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795A - 주행 기어 캐리어 및 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런닝 휠 블록으로 구성된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 기어 캐리어 및 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런닝 휠 블록으로 구성된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795A
KR20140022795A KR1020137020166A KR20137020166A KR20140022795A KR 20140022795 A KR20140022795 A KR 20140022795A KR 1020137020166 A KR1020137020166 A KR 1020137020166A KR 20137020166 A KR20137020166 A KR 20137020166A KR 20140022795 A KR20140022795 A KR 2014002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ing wheel
wheel block
plate
mechanism gird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171B1 (ko
Inventor
토마스 슈리어바흐-크노브로흐
리하트 크레이스너
그레고 잔센
Original Assignee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2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기어 캐리어(5)와 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런닝 휠 블록(6)으로 구성된 장치로서, 상기 런닝 휠 블록(6)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8)을 구비하는 하우징(7)과, 상기 하우징(7)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7)에서 돌출하는 런닝 휠(11)로 구성되고, 상기 런닝 휠 블록(6)은 상기 주행 기어 캐리어(5)에 대하여 정렬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런닝 휠 블록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주행 기어 캐리어(5)에 대하여 상기 런닝 휠 블록(6)을 정렬하는 것은 가공된 판(14)이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유지되는 가공된 그루브(10)가 런닝 휠 블록(6)의 연결면(8) 상에 배열되고, 런닝 휠 블록(6)이 주행 기어 캐리어(5)에 대하여 정렬된 후에 판(14)은 주행 기어 캐리어(5)에 고정 연결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은 또한 주행 기어 캐리어(5)와 런닝 휠 블록(6)으로 구성된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행 기어 캐리어 및 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런닝 휠 블록으로 구성된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ARRANGEMENT CONSISTING OF A TRAVELLING GEAR CARRIER AND A RUNNING WHEEL BLOCK FASTENED DETACHABLY THERETO,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travelling mechanism girder) 및 이에 해제가능하게(releasably) 부착된 런닝 휠 블록(running wheel block)으로 구성된 장치로서, 상기 런닝 휠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connection surface)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는 런닝 휠로 구성되고, 상기 런닝 휠 블록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대하여 정렬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와 런닝 휠 블록으로 구성된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런닝 휠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는 런닝 휠로 구성되고, 상기 런닝 휠 블록은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대하여 정렬되고 이에 나사 고정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런닝 휠 블록의 여러 유형의 구성은 디자인 면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런닝 휠 또는 런닝 휠 블록을 제공하거나 허용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 특허 명세서 DE 10 2004 008 552 B3은 베어링 힘(bearing force)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가지는 입방형의 런닝 휠 블록을 개시한다. 런닝 휠을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및/또는 롤러 베어링을 위한 회전 베어링 안착면들이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벽들에 배치된다. 하우징으로부터 런닝 휠을 제거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및/또는 롤러 베어링은 외부 쪽으로 제거될 수 있고, 런닝 휠은 대략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된 측면 쪽으로 해체될 수 있다.
나아가, 독일 특허 명세서 DE 31 34 750 C2는 베어링 하우징의 2개의 절반부(half)를 서로 용접하여 형성된 런닝 휠 블록을 개시한다. 베어링을 위한 회전 베어링 안착면은 베어링 하우징으로 가압 장착되고, 런닝 휠의 허브(hub)는 안착면에서 지지된다. 런닝 휠 블록을 예를 들어 크레인(crane)의 단부 캐리지(end carriage)와 같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나사 고정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상부 연결면과 모든 다른 측면에는 보어(bore)들이 제공되고 이 보어는 부착 나사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 런닝 휠 블록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대체 후에, 전체 런닝 휠 블록은 나사에 의하여 - 초기 조립체에서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다시 부착되어야 한다. 런닝 휠 블록은 런닝 휠이 롤링하는 런닝 휠 트랙에 대해 수직으로 런닝 휠의 회전 축이 연장하도록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대하여 그 위치에서 다른 런닝 휠과 정렬되어야 한다.
