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739B1 -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739B1
KR101209739B1 KR1020100094721A KR20100094721A KR101209739B1 KR 101209739 B1 KR101209739 B1 KR 101209739B1 KR 1020100094721 A KR1020100094721 A KR 1020100094721A KR 20100094721 A KR20100094721 A KR 20100094721A KR 101209739 B1 KR101209739 B1 KR 10120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neck
fuel
intake device
air
a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119A (ko
Inventor
최용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7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7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는, 연료 탱크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필러 넥에 구성되며, 연료 탱크 내부의 증발 가스를 흡기 시스템으로 회수하기 위한 캐니스터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ⅰ)필러 넥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호 구획된 공기 배출부와 물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유닛과, ⅱ)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를 지니며 공기 배출부와 연결되고,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포트유닛과, ⅲ)포트유닛을 감싸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포트유닛과 플랜지부를 패킹하고, 포트유닛의 공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물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패킹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AIR VENT DEVICE FOR FUEL FILLER NECK}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자동차의 연료 필러 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흡입하여 캐니스터로 공급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해 연료를 엔진의 실린더로 공급하는데, 연료 공급 장치로서의 연료 탱크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 주입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연료 주입 장치는 연료 탱크의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며, 연료 탱크에 대한 연료의 주입량을 제어하기 위한 연료 필러 넥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연료 필러 넥에는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의 작동 시,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 증발 가스를 흡기 시스템으로 회수하는 캐니스터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흡입 장치(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캐니스터 에어 벤트" 라고도 한다)를 장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구조에서는 고압 세차에 의한 물이나 빗물이 공기 흡입 장치를 통해 캐니스터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물이 캐니스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캐니스터의 통기성이 저하되어 연료 주입 시 조기 잠김(SHUT-OFF)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캐니스터의 물 유입에 따른 시동 꺼짐 현상이나 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공기를 흡입하여 캐니스터로 원활하게 공급하면서 물이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는, 연료 탱크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필러 넥에 구성되며, 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증발 가스를 흡기 시스템으로 회수하기 위한 캐니스터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ⅰ)상기 필러 넥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호 구획된 공기 배출부와 물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유닛과, ⅱ)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를 지니며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포트유닛과, ⅲ)상기 포트유닛을 감싸며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트유닛과 플랜지부를 패킹하고, 상기 포트유닛의 공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물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패킹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필러 넥의 외주면에 대해 한 쪽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와 상기 포트유닛의 공기 유입부를 연결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포트 유닛의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포트 유닛의 일부가 위치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서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공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물 배출부로서 물 배출홀을 형성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물 배출홀과 연결되며, 상기 필러 넥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외부와 연결되는 챔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에는 상기 물 배출홀과 연결되는 챔버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챔버부의 외측에서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여 그 바닥부와 상기 격벽부 사이의 공간으로 배치되는 니플 관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니플 관로는 상기 바닥부와 격벽부 사이에서 상기 물 배출홀 보다 높은 위치에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필러 넥의 외주면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1 후크 돌기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트유닛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일측 면에 상기 공기 유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포트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바디에는 상기 공기 유입부를 일부 막는 댐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바디에는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2 후크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바디는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홈 형태의 자리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랜지에는 상기 자리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포트유닛의 공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를 밀봉하는 제1 패킹부와, 상기 포트유닛을 밀봉하며 상기 공기 유입부를 개방하고 상기 리브를 일체로 형성하는 돔 형태의 제2 패킹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의하면, 패킹유닛의 리브와 포트유닛의 댐부재에 의해 포트 바디의 공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유닛과 포트유닛 사이를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포트 바디의 결합 플랜지부가 필러 넥 플랜지부의 자리면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의 