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08Y1 - 회전 러그 - Google Patents

회전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08Y1
KR200481208Y1 KR2020140006796U KR20140006796U KR200481208Y1 KR 200481208 Y1 KR200481208 Y1 KR 200481208Y1 KR 2020140006796 U KR2020140006796 U KR 2020140006796U KR 20140006796 U KR20140006796 U KR 20140006796U KR 200481208 Y1 KR200481208 Y1 KR 200481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lug
curved surface
spac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990U (ko
Inventor
김정현
최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0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는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원기둥 형상의 곡면이 형성된 공간 및 개구홀이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공간에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부재 및 상기 개구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연장 형성되며, 삽입홀이 형성된 리프팅부재를 포함하는 러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러그{ROTATABLE LUG}
본 고안은 블록을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한 회전 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견인각도에 따라 러그가 회전되어 블록과 러그가 결합되는 지점이 견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블록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회전 러그에 관한 것이다.
조선 사업에서는 각각의 블록(Block)을 제작하고, 제작한 여러 개의 대형 블록을 연결하여 선박을 완성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블록을 옮기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견인장치 즉 크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블록을 옮기기 위하여 블록의 표면에 크레인의 후크, 로프 또는 체인이 연결될 수 있는 러그(Lug)가 구비될 수 있다.
러그는 블록과 별도로 제작된 후 블록의 표면에 결합되며, 블록에 작용하는 하중을 직접 받을 수 있다.
선행문헌(공개실용신안 20-2014-0002147)과 같이 러그가 블록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견인에 따른 블록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지만 러그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크레인이 블록을 견인할 때 크레인이 블록을 끌어올릴 수 있는 각도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크레인의 견인력이 러그의 견인 각도와 다르게 되면, 견인력에 의해 러그가 파손되거나 또는 러그와 블록이 결합되는 지점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블록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견인력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인력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러그가 필요하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4-0002147 (공개일: 2014.04.16)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을 견인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러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회전 러그는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원기둥 형상의 곡면이 형성된 공간 및 개구홀이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공간에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부재 및 상기 개구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연장 형성되며, 삽입홀이 형성된 리프팅부재를 포함하는 러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곡면 및 상기 회전부재의 표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의 축 방향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측면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공간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홀이 형성된 상부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그부의 회전부재는 상기 상부 커버부재의 곡면에 대응하는 제1곡률반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곡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제2곡률반경에 대응하는 곡면을 가지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곡면 및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의 축 방향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의 호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곡면의 호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공간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회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회전 러그는, 블록에 결합된 고정부와 견인장치가 결합되는 러그부를 포함하며, 러그부의 회전부재는 고정부에 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여, 견인력의 방향으로 러그부의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회전 러그는 견인력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견인력에 의해 회전 러그와 블록이 결합되는 지점에 인가되는 외력을 줄임으로써 블록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러그는 블록에 고정되며, 크레인과 같은 견인장치가 결합되어 블록을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러그가 블록에 고정되어 있으면, 견인력에 의해 러그가 파손되거나 또는 러그와 블록이 결합되는 지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회전 러그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견인력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러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는 고정부(100)와 러그부(2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블록(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부(100)는 전후 방향(X)의 축을 중심으로 원기둥 형상의 곡면(100a)이 형성된 공간(100b) 및 개구홀(100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100b)에는 후술하는 러그부(200)의 회전부재(2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회전부재(210)에 연장 형성되는 리프팅부재(220)는 개구홀(100c)을 통하여 고정부(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러그부(200)의 회전부재(210)는 고정부(100)의 공간(100b)에 고정되어 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곡면(100a)과 접촉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프팅부재(220)는 개구홀(100c)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전부재(210)에 연장 형성되며, 삽입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팅부재(220)는 블록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장치 예를 들어 크레인의 후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홀(22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210)는 리프팅부재(220)에 인가되는 견인력에 의해 고정부(100)의 곡면(100a)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210)가 회전함에 따라 리프팅부재(220)가 견인력의 연장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리프팅부재(220)가 견인력의 연장선에 위치함으로써 고정부(100)와 블록이 결합되는 지점에 인가되는 외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부(100)의 곡면(100a) 및 회전부재(210)의 표면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부재(210)의 회전방향(A)을 따라 가이드부(120)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부(12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의 곡면(100a)에 