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150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150A
KR20140030150A KR1020137027031A KR20137027031A KR20140030150A KR 20140030150 A KR20140030150 A KR 20140030150A KR 1020137027031 A KR1020137027031 A KR 1020137027031A KR 20137027031 A KR20137027031 A KR 20137027031A KR 20140030150 A KR20140030150 A KR 20140030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mounting
box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163B1 (ko
Inventor
히데토시 사타케
신지 가토
슈지 에가와
다케노리 히로키
도시히코 와타나베
야스노리 오타
미츠구 오지마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09423A external-priority patent/JP53252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0942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2901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75Holders with resilient means for protecting apparatu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energy coupler, e.g. coupler for hydraulic or electric lines, to provide energy to drive(s) mounted on the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선회 프레임(5)에 고정된 전동 모터(33)와, 방진 마운트(38)를 이용하여 선회 프레임(5)에 지지된 전기 기기(36)와, 전동 모터(33)와 전기 기기(36)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46)을 구비한다.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에는, 상자체(37)보다도 작은 외형 형상을 갖는 커넥터 장착 부재(39)를 설치하고, 커넥터 장착 부재(39)에는 기기측 커넥터(40)를 설치한다. 케이블(46)의 케이블측 커넥터(46A)를, 기기측 커넥터(40)에 접속하는 동시에, 케이블(46)의 케이블 단부를 클램프 부재(50)에 의해 상자체(37)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케이블(46)과 케이블측 커넥터(46A)에 전달되는 진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휠 로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회 장치용 전동 모터, 유압 펌프용 전동 모터 등의 전동 장치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륜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에 의해 차체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의 전방부측에는,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주행체와 상부 선회체 사이에는,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키는 선회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선회 장치를 구성하는 선회 모터로서는, 유압 모터와 전동 모터(전동 장치)를 병용하는 구성으로 된, 이른바 하이브리드형의 선회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한편, 건설 기계에 사용되는 유압 펌프로서,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동시에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하이브리드형의 유압 펌프도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선회 모터에 사용되는 전동 모터에는, 인버터 회로 등의 전기 부품을 수용한 전기 기기나, 캐패시터 등의 전기 부품을 수용한 전기 기기가,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인버터 회로는, 전동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직류와 교류로 서로 변환하는 것이고, 캐패시터는,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동 모터에 접속된 케이블의 단부에는 케이블측 커넥터가 설치되고, 이 케이블측 커넥터가, 전기 기기에 설치된 기기측 커넥터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기 기기에 수용된 전기 부품과 전동 모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런데, 유압 셔블은, 굴삭 작업시 등에 있어서 차체가 격렬하게 진동한다. 이로 인해, 상술한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기측 커넥터를 접속하였다고 해도,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단자(콘택트)에 케이블로부터 진동이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접속 단자끼리의 접촉면에 미세 미끄럼 이동에 수반되는 부식(프레팅 부식)이 발생하여, 접촉 불량이나 소손(燒損)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하이브리드식 셔블에 있어서는, 통상, 차체에 탑재되는 컨트롤러나 축전 장치와 같은 전기 기기를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하이브리드식 셔블에는, 이들 전기 기기를 방진 마운트를 통해 차체에 지지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전기 기기를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기 기기를 방진 부재를 통해 차체에 장착한 경우에는, 차체에 직접적으로 장착된 전동 모터에 전달되는 진동과, 전기 기기에 전달되는 진동이 다르게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전동 모터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에 설치한 케이블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에, 전동 모터의 진동과 전기 기기의 진동의 차에 기인하는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다.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와 기기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 사이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 케이블이 삽입되는 커넥터 보디 내에 복수의 돌기를 설치하여, 이 돌기와 케이블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커넥터 보디에 대해 케이블을 확실하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된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보디에 케이블을 고정한 커넥터에 있어서는, 케이블을 통해 접속 단자에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블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와 기기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접촉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7055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3-145079호 공보
그러나, 유압 셔블에 탑재된 전동 모터에 접속되는 동력용 케이블은, 큰 전류가 흐르기 위해 대직경이며, 강성도 높다. 이로 인해, 유압 셔블이 진동을 발생하면, 이 진동이 케이블을 통해 케이블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에 전달되기 쉽다.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와 기기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 사이에서 접촉 불량이나 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진동에 대한 커넥터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대직경의 케이블에 따라서 커넥터의 외형 형상을 대형화한 경우에는, 커넥터의 점유 스페이스가 증대된다. 이 결과, 전동 모터와 전기 기기 사이에 케이블을 라우팅할 때의 작업성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차체에 탑재된 전동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에 설치된 케이블측 커넥터와, 방진 부재를 통해 지지된 전기 기기에 설치된 기기측 커넥터 사이를 확실하게 접속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탑재된 전동 장치와, 상자체 내에 상기 전동 장치와 접속되는 전기 부품을 수용하고 방진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에 지지된 전기 기기와, 상기 전동 장치와 상기 전기 기기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전기 기기의 상자체에는, 그 외면측에 위치하여 당해 상자체보다도 작은 외형 형상을 갖고 돌출되는 커넥터 장착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에는, 상기 케이블의 전기 기기측의 단부에 설치된 케이블측 커넥터가 접속되는 기기측 커넥터를 설치하고, 상기 전기 기기의 상자체 외면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의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블의 전기 기기측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 부재를 설치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기 기기의 상자체에 설치한 커넥터 장착 부재에 기기측 커넥터를 장착하고, 전동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에 설치한 케이블측 커넥터를 기기측 커넥터에 접속한 상태에서, 케이블의 전기 기기측의 단부를, 클램프 부재를 이용하여 상자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블의 단부와 케이블측 커넥터의 양쪽을 전기 기기의 상자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동 장치로부터 케이블에 전달되는 진동 및 케이블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 전기 기기로부터 기기측 커넥터를 통해 케이블측 커넥터에 전달되는 진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차체에 탑재된 전동 장치에 전달되는 진동과, 방진 부재를 통해 차체에 지지된 전기 기기에 전달되는 진동이 다른 경우라도, 케이블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에 과대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 가동시에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기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끼리의 접촉면에 미세 미끄럼 이동에 수반되는 부식(프레팅 부식)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접촉 불량이나 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측 커넥터의 접속 단자에 진동에 의한 과대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측 커넥터 및 기기측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들 각 커넥터의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각 케이블을 라우팅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 기기의 상자체는 상면, 하면 및 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입체 구조체로 하고, 상기 전기 기기의 상자체는, 그 하면을 아래로 하여 상기 차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는, 상기 상자체의 하면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외면에 장착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가 설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 중,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가 장착된 부위를 제외한 잔여 부위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가 설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 중, 상기 잔여 부위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케이블측 커넥터는, 커넥터 장착 부재가 장착된 부위를 제외한 잔여 부위에 배치하면 되고, 케이블은, 상기 잔여 부위에 장착된 클램프 부재를 사용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 기기의 상자체는 상면, 하면, 전방면, 후방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입체 구조체로 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는 상면, 전방면, 후방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입체 구조체로 하고, 상기 전기 기기의 상자체는, 하면을 아래로 하여 상기 차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는, 상기 상자체의 하면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의 각 면 중 상기 상자체에 대해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가 설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과 직교하는 면에는 상기 기기측 커넥터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에 대해 상기 기기측 커넥터가 설치된 면의 전방측에 스페이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는, 상기 상자체의 후방면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배치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에 대해 상기 기기측 커넥터가 설치된 면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자체의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에 대해 상기 기기측 커넥터가 설치된 면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자체의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자체에 장착된 커넥터 장착 부재 중 기기측 커넥터가 설치되는 면의 전방측에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장착 부재의 기기측 커넥터에 케이블측 커넥터를 접속하였을 때에, 이 케이블측 커넥터를, 커넥터 장착 부재의 설치면 내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기측 커넥터에 접속된 케이블측 커넥터가, 커넥터 장착 부재의 설치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전기 기기의 주위에 배치된 기기류와 케이블측 커넥터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장착 부재의 각 면 중 커넥터 장착 부재의 설치면과 직교하는 면에 기기측 커넥터를 장착함으로써, 기기측 커넥터에 대해 케이블측 커넥터를 수평 방향으로부터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빗물이나 결로 등에 의한 수분이 케이블을 타고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기측 커넥터의 접속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여, 이들 각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자체 중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클램프 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클램프 고정부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클램프 고정구에 장착한 클램프 부재에 의해, 케이블측 커넥터가 설치된 케이블의 단부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자체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에 설치된 상기 기기측 커넥터 및 당해 기기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를 덮는 커버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동 장치나 전기 기기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가 실수로 기기측 커넥터와 케이블측 커넥터의 접속부를 밟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기측 커넥터와 케이블측 커넥터를 보호하여, 부주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양자를 장기에 걸쳐 확실하게 접속해 둘 수 있다.