작동 시, 물이 필러 넥의 플랜지부와 포트 바디 사이의 틈새를 통해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배출부의 입구가 물 배출홀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니플 관로의 입구를 통해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의 작동 시, 외부 먼지의 유입이 챔버부에 의해 차단되므로, 먼지 유입으로 인한 캐니스터의 막힘 등으로 인해 연료 탱크에 부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 탱크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한 연료 탱크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며, 연료의 누출이나 시동꺼짐 현상, 차량 화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이 포트유닛의 공기 유입부를 통해 커버유닛으로 유입되며, 그 커버유닛을 통해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엔진으로 수분이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시동 꺼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시동 꺼짐 현상으로 인한 차량의 사고 발생 및 리콜을 줄일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커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포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포트유닛과 연료 필러 넥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패킹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100)는 차량의 연료 탱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 필러 넥(1)을 포함하는 연료 주입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 필러 넥(1)(이하에서는 편의 상 "필러 넥" 이라고 한다)은 연료 탱크의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며 그 연료 탱크에 대한 연료의 주입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필러 넥(1)은 도 3에서와 같이, 필러 도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필러 하우징(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설치되고, 연료가 주입될 수 있는 연료 주입구(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연료 주입구(7)에는 캡(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공기 흡입 장치(100)는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의 작동 시,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 증발 가스를 흡기 시스템으로 회수하는 캐니스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 흡입 장치(100)는 필러 넥(1)의 외주면에 구성되며, 캐니스터 연결 호스(2)를 통해 캐니스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100)는 연료 탱크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의 작동 시 또는 세차 시, 빗물이나 물이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커버유닛(10), 포트유닛(40), 및 패킹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10)은 공기를 실질적으로 캐니스터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러 넥(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닛(10)은 공기를 캐니스터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11)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부(13)가 상호 구획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유닛(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커버유닛(10)은 필러 넥(1: 이하 도 3 참조)의 외주면에 대해 한 쪽면이 개방된 커버 바디(15)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바디(15)의 내부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포트유닛(40)과 연결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공간부에는 연결부(17)와, 격벽부(19)와, 바닥부(21)를 구획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17)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포트유닛(40)의 일부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연결부(17)는 도면을 기준할 때 공간부에서 상측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슬릿들(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부(19)는 연결부(17)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지니며 그 연결부(17)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부(19)는 연결부(17)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슬릿들(23)을 통해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공기 배출부(11)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1)는 격벽부(19)의 하측에서 그 격벽부(19)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21)의 바닥판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물 배출부(13)로서 복수의 물 배출홀들(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유닛(10)은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의 작동 시, 물 배출홀들(25)을 통한 먼지 유입으로 캐니스터가 막히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챔버부(3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챔버부(31)는 바닥부(21)의 저면에 일체로 구성되는데, 필러 넥(1)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물 배출홀들(25)과 외부를 연결하는 챔버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부(31)의 하단에는 물 배출홀들(25)과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챔버홀들(33)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에서 공기 배출부(11)는 캐니스터 연결 호스(2: 이하 도 3 참조)를 통해 캐니스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니플 관로(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니플 관로(35)는 챔버부(31)의 외측에서 바닥부(21)를 관통하여 그 바닥부(21)와 격벽부(19) 사이의 공간으로 배치되는 입구(36a)를 형성하고 있다. 입구(36a)의 반대쪽은 바닥부(21)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출구(36b)로서 이루어지는데, 이 출구(36b)는 니플로서 명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니플 관로(35)의 입구는 바닥부(21)와 격벽부(19) 사이에서 물 배출홀들(25) 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유닛(10)의 커버 바디(15)는 필러 넥(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바디(15)의 양측 단부에는 필러 넥(1)의 외주면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1 후크 돌기(38)가 형성되며, 필러 넥(1)의 외주면에는 제1 후크 돌기(38)가 후크 결합되는 후크홀(4: 이하 도 2 참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트유닛(4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커버유닛(10)의 공기 배출부(11)와 상호 연결되는 공기 유입부(41)를 지니며 필러 넥(1)에 구비된 플랜지부(9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포트유닛(4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포트유닛(40)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일측면에 공기 유입부(41)를 형성하고 있는 포트 바디(43)를 포함한다.
