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489A - 증기 제어 시스템에서의 정적 누설 방지를 위해 증기 배출 밸브 및 액체 트랩을 갖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증기 제어 시스템에서의 정적 누설 방지를 위해 증기 배출 밸브 및 액체 트랩을 갖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489A
KR20140029489A KR20137033206A KR20137033206A KR20140029489A KR 20140029489 A KR20140029489 A KR 20140029489A KR 20137033206 A KR20137033206 A KR 20137033206A KR 20137033206 A KR20137033206 A KR 20137033206A KR 20140029489 A KR20140029489 A KR 20140029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ine
housing
discharge valve
fuel tan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3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월터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2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60K2015/03509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with a droplet separator in the vent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74Vent opening or closing on tipping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 Y10T137/86324Tank with gas vent and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연료 탱크(11, 210)에 장착될 수 있고 탄소 캐니스터(17)에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16, 216)는 내부 공동(32, 132, 232)을 형성하는 하우징(18, 118, 218)을 구비한다. 증기 배출 밸브(36)는 연료 탱크로부터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입구에서 출구로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모든 경우에 내부 공동과의 유체 연통 없이 유체가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입구에서 출구로 유동하도록 내부 공동으로부터 격리된다. 제 1 배출 라인(64)은 증기 배출 밸브의 출구를 하우징의 제 1 포트(60)와 연결한다. 제 2 배출 라인(72)은 하우징의 제 2 포트(62)를 탄소 캐니스터와 연결한다. 조립체가 연료 탱크에 장착되고 소정 각도(76)까지 기울어질 때 제 1 배출 라인의 적어도 일부(74, 78)는 탱크 내의 소정 액체 연료 레벨(75) 위에 있다.

Description

증기 제어 시스템에서의 정적 누설 방지를 위해 증기 배출 밸브 및 액체 트랩을 갖는 조립체{ASSEMBLY WITH VAPOR VENT VALVE AND LIQUID TRAP FOR STATIC LEAK PREVENTION IN VAPO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액체 연료가 탄소 캐니스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료 탱크 증기 제어 시스템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내연기관을 갖는 현대의 차량은 통상적으로, 연료보급 중에 또는 연료 탱크 온도가 상승하는 기간 중에 연료 증기의 배출을 허용하기 보다는 연료 증기를 연료 탱크 증기 공간으로부터 탄소 캐니스터로 방향인도하는 증기 제어 시스템을 갖는다. 캐니스터는 증기가 차량 엔진에 의해 연소되도록 주기적으로 정화된다.
이러한 차량이 오랜 기간 동안 경사로에 주차되면, 액체 연료가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캐니스터로 통과하여, 캐니스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연료 탱크에 장착될 수 있고 탄소 캐니스터에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는 내부 공동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액체 트랩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내부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를 갖는다. 입구와 출구를 갖는 증기 배출 밸브는 입구에서 출구로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한 연료 탱크로부터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증기 배출 밸브는 하우징과 일체가 될 수(예를 들어, 하우징에 장착되거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 내부 공동과의 유체 연통 없이 유체가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입구에서 출구로 유동하도록 내부 공동으로부터 격리된다. 제 1 배출 라인은 증기 배출 밸브의 출구를 하우징의 제 1 포트와 연결한다. 제 2 배출 라인은 제 2 포트를 탄소 캐니스터와 연결한다. 따라서 연료 탱크로부터 제 2 배출 라인으로의 유체 유동은 경로상 증기 배출 밸브를 통과하고, 이후 제 1 배출 라인을 통과하며, 이후 하우징을 통과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유체 유동"이란 증기 유동을 지칭한다. 제 1 배출 라인은 조립체가 연료 탱크에 장착되고 소정 각도까지 기울어질 때 그의 적어도 일부가 탱크 내의 소정 액체 연료 레벨 위에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 2 배출 라인이 탄소 캐니스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때 액체 연료가 탄소 캐니스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부품 내외로의 액체 유동을 허용하는 침지된 부품 내의 액체 레벨은 부품 외부의 액체 레벨보다 높을 수 없다는 원리가 사용된다. 액체 연료가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제 1 배출 라인의 내외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배출 라인 내의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유체 레벨 위에 있도록 제 1 배출 라인이 구성되면, 액체는 캐니스터에 도달할 수 없다. 액체 연료가 하우징의 내부 공동으로 유동하기 위한 유일한 루트는 증기 배출 밸브 및 제 1 배출 라인을 통해서이다. 제 1 배출 라인의 경로지정(routing) 및 길이는, 탱크가 소정 각도까지 기울어질 때 제 1 배출 라인의 적어도 일부가 항상 소정 연료 레벨 위에 있도록 각각의 특정한 연료 탱크 적용에 대해 특정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과 장점 및 기타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자명해진다.
