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478A -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478A
KR20160095478A KR1020150016784A KR20150016784A KR20160095478A KR 20160095478 A KR20160095478 A KR 20160095478A KR 1020150016784 A KR1020150016784 A KR 1020150016784A KR 20150016784 A KR20150016784 A KR 20150016784A KR 20160095478 A KR20160095478 A KR 20160095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excavator
swing motor
protection device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402B1 (ko
Inventor
서현재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40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선회모터의 상측에 베이스 커버가 설치되고, 베이스 커버의 상측에는 베이스 커버와 이격되도록 탑 커버가 구비된다. 이로써 탑 커버는 직사광선이 선회모터의 하우징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선회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탑 커버의 하측에는 제1 행거가 구비되고, 제1 행거는 하우징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붙잡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전원 케이블의 진동에 의한 케이블 연결부분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Protection device for swing motor of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상부체를 선회시키도록 하는 선회모터를 외부 충격과 직사광선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크게 하부주행체와 상부선회체로 구별될 수 있다. 하부주행체와 상부선회체는 선회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선회체에는 작업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굴삭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굴삭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삭기(1)는 하부주행체(12)와 상부선회체(14)가 선회조인트(20)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선회체(14)에는 엔진(16), 작업장치, 발전기, 배터리, 유압시스템, 배터리, 캐빈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작업장치는 붐 구조물(18), 암 구조물, 버킷 구조물 등이 있을 수 있다.
선회조인트(20)는 선회모터(22), 감속기(24) 및 링기어(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회모터(22)는 상부선회체(14)에 고정되어 있고, 감속기(24)는 선회모터(22)에 직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링기어(26)는 하부주행체(12)에 설치되고, 감속기(24)의 피니언 기어가 링기어(26)와 맞물린다.
즉, 작업자가 선회를 소망하는 경우에,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선회에 따른 지령을 생성하면, 선회모터(22)가 작동되어 동력이 생성되고, 그 동력은 감속기(24)에서 감속되며, 피니언 기어는 링기어(26)와 맞물려 있고, 링기어(26)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부선회체(14)가 선회를 하게 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선회모터(22)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선회모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으로, 상술한 선회모터(2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에 하우징(30)이 구비되고, 하우징(30)에는 전원 케이블(28)이 배치된다. 하우징(30)은 커버(32)가 구비되어 있고, 하우징(30)의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28)과 내부 케이블(34)이 접속 유닛(36)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선회모터(22)는 설치된 위치를 살펴보면, 상부선회체(14)의 선회중심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고, 붐 구조물(18)과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위치이어야 한다. 즉, 선회모터(22)가 설치되는 위치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선회모터(22)이 상부는 직사광선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특성이 있다.
또한, 굴삭기(10)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소가 매우 불안정한 장소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예를 들면 채석장, 건축물 철거 현장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장소에서는 돌멩이, 시멘트 덩어리 등의 이물질이 날아들 수 있다. 이물질은 선회모터(22)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할 수 있고, 이로써 선회모터(22)가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선회모터(22)에는 전원 케이블(28)이 연결된다. 전원 케이블(28)에는 예를 들면, 전류 300A 및 전압 370V의 대단히 큰 전기에너지가 흐를 수 있다. 특히 전원 케이블(28)은 높은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기저항에 따른 열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회모터(22)는 직사광선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써 선회모터(22)의 온도가 더욱 상승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선회모터(22)는 자체적인 발열원인 이외에 외부적인 요인, 즉 직사광선의 영향으로 과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선회모터(22)가 과열되는 경우에 선회모터(22)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굴삭기(10)는 그 특성상 진동이 심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고전압의 전원 케이블일수록 단면적이 굵고, 유연성이 낮다. 이로써 선회모터(22)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28)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전원 케이블(28)에서 흡수되지 않고 선회모터(22)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30)에서 전원 케이블(28)을 파지하도록 하는 구성품(예, 글랜드)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4-0030150호(2014.03.11.)