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199A -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199A
KR20140033199A KR1020147000291A KR20147000291A KR20140033199A KR 20140033199 A KR20140033199 A KR 20140033199A KR 1020147000291 A KR1020147000291 A KR 1020147000291A KR 20147000291 A KR20147000291 A KR 20147000291A KR 20140033199 A KR20140033199 A KR 20140033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valve body
content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192B1 (ko
Inventor
요시유키 가쿠타
사토시 사카모토
게이스케 미야이리
덴미 구와가키
마사시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53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7888B2/ja
Application filed by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9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slide val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물의 토출 후, 내용기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11) 및 상기 내용기(11)가 내장됨과 함께 상기 내용기(11)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 구멍(19)이 형성된 외용기(12)를 갖는 용기 본체(13)와, 상기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에 장착되고,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14)가 형성된 토출 캡(15)을 구비하고, 토출 캡(15)은 입구부(13a)를 폐색하는 중간 마개 부재(21)와, 상기 중간 마개 부재(21)를 덮음과 동시에 토출구(14)가 형성된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의 본체 통 부재(23)를 구비하고, 중간 마개 부재(21)에는, 토출구(14)와 내용기(11) 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43)이 형성되고, 연통 구멍(43) 내에는, 당해 연통 구멍(43)의 축선(O)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축선(O)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위하여 당해 연통 구멍(43)을 개폐하는 밸브체부(44)가 배치되어 있는 토출 용기(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토출 용기{DISPENSING CONTAINER}
본 발명은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적층 박리 구조의 토출 용기에 있어서의 캡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용기를 주로 가압함으로써 내용액을 주출하도록 한 토출 용기로서, 종래, 내용액이 수용된 내용기(내층)와, 상기 내용기가 적층된 외용기(외층)를 갖는 적층 박리 용기(디라미네이션 용기 등이라고도 불림)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토출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 토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해 수축 변형되는 가요성이 우수한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내장됨과 함께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고,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캡과, 외부와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외기 도입 구멍과 흡기 구멍과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하는 에어밸브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토출 캡은,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의 본체 통 부재와, 상기 본체 통 부재 내에 연통하는 주출 통과, 본체 통 부재 내 및 주출 통 내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하는 역지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31280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토출 용기에서는, 내용기 내의 내용물을 토출한 후, 역지 밸브가 작동함으로써 내용기에 복귀되지 않고 주출 통 내에 잔존한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누출해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내용물의 토출 후, 내용기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해 수축 변형되는 가요성이 우수한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내장됨과 함께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고,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캡과, 외부와 상기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흡기 구멍과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하는 에어밸브부를 구비하는 토출 용기이며, 상기 토출 캡은, 상기 입구부를 폐색하는 중간 마개 부재와, 상기 중간 마개 부재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의 본체 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마개 부재에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내용기 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 구멍 내에는, 당해 연통 구멍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위하여 당해 연통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체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당해 토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할 때에는, 예를 들어 토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를 기울여서 토출 자세로 하고, 토출 용기를 그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압입하여 내용기 내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내용기 내의 내용물에 밸브체부를 가압시킨다. 그러면 밸브체부가,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의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위되어, 연통 구멍을 개방한다. 이에 의해, 내용기 내의 내용물이, 연통 구멍 및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그후, 토출 용기를 원래의 정립 자세로 복귀시키면서, 토출 용기의 압입을 정지, 해제함으로써, 내용기 내의 내용물에 의한 밸브체부에의 가압력을 약화시키면, 밸브체부가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의 내측으로 복원 변위한다.
이때, 밸브체부가 연통 구멍 내에 진입하면, 밸브체부가 연통 구멍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연통 구멍이 폐색된다. 이에 의해, 본체 통 부재와 중간 마개 부재와의 사이에, 내용기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이 잔존하는 내공간이 형성된다. 이 내공간은, 토출구에 연통하는 동시에 밸브체부를 획벽의 일부로 하여, 상기 밸브체부에 의해 연통 구멍과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내공간이 형성된 후, 상기 밸브체부가 복원 변위를 계속하여 연통 구멍 내를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면, 밸브체부의 복원 변위에 따라 내공간의 내용적이 증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 내의 내용물을 내 공간 내에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토출구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당해 토출 용기에 의하면, 내용물의 토출 후, 토출구 내의 내용물을 내 공간 내에 인입하고, 토출구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할 수 있으므로, 내용기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이 토출구 내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 후,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마개 부재는, 외주연부가 상기 입구부의 개구단부 위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내용기 내에 개구하는 관통 구멍이 관설된 마개 본체와, 상기 마개 본체로부터 입설됨과 동시에, 내부에 상기 관통 구멍이 개구해 상기 내부가 상기 연통 구멍으로 되는 연통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연통 구멍보다 소직경이어도 된다.
이 경우, 관통 구멍이, 연통 구멍보다 소직경이므로, 밸브체부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내용기의 내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더라도, 밸브체부가, 마개 본체에 있어서 연통 통부보다 그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 하게 되어, 밸브체부의 전술한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토출 용기의 미조작 시에, 밸브체부가 마개 본체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에는, 밸브체부에 의해 연통 구멍과 관통 구멍과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을 토출하여 상기 내공간이 형성된 후, 밸브체부가 복원 변위할 때에, 상기 밸브체부에 연통 구멍 내를 상기 축선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공간의 내용적을 확실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전술한 작용 효과를 현저하게 성공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미끄럼 접촉)이란, 전술한 작용 효과가 발휘되는 범위이면, 밸브체부와 연통 구멍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밸브체부가, 탄성 변형하는 탄성 연결편에 의해, 연통 통부와 동축상으로 배치된 통 모양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탄성 연결편은, 탄성 변형함으로써, 밸브체부가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경우, 복수의 탄성 연결편이, 연통 구멍의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토출 용기에 있어서는, 축선 방향에 대하여 밸브체부가 경사진 상태(악화된 상태)가 안되도록 하면서, 당해 밸브체부가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토출 용기에 있어서, 탄성 연결편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토출 용기에 의하면, 탄성 연결편은 밸브체부와 연통 통부와 동축상으로 배치된 통 모양 부재와의 사이에 간결하게 수용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밸브체부가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변위할 때, 탄성 연결편 자체는 (나사) 조임된 상태로 되고, 당해 탄성 연결편의 탄성이, 밸브체부를 변위 전의 위치로 복원 변위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축선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밸브체부에 접촉하여 당해 밸브체부의 탄성 변위량을 규제하는 변위량 규제부가, 본체 통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변위량 규제부에 의해, 토출구가 폐색되지 않도록 밸브체부의 최상승 위치(변위 한계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또한, 토출 용기는, 상기 토출 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오버 캡을 구비하고, 상기 오버 캡에는, 상기 토출구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시일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오버 캡에 시일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버 캡을 폐쇄한 상태에서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이 갑자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토출 후, 내용기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이 토출구 내에 잔존하기 어려워지므로, 내용물의 토출 후에 오버 캡을 토출 캡에 장착시키고, 시일부를 토출구 내에 끼워맞추게 했을 때에, 시일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압출되거나, 시일부에 내용물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토출 용기에 있어서의 시일부는, 오버 캡을 폐쇄한 피개 상태일 때에 밸브체부의 탄성 변위를 억제하는 억제부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피개 상태에 있어서의 밸브체부의 변위가 억제되고, 유통이나 보관 상태에 있어서, 예기치 않은 외력 등에 의해 용기 본체가 가압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연통 구멍의 폐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시일부가 설치된 오버 캡을 구비하고 있는 토출 용기에 있어서는, 밸브체부의 벨브 착지 중 당해 밸브체부와 접촉하는 부위의 일부에, 내용물의 유통을 허용하는 유통 허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유통 허용 홈에 의해, 밸브체부가 벨브 착지에 착석한 폐색 상태 후에도, 상기 내공간에 잔류한 내용물을 내용기 내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유통 허용 홈의 크기는 내용물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표면 장력에 의해 내용물이 상기 유통 허용 홈 내에 멈추고, 이 홈을 개재한 공기의 연통을 저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내공간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잔류를 적게 할 수 있고, 오버 캡을 폐쇄하여 피개 상태로 하여 시일부가 토출구에 인입하여 끼워맞춰진 때에도, 당해 시일부의 체적에 따라서 내용물을 압출하는 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 캡을 폐쇄하여 피개 상태로 할 때에 내용물이 넘쳐서 오버 캡의 내측이나 토출 캡이 더럽혀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통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토출구의 개구 주연부에는, 내부가 상기 토출구에 연통하는 보조 통부가, 상기 연통 구멍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본체 통 부재에 있어서의 토출구의 개구 주연부에, 내부가 상기 토출구에 연통하는 보조 통부가, 연통 구멍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의 토출 후, 토출구 내에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었을 때, 이 공기가 토출구로부터 연통 구멍 측을 향하여 더 인입되었을 때에, 공기는 보조 통부 내에 인입되게 된다. 