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978A - 연속적인 글래스 리본에 취급 탭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적인 글래스 리본에 취급 탭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978A
KR20140027978A KR1020137029390A KR20137029390A KR20140027978A KR 20140027978 A KR20140027978 A KR 20140027978A KR 1020137029390 A KR1020137029390 A KR 1020137029390A KR 20137029390 A KR20137029390 A KR 20137029390A KR 20140027978 A KR20140027978 A KR 20140027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adhesive tape
tape ribbon
glas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601B1 (ko
Inventor
데일 씨 마샬
게리 에드워드 메르츠
케네쓰 스펜서 모건
존 얼 토시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2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both discrete and continuous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13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and applying the article or the web by adhesive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5Edges side edges, i.e. regarded in context of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34Overedge bending of lamina about edges of sheetlike base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Abstract

글래스 기판 상에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방법은 글래스 기판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착 테이프 리본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로부터 이격되게 되고 접착면이 제1 표면 및 제2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게 될 수도 있다. 접착 테이프 리본은 글래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의 접착면과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의 접착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절첩될 수도 있고,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3 부분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를 넘어 연장하는 취급 탭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연속적인 글래스 리본에 취급 탭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 HANDLING TAB TO CONTINUOUS GLASS RIBBON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2011년 4월 11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083,960호의 35 U.S.C. §120 하에서 우선권의 이득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글래스 기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글래스 기판의 에지에 취급 탭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얇은 글래스 기판은 소위 "이-페이퍼(e-paper)"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례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용 글래스는 매우 얇고, 통상적으로 약 0.3 mm 미만일 수 있다. 기판의 처리는 개별 글래스 시트 기초로 또는 가장 효율적으로는 기다란 글래스 리본이 롤러 상에 권취됨에 따라 기판을 반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하나의 롤러로부터 리본을 분배하는 단계, 분배된 부분을 처리하는 단계 및 이어서 리본을 권취 롤러(take-up roller) 상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위 "롤러-대-롤러" 프로세스의 일 단점은 얇은 글래스 리본의 취성인데 - 취급 중에 리본의 기계적 접촉은 스크래치, 칩핑(chipping) 및 최악의 경우에 파괴를 포함하는 손상을 유도할 수 있다. 글래스 기판이 글래스에 손상 없이 취급될 수 있도록 시트 또는 리본 형태의 글래스 기판의 에지에 취급 탭을 적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취급 중에 글래스 기판에 대한 손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글래스 기판에 취급 탭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취급 탭은 글래스 기판이 반송 중에 에지로부터 에지까지 파괴되는 경우에 글래스 기판의 완전성을 또한 유지한다(즉, 취급 탭은 파괴된 기판을 함께 유지함). 취급 중에 글래스 기판에 대한 손상을 완화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해 글래스 기판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기 위한 장치가 또한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취급 중에 글래스 기판에 대한 손상을 완화하기 위해 취급 탭을 갖는 글래스 기판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취급 탭은 글래스 기판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글래스 기판은 제2 주표면에 대향하는 제1 주표면을 갖는다.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은 제1 측방향 에지와 제2 측방향 에지 사이로 연장한다. 접착 테이프 리본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접착면이 제1 표면 및 제2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접착 테이프 리본은 글래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의 접착면과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의 접착면 사이에 위치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3 부분의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로부터 이격되도록 절첩될 수도 있다.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3 부분은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를 넘어 연장하는 취급 탭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취급 중에 글래스 기판에 대한 손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취급 탭을 갖는 글래스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방법은 글래스 기판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착 테이프 리본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측방향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주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글래스 기판의 측방향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그 후에, 접착 테이프 리본 및 글래스 기판이 절첩 플로우(plow)를 통해 유도되어, 절첩 플로우를 나온 후에, 글래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의 접착면과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의 접착면 사이에 위치되게 할 수도 있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3 부분은 글래스 기판의 에지를 넘어 연장하는 취급 탭을 형성한다. 글래스 기판은 이어서 제1 쌍의 압착 롤러 사이에 유도될 수도 있어, 제1 쌍의 압착 롤러가 글래스 기판의 제1 주표면에 대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을, 그리고 글래스 기판의 제2 주표면에 대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을 적층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취급 중에 글래스 기판에 대한 손상을 완화하기 위해 접착 테이프 리본을 글래스 기판의 에지 상의 취급 탭으로 절첩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글래스 반송 경로가 상류측 단부로부터 하류측 단부로 반송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는 글래스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스핀들 회전축을 갖는 풀림 스핀들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고, 풀림 스핀들은 권취 접착 테이프 리본을 지지한다. 장치는 글래스 반송 경로 상에 드로잉된 글래스 기판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기 위한 절첩 플로우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절첩 플로우는 글래스 반송 경로가 제1 웨지의 접촉면과 제2 웨지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된 제1 웨지 및 제2 웨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는 글래스 반송 경로 상에 드로잉된 글래스 기판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적층하기 위한 제1 쌍의 압착 롤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쌍의 압착 롤러는 절첩 플로우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도 있고 글래스 반송 경로가 제1 압착 롤러와 제2 압착 롤러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된 제1 압착 롤러 및 제2 압착 롤러를 포함하고, 제1 압착 롤러 및 제2 압착 롤러는 글래스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부가의 특징 및 장점은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그 설명으로부터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즉시 명백해질 것이고 또는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첨부 도면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를 실시함으로써 인식될 것이다.