상기 포트 바디(43)는 일측면과 다른 일측면이 서로 나란하며, 이들 면 사이에 공기 유입부(41)와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포트 바디(43)는 일측면 다른 일측면의 하단부가 도 4에서와 같은 커버 바디(15)의 연결부(17) 상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공기 유입부(41)는 상기한 공간을 통해 연결부(17)의 슬롯들(23)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 바디(43)에는 공기 유입부(41)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해 그 공기 유입부(41)를 일정 높이로 일부 막는 댐부재(4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 바디(43)의 양측에는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2 후크 돌기(47)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포트 바디(43)는 도 6에서와 같이 제2 후크 돌기(47)가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후크 결합되는 바, 그 플랜지부(91)에 형성된 삽입공(93)에 삽입되면서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이 커버 바디(15)의 연결부(17)에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제2 후크 돌기(47)를 통해 플랜지부(91)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트 바디(43)는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형성된 홈 형태의 자리면(95)에 안착/결합되는 결합 플랜지(49)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결합 플랜지(49)에는 플랜지부(91)의 자리면(95)에 형성된 결합홈(97)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5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킹유닛(7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포트유닛(40)과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를 패킹하고, 포트유닛(40)의 공기 유입부(41)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패킹유닛(70)은 포트유닛(40)을 감싸며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바, 도 7에서와 같이 필러 넥(1)의 연료 주입구(7)가 관통하는 관통공(71)을 중앙부에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패킹유닛(70)은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를 밀봉하는 제1 패킹부(73)와, 포트유닛(40)을 밀봉하는 제2 패킹부(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패킹부(73)는 관통공(71)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바,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끼워지며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핀(77)을 저면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패킹부(75)는 포트유닛(40)에 대응하여 제1 패킹부(73)에 돔 형태로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포트유닛(40)의 공기 유입부(41)를 개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패킹부(75)의 상부면에는 포트유닛(40)의 공기 유입부(41)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한 리브(81)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100)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공기 흡입 장치(100)의 조립 과정을 살펴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유닛(10)의 커버 바디(15)를 필러 넥(1)의 외주면에 장착하는데, 커버 바디(15)는 제1 후크 돌기(38)가 필러 넥(1)의 후크홀(4)에 후크 결합되면서 그 필러 넥(1)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형성된 삽입공(93)과 커버 바디(15)의 연결부(17)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 필러 넥(1)의 외주면에 커버 바디(15)를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커버 바디(15)가 필러 넥(1)의 외주면에 장착됨에 따라, 그 커버 바디(15)의 챔버부(31)는 필러 넥(1)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물 배출홀들(25)과 챔버홀들(33)을 연결하는 챔버 공간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포트유닛(40)의 포트 바디(43)를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장착한다.
이 과정에서는 포트 바디(43)를 플랜지부(91)의 삽입공(93)에 삽입하게 되면, 포트 바디(43)는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이 커버 바디(15)의 연결부(17) 상측에 위치하면서 제2 후크 돌기(47)를 통해 플랜지부(91)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트 바디(43)가 커버 바디(15)의 연결부(17) 상측에 위치함에 따라 그 포트 바디(43)의 공기 유입부(41)는 연결부(17)의 슬롯들(23)과 상호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유닛(10)과 포트유닛(40)의 장착이 완료되면,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유닛(70)을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결합한다.
이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 보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유닛(70)의 관통공(71)에 필러 넥(1)의 연료 주입구(7)를 끼운 상태로, 제1 패킹부(73)의 결합핀(77)을 플랜지부(91)에 결합하며 그 플랜지부(91)를 밀봉한다.
