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613A -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613A
KR20140026613A KR1020147001221A KR20147001221A KR20140026613A KR 20140026613 A KR20140026613 A KR 20140026613A KR 1020147001221 A KR1020147001221 A KR 1020147001221A KR 20147001221 A KR20147001221 A KR 20147001221A KR 20140026613 A KR20140026613 A KR 20140026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ale connector
fitting
hoo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1319B1 (ko
Inventor
토모히코 시미즈
아키노리 타시로
아키히로 츠루타
카즈야 테라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수형 커넥터 하우징(31)과 후드(5) 사이에, 레버(7)의 회동 동작에 의해 수형 커넥터(3)에 가해지는 암형 커넥터(2)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의 하중을 받아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2)에 대하여 정규 끼워맞춤 방향으로 인도하는 끼워맞춤 안내부 (9)를 설치했다. 끼워맞춤 안내부(9)는 수형 커넥터(3) 및 후드(5)의 내벽의 일방에 설치한 안내 리브(58)와, 타방에 설치되어 안내 리브(58)가 삽입되는 리브 안내홈(37)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LEVER-FITTING-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의 회동 조작에 의해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끼워맞추어지게 할 수 있는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관련되는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100)를 도시한다.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100)는 암형 커넥터(110)를 갖는 커넥터 본체(120)와, 암형 커넥터(110)에 끼워맞추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수형 커넥터(130)와, 회동 조작에 의해 수형 커넥터(130)를 암형 커넥터(110)에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레버(140)를 구비하고 있다.
암형 커넥터(110)는 단자(111)를 수용한 암형 커넥터 하우징(112)을 갖고, 이 암형 커넥터 하우징(112)의 좌우의 외벽에 회전지지축(11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회전지지축(113)은 레버(140)의 회동 중심이 되는 것이다.
상대 커넥터로서의 수형 커넥터(130)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112)에 끼워맞추어지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131)을 가지고 있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131)에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112)의 단자(111)에 접속되는 상대 단자(132)가 수용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131)의 좌우의 외벽에는 보스(133)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보스(133)가 레버(140)에 걸어맞추어지도록 되고 있다.
레버(140)는 좌우 한 쌍의 암 플레이트(141)와, 좌우 한 쌍의 암 플레이트(141)를 일측에서 연결하는 조작부(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암 플레이트(141)에는 수형 커넥터(130)의 보스(133)가 삽입되는 캠 홈(1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암 플레이트(141)에는 암형 커넥터(110)의 회전지지축(113)이 삽입되는 지지구멍(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100)는 암형 커넥터(110)의 회전지지축(113)을 레버(140)의 지지구멍(144)에 삽입함으로써 레버(140)를 암형 커넥터(110)에 부착한다. 이 부착 상태에서 레버(140)의 캠 홈(143)에 보스(133)를 삽입함으로써 수형 커넥터(130)를 레버(140)에 연결하고, 조작부(142)를 조작하여 레버(140)를 회동한다. 레버(140)의 회동에 의해 보스(133)가 캠 홈(143)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 하우징(131)을 암형 커넥터 하우징(112)에 끼워맞추어지게 할 수 있다.
일본 특개 2009-99469호 공보
(발명의 개요)
그렇지만, 관련되는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100)에서는, 수형 커넥터(130)를 암형 커넥터(110)에 끼워맞추어지게 하기 위하여, 레버(140)를 회동 조작할 때에 수형 커넥터(130)가 암형 커넥터(110)에 대하여 기우는 경우가 있다. 이 경사가 있으면, 수형 커넥터(130)를 암형 커넥터(110)에 삽입하기 위하여 큰 삽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수형 커넥터(130)를 암형 커넥터(110)에 끼워맞추어지게 할 때에, 수형 커넥터(130)가 부딪침을 일으켜 끼워맞춤의 지장이 된다.