상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둘 다는 다양한 실시양태를 기술하고, 청구 대상의 본질과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구조를 제공하려는 의도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한 도면은 다양한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명세서의 한 부분을 구성하도록 포함되어 있다. 도면은 청구 대상의 원리 및 동작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 발명의 설명과 함께 본원에서 기술하는 다양한 실시양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해 접착 테이프 리본이 글래스 기판에 적용될 때 글래스 기판의 부분 단면도 및 접착 테이프 리본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해 글래스 기판에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 리본의 부분 길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기판의 에지 상의 취급 탭 내로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장치의 부분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해 장치가 글래스 기판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적용하는데 사용될 때 도 1의 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용융 글래스로부터 글래스 기판을 형성하고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해 글래스 기판의 에지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제, 글래스 기판이 손상 없이 취급될 수 있도록 글래스 기판의 에지 상에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해 글래스 기판의 에지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글래스 기판의 측방향 에지에 인접하여 접착 테이프 리본을 위치설정하여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접착면이 제1 표면 및 제2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게(예를 들어, 90도±5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접착 테이프 리본은 이어서 글래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의 접착면과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의 접착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3 부분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를 넘어 연장하는 취급 탭을 형성하도록 절첩된다.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뿐만 아니라 글래스 기판의 에지 상에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첨부 도면을 특히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글래스는 취성 재료이고, 비가요성이고 스크래칭, 칩핑 및 파괴의 경향이 있는 것으로서 알려져 있지만, 얇은 단면을 갖는 글래스는 실제로 상당히 가요성일 수 있다. 광 파이버의 머리카락 두께만큼 얇은 스트랜드(hair-thin strand)의 가요성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유사하게, 시트 또는 리본에서, 글래스는 페이퍼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매우 유사하게 스풀에 권취되거나 스풀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 그러나, 글래스가 가요성이 될 수 있더라도, 글래스는 그 취성 특성을 보유하고, 접촉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특정 용례에서, 특히 시각적 결함이 주의 산만하게 할 수 있는 용례에서(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용례), 심지어 작은 끊임없는 외관 결함도 허용 불가능하다. 높은 기계적 강도를 필요로 하는 다른 용례에서, 심지어 1 ㎛ 미만의 결함은 글래스 물품의 기계적 신뢰성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프로세스에서 시트의 취급, 예를 들어 시트 상의 박막 디바이스의 증착은 손실의 근원 및 높은 비용이 될 수 있다.
글래스 기판은 개별 시트 기초로 처리될 수 있지만, 더 효율적인 방법은 스풀 상에 권취되는 상당한 길이의 글래스 기판으로 시작하는 것을 수반한다. 글래스 기판(이 경우에, "연속적인" 글래스 기판)은 스풀로부터 풀려지고, 처리되고, 이어서 제2 스풀에 재권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처리된"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분할, 연삭, 연마, 세척 또는 글래스 상의 부가의 층 및/또는 구성 요소(예를 들어, 전기적/전자적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의 부분)의 증착을 포함하는 글래스의 형성 후의 임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처리 설비를 통한 글래스 리본의 운반은 리본의 정밀한 위치설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 기판 상의 박막 디바이스(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전계발광층 등)의 형성은 다수의 스테이션들 사이에 리본을 위치설정하거나 인덱싱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고, 스테이션 간의 정확한 정합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0.3 mm 미만 또는 0.1 mm 미만 또는 심지어 0.05 mm 미만의 두께의 글래스 기판 상의 이 형태의 반송을 수행하는 것은 충분히 어렵다. 일단 디바이스들이 형성되면, 글래스 리본 또는 리본의 하나 또는 양 표면 상에 형성된 디바이스에 손상 없이, 가능하게는 후속의 제조 프로세스에서, 이후의 사용을 위해 리본을 적층하거나 재권취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전술된 어려움은 글래스 기판의 에지 또는 에지들 상에 취급 탭을 형성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글래스 기판(190)의 에지에 취급 탭(174)을 적용하는 일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서, 글래스 기판(190)(도 1 내지 도 4에 부분 단면으로 도시됨)은 제2 주표면(194)에 대향된 제1 주표면(192)을 포함한다. 이 표면들은 제1 측방향 에지(196)와 제2 측방향 에지(도 1 내지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로 연장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글래스 기판(190)은 일반적으로 0.5 mm 미만의 두께(T)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글래스 기판(190)의 두께(T)는 0.3 mm 미만, 0.1 mm 미만 또는 심지어 0.05 mm 미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글래스 기판(190)은, 예를 들어 글래스 기판(190)이 광대한 길이를 갖는 글래스의 웨브를 유지하는 저장 스풀로부터 풀려지는 글래스의 웨브일 때 또는 대안적으로 글래스 기판이 용융 글래스의 배치(batch)로부터 연속적으로 드로잉될 때 연속적이다. 또 다른 대안예에서, 글래스 기판(190)은 글래스의 웨브로부터 분할된 개별 글래스 기판과 같은, 별개의 글래스 기판일 수도 있다.
취급 탭(174)은 도 5에 도시된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 단면으로 도시된 접착 테이프 리본과 같은 접착 테이프 리본(160)으로부터 형성된다. 접착 테이프 리본은 실리콘, 폴리이미드 또는 다른 유사한 재료와 같은 폴리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 테이프 리본이 형성되는 재료는 접착 테이프 리본이 글래스 기판에 적용되어 취급 탭을 형성한 후에 글래스 기판이 받게 될 수 있는 처리 작업과 적합성이 있도록 선택된다.