상기 과정에서, 제1 패킹부(73)는 통상적인 체결수단을 통해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결합되는데, 제2 패킹부(75)는 포트유닛(40)의 포트 바디(43)를 감싸며 밀봉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패킹부(75)는 포트 바디(43)의 공기 유입부(41)를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100)에 의하면, 빗물이나 고압 세차에 의한 과도한 물이 필러 하우징(5)의 내부로 유입되어도 패킹유닛(70)의 제2 패킹부(75)에 리브(8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포트 바디(43)의 공기 유입부(41)로 물이 넘어오지 않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물이 제2 패킹부(75)의 리브(81)에 의해 차단되면서 제1 패킹부(73)의 상면을 따라 흘러 내리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패킹부(75)에 패킹된 포트 바디(43)에 댐부재(4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댐부재(45)에 의해 차단되면서 포트 바디(43)의 공기 유입부(41)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유닛(70)의 리브(81)와 포트유닛(40)의 댐부재(45)에 의해 포트 바디(43)의 공기 유입부(41)로 유입되는 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 탱크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의 작동 시 또는 세차 시, 빗물이나 물이 포트 바디(43)의 공기 유입부(4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포트 바디(43)의 공기 유입부(4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커버 바디(15)의 연결부(17)에 형성된 슬롯들(23)을 통해 격벽부(19)로 떨어지게 되고, 그 격벽부(19)에 의해 차단되면서 공기 배출부(11)로 유입되지 않고 바닥부(21)의 바닥면으로 흘러 내린다.
상기 바닥부(21)로 흘러내린 물은 물 배출홀들(25)을 통해 챔버부(31)의 챔버 공간으로 유입되며, 그 챔버부(31)의 챔버홀들(33)을 통해 커버 바디(15)의 외부로 흘러 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부(11)로서 니플 관로(35)의 입구(36a)가 바닥부(21)의 물 배출홀들(25)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부(21)로 흘러 내린 물은 니플 관로(35)의 입구(36a)로 유입되지 않고 물 배출홀들(25)을 통해 챔버부(31)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포트 바디(43)는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에 형성된 홈 형태의 자리면(95)에 결합 플랜지(49)가 안착되면서 그 플랜지부(91)에 후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필러 넥(1)의 플랜지부(91)와 포트 바디(43)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패킹부(75)와 포트 바디(43) 사이를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포트 바디(43)의 결합 플랜지부(49)가 플랜지부(91)의 자리면(95) 사이로 물이 침투하지 못하기 때문에,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의 작동 시, 물이 커버 바디(15)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바디(15)의 하부에 챔버부(3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물 배출홀들(25)을 통해 챔버부(31)로 유입되는 물을 챔버홀들(33)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의 작동 시, 외부 먼지의 유입이 챔버부(31)에 의해 차단되므로, 먼지 유입으로 인한 캐니스터의 막힘 등으로 인해 연료 탱크에 부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 탱크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한 연료 탱크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며, 연료의 누출이나 시동꺼짐 현상, 차량 화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100)는 물이 포트유닛(40)의 공기 유입부(41)를 통해 커버유닛(10)으로 유입되며, 그 커버유닛(10)을 통해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이 캐니스터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엔진으로 수분이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시동 꺼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시동 꺼짐 현상으로 인한 차량의 사고 발생 및 리콜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필러 넥 10... 커버유닛
11... 공기 배출부 13... 물 배출부
15... 커버 바디 17... 연결부
19... 격벽부 21... 바닥부
23... 슬롯 25... 물 배출홀
31... 챔버부 33... 챔버홀
35... 니플 관로 38... 제1 후크 돌기
40... 포트 유닛 41... 공기 유입부
43... 포트 바디 45... 댐부재
47... 제2 후크 돌기 49... 결합 플랜지
51... 결합 돌기 70... 패킹유닛
71... 관통공 73... 제1 패킹부
75... 제2 패킹부 77... 결합핀
81... 리브 91... 플랜지부
95... 자리면

Claims (15)

  1. 연료 탱크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필러 넥에 구성되며, 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증발 가스를 흡기 시스템으로 회수하기 위한 캐니스터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 장치로서,
    상기 필러 넥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호 구획된 공기 배출부와 물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유닛;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를 지니며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포트유닛; 및