도 1은 연료 탱크에 장착된 통합 액체 트랩 하우징 및 배출 밸브를 갖는 조립체의 일부의 부분 단면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연료 탱크로부터 제거되고 가상선으로 도시된 탄소 캐니스터와 연결된 도 1의 조립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까지 기울어진 연료 탱크 및 조립체의 부분 단면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다른 방향으로 소정 각도까지 기울어진 연료 탱크 및 조립체의 부분 단면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측벽에 대해 래비린스 시일을 형성하는 캡을 갖는, 도 1 내지 도 4의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액체 트랩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래비린스 시일의 일부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연료 탱크에 장착된 통합 액체 트랩 하우징 및 배출 밸브를 갖는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배출 밸브의 일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여러 도면에 걸쳐서 유사한 구성요소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 지칭되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차량 연료 탱크(11)용 증기 제어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다. 연료 탱크(11)는 내부 공간(14)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부 벽 부분(12)을 갖는다. 내부 공간(14)에서 상부 벽 부분(12)에는 통합 배출 밸브 및 액체 트랩 조립체(16)가 장착된다. 연료 탱크(11)는 액체 연료를 보유한다. 연료 레벨 위의 증기 공간에는 연료 증기가 형성되며, 이 연료 증기는 증기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체(1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탄소 캐니스터(17)(도 2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됨)로 보내진다. 본 명세서에서 추가 논의되듯이, 조립체(16)는 예를 들어 탱크(11)가 장착되는 차량이 경사로에 주차될 때와 같이, 탱크(11)가 소정 각도까지 기울어질 때, 액체 연료가 탄소 캐니스터(17)에 도달할 가능성을 제거한다.
조립체(16)는 하우징(18)과 캡(20)을 구비한다. 캡(20)은, 적용될 수 있는 배출 표준을 충족하면서 연료 탱크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연료 탱크(11)의 상부 벽 부분(12)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상부 벽 부분(12)은 연료 탱크의 상부 절반 쉘(top half shell)일 수 있다. 캡(20)은 상부 벽 부분(12)이 여전히 비교적 고온 점성인 동안에 상부 벽 부분(12)을 형성한 후 상부 벽 부분(12)에 가압될 수 있다. 이는 캡(20)이 상부 벽 부분(12)에 효과적으로 고온 용접되도록 상부 벽 부분(12) 내로 용융되게 만들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캡(20)은 고온 점성의 상부 벽 부분(12)이 캡을 상부 벽 부분(12)에 용접시키기 위해 통과 유동하는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캡(20)에는 언더컷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벽 부분(12)은 캡(20)을 상부 벽 부분(12)에 용접하기 위해 여전히 고온 점성일 때 언더컷에 유입될 수 있다. 일부 적용에서, 캡(20)은 또한 상부 벽 부분(12)의 내표면에 장착되기 보다는 상부 벽 부분(12)에 있는 구멍을 통해서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구멍에서 상부 벽 부분(12)에 고온 용접될 수 있다.