접착 테이프 리본(160)은 일반적으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을 글래스 기판에 접합하기에 적합한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면(168)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은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천공부(170)를 갖고 형성될 수도 있다. 천공부(170)는 미리 정해진 절첩 라인(즉, 천공부(170)에 의해 형성된 절첩 라인)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천공부(170)는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에지들 사이에 중심 설정되고 일반적으로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전체 축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천공부(170)는 용례의 특정 요구에 따라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에지들 사이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접착 테이프 리본(160)은 선택적으로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실시예에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은 접착 테이프 리본(160)이 천공부(170)를 따라 절첩될 때, 대향 구멍들이 서로 정렬되도록 리본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171)을 포함한다. 접착 테이프 리본(160) 내의 구멍은 스프로켓의 대응 핀 또는 치형부와 결합되도록 치수 설정되고 위치설정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글래스 기판(190)이 글래스와 접촉하지 않고 반송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접착 테이프 리본(160)은 접착 테이프 리본이 부착되는 글래스 기판의 길이를 기계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라인 세그먼트 등과 같은 표시 표식(indicia)(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착 테이프 리본은 리본에 증가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강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비 성형된 테이프는 코팅 재료에 부가의 강도를 제공하는 글래스 또는 폴리머 파이버(예를 들어, 케블라(Kevlar)
Figure pct00001
파이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 테이프 리본은 바람직하게는 약 50 ㎛ 내지 100 ㎛(예를 들어, 63.5 미크론)의 범위의 총 두께를 갖는 아크릴 접착제를 갖는 캡톤(Kapton)
Figure pct00002
테이프이다. 캡톤
Figure pct00003
테이프는 300℃만큼 높은 온도에서 글래스 기판의 처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재차 참조하면, 취급 탭(174)은 접착면(168)이 글래스 기판(190)의 에지(196)에 대면하고 거리(S)만큼 글래스 기판(190)의 에지(196)로부터 이격되도록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측방향 에지(196)에 인접하여 접착 테이프 리본(160)을 먼저 위치설정함으로써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측방향 에지(196) 상에 형성된다. 거리(S)는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폭(W) 및 최종적인 취급 탭(174)의 원하는 폭(J)(도 4에 도시됨)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이 배향의 접착 테이프 리본(160)에 의해, 접착면(168)은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주표면(192) 및 제2 주표면(194)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예를 들어, 90도±5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천공부(170)는 두께(T)의 방향으로 글래스 기판(190)의 중심과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그러나, 글래스 기판(190)에 대한 천공부(170)의 위치설정은 취급 탭(174)의 원하는 구성을 성취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 리본(160)은 글래스 기판(190)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1 부분(162)의 접착면과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2 부분(164)의 접착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천공부(170)에 대해 점진적으로 절첩된다. 절첩 작업 중에, 제1 부분(162)과 제2 부분(164) 사이에 위치된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3 부분(166)은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측방향 에지(196)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절첩 작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1 부분(162)의 접착면(168)이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주표면(192)에 접촉하여 접착식으로 접합될 때까지 그리고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2 부분(164)이 글래스 기판(190)의 제2 주표면(194)에 접촉하여 접착식으로 접합될 때까지 진행된다. 절첩 후에,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3 부분(166)은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측방향 에지(196)를 넘어 연장하는 취급 탭(17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취급 탭(172)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 리본(160)과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측방향 에지(196) 사이의 초기 분리 거리(S)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측방향 에지(196)로부터의 폭(J)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절첩 후에,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3 부분(166)의 접착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측방향 에지(196)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3 부분(166)의 접착면은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측방향 에지(196)와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취급 탭(172)이 글래스 기판(190) 상에 형성된 후에,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1 부분(162)은 글래스 기판의 제1 주표면(192)에 대해 적층되고, 제2 부분(164)은 글래스 기판(190)의 제2 주표면(194)에 대해 적층된다. 적층 프로세스는 접착 테이프 리본(160)과 글래스 기판(190) 사이에 형성된 임의의 주름 또는 기포를 제거하고 글래스 기판(190)의 주표면에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접착제를 단단히 접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롤러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로 글래스 기판(190)의 주표면에 대해 접착 테이프 리본(160)을 가압함으로써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1 부분(162) 및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2 부분(164)은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대향하는 압착 롤러(pinch roller)로 동시에 적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글래스 기판(190)은 취성이고 손상을 받게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접착 테이프 리본(160)을 글래스 기판(190)에 적층하는데 사용된 롤러는 롤러의 접촉면이 유연성이 있고 글래스 기판이 압착 롤러들 사이에 완충되도록 유연성 재료로 코팅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취급 탭(172)이 글래스 기판(190) 상에 형성된 후에, 취급 탭(172)은 취급 탭(172)을 적층하도록 압축된다. 취급 탭(172)은 취급 탭(172) 내에 형성된 임의의 주름 또는 기포를 제거하고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접착면을 함께 가압하는 한 쌍의 대향 압착 롤러 사이에 압축될 수도 있다.
이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술된 방법을 이용하는 글래스 기판(190)의 에지(196) 상에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한 절첩 장치(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절첩 장치(100)는 글래스 반송 경로가 절첩 장치(100)를 통해 상류측 단부(132)로부터 하류측 단부(134)까지 연장하는 상태로, 상류측 단부(132)와 하류측 단부(134) 사이로 연장한다. 글래스 기판(190)은 상류측 단부(132)에서 절첩 장치(100)에 진입하고, 취급 탭(172)이 절첩 장치(100)로 적용됨에 따라 반송 방향(136)에서 글래스 반송 경로 상에 절첩 장치(100)를 통해 드로잉되고, 하류측 단부(134)에서 절첩 장치(100)를 나온다.
절첩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풀림 스핀들(104), 절첩 플로우(116) 및 제1 쌍의 압착 롤러(112)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절첩 장치(100)의 실시예에서, 풀림 스핀들(104), 절첩 플로우(116) 및 제1 쌍의 압착 롤러(112)는 기부 프레임(102) 상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부 프레임(102)은 절첩 장치(100)를 재위치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기부 프레임(102)은 절첩 장치(100)가 상이한 위치 및/또는 배향으로 운송될 수도 있도록 하는 복수의 캐스터(caster)(138)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절첩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풀림 스핀들(104), 절첩 플로우(116) 등)은 상이한 지지 프레임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계속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절첩 장치(100)의 실시예에서, 풀림 스핀들(104)은 글래스 반송 경로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글래스 기판(190)이 절첩 플로우(116)를 통해 통과함에 따라 스핀들 회전축(140)이 글래스 반송 방향(136)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예를 들어, 90도±5도)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주표면(19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예를 들어, 90도±5도) 배향된다. 풀림 스핀들은 풀림 스핀들(104)로부터 풀려져서 글래스 기판(190)에 적용될 수도 있는 권취된 접착 테이프 리본의 스풀(108)을 지지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절첩 장치(100)의 실시예에서, 절첩 장치(100)는 수집 스풀(110)을 지지하는 수집 스핀들(106)을 더 포함한다. 수집 스핀들(106)은 글래스 반송 경로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스핀들 회전축(141)이 풀림 스핀들(104)의 회전축(14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예를 들어, 0도±5도) 배향된다. 수집 스핀들(106)은 접착 테이프 리본이 풀림 스핀들(104)로부터 풀려짐에 따라 접착 테이프 리본(160)으로부터 제거된 백킹 재료가 권취될 수 있어 백킹 재료가 글래스 기판(190)과 뒤얽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집 스풀(110)을 지지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수집 스핀들(106)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절첩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구성 요소는 선택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예를 들어 절첩 장치(100)에 의해 글래스 기판(190)에 적용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이 백킹 재료를 포함하지 않을 때, 절첩 장치(100)는 수집 스핀들(106) 없이 형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6 내지 도 8 및 도 9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절첩 플로우(116)는 기부 프레임(102) 상에 장착된다. 절첩 플로우(116)는 일반적으로 제1 웨지(128) 및 제2 웨지(130)를 포함한다. 제1 웨지(128) 및 제2 웨지(130)는 접착 테이프 리본이 제1 웨지(128) 및/또는 제2 웨지(130)에 대해 속박되지 않도록 절첩 플로우(116)가 글래스 기판(190) 상에 절첩하는 접착 테이프 리본에 대한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제1 및 제2 웨지가 형성될 수도 있는 적합한 재료는 접착 테이프 리본에 대해 높은 강성 및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웨지는 듀퐁(DuPont)에 의해 제조된 델린(Delrin)
Figure pct00004
으로부터 형성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웨지(128)는 제1 접촉면(124)을 갖고 형성되고, 제2 웨지(130)는 제2 접촉면(126)을 갖고 형성된다. 제1 웨지(128) 및 제2 웨지(130)는 제1 접촉면(124)과 제2 접촉면(126) 사이의 간격이 반송 방향(136)에서 테이퍼지도록 배향된다. 제1 웨지(128) 및 제2 웨지(130)는 또한 글래스 반송 경로가 제1 접촉면(124)과 제2 접촉면(126) 사이에서 통과하도록 배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웨지(128) 및 제2 웨지(130)는, 글래스 기판(190)이 반송 방향(136)에서 글래스 반송 경로 상에서 드로잉될 때,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주표면(192)이 제1 접촉면(124)에 대향되고 글래스 기판(190)의 제2 주표면(194)이 제2 접촉면(126)에 대향되도록 배향된다.
