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879A - 디티이노 테트라카복사미드 살진균제 및 제초제, 약해완화제 또는 식물 성장 조절제를 함유하는 상승적 배합물 - Google Patents

디티이노 테트라카복사미드 살진균제 및 제초제, 약해완화제 또는 식물 성장 조절제를 함유하는 상승적 배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879A
KR20140018879A KR1020137021985A KR20137021985A KR20140018879A KR 20140018879 A KR20140018879 A KR 20140018879A KR 1020137021985 A KR1020137021985 A KR 1020137021985A KR 20137021985 A KR20137021985 A KR 20137021985A KR 20140018879 A KR20140018879 A KR 20140018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s
plant
methyl
compound
spec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쓰 마이스너
울리케 바헨도르프-노이만
토마스 자이츠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1214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1887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1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8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carboxylic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by the carbon atom to a cycloaliphatic ring;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within the same carbon skeleton a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carbon atom having only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keto-carboxylic acids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A) 화학식 (I)의 디티이노-테트라카복사미드 및 (B) 추가의 제초 활성 화합물 또는 (C) 식물 성장 조절제 및/또는 (D) 농약의 식물독성 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해완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내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또는 작물의 식물병원성 진균을 치유 또는 예방적으로 구제하는 방법, 종자 처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의 용도, 종자 보호방법 및 마지막으로 처리된 종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티이노 테트라카복사미드 살진균제 및 제초제, 약해완화제 또는 식물 성장 조절제를 함유하는 상승적 배합물{SYNERGISTIC COMBINATIONS CONTAINING A DITHIINO-TETRACARBOXAMIDE FUNGICIDE AND A HERBICIDE, SAFENER OR PLANT GROWTH REGULATOR}
본 발명은 특히, (A) 화학식 (I)의 디티이노-테트라카복사미드 및 (B) 추가의 제초 활성 화합물 또는 (C) 식물 성장 조절제 및/또는 (D) 농약의 식물독성 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해완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내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또는 작물의 식물병원성 진균을 치유 또는 예방적으로 구제하는 방법, 종자 처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의 용도, 종자 보호방법 및 마지막으로 처리된 종자에 관한 것이다.
디티이노-테트라카복사미드 자체는 이미 알려졌다. 이들 화합물이 구충제 및 살충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도 이미 알려졌다(참조: US 3,364,229). 또한, 상기 디티이노-테트라카복사미드의 살진균제로서의 용도도 공지되었다(WO 2010/043319).