(6).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전동 장치와 제1 케이블을 이용하여 접속된 제1 전기 기기와,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제2 케이블을 이용하여 접속된 제2 전기 기기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상자체에는 인버터 회로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전기 기기의 상자체에는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축전기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케이블에 설치한 케이블측 커넥터와 제1 전기 기기에 설치한 기기측 커넥터 사이를 확실하게 접속하는 동시에, 제2 케이블에 설치한 한쪽의 케이블측 커넥터와 제1 전기 기기에 설치한 기기측 커넥터의 사이, 제2 케이블에 설치한 다른 쪽의 케이블측 커넥터와 제2 전기 기기에 설치한 기기측 커넥터의 사이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7).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체는, 지지 구조체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부측에 설치되어 운전실을 구획하는 캡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구동에 필요한 원동기를 수용하는 동시에 건물 커버에 의해 덮인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과 함께 건물 커버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판(床板)에 의해 폐색되어, 기기 또는 비품이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상판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전기 기기를 상기 방진 부재를 통해 미리 조립함으로써 단일의 탑재 기기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탑재 기기 조립체를 형성하는 상기 상판을 상기 수용 공간의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상판에 방진 부재를 통해 전기 기기를 장착함으로써, 원래 프레임의 구성 부재인 상판을 이용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탑재 기기 조립체를 형성한 후에, 이 탑재 기기 조립체를 구성하는 상판을 수용 공간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수용 공간 내에 전기 기기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원래 프레임의 구성 부재인 상판에 전기 기기를 장착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이 탑재 기기 조립체를 가급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탑재 기기 조립체를 수용 공간의 위치에서 프레임에 대해 장착, 제거할 때에, 탑재 기기 조립체의 주위에 큰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에 대해 탑재 기기 조립체를 장착, 제거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구성 부재인 상판에 전기 기기를 장착함으로써, 프레임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대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의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탑재 기기 조립체의 조립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것에 더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의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캡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측부가 개폐 가능한 도어 커버에 의해 덮이는 동시에 상기 상판에 의해 폐색된 유틸리티실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도어 커버의 개폐에 의해 전기 기기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건설 기계의 비품을 수용하기 위해 미리 구비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9).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전기 기기에 장착되는 기기측 장착부와, 상기 상판에 장착되는 상판측 장착부와, 상기 기기측 장착부와 상판측 장착부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와, 상기 상판측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방진 부재의 기기측 장착부를 상기 전기 기기의 하면에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방진 부재의 볼트를 상기 상판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탑재 기기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탑재 기기 조립체의 상판은, 상기 프레임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당해 프레임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탑재 기기 조립체의 상판을 일단 프레임 상에 적재한 후, 이 상판을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탑재 기기 조립체를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에 대한 탑재 기기 조립체의 장착, 제거 작업을 상, 하 방향으로부터 행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1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진 부재의 상기 상판측 장착부에는, 상기 상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판에 대해 상기 방진 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회전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방진 부재의 상판측 장착부에 돌출된 볼트를 상판에 삽입 관통하여 체결할 때에, 상판측 장착부에 설치한 회전 방지 부재가 상판에 결합됨으로써, 방진 부재가 상판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설 기계의 작동시에 프레임이 진동하였다고 해도, 방진 부재와 상판의 장착부가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프레임에 고정된 상판에 대해, 장기에 걸쳐 안정된 방진 상태로 전기 기기를 지지할 수 있다.
(11).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탑재 기기 조립체의 상판에는, 당해 탑재 기기 조립체를 매달아 올리기 위한 로프를 로크하는 로프 로크구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판에 장착한 로프 로크구에 로프를 로크함으로써, 이 로프를 사용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를 매달아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인 탑재 기기 조립체를, 로프를 사용하여 매달아 올림으로써, 프레임에 대해 용이하게 장착,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부 선회체를 전방측 도어와 후방측 도어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선회 프레임 상에 엔진, 선회 장치, 제1, 제2 전기 기기 등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선회 프레임 상에 선회 장치, 제1, 제2 전기 기기, 전방 구획판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 중 전방 구획판을 제거하는 동시에, 제2 전기 기기로부터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전기 기기와 상판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선회 프레임에 대한 제1 전기 기기의 장착 상태를 도 3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방진 마운트를 도 7 중의 화살표 VIII-VIII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선회 장치에 사용되는 전동 모터와, 제1, 제2 전기 기기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1 전기 기기에 방진 마운트를 장착하는 방진 마운트 장착 공정을 도시하는 조립 작업의 공정도이다.
도 11은 방진 마운트에 상판을 장착하는 상판 장착 공정을 도시하는 조립 작업의 공정도이다.
도 12는 탑재 기기 조립체를 로프를 사용하여 매달아 올리는 조립체 매달아 올림 공정을 도시하는 조립 작업의 공정도이다.
도 13은 탑재 기기 조립체를 선회 프레임에 장착하는 조립체 장착 공정을 도시하는 조립 작업의 공정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5와 마찬가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의한 제1 전기 기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실시 형태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동 장치로서, 선회 장치에 사용되는 전동 모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면 중, 부호 1은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유압 셔블(1)의 차체는,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의 전방부측에는 작업 장치(4)가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작업 장치(4)에 의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것이다.
부호 5는 상부 선회체(3)의 베이스로 되는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고, 상기 선회 프레임(5)은, 견고한 지지 구조체를 이루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은 후육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판(6)과, 상기 바닥판(6) 상에 기립 설치되고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세로판(7) 및 우측 세로판(8)과, 좌측 세로판(7)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좌측 돌출 빔(9)과, 우측 세로판(8)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우측 돌출 빔(10)과, 각 좌측 돌출 빔(9)의 선단측에 고착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11)과, 각 우측 돌출 빔(10)의 선단측에 고착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우측 사이드 프레임(12)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6) 전, 후 방향의 중간 부위에는, 좌, 우의 세로판(7, 8) 사이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선회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좌, 우의 세로판(7, 8)의 전단부측에는 작업 장치(4)가 장착되고, 좌, 우의 세로판(7, 8)의 후단부측에는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2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11)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상판(35)의 좌측 단부측이 장착되는 상판 장착 시트(11A)가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바닥판(6)의 상면에는, 상판(35)의 우측 단부측이 장착되는 상판 장착 브래킷(6A)이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상판 장착 시트(11A), 상판 장착 브래킷(6A)이 설치된 위치가, 선회 프레임(5) 중 후술하는 유틸리티실(29)(수용 공간)의 위치(5A)로 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의 후방부측에는, 카운터 웨이트(20)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원동기로서의 엔진(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엔진(13)은, 선회 프레임(5)의 각 세로판(7, 8) 상을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배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엔진(13)의 좌측 단부측에는, 냉각 팬(13A)이 장착되고, 엔진(13)의 우측 단부측에는, 유압 펌프(14)가 장착되어 있다. 유압 펌프(14)는,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에 작동용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선회 프레임(5) 상에는, 엔진(13)의 좌측에 위치하여 열교환기(15)가 탑재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15)는, 지지 프레임(16) 및 상기 지지 프레임(16)에 지지된 라디에이터(17), 오일 쿨러(18) 등으로 이루어지는 1개의 유닛으로서 형성되고, 선회 프레임(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열교환기(15)의 지지 프레임(16)은, 후술하는 전방 구획 커버(25)와 유틸리티실(29)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전방 구획판(16A)과, 카운터 웨이트(20)의 전방측에 설치된 후방 구획판(16B)과, 이들 전방 구획판(16A)과 후방 구획판(16B)의 상단부측을 연결하는 연결판(1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6)은,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17),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 쿨러(18) 등을 지지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5)의 전방부 좌측에는 캡(19)이 설치되고, 상기 캡(19)은 운전실을 구획하는 것이다.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측에는 카운터 웨이트(20)가 설치되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20)는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다. 선회 프레임(5)의 전방부 우측에는 작동유 탱크(21)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21)는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것이다.
다음에, 건물 커버(22)의 구성과, 그 내부에 형성되는 기계실(28), 유틸리티실(29) 등에 대해 설명한다.