이 정렬로 인해 이 조립 공정은 시간이 많이 든다. 정렬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런닝 휠 트랙에 대해 경사진 것으로 인해 런닝 휠은 부서질(연마될) 위험이 있어서 보다 신속히 마모를 초래한다. 브리지 크레인의 경우에 브리지 크레인의 주행 거동은 경사 마모, 마찰 마모, 및 플랜지 마모에 의하여 파괴되기 쉬운 위험이 또한 있다. 나아가, 경사각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 조건을 넘어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응력을 부여하는 측방향 힘이 발생한다. 이 문제는 DIN15018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배경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런닝 휠 블록의 대체를 간단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에 제공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청구항 2 내지 9 및 11에 설명된다. 본 목적은 청구항 10에 제공된 방법에 의해 또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주행 메커니즘 거더와 이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런닝 휠 블록으로 구성된 장치로서, 런닝 휠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는 런닝 휠로 구성되고, 상기 런닝 휠 블록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대하여 정렬된, 장치의 경우에,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대하여 런닝 휠 블록을 정렬하는 것은, 런닝 휠 블록의 연결면에 가공된 그루브(machined groove)가 배열되고 상기 그루브에 가공된 판이 억지 끼워 맞춤 방식(positive-locking manner)으로 유지되도록 수행되고,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대하여 런닝 휠 블록의 정렬이 수행된 후에, 판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런닝 휠 블록의 간단한 대체가 달성된다. 마모 또는 결함으로 인해 런닝 휠 블록을 대체할 때 판이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유지되므로, 본 발명에 따라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새로운 런닝 휠 블록이 새로운 런닝 휠 블록의 트랙을 재정렬함이 없이 설치될 수 있다. 판과 그루브는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텅(tongue)과 그루브 원리에 따라 억지 잠금 연결(positive-locking connection)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장치에서 초기 조립 동안 수행된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대하여 런닝 휠 블록을 엄격히 정렬한 것이 유지된다는 사실이 이용된다. 이런 점에서, 런닝 휠 블록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느슨하게 장착된 판과 정렬되고 이후 판은 해제가능하지 않고 이동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루브와 판은 런닝 휠을 트랙과 정렬하는 것이 수행되고 선형 가이드 방식으로 런닝 휠의 트랙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새로운 런닝 휠 블록의 경우에 정렬은 바로 취해지고 트랙 폭의 여전히 요구되는 정렬은 런닝 휠 블록을 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된다. 트랙 폭이 조절된 후에 런닝 휠 블록을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나사 연결하는 것이 타이트(tightened)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판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용접된다.
트랙 폭의 간단한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면에 있는 그루브는 대향하는 선형 가이드 면들을 형성하며 이 면들에 직사각형 판이 놓이게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그루브의 선형 가이드 면들은 런닝 휠 블록의 연장 휠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이 필요하다. 트랙 폭은 런닝 휠 블록과 주행 메커니즘 거더 사이에 나사 연결이 느슨해질 때 조절된다.
유리한 방식으로,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런닝 휠 블록을 실제 부착하는 것은 나사 연결을 통해 수행된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서, 연결면은, 그루브가 중간에 배열된, 2개의 외부에 각각 놓여 있는 측방향 상승면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유리한 방식에서, 판은 그루브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구비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서, 하나의 적용 분야로서 주행 메커니즘 거더는 주행 크레인,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또는 트레인 트롤리(crane trolley)의 성분(component)인 것으로 제공된다. 물론, 이들 크레인의 경우에, 레일(rail)에 대하여 런닝 휠 블록을 정렬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이는 또한 비용이 비싸다. 유효한 정렬을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런닝 휠의 마모가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주행 메커니즘 거더와 런닝 휠 블록으로 구성된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의 경우에, 런닝 휠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는 런닝 휠로 구성되고, 상기 런닝 휠 블록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대하여 정렬되고 이에 나사 결합되며, 런닝 휠 블록의 간단한 대체는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대하여 런닝 휠 블록이 정렬된 후에 런닝 휠 블록의 연결면의 가공된 그루브에 억지 잠금 방식으로 유지되는 가공된 판이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방식에서, 런닝 휠 블록을 조립할 때 판은 제일 먼저 그루브에 느슨하게 삽입되고 초기 조립 동안 런닝 휠 블록으로 서로 배향된다. 이후에는 오로지 이 위치에 영구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해제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판이 연결된다
이 판은 바람직하게는 주행 메커니즘 거더에 용접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상세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주행 크레인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행 크레인의 런닝 휠 블록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주행 크레인의 주행 메커니즘 거더의 일 단부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주행 메커니즘 거더의 단부의 부분 단면 개략 측면도.