오늘날의 작물 보호 조성물은, 예를 들어 작용 스펙트럼, 독성, 선택성, 적용 비율, 잔사 형성 및 제조 용이성에 대해 환경학적 및 경제학적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또한 예컨대 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영역에서 적어도 상기 언급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유리한 새로운 조성물, 특히 살진균제의 개발이 끈임없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일부 측면에서 적어도 제시한 목적을 이룬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조성물을 제공한다.
농약을 사용하여 농업 또는 임업용으로 유용한 작물에서 원치않는 미생물을 구제하는 경우, 유용한 식물은 또한 사용되는 농약에 의해 다소 피해를 입는다. 유용한 작물, 예를 들어, 옥수수, 벼 또는 곡물 등에서 상당한 양의 제초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출현 후 적용시 특히 원치않는 식물독성 효과에 접하게 된다. 일부 경우, 유용한 식물은 약해완화제 또는 해독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 생물에 대한 살충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실질적으로 손상시키지 않고 농약의 식물독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는, 심지어 잡초와 같은 유해 생물에 대해 개선된 농약 작용이 관찰되기도 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원칙적으로 구제하여 할 식물병원균에 대한 작용 스펙트럼을 상가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될 뿐만 아니라, 성분 (A) 및 성분 (B), (C) 또는 (D)의 작용 범위를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식으로 확대하는 상승 효과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첫째로, 성분 (A) 및 성분 (B), (C) 또는 (D)의 적용비율은 감소되지만, 작용은 그대로 우수하게 유지된다. 두번째로, 배합물은 두 개별 화합물들이 낮은 적용 비율의 범위에서 전적으로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에 조차도 식물병원균을 고도로 구제한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구제할 수 있는 식물병원균의 스펙트럼을 상당히 넓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살진균 활성에 대한 상승 작용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은 더 넓은 의미로 상승 활성으로도 불릴 수 있는 다른 놀라운 성질, 예를 들면, 다른 식물병원균, 예를 들어 식물 질병의 내성 균에 대한 활성 스펙트럼의 확대; 활성 화합물의 적용비율 감소; 개별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또는 전혀 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적용비율에서 조차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해충 구제효과 발휘; 제제화 도중 또는 사용 도중, 예를 들면 그라인딩, 체질, 유화, 용해 또는 분배 중에 유리한 거동; 저장 안정성 및 광 안정성 향상; 유리한 잔사 형성; 독물학적 또는 생태독성학적 행태 개선; 식물 특성 개량, 예를 들면 성장 향상, 수확량 증가, 더 좋은 뿌리계 발달, 엽편 확장, 더 푸른 잎, 더욱 튼튼한 새싹, 종자 필요량 감소, 낮은 식물독성, 식물의 방어 시스템 동원, 식물과의 우수한 상용성 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어린 곡물을 건강하게 유지하여 예를 들면 처리된 곡물의 겨울 생존성을 증가시키고, 품질 및 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은 전신 작용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배합물의 개별 화합물이 충분한 전신성을 갖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은 이같은 전신성을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에 의해서 살진균 작용이 고도로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적어도 하나의 하기 화학식 (I)의 디티이노-테트라카복스이미드 또는 그의 농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고,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을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을 나타냄], 및
(B)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제초 활성 화합물, 또는