일반적으로, 절첩 플로우(116)의 출구 단부에서 제1 접촉면(124)과 제2 접촉면(126) 사이의 간격은 글래스 기판의 두께와 테이프의 두께의 2배의 합보다 약간 커서 테이프가 그 제1 및 제2 주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글래스 기판이 속박 없이 제1 웨지(128)와 제2 웨지(130) 사이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9a를 재차 참조하면, 제1 쌍의 압착 롤러(112)는 절첩 플로우(116)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제1 쌍의 압착 롤러(112)는 압착 롤러들의 회전축이 글래스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예를 들어, 90도±5도)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주표면(192) 및 제2 주표면(194)에 평행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향된 제1 압착 롤러(112a) 및 제2 압착 롤러(112b)를 포함한다. 글래스 반송 경로 및 글래스 기판(190)은 압착 롤러(112a, 112b) 사이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압착 롤러(112a, 112b)는, 글래스 기판(190)이 반송 방향(136)으로 글래스 반송 경로 상에서 드로잉됨에 따라,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착 롤러(112a)는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주표면(192) 상에 절첩된 접착 테이프 리본에 접촉하고 제2 압착 롤러(112b)는 글래스 기판(190)의 제2 주표면(194) 상에 절첩된 접착 테이프 리본에 접촉하도록 배향되고, 이와 같이 글래스 기판(19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압착 롤러(112a)와 제2 압착 롤러(112b) 사이에 배치된다. 공압 실린더(180)가 제1 압착 롤러(112a)에 일정한 편향력을 제공하여, 이에 의해 제1 압착 롤러(112a)와 제2 압착 롤러(112b) 사이에 글래스 기판(190) 및 접착 테이프 리본(160)을 충돌시킨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제1 압착 롤러(112a) 및 제2 압착 롤러(112b)의 접촉면들은 고무 또는 다른 유사한 재료와 같은 유연성 재료(122)의 층으로 코팅되어, 제1 압착 롤러(112a) 및/또는 제2 압착 롤러(112b)가 글래스 기판(190)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유연성 표면(122)은 유연성 재료가 글래스 기판(190)의 표면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적층하기에 충분하게 견고하고 글래스 기판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하기에 충분하게 탄성이도록 쇼어 A 스케일(ASTM 표준 D2240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은)의 25의 듀로미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9a를 재차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몇몇 실시예에서, 절첩 장치는 제1 쌍의 압착 롤러(112)의 하류측에 위치된 제2 쌍의 압착 롤러(114)를 더 포함한다. 제2 쌍의 압착 롤러(114)는 압착 롤러들의 회전축이 글래스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예를 들어, 90도±5도)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주표면(192) 및 제2 주표면(194)에 평행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향된 제3 압착 롤러(114a) 및 제4 압착 롤러(114b)를 포함한다. 글래스 반송 경로 및 글래스 기판(190)은 압착 롤러(114a, 114b)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쌍의 압착 롤러(114)는, 글래스 기판(190)이 반송 방향(136)에서 글래스 반송 경로 상에서 드로잉됨에 따라, 단지 취급 탭(174)만이 제3 압착 롤러(114a)와 제4 압착 롤러(114b)(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 충돌되고 글래스 기판(190)은 제3 압착 롤러(114a)와 제4 압착 롤러(114b) 사이에 충돌되지 않도록 축방향(즉, 도 8의 x-방향)으로 제1 쌍의 압착 롤러(112)로부터 오프셋된다. 글래스 기판(190)은 제3 압착 롤러(114a)와 제4 압착 롤러(114b) 사이에 충돌되지 않기 때문에, 제3 압착 롤러(114a) 및 제4 압착 롤러(114b)는 유연성 코팅을 갖지 않는다. 더욱이, 더 큰 양의 힘이 제3 압착 롤러(114a)와 제4 압착 롤러(114b) 상에 인가되어 절첩 프로세스 중에 취급 탭(176) 내에 도입된 임의의 주름 또는 임의의 공기 포켓을 제거할 수도 있다. 제1 압착 롤러(112a) 및 제2 압착 롤러(112b)에서와 같이, 공압 실린더(181)는 제3 압착 롤러(114a)에 일정한 편향력을 제공하여, 이에 의해 제3 압착 롤러(114a)와 제4 압착 롤러(114b) 사이에 취급 탭(176)을 충돌시킨다.