부호 22는 카운터 웨이트(20)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건물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건물 커버(22)는, 선회 프레임(5) 상에 탑재되는 엔진(13), 유압 펌프(14), 열교환기(15) 등을 덮는 것이다. 여기서, 건물 커버(22)는, 상면판(23), 보닛(24), 열교환기(15)의 지지 프레임(16), 후술하는 전방 구획 커버(25), 좌측 전방측 도어(26), 좌측 후방측 도어(2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건물 커버(22)의 상측은, 상면판(23)과 보닛(2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건물 커버(22)의 좌측은, 좌측 전방측 도어(26)와 좌측 후방측 도어(27)에 의해 구획되고, 건물 커버(22)의 우측은, 우측 도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건물 커버(22)의 전방측은, 작동유 탱크(21)와 전방 구획 커버(25)에 의해 구획되고, 건물 커버(22)의 후방측은, 열교환기(15)의 지지 프레임(16)을 구성하는 후방 구획판(16B)과 카운터 웨이트(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캡(19)과 열교환기(15)의 사이에는 전방 구획 커버(25)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 구획 커버(25)는 건물 커버(22)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전방 구획 커버(25)는, 열교환기(15)의 지지 프레임(16)[전방 구획판(16A)]과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면하여, 건물 커버(22)의 좌측 전방측을 구획하는 것이다.
좌측 전방측 도어(26)는 전방 구획 커버(25)에 개, 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좌측 전방측 도어(26)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커버를 구성하고 있다. 이 좌측 전방측 도어(26)는, 힌지 부재를 통해 전방 구획 커버(2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방 구획 커버(25)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전, 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후술하는 유틸리티실(29)을 개, 폐하는 것이다.
좌측 전방측 도어(26)의 후방측에는 좌측 후방측 도어(27)가 설치되고, 상기 좌측 후방측 도어(27)는, 열교환기(15)의 지지 프레임(16)을 구성하는 후방 구획판(16B)에 힌지 부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측 후방측 도어(27)는, 후방 구획판(16B)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전, 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후술하는 열교환기 전방실(28B)을 개, 폐하는 것이다.
부호 28은 건물 커버(22) 내에 형성된 기계실을 나타내고 있다. 기계실(28)은, 건물 커버(22)를 구성하는 상면판(23), 보닛(24), 좌측 전방측 도어(26), 좌측 후방측 도어(27) 및 우측 도어(도시하지 않음)와, 카운터 웨이트(20)와, 작동유 탱크(21)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기계실(28)은, 열교환기(15)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엔진실(28A)과 열교환기 전방실(28B)로 이루어져 있다.
엔진실(28A)은, 엔진(13), 유압 펌프(14)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며, 상기 엔진실(28A)은, 건물 커버(22)의 상면판(23), 보닛(24) 및 우측 도어(도시하지 않음)와, 열교환기(15)의 지지 프레임(16)과, 카운터 웨이트(20)와, 작동유 탱크(21)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열교환기 전방실(28B)은, 열교환기(15)를 사이에 두고 엔진실(28A)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 전방실(28B)은, 건물 커버(22)를 구성하는 상면판(23) 및 좌측 후방측 도어(27)와, 열교환기(15)에 의해 구획되고, 좌측 후방측 도어(27)에 의해 개, 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 전방실(28B) 내에는, 후술하는 제2 전기 기기(42)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29는 기계실(28)과 함께 건물 커버(22) 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으로서의 유틸리티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틸리티실(29)은, 건물 커버(22)를 구성하는 상면판(23) 및 좌측 전방측 도어(26)와, 열교환기(15)의 지지 프레임(16)을 구성하는 전방 구획판(16A)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유틸리티실(29) 내에는, 엔진(13)에 흡입되는 흡기를 청정화하는 에어 클리너(29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틸리티실(29)의 하측은 후술하는 상판(35)에 의해 폐색되고, 상기 상판(35) 상에는 후술하는 제1 전기 기기(36)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부호 30은 선회 프레임(5)에 탑재된 선회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선회 장치(30)는, 선회 프레임(5)을 구성하는 좌, 우측의 세로판(7, 8) 사이에 위치하여 바닥판(6)의 중앙부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 장치(30)는, 하부 주행체(2) 상에 지지된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는 것으로, 유압 모터(31)와, 후술하는 전동 모터(33)와, 감속기(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선회 장치(30)는, 유압 모터(31)와 전동 모터(33)가 협동하여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구동시키는, 이른바 하이브리드형의 선회 장치로 되어 있다.
부호 33은 전동 장치로서의 교류형의 전동 모터를 나타내고, 상기 전동 모터(33)는 유압 모터(31)와 함께 선회 장치(30)의 회전원을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동 모터(3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장치(30)를 구성하는 감속기(32)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감속기(32)는, 선회 프레임(5)의 바닥판(6)에 대해, 방진 부재 등을 개재시키는 일 없이, 볼트 등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동 모터(33)의 상단부측에는 유압 모터(31)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유틸리티실(29) 내에 배치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탑재 기기 조립체(34)에 대해 설명한다.
즉, 부호 34는 유틸리티실(29) 내에 배치된 탑재 기기 조립체를 나타내고, 상기 탑재 기기 조립체(34)는, 후술하는 상판(35)과, 제1 전기 기기(36)와, 방진 마운트(38)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탑재 기기 조립체(34)는, 상판(35)과 제1 전기 기기(36)를 방진 마운트(38)를 통해 미리 조립함으로써, 단일의 조립체(서브 어셈블리)로서 형성된다. 이 탑재 기기 조립체(34)는, 도 2에 도시하는 유틸리티실(29)의 위치에서, 선회 프레임(5)에 장착되는 것이다.
부호 35는 선회 프레임(5)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유틸리티실(29)의 하측을 폐색하는 상판이며, 상기 상판(35)은,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베이스로 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35)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인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회 프레임(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제1 전기 기기(36)가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판(35)은, 제1 전기 기기(36)가 장착되는 평판 형상의 장착면부(35A)와, 상기 장착면부(35A)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된 외측 프레임부(35B)와, 장착면부(35A)를 복수의 에어리어로 구획하도록 장착면부(35A)의 상면과 외측 프레임부(35B)에 고착된 복수개의 리브(3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장착면부(35A)에는, 상판(35)을 선회 프레임(5)에 대해 착탈할 때의 작업 구멍(35D), 상판(35)의 하방에 배치되는 컨트롤 밸브를 착탈하거나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대직경 구멍(35E) 등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면부(35A)의 4개의 코너부에는, 각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5F)이 형성되고, 이들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5F)에는, 체결 부재로서의 볼트(35G)가 삽입 관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5F)에 삽입 관통한 볼트(35G)를, 도 12에 도시하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11)의 상판 장착 시트(11A), 바닥판(6)의 상판 장착 브래킷(6A)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상판(35)이 선회 프레임(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장착면부(35A)의 중앙부에는, 전, 후 방향 및 좌, 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의 마운트 장착 구멍(35H)이 형성되고, 이들 각 마운트 장착 구멍(35H)에는, 후술하는 방진 마운트(38)의 볼트(38D)가 삽입 관통된다. 각 마운트 장착 구멍(35H)의 근방 부위에는, 작은 사각 형상을 이루는 회전 방지 구멍(35J)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각 회전 방지 구멍(35J)에는, 후술하는 방진 마운트(38)의 회전 방지 돌기(38E)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장착면부(35A)의 코너부의 근방에는, 후술하는 제1 전기 기기(36)를 끼우는 위치에 2개의 아이볼트(eye bolt) 장착 구멍(35K)이 천공되어 있다.
다음에, 부호 36은 유틸리티실(29) 내에 배치된 제1 전기 기기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전기 기기(36)는, 후술하는 방진 마운트(38)를 통해 상판(35) 상에 방진 상태로 지지되고, 후술하는 제1 케이블(46)을 사용하여 전동 모터(33)에 접속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전기 기기(36)는, 후술하는 상자체(37)를 구비하고, 상기 상자체(37) 내에는, 전동 모터(33)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직류 전류로부터 교류 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 회로 및 승압, 강압용의 초퍼 회로 등의 전기 부품(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어 있다.