(C) 적어도 하나의 식물 성장 조절제, 및/또는
(D) 적어도 하나의 농약의 식물독성 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해완화제를 포함하는 배합물을 제공한다.
(I-1)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즉, R1 = R2 = 메틸, n = 0)
(I-2) 2,6-디에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즉, R1 = R2 = 에틸, n = 0)
(I-3) 2,6-디프로필-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즉, R1 = R2 = 프로필, n = 0)
(I-4) 2,6-디이소프로필-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즉, R1 = R2 = 이소프로필, n = 0)
(I-5)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4-옥사이드 (즉, R1 = R2 = 메틸, n = 1)
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합물이 바람직하다.
그룹 (B):
혼합 제제 또는 탱크-믹스에서 화학식 (I)의 활성 피리미디닐부탄올에 대한 배합 파트너로서 적합한 것은 예를 들어, 공지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그의 작용이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아제, 아세틸-조효소-A 카복실라아제, PS I, PS II, HPPDO, 파이토엔 불포화효소,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아제, 글루타민 합성효소, 셀룰로오스 생합성, 5-에놀피루빌쉬키메이트-3-포스페이트 합성효소의 억제를 기반으로 하는 제초 활성 화합물이다. 일부의 경우 미지 또는 상이한 작용 기전을 가지는 것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이같은 화합물 및 또한 기타 화합물이 예를 들어, 문헌(Weed Research 26, 441-445 (1986)) 또는 ("The Pesticide Manual", 12th edition, 13th edition 또는 14th edition 2006/2007) 또는 상응하는 ("e-Pesticide Manual", version 4 (2006))[모두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에 의해 공개, 이후 "PM"의 축약어로서 언급되기도 함] 및 그 안에 인용된 문헌들에 게재되었다. "관용명"의 목록은 또한 인터넷상에서 "Compendium of Pesticide Common Names"에서 이용가능하다. 화학식 (I)의 피리미디닐부탄올과 배합될 수 있는 문헌에 의해 공지된 제초제 및 약해완화제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표 1에서의 활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주석: 화합물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따른 "관용명", 또는 화학명에 의해, 경우에 따라서는 통상의 코드 넘버와 함께 명명된다):
그룹 (B)의 활성 화합물은 아세토클로르; 아시벤졸라-S-메틸; 아시플루오르펜-(소듐); 아클로니펜; AD-67; AKH 7088, 즉, [[[1-[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2-메톡시에틸리덴]아미노]옥시]아세트산 및 메틸 [[[1-[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2-메톡시에틸리덴]아미노]옥시]아세테이트; 알라클로르; 알록시딤(-소듐); 아메트린; 아미카바존, 아미도클로르, 아미도설푸론; 아미노피랄리드; 아미트롤; AMS, 즉, 암모늄 설파메이트; 안시미돌; 아닐로포스; 아술람; 아트라진; 아비글리신; 아자페니딘, 아짐설푸론 (DPX-A8947); 아지프로트린; 바르반; BAS 516 H, 즉, 5-플루오로-2-페닐-4H-3,1-벤족사진-4-온; 베플루부타미드(UBH-509), 베나졸린(-에틸); 벤카바존; 벤플루랄린; 벤푸레세이트; 베녹사코르; 벤설푸론(-메틸); 벤술리드; 벤타존; 벤즈펜디존; 벤조바이사이클론, 벤조페나프; 벤조플루오르; 벤조일프로프(-에틸); 벤즈티아주론; 비알라포스; 비페녹스; 비스피리박(-소듐) (KIH-2023); 보락스; 브로마실; 브로모부타이드; 브로모페녹심; 브로목시닐; 브로무론; 부미나포스; 부속시논; 부타클로르; 부타페나실, 부타미포스; 부테나클로르 (KH-218); 부티다졸; 부트랄린; 부트록시딤, 부틸레이트; 카펜스트롤 (CH-900); 카베타미드; 카펜트라존(-에틸); CDAA, 즉, 2-클로로-N,N-디-2-프로페닐아세트아미드; CDEC, 즉, 2-클로르알릴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클로메톡시펜; 클로람벤; 클로라지포프-부틸, 클로르브로무론; 클로르부팜; 클로르페낙; 클로르펜프로프; 클로르플루레콜(-메틸); 