본 발명은 수형 커넥터의 경사를 방지하여 암형 커넥터로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부딪침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은 전선 단말의 단자가 수용된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암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단자와 접속되는 전선 단말의 상대 단자가 수용되고 상기 암형 커넥터와 끼워맞추어져 상기 전선 단말의 단자와 상기 전선 단말의 상대 단자를 접속하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수형 커넥터가 삽입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되고,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암형 커넥터와 상기 수형 커넥터 사이에 끼워맞춤력 및 이탈력을 작용시키는 레버와, 상기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후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수형 커넥터에 가해지는 상기 암형 커넥터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의 하중을 받아 상기 수형 커넥터를 상기 암형 커넥터에 대하여 정규 끼워맞춤 방향으로 인도하는 끼워맞춤 안내부로서, 상기 수형 커넥터 및 상기 후드의 내벽의 일방에 설치한 안내 리브와, 타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안내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 안내홈을 구비한 끼워맞춤 안내부를 구비한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인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수형 커넥터를 암형 커넥터에 대하여 정규 끼워맞춤 방향으로 인도하는 끼워맞춤 안내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의 회동 동작 시에 수형 커넥터에 기울어 하중이 작용해도 수형 커넥터가 기울지 않아, 암형 커넥터에 대한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 안내부가 수형 커넥터 및 후드에 설치한 안내 리브와 안내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 안내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안내 리브 및 리브 안내홈에 의해 수형 커넥터가 안내되어 이동하고, 암형 커넥터에 끼워맞추어지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 부딪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안내부는 상기 레버의 회동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레버의 조작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끼워맞춤 안내부가 레버의 회동 중심을 사이에 두고 레버의 조작부의 반대측에 설치됨으로써, 레버에 대한 조작 시의 수형 커넥터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어, 수형 커넥터의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 안내홈은 도브테일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 리브는 상기 리브 안내홈의 단면 형상을 따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리브 안내홈이 도브테일 홈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 리브가 리브 안내홈을 따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리브가 리브 안내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아, 수형 커넥터를 안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관련되는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형 커넥터의 후드에 대한 삽입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보스 인입 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서의 끼워맞춤 안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끼워맞춤 안내부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
도 10은 안내 리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안내 리브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리브 안내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리브 안내홈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레버 쓰러짐 방지벽의 형성 개소를 도시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서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의 J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서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역회전 방지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별도의 역회전 방지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a), (b)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 당초(동작 1)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2(a), (b)는 도 21에 계속되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동작 2)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3(a), (b)는 도 22에 계속되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동작 3)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4(a), (b), (c)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에 의해 임시 걸음이 해제된(동작 4)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5(a), (b)는 관성력에 의해 레버가 회전하는(동작 5)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6(a), (b)는 레버에 대한 회동 조작(동작 6)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7(a), (b)는 도 26에 계속되는(동작 7)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8(a), (b)는 수형 커넥터의 끼워맞춤(동작 8)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 2∼도 2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1)의 사시도, 도 3은 분해 사시도, 도 4는 후드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끼워맞춤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보스 인입 홈의 단면도이다.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1)는 암형 커넥터(2)와, 수형 커넥터(3)와, 후드(5)와, 레버(7)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2)는 복수(2개)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21)과, 각각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21)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스페이서(22)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21)은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23)이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 수용실(23)에는 전선 단말에 접속된 단자(24)가 수용된다. 복수의 커넥터 하우징(21)은 조립된 상태에서 후드(5)에 장착된다.
수형 커넥터(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2개)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 31a)과, 각각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 31a)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스페이서(32)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 31a)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21)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 31a)에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21)의 단자 수용실(23)에 대응한 복수의 단자 수용실(33)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단자 수용실(33)에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21)의 단자(24)와 접속되는 상대 단자(34)가 수용되어 있다(도 5 참조).
복수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 31a)은 높이 방향을 따라 조립되어 사용된다. 복수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 31a)이 조립된 수형 커넥터(3)에는, 레버 인입 보스(35)와, 레버 임시 걸음 해제 돌기(36)와, 리브 안내홈(37)(도 1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 인입 보스(35)는 레버(7)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레버(7)에 대한 회동 조작에 의해 수형 커넥터(3)를 후드(5) 내로 끌어들여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2)에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것이다. 레버 인입 보스(35)는 타방(도 2에서의 하방, 도 3에서의 우측 방향)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 31a)을 높이 방향에 조립했을 때, 복수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 31a)의 경계 부분에 위치한다. 레버 인입 보스(35)는 원형 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 임시 걸음 해제 돌기(36)는, 일방(도 2에서의 상방, 도 3의 좌측 방향)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a)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 임시 걸음 해제 돌기(36)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31a)의 외면에서의 후드(5)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레버 임시 걸음 해제 돌기(36)는 수형 커넥터(3)를 후드(5)에 삽입했을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드(5)의 레버 임시 걸음암(55)을 휘게 함으로써 후드(5)와 레버(7)의 임시 걸음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이들 레버 임시 걸음 해제 돌기(36) 및 레버 인입 보스(35)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1∼도 28에 의해 후술한다.