절첩 장치(100)는 글래스 기판(190)의 일 에지(196)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여 이에 의해 취급 탭(176)을 형성하기 위해, 절첩 플로우(116), 제1 쌍의 압착 롤러(112) 및 선택적으로 제2 쌍의 압착 롤러(114)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지금까지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글래스 기판(190)의 대향 에지(198)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기 위해 부가의 절첩 플로우 및 하나 이상의 부가의 쌍의 압착 롤러가 장치에 합체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절첩 장치(100)가 글래스 기판의 양 에지 상에 취급 탭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재차 참조하면, 절첩 장치(100)는 절첩 장치(100)를 통해 반송됨에 따라 글래스 기판(190)을 지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공기 부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절첩 장치(100)는 글래스 기판(190)이 반송되는 만곡된 표면을 갖는 제1 공기 부유 디바이스(1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기 부유 디바이스(118)는 글래스 기판(190)이 지지되는 공기 쿠션을 생성하여, 글래스 기판(19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접촉에 기인하는 글래스 기판(190)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압축된 공기의 다수의 스트림을 방출한다. 더욱이, 공기 부유 디바이스(118)의 만곡된 표면은 기계적 접촉 없이 글래스 기판이 절첩 장치(100)를 통해 재유도될 수 있게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절첩 장치(100)의 실시예에서, 절첩 장치(100)는 글래스 기판(190)이 제1 공기 부유 디바이스(118)에 의해 재유도된 후에, 글래스 기판(190)을 지지하는 제2 공기 부유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한다.
이제 도 7 및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절첩 장치(100)는 글래스 기판(190)의 에지(196)를 넘어 연장하는 취급 탭(172)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글래스 기판(190)은 절첩 장치(100)의 상류측 단부(132) 내로 반송 방향(136)으로 먼저 반송되고, 절첩 장치(100)를 통해 글래스 반송 경로 상에서 반송된다. 글래스 기판(190)이 절첩 장치(100)를 통해 반송됨에 따라, 접착 테이프 리본(160)은 풀림 스핀들(104)로부터 풀려지고 반송 방향(136)으로 드로잉된다. 접착 테이프 리본(160)이 반송 방향(136)으로 드로잉됨에 따라, 접착 테이프 리본(160)은 글래스 기판(190)의 측방향 에지(196)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접착면(168)이 글래스 기판(190)의 측방향 에지(196)에 대면하여 그로부터 이격되게 되고 접착 테이프 리본(160)이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주표면(19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게 된다.
그 후에, 접착 테이프 리본(160) 및 글래스 기판(190)은 절첩 플로우(116)를 통해 유도된다. 절첩 플로우(116)는 글래스 기판(190)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160)을 절첩하여, 접착 테이프 리본(160)과 글래스 기판(190)이 절첩 플로우(116)를 나온 후에, 전술된 바와 같이 글래스 기판(190)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1 부분의 접착면과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2 부분의 접착면 사이에 위치되게 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3 부분은 글래스 기판(190)의 에지(196)를 넘어 연장하는 취급 탭(172)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 리본(160) 및 글래스 기판(190)이 절첩 플로우(116)를 통해 유도됨에 따라, 제1 웨지(128)의 제1 접촉면(124)이 접착 테이프 리본(160)에 접촉하게 되고 글래스 기판의 제1 주표면(192)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1 부분(162)을 절첩하게 된다. 동시에, 제2 웨지(130)의 제2 접촉면(126)은 접착 테이프 리본(160)에 접촉하고, 글래스 기판(190)의 제2 주표면(194)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2 부분(164)을 절첩한다.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1 부분(162) 및 제2 부분(164)은 글래스 기판(190) 상에 절첩되어, 제1 부분(162)과 제2 부분(164) 사이에 위치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3 부분이 자체로 절첩되게 되고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측방향 에지(196)를 넘어 연장하여, 이에 의해 취급 탭(174)을 형성한다.
제1 부분(162) 및 제2 부분(164)이 글래스 기판(190) 상에 절첩된 후에, 적용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을 갖는 글래스 기판(190)은 제1 쌍의 압착 롤러(112)를 통해 유도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제1 압착 롤러(112a) 및 제2 압착 롤러(112b)는 글래스 기판(190) 및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1 부분(162) 및 제2 부분(164)의 모두가 압착 롤러들의 유연성 표면(122) 사이에 충돌되도록 글래스 기판에 대해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압착 롤러(112a) 및 제2 압착 롤러(112b)는, 취급 탭(174)이 또한 압착 롤러들 사이에 충돌되도록 치수 설정되고 구성될 수도 있다. 글래스 기판(190)이 제1 쌍의 압착 롤러(112)를 통해 통과함에 따라, 접착 테이프 리본 내의 임의의 공기 포켓 및/또는 주름이 압착 롤러들과의 접촉에 의해 가압 제거되면서, 접착 테이프 리본(160)의 제1 부분(162) 및 제2 부분(164)은 글래스 기판(190)의 제1 주표면(192) 및 제2 주표면(194) 상에 각각 적층된다. 더욱이, 압착 롤러(112a, 112b)의 유연성 표면(122)은 글래스 기판(190)이 압착 롤러들을 통해 통과함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첩 작업 중에 형성된 취급 탭(174)은 취급 탭(174)의 접착면들을 서로 적층할 뿐만 아니라 절첩 프로세스 중에 취급 탭(174)에 형성될 수도 있는 임의의 주름 및/또는 임의의 공기 포켓을 제거하기 위해 압착 롤러(114)의 제2 세트 사이로 통과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롤러(114)의 제2 세트는 단지 취급 탭(174)만이 제3 압착 롤러(114a)와 제4 압착 롤러(114b) 사이에 충돌되고 글래스 기판(190)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압착 롤러(114a)와 제4 압착 롤러(114b) 사이에 충돌되지 않도록 글래스 기판(190)에 대해 위치설정된다. 이는 더 큰 양의 힘이 취급 탭 상에 인가되어 글래스 기판을 손상하거나 파쇄하는 위험 없이 주름 및 기포를 제거하게 한다. 그 후에, 이제 취급 탭(174)을 포함하는 글래스 기판(190)은 절첩 장치(100)의 하류측 단부(134)를 나와 여기서 더 처리되고 그리고/또는 저장 스풀 상에 롤링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글래스 기판(190)의 에지(196) 또는 에지들(196, 198)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기 위한 절첩 장치(100)는 글래스 배치 재료로부터 연속적인 글래스 리본과 같은 글래스 기판(190)을 생성하는 글래스 제조 장치(200) 내에 합체될 수도 있다. 글래스 제조 장치(200)는 용융 용기(210), 청징(fining) 용기(215), 혼합 용기(220), 전달 용기(225), 퓨전 드로우 기계(fusion draw machine)(FDM)(241) 및 절첩 장치(1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글래스 배치 재료는 화살표 21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용융 용기(210) 내로 도입된다. 배치 재료는 용융 글래스(226)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다. 청징 용기(215)는 용융 용기(210)로부터 용융 글래스(226)를 수용하고 기포가 용융 글래스(226)로부터 제거되는 고온 처리 영역을 갖는다. 청징 용기(215)는 연결 튜브(222)에 의해 혼합 용기(220)에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혼합 용기(220)는 이어서 연결 튜브(227)에 의해 전달 용기(225)에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전달 용기(225)는 강관(downcomer)(230)을 통해 FDM(241) 내로 용융 글래스(226)를 공급한다. FDM(241)은 입구(232), 성형 용기(235) 및 풀 롤러(pull roller) 조립체(240)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230)으로부터 용융 글래스(226)가 성형 용기(235)로 이어지는 입구(232) 내로 유동한다. 성형 용기(235)는 홈통(237) 내로 유동하고 이어서 범람하여 루트(239)에서 함께 융합되기 전에 2개의 측면(238a, 238b)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용융 글래스(226)를 수용하는 개구(236)를 포함한다. 루트(239)는 2개의 측면(238a, 238b)이 함께 모여지고 용융 글래스(226)의 2개의 범람벽이 연속적인 글래스 기판(190)을 형성하기 위해 풀 롤(pull roll) 조립체(240)에 의해 하향으로 드로잉되기 전에 재결합(예를 들어, 재융합)되는 부위이다.