하우징(18)은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이거나, 또는 연료 탱크(11)의 설계 대상인 액체 및 증기 연료 양자에 대해 불침투성인 임의의 다른 재료일 수 있다. 하우징(18)은 네 개의 측벽(22, 24, 26, 28)과 바닥벽(30)을 구비한다. 캡(20)은 하우징(18)과 캡(20)이 함께 대체로 장방형의 박스형 형상을 갖고 내부 공동(32)을 형성하도록 명세서에서 추가로 기술하듯이 측벽(22, 24, 26, 28)과 밀봉 결합된다. 하우징(18)은 다양한 기타 대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캡(20)은 O-링(34)에 의해 측벽(22, 24, 26, 28)에 밀봉된다.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개시되고 논의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래비린스(labyrinth) 시일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온 용접(hot weld)이 사용된다. 하우징(18)을 캡(20)에 연결하고 밀봉하기 위해 다른 모든 형태의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조립체(16)는 또한 증기 배출 밸브(36)와 같은 하나 이상의 증기 배출 밸브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밸브(36)는 하우징(18)에 장착되며, 하우징(18)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밸브(36)는 하우징(18)에 장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증기 배출 밸브(36)는 상부 벽 부분(12)에 분리 장착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그러나, 증기 배출 밸브(36)와 하우징(18)은 증기 배출 밸브(36)를 통한 어떠한 액체 유동도 내부 공동(32)과 유체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증기 배출 밸브(36)는 증기 공간(14)으로 개방되는 입구(38)를 갖는다. 유체는 측벽(24)에 형성된 증기 배출 밸브(36)의 입구(38)로부터 출구(40)로 증기 배출 밸브(36)를 통해서 유동한다. 하우징(18)은 증기 배출 밸브(36)를 내부 공간(32)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내부 공간(32)의 경계를 형성하는 추가 벽 구조물(42)을 갖는다. 또 다른 가능성은 밸브 하우징(44) 자체가 밸브(36)를 내부 공동(32)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다.
증기 배출 밸브(36)는 내부 공간(14)으로부터 캐니스터(17)로의 증기 배출을 제어하는 임의의 형태의 배출 밸브일 수 있다. 증기 배출 밸브(36)의 일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증기 배출 밸브(36)는, 액체 레벨과 함께 상승하고 결국에는 액체가 입구(38)로부터 출구(40)로 유동하지 못하게 하는 부표(float)(50)를 갖는다. 스프링(52)은 부표(50)를 밸브(36)가 90도 이상 회전될 때 출구(40)를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위치에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증기는 부표(50)의 측부 주위에서 입구(38)로부터 출구(40)로 이동한다. 경우에 따라, 밸브 하우징(44)의 측부에는 증기를 부표(50)를 지나서 배출시키기 위해 내부 공간(14)으로 개방되는 슬롯이 제공될 수도 있다. 부표(50)와 스프링(52)을 갖더라도, 연료 탱크(11)와 조립체(16)를 갖는[하지만 후술되는 배출 라인(64) 및 액체 포트(60, 62)는 갖지 않는] 차량이 오랜 기간 동안, 비제한적인 예로서 수 주의 기간에 걸쳐서 경사로에 주차될 때는 입구(38)에서 출구(40)로의 일부 정적 누설이 부표(50)를 지나서 발생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 밸브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의 증기 배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8)에는 제 1 포트(60) 및 제 2 포트(62)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제 1 포트(60) 및 제 2 포트(62)는 모두 측벽(22)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포트(60) 및 제 2 포트(62)는 측벽(22, 24, 26, 28) 중 임의의 측벽에 또는 바닥벽(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포트(60) 및 제 2 포트(62)는 상이한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조립체(16)는 밸브 출구(40)를 제 1 포트(60)와 연결하는 제 1 배출 라인(64)을 구비한다. 제 1 배출 라인(64)은, 밸브 출구(40)로부터 제 1 포트(60)로의 유체 연통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그로 인해 밸브(36)를 통해서 배출되는 유체가 증기 공간(14)으로부터 내부 공동(32)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중공 튜브이다. 제 1 배출 라인(64)은 탱크(10) 내의 연료에 대해 불침투성인 플라스틱 또는 금속 튜브일 수 있다.