도 1은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로 지시되고 소위 이중 거더 브리지 크레인(double-girder bridge crane)으로 형성된 주행 크레인(1)을 도시한다. 주행 크레인(1)은 2개의 서로 평행하고 이격 배치된 레일들을 구비하는 레일 경로 위에 크레인 주행 방향(K)으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주행할 수 있다. 이들 레일은 다만 개략적으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다.
주행 크레인(1)은 서로 평행하고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된 위치에서 연장하며 수평 크레인 거더를 형성하며 상승 기어(lifting gear)(4)를 구비하는 트롤리(3)를 위한 주행 경로로 사용되는 2개의 박스 거더(2A, 2B)를 포함한다. 트롤리(3)는 크레인 주행 방향(K)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수평 트롤리 주행 방향(k)으로 박스 거더(2A, 2B) 상에서 주행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박스 거더(2A, 2B)는 또한 트롤리 주행 방향(k)으로 연장한다. 대안적으로, 단 하나의 박스 거더 또는 I 프로파일이 단일 거더 브리지 크레인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트롤리(3)는 박스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에서 주행한다.
박스 거더(2A, 2B)는 각 대향하는 단부들이 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및 그리하여 크레인 주행 방향(K)으로 연장하는 주행 메커니즘 거더(5) 상에 놓여있다. 런닝 휠 블록(6)은 박스 거더(2A, 2B)의 대향하는 단부들 각각에 배치되고 전기 모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런닝 휠 블록(6)은 미도시된 레일 상에 크레인 주행 방향(K)으로 주행할 수 있다.
도 2는 그 하부가 개방되고 그 상부측에는 상부 연결면이라고도 언급되는 상부 연결면(8)이 제공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7)을 포함하는 런닝 휠 블록(6)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다. 연결면(8)은 각 외부에 놓여있어서 크레인 주행 방향(K)으로 전후방에 놓여있는 2개의 상승 및 평탄면(9)들로 한정된다. 이 면(9)들은 하우징(7)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한다. 크레인 주행 방향(K)으로 보았을 때 면(9)들 사이에는 평탄하고 깊이 놓여있는 가공된 영역 또는 가공된 그루브(10)가 배치되며 이 그루브(10)는 연결면(8)의 면(9)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그루브(10)는 하우징(7)의 전체 폭에 걸쳐 및 그 개방 측면 사이를 연장한다. 이 연장 방향은 트롤리 주행 방향(k)으로 연장한다. 크레인 주행 방향(K)으로 보았을 때 그루브(10)는 전후방이 면(9)들로 형성된 가이드 면(10a)들로 한정된다.
하우징(7)에는 런닝 휠(11)이 장착되고 이 런닝 휠(11)의 허브(12)는 크레인 주행 방향(K)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회전축(D)에 대하여 회전하고 런닝 휠(11)은 연결면(8)과 반대쪽에 있는 하부 측면(13) 쪽 하방으로 하우징(7)에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종래의 장착 위치에서, 회전 축(D)은 수평으로 배향된다. 허브(12)는 하우징(7)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및/또는 롤러 베어링에 각각 측방향으로 유지된다.
판(14)은 사이즈로 가공된 그루브(10)에 삽입될 수 있고 이 판도 또한 사이즈로 가공된다. 판(14)은 그루브(10)의 2개의 가이드 면(10a)들에 놓여 있다. 판(14)과 그루브(10)는 서로 억지 잠금 및 정확히 끼워맞춘 연결을 형성하도록 가공된다.