리브 안내홈(37)은 일방(도 2에서의 상방, 도 3에서의 좌측 방향)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a)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 안내홈(37)은 수형 커넥터(3)의 끼워맞춤 방향인 수형 커넥터 하우징(3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도 12 참조)에서 동 하우징(31a)의 단부(도 2에서의 상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리브 안내홈(37)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2에 의해 후술한다.
또한, 일방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a)에서의 정상 벽부에는 가이드 볼록부(38)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가이드 볼록부(38)은 수형 커넥터(3)를 후드(5)에 끼워맞추어지게 할 때에 후드(5)의 내면을 슬라이딩하여 수형 커넥터(3)의 끼워맞춤을 안내하는 것이다.
후드(5)는 암형 커넥터(2)가 장착됨과 아울러 수형 커넥터(3)가 삽입되는 것이며, 칼라 형상 판부(51)와, 한 쌍의 지지벽부(52)와, 연결덮개부(53)를 가지고 있다.
칼라 형상 판부(51)는 타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형 커넥터(3)가 끼워맞추어지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해 있다. 칼라 형상 판부(51)에는 암형 커넥터(2)가 장착된다. 이 때문에 칼라 형상 판부(51)에는 암형 커넥터(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개구부(51a)(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벽부(52)는 칼라 형상 판부(51)의 일면측(수형 커넥터(3)측의 면)으로부터 수형 커넥터(3)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벽부(52)는 레버(7)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레버(7)의 회동을 지지한다.
연결덮개부(53)는 한 쌍의 지지벽부(52)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연결덮개부(53)는 한 쌍의 지지벽부(52)의 일측의 단부(도 2에서의 상측의 단부, 도 3에서의 좌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연결덮개부(53)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칼라 형상 판부(51)의 일면측(수형 커넥터(3)측의 면)으로부터 수형 커넥터(3)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드(5)에 끼워맞추어지는 수형 커넥터(3)를 덮도록 되어 있다.
칼라 형상 판부(51)에는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은, 도 15∼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벽부(52)의 각각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설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은 레버(7)의 내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4∼도 18에 의해 후술한다.
한 쌍의 지지벽부(52)에는 레버 임시 걸음암(55)과, 레버 록 걸음부(56)와, 회전지지축 지지구멍(57)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 임시 걸음암(55)은 레버(7)의 레버 임시 걸음 유지부(74)(도 5 참조)에 임시 걸음하는 것으로, 각각의 지지벽부(52)의 내벽으로부터 캔틸레버 형상으로 되어 레버(7)의 방향으로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고(도 5 참조), 휨 가능한 탄성을 가지고 있다. 레버 임시 걸음암(55)은 수형 커넥터(3)를 후드(5)에 삽입한 당초에 레버(7)를 회동 초기 위치에 거는 것이다. 레버 임시 걸음암(55)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1∼도 28에 의해 후술한다.
레버 록 걸음부(56)는 각각의 지지벽부(5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도 6 참조), 레버(7)를 회동 조작했을 때에 레버(7)가 걸어진다. 이 걸음에 의해 레버(7)의 회동이 로팅된다.
회전지지축 지지구멍(57)은 레버(7)의 회동 지지축(73)(도 3 참조)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레버(7)의 회동을 지지하는 것이며, 한 쌍의 지지벽부(5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드(5)의 연결덮개부(53)에는 수형 커넥터(3)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 안내홈(37)에 대응한 안내 리브(5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리브(58)는 연결덮개부(53)에서의 수형 커넥터(3)의 끼워맞춤측(연결덮개부(53)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리브(58)는 수형 커넥터(3)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덮개부(53)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리브(58) 및 상기한 수형 커넥터(3)의 리브 안내홈(37)은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2)에 대하여 정규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인도하는 끼워맞춤 안내부(9)를 구성한다(도 8 참조).