제 1 배출 라인(64)은 제 1 부분(66), 상기 제 1 부분(66)과 대체로 평행한 제 2 부분(68), 및 상기 제 1 부분(66)을 상기 제 2 부분(68)과 연결하는 제 3 부분(70)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예시를 위해 수직방향으로 약간 상호 오프셋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 1 부분(66) 및 제 2 부분(68)은 탱크(11)가 수평하게[즉, 도 1에서 밸브 출구(40)의 중심축과 동일한 레벨에] 있고 바닥 부분(30)의 표면(71)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될 때 상호 동일한 레벨에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 명백하듯이, 제 1 배출 라인(64)은 대체로 U-형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배출 라인(64)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전히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체(16)는 또한, 제 2 포트(62)에 연결되고 캐니스터(17)를 향해 연장되어 캐니스터(17)와 연결되는 제 2 배출 라인(72)을 구비한다. 제 2 배출 라인(72)은 역시 중공 튜브이며, 제 2 포트(62)로부터 캐니스터(17)로의 유체 연통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제 2 배출 라인(72)은 차량 상의 엔진 근처에 설치되거나 차량 상의 다른 곳에 설치될 수 있는 캐니스터(17)에 도달하기 위해 탱크(11)의 벽들 중 하나를 통과해야 한다. 배출 라인(72)은, 탱크(11)로부터 캐니스터(17)로 연장되고 제 2 배출 라인(72)을 캐니스터(17)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다른 배출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배출 라인(64, 72)의 양자는 액체 및 증기 연료에 대해 불침투성인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간 밸브와 오리피스는 제 1 배출 라인(64) 또는 제 2 배출 라인(72)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실시예에서, 증기 공간(14)으로부터 캐니스터(17)로 유체 연통을 확립시키는 단일 경로는 밸브 입구(38)로부터, 밸브(36)를 통해서 밸브 출구(40)로 이어지며, 이후 제 1 배출 라인(64)을 통해서 하우징(18)의 내부 공동(32)으로, 이후 제 2 배출 라인(72)을 통해서 캐니스터(17)로 이어진다. 배출 밸브(36)와 제 1 배출 라인(64)은 증기 공간(14)과 내부 공동(32)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유일한 루트를 확립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배출 라인(64)은, 탱크(11)가 바닥벽(30)의 표면(71)에 대해서 또는 다른 표면에 대해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레벨 위치로부터의 소정 각도(76)로 기울어질 때 제 1 배출 라인(64)의 적어도 일부가 탱크(11) 내의 액체 연료 레벨(75) 위에 유지되도록, 탱크(11)로부터 측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연장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도 4에 도시하듯이, 탱크(11)가 다른 방향으로 동일 각도[즉, 소정 각도(76)]로 기울어질 때는, 제 1 배출 라인(64)의 다른 부분(78)이 액체 연료 레벨(75) 위에 유지된다. 양 경우에, 배출 밸브(36)는 액체 연료 중에 침지된다. 연료 탱크(11)가 도 3 또는 도 4의 경사진 위치에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면, 예를 들어 차량이 경사로에 주차되면, 정적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액체 연료가 배출 밸브(36)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배출 라인(64) 내부의 액체는 배출 라인(64) 외부의 액체의 레벨[즉, 액체 연료 레벨(75)]보다 결코 높을 수 없다. 