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4-0082661호(2014.07.0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굴삭기의 선회모터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도록 하며, 전원 케이블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선회모터(22)의 하우징(30)의 상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커버(110); 상기 베이스 커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30); 및 상기 스페이서(130)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 커버(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상기 탑 커버(12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0)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28)을 붙잡도록 하는 제1 행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상기 제1 행거(150)는, 상기 탑 커버(120)에 하측에 구비되는 제1 로드(142); 상기 제1 로드(142)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행거 바디(152); 및 상기 제1 행거 바디(152)에 구비되는 제2 행거 바디(154);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28)은 상기 제1 행거 바디(152)와 상기 제2 행거 바디(154)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상기 제1 로드(142)와 상기 제1 행거 바디(152)가 단일체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상기 제1 행거 바디(152)와 상기 제2 행거 바디(154) 중에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는 상기 제1 행거 바디(152)와 상기 제2 행거 바디(154)가 서로 마주보는 쪽에 오목한 형상의 그립 그루브;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상기 그립 그루브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상기 탑 커버(120)에 하측에 구비된 제2 로드(144); 및 상기 제2 로드(144)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0)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28)을 붙잡도록 하는 제2 행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상기 제2 로드(144)와 상기 제2 행거(160)는 단일체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상기 제2 행거(160)는 단일체의 밴드가 고리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베이스 커버의 상측에 탑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굴삭기의 선회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탑 커버에 의해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고, 특히 베이스 커버와 탑 커버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직사광선에 의한 열이 선회모터에 전열되는 것을 좀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행거에 의해 전원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원 케이블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진동으로 인한 케이블 접속부분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굴삭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선회모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베이스 커버(110)와 탑 커버(120)와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커버(110)는 선회모터(22)의 상측에 배치된 하우징(30)에 설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커버(110)는 하우징(30)에 구비되었던 커버(32)를 대체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베이스 커버(110)에는 탭(112)이 형성될 수 있다. 탭(112)에는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30)에는 전원 케이블(28)이 연결된다. 전원 케이블(28)은 하우징(30)을 관통하여 하우징(30)의 내부에서 내부 케이블과 접속 유닛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원 케이블(28)은 여러 개로 제공될 수 있고, 이때 전원 케이블(28)의 배치는 사용자의 소망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2개의 전원 케이블(28)을 연달아 배치하고, 1개의 전원 케이블(28)을 이격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3개의 전원 케이블(28)을 연달아 배치할 수도 있다.
베이스 커버(110)의 상측에 스페이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베이스 커버(110)에서 탑 커버(120)를 이격 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스페이서(130)의 길이에 따라 이격된 거리가 결정되는 것이다.
한편, 스페이서(13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은 개수는 제조원가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소정의 개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가 4개인 것을 제시하였지만 권리범위가 4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페이서(13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스페이서(130)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볼트가 관통될 수 있다.
탑 커버(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의 상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탑 커버(120)에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하는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볼트(172)는 탑 커버(120)의 홀(122)과 스페이서(130)를 관통하여 베이스 커버(110)의 탭(112)에 체결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탑 커버(120)에 의해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선회모터(22)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직사광선이 선회모터(22)의 하우징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베이스 커버(110)와 탑 커버(12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직사광선에 의해 탑 커버(120)가 가열되더라도 탑 커버(120)에 형성된 열은 베이스 커버(110)쪽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직사광선에 의해 선회모터(22)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탑 커버(120)의 하측에 제1행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행거(150)는 탑 커버(120)의 하측에 구비되고, 하우징(30)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28)을 붙잡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전원 케이블(28)은 고전압, 고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써, 단면적이 클 수 밖에 없다. 즉, 전원 케이블(28)은 유연성이 좋지 않아서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행거(150)는 전원 케이블(28)을 붙잡게 함으로써 전원 케이블(28)을 통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전원 케이블(28)이 하우징(30)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진동에 의해 훼손되는 우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원 케이블(28)이 하우징(30)으로 끼워 넣어지는 쪽으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이로써 전원 케이블(28)과 내부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접속이 약화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행거(150)는, 제1 로드(142)와 제1 행거바디(152) 및 제2 행거바디(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로드(142)는 탑 커버(120)에 하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로드(142)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제1 로드(142)에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다.