레버(7)는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2)에 끼워맞추어지게 하기 위하여 회동 조작되는 것이다. 이 레버(7)는 후드(5)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되고, 회동 동작에 의해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2) 사이에 끼워맞춤력 및 이탈력을 (선택적으로) 작용시킨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7)는 좌우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와, 암 플레이트(71)를 연결하는 조작부(7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는 후드(5)의 한 쌍의 지지벽부(5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각각의 암 플레이트(71)의 외면에는 회동 지지축(7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 지지축(73)을 한 쌍의 지지벽부(52)의 회동 지지축 지지구멍(57)에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즉 레버(7))가 한 쌍의 지지벽부(5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에는 또한 레버 임시 걸음 유지부(74) 및 보스 인입 홈(80)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 임시 걸음 유지부(74)는 후드(5)의 지지벽부(52)에 형성된 레버 임시 걸음암(55)이 걸어지는 것으로, 레버 임시 걸음암(55)이 임시 걸음함으로써 레버(7)가 회동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에 대해서는, 도 21∼도 28에 의해 후술한다.
보스 인입 홈(80)은 수형 커넥터(3)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레버 인입 보스(35)(도 2, 도 3 참조)가 끌려 들어가는 캠 형상의 홈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 인입 홈(80)은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의 내벽측에서의 수형 커넥터(3)의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보스 인입 홈(80)을 나타내고, 레버 역전 홈부(82)와, 레버 역전 홈부(82)에 연속한 인입 홈부(83)를 구비하고, 상방을 향하여 굴곡하는 대략 「〈」형(대략 L자형; 본 실시형태에서는 L자 보다 조금 벌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 역전 홈부(82)는 레버 인입 보스(35)가 끌려들어가도록 개구된 인입구(81)와, 인입구(81)에 연속된 경사벽(85)을 가지고 있다. 레버 역전 홈부(82)는 수형 커넥터(3)가 후드(5)에 삽입된 레버(7)의 회동 초기 위치 상태일 때, 수형 커넥터(3)의 레버 인입 보스(35)가 끌려 들어간다. 이 인입에 의해 레버 역전 홈부(82)는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2)에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끼워맞춤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7)를 회동시킨다. 경사벽(85)은 수형 커넥터(3)의 암형 커넥터(2)로의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내리막 경사로 되어 있고, 인입구(81)로부터 레버 인입 보스(35)가 끌려 들어가면 레버 인입 보스(35)가 맞닿는다. 이 맞닿음에 의해 상기한 끼워맞춤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레버(7)의 회동이 행해진다.
인입 홈부(83)는 레버 역전 홈부(82)에 대하여, 상방으로 굴곡된 상태로 되어서 연속해 있다. 인입 홈부(83)는 레버(7)를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레버 인입 보스(35)가 끌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인입 홈부(83는 레버 인입 보스(35)를 안내하여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2)에 끼워맞추어지게 한다. 레버(7)의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의 회동 조작은 레버 역전 홈부(82)에 의해 끼워맞춤 회동 방향과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 후에 행해진다.
레버 역전 홈부(82)와 인입 홈부(83) 사이에는, 레버 관성 회동부(84)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 관성 회동부(84)는 레버(7)가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 역방향으로 회동한 후에 행해지는 레버 자신의 관성력으로 레버(7)가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 회동하는 부분이며, 이것에 의해 레버 인입 보스(35)를 인입 홈부(83)로 안내한다. 이러한 레버 관성 회동부(84)에 레버 인입 보스(35)가 위치하는 경우에서는, 후드(5)의 임시 걸음암(55)과 레버(7)의 레버 임시 걸음 유지부(74)와의 임시 걸음이 해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임시 걸음의 해제는 수형 커넥터(3)를 후드(5)에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레버(7)의 조작부(72)에는 레버 록(75)이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레버 록(75)은 조작부(72)에 설치됨으로써 후드(5)의 레버 록 걸음부(56)와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레버 록(75)이 레버 록 걸음부(56)에 걸어짐으로써 레버(7)의 회동이 로킹되어, 암형 커넥터(2)로의 수형 커넥터(3)의 끼워맞춤 상태가 로킹된다.