클로르플루레놀(-메틸); 클로리다존; 클로리무론 (-에틸); 클로르메쿠아트 (-클로라이드); 클로르니트로펜; 클로로프탈림 (MK-616); 클로로톨루론; 클로록수론; 클로르프로팜; 클로르설푸론; 클로르탈-디메틸; 클로르티아미드; 클로르톨루론, 시니돈 (-메틸 및 -에틸), 신메틸린; 시노설푸론; 클레폭시딤, 클레토딤; 클로디나포프 및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 (예를 들어 클로디나포프-프로파길); 클로펜셋; 클로마존; 클로메프로프; 클로프로프; 클로프록시딤; 클로피랄리드; 클로피라설푸론(-메틸), 클로퀸토셋(-멕실); 클로란술람(-메틸), 쿠밀우론 (JC 940); 시아나미드; 시아나진; 사이클로에이트; 사이클로설파무론 (AC 104); 사이클록시딤; 사이클루론; 시할로포프 및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 (예를 들어 부틸 에스테르, DEH-112); 사이퍼쿠아트; 사이프라진; 사이프라졸; 사이프로설파미드; 다이무론; 2,4-D, 2,4-DB; 달라폰; 다미노지드; 다조메트; n-데칸올; 데스메디팜; 데스메트린; 디알레이트; 디캄바; 디클로베닐; 디클로르미드; 디클로르프로프(-P) 염; 디클로포프 및 그의 에스테르, 예컨대 디클로포프-메틸; 디클로포프-P(-메틸); 디클로술람, 디에타틸(-에틸); 디페녹수론; 디펜조쿠아트(메틸설페이트); 디플루페니칸; 디플루펜조피르(-소듐); 디메푸론; 디메피레이트, 디메타클로르; 디메타메트린; 디메타존; 디메텐아미드 (SAN-582H); 디메텐아미드-P; 디메틸아르신산; 디메티핀; 디메트라설푸론, 디니트라민; 디노셉; 디노테르브; 디펜아미드; 디프로페트린; 디쿠아트 염; 디티오피르; 디우론; DNOC; 에글리나진-에틸; EL 77, 즉, 5-시아노-1-(1,1-디메틸에틸)-N-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엔도탈; 에포프로단, EPTC; 에스프로카브; 에탈플루랄린; 에타메트설푸론-메틸; 에테폰; 에티디무론; 에티오진; 에토푸메세이트; 에톡시펜 및 그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 에스테르, HN-252); 에톡시설푸론, 에토벤자니드 (HW 52); F5231, 즉, N-[2-클로로-4-플루오로-5-[4-(3-플루오로프로필)-4,5-디하이드로-5-옥소-1H-테트라졸-1-일]페닐]에탄설폰아미드; 펜클로라졸(-에틸); 펜클로림; 페노프로프; 페녹산, 페녹사프로프 및 페녹사프로프-P 및 또한 그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페녹사프로프-P-에틸 및 페녹사프로프-에틸; 페녹시딤; 펜트라자미드, 페누론; 황산제1철; 플람프로프(-메틸 또는 -이소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L); 플람프로프-M(-메틸 또는 -이소프로필); 플라자설푸론; 플로라술람, 플루아지포프 및 플루아지포프-P 및 그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플루아지포프-부틸 및 플루아지포프-P-부틸; 플루아졸레이트, 플루카바존(-소듐), 플루세토설푸론; 플루클로랄린; 플루페나세트; 플루펜피르(-에틸); 플루메트랄린; 플루메트술람; 플루메투론;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 (S-482); 플루미프로핀; 플루오메투론, 플루오로클로리돈, 플루오로디펜;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플루폭삼 (KNW-739); 플루프로파실 (UBIC-4243); 플루프로파노에이트; 플루피르설푸론(-메틸)(-소듐); 플루라졸; 플루레놀(-부틸); 플루리돈; 플루로클로리돈; 플루록시피르(-멥틸); 플루르프리미돌, 플루르타몬; 플루티아세트(-메틸) (KIH-9201); 플루티아미드, 플룩소페님; 포메사펜; 포람설푸론, 포르클로르페누론; 포사민; 푸릴라졸; 푸릴옥시펜; 지베릴린산;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 할로사펜; 할로설푸론(-메틸); 할록시포프 및 그의 에스테르; 할록시포프-P (= R-할록시포프) 및 그의 에스테르; HC-252; 헥사지논; 이미자메타벤즈(-메틸); 이미자메타피르, 이미자목스, 이미자픽, 이미자피르; 이미자퀸 및 염, 예컨대 암모늄 염; 이마제타-메타피르; 이마제타피르; 이마조설푸론; 이나벤피드; 인다노판; 인돌-3-아세트산; 4-인돌-3-일부티르산; 요오도설푸론-메틸(-소듐); 이옥시닐; 이소카바미드; 이소프로팔린; 이소프로투론; 이소우론; 이속사벤; 이속사클로르톨, 이속사디펜(-에틸); 이속사플루톨, 이속사피리포프; 카르부틸레이트; 락토펜; 레나실; 리누론; 말레산 히드라지드 (MH), MCPA; MCPB; 메코프로프(-P); 메페나세트; 메펜피르(-디에틸); 메플루이디드; 메피쿠아트(-클로라이드); 메소설푸론(-메틸); 메소트리온, 메탐; 메타미포프; 메타미트론; 메타자클로르;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탐; 메타졸; 메톡시페논; 메틸아르손산; 메틸사이클로프로펜; 