부호 37은 제1 전기 기기(36)의 외피를 이루는 상자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자체(37)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37A) 및 하면(37B)과, 상면(37A)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된 전방면(37C), 후방면(37D), 좌측면(37E) 및 우측면(37F)에 의해 둘러싸인 직육면체의 입체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자체(37)의 내측에는 냉각수 통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상자체(37) 내에 수용된 전기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 통로를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자체(37)의 상면(37A) 상에는, 후술하는 커넥터 장착 부재(3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 38은 방진 부재로서의 복수의 방진 마운트를 나타내고, 이들 각 방진 마운트(38)는, 제1 전기 기기(36)를 구성하는 상자체(37)와 상판(3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각 방진 마운트(38)는, 제1 전기 기기(36)를 선회 프레임(5)에 대해 방진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상부 선회체(3)의 큰 진동이 제1 전기 기기(36)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진 마운트(38)는, 상자체(37)의 하면(37B)에 장착되는 평판 형상의 기기측 장착부(38A)와, 상판(35)의 장착면부(35A)에 장착되는 원판 형상의 상판측 장착부(38B)와, 고무 등의 가요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기기측 장착부(38A)와 상판측 장착부(38B)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38C)와, 상판측 장착부(38B)의 중심부에 돌출되고, 상판(35)의 마운트 장착 구멍(35H)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38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판측 장착부(38B)의 외주연부에는, 당해 상판측 장착부(38B)로부터 볼트(38D)를 따라 직각으로 절곡된 회전 방지 부재로서의 회전 방지 돌기(38E)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방지 돌기(38E)는, 볼트(38D)를 상판(35)의 마운트 장착 구멍(35H)에 삽입 관통하였을 때에, 상판(35)에 설치된 회전 방지 구멍(35J)에 결합되는 것이다.
방진 마운트(38)는, 기기측 장착부(38A)를 볼트(38F)를 사용하여 상자체(37)의 하면(37B)에 장착하는 동시에, 방진 마운트(38)의 볼트(38D)를 상판(35)의 마운트 장착 구멍(35H)에 삽입 관통하여 너트 체결한다. 이에 의해, 상판(35) 상에 각 방진 마운트(38)를 통해 제1 전기 기기(36)가 장착되고, 탑재 기기 조립체(34)가 형성된다. 이때, 방진 마운트(38)의 상판측 장착부(38B)에 설치된 회전 방지 돌기(38E)를, 상판(35)에 형성한 회전 방지 구멍(35J)에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볼트(38D)에 너트를 체결할 때에, 탄성체(38C)에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어, 탄성체(38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돌기(38E)는, 방진 마운트(38)가 진동에 의해 볼트(38D)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방진 마운트(38)가 느슨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자체(37)에 설치되는 커넥터 장착 부재(39)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장착 부재(39)가, 상자체(37)의 상면(37A)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장착 부재(39)는, 전방면(37C), 후방면(37D), 좌측면(37E), 우측면(37F)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부호 39는 상자체(37)의 상면(37A) 상에 돌출된 커넥터 장착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장착 부재(39)는, 상자체(37)보다도 전, 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작은 외형 형상을 갖는 직육면체의 입체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 장착 부재(39)는, 상자체(37)의 상면(37A)과 대면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39A)과, 상기 상면(39A)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된 전방면(39B), 후방면(39C), 좌측면(39D) 및 우측면(39E)에 의해 둘러싸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장착 부재(39)는, 하면측이 개구부로 되어 상자체(37)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해 상자체(37) 내에 케이블이 삽입 관통되는 것이다.
이 경우, 커넥터 장착 부재(39)는, 상자체(37)의 상면(37A) 중 후방면(37D)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장착 부재(39)의 전방면(39B)은, 상자체(37)의 전방면(37C)보다도 후방측[후방면(37D)측]으로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상자체(37)의 상면(37A)은, 커넥터 장착 부재(39)가 설치된 장착 부위(37A1)와, 이 장착 부위(37A1)를 제외한 커넥터 장착 부재(39)의 전방면(39B)의 전방에 위치하는 잔여 부위(37A2)로 이루어져 있다.
부호 40, 41은 커넥터 장착 부재(39)의 전방면(39B)에 나란히 설치된 제1, 제2 기기측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1, 제2 기기측 커넥터(40, 41)는, 상자체(37) 내에 수용된 인버터 회로 등의 전기 부품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기기측 커넥터(40)에는 후술하는 케이블측 커넥터(46A)가 접속되고, 제2 기기측 커넥터(41)에는 후술하는 케이블측 커넥터(47A)가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열교환기 전방실(28B) 내에 수용된 제2 전기 기기(42)에 대해 설명한다.
부호 42는 열교환기 전방실(28B) 내에 배치된 제2 전기 기기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전기 기기(42)는, 후술하는 제2 케이블(47)을 사용하여 제1 전기 기기(36)에 접속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전기 기기(42)는, 상자체(43)와, 상기 상자체(43) 내에 수용된 캐패시터, 배터리 등의 축전기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전기 기기(42) 내의 축전기는, 전동 모터(33)를 구동하는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이다. 즉, 제2 전기 기기(42) 내의 축전기는, 전동 모터(33)의 제동시에 상기 전동 모터(33)에 의해 발생된 회생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서 충전하는 동시에, 이 전기 에너지를 전동 모터(33)를 향해 방전한다. 또한, 제2 전기 기기(42)는, 복수개의 축전기를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체(43)는, 상면(43A), 하면, 전방면(43B), 후방면, 좌측면(43C), 우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입체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상자체(43)는, 전술한 상자체(37)와 마찬가지로, 방진 마운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선회 프레임(5)에 방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자체(43)의 내측에는 냉각수 통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상자체(43) 내에 수용된 전기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 통로를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자체(43)에 설치되는 커넥터 장착 부재(44)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자체(43)의 상면(43A)에 커넥터 장착 부재(44)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장착 부재(44)는 상자체(43)의 전방면(43B), 후방면, 좌측면(43C), 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부호 44는 상자체(43)의 상면(43A) 상에 돌출 설치된 커넥터 장착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장착 부재(44)는, 상면(44A), 전방면(44B), 후방면(44C), 좌측면(44D) 및 우측면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자체(43)보다도 전, 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작은 외형 형상을 갖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입체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장착 부재(44)는 하면측이 개구부로 되어 상자체(43)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해 상자체(43) 내에 케이블이 삽입 관통된다.
이 경우, 커넥터 장착 부재(44)는, 상자체(43)의 상면(43A) 중 후방면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장착 부재(44)의 전방면(44B)은, 상자체(43)의 전방면(43B)보다도 후방측으로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상자체(43)의 상면(43A)은, 커넥터 장착 부재(44)가 설치된 장착 부위(43A1)와, 이 장착 부위(43A1)를 제외한 커넥터 장착 부재(44)의 전방면(44B)의 전방에 위치하는 잔여 부위(43A2)로 이루어져 있다.
부호 45는 커넥터 장착 부재(44)의 전방면(44B)에 설치된 제3 기기측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 기기측 커넥터(45)는, 상자체(43) 내에 수용된 전기 부품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기기측 커넥터(45)에는, 후술하는 케이블측 커넥터(47B)가 접속된다.
다음에, 부호 46은 전동 모터(33)와 제1 전기 기기(36)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케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케이블(46) 중 제1 전기 기기(36)측의 단부에는, 내부에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 케이블측 커넥터(46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케이블(46)의 케이블측 커넥터(46A)는, 제1 전기 기기(36)의 커넥터 장착 부재(39)에 장착된 제1 기기측 커넥터(40)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블측 커넥터(46A)와, 제1 케이블(46) 중 케이블측 커넥터(46A)의 근방 부위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제1 전기 기기(36)를 구성하는 상자체(37)의 상면(37A)[잔여 부위(37A2)] 내에 들어가 있다.