    상기 포트유닛을 감싸며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트유닛과 플랜지부를 패킹하고, 상기 포트유닛의 공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물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패킹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를 밀봉하는 제1 패킹부와, 상기 포트유닛을 밀봉하며 상기 공기 유입부를 개방하고 상기 포트유닛의 공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리브를 일체로 형성하는 돔 형태의 제2 패킹부를 포함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필러 넥의 외주면에 대해 한 쪽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와 상기 포트유닛의 공기 유입부를 연결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포트 유닛의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포트 유닛의 일부가 위치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서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공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물 배출부로서 물 배출홀을 형성하는 바닥부
    로 이루어지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물 배출홀과 연결되고, 상기 필러 넥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외부와 연결되는 챔버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에는 상기 물 배출홀과 연결되는 챔버홀이 형성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챔버부의 외측에서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여 그 바닥부와 상기 격벽부 사이의 공간으로 배치되는 니플 관로로 이루어지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 관로는,
    상기 바닥부와 격벽부 사이에서 상기 물 배출홀 보다 높은 위치에 입구를 형성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필러 넥의 외주면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1 후크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유닛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일측 면에 상기 공기 유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포트 바디를 포함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바디에는 상기 공기 유입부를 일부 막는 댐부재가 형성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바디에는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제2 후크 돌기가 형성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바디는,
    상기 필러 넥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홈 형태의 자리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랜지에는 상기 자리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94721A 2010-09-29 2010-09-29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KR10120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21A KR101209739B1 (ko) 2010-09-29 2010-09-29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21A KR101209739B1 (ko) 2010-09-29 2010-09-29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19A KR20120033119A (ko) 2012-04-06
KR101209739B1 true KR101209739B1 (ko) 2012-12-07

Family

ID=4613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721A KR101209739B1 (ko) 2010-09-29 2010-09-29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208A (ko) * 2018-11-23 2020-06-02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242B1 (ko) * 2019-03-14 2020-09-04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용 오주유 방지 캡리스 연료 주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410B1 (ko) * 2006-05-17 2007-07-16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410B1 (ko) * 2006-05-17 2007-07-16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208A (ko) * 2018-11-23 2020-06-02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KR102145282B1 (ko) * 2018-11-23 2020-08-18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19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901B2 (en) Fuel vapor treating apparatus
US6886705B2 (en) Fuel tank for automobiles
US8910652B2 (en) Fuel ventilation system valve
US8360089B2 (en) Fuel cut-off valve
KR101191747B1 (ko)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
JP6012722B2 (ja) 蒸気制御装置における静的な漏れを防ぐための、蒸気排気弁と液漏れ防止機構とを備えたアセンブリ
KR102371227B1 (ko) 요소수 필러넥 장치
KR101209739B1 (ko)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CN106460732A (zh) 具有一体式过压和补给空气阀的燃料箱气液识别器
CN210014077U (zh) 焊接在油箱上的加油限量阀
KR100736410B1 (ko)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KR20120096563A (ko) 적하물 분리기
JP2003148267A (ja) 車輌用燃料ポンプユニット
KR200424252Y1 (ko)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KR101640547B1 (ko) 침수 방지 필러넥 패킹 구조
JP5428993B2 (ja) 過給油防止装置
JP2010221886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CN106014723A (zh) 燃料供给装置
JP4123894B2 (ja) ポンプモジュール保護構造
CN214141569U (zh) 一种耐醇基燃料的撬装式加注装置
CN216843025U (zh) 通气油塞、驱动桥和车辆
JP2616599B2 (ja) 燃料タンク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1010355A (ja) 燃料ボンベ付自動車の車体構造
KR100188540B1 (ko) 연료탱크 베이퍼 라인의 밸브장치
KR20220095808A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