메틸딤론;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토벤주론; 메토브로무론; (알파-)메톨라클로르; 메토술람 (XRD 511); 메톡수론; 메트리부진; 메트설푸론-메틸; 몰리네이트; 모날리드; 모노카바미드 디하이드로겐설페이트; 모노리누론; 모누론; MT 128, 즉, 6-클로로-N-(3-클로로-2-프로페닐)-5-메틸-N-페닐-3-피리다진아민; MT 5950, 즉, N-[3-클로로-4-(1-메틸에틸)페닐]-2-메틸펜탄아미드; 나프로아닐리드; 나프로파미드; 나프탈람; NC 310, 즉, 4-(2,4-디클로로벤조일)-1-메틸-5-벤질옥시피라졸; 네부론; 니코설푸론; 니피라클로펜; 니트랄린; 니트로펜; 니트로페놀레이트 혼합물; 니트로플루오르펜; 노난산; 노르플루라존; 오르벤카브; 오르타설파무론; 옥사베트리닐; 오리잘린; 옥사디아르길 (RP-020630); 옥사디아존; 옥사설푸론, 옥사지클로메폰, 옥시플루오르펜; 파클로부트라졸; 파라쿠아트(디클로라이드); 페불레이트; 펠라르곤산, 펜디메탈린; 페녹스술람; 펜타클로로페놀; 펜타노클로르; 펜톡사존, 퍼플루이돈; 페톡사미드; 페니소팜; 펜메디팜; 피클로람; 피콜리나펜, 피녹사덴, 피페로포스; 피리부티카브; 피리페노프-부틸; 프레틸라클로르; 프리미설푸론(-메틸); 프로베나졸; 프로카바존-(소듐), 프로시아진; 프로디아민; 프로플루랄린; 프로폭시딤; 프로헥사디온(-칼슘); 프로하이드로자스몬; 프로글리나진(-에틸); 프로메톤; 프로메트린; 프로파클로르; 프로파닐; 프로파퀴자포프; 프로파진; 프로팜; 프로피소클로르; 프로폭시카바존(-소듐) (MKH-6561); n-프로필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프로피자미드; 프로설팔린; 프로설포카브; 프로설푸론 (CGA-152005); 프리나클로르;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에틸) (ET-751); 피라설포톨; 피라졸리네이트; 피라존; 피라조설푸론(-에틸); 피라족시펜; 피리벤족심, 피리부티카브, 피리다폴, 피리데이트;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박(-메틸) (KIH-6127); 피리미설판 (KIH-5996); 피리티오박(-소듐) (KIH-2031); 피록사설폰 (KIH-485); 피록소포프 및 그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프로파길 에스테르); 피록스술람; 퀸클로락; 퀸메락; 퀴노클라민, 퀴노포프 및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 퀴잘로포프 및 퀴잘로포프-P 및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 예를 들어 퀴잘로포프-에틸; 퀴잘로포프-P-테푸릴 및 -에틸; 렌리두론; 림설푸론 (DPX-E 9636); S 275, 즉, 2-[4-클로로-2-플루오로-5-(2-프로피닐옥시)페닐]-4,5,6,7-테트라하이드로-2H-인다졸; 사플루페나실, 세크부메톤; 세톡시딤; 시두론; 시마진; 시메트린; 신토펜; SN 106279, 즉, 2-[[7-[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나프탈레닐]옥시]프로판산 및 메틸 2-[[7-[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나프탈레닐]옥시]프로파노에이트; 설코트리온, 설펜트라존 (FMC-97285, F-6285); 설파주론; 설포메투론(-메틸); 설포세이트 (ICI-A0224); 설포설푸론, TCA; 테부탐 (GCP-5544); 테부티우론; 테크나센; 템보트리온; 테푸릴트리온; 테프랄록시딤, 테르바실; 테르부카브; 테르부클로르; 테르부메톤; 테르부틸라진; 테르부트린; TFH 450, 즉, N,N-디에틸-3-[(2-에틸-6-메틸페닐)설포닐]-1H-1,2,4-트리아졸-1-카복사미드; 테닐클로르 (NSK-850); 티아플루아미드, 티아자플루론; 티아조피르 (Mon-13200); 티디아지민 (SN-24085); 티디아주론; 티엔카바존; 티펜설푸론(-메틸); 티오벤카브; Ti 35; 티오카바질; 토프라메존; 트랄콕시딤; 트리알레이트; 트리아설푸론; 트리아지플람, 트리아조페나미드; 트리베누론(-메틸); 트리클로피르; 트리디판; 트리에타진; 트리플록시설푸론; 트리플루랄린; 트리플루설푸론 및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에스테르, DPX-66037); 트리메투론; 트리넥사팍; 트리토설푸론, 트시도데프; 유니코나졸; 베르놀레이트; WL 110547, 즉, 5-페녹시-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테트라졸; D-489; LS 82-556; KPP-300; NC-324; NC-330; DPX-N8189; SC-0774; DOWCO-535; DK-8910; V-53482; PP-600 및 MBH-001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의 피리미디닐부탄올과 배합하기에 적합한 그룹 (B)의 제초제는 바람직하게는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B-1) 다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페녹시페녹시- 및 헤테로아릴옥시페녹시카복실산 유도체 타입의 제초제:
(B-1.1) 페녹시페녹시- 및 벤질옥시페녹시카복실산 유도체, 예를 들어 (B-1.1.1) 메틸 2-(4-(2,4-디클로로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디클로포프-메틸), (B-1.1.2) 메틸 2-(4-(4-브로모-2-클로로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 26 01 548), (B-1.1.3) 메틸 2-(4-(4-브로모-2-플루오로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US 4,808,750), (B-1.1.4) 메틸 2-(4-(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 24 33 067), (B-1.1.5) 메틸 2-(4-(2-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US 4,808,750), (B-1.1.6) 메틸 2-(4-(2,4-디클로로벤질)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 24 17 487), (B-1.1.7) 에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펜트-2-에노에이트, (B-1.1.8) 메틸 2-(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 24 33 067), (B-1.1.9) 부틸 (R)-2-[4-(4-시아노-2-플루오로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시할로포프-부틸);
(B-1.2)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옥시페녹시알칸카복실산 유도체, 예를 들어 (B-1.2.1) 에틸 2-(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EP-A 0 002 925), (B-1.2.2) 프로파길 2-(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EP-A 0 003 114), (B-1.2.3) 메틸 (RS)- 또는 (R)-2-(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할록시포프-메틸 또는 할록시포프-P-메틸), (B-1.2.4) 에틸 2-(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EP-A 0 003 890), (B-1.2.5) 프로파길 2-(4-(5-클로로-3-플루오로-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클로디나포프-프로파길), (B-1.2.6) 부틸 (RS)- 또는 (R)-2-(4-(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플루아지포프-부틸 또는 플루아지포프-P-부틸), (B-1.2.7) (R)-2-[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
(B-1.3)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옥시페녹시알칸카복실산 유도체, 예를 들어 (B-1.3.1) 퀴잘로포프-메틸, (B-1.3.2) 퀴잘로포프-에틸, (B-1.3.3) 퀴잘로포프-P-메틸, (B-1.3.4) 퀴잘로포프-P-에틸, (B-1.3.5) 메틸 2-(4-(6-플루오로-2-퀴녹살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참조: J. Pest. Sci. 1985, 10, 61), (B-1.3.6) 프로파퀴자포프, (B-1.3.7) 에틸 페녹사프로프-에틸, (B-1.3.8) 페녹사프로프-P-에틸, (B-1.3.9) 에틸 2-(4-(6-클로로벤즈티아졸-2-일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26 40 730), (B-1.3.10) 테트라하이드로-2-푸릴메틸 (RS)- 또는 (R)-2-(4-(6-클로로퀴녹살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EP-A 0 323 727), (B-1.3.11) (R)-2-[4-(6-클로로-1,3-벤족사졸-2-일옥시)페녹시]-2'-플루오로-N-메틸프로피온-아닐리드 (메타미포프);