이렇게 보조 통부 내에 인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의 축선 방향으로 깊게 연통 구멍 측을 향하여 인입되고, 토출구의 직경 방향으로 확산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토출구 내 뿐만 아니라 보조 통부 내에 이르기까지 공기를 흡인하고, 내용물의 토출 후, 내용기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이 토출구 및 보조 통부의 각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토출 용기가, 토출 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오버 캡을 구비하고, 상기 오버 캡에, 토출구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시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토출 후, 내용기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이 토출구 및 보조 통부의 각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시일부를, 토출구 내까지가 아니라, 보조 통부 내까지 이르게 해도, 시일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외부로 압출되거나, 시일부에 내용물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시일부를 보조 통부 내까지 이르게 해서, 토출구 및 보조 통부의 양쪽 내부에 일체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오버 캡을 폐쇄한 상태에서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이 갑자기 누출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마개 부재는, 내부가 상기 연통 구멍으로 되는 연통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 통부에는, 상기 밸브체부가 탄성 연결편을 개재하여 연결된 외측끼움 통부가 외측끼움되고, 상기 탄성 연결편은, 상기 밸브체부 측에서 상기 외측끼움 통부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상기 내용기의 외측을 향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탄성 연결편이, 밸브체부 측에서 외측끼움 통부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의 외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밸브체부가,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의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위했을 때에, 밸브체부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부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토출 용기가 그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갑자기 약간 압입된 경우 등에, 밸브체부가 작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용물이 오조작에 의해 토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토출할 때, 내용기 내의 내용물에 의한 밸브체부에의 가압력이 약화되었을 때에, 밸브체부를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의 내측에 원활하게 복원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술한 작용 효과를 확실하게 성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 용기에 의하면, 내용물의 토출 후, 내용기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를 구성하는 연결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연결체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변형예를 구성하는 연결체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를 구성하는 연결체 등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밸브체부가 탄성 변위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의 주요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 마개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3의 (b)는 상기 중간 마개 부재의 연통 통부에 형성된 유통 허용 홈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밸브체부가 탄성 변위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토출 용기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토출 시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내용물의 토출 후, 토출 용기가 복원할 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오버 캡으로 피개한 상태의 토출 캡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오버 캡을 덮개 개방한 상태의 토출 캡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오버 캡을 덮개 개방한 상태의 토출 캡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오버 캡을 덮개 개방한 상태의 토출 캡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오버 캡으로 피개한 상태의 토출 캡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용기(10)는 내용물(M)(도 4 참조)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M)의 감소에 수반해 수축 변형되는 가요성이 우수한 내용기(11) 및 내용기(11)가 내장됨과 함께 탄성 변형 가능한 외용기(12)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3)와,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에 장착되고, 내용물(M)을 토출하는 토출구(14)가 형성된 토출 캡(15)과, 토출 캡(15)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오버 캡(1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3)는 바닥이 있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16)은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16)의 피개 상태에 있어서, 이들의 용기 본체(13) 및 오버 캡(16)의 각 중심축이 공통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이 공통축을 용기축(O)이라고 하고,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오버 캡(16) 측을 상측, 용기 본체(13)의 도시하지 않은 저부측을 하측이라고 하고, 또한 용기축(O)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용기축(O)을 중심으로 주회하는 방향을 주위 방향이라고 한다.
용기 본체(13)는 내용기(11)가 외용기(1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소위 디라미네이션 버틀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13)는 예를 들어 공압출 성형한 2층 구조의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성형된다. 외용기(12)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제나 폴리프로필렌 수지제 등으로 됨과 동시에, 내용기(11)는 예를 들어 외용기(12)를 형성하는 수지에 대하여 상용성이 없는 폴리아미드계의 합성 수지제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제 등으로 되어 있다.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통부(17)와, 하측에 위치하고 상통부(17)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 하통부(18)를 구비하는 2단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통부(17) 중, 외용기(12)로 구성된 부분(이하, 외상통부라고 함)(17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상통부(17a)에 있어서, 수나사부(29)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내용기(11)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29)에 있어서 흡기 구멍(19)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용기축(O)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외상통부(17a)의 내주면은 원통면으로 되고, 이 내주면에, 상통부(17) 중, 내용기(11)로 구성된 부분(이하, 내상통부라고 함)(17b)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내상통부(17b)의 상단부는,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되접어져서 외상통부(17a)의 개구단부 위에 배치되어 있다.
토출 캡(15)은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를 폐색하는 중간 마개 부재(21)와, 상기 중간 마개 부재(21)를 덮음과 동시에 토출구(14)가 형성된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의 본체 통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마개 부재(21)는 외주연부가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개구단부 상에 배치된 마개 본체(47)와, 상기 마개 본체(47)로부터 입설된 연통 통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마개 본체(47)는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 내에, 상기 입구부(13a)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 모양의 내통부(24)와, 내통부(24)의 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개구단부 상에 배치된 플랜지부(25)와, 플랜지부(25)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외통부(26)와, 내통부(24)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플랜지부(25)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고,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 내에 액밀하게 끼워맞춰진 중간통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내통부(24), 플랜지부(25), 외통부(26) 및 중간통부(27)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26)의 하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외기류 통과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24)의 저벽부에는, 상기 연통 통부(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저벽부에는, 내용기(11) 내 및 연통 통부(22) 내의 양쪽에 개구하는 관통 구멍(42)이 관설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42)은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연통 통부(22)의 내경보다 소직경이며, 관통 구멍(42)의 용기축(O) 방향을 따른 크기는, 연통 통부(22)의 용기축(O) 방향을 따른 크기보다 작아져 있다.
본체 통 부재(23)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 통 부재(23)의 주위벽부(23a)의 내주면에는,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수나사부(29)에 나사 장착된 암나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부(23a) 중, 암나사부(30)가 형성된 나사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하단부 내에는,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에 있어서의 하통부(18)가 기밀 상태로 끼워맞춰지고, 상기 나사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 내에는, 중간 마개 부재(21)의 외통부(26)가 끼워맞춰져 있다.
본체 통 부재(23)의 천장 벽부(23b)는 주위벽부(23a)의 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환상의 하부 판부(31)와, 하부 판부(31)의 내경보다 소직경으로 되고, 하부 판부(31)보다 상방에 배치된 상부 판부(32)와, 하부 판부(31)의 내주연과 상부 판부(32)의 외주연을 연결하는 연결 환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하부 판부(31), 상부 판부(32) 및 연결 환부(33)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결 환부(33)에는, 본체 통 부재(23) 내와 외부를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판부(32)에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고, 내경이 중간 마개 부재(21)의 내통부(24)의 내경과 동등하게 된 받침 통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판부(32)에는, 내부가 상기 토출구(14)로 된 토출 통(36)이 관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4) 내에는, 오버 캡(16)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내시일 통부(시일부)(37)가 끼워맞춰져 있다. 또한 토출 통(36)에는, 오버 캡(16)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외시일 통부(38)가 외측끼움되어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토출 통(36)의 축선은, 용기축(O)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비켜놓아져 있고, 용기축(O)을 직경 방향으로 끼운 토출 통(36)의 반대측에는, 토출 캡(15)과 오버 캡(16)을 연결하는 힌지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토출구(14)의 축선 방향은, 용기축(O)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중간 마개 부재(21)와 본체 통 부재(23)와의 사이에는, 중간 마개 부재(21)의 연통 통부(22)에 외측끼움된 외측끼움 통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끼움 통부(40)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고, 외측끼움 통부(40)의 하단부는, 연통 통부(22)에 외측끼움됨과 동시에 중간 마개 부재(21)의 내통부(24) 내에 끼워맞춰지고, 외측끼움 통부(40)의 상단부는, 본체 통 부재(23)의 받침 통부(35) 내에 끼워맞춰져 있다.
외측끼움 통부(40)의 용기축(O)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는,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환상의 에어밸브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밸브부(41)는 받침 통부(35)와 연결 환부(33)와의 사이의 공간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에어밸브부(41)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고, 흡기 구멍(19)과 외기 도입 구멍(34)과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한다.
