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722A -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722A
KR20140028722A KR1020120095655A KR20120095655A KR20140028722A KR 20140028722 A KR20140028722 A KR 20140028722A KR 1020120095655 A KR1020120095655 A KR 1020120095655A KR 20120095655 A KR20120095655 A KR 20120095655A KR 20140028722 A KR20140028722 A KR 20140028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hole pattern
mask pattern
form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찬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722A/ko
Publication of KR2014002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16Aspects relating to the layout of the pattern or to the size of vias or tre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보다 많은 넷다이(Net Die)를 확보하기 위해 미세한 홀 패턴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피식각층 상에 장축과 단축을 갖고 사선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1차 홀 패턴을 포함하는 제1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홀 패턴의 중앙을 가로질러 상기 1차 홀 패턴의 장축을 양분하는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패턴 및 분리막을 식각배리어로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여 오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소자의 집적화 및 공정 단순화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OLE PATTERN IN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가 축소화(Shrink) 됨에 따라 스토리지 노드(Storage Node)의 저장용량(Capacitance)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즉, 일정한 면적에 더 많은 스토리지 노드를 형성하면서, 디램(DRAM)으로써 역할을 할 수 있는 용량(Capacity)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의 스토리지 노드는 포토(Photo) 장비의 한계를 넘어 기술적인 축소화를 극복할 수 있는 LELE(Litho-Etch-Litho-Etch)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있다. 통상의 LELE 방식은 2개의 라인패턴을 교차시켜 홀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소자의 축소화가 지속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홀 패턴보다 더 집적화된 홀 패턴을 형성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실시예는 보다 많은 넷다이(Net Die)를 확보하기 위해 미세한 홀 패턴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은 피식각층 상에 장축과 단축을 갖고 사선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1차 홀 패턴을 포함하는 제1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홀 패턴의 중앙을 가로질러 상기 1차 홀 패턴의 장축을 양분하는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패턴 및 분리막을 식각배리어로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여 오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홀 패턴을 갭필하는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캡핑막 상에 상기 홀 패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라인타입의 제2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마스크패턴을 식각배리어로 상기 캡핑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핑막은 상기 제1마스크패턴 및 제2마스크패턴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기술은 홀 패턴과 라인패턴을 이용하여 보다 미세한 홀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집적화 및 공정 단순화에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g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g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a 내지 도 1g와 도 2a 내지 도 2e는 각각에 대응하는 도면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g와 도 2a 내지 도 2e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피식각층(11)을 형성한다. 반도체 기판(11)은 단결정 물질(Single crystalline material)을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11)은 실리콘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Single crystalline silicon)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은 소자분리막, 게이트 및 비트라인 등의 소정 공정이 완료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피식각층(11)은 최종패턴이 형성되는 층으로, 패턴 형성을 위한 희생막일 수 있다. 피식각층(11)은 절연막 또는 도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절연막은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피식각층(11) 상에 제1 및 제2하드마스크층(12, 13)을 적층한다. 제1 및 제2하드마스크층(12, 13)은 식각선택비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하드마스크층(12)은 피식각층(11)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고, 제2하드마스크층(13)은 제1하드마스크층(12)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하드마스크층(12)은 폴리실리콘막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드마스크층(13)은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하드마스크층(12)은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드마스크층(13)은 폴리실리콘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2하드마스크층(13) 상에 사선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홀 패턴을 정의하는 제1마스크패턴(14)을 형성한다. 제1마스크패턴(14)은 제2하드마스크층(13) 상에 감광막을 코팅(Coating)하고, 노광(Exposure) 및 현상(Development)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스크패턴(도 1a 참조, 14)을 식각배리어로 제2하드마스크층(도 1a 참조, 13)을 식각하여 제2하드마스크패턴(13A)을 형성한다. 제2하드마스크패턴(13A)에 의해 정의된 영역은 제1마스크패턴(도 1a 참조, 14)에 의해 정의된 영역과 동일하며, 따라서 1차 홀 패턴(15)이 정의된다.
이어서, 제1마스크패턴(도 1a 참조, 14)을 제거한다. 제1마스크패턴이 감광막인 경우, 건식식각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건식식각은 예컨대 산소 스트립(O2 Strip)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c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드마스크패턴(13A) 사이의 1차 홀 패턴(15)을 갭필하는 캡핑막(16)을 형성한다. 캡핑막(16)은 제2하드마스크패턴(13A) 및 제1하드마스크층(12)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캡핑막(16)은 SOC(Spin On Coating)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캡핑막(16) 상에 1차 홀 패턴(15)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라인 타입의 제2마스크패턴(17)을 형성한다. 제2마스크패턴(17)은 캡핑막(16) 상에 감광막을 코팅(Coating)하고, 노광(Exposure) 및 현상(Development)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마스크패턴(17)은 1차 홀 패턴(15)의 중앙을 가로질러 장축을 양분하는 라인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2마스크패턴(17)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1차 홀 패턴(15)과 90°미만의 교차각을 갖는 라인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마스크패턴(17)은 1차 홀 패턴(15)과 45°의 교차각을 갖는 라인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홀 패턴(15)은 제2마스크패턴(17)을 기준으로 비대칭모양으로 양분될 수 있다.
도 1d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스크패턴(17, 도 1c 참조)을 식각배리어로 캡핑막(16, 도 1c 참조)을 식각하여 제3하드마스크패턴(16A)을 형성한다. 제3하드마스크패턴(16A)은 제2마스크패턴(17, 도 1c 참조)과 동일한 라인 타입으로 패터닝된다. 즉, 제3하드마스크패턴(16A)은 제2하드마스크패턴(13A)에 의해 정의되는 1차 홀 패턴(15)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라인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3하드마스크패턴(16A)은 도 1c에서 캡핑막(16, 도 1c 참조)이 제2하드마스크패턴(13A)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경우, 제3하드마스크패턴(16A) 역시 제2하드마스크패턴(13A)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캡핑막(16, 도 1c 참조)이 제2하드마스크패턴(13A) 보다 두껍게 형성된 경우 제3하드마스크패턴(16A) 역시 제2하드마스크패턴(13A) 보다 두꺼울 수 있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하드마스크패턴(13A, 16A, 도 1d 참조)을 식각배리어로 제1하드마스크층(12, 도 1d 참조)을 식각하여 제1하드마스크패턴(12A)을 형성한다. 제1하드마스크패턴(12A)이 형성되는 시점에서 제2 및 제3하드마스크패턴(13B, 16B)은 손실되어 일부만 잔류할 수 있다.
도 1f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하드마스크패턴(13B, 16B, 도 1e 참조)을 제거한다. 따라서, 피식각층(11) 상부에 제1하드마스크패턴(12A)만 잔류한다.
위와 같이, 단차를 갖는 제2 및 제3하드마스크패턴(13B, 16B, 도 1e 참조)을 미리 제거하면, 단차에 의한 홀 패턴의 불균일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3하드마스크패턴(13B, 16B, 도 1e 참조)에 단차가 존재하여 제1하드마스크패턴(12A) 형성 후 제거공정을 진행하고 있으나, 제2 및 제3하드마스크패턴(13B, 16B, 도 1e 참조)을 동일한 단차로 형성한 경우, 제거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후속 공정의 진행이 가능하다.
도 1g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드마스크패턴(12A, 도 1f 참조)을 식각배리어로 피식각층(11, 도 1f 참조)을 식각하여 2차 홀 패턴(18)을 형성한다. 도 2d에서 제1하드마스크패턴(12A, 도 1f 참조)에 의해 정의된 1차 홀 패턴은 다각형을 띄고 있으나, 피식각층(11, 도 1f 참조) 식각시 모서리 부분이 완화되어 둥근 형태의 2차 홀 패턴(18)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11A는 2차 홀 패턴(18)의 형성이 완료된 피식각층을 가리킨다.
위와 같이, 홀 패턴과 라인 패턴을 이용하여 미세 홀 패턴을 형성하면 홀 패턴의 크기 및 홀 패턴 사이의 간격 등을 이용해 최종 미세 홀 패턴의 조절이 가능하고, 감광막의 해상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기판 11 : 피식각층
12 : 제1하드마스크층 13 : 제2하드마스크층
15 : 1차 홀 패턴 16 : 캡핑층
17 : 제2마스크패턴 18 : 2차 홀 패턴

