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282B1 -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282B1
KR102145282B1 KR1020180146699A KR20180146699A KR102145282B1 KR 102145282 B1 KR102145282 B1 KR 102145282B1 KR 1020180146699 A KR1020180146699 A KR 1020180146699A KR 20180146699 A KR20180146699 A KR 20180146699A KR 102145282 B1 KR102145282 B1 KR 102145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racket
coupling
bracket
air drai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208A (ko
Inventor
김영철
도영재
김진구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2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 상기 메인파이프를 차량에 장착을 위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파이프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메인파이프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부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와, 차량으로 외기를 도입하고, 상기 대응결합부에 연결된 에어드레인부로 구성되는 에어드레인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는 플랜지부가 마운팅 브래킷에 형성되고, 에어드레인부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드레인 브래킷이 구비되어 각 결합부간의 결합을 통하여 마운팅 브래킷과 에어드레인 브래킷이 장착되어 차체의 마운트홀에 장착됨으로써 메인파이프를 차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차체의 마운트홀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차체의 마운트홀에 직접 장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마운팅 브래킷만을 교체함으로써 에어드레인부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드레인 브래킷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부품의 손실 및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Filler nect device with improved mounting bracket structure}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는 플랜지부가 마운팅 브래킷에 형성되고, 에어드레인부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드레인 브래킷이 구비되어 각 결합부간의 결합을 통하여 마운팅 브래킷과 에어드레인 브래킷이 장착되어 차체의 마운트홀에 장착됨으로써 메인파이프를 차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차체의 마운트홀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차체의 마운트홀에 직접 장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마운팅 브래킷만을 교체함으로써 에어드레인부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드레인 브래킷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부품의 손실 및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필러넥 장치에서는 필러넥 장치를 차체에 장착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부 플래지(551) 및 하부 플랜지(553)가 구비되고(본 발명의 마운트 브래킷의 제1 결합체 내지 제2 결합체에 대응됨), 또한 플랜지 커버(555)(본 발명의 마운팅 브래킷의 플랜지부에 대응됨)가 구비되어 상부 플랜지(551)와 하부 플랜지(553)를 밀착하게 된다. 이 경우 상부 플랜지(551)에는 에어드레인구(510)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랜지 커버(555)에는 차체의 마운트홀(미도시)에 대응하도륵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플랜지(551)(553)에도 플랜지 커버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대응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 커버(555)로 상부 및 하부 플랜지(551)(553)를 밀착 고정한 후, 차체의 마운트홀과 플랜지 커버, 상부 및 하부 플랜지의 각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 또는 볼트/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차체에 장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차체의 마운트홀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 예컨대 마운트홀의 설치 개수가 변경되거나,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마운트홀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 커버, 상부 및 하부 플랜지를 교체하여 변경된 마운트홀에 대응되는 새로운 플랜지 커버, 상부 및 하부 플랜지를 도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플랜지의 교체 시, 상부 플랜지에 에어드레인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드레인구도 함께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에어드레인구가 고장나거나, 교체할만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교체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부품의 손실이 문제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손실 또한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분리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플랜지의 조립 시, 각 플랜지의 조립부 오차로 조립부의 평면을 확보하기 어려워 조립 신뢰성이 떨어진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7624호(2017.05.12.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에 장착되는 플랜지부가 마운팅 브래킷에 형성되고, 에어드레인부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드레인 브래킷이 구비되어 각 결합부간의 결합을 통하여 마운팅 브래킷과 에어드레인 브래킷이 장착되어 차체의 마운트홀에 장착됨으로써 메인파이프를 차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차체의 마운트홀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차체의 마운트홀에 직접 장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마운팅 브래킷만을 교체함으로서 에어드레인부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드레인 브래킷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부품의 손실 및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운팅 브래킷이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로 분리 구성되되, 각 결합체를 이음부로 연결하여 일원화함으로써 브래킷의 조립 시, 조립부의 평면 확보가 용이하고, 이에 의하여 조립 정밀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는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 상기 메인파이프를 차량에 장착을 위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파이프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메인파이프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부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와, 차량으로 외기를 도입하고, 상기 대응결합부에 연결된 에어드레인부로 구성되는 에어드레인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플랜지부는 서로 대응하고, 분리 구성된 제1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에 연결되어 분리 구성되는 제1 및 제2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결합구로 구성되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제2 결합구로 구성된 제2 결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체를 연결하기 위한 이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이음부는 물빠짐을 위한 유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부와 상기 에어드레인 브래킷의 대응결합부는 서로 대응하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대응결합부에는 마운팅 브래킷과 에어드레인 브래킷의 결합 시, 조립 정렬을 위한 위치고정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는 차체의 