따라서, 액체 연료는 내부 공동(32)에 도달할 수 없거나 제 2 배출 라인(72)에 도달할 수 없는 바, 이들 요소가 연료 레벨(75) 아래로 침지될 때도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액체 연료는 캐니스터(17)로 이동할 수 없다. 제 1 배출 라인(64)은 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상이한 연료 탱크 용도마다 경로설정 및 크기설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배출 밸브,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내부 공동(132)을 형성하는 하우징(118)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도시도이다. 증기 배출 밸브는 하우징(118)에 장착될 수 있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증기 배출 밸브와 제 1 포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1 배출 라인을 거쳐서 하우징(118)의 제 1 포트(도시되지 않음)와 유체 연통된다. 제 2 포트(도시되지 않음)는 도 2의 캐니스터(17)로 연장된다. 캡(120)은 기술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에 의해 도 1의 연료 탱크(11)의 상측 부분(12)에 장착된다. 캡(120)은 이후 래비린스 시일(134)에 의해 하우징(118)에 밀봉된다. 래비린스 시일(134)은 도 6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하우징(118)의 상부 둘레에서 하우징(118)의 리지(184, 186)와 끼워맞춤되는 캡(120)의 리지(180, 182)를 구비한다. 캡(120)은 전체 조립체(16)가 임의의 가능한 부착 방법을 사용하여 연료 탱크(11)에 장착되기 전에 하우징(118)에 조립된다. 그러나 캡(120)은, 캡(120)을 하우징(118)에 밀봉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캡(120)이 탱크(11)에 장착된 후 여전히 고온 점성인 동안에 하우징(118)과 끼워맞춤될 수도 있다.
도 7은 조립체(16)와 동일하게 기능하도록 구성된 조립체(21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연료 탱크(210)는 구멍(219)을 가지며, 이 구멍에서 캡(220)은 용접 영역(234)에서 고온 용접된다. 캡(220)은 하우징(218) 내의 제 2 포트가 아닌 통합 제 2 포트(262)를 갖는다. 제 2 포트(262)는 도 2의 캐니스터(17)와 유체 연통되는 제 2 배출 라인(272)에 연결된다. 하우징(218)은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캡(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우징(218)은 도 1의 공동(32)과 유사한 내부 공동(232)을 형성하기 위해 고온 용접, O-링 시일, 래비린스 시일 등에 의해 캡(220)에 융합될 수 있다. 연료 탱크 내부 공간(214)으로 개방되는 입구(38)를 갖는 밸브(36)는 전술했듯이 제 1 배출 라인(64)과 연결되는 출구(40)를 갖는다. 밸브(36)는 내부 공동(232)으로부터 격리되며, 따라서 유체는 공동(232)에 진입하지 않고 입구(38)로부터 출구(40)로 유동한다. 도 7에서, 제 1 배출 라인(64)은 도시를 위해서 약간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논의되었듯이, 제 1 배출 라인(64)의 평행 부분(66, 68)은 일 실시예에서 상호 동일높이에 있다. 제 1 배출 라인(64)은 탱크(210)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때 항상 소정 액체 연료 레벨 위에 있는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는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대체 설계 및 실시예를 알 것이다.