Claims (4)

  1. 피식각층 상에 장축과 단축을 갖고 사선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1차 홀 패턴을 포함하는 제1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홀 패턴의 중앙을 가로질러 상기 1차 홀 패턴의 장축을 양분하는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패턴 및 분리막을 식각배리어로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여 오픈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홀 패턴을 갭필하는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캡핑막 상에 상기 홀 패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라인타입의 제2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마스크패턴을 식각배리어로 상기 캡핑막을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막은 상기 제1마스크패턴 및 제2마스크패턴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막은 SOC(Spin On Coating)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1020120095655A 2012-08-30 2012-08-30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 KR20140028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655A KR20140028722A (ko) 2012-08-30 2012-08-30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655A KR20140028722A (ko) 2012-08-30 2012-08-30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722A true KR20140028722A (ko) 2014-03-10

Family

ID=5064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655A KR20140028722A (ko) 2012-08-30 2012-08-30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87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0129B2 (en) 2016-03-03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s
CN112786437A (zh) * 2019-11-11 2021-05-11 夏泰鑫半导体(青岛)有限公司 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0129B2 (en) 2016-03-03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s
US10439048B2 (en) 2016-03-03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mask layout, methods of forming fine patter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CN112786437A (zh) * 2019-11-11 2021-05-11 夏泰鑫半导体(青岛)有限公司 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CN112786437B (zh) * 2019-11-11 2022-12-02 夏泰鑫半导体(青岛)有限公司 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8304B2 (en) Methods to reduce the critical dimension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related semiconductor devices
KR102250656B1 (ko)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US8575032B2 (en) Methods of forming a pattern on a substrate
US8278223B2 (en) Method for forming hole pattern
SG188110A1 (en) Methods of forming isolated active areas, trenches, and conductive lines in semiconductor structures and semiconductor structures including the same
KR101105431B1 (ko) 미세 패턴 제조 방법
US20120175745A1 (en) Methods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he same
US9773680B1 (en) Advanced method for scaled SRAM with flexible active pitch
KR20160122695A (ko) 집적 회로 디바이스를 위한 스페이서 인에이블된 활성 분리
KR20130070351A (ko)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KR100574999B1 (ko) 반도체소자의 패턴 형성방법
US7935638B2 (en) Methods and structures for enhancing perimeter-to-surface area homogeneity
TW200537609A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recessed channel region
KR10062066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40028722A (ko) 반도체 장치의 홀 패턴 제조 방법
TWI546859B (zh) 半導體裝置之圖案化結構及其製作方法
KR10079650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10773953B2 (en) MEMS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90061635A1 (en) Method for forming micro-patterns
KR102008153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US934823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TWI678725B (zh) 半導體元件及其關鍵尺寸的定義方法
TWI813433B (zh) 半導體結構
TW202109624A (zh) 積體電路的製作方法
CN109920761B (zh) 半导体元件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