연속적인 글래스 기판(190)이 풀 롤 조립체(240)를 나옴에 따라, 용융 글래스가 고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용융 글래스가 고화되고 냉각된 후에, 글래스 리본은 레이저 분리에 의해 형성 프로세스 중에 글래스 기판(190) 상에 형성된 에지 비드(252)를 제거하는 레이저 절단 디바이스(250)와 같은 절단 디바이스 내로 유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단계는 선택적이고, 다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에지 비드(252)는 글래스 기판(190) 상에 적소에 잔류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글래스 기판(190)은 이어서 접착 테이프 리본이 전술된 바와 같이 글래스 기판(에지 비드(252)가 없는 본 출원인의)의 에지(196) 또는 에지들(196, 198)에 적용될 수도 있는 절첩 장치 내로 유도된다. 절첩 장치를 나올 때, 취급 탭(174)은 하류측 처리 작업 중에 글래스 기판을 취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글래스 기판의 측방향 에지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제 글래스 기판의 에지 상에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용융 글래스를 형성하기 위해 글래스 전구체 재료의 배치를 가열하고 퓨전 드로우 기계로 용융 글래스를 기판 내로 드로잉함으로써 글래스 기판을 형성하는 초기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 후에, 접착 테이프 리본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해 글래스 기판의 에지 또는 에지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 테이프 리본은 도 6에 도시된 절첩 장치를 이용하여 글래스 기판의 에지 또는 에지들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은 글래스 기판이 글래스 배치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장치에 사용되는 절첩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지만, 절첩 장치는 또한 상이한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에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글래스 기판은 형성 후에 저장 스풀 상에 권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글래스 기판은 예를 들어, 분할, 코팅, 적층 등과 같은 부가의 처리를 경험하기 위해 저장 스풀로부터 이후에 풀려질 수도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절첩 장치는 글래스 기판이 저장 스풀로부터 풀려질 때 글래스 기판 상에 취급 탭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및 장치가 취급 탭을 형성하기 위해 글래스 기판의 에지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취급 탭은 글래스 기판이 폐기되게 하는 흠 또는 다른 결함을 생성할 수 있는 글래스 기판의 상질의 영역(즉, 측방향 에지들 사이의 글래스 기판의 중앙부)에 접촉하지 않고 하류측 처리 작업 중에 글래스 기판을 취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접착 테이프 리본은 글래스 기판이 측방향 에지들 사이에서 완전히 분리될 때에도 글래스 기판을 함께 유지하여, 이에 의해 파괴가 발생한 후에 생산 처리 중에 글래스 기판을 "리스레딩(re-thread)"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이러한 것은 생산 중단을 완화하고, 생산 효율을 최대화한다. 더욱이, 접착 테이프 리본으로부터 취급 탭의 형성은 글래스 기판이 파괴될 때에도 글래스 기판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취급 탭은 또한 인접한 기판의 상질의 표면이 서로 접촉하여 손상을 발생하지 않도록 글래스 기판의 적층 또는 롤링을 용이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글래스 기판이 권취되거나 적층됨에 따라, 표면 상의 접착 테이프 리본의 부분은 롤 또는 스택에서 글래스 기판을 갖는 인접한 표면들 사이에 버퍼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취급 탭은, 접착 테이프 리본의 개별 부분이 글래스 기판의 제1 및 제2 주표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고 결합되어 취급 탭을 형성하는 것에 대조적으로, 접착 테이프 리본의 단일 부분을 글래스 기판 상에 절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지 접착 테이프 리본의 단일 부분이 이용되기 때문에, 접착제의 어떠한 노출된 영역도 취급 탭의 형성 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과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을 정밀하게 정합시키거나 취급 탭을 다듬질할 필요가 없다. 접착제의 노출된 영역은 글래스 기판이 자체로 또는 처리 설비의 부분에 고착하게 하여 글래스 기판이 파괴되게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접착제의 노출된 영역은 글래스 기판을 잠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는 부스러기(debris)를 유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 리본의 단일 부분의 사용은 이러한 위험을 완화한다.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청구된 요지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의 범주 내에 있게 되면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의 수정 및 변경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취급 탭을 갖는 글래스 기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글래스 기판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단계 - 글래스 기판은 제2 주표면에 대향하는 제1 주표면을 포함하고,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은 제1 측방향 에지와 제2 측방향 에지 사이로 연장됨 -;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접착면이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에 인접하여 접착 테이프 리본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및
    글래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의 접착면과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의 접착면 사이에 위치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3 부분의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로부터 이격되도록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는 단계 - 제3 부분은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를 넘어 연장하는 취급 탭을 형성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글래스 기판의 제1 주표면에 대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을 적층하는 단계; 및
    글래스 기판의 제2 주표면에 대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을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 및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은 한 쌍의 대향하는 압착 롤러(pinch roller)로 동시에 적층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하는 압착 롤러는 유연성 접촉면을 갖는 취급 탭을 갖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하는 압착 롤러 사이에 취급 탭을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절첩 후에,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3 부분의 접착면은 글래스 기판의 제1 측방향 에지와 접촉하지 않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 리본은 접착 테이프 리본 및 글래스 기판을 절첩 플로우(folding plow)를 통해 유도함으로써 글래스 기판 상에 절첩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절첩 플로우는 제1 웨지 및 제2 웨지를 포함하고, 제1 웨지의 접촉면 및 제2 웨지의 접촉면은 제1 웨지와 제2 웨지 사이의 간격이 반송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서로에 대해 각형성되는(angled)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 리본이 절첩됨에 따라 공기 쿠션 상에 글래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 리본은 접착 테이프 리본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천공부에 대해 절첩되는 방법.