다음에 수형 커넥터(3)의 암형 커넥터(2)로의 끼워맞춤 동작을 도 7, 도 21∼도 28에 의해 설명한다. 도 21∼도 28에서의 (a)는 도 6에 대응한 도면, (b)는 도 4의 A-A선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21은 수형 커넥터(3)의 후드(5)로의 삽입 당초를 나타내고, 레버(7)의 레버 임시 걸음 유지부(74)가 후드(5)의 레버 임시 걸음암(55)에 유지된 임시 걸음 상태로 되어 있다. 레버(7)가 수형 커넥터(3)의 레버 인입 보스(35)를 끌어들이는 위치에 없는 경우, 대략 「〈」형으로 형성된 보스 인입 홈(80)에서 수형 커넥터(3)를 삽입방향과 반대로 밀어낼 수 있다.
수형 커넥터(3)를 후드(5)에 삽입시키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3)의 레버 인입 보스(35)가 레버(7)의 보스 인입 홈(80)에 끌려 들어간다. 끌려 들어간 레버 인입 보스(35)는 레버 역전 홈부(82)의 경사벽(85)에 맞닿는다(도 7에서의 부호 35A의 위치). 이 맞닿음에서는, 레버 인입 보스(35)는 레버 역전 홈부(82)에 위치해 있고, 레버(7)는 회동 지지축(73)을 중심으로,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2)에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끼워맞춤 회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22에서의 화살표(L)는 이 끼워맞춤 회동 방향의 역방향을 나타낸다.
수형 커넥터(3)의 삽입을 더욱 계속함으로써, 레버 인입 보스(35)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역전 홈부(82)의 종단까지 이동하고, 이 이동 동안, 레버(7)는 끼워맞춤 회동 방향의 역방향(L 방향)으로 회동한다. 레버 인입 보스(35)가 보스 인입 홈(80)의 대략 「〈」형의 정점을 초과해도, 레버(7)는 끼워맞춤 회동 방향의 역방향(L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 대로이다. 이 동안, 레버(7)의 레버 임시 걸음 유지부(74)가 후드(5)의 레버 임시 걸음암(55)으로부터 서서히 떨어진 임시 걸음 해제 대기 상태가 된다.
도 24는 이것에 계속하여 수형 커넥터(3)를 후드(5)에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낸다. 수형 커넥터(3)의 밀어넣기에 의해, 수형 커넥터(3)의 레버 임시 걸음 해제 돌기(36)가 후드(5)의 레버 임시 걸음암(55)에 맞닿고, 레버 임시 걸음암(55)을 레버(7)의 레버 임시 걸음 유지부(74)로부터 떨어지도록 휘게 한다. 이것에 의해 레버(7)의 임시 걸음이 해제된다. 이 임시 걸음의 해제에 의해, 레버(7)에 대한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레버(7)에 대한 조작 영역은, 도 24(a)에 도시하는 조작 영역(76a)으로 되어 있다. 도 24(c)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 인입 홈(80)이 레버(7)가 끼워맞춤 회동 방향의 역방향(L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대략 「〈」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공전이 적어져, 관련 기술과 비교하여 일찍부터 레버(7)의 밀어넣기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수형 커넥터(3)의 레버 인입 보스(35)는 보스 인입 홈(80)에서의 레버 관성 회동부(84)에 도달해 있다(도 7에서의 부호 35B의 위치). 그리고, 레버(7)의 임시 걸음 해제시의 레버 자신의 관성력에 의해, 레버(7)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L)와의 반대 방향인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레버 인입 보스(35)는 레버(7)의 임시 걸음 해제시의 레버 자신의 관성력에 의해 보스 인입 홈(80)에 접촉하고 있다.