또한 중간 마개 부재(21)에는, 토출구(14)와 내용기(11) 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43)은 연통 통부(22)의 내부에 의해 구성되고,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축(O) 방향과, 연통 구멍(43)의 축선 방향과는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연통 구멍(43)은 토출구(14)보다 하측, 즉 용기축(O) 방향을 따른 내용기(1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연통 구멍(43)의 내용적은, 토출구(14)의 내용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구멍(43) 내에는,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위하여 당해 연통 구멍(43)을 개폐하는 밸브체부(44)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부(44)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밸브체부(44)의 저면은, 중간 마개 부재(21)에 있어서의 마개 본체(47) 중, 내통부(24)의 저벽부에 있어서 연통 통부(22)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은, 관통 구멍(42)의 상단부 개구면 상에 위치하고, 관통 구멍(42)과 연통 구멍(43)과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부(44)의 상단부는, 연통 통부(22)의 상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44)의 상단부(도 9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부(44)의 플랜지부(44a))에는, 밸브체부(44)와 외측끼움 통부(40)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편(45)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탄성 연결편(45)은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도시의 예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고, 각 탄성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탄성 연결편(45)의 양단부의 용기축(O) 방향의 위치는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부(44), 외측끼움 통부(40), 탄성 연결편(45) 및 에어밸브부(41)는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체(48)를 구성하고 있다.
탄성 연결편(45)은 탄성 변형함으로써,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한다(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렇게 탄성 연결편(45)이 탄성 변형하면서 밸브체부(44)가 변위하는 것을 탄성 변위라고 표현하고 있음). 탄성 연결편(45)이 본 실시 형태처럼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3개)일 경우, 이들 탄성 연결편(45)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이렇게 탄성 연결편(45)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탄성 변위할 때의 밸브체부(44)가 용기축(O)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악화된 상태)가 안되도록 하여 당해 밸브체부(44)가 원활한 변위를 보조할 수 있다(도 9, 도 10 등 참조).
밸브체부(44)가 탄성 변위할 때, 탄성 연결편(45)은 일부에 꼬임(비틀림)이 더하여져서 탄성 변형하면서 전체적으로 경사진 상태로 된다(도 10 참조). 이때, 탄성 연결편(45) 자체는 일부가 (나사) 조임된 상태로 되고, 한편 상태에 따라서 전체가 더 신장한 상태로 되어, 당해 탄성 연결편(45)의 탄성 복원력이, 밸브체부(44)를 변위 전의 위치로 복원 변위(복귀)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탄성 변위 또는 복원 변위할 때, 밸브체부(44)가 용기축(O)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도 지장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탄성 연결편(4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여 연장되고, 밸브체부(44)가 관통 구멍(42)의 상단부 개구면 상에 위치한 상태(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내측에 복원 변위한 상태)에 있어서, 당해 밸브체부(44)와 외측끼움 통부(40)와의 사이(도 9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부(44)의 플랜지부(44a)와 외측끼움 통부(40)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좁은 간극에 간결하게 수용된 상태로 된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토출 용기(10)로부터 내용물(M)을 토출할 때에는, 우선, 토출 캡(15)으로부터 오버 캡(16)을 벗긴다. 그후, 토출구(14)가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10)를 기울여서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 토출 용기(10)를 직경 방향의 내측에 압입하여 스퀴즈 변형(탄성 변형)시키고, 내용기(11)를 외용기(12)와 함께 변형시켜 용적을 축소시킨다.
그러면, 내용기(11)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이 관통 구멍(42)을 통하여 밸브체부(44)를 가압하게 되고, 탄성 연결편(45)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어서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위되어, 연통 구멍(43)이 개방된다. 이에 의해,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이, 관통 구멍(42), 연통 구멍(43), 외측끼움 통부(40) 내 및 토출구(14)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그후,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하거나 해제하거나 함으로써,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에 의한 밸브체부(44)에의 가압력을 약화시키면, 탄성 연결편(4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내측으로 복원 변위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44)가 연통 구멍(43) 내에 진입하면, 밸브체부(44)의 외주면이 연통 구멍(43)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연통 구멍(43)이 폐색된다. 이에 의해, 본체 통 부재(23)와 중간 마개 부재(21)와의 사이에, 내용기(11)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잔존하는 내공간(46)이 형성된다. 이 내공간(46)은 토출구(14)에 연통하는 동시에 밸브체부(44)를 획벽의 일부로 하여, 상기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과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내공간(46)이 형성된 후, 상기 밸브체부(44)가 복원 변위를 계속하여 연통 구멍(43) 내를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면, 밸브체부(44)의 복원 변위에 따라 내공간(46)의 내용적이 증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14) 내의 내용물(M)을 내공간(46) 내에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토출구(14)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A)를 흡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이 폐색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3)의 가압을 해제하면, 내용기(11)가 용적 축소 변형한 채 외용기(12)가 복원 변형하려고 한다. 이때, 내용기(11)와 외용기(12)와의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고, 이 부압이, 흡기 구멍(19)을 통해서 에어밸브부(41)에 작용함으로써, 에어밸브부(41)가 개방 상태가 된다. 그러면, 외기 도입 구멍(34), 외기류 통과 구멍(28), 연통 홈(20) 및 흡기 구멍(19)을 통하여 외용기(12)와 내용기(11)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외용기(12)와 내용기(11)와의 사이의 내압이 대기압까지 상승하면, 에어밸브부(41)가 복원 변형하여 흡기 구멍(19)과 외부를 차단한다. 이에 의해, 내용물(M)의 토출 후에 내용기(11)의 용적 축소 형상이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다시 용기 본체(13)의 외용기(12)를 스퀴즈 변형시키면, 에어밸브부(41)는 차단 상태로 되기 때문에, 외용기(12)와 내용기(11)와의 사이의 내압이 정압이 되고, 이 정압에 의해 내용기(11)가 용적 축소 변형되고, 전술한 작용에 의해 내용물(M)이 토출된다.
또한, 내용물(M)을 토출한 후,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이 폐색되기 전에,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할 뿐만아니라 해제도 한 경우, 내용기(11)가 외용기(12)에 추종하여 복원 변형하려고 한다. 그러면, 내용기(11) 내의 압력이 저하해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부압이 밸브체부(44)에 작용함으로써,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내측을 향하여 원활하게 복원 변위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0)에 의하면, 내용물(M)의 토출 후, 토출구(14) 내의 내용물(M)을 내공간(46) 내에 인입하고, 토출구(14)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A)를 흡인할 수 있으므로, 내용기(11)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용물(M)의 토출 후, 내용물(M)이 토출구(14)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42)이 연통 구멍(43)보다 소직경이므로, 밸브체부(44)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내용기(11)의 내측에 변위하려고 하더라도, 밸브체부(44)가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하게 되어, 밸브체부(44)의 전술한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당해 토출 용기(10)의 미조작 시에, 밸브체부(44)가 마개 본체(47)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에는,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과 관통 구멍(42)과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M)을 토출하여 상기 내공간(46)이 형성된 후, 밸브체부(44)가 복원 변위할 때에, 상기 밸브체부(44)가 연통 구멍(43) 내를 용기축(O)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공간(46)의 내용적을 확실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전술한 작용 효과를 현저하게 성공시킬 수 있다.
또한, 오버 캡(16)에 내시일 통부(3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버 캡(16)을 폐쇄한 상태에서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이 갑자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M)의 토출 후, 내용기(11)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하기 어려워지므로, 내용물(M)의 토출 후에 오버 캡(16)을 토출 캡(15)에 장착시켜, 내시일 통부(37)를 토출구(14) 내에 끼워맞췄을 때에, 내시일 통부(37)에 의해 내용물(M)이 토출구(14)로부터 외부에 압출되거나, 내시일 통부(37)에 내용물(M)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50)와 같이, 토출구(14)를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해도 된다. 또한, 토출구(14)의 축선이 용기축(O)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50)와 같이, 본체 통 부재(23)에 있어서의 토출구(14)의 개구 주연부에, 내부가 상기 토출구(14)에 연통하는 보조 통부(51)가 연통 구멍(43)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보조 통부(51)는 용기축(O) 방향을 따른 연통 구멍(43) 측인 하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 통부(51) 내에는, 내시일 통부(37)의 하단부(37a)가 끼워맞춰져 있다. 즉 내시일 통부(37)는 토출구(14) 및 보조 통부(51)의 양쪽 내부에 일체로 끼워맞춰져 있다.