마운트홀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차체의 마운트홀에 직접 장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기존의 마운팅 브래킷만을 교체함으로써 에어드레인부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드레인 브래킷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부품의 손실 및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마운팅 브래킷이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로 분리 구성되되, 각 결합체를 이음부로 연결하여 일원화함으로써 브래킷의 조립 시, 조립부의 평면 확보가 용이하고, 이에 의하여 조립 정밀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넥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러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넥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필러넥 장치의 브래킷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는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10)와, 메인파이프(10)에 연결되는 갭홀더와, 마운팅 브래킷(30)과, 에어드레인부(41)가 구비된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파이프(10)는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연료탱크에 주입된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메인파이프(1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홀더(20)는 메인파이프(10) 상단에 결합되어 연료탱크로 주유를 위해 주유건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재질은 스레인리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파이프와 캡홀더는 분리된 형태로 상호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메인파이프와 캡홀더는 일체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 메인파이프와 캡홀더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메인파이프와 캡홀더는 확관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플라시틱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을 통하에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래킷(30)은 메인파이프(10)를 차량에 장착을 위한 플랜지부(31)와, 플랜지부(31)에 연결되어 메인파이프(10)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래킷(30)은 후술할 에어드레인 브래킷(40)과의 결합을 통해 메인파이프(10)에 장착되고, 플랜지부(31)가 차체에 구비된 마운팅홀에 장착되어 메인파이프(10)가 안정적으로 장착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마운팅 브래킷(30)의 플랜지부(31)는 서로 대응되도록 분리 구성되는 제1 플랜지(31a)와 제2 플랜지(31b)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제작된다. 제1 및 제2 플랜지(31a)(31b)에는 각각 복수,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두 개의 볼트홀(31c)이 구비되는데, 이 볼트홀들은 차량에 구비된 마운트홀(미도시)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볼트 또는 볼트/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다음으로 마운팅 브래킷(30)의 결합부(33)는 서로 분리 구성되는 제1 결합구(33a)와, 제2 결합구(33b)로 구성되는데, 제1 결합구(33a)는 제1 플랜지(31a) 하면에 연결되고, 제2 결합구(33b)는 제2 플랜지(31b) 하면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결합구(33a)(33b)에는 각각 체결부(35), 즉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부(35)는 후술할 에어드레인 브래킷(40)에 형성된 대응체결부(45)를 통하여 볼트 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마운팅 브래킷(30)은 제1 플랜지(31a)와 제1 결합구(33a)로 구성되는 제1 결합체(C1)와, 제2 플랜지(31b)와 제2 결합구(33b)로 성되는 제2 결합체(C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운팅 브래킷(30)은 메인파이프(10)와 조립 후, 대략적으로 도 3의 (a)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볼 때 플랜지부(3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유사 형태를 갖고, 도 3의 (b)와 같이 하부에서 바라볼 때 결합부(33)는 전체적으로 반원 유사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때에는 마운팅 브래킷(30)의 각 결합체는 전체적으로 ‘ㄱ’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래킷(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31)의 제1 및 제2 플랜지(31a)(31b)와, 동시에 결합부(33)의 제1 및 제2 결합구(33a)(33b)는 각각 분리 구성되는데, 제1 및 제2 플랜지(31a)(31b) 또는 제1 및 제2 결합구(33a)(33b)를 연결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 결합체(C1)(C2)를 연결하기 위한 이음부(37)가 도입된다. 도 3에는 제1 및 제2 결합체(C1)(C2)가 이음부(37)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음부(37)가 각 플랜지를 연결하거나, 또는 각 결합구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음부(37)가 제1 및 제2 결합체(C1)(C2)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겠으나, 이는 기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례에서도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얻을 있음을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37)는 각 결합체가 분리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을 연결하여 줌으로써 플랜지부(31)가 2개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 평면 확보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음부(37)는 분리 구성된 플랜지부(31)의 조립 시, 각 플랜지가 동일 평면상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잡아줌으로써 평면 확보가 가능하게 되고, 이는 조립 오차를 없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음부(37)에는 물빠짐홀(39)이 형성되는데, 이 물빠짐홀(39)은 물과 같은 수분이 빠져나가고, 통기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특히 물빠짐홀(39)은 이음부(37)를 형성하는 경우 생성되는 공간상에 배치된다. 즉 도 3의 도시와 같이 각 결합체 사이의 공간상에 형성되므로 물빠짐홀(39)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을 채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절감 뿐만 아니라, 브래킷의 구조 단순화 역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운팅 브래킷(30)은 후술할 에어드레인 브래킷(40)과 연결되므로 이하에서는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은 마운팅 브래킷(30)에 결합되어 메인파이프(10)에 장착된다. 즉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은 메인파이프(10)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고, 마운팅 브래킷(30)의 결합부(33)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43)와, 차량으로 외기를 도입하고, 대응결합부(43)에 연결된 에어드레인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에어드레인부(41)에는 에어벤트(41a)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의 대응결합부(43)은 반원 형태로 이루어져 마운팅 브래킷(30)의 결합부(33), 즉 제1 및 제2 결합구(33a)(33b)와 연결되는데, 대응결합부(43)에는 제1 및 제2 결합구(33a)(33b)의 체결부(35)에 상응하는 대응체결부(45)가 형성된다. 이때 대응체결부(45)에는 각 결합구와 마찬가지로 볼트홀이 형성되어 조립 시, 각 체결부(35)와 각 대응체결부(45)를 맞댄 후, 볼트 또는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각 체결부(35)를 체결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의 대응결합부(43)는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부와 달리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 시, 마운팅 브래킷(30)의 결합부(33), 즉 분리 구성된 제1 및 제2 결합구(33a)(33b)와 대응하여 결합된다.