도 2에서 부착 보어(18)들이 면(9)들에 배열된 것을 또한 볼 수 있다. 2개의 부착 보어(18)는 면(9)들의 측방향 단부 영역의 각 면(9)에 제공된다. 이들 부착 보어(18) - 총 4개 - 는 런닝 휠 블록(6)을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부착 보어(18)는 관통 보어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로 형성된다. 부착 보어(18) 대신에, 언더컷(undercut)을 가지는 그루브가 각 면(9)에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너트로 기능하는 슬라이딩 블록이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부착된 런닝 휠 블록(6)을 구비하는 주행 메커니즘 거더(5)의 일 단부의 부분 단면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다. 주행 메커니즘 거더(5)의 단부는 크레인 주행 방향(K)으로 보았을 때 하부에, 측면에, 및 전방이나 후방으로 개방된 리세스(recess)(17)를 포함한다. 리세스(17)는 주행 메커니즘 거더(5)의 성분인 평탄하고 직사각형 부착 판(16)으로 상부가 한정된다. 주행 메커니즘 거더(5)의 일 단부에 런닝 휠 블록(6)을 초기 조립하는 동안, 런닝 휠 블록(6)은 리세스(17)에 삽입되고 그 연결면(8)은 리세스를 향하는 부착판(16)의 측면에 접하게 놓인다. 이후, 런닝 휠 블록(6)은 부착 보어(18)를 통해 연장하는 4개의 나사(9)를 사용하여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나사 결합된다. 판(14)은 그루브(10)에 느슨하게 삽입되고 이와 조립된다. 이후, 런닝 휠 블록(6)은 낮은 마모로 주행 크레인(1)의 레일을 따라 롤링할 수 있기 위하여 크레인 주행 방향(K)으로 배향되고, 즉 런닝 휠 블록(6)의 트랙으로 배향된다. 이런 측면에서, 런닝 휠 블록(6)은 개념적인 수직 축에 대해 선회되어, 그 트랙에 대하여 배향된다. 런닝 휠 블록(6)이 정렬된 후 그리고 런닝 휠 블록(6)이 고정 나사 결합된 후, 판(14)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5)의 부착 판(16)에 용접되어서 해제가능하지 않고 이동가능하지 않게 고정된다. 바람직한 플러그 용접을 위해, 부착 판은 끼워맞춰진 판(14) 영역에 있는 4개의 보어(15)를 포함한다. 보어에 용접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하부 판(14)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고정 연결된다. 조립이 수행된 후에, 판(14)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5)의 성분이 된다. 대안적으로, 플러그 용접에 더하여 핀과 나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마모 또는 결함으로 인해 런닝 휠 블록(6)을 대체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나사(19)는 느슨해지고 판(14)은 용접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후, 사이즈로 가공된 그루브(10)를 가지는 동일한 유형의 새로운 런닝 휠 블록(6)이 삽입되고 나사 결합된다. 판(14)은 크레인 주행 방향(K)에 대하여 및 런닝 휠 블록(6)의 트랙에 대하여 이미 정렬되어 있으므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을 때 이 정렬은 생략될 수 있어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런닝 휠 블록(6)은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아직 고정 나사 결합되지 않은 한, 런닝 휠 블록(6)은 판(14)을 따라 가이드 면(10a)으로 크레인 주행 방향(K)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어서 트랙 폭이 간단히 조절될 수 있다. 새로운 런닝 휠 블록(6)은 판(14)을 통해 트랙에 대하여 필연적으로 올바르게 배향된다.
도 3은 도 1의 주행 크레인(1)의 주행 메커니즘 거더(5)의 일 단부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다. 부착 판(16)에 플러그 용접을 통해 판(14)을 부착하기 위해 보어(15)를 정렬하는 것은 이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명확히 볼 수 있다.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런닝 휠 블록(6)을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는 나사(19)도 또한 볼 수 있다.