  11. 글래스 기판에 취급 탭을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글래스 기판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단계;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측방향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접착면이 글래스 기판의 제1 주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글래스 기판의 측방향 에지에 인접하여 접착 테이프 리본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접착 테이프 리본 및 글래스 기판을 절첩 플로우를 통해 유도하여, 절첩 플로우를 나온 후에, 글래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의 접착면과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의 접착면 사이에 위치되게 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3 부분은 취급 탭이 글래스 기판의 측방향 에지를 넘어 연장하도록 취급 탭을 형성하게 하는 단계; 및
    제1 쌍의 압착 롤러 사이에 글래스 기판을 유도하는 단계 - 제1 쌍의 압착 롤러는 글래스 기판의 제1 주표면에 대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을, 그리고 글래스 기판의 제2 주표면에 대해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을 적층함 -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글래스 기판이 반송됨에 따라 공기 쿠션 상에 글래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제2 쌍의 압착 롤러 사이에 취급 탭을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쌍의 압착 롤러는 글래스 기판이 제2 쌍의 압착 롤러를 통해 반송되지 않도록 축방향으로 제1 쌍의 압착 롤러로부터 오프셋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1 부분은 글래스 기판의 제1 주표면에 접합되고, 접착 테이프 리본의 제2 부분은 글래스 기판의 제2 주표면에 접착식으로 접합되고, 제3 부분은 글래스 기판의 제1 주표면 또는 제2 주표면에 접착식으로 접합되지 않는 방법.
  15. 접착 테이프 리본을 글래스 기판의 에지 상의 취급 탭으로 절첩하기 위한 장치로서,
    글래스 반송 경로가 상류측 단부로부터 하류측 단부로 반송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스핀들 회전축을 갖는 풀림 스핀들 - 풀림 스핀들은 권취 접착 테이프 리본을 지지함 -;
    글래스 반송 경로 상에 드로잉된 글래스 기판 상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절첩하는 절첩 플로우 - 절첩 플로우는 글래스 반송 경로가 제1 웨지의 접촉면과 제2 웨지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된 제1 웨지 및 제2 웨지를 포함함 -; 및
    글래스 반송 경로 상에 드로잉된 글래스 기판에 접착 테이프 리본을 적층하기 위한 제1 쌍의 압착 롤러 - 제1 쌍의 압착 롤러는 절첩 플로우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글래스 반송 경로가 제1 압착 롤러와 제2 압착 롤러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된 제1 압착 롤러 및 제2 압착 롤러를 포함하고, 제1 압착 롤러 및 제2 압착 롤러는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축을 가짐 -
    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웨지의 접촉면과 제2 웨지의 접촉면은 제1 웨지의 접촉면과 제2 웨지의 접촉면 사이의 간격이 반송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서로에 대해 각형성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제1 쌍의 압착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된 제2 쌍의 압착 롤러를 더 포함하고, 제2 쌍의 압착 롤러는 글래스 반송 경로가 제3 압착 롤러와 제4 압착 롤러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된 제3 압착 롤러 및 제4 압착 롤러를 포함하고, 제3 압착 롤러 및 제4 압착 롤러는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축을 갖고, 제2 쌍의 압착 롤러는 축방향에서 제1 쌍의 압착 롤러로부터 오프셋되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풀림 스핀들, 절첩 플로우 및 제1 쌍의 압착 롤러는 기부 프레임에 부착되는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부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부유 디바이스는 글래스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 상에 글래스 기판을 지지하는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공기 부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공기 부유 디바이스는 초기 경로로부터 글래스 반송 경로로 글래스 기판을 재유도하는 장치.