이 토출 용기(50)에 의하면, 본체 통 부재(23)에 있어서의 토출구(14)의 개구 주연부에, 내부가 상기 토출구(14)에 연통하는 보조 통부(51)가 연통 구멍(43)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M)의 토출 후, 토출구(14) 내에 외부의 공기(A)가 흡인되었을 때, 이 공기(A)가 토출구(14)로부터 또한 연통 구멍(43) 측을 향하여 인입되었을 때에, 공기(A)는 보조 통부(51) 내에 인입되게 된다. 이렇게 보조 통부(51) 내에 인입된 공기(A)는, 상기 토출구(14)의 축선 방향인 용기축(O) 방향으로 깊게 연통 구멍(43) 측을 향하여 인입되고, 토출구(14)의 직경 방향으로 확산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토출구(14) 내 뿐만 아니라 보조 통부(51) 내에 이르기까지 공기(A)를 흡인하고, 내용물(M)의 토출 후, 내용기(11)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토출구(14) 및 보조 통부(51)의 각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내용물(M)이 토출구(14)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내용물(M)의 토출 후, 내용기(11)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토출구(14) 및 보조 통부(51)의 각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내시일 통부(37)를 토출구(14) 내까지가 아니라, 보조 통부(51) 내까지 이르게 해도, 내시일 통부(37)에 의해 내용물(M)이 토출구(14)로부터 외부로 압출되거나, 내시일 통부(37)에 내용물(M)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내시일 통부(37)를 보조 통부(51) 내까지 이르게 해서, 토출구(14) 및 보조 통부(51)의 양쪽 내부에 일체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오버 캡(16)을 폐쇄한 상태에서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이 갑자기 누출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연결편(45)의 양단부의 용기축(O) 방향의 위치는 동등하게 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연결체(60)와 같이, 탄성 연결편(45)이 밸브체부(44) 측으로부터 외측끼움 통부(40) 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외측을 향하고 있어도 된다.
이 연결체(60)를 구비하는 토출 용기에 의하면, 탄성 연결편(45)이 밸브체부(44) 측으로부터 외측끼움 통부(40)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외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위했을 때에, 밸브체부(44)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부(44)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토출 용기가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갑자기 약간 압입된 경우 등에, 밸브체부(44)가 작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용물(M)이 오조작에 의해 토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44)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내용물(M)을 토출할 때,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에 의한 밸브체부(44)에의 가압력이 약화되었을 때에, 밸브체부(44)를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복원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전술한 작용 효과를 확실하게 성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용기(10)로부터 내용물(M)을 토출할 때에는, 토출구(14)가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10)를 기울여서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 토출 용기(10)를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압입하여 스퀴즈 변형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간단히 토출 용기(10)를 기울여서 토출 자세로 함으로써, 내용물(M)을 토출구(14)로부터 토출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토출 자세일 때에 밸브체부(44)에 작용하는 내용물(M)의 자체 중량에 의해, 탄성 연결편(45)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버 캡(16)은 토출 캡(15)에 힌지부(39)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토출 캡(15)에 착탈 가능하게 언더컷 끼워맞춤 구성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구(14) 내에 끼워맞춰지는 내시일 통부(37)가 통 모양인 것으로 했지만, 통 모양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솔리드형 핀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내시일 통부(37), 외시일 통부(38) 및 오버 캡(16)은 없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부(44)가 바닥이 있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솔리드형 괴상이나, 판상, 저벽부를 갖지 않은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토출구(14)와 내용기(11)와의 연통, 차단을 전환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구멍(43)이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통 구멍(43)의 축선과 용기축(O)이 평행하거나, 또한 직경 방향으로 비켜놓아져 있어도 된다. 또한, 연통 구멍(43)의 축선이 용기축(O)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되고, 이 경우, 연통 구멍 내에, 그 축선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위하여 당해 연통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체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구멍(43)이 연통 통부(22)의 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연통 통부(22)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연통 구멍(43)이 관통 구멍(42)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관통 구멍 내에, 그 축선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위하여 당해 연통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체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캡(15)의 본체 통 부재(23)의 암나사부(30)가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수나사부(29)에 나사 장착되게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와 본체 통 부재(23)에 각각 끼워맞춤 볼록부를 형성하여 이들을 언더컷 끼워맞춤시킴으로써, 토출 캡(15)을 입구부(13a)에 장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흡기 구멍(19)이 외상통부(17a)에 형성되고, 에어밸브부(41)가 외측끼움 통부(40)의 용기축(O)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고, 외기 도입 구멍(34)이 연결 환부(33)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기 구멍이, 외용기의 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의 저부에, 외기 도입 구멍이 형성된 바닥이 있는 통 모양체가 밀봉 상태로 외장 되어, 상기 바닥이 있는 통 모양체에 에어밸브부가 설치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13)는 내용기(11)가 외용기(1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소위 디라미네이션 버틀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내용기와 외용기가 별개로 형성된 이중 용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버 캡(16)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내시일 통부(37)의 구체적 형상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중 시일 통부(37)를 오버 캡(16)을 폐쇄한 피개 상태일 때에 밸브체부(44)의 탄성 변위를 억제하는 정도의 길이 및 형상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70)에서는, 피개 상태일 때에 내시일 통부(37)의 단부(하단부(37a))가 밸브체부(44)의 일부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밸브체부(44)에는, 당해내시일 통부(37)의 단부가 접촉하는 돌출부(44b)가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한, 상기 실시 형태처럼 오버 캡(16)을 구비하는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오버 캡(16)을 폐쇄하여 피개 상태로 할 때에 내용물(M)이 넘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이러한 구조에 대하여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도 10 등 참조).
도 10 등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70)에 있어서는, 연통 통부(22)의 환상의 상단부면이, 밸브체부(44)의 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 설치된 환상의 플랜지부(44a)와 접촉하여 상기 밸브체부(44)를 받는 벨브 착지(벨브 누름)(22a)로서 기능한다. 이때, 밸브체부(44)의 저면은,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이 벨브 착지(22a) 중, 당해 밸브체부(44)와 접촉하는 부위의 일부에는, 내용물(M)의 유통을 허용하는 유통 허용 홈(22b)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10, 도 12, 도 13 등 참조). 상기 유통 허용 홈(22b)은 밸브체부(44)가 벨브 착지(22a)에 착석한 후, 상기 내공간(46)에 잔류한 내용물(M)을 내용기(11) 내에 복귀시키고, 또한 그 최종 단계에 있어서, 표면 장력에 의해 상기 내용물(M)이 상기 유통 허용 홈(22b)을 폐색(공기의 유통을 저지)하는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내공간(46)에 잔류한 내용물의 일부가, 상기 유통 허용 홈(22b)에 의해 내용기에 복귀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유통 허용 홈(22b)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오버 캡(16)을 폐쇄하여 피개 상태로 할 때, 상기 내공간(46)에 내용물(M)이 잔류하고 있을 경우에는, 토출구(14)에 인입하여 끼워맞추고자 하는 내시일 통부(37)에 의해, 내용물(M)을 압출하는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0 등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에 있어서, 토출구(14)의 부근이나 내공간(46)에 저류되어 있던 내용물(M)은, 유통 허용 홈(22b)을 유통하여, 관통 구멍(42)을 통하여 내용기(11)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오버 캡(16)을 폐쇄하여 피개 상태로 할 때, 내용물(M)이 넘쳐서 오버 캡(16)의 내측이나 토출 캡(15)의 표면이 더럽혀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부(44)의 탄성 변위량을 규제하는 것에 대하여 특히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본체 통 부재(23)에, 당해 밸브체부(44)의 탄성 변위량을 규제하는 변위량 규제부(밸브 스토퍼)(23c)를 형성해도 된다(도 11, 도 14, 도 15 참조). 변위량 규제부(23c)는 예를 들어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인 본체 통 부재(23)의 천장 벽부(23b)의 이면(내부를 향하는 면)에 있어서 토출구(14)의 주위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예를 들어 3군데)로 구성할 수 있다(도 11 등 참조).