또한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의 에어드레인부(41)는 차체 내부로 외기를 도입하고자 마련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대응결합부(43)과 일체로 구성된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5의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마운트 브래킷의 제1 결합체(C1) 내지 제2 결합체(C2)에 대응되는 상부 플래지(551) 및 하부 플랜지(553)가 구비되고, 상부 플랜지(551)에 에어드레인구(510)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운팅 브래킷(30)의 플랜지부(31)에 대응되는 플랜지 커버(555)가 구비되어 상부 플랜지(551)와 하부 플랜지(553)는 플랜지 커버(555)에 의해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 커버(555)에는 차체의 마운트홀(미도시)에 대응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플랜지(551)(553)에도 플랜지 커버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대응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 커버(555)로 상부 및 하부 플랜지(551)(553)를 밀착 고정한 후, 차체의 마운트홀과 플랜지 커버, 상부 및 하부 플랜지의 각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 또는 볼트/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차체에 장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차체의 마운트홀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 예컨대 마운트홀의 설치 개수가 변경되거나,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마운트홀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 커버(555), 상부 및 하부 플랜지(551)(553)를 교체하여 변경된 마운트홀에 대응되는 새로운 플랜지 커버, 상부 및 하부 플랜지를 도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플랜지의 교체 시, 상부 플랜지(551)에 에어드레인구(5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드레인구(510)도 함께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에어드레인구(510)가 고장나거나, 교체할만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교체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부품의 손실이 문제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손실 또한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 구조를 마운팅 브래킷(30)과, 에어드레인 브래킷(40)으로 구성하되, 마운팅 브래킷(30)에 종래의 브래킷 역할을 하는 플랜지부(31)를 형성하고, 에어드레인 브래킷(40)에는 에어드레인부(41)를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즉 차체의 마운트홀의 설치 개수가 변경되거나,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종래의 브래킷 역할을 하는 마운트 브래킷만을 교체하고, 에어드레인부(41)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은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은 차체의 마운트홀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마운팅 브래킷(30)과 달리 교체 없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부품의 손실을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경제적인 손실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브래킷(30)의 결합부(33) 및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의 대응결합부(43)에는 마운팅 브래킷(30)과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의 결합 시, 조립 정렬을 위한 위치고정부(50)를 구비하여 작업능률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고정부(50)는 결합부(33)의 제1 및 제2 결합구(33a)(33b)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51)와, 이 위치고정돌기(51)에 대응하여 대응결합부(43)에 형성되는 위치고정홈(53)으로 구성된다. 즉 마운팅 브래킷(30)과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을 조립하는 경우 각 위치고정돌기(51)가 위치고정홈(53)에 삽입되어 각 브래킷의 위치를 잡아주고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작업이 쉽고 편리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위치고정돌기(51)는 서로 설치 위치를 달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위치고정홈(53) 역시 위치고정돌기(51)에 대응하여 설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고정돌기(51) 및 위치고정홈(53)의 설치 높이를 달리하거나, 또는 설치 위치가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는 각 브래킷의 조립 시, 보다 정밀하게 조립 정렬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동일 선상 또는 동일 높이에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보다 서로 다른 여러 지점에서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면 조립 정렬을 보다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립 정밀도를 높여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C1 : 제1 결합체 C2 : 제2 결합체
10 : 메인파이프
20 : 캡홀더
30 : 마운팅 브래킷
31 : 플랜지부 31a : 제1 플랜지
31b : 제2 플랜지 33 : 결합부
33a : 제1 결합구 33b : 제2 결합구
35 : 체결부 37 : 이음부
39 : 물빠짐홀
40 : 에어드레인 브래킷
41 : 에어드레인부 41a : 에어벤트
43 : 대응결합부
50 : 위치고정부
51 : 위치고정돌기 53 : 위치고정홈

Claims (5)

  1.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10);