Claims (14)

  1. 연료 탱크(11, 210)에 장착될 수 있고 탄소 캐니스터(17)에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16, 216)에 있어서,
    내부 공동(32, 132, 23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동과 둘 다 유체 연통하는 제 1 포트(60) 및 제 2 포트(62)를 갖는 하우징(18, 118, 218);
    입구(38)와 출구(40)를 갖는 증기 배출 밸브(36)로서, 상기 하우징이 연료 탱크에 장착될 때 입구에서 출구로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한 연료 탱크로부터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내부 공동과의 유체 연통 없이 유체가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입구에서 출구로 유동하도록 내부 공동으로부터 격리되는, 상기 증기 배출 밸브(36);
    상기 증기 배출 밸브의 출구를 상기 제 1 포트와 연결하는 제 1 배출 라인(64); 및
    상기 제 2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탄소 캐니스터와 작동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연료 탱크로부터 제 2 배출 라인으로의 유체 유동이 증기 배출 밸브를 통과하고, 이후 제 1 배출 라인을 통과하며, 이후 하우징을 통과하게 하는 제 2 배출 라인(7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출 라인은, 상기 조립체가 연료 탱크에 장착되어 소정 각도(76)까지 기울어질 때 제 1 배출 라인의 적어도 일부(74, 78)가 연료 탱크 내의 소정 액체 연료 레벨(75) 위에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 2 배출 라인이 탄소 캐니스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때 액체 연료가 탄소 캐니스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벽(22, 24, 26, 28, 30)과 상기 복수의 벽에 밀봉되는 캡(20, 120, 220)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벽과 상기 캡이 상기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을 상기 캡에 밀봉시키는 O-링(34)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복수의 벽과 밀봉 결합되는 래비린스 시일(134)을 형성하는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복수의 벽에 용접되어 복수의 벽에 대한 캡의 밀봉 연결(234)을 생성하는
    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 밸브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벽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22, 24, 26, 28)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60, 62) 중 적어도 하나와 증기 배출 밸브 출구(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는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벽(30)을 구비하며, 상기 증기 배출 밸브는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 라인(64)은 제 1 부분(66), 상기 제 1 부분(66)과 대체로 평행한 제 2 부분(68), 및 제 1 배출 라인이 실질적으로 U-형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제 3 부분(70)을 갖는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 라인(64)은, 상기 조립체가 연료 탱크에 장착될 때 하우징의 바닥면(71)과 대체로 평행하게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조립체.
  10. 내부 공간(14, 214)을 형성하는 차량 연료 탱크(11, 210)를 위한 증기 제어 시스템(10)에 있어서,
    탄소 캐니스터(17);
    상기 연료 탱크에 장착 가능하고, 내부 공동(32, 132, 232)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동과 둘 다 유체 연통하는 제 1 포트(60) 및 제 2 포트(62)를 갖는 하우징(18, 118, 218);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출구(40) 및 상기 내부 공간으로 개방된 입구(38)를 갖는 증기 배출 밸브(36)로서, 입구에서 출구로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한 연료 탱크로부터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내부 공동과의 유체 연통 없이 유체가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입구에서 출구로 유동하도록 내부 공동으로부터 격리되는, 상기 증기 배출 밸브(36);
    상기 증기 배출 밸브의 출구를 상기 제 1 포트와 연결하는 제 1 배출 라인(64); 및
    상기 제 2 포트를 탄소 캐니스터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배출 라인(72)으로서, 연료 탱크로부터 탄소 캐니스터로의 유체 유동이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제 1 배출 라인으로, 이후 제 1 배출 라인을 통해서 하우징으로, 이후 하우징을 통해서 제 2 배출 라인으로 흐르게 하는, 상기 제 2 배출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배출 라인은, 상기 하우징이 연료 탱크에 장착되어 소정 각도(76)까지 기울어질 때 제 1 배출 라인의 적어도 일부(74, 78)가 연료 탱크 내의 소정 액체 연료 레벨(75) 위에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액체 연료가 탄소 캐니스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증기 제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벽(22, 24, 26, 28, 30)과 상기 복수의 벽에 밀봉 연결되는 캡(20, 120, 220)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벽과 상기 캡이 상기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증기 제어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은, 캡이 밀봉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22, 24, 26, 28), 및 캡과 대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벽(30)을 구비하고,
    상기 증기 배출 밸브는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포트 중 적어도 하나와 증기 배출 밸브 출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는
    증기 제어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 라인은 제 1 부분(66), 상기 제 1 부분과 대체로 평행한 제 2 부분(68), 및 제 1 배출 라인이 실질적으로 U-형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제 3 부분(70)을 갖는
    증기 제어 시스템.