이와 같이, 복수의 돌기에 의해 변위량 규제부(23c)를 구성함으로써, 밸브체부(44)의 변위 한계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당해 위치에 있어서도 토출구가 막히는 일이 없고, 상기 돌기 간에서 확실하게 내용물(M)을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연결편(45)에 의해 밸브체부(44)와 외측끼움 통부(40)가 연결되어 있지만, 이것은 적합한 구성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토출 용기(10)의 구성에 따라서는, 연통 통부(22)와 동축상으로 배치된, 외측끼움 통부(40) 이외의 통 모양 부재와 밸브체부(44)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요약하면, 탄성 연결편(45)에 의하면 밸브체부(44)와 상기 밸브체부(44)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통 모양 부재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외측끼움 통부(40)는 당해 통 모양 부재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에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고 또한 전기한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드리핑 등을 하여 토출 캡에 부착된 내용액이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한 토출 용기의 형태예, 또한 드리핑 등을 하여 토출 캡에 부착된 내용액을 닦아내기 쉽게 한 토출 용기의 형태예를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용기(10)는 내용물(M)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M)의 감소에 수반해 수축 변형되는 가요성이 우수한 내용기(11)와, 내용기(11)가 내장됨과 함께 탄성 변형 가능한 외용기(12)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3),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에 장착되고, 내부가 내용물(M)을 토출하는 토출구(14)로 되는 토출 통(36)이 형성된 토출 캡(15), 토출 캡(15)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오버 캡(1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3)는 바닥이 있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16)은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16)을 토출 캡(15)에 장착한 피개 상태에 있어서, 이들 용기 본체(13) 및 오버 캡(16)의 각 중심축이 공통축 상에 위치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23 등 참조). 이하, 이 공통축을 용기축(O)이라고 하고,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오버 캡(16) 측을 상측, 용기 본체(13)의 도시하지 않은 저부측을 하측이라고 하고, 또한 용기축(O)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용기축(O)을 중심으로 주회하는 방향을 주위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오버 캡(16)은 힌지부(16a)에 의해 토출 캡(15)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도 17 등 참조). 내용물(M)을 토출구(14)로부터 토출시킬 때 오버 캡(16)이 방해되지 않도록, 이 힌지부(16a)는 토출구(14)의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10)를 기울여서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 토출구(14)보다 높은 위치가 되게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13)는 내용기(11)가 외용기(1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소위 디라미네이션 버틀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13)는 예를 들어 공압출 성형한 2층 구조의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성형된다. 외용기(12)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제나 폴리프로필렌 수지제 등으로 됨과 동시에, 내용기(11)는 예를 들어 외용기(12)를 형성하는 수지에 대하여 상용성이 없는 폴리아미드계의 합성 수지제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제 등으로 되어 있다.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통부(17)와, 하측에 위치하고 상통부(17)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 하통부(18)를 구비하는 2단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7 등 참조). 상통부(17) 중, 외용기(12)로 구성된 부분(이하, 외상통부라고 함)(17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상통부(17a)에 있어서, 수나사부(29)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내용기(11)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도 18 등 참조). 수나사부(29)에 있어서 흡기 구멍(19)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용기축(O)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외상통부(17a)의 내주면은 원통면으로 되고, 이 내주면에, 상통부(17) 중, 내용기(11)로 구성된 부분(이하, 내상통부라고 함)(17b)이 적층되어 있다(도 17 등 참조). 내상통부(17b)의 상단부는,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되접어져서 외상통부(17a)의 개구단부 위에 배치되어 있다.
토출 캡(15)은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를 폐색하는 중간 마개 부재(21)와, 상기 중간 마개 부재(21)를 덮음과 동시에 토출구(14)가 형성된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의 본체 통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도 17 등 참조). 중간 마개 부재(21)는 외주연부가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개구단부 상에 배치된 마개 본체(47)와, 상기 마개 본체(47)로부터 입설된 연통 통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마개 본체(47)는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 내에, 상기 입구부(13a)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 모양의 내통부(24)와, 내통부(24)의 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개구단부 상에 배치된 플랜지부(25)와, 플랜지부(25)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외통부(26)와, 내통부(24)를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플랜지부(25)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고,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 내에 액밀하게 끼워맞춰진 중간통부(27)를 구비하고 있다(도 17 등 참조). 이들 내통부(24), 플랜지부(25), 외통부(26) 및 중간통부(27)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26)의 하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외기류 통과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24)의 저벽부에는, 상기의 연통 통부(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저벽부에는, 내용기(11) 내 및 연통 통부(22) 내의 양쪽에 개구하는 관통 구멍(42)이 관설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42)은 예를 들어 용기축(O)을 중심으로 하여 균등하게 배치된 복수의 작은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17 등 참조).
본체 통 부재(23)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 통 부재(23)의 주위벽부(23a)의 내주면에는,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의 수나사부(29)에 나사 장착된 암나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부(23a) 중, 암나사부(30)가 형성된 나사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하단부 내에는, 용기 본체(13)의 입구부(13a)에 있어서의 하통부(18)가 기밀 상태로 끼워맞춰지고, 상기 나사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 내에는, 중간 마개 부재(21)의 외통부(26)가 끼워맞춰져 있다.
토출 캡(15)의 천장면부(31')에는, 내용물(M)을 토출하는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도 20 등 참조).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에 있어서, 이 토출구(14)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도 17 등 참조), 상기 용기축(O)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토출 캡(15)의 천장면부(31')에는, 상방에 돌출된 외기 도입용 돌기(33c)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 도입용 돌기(33c)에 외기 도입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도 17 등 참조). 내용물(M)이 외기 도입 구멍(34)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이 외기 도입용 돌기(33c)는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당해 토출 용기(10)를 기울여서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 당해 토출구(14)보다 높아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17 등 참조).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기 도입용 돌기(33c)는 토출구(14)와 힌지부(16a)와의 사이에 입설 형성되고, 천장면부(31')(상면)로부터 입설된 통 모양체(33a)와 상기 통 모양체(33a)의 상단부를 덮는 돔 형상의 정상 벽부(33b)를 구비하고 있다(도 24 참조).
상기 정상 벽부(33b)를 돔 형상(만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토출 캡(15)에 부착된 내용액을 닦아낼 때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기 도입 구멍(34)은 천장면부(31')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천장면부(31')로부터 공간적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령 토출구(14)로부터 드리핑한 내용물(M)이 토출 캡(15)의 외면에 부착했다고 해도, 당해 드리핑한 내용물(M)이 외기 도입 구멍(34)으로부터 흡입되기 어렵다. 또한, 외기 도입 구멍(34)은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당해 토출 용기(10)를 기울여서 토출 자세로 했을 때, 상방으로 개구한 상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기 도입용 돌기(33c)의 연직 상방으로 적합하게 개구한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7 등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도 22 참조)의 외기 도입용 돌기(33c)의 투영 면적은, 천장면부(31')의 투영 면적에 대하여 7.0% 미만으로 되고, 외기 도입용 돌기(33c)의 천장면부(31')(평활 상면)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3.0 내지 3.5mm의 범위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기 도입용 돌기(33c)의 형성 범위 및 돌출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드리핑하여 토출 캡(15)에 부착된 내용액의 닦아내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외기 도입용 돌기(33c)의 투영 면적은, 상기 통 모양체(33a)의 주위벽의 연장선과 천장면부(31')(평활 상면)와의 교점에서 구획되는 범위가 된다.
상기 통 모양체(33a)의 주위벽과 천장면부(31')와의 사이에, 본 실시 형태(도 24 참조)와 같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속부(31a)를 설치해도 된다.
상술한 외기 도입용 돌기(33c)의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캡(15)의 직경 방향(용기축(O)에 수직인 방향)의 두께보다 주위 방향으로의 길이가 긴, 토출구(14)를 중심으로 한 원호에 따라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0 참조). 이러한 형상의 외기 도입용 돌기(33c)에 의하면, 드리핑 등을 하여 토출 캡(15)의 외면에 부착된 내용물(M)이 외기 도입 구멍(34)에 접근하는 것을 저지하여 당해 외기 도입 구멍(34)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외기 도입용 돌기(33c)는 토출구(14)를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만곡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토출 캡(15)에는, 피개 상태 시의 오버 캡(16)이 걸어 결합하는 걸림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캡(15)의 상단부의 주위에, 직경 방향에 약간 돌출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에 의해, 피개 상태 시의 오버 캡(16)이 걸어 결합하는 걸림부(32')가 형성되어 있다(도 17, 도 20 등 참조).
또한, 천장면부(31')는 수평한 평활면으로 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상면(평활 상면)과, 상기 평활 상면과 원활하게 연속하여 형성되는 상기 걸림부(32')의 상면(접속 부분부터 최외측 테두리부(최대 외경 부분)까지의 범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32')의 상면은, 예를 들어 종단면에 있어서 외측으로 볼록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천장면부(31')의 상면 중,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와 외기 도입용 돌기(33c)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를 제외한 부분이 수평한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드리핑 등을 한 내용물(M)이 토출 캡(15)의 천장면부(31')에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한번 닦기로 닦아낼 수 있는 등, 닦아내기가 용이하다.