부호 47은 제1 전기 기기(36)와 제2 전기 기기(42)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케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케이블(47)의 양단부에는, 내부에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 케이블측 커넥터(47A, 47B)가 설치되어 있다. 일단부측의 케이블측 커넥터(47A)는, 제1 전기 기기(36)의 커넥터 장착 부재(39)에 장착된 제2 기기측 커넥터(41)에 접속된다. 또한, 타단부측의 케이블측 커넥터(47B)는, 제2 전기 기기(42)의 커넥터 장착 부재(44)에 장착된 제3 기기측 커넥터(45)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블측 커넥터(47A) 및 제2 케이블(47) 중 케이블측 커넥터(47A)의 근방 부위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제1 전기 기기(36)를 구성하는 상자체(37)의 상면(37A) 내에 들어간다. 또한, 케이블측 커넥터(47B) 및 제2 케이블(47) 중 케이블측 커넥터(47B)의 근방 부위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제2 전기 기기(42)를 구성하는 상자체(43)의 상면(43A)[잔여 부위(43A2)]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33)와 제1 전기 기기(36)의 사이는 제1 케이블(46)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전기 기기(36)와 제2 전기 기기(42) 사이는 제2 케이블(47)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회 장치(30)를 작동시킬 때에는, 제2 전기 기기(42)로부터 방전된 전기 에너지가 제1 전기 기기(36)를 통해 교류 전류로서 전동 모터(33)에 공급되어, 상기 전동 모터(33)를 회전 구동시킨다. 한편, 선회 장치(30)를 제동시킬 때에는, 전동 모터(33)의 관성 회전에 의해 발생한 회생 에너지가, 제2 전기 기기(42)에 축적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호 48, 49는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의 상면(37A)에 설치된 클램프 고정부로서의 제1, 제2 장착 시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각 장착 시트(48, 49)는, 후술하는 제1, 제2 클램프 부재(50, 51)를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장착 시트(48, 49)는, 예를 들어 육각 너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자체(37)를 구성하는 상면(37A) 중 잔여 부위(37A2) 상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즉, 각 장착 시트(48, 49)는,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 중, 커넥터 장착 부재(39)의 근방이며, 또한 제1, 제2 기기측 커넥터(40, 41)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부호 50은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에 설치된 제1 클램프 부재를 나타내고, 상기 제1 클램프 부재(50)는 제1 장착 시트(48)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클램프 부재(50)는, 제1 케이블(46)의 케이블측 커넥터(46A)의 근방 부위, 예를 들어 케이블측 커넥터(46A)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단부를 클램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클램프 부재(50)는, 상자체(37)의 상면(37A)에 설치된 제1 장착 시트(48)에 볼트(50A)를 사용하여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46A)가,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 상에 설치된 커넥터 장착 부재(39)에 접속되고, 제1 케이블(46)의 단부가, 제1 클램프 부재(50)를 통해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1 케이블(46)의 단부에 전달되는 진동과 케이블측 커넥터(46A)에 전달되는 진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46A)의 접속 단자에 과대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51은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에 설치된 제2 클램프 부재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클램프 부재(51)는 제2 장착 시트(49)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클램프 부재(51)는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A)의 근방 부위,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측 커넥터(47A)가 설치된 일측의 케이블 단부를 클램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2 클램프 부재(51)는, 상자체(37)의 상면(37A)에 설치된 제2 장착 시트(49)에 볼트(51A)를 사용하여 체결되어 있다.
부호 52는 제2 전기 기기(42)의 상자체(43)의 상면(43A) 중 잔여 부위(43A2)에 설치된 제3 클램프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 클램프 부재(52)는, 커넥터 장착 부재(44)의 근방이며, 또한 제3 기기측 커넥터(45)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3 클램프 부재(52)는,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B)의 근방 부위,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측 커넥터(47B)가 설치된 타측의 케이블 단부를 클램프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3 클램프 부재(52)는, 상자체(43)의 상면(43A)에 설치된 제3 장착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볼트(52A)를 사용하여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47A)가,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 상에 설치된 커넥터 장착 부재(39)에 접속되고, 제2 케이블(47)의 일측의 단부가, 제2 클램프 부재(51)를 통해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케이블(47)에 발생하는 진동 및 제2 케이블(47)의 일부에 전달되는 진동과 케이블측 커넥터(47A)에 전달되는 진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블측 커넥터(47B)가, 제2 전기 기기(42)의 상자체(43) 상에 설치된 커넥터 장착 부재(44)에 접속되고, 제2 케이블(47)의 타측의 단부가, 제3 클램프 부재(52)를 통해 제2 전기 기기(42)의 상자체(43)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케이블(47)에 발생하는 진동 및 제2 케이블(47)의 타단부에 전달되는 진동과 케이블측 커넥터(47B)에 전달되는 진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계 가동시에 제1 전기 기기(36)에 전달되는 진동과 제2 전기 기기(42)에 전달되는 진동이 다른 경우라도, 케이블측 커넥터(47A)의 접속 단자나 케이블측 커넥터(47B)의 접속 단자에 과대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부호 53은 제2 전기 기기(42)의 상자체(43)에 장착된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커버(53)는, 단면 L자형으로 절곡된 판체로 이루어지고, 제2 전기 기기(42)를 구성하는 상자체(43)와 커넥터 장착 부재(44)에 복수의 볼트(53A)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커버(53)는, 커넥터 장착 부재(44)에 장착된 제3 기기측 커넥터(45)와, 상기 제3 기기측 커넥터(45)에 접속된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B)를 덮고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 전방실(28B) 내에서 열교환기(15)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가, 제3 기기측 커넥터(45)나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B)를 부주의하게 밟아 버리는 것을, 커버(53)에 의해 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54는 상판(35)의 장착면부(35A)에 장착된 로프 로크구로서의 2개의 아이볼트를 나타내고 있다(도 12 참조). 각 아이볼트(54)는, 상판(35)의 아이볼트 장착 구멍(35K)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 체결됨으로써, 제1 전기 기기(36)를 끼우는 2개소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각 아이볼트(54)는, 짐 매달기 작업용 로프(55)가 로크되는 것으로, 이 로프(55)를 크레인(56)에 의해 들어올림으로써, 상판(35), 제1 전기 기기(36), 방진 마운트(38)가 일체화된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매달아 올릴 수 있다. 또한, 아이볼트(54)는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중량 밸런스에 따라서 3개소 이상에 설치해도 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에 의해 작업 현장까지 자주하고, 선회 장치(30)에 의해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면서, 작업 장치(4)를 사용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을 행한다.
이 경우, 유압 셔블(1)의 작동시에는 선회 프레임(5)이 크게 진동한다. 따라서, 이 선회 프레임(5)에 직접적으로 장착된 선회 장치(30)도, 선회 프레임(5)과 함께 크게 진동한다.
한편, 유틸리티실(29) 내에 배치된 제1 전기 기기(36)는, 유틸리티실(29)의 하측을 폐색하는 상판(35)에 방진 마운트(38)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전기 기기(36)에 전달되는 진동은, 선회 장치(30)에 전달되는 진동보다도 작다. 마찬가지로, 열교환기 전방실(28B) 내에 배치된 제2 전기 기기(42)도, 방진 마운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선회 프레임(5)에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전기 기기(42)에 전달되는 진동은, 선회 장치(30)에 전달되는 진동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유압 셔블(1)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선회 장치(30)에 전달되는 진동과, 제1 전기 기기(36) 및 제2 전기 기기(42)에 전달되는 진동이 서로 다르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전기 기기(36)를 구성하는 상자체(37)의 상면(37A)에 커넥터 장착 부재(39)를 돌출 설치하고, 이 커넥터 장착 부재(39)의 전방면(39A)에 제1 기기측 커넥터(40)와 제2 기기측 커넥터(41)를 설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기 기기(42)를 구성하는 상자체(43)의 상면(43A)에 커넥터 장착 부재(44)를 돌출 설치하고, 이 커넥터 장착 부재(44)의 전방면(44A)에 제3 기기측 커넥터(45)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선회 장치(30)의 전동 모터(33)와 제1 전기 기기(36)의 사이를 제1 케이블(46)을 이용하여 접속할 때에는, 제1 케이블(46)에 설치된 케이블측 커넥터(46A)를, 제1 기기측 커넥터(40)에 접속한다. 이와 함께, 제1 케이블(46) 중 케이블측 커넥터(46A)가 설치된 케이블 단부를, 상자체(37)의 상면(37A)에 배치한 제1 클램프 부재(50)에 의해 고정한다.
이에 의해, 제1 케이블(46) 중 케이블측 커넥터(46A)가 설치된 케이블 단부와, 케이블측 커넥터(46A)의 양쪽을,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에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케이블(46)과 케이블측 커넥터(46A)에 전달되는 진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33)에 전달되는 진동과 제1 전기 기기(36)에 전달되는 진동이 다른 경우라도, 케이블측 커넥터(46A)의 접속 단자에 과대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46A)와 제1 기기측 커넥터(40)의 접속 단자끼리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미세 미끄럼 이동을 억제하여, 이것에 수반되는 부식(프레팅 부식)이나 접촉 불량이나 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33)와 제1 전동 기기(36)의 사이를 제1 케이블(46)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기 기기(36)와 제2 전기 기기(42)의 사이를 제2 케이블(47)을 이용하여 접속할 때에는, 제2 케이블(47)의 일단부에 설치된 케이블측 커넥터(47A)를, 커넥터 장착 부재(39)에 설치된 제2 기기측 커넥터(41)에 접속한다. 이와 함께, 제2 케이블(47)의 일단부를, 상자체(37)의 상면(37A)에 배치한 제2 클램프 부재(51)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제2 케이블(47)의 타단부에 설치된 케이블측 커넥터(47B)를, 커넥터 장착 부재(44)에 설치된 제3 기기측 커넥터(45)에 접속한다. 이와 함께, 제2 케이블(47)의 타단부를, 상자체(43)의 상면(43A)에 배치한 제3 클램프 부재(52)에 의해 고정한다.
