 방식의 버너에 있어서는 상기 파일롯트버너(5)에 의해 형성된 화염이 상기 점화가이드(6)를 통해 버너캡(8)에 형성되어 있는 염공(9)으로 전달되어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너구조에 의하면 파일롯트 점화방식과 직접점화방식의 버너를 구성하는 부품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파일롯트 점화방식과 직접점화방식의 버너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부품에 대해 별도의 설계를 하고 별도의 금형을 만들어야 하며, 생산된 부품을 별도로 관리하여야 하므로 비용의 측면에서 많은 불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일롯트 점화방식의 버너와 직접점화방식에 사용되는 부품을 공용화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직접점화방식의 버너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일롯트점화방식의 버너구조를 보인 개략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기구의 버너구조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헤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캡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점화전극 21 : 쵸크
30 : 버너헤드 31 : 점화공간
32 : 대염공 33 : 소염공
34 : 점화염공 36 : 체결부
39 : 점화가이드 40 : 버너캡
41 : 체결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점화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이 위치되는 점화공간이 외측면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점화공간의 내측하부로 점화가이드가 연장형성되며, 상면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염공이 형성된 버너몸체와, 상기 버너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염공의 상부를 형성하는 버너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공간에는 파일롯트점화방식과 직접점화방식의 점화수단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버너캡과 버너헤드를 사용하여 파일롯트점화방식의 버너와 직접점화방식의 버너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기구의 버너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기구의 버너구조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헤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버너캡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크게 점화전극(20)과, 버너헤드(30)와, 버너캡(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점화전극(20)은 직접점화방식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선단부에 고전압을 방전하는 쵸크(21)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점화전극(20)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너헤드(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38)에 장착되어, 그 선단부의 쵸크(21)가 상기 버너헤드(30)의 점화공간(3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버너헤드(30)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그 외면 일측에 점화공간(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화공간(31)은 상기 버너헤드(30)의 외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점화공간(31)의 내측 하부로는 상기 버너헤드(30)와 일체로 점화가이드(3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30)의 상면에는 주화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대염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염공(32)은 일정 간격(예를 들면 5° 내외의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염공(32)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 사이에 역시 일정 간격(예를 들면 60° 간격)으로 소염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염공(33) 화염이 지나치게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버너헤드(30)의 점화공간(31) 측의 상면에는 점화염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점화염공(34)은 버너헤드(30)로부터 전달된 가스가 상기 점화전극(20)에서 발생된 스파크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버너헤드(30)의 일측에는 열감지기(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되는 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간(35)은 상기 점화공간(31)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열감지기는 버너가 동작된 상태에서 연소가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동작도중에 불이 꺼져 가스가 연소되지 않고 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30)의 중심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너캡(40)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너헤드(30)의 상부에는 버너캡(40)이 올려진다. 이와 같은 버너캡(40)은 상기 버너헤드(30)에 설치되어 상기 염공(32,33,34)의 상부를 형성하여 버너헤드(30)의 내부를 통해 전달된 가스가 분출되면서 화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버너캡(40)의 중간에는 상기 버너헤드(30)의 체결부(36)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4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점화공간(31)에 점화전극(20)이 설치된 것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점화공간(31)내에 형성되어 있는 점화가이드(39)에 대응되는 위치에 파일롯트버너를 설치하여 파일롯트방식의 버너로 만들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염공(32,33,34) 들을 상기 버너헤드(30)의 상면에 형성하였고, 상기 버너헤드(30)에 점화가이드(39)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점화공간(31)에 점화전극(20)의 쵸크(21)가 위치된 직접점화방식의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노브(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점화전극(20)의 쵸크(21)에서 고전압이 방전되어 스파크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쵸크(21)에서 방전되는 고전압은 상기 버너캡(40)을 향해 방전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점화염공(34)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가 점화되어 연소되면서 화염이 옆의 대염공(32)과 소염공(33)으로 전달되어 버너 전체에서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공간(31)의 상기 점화가이드(39)에 대응되는 위치에 파일롯트버너가 위치되는 파일롯트점화방식의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도 사용자가 노브를 조작하게 되면 가스가 별도의 유로를 통해 상기 파일롯트버너로 전달되어 연소가 되면서 점화를 위한 화염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화염은 상기 점화가이드(39)를 통해 상기 버너헤드(30)에 형성되어 있는 염공(34,33,32)으로 전달되어 분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버너헤드(30)와 버너캡(40)을 사용하여 파일롯트방식의 버너와 직접점화방식의 버너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각각 같은 금형으로 만들어진 버너헤드(30)와 버너캡(40)을 파일롯트방식의 버너를 제조할 때에도 사용하고 직접점화방식의 버너를 제조할 때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별개로 생산되어 관리되던 부품을 통괄하여 생산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2원화되어 있는 생산라인과 관리체계를 1원화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기구의 버너구조는 동일한 형상의 버너헤드와 버너캡에 각각 다른 점화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파일롯트방식 버너와 직접점화방식 버너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부품의 생산 및 관리가 일원화 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투자비가 절감되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점화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이 위치되는 점화공간이 외측면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점화공간의 하부로 점화가이드가 연장형성되며, 상면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염공이 형성된 버너몸체와, 상기 버너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염공의 상부를 형성하는 버너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공간에는 파일롯트점화방식과 직접점화방식의 점화수단이 선택적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KR1019970080674A 1997-12-31 1997-12-31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KR100257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674A KR100257612B1 (ko) 1997-12-31 1997-12-31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674A KR100257612B1 (ko) 1997-12-31 1997-12-31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448A KR19990060448A (ko) 1999-07-26
KR100257612B1 true KR100257612B1 (ko) 2000-06-01

Family

ID=1953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674A KR100257612B1 (ko) 1997-12-31 1997-12-31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81B1 (ko) * 2020-02-03 2020-03-03 김형태 가스레인지의 에너지절약형 헤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279A (ko) * 1990-07-24 1992-02-29 오오가 노리오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279A (ko) * 1990-07-24 1992-02-29 오오가 노리오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448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612B1 (ko) 가스기구의 버너구조
KR100272358B1 (ko)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EP0485088B1 (en) Gas burners
KR20030023059A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KR200427314Y1 (ko)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KR0124104Y1 (ko)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KR100782121B1 (ko)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KR100260226B1 (ko) 고열량 버너
KR200380477Y1 (ko) 가스레인지용 노즐 버너
KR200153994Y1 (ko) 가스버너
KR200153248Y1 (ko) 가스기기의 버너
KR100227262B1 (ko) 가스버너의 노즐바디
KR100217113B1 (ko) 가스버너
KR100220398B1 (ko) 가스레인지의 버너의 구조
KR200141457Y1 (ko) 버너의 1차공기 공급장치
KR200259655Y1 (ko) 심지식 난로의 연소통
KR0133638Y1 (ko) 오방전 방지용 버너
KR870001849Y1 (ko) 가스 기구
KR19990060420A (ko)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KR20010018415A (ko) 가스조리기의 버너구조
KR200162294Y1 (ko) 가스레인지의 버너
KR20000025789A (ko) 가스버너
KR19990018944U (ko) 가스기기의 파이롯트버너기능이 일체화된 버너구조
JPH01234706A (ja) バーナ装置
KR20030057764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탑버너부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