가이드부(120)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부재(210)의 표면에 가이드부(120)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러그부(200)의 리프팅부재(220)에 견인력이 인가되면, 견인력의 방향으로 회전부재(210)가 고정부(100)의 곡면(100a)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공간(100b)의 전단 및 후단 중 어느 하나에는 개구부(100d)가 형성되고, 회전 러그는 개구부(100d)를 차폐하는 측면 커버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측면 커버부재(300)는 고정부(100)에 볼팅(500) 될 수 있으며, 고정부(100)와 러그부(200)의 측면을 차폐하여 러그부(200)에 전후 방향(X)의 견인력이 인가될 때 러그부(200)가 고정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의 견인 과정에 러그부(200)가 고정부(100)에 고정되어 블록이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구부(100d)를 통하여 러그부(200)를 고정부(10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러그부(200)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러그부(200)를 교체하는 경우, 측면 커버부재(300)를 고정부(100)에서 분리하고, 개구부(100d)를 통하여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의 고정부(100)는 베이스부재(400) 및 상부 커버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400)는 고정부(100)의 공간(100b)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부 커버부재(410)는 고정부(100)의 공간(100b)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며 개구홀(100c)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400)는 고정부(100)의 상하 방향(Y)의 저부에 위치하여 블록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고, 공간(100b)의 일부를 형성하며 곡면(100a)에는 회전부재(210)에 형성된 가이드 홈(130) 또는 가이드부(120)에 대응되는 가이드부(120) 또는 가이드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커버부재(410)는 베이스부재(400)와 함께 회전부재(210)를 감싸며 리프팅부재(220)가 공간(100b)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개구홀(100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커버부재(410)는 베이스부재(400)에 볼팅(500)될 수 있다.
상부 커버부재(410)의 개구홀(100c)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부재(220)의 측면과 마주보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하 방향(Y)의 상부로 갈수록 리프팅부재(220)와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리프팅부재(220)가 움직일 때 상부 커버부재(410)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개구홀(100c)의 크기에 따라 리프팅부재(220)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는 러그부(200)가 견인력에 의해 고정부(100)의 곡면(100a)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견인력의 방향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견인력에 의해 고정부(100)와 블록이 결합되는 지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러그부(200)가 고정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러그부(200)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며, 측면 커버부재(300) 및 상부 커버부재(410)를 포함하여 블록을 견인하는 과정에 러그부(200)가 고정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 내지 도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회전 러그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와 일부 중복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부 커버부재(410')의 곡면은 제1곡률반경(L3)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재(400')의 곡면(100a)은 제1곡률반경(L3)보다 큰 제2곡률반경(L4)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10')는 상부 커버부재(410')의 곡면에 대응하는 제1곡률반경(L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450)는 회전부재(210')에 고정되며, 베이스부재(400')의 곡면(100a)을 따라 회전하도록 제2곡률반경(L4)에 대응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는 상부 커버부재(410')의 제1곡률반경(L3)과 베이스부재(400')의 제2곡률반경(L4)의 차이에 의해 회전부재(210')와 베이스부재(4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210')와 베이스부재(4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스페이서(4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450) 및 고정부(100')에 각각 가이드부(120) 또는 가이드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재(400')의 곡면(100a) 및 스페이서(450)의 표면 중 어느 하나에는 스페이서(45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120)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부(12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재(400')의 곡면(100a)에 가이드부(120)가 형성되고, 스페이서(450)에 가이드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는 리프팅부재(220')에 인가되는 견인력에 의해 스페이서(450)가 베이스부재(400')의 곡면(100a)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리프팅부재(220')가 견인력의 연장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0')와 블록이 결합되는 지점에 인가되는 외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450) 및 회전부재(210')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의 축 방향(X)의 돌기(450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돌기(450a)가 삽입되는 홈(45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의 축 방향(X)으로 연장되는 돌기(450a)와 홈(450b)에 의해 스페이서(450)와 회전부재(210')가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러그부(200') 및 스페이서(45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450)의 호의 길이(L2)는 베이스부재(400')의 호의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페이서(450)의 호의 길이(L2)는 베이스부재(400')의 곡면(100a)의 호의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페이서(450)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력에 의해 러그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스페이서(450)가 베이스부재(400')의 곡면(10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회전공간(S)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회전공간(S)에는 스페이서(450)의 회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47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70)는 스페이서(450)가 회전하여 상부 커버부재(410')에 닿을 때 스페이서(450)의 충격을 흡수하여 스페이서(450) 및 상부 커버부재(410')를 보호할 수 있다.
탄성부재(470)는 상부 커버부재(410')와 스페이서(45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 커버부재(410')의 밑면 또는 스페이서(450)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 러그는 러그부(200')와 고정부(100') 사이에 스페이서(450)가 형성되고, 견인력에 의해 스페이서(450)가 고정부(100')의 곡면 즉 베이스부재(400')의 곡면(100a)을 따라 회전할 수 있어 고정부(100')와 블록이 결합되는 지점에 인가되는 외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러그부(200')와 스페이서(450)가 분리가 가능하여 러그부(200') 또는 스페이서(450)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100': 고정부 100a: 곡면
100b: 공간 100c: 개구홀
100d: 개구부 120: 가이드부
130: 가이드 홈 200,200': 러그부
210,210': 회전부재 220,220': 리프팅부재
220a: 삽입홀 300: 측면 커버부재
400,400': 베이스부재 410,410': 상부 커버부재
450: 스페이서 450a: 돌기
450b: 홈 470: 탄성부재
500: 볼팅 L1: 베이스부재 호의 길이
L2: 스페이서 호의 길이 L3: 제1곡률반경
L4: 제2곡률반경 S: 회전공간
X: 전후 축 방향 Y: 상하 방향
A: 회전방향