  14. 연료 탱크(11)에 장착될 수 있고 탄소 캐니스터(17)에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16)에 있어서,
    복수의 벽 및 캡(120)을 갖는 하우징(118)으로서, 상기 캡(120)은 내부 공동(132)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벽과 결합되는 래비린스 시일(134)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18)은 상기 복수의 벽에 제 1 포트(60) 및 제 2 포트(62)를 갖는, 상기 하우징(118);
    입구(38)와 출구(40)를 갖는 증기 배출 밸브(36)로서, 상기 하우징이 연료 탱크에 장착될 때 입구에서 출구로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한 연료 탱크(11)로부터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내부 공동과의 유체 연통 없이 유체가 증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입구에서 출구로 유동하도록 내부 공동으로부터 격리되는, 상기 증기 배출 밸브(36);
    상기 증기 배출 밸브의 출구를 상기 제 1 포트와 연결하는 제 1 배출 라인(64)으로서, 제 1 부분(66), 상기 제 1 부분과 대체로 평행한 제 2 부분(68), 및 제 1 배출 라인이 실질적으로 U-형상을 형성하고 하우징의 바닥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제 3 부분(70)을 갖는, 상기 제 1 배출 라인(64); 및
    상기 제 2 포트에 연결되며, 탄소 캐니스터와 유체 연통 상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 2 배출 라인(7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배출 라인은, 조립체가 연료 탱크에 장착되어 소정 각도(76)까지 기울어질 때 제 1 배출 라인의 적어도 일부(74, 78)가 연료 탱크 내의 소정 레벨(75) 위에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제 2 배출 라인이 탄소 캐니스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때 액체 연료가 제 2 배출 라인을 통해 탄소 캐니스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립체.
KR20137033206A 2011-06-17 2012-06-15 증기 제어 시스템에서의 정적 누설 방지를 위해 증기 배출 밸브 및 액체 트랩을 갖는 조립체 KR201400294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62,624 2011-06-17
US13/162,624 US8485389B2 (en) 2011-06-17 2011-06-17 Assembly with vapor vent valve and liquid trap for static leak prevention in vapor control system
PCT/IB2012/001181 WO2012172419A1 (en) 2011-06-17 2012-06-15 Assembly with vapor vent valve and liquid trap for static leak prevention in vapor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489A true KR20140029489A (ko) 2014-03-10

Family

ID=4660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33206A KR20140029489A (ko) 2011-06-17 2012-06-15 증기 제어 시스템에서의 정적 누설 방지를 위해 증기 배출 밸브 및 액체 트랩을 갖는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85389B2 (ko)
EP (1) EP2720895B1 (ko)
JP (1) JP6012722B2 (ko)
KR (1) KR20140029489A (ko)
CN (2) CN103147883A (ko)
WO (1) WO2012172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6484B1 (en) * 2011-05-30 2016-09-14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Fuel tank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US8485389B2 (en) * 2011-06-17 2013-07-16 Eaton Corporation Assembly with vapor vent valve and liquid trap for static leak prevention in vapor control system
US9045038B2 (en) * 2011-12-22 2015-06-02 Eaton Corporation Liquid trap with integral jet pump
US10253787B2 (en) 2013-02-01 2019-04-0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elf-aligning jet pump assembly
US9168829B2 (en) 2013-07-17 2015-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por storage device having a diffuser plate and dome
WO2016130681A1 (en) * 2015-02-10 2016-08-18 Eaton Corporation Vent line routing configuration for fuel system
CN107660185A (zh) * 2015-03-29 2018-02-02 伊顿公司 具有通气点阀的燃料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2780A (en) * 1967-10-31 1972-05-16 Robert E Marsh Fluid flow directing structure for pressure vessel
DE2912214C2 (de) * 1979-03-28 1983-02-2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ntlüftungseinrichtung für Kraftstofftanks von Fahrzeug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JPH0724611Y2 (ja) * 1989-05-11 1995-06-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における気液分離器の蓋体構造