이에 의해, 제2 케이블(47) 중 케이블측 커넥터(47A)가 설치된 일측의 케이블 단부와 케이블측 커넥터(47A)의 양쪽을,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에 고정할 수 있어, 제2 케이블(47)과 케이블측 커넥터(47A)에 전달되는 진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블(47) 중 케이블측 커넥터(47B)가 설치된 타측의 케이블 단부와 케이블측 커넥터(47B)의 양쪽을, 제2 전기 기기(42)의 상자체(43)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케이블(47)과 케이블측 커넥터(47B)에 전달되는 진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전기 기기(36)에 전달되는 진동과 제2 전기 기기(42)에 전달되는 진동이 다른 경우라도, 제2 케이블(47)에 설치한 케이블측 커넥터(47A, 47B)의 접속 단자에 과대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47A)와 제2 기기측 커넥터(41) 및 케이블측 커넥터(47B)와 제3 기기측 커넥터(45)의 접속 단자끼리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미세 미끄럼 이동을 억제하여, 부식(프레팅 부식)이나 접촉 불량이나 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동 기기(36)와 제2 전동 기기(42)의 사이를 제2 케이블(47)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케이블(46)에 설치한 케이블측 커넥터(46A)의 접속 단자에 과대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측 커넥터(46A) 및 제1 기기측 커넥터(4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케이블(47)에 설치한 케이블측 커넥터(47A, 47B)의 접속 단자에 과대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측 커넥터(47A, 47B) 및 제2, 제3 기기측 커넥터(41, 45)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들 케이블측 커넥터(46A, 47A, 47B), 제1, 제2, 제3 기기측 커넥터(40, 41, 45)의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33)와 제1 전기 기기(36)의 사이 및 제1 전기 기기(36)와 제2 전기 기기(42)의 사이에 제1, 제2 케이블(46, 47)을 라우팅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에 설치한 커넥터 장착 부재(39)의 전방면(39B)을, 상자체(37)의 전방면(37C)보다도 후방면(37D)측으로 치우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기기측 커넥터(40)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46)의 케이블측 커넥터(46A)와, 제2 기기측 커넥터(41)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A)를, 상자체(37)의 상면(37A) 중 커넥터 장착 부재(39)의 장착 부위(37A1)를 제외한 잔여 부위(37A2)[기기측 커넥터(40, 41)의 전방측]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기 기기(42)의 상자체(43)에 설치한 커넥터 장착 부재(44)의 전방면(44B)을, 상자체(43)의 전방면(43B)보다도 후방면측으로 치우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3 기기측 커넥터(45)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B)를, 상자체(43)의 상면(43A) 중 커넥터 장착 부재(44)의 장착 부위(43A1)를 제외한 잔여 부위(43A2)[기기측 커넥터(45)의 전방측]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케이블(46)의 케이블측 커넥터(46A)와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A)가, 상자체(37)의 상면(37A)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B)에 대해서도,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47B)가 상자체(43)의 상면(43A)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케이블측 커넥터(46A, 47A, 47B)가, 제1, 제2 전기 기기(36, 42)의 주위에 배치된 기기류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전기 기기(36)의 커넥터 장착 부재(39)를 직육면체의 입체 구조체로서 형성하고, 이 커넥터 장착 부재(39)의 전방면(39B)에 제1, 제2 기기측 커넥터(40, 41)를 장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기기측 커넥터(40)에 대해, 제1 케이블(46)의 케이블측 커넥터(46A)를 수평 방향으로부터 접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기기측 커넥터(41)에 대해,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A)를 수평 방향으로부터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기 기기(42)의 커넥터 장착 부재(44)를 직육면체의 입체 구조체로서 형성하고, 이 커넥터 장착 부재(44)의 전방면(44B)에 제3 기기측 커넥터(45)를 장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3 기기측 커넥터(45)에 대해,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B)를 수평 방향으로부터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빗물이나 결로 등에 의한 수분이 제1, 제2 케이블(46, 47)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수분이 온도 변화에 수반되는 내외의 기압차 등에 의해 제1 케이블(46)을 타고 케이블측 커넥터(46A) 내부에 흡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 중의 수분이 케이블측 커넥터(46A)와 제1 기기측 커넥터(40)의 접속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기 중의 수분이 제2 케이블(47)을 타고, 케이블측 커넥터(47A)와 제2 기기측 커넥터(41)의 접속부, 케이블측 커넥터(47B)와 제3 기기측 커넥터(45)의 접속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기 기기(42)를 구성하는 상자체(43)에 커버(53)를 장착함으로써, 제3 기기측 커넥터(45)와, 상기 제3 기기측 커넥터(45)에 접속된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B)를 커버(53)에 의해 덮을 수 있다. 이 결과, 열교환기 전방실(28B) 내에서 열교환기(15)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할 때에, 제3 기기측 커넥터(45)나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B)를, 작업자가 부주의하게 밟아 버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틸리티실(29)의 하측을 폐색하는 상판(35)과, 방진 대책이 필요한 제1 전기 기기(36)와, 방진 마운트(38)로 이루어지는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미리 조립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전기 기기(36)를 유틸리티실(29) 내에 배치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조립하여 선회 프레임(5)에 조립 장착하는 조립 작업 공정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방진 마운트 장착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방진 마운트 장착 공정에서는, 제1 전기 기기(36)를 구성하는 상자체(37)의 하면(37B)에, 4개(2개만 도시)의 방진 마운트(38)를 장착한다. 이 경우, 방진 마운트(38)의 기기측 장착부(38A)에 볼트(38F)를 삽입 관통하고, 이 볼트(38F)를 상자체(37)의 하면(37B)에 나사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측 장착부(38B)가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방진 마운트(38)를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은 상판 장착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판 장착 공정에서는, 상자체(37)에 장착된 각 방진 마운트(38)의 볼트(38D)를, 상판(35)의 각 마운트 장착 구멍(35H)에 삽입 관통하여 너트 체결하고, 각 방진 마운트(38)의 상판측 장착부(38B)에 상판(35)을 장착한다. 이에 의해, 상판(35)의 장착면부(35A)에, 4개의 방진 마운트(38)를 통해 제1 전기 기기(36)를 방진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이 결과,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35), 제1 전기 기기(36) 및 방진 마운트(38)로 이루어지는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진 마운트(38)의 상판측 장착부(38B)에 설치된 회전 방지 돌기(38E)가, 상판(35)에 설치한 회전 방지 구멍(35J)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볼트(38D)에 너트를 체결할 때에, 탄성체(38C)에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어, 탄성체(38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진 마운트(38)가 진동에 의해 볼트(38D)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여, 방진 마운트(38)가 느슨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는 조립체 매달아 올림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조립체 매달아 올림 공정에서는,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로프(55) 및 크레인(56)을 사용하여 매달아 올린다. 이 경우에는, 상판(35)의 장착면부(35A)의 상면측에, 제1 전기 기기(36)를 좌, 우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2개의 아이볼트(54)를 고정한다. 이들 각 아이볼트(54)에 짐 매달기 작업용 로프(55)를 로크하고, 이 로프(55)를 크레인(56)에 의해 들어올림으로써,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매달아 올린다. 매달아 올린 탑재 기기 조립체(34)는, 선회 프레임(5) 중 유틸리티실(29)의 위치(5A), 즉, 좌측 사이드 프레임(11)의 상판 장착 시트(11A), 바닥판(6)의 상판 장착 브래킷(6A)을 포함하는 위치의 상방까지 반송된다.