천장면부(31')에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고, 외경이 후술하는 외측끼움 통부(40)의 내경과 동등하게 된 받침 통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장면부(31')에는, 내부가 상기 토출구(14)로 된 토출 통(36)이 관설되어 있다.
이 토출 통(36)은 후단부 측(외기 도입용 돌기(33c) 측)으로부터 그 반대인 전단부 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지는 상단부 개구 테두리를 구비하고 있고, 그 후단부 측이 외기 도입용 돌기(33c)보다 낮고, 전단부가 외기 도입용 돌기(33c)보다 높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상단부 개구 테두리의 개구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가령 토출 통(36)의 후단부 측에서 내용액의 액 흩날림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외기 도입 구멍(34)에 내용액이 유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토출 통(36) 내에는, 오버 캡(16)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내시일 통부(시일부)(37)가 끼워맞춰진다(도 16, 도 20, 도 23 등 참조). 또한, 내시일 통부(37)의 주위에는, 오버 캡(16)의 이면으로부터 아랫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외시일 통부(환상 돌기부)(38)가 형성되어 있다(도 20 등 참조).
여기서 중간 마개 부재(21)와 본체 통 부재(23)와의 사이에는, 중간 마개 부재(21)의 연통 통부(22)에 외측끼움된 외측끼움 통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끼움 통부(40)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고, 외측끼움 통부(40)의 하단부는, 연통 통부(22)에 외측끼움됨과 동시에 중간 마개 부재(21)의 내통부(24) 내에 끼워맞춰지고, 외측끼움 통부(40)의 상단부는, 본체 통 부재(23)의 받침 통부(35)에 외측끼움하고 있다.
외측끼움 통부(40)의 용기축(O)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는,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환상의 에어밸브부(41)가 형성되어 있다(도 17, 도 18 참조). 에어밸브부(41)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고, 흡기 구멍(19)과 외기 도입 구멍(34)과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한다.
또한 중간 마개 부재(21)에는, 토출 통(36)과 내용기(11) 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연통 오목부)(43)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43)은 연통 통부(22)의 내부에 의해 구성되고,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축(O) 방향과, 연통 구멍(43)의 축선 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연통 구멍(43)은 토출 통(36)보다 하측, 즉 용기축(O) 방향을 따른 내용기(1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연통 구멍(43)의 내용적은, 토출 통(36)의 내용적보다 커지고 있다.
중간 마개 부재(21)의 연통 통부(22) 내에는,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여 당해 연통 구멍(43)을 개폐하는 밸브체부(44)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부(44)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용기축(O) 방향 위 측단부(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 설치된 환상의 플랜지부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밸브체부(44)에 대하여 연통 통부(22)의 환상의 상단부면이, 당해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밸브체부(44)를 받는 벨브 착지(벨브 누름)로서 기능한다. 이때, 밸브체부(44)의 외주면과 연통 구멍(43)의 내주면이 접촉하지 않고 간극을 두고 근접하는 구조로 해도 되고, 밸브체부(44)의 저면이,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밸브체부(44)의 상단부는, 연통 통부(22)의 상단부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상단부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44)의 상단부에는, 밸브체부(44)와 외측끼움 통부(40)를 연결하는 연결편(45)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45)은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도시의 예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고, 각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결편(45)의 양단부의 용기축(O) 방향의 위치는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부(44), 외측끼움 통부(40), 연결편(45) 및 에어밸브부(41)는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체(48)를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토출 용기(10)로부터 내용물(M)을 토출할 때에는, 우선, 토출 캡(15)으로부터 오버 캡(16)을 벗긴다. 그후, 토출구(14)가 수평면보다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10)를 기울여서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 토출 용기(10)를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압입하도록 가압하여 스퀴즈 변형(탄성 변형)시켜서, 내용기(11)를 외용기(12)와 동시에 변형시켜 용적 축소시킨다.
그러면, 내용기(11)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이 관통 구멍(42)을 통하여 밸브체부(44)를 가압하게 되고, 연결편(45)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어서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 내용기(11)의 외측을 향하여 미끄럼 이동시켜져서, 연통 구멍(43)이 개방된다. 이에 의해,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이, 관통 구멍(42), 연통 구멍(43), 외측끼움 통부(40) 내 및 토출구(14)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도 17 참조).
그후,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하거나 해제하거나 함으로써, 내용기(11) 내의 내용물(M)에 의한 밸브체부(44)에의 가압력을 약화시키면, 토출 용기(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내측으로 미끄럼 이동한다(도 18 참조).
이때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44)가 연통 구멍(43) 내에 진입하면, 밸브체부(44)의 외주면이 연통 구멍(43)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연통 구멍(43)과 상기 밸브체부(44)와의 사이의 간극이 폐색된다. 이에 의해, 본체 통 부재(23)와 중간 마개 부재(21)와의 사이에, 내용기(11)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잔존하는 내공간(46)이 형성된다. 이 내공간(46)은 토출구(14)에 연통하는 동시에 밸브체부(44)를 획벽의 일부로 하여, 상기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과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내공간(46)이 형성된 후, 상기 밸브체부(44)가 계속하여 연통 구멍(43) 내를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미끄럼 이동에 따라 내공간(46)의 내용적이 증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14) 내의 내용물(M)을 내공간(46) 내에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토출구(14)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이 폐색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3)의 가압을 해제하면, 내용기(11)가 용적 축소 변형한 채 외용기(12)가 복원 변형하려고 한다. 이때, 내용기(11)와 외용기(12)와의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고, 이 부압이, 흡기 구멍(19)을 통해서 에어밸브부(41)에 작용함으로써, 에어밸브부(41)가 개방 상태가 된다. 그러면, 외기 도입 구멍(34), 외기류 통과 구멍(28), 연통 홈(20) 및 흡기 구멍(19)을 통하여 외용기(12)와 내용기(11)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된다(도 18 참조). 그리고, 외용기(12)와 내용기(11)와의 사이의 내압이 대기압까지 상승하면, 에어밸브부(41)가 복원 변형하여 흡기 구멍(19)과 외부를 차단한다. 이에 의해, 내용물(M)의 토출 후에 내용기(11)의 용적 축소 형상이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다시 용기 본체(13)의 외용기(12)를 스퀴즈 변형시키면, 에어밸브부(41)는 차단 상태로 되기 때문에, 외용기(12)와 내용기(11)와의 사이의 내압이 정압이 되고, 이 정압에 의해 내용기(11)가 용적 축소 변형되고, 전술한 작용에 의해 내용물(M)이 토출된다.
또한, 내용물(M)을 토출한 후,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이 폐색되기 전에,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할 뿐만아니라 해제도 하는 경우, 내용기(11)가 외용기(12)에 추종하여 복원 변형하려고 한다. 그러면, 내용기(11) 내의 압력이 저하하여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부압이 밸브체부(44)에 작용함으로써, 밸브체부(44)가 용기축(O) 방향을 따라서 내용기(11)의 내측을 향하여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시켜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0)에 의하면, 내용물(M)의 토출 후, 토출구(14) 내의 내용물(M)을 내공간(46) 내에 인입하고, 토출구(14)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할 수 있으므로, 내용기(11)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용물(M)의 토출 후, 내용물(M)이 토출구(14)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부(44)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의 축선 방향을 따른 내용기(11)의 내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더라도, 밸브체부(44)의 플랜지부가,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의 환상의 상단부면에 접촉하게 되어, 밸브체부(44)의 전술한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당해 토출 용기(10)의 미조작 시에, 밸브체부(44)의 저면이 마개 본체(47)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에는,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과 관통 구멍(42)과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M)을 토출하여 상기의 내공간(46)이 형성된 후, 밸브체부(44)가 복원 변위할 때에, 상기 밸브체부(44)가 연통 구멍(43) 내를 용기축(O)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공간(46)의 내용적을 확실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전술한 작용 효과를 현저하게 성공시킬 수 있다.
또한, 오버 캡(16)에 내시일 통부(3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버 캡(16)을 폐쇄한 상태에서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이 갑자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M)의 토출 후, 내용기(11)에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하기 어려워지므로, 내용물(M)의 토출 후에 오버 캡(16)을 토출 캡(15)에 장착시키고, 내시일 통부(37)를 토출구(14) 내에 끼워맞췄을 때에, 내시일 통부(37)에 의해 내용물(M)이 토출구(14)로부터 외부에 압출되거나, 내시일 통부(37)에 내용물(M)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적층 박리 용기에 있어서, 내용기는, 내용액의 감소에 수반해 수축 변형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용기는, 탄성 변형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토출된 내용액에 따른 양의 외기를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흡기하고, 내용기와의 사이에 도입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024396호 공보, 일본 특허 제3688373호 공보 참조).