도 26은 도 25의 상태로부터 레버(7)를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레버 인입 보스(35)가 레버 관성 회동부(84)에 도달함으로써, 레버(7)가 관성력에 의해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7)에 대한 조작 영역(76)이 도 24에서의 조작 영역(관성에 의한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의 회동 이전의 영역)(76a)보다도 증가해 있다. 이와 같이, 레버(7)의 조작 전에 레버(7)가 회동하여 레버(7)에 대한 조작 영역이 증가하므로, 레버(7)에 대한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26에서는, 레버(7)의 조작부(72)를 손가락(8)으로 화살표(M) 방향으로 누름 조작한다. 이 방향(M)으로의 누름 조작에 의해 레버(7)는 회동 지지축(73)을 중심으로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레버(7)에 대한 조작에 의해, 수형 커넥터(3)의 레버 인입 보스(35)는 보스 인입 홈(80)에서의 인입 홈부(83)에 끌려들어간다(도 7에서의 부호 35C의 위치). 그리고, 레버(7)를 눌러 끼워맞춤 회동 방향의 종단부로까지 더욱 회동시킴으로써 레버 록(75)이 후드(5)의 레버 록 걸음부(56)에 걸어져서 회동이 정지됨과 아울러, 수형 커넥터(3)가 암형 커넥터(2)에 끼워맞추어져, 이 끼워맞춤 상태가 로킹된다. 이때, 레버 인입 보스(35)는 인입 홈부(83)의 종단부에 도달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수형 커넥터(3)를 후드(5)에 삽입함으로써 레버(7)가 끼워맞춤 회동 방향과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레버(7)를 조작할 때의 레버(7)의 공전(로스 회전)이 줄어, 레버 인입 보스(35)를 보스 인입 홈(80)에 조기에 끌어들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암형 커넥터(2)와의 끼워맞춤을 행하기 위한 수형 커넥터(3)의 후드(5)에 대한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어, 레버(7)에 대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형 커넥터(3)의 밀어넣기에 의해 레버 인입 보스(35)와 보스 인입 홈(80)의 레버 관성 회동부(84)가 접촉하고, 관성력에 의해 레버(7)가 끼워맞춤 회동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레버(7)에 대한 조작 영역이 증가하여, 레버(7)에 대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형 커넥터(3)의 삽입 당초에서는, 레버(7)를 회동 조작해도 레버 인입 보스(35)가 보스 인입 홈(80)에 끌려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3)를 밀어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수형 커넥터(3)의 암형 커넥터(2)로의 끼워맞춤에 대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 안내부(9)가 설치되어 있다(도 8 참조). 끼워맞춤 안내부(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 리브(58) 및 리브 안내홈(3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리브(58)는 후드(5)의 연결덮개부(53)의 내벽에 한 쌍이 형성되고, 리브 안내홈(37)은, 도 2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31a)의 좌우의 양쪽 측벽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안내 리브(58) 및 리브 안내홈(37)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지지축(73)(회동 지지축 지지구멍(57))을 사이에 두고 조작부(72)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안내 리브(58) 및 리브 안내홈(37)은 수형 커넥터(3)의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수형 커넥터(3)의 암형 커넥터(2)로의 끼워맞춤 시에, 후드 안내 리브(58)가 리브 안내홈(37)에 삽입된다. 그리고, 안내 리브(58)가 리브 안내홈(3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3)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 이동 시에는, 안내 리브(58)가 리브 안내홈(3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한다. 이것에 의해 안내 리브(58) 및 리브 안내홈(37)은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2)에 대하여 정규 끼워맞춤 방향으로 인도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 안내홈(37)은 단면이 도브테일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리브 안내홈(37)은 선단 부분(37a)이 넓고, 근원 부분(37b)이 좁게 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안내 리브(58)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 안내홈(37)의 단면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안내 리브(58)는 리브 안내홈(37)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리브 안내홈(37)에 삽입된다. 따라서, 안내 리브(58)와 리브 안내홈(37)을 물려 들어가게 하고 있기 때문에 리브 안내홈(37)의 벌어짐이 방지되어, 레버(7)의 조작시에 뽑기 방향으로의 힘(도 9의 화살표(D)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해도 안내 리브(58)가 리브 안내홈(37)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아, 수형 커넥터(3)를 후드(5)에 안정한 부착 상태로 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2)에 끼워맞추어지게 하기 위하여, 후드(5)를 도 8에 도시하는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수형 커넥터(3)의 레버 인입 보스(35)가 레버(7)의 보스 인입 홈(80)에 끌려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3)(커넥터 하우징(31a))에 대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기우는 힘이 작용한다. 그렇지만, 후드(5)의 안내 리브(58)가 수형 커넥터(3)의 리브 안내홈(37)에 삽입되고, 이 삽입 상태에서 이것들이 서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레버(7)의 조작시에 수형 커넥터(3)(커넥터 하우징(31a))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형 커넥터(3)를 작은 삽입력으로 후드(5)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후드(5)의 안내 리브(58)가 수형 커넥터(3)의 리브 안내홈(37)에 삽입되어 서로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후드(5)가 수형 커넥터(3)에 지지된 상태로 되어, 레버(7)를 조작할 때에 후드(5)가 벌어지지 않아, 수형 커넥터(3)를 원활하게 후드(5)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리브(58)가 리브 안내홈(3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3)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끼워맞춤시 부딪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리브 안내홈(37)을 수형 커넥터(3)에 형성하고, 안내 리브(58)를 후드(5)에 형성하고 있지만, 리브 안내홈(37)을 후드(5)에 형성하고, 안내 리브(58)를 수형 커넥터(3)에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은 후드(5)의 한 쌍의 지지벽부(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후드(5)의 칼라 형상 판부(51)에 형성된다.