다음에, 도 13은 조립체 장착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조립체 장착 공정에서는, 우선,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상판(35)을, 로프(55) 및 크레인(56)에 의해 매달아 올린다. 다음에, 이 상판(35)을, 좌측 사이드 프레임(11)의 상판 장착 시트(11A), 바닥판(6)의 상판 장착 브래킷(6A)에 적재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35G)를, 상판(35)에 형성한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5F)에 삽입 관통하고, 좌측 사이드 프레임(11)의 상판 장착 시트(11A), 바닥판(6)의 상판 장착 브래킷(6A)에 나사 삽입한다. 이에 의해, 상판(35)이 선회 프레임(5)에 고정되어,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유틸리티실(29)의 위치(5A)에서 선회 프레임(5)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조립체 장착 공정은, 유틸리티실(29)의 상면을 폐색하는 상면 커버를 장착하기 전에 행하거나, 상면 커버를 이 공정의 실시 전에 미리 제거하고 행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선회 프레임(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상판(35)에, 방진 마운트(38)를 통해 제1 전기 기기(36)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원래 선회 프레임(5)의 구성 부재인 상판(35)을 이용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형성한 후에, 이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베이스로 되는 상판(35)을, 선회 프레임(5) 중 유틸리티실(29)의 위치(5A)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유틸리티실(29) 내에 제1 전기 기기(36)를 방진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원래 선회 프레임(5)의 구성 부재인 상판(35)에 제1 전기 기기(36)를 장착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형성함으로써, 이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가급적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유틸리티실(29)의 위치(5A)에서 선회 프레임(5)에 대해 장착, 제거할 때에,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주위에 큰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장착, 제거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5)의 구성 부재인 상판(35)에 제1 전기 기기(36)를 장착함으로써, 선회 프레임(5)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대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조립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데 더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선회 프레임(5)에 장착할 때에는,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상판(35)을, 일단, 좌측 사이드 프레임(11)의 상판 장착 시트(11A), 바닥판(6)의 상판 장착 브래킷(6A)에 적재한다. 그 후, 이들 상판 장착 시트(11A), 상판 장착 브래킷(6A)에 볼트(35G)를 사용하여 상판(35)을 장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회 프레임(5)에 대한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장착, 제거 작업을, 로프(55)를 사용하여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매달아 올린 상태에서 상, 하 방향으로부터 행할 수 있어, 그 작업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방진 마운트(38)의 상판측 장착부(38B)에 돌출된 볼트(38D)를, 상판(35)의 마운트 장착 구멍(35H)에 삽입 관통하여 너트 체결할 때에, 상판측 장착부(38B)에 설치한 회전 방지 돌기(38E)가 상판(35)의 회전 방지 구멍(35J)에 결합됨으로써, 방진 마운트(38)가 상판(35)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체(38C)에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탄성체(38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셔블(1)의 작동시에 선회 프레임(5)이 진동하였다고 해도, 방진 마운트(38)와 상판(35)의 장착부가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선회 프레임(5)에 고정된 상판(35)에 대해, 장기에 걸쳐 안정된 방진 상태로 제1 전기 기기(36)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전기 기기(42)를 구성하는 상자체(43)에,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B)와 제3 기기측 커넥터(45)와 덮는 커버(53)를 장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제1 전기 기기(36)를 구성하는 상자체(37)에 커버(61)를 설치하고, 이 커버(61)에 의해, 제1 케이블(46)의 케이블측 커넥터(46A), 제2 케이블(47)의 케이블측 커넥터(47A), 제1, 제2 기기측 커넥터(40, 41)를 덮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전기 기기(36)를 구성하는 상자체(37)의 상면(37A)에, 클램프 고정부로서, 육각 너트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장착 시트(48, 49)를 장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클램프 고정부로서 볼트 구멍(암나사 구멍)(62, 63)을 천공하고, 이들 각 볼트 구멍(62, 63)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클램프 부재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체에 탑재되는 전동 장치로서, 하이브리드형의 선회 장치(30)에 사용되는 전동 모터(33)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원동기로서 사용되는 전동식 유압 펌프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엔진(13)과 유압 펌프용 전동 모터를 조합하여 유압 펌프를 구동시키는 하이브리드형 원동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 하부 주행체(차체)
3 : 상부 선회체(차체)
5 : 선회 프레임
5A : 유틸리티실(수용 공간)의 위치
13 : 엔진(원동기)
19 : 캡
22 : 건물 커버
26 : 좌측 전방측 도어(도어 커버)
28 : 기계실
29 : 유틸리티실(수용 공간)
33 : 전동 모터(전동 장치)
34 : 탑재 기기 조립체
35 : 상판
35G : 볼트(체결 부재)
36 : 제1 전기 기기
37, 43 : 상자체
37A, 39A, 43A, 44A : 상면
37B : 하면
37C, 39B, 43B, 44B : 전방면
37D, 39C, 44C : 후방면
37E, 39D, 43C, 44D : 좌측면
37F, 39E : 우측면
37A1, 43A1 : 장착 부위
37A2, 43A2 : 잔여 부위
38 : 방진 마운트(방진 부재)
38A : 기기측 장착부
38B : 상판측 장착부
38C : 탄성체
38D : 볼트
38E : 회전 방지 돌기(회전 방지 부재)
39, 44 : 커넥터 장착 부재
40 : 제1 기기측 커넥터
41 : 제2 기기측 커넥터
42 : 제2 전기 기기
45 : 제3 기기측 커넥터
46 : 제1 케이블
46A, 47A, 47B : 케이블측 커넥터
47 : 제2 케이블
48 : 제1 장착 시트(클램프 고정부)
49 : 제2 장착 시트(클램프 고정부)
50 : 제1 클램프 부재
51 : 제2 클램프 부재
52 : 제3 클램프 부재
53, 61 : 커버
54 : 아이볼트(로프 로크구)
55 : 로프
62, 63 : 볼트 구멍(클램프 고정부)

Claims (11)

  1. 자주 가능한 차체(3)와, 상기 차체(3)에 탑재된 전동 장치(33)와, 상자체(37, 43) 내에 상기 전동 장치(33)와 접속되는 전기 부품을 수용하고 방진 부재(38)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3)에 지지된 전기 기기(36, 42)와, 상기 전동 장치(33)와 상기 전기 기기(36, 42)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46, 47)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36, 42)의 상자체(37, 43)에는, 그 외면측에 위치하여 당해 상자체(37, 43)보다도 작은 외형 형상을 갖고 돌출되는 커넥터 장착 부재(39, 44)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에는, 상기 케이블(46, 47)의 전기 기기(36, 42)측의 단부에 설치된 케이블측 커넥터(46A, 47A, 47B)가 접속되는 기기측 커넥터(40, 41, 45)를 설치하고,
    상기 전기 기기(36, 42)의 상자체(37, 43)의 외면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의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블(46, 47)의 전기 기기(36, 42)측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 부재(50, 51, 52)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36, 42)의 상자체(37, 43)는 상면(37A, 43A), 하면(37B) 및 측면(37C, 37D, 37E, 37F, 43B, 43C)에 의해 둘러싸인 입체 구조체로 하고,
    상기 전기 기기(36, 42)의 상자체(37, 43)는, 그 하면(37B)을 아래로 하여 상기 차체(3) 상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는, 상기 상자체(37, 43)의 하면(37B)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외면(37A, 43A)에 장착하고,
    상기 케이블(46, 47)의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46A, 47A, 47B)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가 설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37A, 43A) 중,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가 장착된 부위(37A1, 43A1)를 제외한 잔여 부위(37A2, 43A2)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50, 51, 52)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가 설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37A, 43A) 중, 상기 잔여 부위(37A2, 43A2)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36, 42)의 상자체(37, 43)는 상면(37A, 43A), 하면(37B), 전방면(37C, 43B), 후방면(37D), 좌측면(37E, 43C) 및 우측면(37F)에 의해 둘러싸인 입체 구조체로 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는 상면(39A, 44A), 전방면(39B, 44B), 후방면(39C, 44C), 좌측면(39D, 44D) 및 우측면(39E)에 의해 둘러싸인 입체 구조체로 하고,
    상기 전기 기기(36, 42)의 상자체(37, 43)는, 하면(37B)을 아래로 하여 상기 차체(3) 상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는, 상기 상자체(37, 43)의 하면(37B)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외면(37A, 43A)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의 각 면 중 상기 상자체(37, 43)에 대해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가 설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37A, 43A)과 직교하는 면(39B, 44B)에는 상기 기기측 커넥터(40, 41, 45)를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에 대해 상기 기기측 커넥터(40, 41, 45)가 설치된 면(39B, 44B)의 전방측에 스페이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는, 상기 상자체(37, 43)의 후방면(37D)측으로 치우치게 배치하고,