    상기 메인파이프(10)를 차량에 장착을 위한 플랜지부(31)와, 상기 플랜지부(31)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파이프(10)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부(33)로 구성되는 마운팅 브래킷(30); 및
    상기 메인파이프(10)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30)의 결합부(33)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43)와, 차량으로 외기를 도입하고, 상기 대응결합부(43)에 연결된 에어드레인부(41)로 구성되는 에어드레인 브래킷(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30)의 플랜지부(31)는 서로 대응하고, 분리 구성된 제1 및 제2 플랜지(31a)(31b)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브래킷(30)의 결합부(33)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31a)(31b)에 연결되어 분리 구성되는 제1 및 제2 결합구(33a)(33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마운팅 브래킷(30)은 상기 제1 플랜지(31a)와 상기 제1 결합구(33a)로 구성되는 제1 결합체(C1)와, 상기 제2 플랜지(31b)와 상기 제2 결합구(33b)로 구성된 제2 결합체(C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31a)(31b)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33a)(33b)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체(C1)(C2)를 연결하기 위한 이음부(3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37)에는 물빠짐을 위한 물빠짐홀(3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30)의 결합부(33)와 상기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의 대응결합부(43)는 서로 대응하는 체결부(35)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33) 및 상기 대응결합부(43)에는 마운팅 브래킷(30)과 에어드레인 브래킷(40)의 결합 시, 조립 정렬을 위한 위치고정부(5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KR1020180146699A 2018-11-23 2018-11-23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KR102145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99A KR102145282B1 (ko) 2018-11-23 2018-11-23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99A KR102145282B1 (ko) 2018-11-23 2018-11-23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08A KR20200061208A (ko) 2020-06-02
KR102145282B1 true KR102145282B1 (ko) 2020-08-18

Family

ID=7109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699A KR102145282B1 (ko) 2018-11-23 2018-11-23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25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라스틱 필러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9571A (ja) 2008-05-09 2009-11-19 Kanto Auto Works Ltd 燃料貯蔵装置
KR101209739B1 (ko) * 2010-09-29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02Y2 (ja) * 1988-05-30 1994-03-16 堀江金属工業株式会社 筒形樹脂製品のヒンジ構造
JPH0499126U (ko) * 1991-01-25 1992-08-27
KR20170029036A (ko) * 2015-09-04 2017-03-15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필러넥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7624B1 (ko) 2017-04-10 2017-05-22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필러넥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9571A (ja) 2008-05-09 2009-11-19 Kanto Auto Works Ltd 燃料貯蔵装置
KR101209739B1 (ko) * 2010-09-29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08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282B1 (ko)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US8863976B2 (en) Seal structure for fuel tank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20140261279A1 (en) Intake manifol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46981B1 (ko) 연료 탱크의 필러 튜브 접속부구조
US5634673A (en) Joint device
RU2267681C2 (ru) Запорный клапан
JP2002106428A (ja) エンジンの吸気マニホールド
CN216951962U (zh) 一种用于燃气阀门的承插底托
KR0118172Y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서비스구멍용 커버 설치구조
CN205737741U (zh) 汽车
KR200252455Y1 (ko) 덕트 연결용 티이 브랜치
JP2023158321A (ja) 燃料供給装置
CN114607540B (zh) 适用于摩托车v缸发动机的进气歧管安装结构
CN216946197U (zh) 一种加注杯装置
KR101405749B1 (ko) 차량의 흡기 매니폴드와 실린더 헤드의 장착구조
KR100427660B1 (ko) 자동차의 누유관 설치구조
KR101901375B1 (ko) 연료펌프용 조립식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연료펌프용 플랜지 제조 방법
KR0151360B1 (ko) 연료탱크의 연결포트 장착구조
KR100289558B1 (ko) 자동차 연료장치의 연료펌프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링 결합구조
KR101611800B1 (ko) 연료탱크용 파이프 커플링
KR19980045230A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구조
JP4346527B2 (ja) 多岐吸気管及びその製造方法
EP1132340B1 (en) Pipework Connection System
KR20240029858A (ko) 통합 냉각수 모듈
JP6338181B2 (ja) 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