도 15는 도 14에서의 E-E선 단면도, 도 16은 F-F선 단면도, 도 18은 G-G선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J부 확대 단면도이다. 레버(7)의 조작부(72)측 및 레버 인입 보스(35)측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은 후드(5)의 지지벽부(52)와 대략 평행하게 되어 후드(5)의 칼라 형상 판부(51)로부터 직접 기립해 있다. 이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은 레버(7)의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에 대하여, 그 내측에 위치해 있어, 암 플레이트(71)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한편, 후드(5)의 연결덮개부(53)측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은 칼라 형상 판부(5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지지벽부(52)의 선단부에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벽부(52)의 선단부로부터 동 벽부(52)의 방향으로 더욱 연장되어 있다. 도 18에서도,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은 레버(7)에서의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의 내측에 위치해 있고, 암 플레이트(71)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은 레버(7)의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에 대하여 복수 개소에서 동 플레이트(71)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이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의 내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7)를 회동 조작할 때에 암 플레이트(71)가 내측으로 쓰러지지 않아, 작은 힘으로 수형 커넥터(3)를 후드(5)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가 레버 쓰러짐 방지벽(5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레버(7)의 회동에 의해 수형 커넥터(3)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끼워맞춤시 부딪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이상의 레버 쓰러짐 방지벽(54)과 더불어, 레버 쓰러짐 방지 서브 벽(54a)을 더 설치하는 것이다. 레버 쓰러짐 방지 서브 벽(54a)은 후드(5)의 한 쌍의 지지벽부(5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레버(7)의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와 수형 커넥터(3)의 레버 인입 보스(35)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레버 쓰러짐 방지 서브 벽(54a)은 레버(7)의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를 외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고, 암 플레이트(71)의 외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레버 인입 보스(35) 부분에서는, 레버 쓰러짐 방지벽(54)과 더불어 레버 쓰러짐 방지 서브 벽(54a)에 의해 암 플레이트(71)의 내외 방향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레버(7)의 역회전 방지부(11)를 설치한 구조를 나타낸다. 역회전 방지부(11)는 레버(7)가 회동 동작 범위를 초과하여 끼워맞춤 회동 방향과 역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도 19에서 역회전 방지부(11)는 후드(5)에서의 레버(7)의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와의 대향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버(7)의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에 돌출 형상으로 형성된 볼록부(77)에 대하여, 이 볼록부(77)와 대응한 후드(5)의 칼라 형상 판부(51)에 레버(7)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여 역회전 방지부(11)로 하는 것이다. 레버(7)가 끼워맞춤 회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레버(7)의 볼록부(77)가 후드(5)의 역회전 방지부(11)에 맞닿고, 이 맞닿음에 의해 회동 동작 범위를 초과한 레버(7)의 역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에서 역회전 방지부(11)는 후드(5)의 연결덮개부(53)에 설치되어 있다. 후드(5)의 연결덮개부(53)의 끝면(59)은 레버(7)의 한 쌍의 암 플레이트(71)의 끝면(78)과 대향하고 있고, 이 끝면(59)을 암 플레이트(71)의 끝면(78)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서 역회전 방지부(11)로 하는 것이다. 레버(7)가 끼워맞춤 회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레버(7)의 끝면(78)이 후드(5)의 역회전 방지부(11)(끝면(59))에 맞닿고, 이 맞닿음에 의해 회동 동작 범위를 초과한 레버(7)의 역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역회전 방지부(11)를 설치함으로써, 레버(7)의 역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버(7)의 회동 조작에 의한 수형 커넥터(3)의 끼워맞춤시에 레버(7)가 수형 커넥터(3)와 부딪치거나,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3)의 끼워맞춤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부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일본 특원 2011-147435호(출원일: 2011년 7월 1일)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 원용된다.