이러한 적층 박리 용기를 비롯한 토출 용기로서는, 외기를 용기 내에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 구멍이 덮개부(토출 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07-0008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8428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술한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07-0008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84283호 공보 등과 같은 종래의 토출 용기에 있어서는, 드리핑 등을 하여 토출 캡에 부착된 내용액이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흡입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 종래의 토출 용기에 있어서는, 드리핑 등을 하여 토출 캡에 부착된 내용액을 닦아내기 어려울 경우도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다양한 검토를 행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토출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의 토출 캡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예를 들어 당해 단차부의 상면이나 둘레면 배면부를 외기 도입용의 개구 형성부로서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688373호 공보의 도 2나 도 7,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84283호 공보의 도 5 등 참조). 이러한 용기에 있어서는, 드리핑하여 토출 캡에 부착된 내용액이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흡입되는 경우가 있고, 그렇게 하면, 적층 박리 용기에 있어서, 외기(공기)만이 도입되어야 할 내용기와 외용기와의 사이에 내용액이 인입해버리는 것이 된다. 이 경우, 특히 내용액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외용기나 내용기에 투명이나 반투명의 필름을 사용한 용기에 있어서는, 본래는 공기만이 도입되어야 할 내용기와 외용기와의 사이에 내용액이 인입해버리는 것이 그대로 보여져, 사용자에 있어서는 구조에 의문을 나타낼 뿐만아니라 외견도 미려하지 않고, 사용감을 손상시켜 버리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드리핑하여 토출 캡에 부착된 내용액을 닦아내는 장면을 검토해 보면, 당해 토출 캡의 천장면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한번 닦기로 끝나는 등 닦아내기가 비교적 용이해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 캡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천장면을 한번 닦기 해도 전부 닦아낼 수 없는 내용액이 단차부의 오목부에 남아버리는 등, 사용자에 있어서 외견이 미려하지 않고, 역시 사용감을 손상시켜 버리게 될 우려가 있다.
용기의 종래 구조나 상기 구조에 기초하는 이들의 사상에 대하여 또한 검토를 거듭한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과제의 해결에 결부되는 지식을 얻는 것에 이르렀다. 이하의 발명은 그러한 지식에 기초함으로써 내용물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해 수축 변형되는 가요성의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내장되어 있고, 탄성 변형하여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면이 수평한 평활면으로 된 천장면부를 구비하고,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 통 및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의 외기 도입용 돌기가 상기 천장면부에 각각 독립한 상태로 입설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토출 캡과, 천장면부에서 이격한 상태에서 외기 도입용 돌기에 형성되고, 외부와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외기 도입 구멍과 흡기 구멍과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하는 에어밸브부와, 토출 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오버 캡을 구비하는 토출 용기에 있어서, 토출 통은, 외기 도입용 돌기 측의 후단부로부터 그 반대측의 전단부를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지는 상단부 개구 테두리를 구비하고 있고, 외기 도입용 돌기는, 천장면부에서 입설되는 통 모양체와, 상기 통 모양체의 상단부를 덮는 돔 형상의 정상 벽부를 갖고, 평면에서 보아 직경 방향의 두께보다 주위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고, 천장면부에서의 돌출 높이를 3.0mm에서 3.5mm의 범위에서 토출 통의 전단부보다 더 낮고, 후단부보다 높아지도록 형성하고, 평면에서 보면 상기 외기 도입용 돌기의 투영 면적이, 천장면부의 7.0%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당해 토출 용기에 있어서의 외기 도입 구멍은, 천장면부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입설된 외기 도입용 돌기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당해 천장면부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천장면부에서의 공간적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토출구로부터 드리핑한 내용물이 토출 캡에 부착했다고 해도, 당해 드리핑한 내용물이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출 용기에 있어서는,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 통의 개구 면적을 토출 캡의 천장면부에 있어서 비교적 넓게 확보하기 쉽다. 이로 인해, 상기 토출 통으로 구성되는 내용물의 토출구를 넓게 하여 내용물을 보다 주입하기 쉬운 용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을 주입한 토출 용기를 정립 상태로 복귀시킨 때에 내용물이 토출 통으로부터 비산해도, 외기 도입용 돌기의 측벽(외기 도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이 비산한 내용물을 차단하고,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용기 내에 인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출 용기에 있어서는, 외기 도입용 돌기의 상면이 만곡면(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천장면부에 대한 외기 도입용 돌기의 점유 면적을 비교적 작게 할 수도 있고, 토출 캡에 부착된 내용물을 걸림이 적은 상태에서 원활하게 닦아내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 용기는, 토출 통으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당해 토출 용기를 기울여서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 외기 도입용 돌기가 토출 통보다 높아지는 위치에 형성됨과 동시에, 외기 도입 구멍이 연직 상방으로 적합하게 개구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외기 도입용 돌기는, 천장면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드리핑하여 토출 캡에 부착된 내용액이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의하면, 드리핑하여 토출 캡에 부착된 내용액을 닦아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적층 박리 구조의 토출 용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M 내용물
O 용기축(축선)
10, 50, 70 토출 용기
11 내용기
12 외용기
13 용기 본체
13a 구부
14 토출구
15 토출 캡
16 오버 캡
19 흡기 구멍
21 중간 마개 부재
22 연통 통부
22a 벨브 착지
22b 유통 허용 홈
23 본체 통 부재
23c 변위량 규제부
31' 천장면부
32' 걸림부(오버 캡(16)과 걸어 결합하는 부위)
33 외기 도입용 돌기
34 외기 도입 구멍
36 토출 통
37 내시일 통부(시일부)
41 에어밸브부
42 관통 구멍
43 연통 구멍
44 밸브체부
45 탄성 연결편
47 마개 본체

Claims (9)

  1. 내용물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해 수축 변형되는 가요성이 우수한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내장됨과 함께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고,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캡과,
    외부와 상기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흡기 구멍과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하는 에어밸브부를 구비하는 토출 용기이며,
    상기 토출 캡은, 상기 입구부를 폐색하는 중간 마개 부재와, 상기 중간 마개 부재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정상부를 가진 통 모양의 본체 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마개 부재에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내용기 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 구멍 내에는, 당해 연통 구멍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탄성 변위하여 당해 연통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체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 부재는,
    외주연부가 상기 입구부의 개구단부 위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내용기 내에 개구하는 관통 구멍이 관설된 마개 본체와,
    상기 마개 본체로부터 입설됨과 동시에, 내부에 상기 관통 구멍이 개구해 상기 내부가 상기 연통 구멍으로 되는 연통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연통 구멍보다 소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부가, 탄성 변형하는 탄성 연결편에 의해, 상기 연통 통부와 동축상으로 배치된 통 모양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탄성 연결편이, 상기 연통 구멍의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편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기 밸브체부에 접촉하여 당해 밸브체부의 탄성 변위량을 규제하는 변위량 규제부가, 상기 본체 통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오버 캡을 구비하고,
    상기 오버 캡에는, 상기 토출구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시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상기 오버 캡을 폐쇄한 피개 상태일 때에 상기 밸브체부의 탄성 변위를 억제하는 억제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부의 벨브 착지 중 당해 밸브체부와 접촉하는 부위의 일부에, 내용물의 유통을 허용하는 유통 허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KR1020147000291A 2011-06-09 2012-06-05 토출 용기 KR101543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8826 2011-06-09
JPJP-P-2011-128826 2011-06-09
JPJP-P-2011-153262 2011-07-11
JP2011153262A JP5727888B2 (ja) 2011-02-28 2011-07-11 吐出容器
JP2011173843A JP5667010B2 (ja) 2011-06-09 2011-08-09 吐出容器
JPJP-P-2011-173843 2011-08-09
PCT/JP2012/064444 WO2012169489A1 (ja) 2011-06-09 2012-06-05 吐出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199A true KR20140033199A (ko) 2014-03-17
KR101543192B1 KR101543192B1 (ko) 2015-08-07

Family

ID=4768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291A KR101543192B1 (ko) 2011-06-09 2012-06-05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38527B2 (ko)
EP (1) EP2719635B1 (ko)
JP (1) JP5667010B2 (ko)
KR (1) KR101543192B1 (ko)
CN (1) CN103732507B (ko)
TW (1) TWI524943B (ko)
WO (1) WO20121694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520B1 (ko) * 2020-04-28 2020-09-16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여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물병 뚜껑
KR20220062421A (ko) * 2017-04-05 2022-05-16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이중 용기 포장 음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9696A1 (ja) 2011-12-26 2013-07-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容器