제1 행거 바디(152)는 제1 로드(142)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행거 바디(152)는 제1 로드(142)와 마찬가지로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관통홀에 볼트가 관통될 수 있다.
제2 행거 바디(154)는 제1 행거 바디(152)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 행거 바디(154)는 제1 행거 바디(152)와 마찬가지로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관통홀에 볼트가 관통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행거(150)는 제1 행거 바디(152)와 제2 행거 바디(154)의 사이에 전원 케이블(28)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행거 바디(154), 제1 행거 바디(152), 제1 로드(142) 및 탑 커버(120)는 제2 볼트(174)가 관통될 수 있고, 관통된 수나사에는 제1 너트(182)를 체결할 수 있다.
즉, 제1 행거(150)에 의해 전원 케이블(28)이 탑 커버(120)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원 케이블(28)에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제1행거(150)에서 전원 케이블(28)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전원 케이블(28)의 진동이 하우징(3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상술한 제1 로드(142)와 상술한 제1 행거 바디(152)가 단일체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제1 행거(150)의 구성품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1행거(150)의 구성요소가 간소화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취급이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제1 행거 바디(152)와 제2 행거 바디(154)가 서로 마주보는 쪽에 오목한 형상의 그립 그루브(156, 158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그립 그루브(156, 158)는 제1 행거 바디(152)와 제2 행거 바디(154) 중에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그립 그루브(156, 158)는 제1 행거 바디(152)와 제2 행거 바디(154)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립 그루브(156, 158)는 전원 케이블(28)의 배치위치를 정렬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그립 그루브(156, 158)는 전원 케이블(28)과 접하는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로써 전원 케이블(28)을 좀 더 강한 힘으로 붙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그립 그루브(156, 158)가 복수 개일 수 있다.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는 2개의 전원 케이블(28)을 고정하는 예를 나타내었고, 첨부도면 도 6에는 3개의 전원 케이블(28)을 고정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제1 행거(150)로 한꺼번에 2개 내지 3개의 전원 케이블(28)를 붙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제2 로드(144)와 제2 행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로드(144)는 탑 커버(120)에 하측에 구비되고, 제1 로드(142)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로드(142)에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다.
제2 행거(160)는 제2 로드(144)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행거(160)는 제2 로드(144)와 마찬가지로 볼트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행거(160), 제2 로드(144) 및 탑 커버(120)는 제3 볼트(176)가 관통될 수 있고, 관통된 수나사에는 제2 너트(184)를 체결할 수 있다.