Claims (3)

  1. 전선 단말의 단자가 수용된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암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단자와 접속되는 전선 단말의 상대 단자가 수용되고 상기 암형 커넥터와 끼워맞추어져 상기 전선 단말의 단자와 상기 전선 단말의 상대 단자를 접속하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수형 커넥터가 삽입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되고,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암형 커넥터와 상기 수형 커넥터 사이에 끼워맞춤력 및 이탈력을 작용시키는 레버와,
    상기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후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수형 커넥터에 가해지는, 상기 암형 커넥터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의 하중을 받아 상기 수형 커넥터를 상기 암형 커넥터에 대하여 정규 끼워맞춤 방향으로 인도하는 끼워맞춤 안내부이며, 상기 수형 커넥터 및 상기 후드의 내벽의 일방에 설치한 안내 리브와,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 안내홈을 구비한 끼워맞춤 안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안내부는 상기 레버의 회동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레버의 조작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안내홈은 도브테일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 리브는 상기 리브 안내홈의 단면 형상을 따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KR1020147001221A 2011-07-01 2012-06-28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KR101531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7435 2011-07-01
JP2011147435A JP5728310B2 (ja) 2011-07-01 2011-07-01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PCT/JP2012/066519 WO2013005629A1 (ja) 2011-07-01 2012-06-28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613A true KR20140026613A (ko) 2014-03-05
KR101531319B1 KR101531319B1 (ko) 2015-06-24

Family

ID=4743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221A KR101531319B1 (ko) 2011-07-01 2012-06-28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3719B2 (ko)
JP (1) JP5728310B2 (ko)
KR (1) KR101531319B1 (ko)
CN (1) CN103636077B (ko)
DE (1) DE112012002781T5 (ko)
WO (1) WO2013005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9829B2 (ja) * 2013-05-21 2016-06-0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14003477A1 (de) * 2014-03-14 2015-09-17 Erni Production Gmbh & Co. Kg Verpolungsschutz
JP6309804B2 (ja) * 2014-03-28 2018-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6042856B2 (ja) * 2014-09-29 2016-12-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6053743B2 (ja) * 2014-11-04 2016-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付きコネクタ
JP2016096095A (ja) * 2014-11-17 2016-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9520675B2 (en) 2014-12-04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Lever type connector
JP6296357B2 (ja) * 2015-01-14 2018-03-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付きコネクタ
JP6621378B2 (ja) * 2016-06-07 2019-12-1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6441866B2 (ja) * 2016-09-21 2018-1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924386B2 (ja) * 2018-01-25 2021-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24060815A (ja) * 2022-10-20 2024-05-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541Y2 (ja) * 1993-01-13 1999-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0214653A (ja) * 1997-01-30 1998-08-11 Yazaki Corp コネクタ
JP3730416B2 (ja) * 1998-09-10 2006-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726641B2 (ja) * 2000-05-23 2005-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2359037A (ja) * 2001-05-30 2002-12-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249303A (ja) * 2002-02-26 2003-09-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324824A (ja) * 2002-04-26 2003-11-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Ecu集中収容箱とワイヤハーネス側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4492449B2 (ja) * 2005-06-15 2010-06-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099469A (ja) 2007-10-18 2009-05-07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89502B2 (ja) * 2008-02-08 2012-08-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5035359B2 (ja) * 2010-02-01 2012-09-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33719B2 (en) 2015-05-19
CN103636077B (zh) 2015-12-23
CN103636077A (zh) 2014-03-12
WO2013005629A1 (ja) 2013-01-10
KR101531319B1 (ko) 2015-06-24
JP2013016315A (ja) 2013-01-24
DE112012002781T5 (de) 2014-03-20
JP5728310B2 (ja) 2015-06-03
US20140127921A1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6613A (ko)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39578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7275943B2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KR20140026618A (ko)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JP534793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8773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247920B2 (ja) レバーコネクタ
JP200235290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182118B2 (ja) コネクタ
JP5798897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945306B2 (ja) 電気接続箱
KR20140031989A (ko) 레버 끼워맞춤식 커넥터
JP447517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2020205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7275275B2 (ja) コネクタ
JP5872835B2 (ja) 二重係止コネクタ
JP7275274B2 (ja) コネクタ
JP2008130511A (ja) コネクタ
JP4577201B2 (ja) コネクタ
WO2002073749A9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JP2003132996A (ja) コネクタ
JP2006120417A (ja) コネクタ
JP200433532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