    상기 케이블(46, 47)의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46A, 47A, 47B)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에 대해 상기 기기측 커넥터(40, 41, 45)가 설치된 면(39B, 44B)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자체(37, 43)의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37A, 43A)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50, 51, 52)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에 대해 상기 기기측 커넥터(40, 41, 45)가 설치된 면(39B, 44B)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자체(37, 43)의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37A, 43A)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37, 43) 중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가 설치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외면(37A, 43A)에는 클램프 고정부(48, 49, 62, 63)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50, 51, 52)는 상기 클램프 고정부(48, 49, 62, 63)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37, 43)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 부재(39, 44)에 설치된 상기 기기측 커넥터(40, 41, 45) 및 당해 기기측 커넥터(40, 41, 45)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46A, 47A, 47B)를 덮는 커버(53, 6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36, 42)는, 상기 전동 장치(33)와 제1 케이블(46)을 이용하여 접속된 제1 전기 기기(36)와, 상기 제1 전기 기기(36)와 제2 케이블(47)을 이용하여 접속된 제2 전기 기기(42)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1 전기 기기(36)의 상자체(37)에는 인버터 회로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전기 기기(42)의 상자체(43)에는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축전기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3)는, 지지 구조체를 구성하는 프레임(5)과, 상기 프레임(5)의 전방부측에 설치되어 운전실을 구획하는 캡(19)과, 상기 프레임(5)의 후방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3)의 구동에 필요한 원동기(13)를 수용하는 동시에 건물 커버(22)에 의해 덮인 기계실(28)과, 상기 기계실(28)과 함께 건물 커버(22)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판(35)에 의해 폐색되어, 기기 또는 비품이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29)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29)의 상기 상판(35)은 상기 프레임(5)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상판(35)과 상기 전기 기기(36)를 상기 방진 부재(38)를 통해 미리 조립함으로써 단일의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형성하고,
    상기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형성하는 상기 상판(35)을 상기 수용 공간(29)의 위치(5A)에서 상기 프레임(5)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29)은, 상기 캡(19)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측부가 개폐 가능한 도어 커버(26)에 의해 덮이는 동시에 상기 상판(35)에 의해 폐색된 유틸리티실(29)인, 건설 기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38)는, 상기 전기 기기(36)에 장착되는 기기측 장착부(38A)와, 상기 상판(35)에 장착되는 상판측 장착부(38B)와, 상기 기기측 장착부(38A)와 상판측 장착부(38B) 사이에 장착된 탄성체(38C)와, 상기 상판측 장착부(38B)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35)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38D)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방진 부재(38)의 기기측 장착부(38A)를 상기 전기 기기(36)의 하면(37B)에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방진 부재(38)의 볼트(38D)를 상기 상판(35)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형성하고,
    상기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상판(35)은, 상기 프레임(5)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체결 부재(35G)를 사용하여 당해 프레임(5)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38)의 상기 상판측 장착부(38B)에는, 상기 상판(3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판(35)에 대해 상기 방진 부재(38)가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회전 방지 부재(38E)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기기 조립체(34)의 상판(35)에는, 당해 탑재 기기 조립체(34)를 매달아 올리기 위한 로프(55)를 로크하는 로프 로크구(54)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137027031A 2011-05-16 2012-05-14 건설 기계 KR101925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9423A JP5325261B2 (ja) 2011-05-16 2011-05-16 建設機械
JP2011109425A JP5562901B2 (ja) 2011-05-16 2011-05-16 建設機械
JPJP-P-2011-109425 2011-05-16
JPJP-P-2011-109423 2011-05-16
PCT/JP2012/062295 WO2012157606A1 (ja) 2011-05-16 2012-05-14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150A true KR20140030150A (ko) 2014-03-11
KR101925163B1 KR101925163B1 (ko) 2018-12-04

Family

ID=4717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031A KR101925163B1 (ko) 2011-05-16 2012-05-14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05408B2 (ko)
EP (1) EP2711468B1 (ko)
KR (1) KR101925163B1 (ko)
CN (1) CN103534418B (ko)
WO (1) WO20121576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478A (ko) 2015-02-03 2016-08-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3183443A1 (ja) * 2012-06-04 2016-01-2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GB201506476D0 (en) * 2012-10-29 2015-06-03 Volvo Constr Equip Ab Electro hydraulic actuator mounting structure for hybrid type-construction machine
JP5803985B2 (ja) * 2013-06-14 2015-11-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配索構造
JP6260284B2 (ja) * 2014-01-09 2018-01-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サイドフレーム
JP6303678B2 (ja) * 2014-03-20 2018-04-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上部旋回体
JP6075338B2 (ja) * 2014-07-15 2017-02-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
JP6356002B2 (ja) * 2014-07-28 2018-07-11 日立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式作業機
JP6469381B2 (ja) * 2014-07-28 2019-02-13 日立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式作業機
JP6183402B2 (ja) 2015-04-16 2017-08-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6522534B2 (ja) * 2016-02-29 2019-05-29 ヤンマー株式会社 建設機械
US11313101B2 (en) * 2017-09-29 2022-04-2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Tierra Co., Ltd. Construction machine
CN109755821B (zh) * 2017-11-01 2020-09-15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抗振动固定装置
DE102018115036A1 (de) * 2018-06-22 2019-12-24 Weidemann GmbH Arbeitsfahrzeug mit elektrischem Energiespeicher
US11651910B2 (en) * 2020-12-10 2023-05-16 Teradyne, Inc. Inductance control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2979A (ja) * 2000-12-08 2002-06-18 Komatsu Ltd 車両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取付構造
JP2007170129A (ja) * 2005-12-26 2007-07-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0270555A (ja) * 2009-05-25 2010-12-0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の架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027B2 (ja) 1989-10-27 1996-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細径同軸ケ―ブル用コネクタ
EP0620604B1 (en) * 1993-04-01 2001-05-23 Gnb Industrial Battery Company Sealed lead-acid cell tray assembly and motive powered vehicle using such cell tray assembly
JPH07302646A (ja) * 1994-05-06 1995-11-14 Hosiden Corp インターフェイス用コネクタ
JP3997208B2 (ja) * 2004-02-17 2007-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2008044408A (ja) 2006-08-10 2008-02-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バッテリ駆動式建設機械のバッテリ保持構造
JP5425508B2 (ja) * 2009-03-30 2014-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モーターケーブル装置、及び、モーターケーブル装置のケーブル本体製造方法
CN201549861U (zh) * 2009-10-29 2010-08-1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车用高压屏蔽电缆接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2979A (ja) * 2000-12-08 2002-06-18 Komatsu Ltd 車両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取付構造
JP2007170129A (ja) * 2005-12-26 2007-07-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0270555A (ja) * 2009-05-25 2010-12-0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の架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478A (ko) 2015-02-03 2016-08-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163B1 (ko) 2018-12-04
EP2711468A4 (en) 2014-12-31
CN103534418A (zh) 2014-01-22
CN103534418B (zh) 2016-06-08
US9605408B2 (en) 2017-03-28
EP2711468B1 (en) 2017-03-08
EP2711468A1 (en) 2014-03-26
WO2012157606A1 (ja) 2012-11-22
US20140021781A1 (en)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0150A (ko) 건설 기계
KR101464558B1 (ko) 발전 전동기 및 작업 기계
KR101464555B1 (ko) 발전 전동기 및 작업 기계
KR101464557B1 (ko) 발전 전동기 및 작업 기계
US9790662B2 (en) Hybrid-type working machine
US8657048B2 (en) Hydraulic excavator
JP5325261B2 (ja) 建設機械
JP5562901B2 (ja) 建設機械
CN104631539A (zh) 工程机械
KR20160055836A (ko) 작업 기계의 카운터웨이트의 내부에 어큐뮬레이터를 배치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 장치
JP2024009110A (ja) 建設機械
JP3608157B2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収納構造
JP6176670B2 (ja) 作業機械
KR101804437B1 (ko) 개구 폐색 커버 및 당해 개구 폐색 커버를 구비한 건설기계
JP7436353B2 (ja) 建設機械
EP2868810B1 (en) Construction machine
JP7008605B2 (ja) 建設機械
WO2023145246A1 (ja) バッテリ装置及び作業機械
WO2015186371A1 (ja) 回転電機
CN115726422A (zh) 作业机械
JP6707387B2 (ja) ハイブリッド式作業機
JP2023150763A (ja) 旋回作業機
JP2023150761A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