1 : 주행 크레인
2A, 2B : 박스 거더
3 : 트롤리
4 : 상승 기어
5 : 주행 메커니즘 거더
6 : 런닝 휠 블록
7 : 하우징
8 : 연결면
9 : 면
10 : 그루브
10a : 가이드 면
11 : 런닝 휠
12 : 허브
13 : 측면
14 : 판
15 : 보어
16 : 부착 판
17 : 리세스
18 : 부착 보어
19 : 나사
D : 회전축
k : 트롤리 주행 방향
K : 크레인 주행 방향

Claims (11)

  1. 주행 메커니즘 거더(5)와 이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 런닝 휠 블록(6)으로 구성된 장치로서, 상기 런닝 휠 블록(6)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7)을 구비하는 하우징(7)과, 상기 하우징(7)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7)에서 돌출하는 런닝 휠(11)로 구성되고, 상기 런닝 휠 블록(6)은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대하여 정렬되고, 상기 런닝 휠 블록(6)의 상기 연결면(8)에는 가공된 그루브(10)가 배열되고, 상기 그루브(10) 내에는 가공된 판(14)이 억지 잠금 방식으로 유지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대하여 상기 런닝 휠 블록(6)을 정렬하는 것은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대하여 상기 런닝 휠 블록(6)이 정렬된 후에 상기 판(14)이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고정 연결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0)와 상기 판(14)은 상기 런닝 휠(11)의 상기 트랙을 정렬하는 것이 수행되고 선형 가이드 방식으로 상기 런닝 휠(11)의 상기 트랙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더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14)은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8)에서 상기 그루브(10)는 상기 직사각형 판(14)이 놓여 있는 대향하는 선형 가이드면(10a)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0)의 상기 선형 가이드면(10a)들은 상기 런닝 휠 블록(6)의 상기 런닝 휠(11)의 회전축(D)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런닝 휠 블록(6)은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8)은, 상기 그루브(10)가 그 사이에 배열된, 2개의 외부에 각각 놓여 있는 측방향 상승면(9)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14)은 상기 그루브(10)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는 주행 크레인, 갠트리 크레인 또는 크레인 트롤리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주행 메커니즘 거더(5)와 런닝 휠 블록(6)으로 구성되는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런닝 휠 블록(6)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8)을 구비하는 하우징(7)과, 상기 하우징(7)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7)에서 돌출하는 런닝 휠(11)로 구성되고, 상기 런닝 휠 블록(6)은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대하여 정렬되고 이에 나사 결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대하여 상기 런닝 휠 블록(6)이 정렬된 후에 상기 런닝 휠 블록(6)의 상기 연결면(8)의 가공된 그루브(10)에 억지 잠금 방식으로 유지되는 가공된 판(14)은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14)은 상기 주행 메커니즘 거더(5)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7020166A 2011-04-14 2012-04-12 주행 기어 캐리어 및 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런닝 휠 블록으로 구성된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919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2044.6 2011-04-14
DE102011002044A DE102011002044A1 (de) 2011-04-14 2011-04-14 Anordnung und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s Laufradblocks
PCT/EP2012/056681 WO2012140143A1 (de) 2011-04-14 2012-04-12 Anordnung aus einem fahrwerksträger und einem hieran lösbar befestigten laufradblock und montageverfahren hierf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795A true KR20140022795A (ko) 2014-02-25
KR101919171B1 KR101919171B1 (ko) 2018-11-15

Family

ID=4599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166A KR101919171B1 (ko) 2011-04-14 2012-04-12 주행 기어 캐리어 및 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런닝 휠 블록으로 구성된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248844B2 (ko)
EP (1) EP2697148B1 (ko)
JP (1) JP5998199B2 (ko)
KR (1) KR101919171B1 (ko)
CN (2) CN202358839U (ko)
AU (1) AU2012241825B2 (ko)
BR (1) BR112013019788B1 (ko)
CA (1) CA2827399C (ko)
DE (1) DE102011002044A1 (ko)
ES (1) ES2538098T3 (ko)
MX (1) MX338012B (ko)
RU (1) RU2572276C2 (ko)
WO (1) WO2012140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2044A1 (de) * 2011-04-14 2012-10-18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s Laufradblocks
DE102012102808A1 (de) * 2012-03-30 2013-10-0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CN106949226A (zh) * 2017-04-11 2017-07-14 合肥恺文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drs欧式轮箱
DE102020129194B4 (de) * 2020-11-05 2022-12-15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Anordnung und Verfahren zum Ausrichten eines Laufradblocks an einem Fahrwerksträger, insbesondere Kran-Fahrwerksträg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20817B (da) * 1968-03-21 1971-07-19 Maison Simma Soc Ind Metalmecc Understel med indstillelige hjul til portalkraner, løbekraner og lignende køretøjer.