제2 행거(160)는 하우징(30)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28)을 붙잡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제1 행거(150)에서 붙잡는 전원 케이블(28)과 별도의 전원 케이블(28)을 제2 행거(160)가 붙잡을 수 있으므로, 전원 케이블(28)을 배치함에 있어서 배치위치에 대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제2 로드(144)와 제2 행거(160)는 단일체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제2 행거(160)의 구성품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2행거(160)의 구성요소가 간소화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취급이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제2 행거(160)가 밴드가 고리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제2 행거(160)의 고리 형상에는 전원 케이블(28)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행거(160)는 전원 케이블(28)를 고정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구성됨으로써 간소화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취급이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는 선회모터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또는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굴삭기
12: 하부주행체 14: 상부선회체
16: 엔진 18: 붐 구조물
20: 선회 조인트 22: 선회모터
24: 감속기 26: 링 기어
28: 전원 케이블
30: 하우징 32: 커버
34: 내부 케이블 36: 접속 유닛
110: 베이스 커버 112: 탭
120: 탑 커버 122: 홀
130: 스페이서 142, 144: 제1, 2 로드
150, 160: 제1, 2 행거 152, 154: 제1, 2 행거 바디
156, 158: 그립 그루브
172, 174, 176: 제1, 2, 3 볼트
182, 184: 제1, 2 너트

Claims (9)

  1. 선회모터(22)의 하우징(30)의 상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커버(110);
    상기 베이스 커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30); 및
    상기 스페이서(130)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 커버(120);
    를 포함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12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0)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28)을 붙잡도록 하는 제1 행거(150);
    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행거(150)는,
    상기 탑 커버(120)에 하측에 구비되는 제1 로드(142);
    상기 제1 로드(142)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행거 바디(152); 및
    상기 제1 행거 바디(152)에 구비되는 제2 행거 바디(154);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28)은 상기 제1 행거 바디(152)와 상기 제2 행거 바디(154)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142)와 상기 제1 행거 바디(152)가 단일체로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행거 바디(152)와 상기 제2 행거 바디(154) 중에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는 상기 제1 행거 바디(152)와 상기 제2 행거 바디(154)가 서로 마주보는 쪽에 오목한 형상의 그립 그루브;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그루브가 복수 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120)에 하측에 구비된 제2 로드(144); 및
    상기 제2 로드(144)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0)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28)을 붙잡도록 하는 제2 행거(160);
    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144)와 상기 제2 행거(160)는 단일체로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행거(160)는 단일체의 밴드가 고리형상을 이루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KR1020150016784A 2015-02-03 2015-02-03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KR102301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784A KR102301402B1 (ko) 2015-02-03 2015-02-03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784A KR102301402B1 (ko) 2015-02-03 2015-02-03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478A true KR20160095478A (ko) 2016-08-11
KR102301402B1 KR102301402B1 (ko) 2021-09-13

Family

ID=5671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784A KR102301402B1 (ko) 2015-02-03 2015-02-03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4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84Y1 (ko) * 2005-02-02 2005-06-27 대영산전 주식회사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JP2014005622A (ja) * 2012-06-22 2014-01-1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
KR20140030150A (ko) 2011-05-16 2014-03-11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KR20140082661A (ko) 2011-09-30 2014-07-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굴삭기용 부품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84Y1 (ko) * 2005-02-02 2005-06-27 대영산전 주식회사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20140030150A (ko) 2011-05-16 2014-03-11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KR20140082661A (ko) 2011-09-30 2014-07-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굴삭기용 부품 보호장치
JP2014005622A (ja) * 2012-06-22 2014-01-1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402B1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26903B2 (en) Wind turbine generator
JP6893665B2 (ja) 張線装置
CN103850890B (zh) 一种风力发电机组塔筒内的防过扭缆结构
KR20160095478A (ko) 굴삭기의 선회모터 보호장치
CN2938713Y (zh) 线缆夹持装置
CN205248722U (zh) 风力发电机组的电缆保护装置
KR101217847B1 (ko) 지중 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200387784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JP201611182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とアース部材の配索構造
CN104022393A (zh) 电动公交车充电线防护装置
KR200477852Y1 (ko) 용접용 안전 커버
CN203119108U (zh) 一种用于电焊机的接线保护盒
CN106081885A (zh) 适于挖掘机斗杆的吊具
CN205371812U (zh) 一种可调试户外金属电缆夹
JPH02269593A (ja) 産業用ロボット
CN104319709B (zh) 一种方便对准的接线机构
CN203839867U (zh) 穿线管连接结构
CN215870599U (zh) 一种施工现场临时用电电缆保护装置
CN104505781A (zh) 可保护接线头的盒体
KR101284185B1 (ko) 용접봉 건조가 가능한 수납부가 구성된 인버터 용접기
KR200481208Y1 (ko) 회전 러그
CN216609000U (zh) 工业机器人
CN215934415U (zh) 一种用于电气工程的悬挂式电缆夹持装置
JP3196083U (ja) コンクリートポール
CN209313029U (zh) 一种双舌式接地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