ES2702542T3 (es) * 2012-05-09 2019-03-01 Taisei Kako Co Tapón de boca para recipiente de líquido
GB201212164D0 (en) * 2012-07-06 2012-08-22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dispensing closure
JP6118640B2 (ja) * 2013-05-30 2017-04-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DE102013105761A1 (de) * 2013-06-04 2014-12-04 Krones Ag Verschluss für Getränkeflasche mit Zuführmöglichkeit für gasförmiges Medium
DE102013211423A1 (de) 2013-06-18 2014-12-31 Aptar Radolfzell Gmbh Mehrschichtiger Behälter
AU2014300355B2 (en) * 2013-06-28 2016-12-15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walled container
CN105764798B (zh) * 2013-11-27 2018-07-10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
TWI642600B (zh) * 2014-02-12 2018-12-01 日商京洛股份有限公司 積層剝離容器,其針孔檢查方法,及其加工方法
JP6380998B2 (ja) * 2014-02-17 2018-08-29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弁部材及び該弁部材を備える注出容器
KR102183292B1 (ko) * 2014-05-14 2020-11-26 도쿄 라이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JP6242750B2 (ja) * 2014-05-30 2017-12-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WO2016063039A1 (en) * 2014-10-20 2016-04-28 Rieke Packaging Systems Limited Dispenser with valved nozzle closure
JP6489851B2 (ja) * 2015-01-30 2019-03-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488151B2 (ja) * 2015-02-27 2019-03-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463991B2 (ja) * 2015-02-27 2019-02-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キャップ
JP6537319B2 (ja) * 2015-03-30 2019-07-03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6679216B2 (ja) * 2015-03-31 2020-04-15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吐出容器およびその吐出キャップ
USD798712S1 (en) * 2015-04-01 2017-10-03 Kikkoman Corporation Container lid
JP6548440B2 (ja) * 2015-04-15 2019-07-24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容器及びキャップ
WO2017043469A1 (ja) 2015-09-07 2017-03-16 三笠産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6790087B2 (ja) 2016-05-20 2020-11-25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JP6656761B2 (ja) * 2016-06-30 2020-03-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942568B2 (ja) * 2016-08-30 2021-09-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GB201615069D0 (en) * 2016-09-06 2016-10-19 Mars Inc Nozzle
JP6710462B2 (ja) * 2016-09-30 2020-06-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7092980B2 (ja) * 2017-01-30 2022-06-2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JP7497975B2 (ja) * 2017-04-05 2024-06-11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吐出容器
JP6910715B2 (ja) * 2017-05-31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注出具付き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US11952201B2 (en) * 2017-12-05 2024-04-09 Gameel Gabriel Gravity-oriented one-way valve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US11332277B2 (en) 2017-12-05 2022-05-17 Gameel Gabriel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JP7231818B2 (ja) * 2017-12-21 2023-03-0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EP3733539A4 (en) * 2017-12-28 2021-11-03 Yoshino Kogyosho Co., Ltd. RESIN CONTAINER
US20180319547A1 (en) * 2018-07-17 2018-11-08 Yusaku Ishii Double-stracture tube
CN113439061B (zh) 2018-12-21 2023-08-15 H.J.海因茨品牌有限责任公司 容器、封闭件及制造方法
US11292642B2 (en) 2018-12-21 2022-04-05 H. J. Heinz Company Brands Llc Container, clos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USD889260S1 (en) 2018-12-21 2020-07-07 H.J. Heinz Company Brands Llc Closure for a container
FR3093085B1 (fr) * 2019-02-22 2021-03-12 Exel Ind Couvercle pour cuve comprenant un event pourvu d’un flotteur en serie avec une chicane
JP7123501B2 (ja) * 2019-02-28 2022-08-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KR102076658B1 (ko) * 2019-05-31 2020-02-13 임종수 튜브용기 내의 액상 내용물을 방울 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
AU2020348580A1 (en) 2019-09-20 2022-04-21 H.J. Heinz Company Brands Llc Container, clos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WO2021097786A1 (zh) * 2019-11-22 2021-05-27 深圳市德昌裕塑胶制品有限公司 由多层共挤压一次成形的软管容器
EP4208392A2 (en) * 2020-10-15 2023-07-12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Dispensing closure
WO2023094209A1 (en) * 2021-11-23 2023-06-01 Unilever Ip Holdings B.V. Container with flexible inner bod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7A (en) * 1849-01-09 Improvement in plows
JPS5147555Y2 (ko) * 1971-11-25 1976-11-16
JPS59118470U (ja) * 1983-02-01 1984-08-10 株式会社ポイント・ライン 容器の注ぎ出し口構造
DE4018147A1 (de) * 1990-02-24 1991-08-29 Weener Plastik Gmbh Co Kg Ventilkoerper
JPH07860U (ja) * 1992-02-03 1995-01-06 和子 染谷 注ぎ孔空気孔を設けた蓋及び蓋と身一体容器
DE4332885A1 (de) * 1992-09-28 1994-03-31 Colgate Palmolive Co Eindrückbarer Abgabebehälter für fließfähige Stoffe
JPH07860A (ja) 1993-06-17 1995-01-06 Kooriyama Narasaki Seisakusho:Kk 連続固液分離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連続固液分離装置
JP2607323Y2 (ja) 1993-10-29 2001-07-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バックレスキャップ
JP3688373B2 (ja) * 1995-12-22 2005-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押出注出可能とした積層剥離容器
JP3741323B2 (ja) * 1996-07-30 2006-02-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US6286725B1 (en) * 1997-09-19 2001-09-11 Waterfall Company, Inc. Contamination-safe multi-dose dispensing and delivery system for flowable materials
JP4024396B2 (ja) * 1998-07-31 2007-12-19 花王株式会社 櫛付塗布用具
US7044334B2 (en) * 2000-07-06 2006-05-16 Kao Corporation Double container
JP4749572B2 (ja) 2001-03-13 2011-08-17 大成化工株式会社 分与容器の口栓構造
JP3979625B2 (ja) * 2001-08-31 2007-09-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容器
JP3999033B2 (ja) * 2002-04-30 2007-10-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縦形ポンプ式液体噴出容器
JP2004067099A (ja) 2002-06-10 2004-03-04 Katsutoshi Masuda 弁機構
US7249694B2 (en) * 2002-07-26 2007-07-31 Masatoshi Masuda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JP4228362B2 (ja) 2003-01-31 2009-02-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
JP5577070B2 (ja) * 2009-10-13 2014-08-20 Agc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液体調味料の収納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421A (ko) * 2017-04-05 2022-05-16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이중 용기 포장 음식품 조성물
KR102156520B1 (ko) * 2020-04-28 2020-09-16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여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물병 뚜껑
WO2021221229A1 (ko) * 2020-04-28 2021-11-04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여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물병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14380A (ja) 2013-01-24
JP5667010B2 (ja) 2015-02-12
WO2012169489A1 (ja) 2012-12-13
TWI524943B (zh) 2016-03-11
KR101543192B1 (ko) 2015-08-07
EP2719635A4 (en) 2014-12-10
CN103732507A (zh) 2014-04-16
CN103732507B (zh) 2015-09-30
TW201309392A (zh) 2013-03-01
EP2719635B1 (en) 2016-05-04
US9238527B2 (en) 2016-01-19
US20140144938A1 (en) 2014-05-29
EP2719635A1 (en)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3199A (ko) 토출 용기
JP6283431B2 (ja) 吐出容器
JP2016216124A (ja) 吐出容器
CN109153481B (zh) 盖和排出容器
JP2013035557A (ja) 吐出容器
JP5450264B2 (ja) 注出容器
JP6475542B2 (ja) 吐出容器およびその吐出キャップとオーバーキャップ
JP5450263B2 (ja) 注出容器
JP5883626B2 (ja) 吐出容器
US11807427B2 (en) Double container pouring cap and double container
JP2020193026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6839988B2 (ja) 二重容器
JP6651409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7291556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365144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181844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261056B2 (ja) 吐出容器
JP7418277B2 (ja) 二重容器
JP6559089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7082483B2 (ja) 二重容器
JP2016190660A (ja) 吐出容器およびその吐出キャップとオーバーキャップ
JP2024015326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2020196454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2019064604A (ja) 吐出容器
JP2019151339A (ja) 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