DE2913486C3 (de) * 1979-04-04 1982-11-25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Laufkran mit an den Enden eines Brückenträgers vorhandenen Kopfträgern
DE3134750C2 (de) 1981-09-02 1983-11-17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Laufradblock"
SU1110741A1 (ru) * 1981-09-03 1984-08-30 Центр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Строймаш"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Ленстроймаш" Ходова тележка крана
DE3610426A1 (de) * 1986-03-27 1987-10-01 Mannesmann Ag Einstellbare lagerung eines kranlaufrades
US5005912A (en) * 1989-10-02 1991-04-09 Eaton-Kenway, Inc. Wheel mounting assembly for a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DE4031685C3 (de) * 1990-10-04 2001-11-08 Mannesmann Ag Laufradblock
US5495809A (en) * 1994-11-07 1996-03-05 Carbo; Paul L. Movable platform having removable wheels for orientation changing
DE19540217C1 (de) * 1995-10-18 1997-01-23 Mannesmann Ag Laufradblock mit einem Gehäuse
PT855989E (pt) * 1995-10-18 2000-05-31 Mannesmann Ag Bloco de roda movel
US5943960A (en) * 1995-10-18 1999-08-31 Mannesmann Ag Running wheel block
DE19540220C2 (de) * 1995-10-18 2001-04-12 Mannesmann Ag Laufradblock
CN2295728Y (zh) * 1997-04-07 1998-10-28 林义 天车防止脱轨装置
US6681702B1 (en) * 2002-04-12 2004-01-27 Charles W. Nicely Skate for use with a floor track storage system
DE102004008552B3 (de) 2004-02-19 2005-07-14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Laufradblock
JP2011219251A (ja) 2010-04-14 2011-11-04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クレーン走行装置及び走行装置付きクレーン
DE102011002044A1 (de) * 2011-04-14 2012-10-18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s Laufradblo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9788B1 (pt) 2020-10-27
JP5998199B2 (ja) 2016-09-28
CA2827399A1 (en) 2012-10-18
KR101919171B1 (ko) 2018-11-15
AU2012241825B2 (en) 2016-09-29
WO2012140143A1 (de) 2012-10-18
CN202358839U (zh) 2012-08-01
US20140000472A1 (en) 2014-01-02
AU2012241825A1 (en) 2013-09-12
CN103443014A (zh) 2013-12-11
CN103443014B (zh) 2015-04-01
DE102011002044A1 (de) 2012-10-18
BR112013019788A2 (pt) 2016-10-25
RU2013145810A (ru) 2015-05-20
EP2697148A1 (de) 2014-02-19
MX338012B (es) 2016-03-30
RU2572276C2 (ru) 2016-01-10
EP2697148B1 (de) 2015-03-04
CA2827399C (en) 2019-01-08
US9248844B2 (en) 2016-02-02
ES2538098T3 (es) 2015-06-17
MX2013011940A (es) 2014-05-13
JP2014511809A (ja)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171B1 (ko) 주행 기어 캐리어 및 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런닝 휠 블록으로 구성된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US10442462B2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nomously traveling vehicle
JP5039119B2 (ja) 片面溶接装置
CN103008956A (zh) 客车桥壳与制动器安装法兰及气室支架底座焊接用夹具
CN201124292Y (zh) 一种铁路机车车架通用焊接翻转机
KR20070047547A (ko) 이송대차 시스템
CN209904755U (zh) 吊装轨道机器人及其快装快卸式承重导向机构
JP2008079373A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GB2045713A (en) Fixing arrangements in travelling bridge cranes
WO2023087961A9 (zh) 一种悬挂式轨道单开车辆换线系统
US11891280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ligning a wheel block on an end carriage, in particular a crane end carriage
CN111132784A (zh) 轨距可调节的不落轮对车床
TWI682086B (zh) 用以將軌側模組固定到軌道之裝置
CN203763947U (zh) 压滤机水洗车行车机构的靠轮组件
CN110053912B (zh) 转向装置、车轮组件及有轨制导车辆
CN108583688A (zh) 工艺转向架的构架结构及其轴距调节组件
CN204021038U (zh) 履带式工程机械中底盘总成的导向机构
US5931584A (en) Running wheel block
CN211547109U (zh) 一种磁悬浮轨道用新型f截面轨
CN218950238U (zh) 一种转弯穿梭小车
CN107877049B (zh) 工矿电机车轴箱方孔的组对工装
CN214398718U (zh) 导向模组及转运装置
CN214686518U (zh) 一种桥隧轨道式安全检测机器人
JP2012213824A (ja) ガントリローダ
KR100304538B1 (ko) 하단면주행식의교량하부면작업대차의주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