KR1020137029390A 2011-04-11 2012-04-05 연속적인 글래스 리본에 취급 탭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42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83,960 US20120255672A1 (en) 2011-04-11 2011-04-11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 handling tab to continuous glass ribbons
US13/083,960 2011-04-11
PCT/US2012/032240 WO2012141962A1 (en) 2011-04-11 2012-04-05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 handling tab to continuous glass ribb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978A true KR20140027978A (ko) 2014-03-07
KR101942601B1 KR101942601B1 (ko) 2019-01-25

Family

ID=4595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390A KR101942601B1 (ko) 2011-04-11 2012-04-05 연속적인 글래스 리본에 취급 탭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255672A1 (ko)
EP (1) EP2697056B1 (ko)
JP (2) JP6080270B2 (ko)
KR (1) KR101942601B1 (ko)
CN (1) CN103596753B (ko)
TW (1) TWI589507B (ko)
WO (1) WO20121419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225A (ko) * 2020-02-27 2021-09-06 유신단열 주식회사 판상 단열재 측면 테이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3548A1 (en) * 2009-07-29 2011-02-03 Garner Sean M Glass substrate comprising an edge web portion
US9199816B2 (en) * 2010-11-04 2015-12-01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guiding flexible glass ribbons
US9428359B2 (en) 2011-11-30 2016-08-3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veying flexible glass substrates
US9038414B2 (en) * 2012-09-26 2015-05-26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teering flexible glass webs
US9216924B2 (en) * 2012-11-09 2015-12-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processing a glass ribbon
TW201420464A (zh) 2012-11-26 2014-06-01 Ind Tech Res Inst 傳送裝置
JP6402445B2 (ja) * 2013-12-09 2018-10-10 ケイディケイ株式会社 連続用紙の態様となった枚葉用紙の折り畳み装置。
US9359161B2 (en) 2013-12-20 2016-06-0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terleaving element for a roll of glass substrate
EP2910477B1 (en) * 2014-02-21 2018-03-28 Celanese Acetate LLC Methods for packaging fibrous materials
EP3180188A4 (en) 2014-08-15 2018-08-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lass and polymer film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JP2018525313A (ja) * 2015-08-21 2018-09-06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基板ウェブをバルク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814226B2 (ja) * 2016-10-26 2021-01-13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NL2018238B1 (en) * 2017-01-26 2018-08-01 Vmi Holland Bv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 gum strip to an edge of a cord reinforced ply
CN108502543B (zh) * 2017-02-28 2020-01-24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传输装置及方法
US20210163334A1 (en) * 2018-08-14 2021-06-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ribbon
US11214078B2 (en) * 2019-07-03 2022-01-04 Primera Technology, Inc. Label printer and cutter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8774A (ja) * 1981-08-17 1983-03-07 チバ・ガイギ−・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接着ウエブの貼付装置
JP2009071323A (ja) * 2002-04-18 2009-04-02 Olympus Corp 基板搬送装置
US20110023548A1 (en) * 2009-07-29 2011-02-03 Garner Sean M Glass substrate comprising an edge web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18565A (en) 1973-08-09 1975-12-24 Saint Gobain Device for handling plates and for executing polygonal paths or tracks
US4211598A (en) * 1979-04-20 1980-07-08 Diegel Herbert F Foil applicator for folding and applying adhesive backed foil to the edge of a work piece
JPS5615390A (en) * 1979-07-18 1981-02-14 Tomoegawa Paper Co Ltd Adhering method for cord-reinforced selvage paper of electric recording stencil
US4486261A (en) * 1983-02-16 1984-12-04 Ciba-Geigy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an adhesive tape about the edge of a shaped part of sheet metal
DE3637561A1 (de) * 1985-11-18 1987-05-21 Lisec Peter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flexiblen abstandhaltern auf glastafeln
JP2725781B2 (ja) * 1988-05-02 1998-03-11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枚葉感熱孔版原紙の製造方法
JPH0253883A (ja) * 1988-08-18 1990-02-22 Nec Corp マスキング装置
US5439549A (en) * 1993-12-28 1995-08-08 The Boeing Company Double edged pressure sensitive folded tape application apparatus
US5678689A (en) * 1995-08-22 1997-10-21 Clark; Mary J. Two side taping apparatus
US6168857B1 (en) * 1996-04-09 2001-01-02 E. Khashoggi Industri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tarch-based compositions
DE19923683C2 (de) * 1999-05-22 2001-10-18 Schott Glas Glastastatur und deren Verwendung
DE20215401U1 (de) * 2002-10-07 2004-02-19 Schott Glas Verbund aus einem Dünnstsubsrat und einem Trägersubstrat mit lösbarem Verbindungsmittel
GB0323520D0 (en) * 2003-10-08 2003-11-12 Fe Ltd System for applying tape media
CN201087172Y (zh) * 2006-12-28 2008-07-16 上海市激光技术研究所 超薄玻璃基板激光切割机
CN201109667Y (zh) * 2007-08-10 2008-09-03 中国洛阳浮法玻璃集团有限责任公司 超薄玻璃在线自动取片的玻璃对中定位装置
JP5294141B2 (ja) * 2008-03-25 2013-09-18 株式会社ニコン 表示素子の製造装置
JP5510880B2 (ja) * 2009-03-26 2014-06-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EP2299473A1 (en) * 2009-09-22 2011-03-23 Applied Materials, Inc. Modular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8774A (ja) * 1981-08-17 1983-03-07 チバ・ガイギ−・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接着ウエブの貼付装置
JP2009071323A (ja) * 2002-04-18 2009-04-02 Olympus Corp 基板搬送装置
US20110023548A1 (en) * 2009-07-29 2011-02-03 Garner Sean M Glass substrate comprising an edge web por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225A (ko) * 2020-02-27 2021-09-06 유신단열 주식회사 판상 단열재 측면 테이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96753B (zh) 2016-01-20
US20120255672A1 (en) 2012-10-11
JP2014527706A (ja) 2014-10-16
JP6338642B2 (ja) 2018-06-06
JP6080270B2 (ja) 2017-02-15
EP2697056A1 (en) 2014-02-19
TWI589507B (zh) 2017-07-01
WO2012141962A1 (en) 2012-10-18
JP2017085117A (ja) 2017-05-18
EP2697056B1 (en) 2015-03-04
TW201245022A (en) 2012-11-16
KR101942601B1 (ko) 2019-01-25
CN103596753A (zh)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601B1 (ko) 연속적인 글래스 리본에 취급 탭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2012074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fabrica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TWI610870B (zh) 用於運輸彈性玻璃基板的方法及設備
TW200846155A (en) Optical film cutting apparatus and optical film producing method
JP2005037416A (ja) 偏光板貼合方法及び装置
JP5202612B2 (ja) 原反スプライス装置
JP4749033B2 (ja) ロール物製造装置
JP5833193B1 (ja) 接続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WO2016166927A1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シート供給方法
CN110785384B (zh) 玻璃膜的制造方法
JP7192753B2 (ja) ガラスロール
JP5647495B2 (ja) 枚葉フィルムの加工装置
KR101885943B1 (ko) 광학 표시 장치의 제조 시스템 및 광학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818256B2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US20150375492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flexible glass laminates using electrostatic pinning
KR101561975B1 (ko) 쉬트 라미네이터
JP5969247B2 (ja)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その連続製造システム、切替方法および繰出装置
WO2022162983A1 (ja) フィルム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6475322B1 (en) Sheet lamination with transverse sheet bias to eliminate trailing edge coating debris
JP2017027036A (ja) 偏光板の製造装置、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