JP3232471B2 (ja) * 1995-07-27 2001-11-26 株式会社ケーヒン 船用機関における蒸気分離器
JPH11287160A (ja) * 1998-03-31 1999-10-19 Suzuki Motor Corp 蒸発燃料回収装置
US6276387B1 (en) * 1999-06-08 2001-08-21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vapor control apparatus
US6302137B1 (en) * 1999-09-22 2001-10-16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alve with internal fuel tank vent tube
JP2001323854A (ja) * 2000-03-09 2001-11-22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019968U1 (de) 2000-11-23 2001-02-08 Kautex Textron Gmbh & Co Kg Einrichtung zur Kraftstoffversorgung eines Kfz
DE10063414A1 (de) 2000-12-19 2002-06-27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DE10209491A1 (de) 2002-03-05 2003-09-18 Ti Automotive Technology Ct Gm Kraftstoffbehälter mit Entlüftungssystem
DE10227471A1 (de) * 2002-06-20 2004-01-15 Daimlerchrysler Ag Kraftstofftankanlage
US6895989B2 (en) 2003-04-15 2005-05-24 Raval-Agriculture Cooperative Societies, Ltd. Dynamic liquid fuel trap
US6883500B2 (en) * 2003-07-09 2005-04-26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Fuel pump module with improved vapor vent manifold
RU2369545C2 (ru) * 2003-09-09 2009-10-10 Арон Жозеф КЛАРКСОН Дозирующая крышка
US20050127078A1 (en) * 2003-12-11 2005-06-16 Vorenkamp Erich J. Fuel tank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7475773B2 (en) * 2005-02-01 2009-01-13 Airsec S.A.S. Container for moisture-sensitive goods
JP2006220081A (ja) * 2005-02-10 2006-08-24 Hitachi Ltd 燃料供給装置
DE102005011026B4 (de) 2005-03-10 2014-01-02 Volkswagen Ag Einrichtung zur Trennung eines Kraftstoff-/Luftgemischs und Abscheidung von Kraftstoff aus diesem Gemisch
JP4492441B2 (ja) * 2005-05-31 2010-06-30 豊田合成株式会社 気液分離装置
WO2009139130A1 (ja) * 2008-05-12 2009-11-19 株式会社ミツバ 燃料ポンプ
DE102009049799B4 (de) 2009-10-16 2018-07-12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für ein KFZ
US8485389B2 (en) * 2011-06-17 2013-07-16 Eaton Corporation Assembly with vapor vent valve and liquid trap for static leak prevention in vapor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47883A (zh) 2013-06-12
EP2720895B1 (en) 2015-05-27
JP2014517206A (ja) 2014-07-17
EP2720895A1 (en) 2014-04-23
US8485389B2 (en) 2013-07-16
WO2012172419A1 (en) 2012-12-20
CN202851201U (zh) 2013-04-03
JP6012722B2 (ja) 2016-10-25
US20120318814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489A (ko) 증기 제어 시스템에서의 정적 누설 방지를 위해 증기 배출 밸브 및 액체 트랩을 갖는 조립체
JP4615169B2 (ja) バルブ
US8910652B2 (en) Fuel ventilation system valve
US8360089B2 (en) Fuel cut-off valve
JP2009501104A (ja) タンク用補給管
JP4074113B2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US5599384A (en) Fuel vapor treatment device
US6382231B2 (en) Fuel cutoff valv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11560049B2 (en) Fill limit venting valve with high shut-off height
KR101191747B1 (ko)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
JP6148788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US7891344B2 (en) Fuel tank
JP2005090504A (ja) 燃料蒸気通気弁及びこの弁をタンクに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JP2011046369A (ja) 燃料遮断弁
KR101209739B1 (ko)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CN100404300C (zh) 树脂制燃料箱中部件的连接结构
JP2007127017A (ja) 燃料漏れ防止弁
JP2008240711A (ja) 燃料遮断弁
CN110778751B (zh) 燃料容器用阀装置
JP2008221913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US20130233286A1 (en) Fuel tank
CN117043501A (zh) 翻转排气阀组件
JP2011020658A (ja) 燃料タンク用バルブ装置
KR20040107682A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KR20120004265A (ko) 차량용 엘피지 연료탱크의 리저브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