Claims (9)

  1.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원기둥 형상의 곡면이 형성된 공간 및 개구홀이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공간에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부재 및 상기 개구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연장 형성되며, 삽입홀이 형성된 리프팅부재를 포함하는 러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공간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홀이 형성된 상부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부의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상부 커버부재의 곡면에 대응하는 제1곡률반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곡면은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큰 제2곡률반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곡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제2곡률반경에 대응하는 곡면을 가지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회전 러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축 방향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측면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회전 러그.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곡면 및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회전 러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의 축 방향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회전 러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호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곡면의 호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는 회전 러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간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회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회전 러그.
KR2020140006796U 2014-09-18 2014-09-18 회전 러그 KR200481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96U KR200481208Y1 (ko) 2014-09-18 2014-09-18 회전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96U KR200481208Y1 (ko) 2014-09-18 2014-09-18 회전 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90U KR20160000990U (ko) 2016-03-28
KR200481208Y1 true KR200481208Y1 (ko) 2016-08-30

Family

ID=5564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796U KR200481208Y1 (ko) 2014-09-18 2014-09-18 회전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558U (ko) 2017-06-09 2018-1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러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26B1 (ko) * 2006-03-10 2007-05-09 주식회사 에버다임 직선형 스위블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42B1 (ko) * 2004-09-17 2011-07-29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스위블조인트의 회전방지장치
KR101304398B1 (ko) * 2011-11-16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이동용 러그
KR101412544B1 (ko) 2012-06-28 2014-07-01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26B1 (ko) * 2006-03-10 2007-05-09 주식회사 에버다임 직선형 스위블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90U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3353B2 (en) Machinery having a trailing cable extending through a hinged sheave bracket assembly
US9464411B2 (en) Ground engaging tool
US9458606B2 (en) Boom apparatus with protective barrier for flexible line
KR200481208Y1 (ko) 회전 러그
WO2015078810A1 (en)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US9561939B1 (en) Crane hook and crane truck
CN206079401U (zh) 一种电子设备保护套
DE102018116408A1 (de) Fahrradrahmen mit einer Antriebsaufnahme
JP5913054B2 (ja) 作業機械
CN205260228U (zh) 风力发电机组的缆线保护装置
JP2011137295A (ja) アタッチメントホースのクランプ構造
CN103253601A (zh) 起重机
CN107572311B (zh) 一种导向支架
KR101138100B1 (ko) 특수 차량용 회전식 지지대
KR102411436B1 (ko) 크레인 지브 레스트를 지닌 투광조명등 포스트
US20180251952A1 (en) Auger connection mechanism
JP2015227705A (ja) 流体圧シリンダカバー
CN204474188U (zh) 超起排绳摆杆、超起排绳机构及起重机
CN103066402A (zh) 一种用于电焊机的接线保护盒
CN206360698U (zh) 采煤机摇臂
CA2886832C (en) Bucket of a rope shovel
CN220401352U (zh) 一种冰箱线束捆绑保护套
CN210264774U (zh) 用于掘锚机支护装置的铰点结构
CN210141309U (zh) 一种电铲的开底滑轮组件
CN210890005U (zh) 伸缩门机减速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