(B-2) 설포닐우레아 그룹으로부터의 제초제, 예컨대 피리미디닐- 또는 트리아지닐아미노카보닐-[벤젠-, -피리딘-, -피라졸-, -티오펜- 및 -(알킬설포닐)알킬아미노]설파미드, (피리미딘 환 또는 트리아진 환상의 바람직한 치환체는 알콕시, 알킬,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할로겐 또는 디메틸아미노에서 선택되고, 모든 치환체는 서로 독립적으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벤젠, 피리딘, 피라졸, 티오펜 또는 (알킬설포닐)알킬아미노 부분에서의 바람직한 치환체는 알킬, 알콕시, 할로겐, 니트로,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아미노카보닐, 디알킬아미노카보닐, 알콕시아미노카보닐, 할로알콕시, 할로알킬, 알킬카보닐, 알콕시알킬, (알칸설포닐)알킬아미노에서 선택된다)로서, 설포닐우레아는 다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B-2.1) 페닐- 및 벤질설포닐우레아 및 관련 화합물, 예를 들어 (B-2.1.1) 클로르설푸론, (B-2.1.2) 클로리무론-에틸, (B-2.1.3) 메트설푸론-메틸, (B-2.1.4) 트리아설푸론, (B-2.1.5) 설포메투론-메틸, (B-2.1.6) 트리베누론-메틸, (B-2.1.7) 벤설푸론-메틸, (B-2.1.8) 프리미설푸론-메틸, (B-2.1.9) 3-(4-에틸-6-메톡시-1,3,5-트리아진-2-일)-1-(2,3-디-하이드로-1,1-디옥소-2-메틸벤조[b]-티오펜-7-설포닐)우레아 (EP-A 0 079 83), (B-2.1.10) 3-(4-에톡시-6-에틸-1,3,5-트리아진-2-일)-1-(2,3-디하이드로-1,1-디옥소-2-메틸벤조[b]-티오펜-7-설포닐)우레아 (EP-A 0 079 683), (B-2.1.11) 3-(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1-(2-메톡시카보닐-5-요오도페닐설포닐)우레아 (WO 92/13845), (B-2.1.12) 트리플루설푸론-메틸, (B-2.1.13) 옥사설푸론, (B-2.1.14) 요오도설푸론-메틸, (B-2.1.15) 요오도설푸론-메틸-소듐, (B-2.1.16) 메소설푸론, (B-2.1.17) 메소설푸론-메틸, (B-2.1.18) 포람설푸론, (B-2.1.19) 시노설푸론, (B-2.1.20) 에타메트설푸론-메틸, (B-2.1.21) 프로설푸론, (B-2.1.22) 트리토설푸론, (B-2.1.23) 모노설푸론, (B-2.1.24) 메틸 2-[({[메톡시-6-(메틸티오)피리미딘-2-일]카바모일}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B-2.2) 티에닐설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B-2.2.1) 티펜설푸론-메틸;
(B-2.3) 피라졸릴설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B-2.3.1) 피라조설푸론-에틸, (B-2.3.2) 메틸 할로설푸론-메틸, (B-2.3.3) 메틸 5-(4,6-디메틸피리미딘-2-일-카바모일설파모일)-1-(2-피리딜)피라졸-4-카복실레이트 (NC-330, 참조: Brighton Crop Prot. Conference Weeds 1991, 1, 45ff.), (B-2.3.4) 아짐설푸론, (B-2.3.5) 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바모일]-4-(5,5-디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1,3-디메틸-1H-피라졸-5-설폰아미드;
(B-2.4) 설폰디아미드 유도체, 예를 들어 (B-2.4.1) 아미도설푸론 및 (B-2.4.2) 그의 구조 유사체 (EP-A 0 131 258 및 Z. Pfl. Krankh. Pfl. Schutz, 특별호 XII, 489-497 (1990));
(B-2.5) 피리딜설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B-2.5.1) 니코설푸론, (B-2.5.2) 림설푸론, (B-2.5.3) 플루피르설푸론-메틸, (B-2.5.4) 플루피르설푸론-메틸-소듐, (B-2.5.5) 3-(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1-(3-N-메틸설포닐-N-메틸아미노피리딘-2-일)설포닐우레아 또는 그의 염 (DE-A 40 00 503 및 DE-A 40 30 577), (B-2.5.6) 플라자설푸론, (B-2.5.7) 트리플록시설푸론-소듐, (B-2.5.8) 플루세토설푸론;
(B-2.6) 알콕시페녹시설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B-2.6.1) 에톡시설푸론 또는 (B-2-6.2) 그의 염;
(B-2.7) 이미다졸릴설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B-2.7.1) 설포설푸론, (B-2.7.2) 이마조설푸론, (B-2.7.3) 2-클로로-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바모일]-6-프로필이미다조[1,2-b]피리다진-3-설폰아미드;
(B-2.8) 페닐아미노설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B-2.8.1) 사이클로설파무론, (B-2.8.2) 오르토설파무론;
(B-3) 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 예를 들어 (B-3.1) 아세토클로르, (B-3.1) 알라클로르, (B-3.2) 부타클로르, (B-3.3) 디메타클로르, (B-3.4) 디메텐아미드, (B-3.5) 디메탄아미드-P 메타자클로르, (B-3.6) 메톨라클로르, (B-3.7) S-메톨라클로르, (B-3.8) 페톡사미드, (B-3.9) 프레틸라클로르, (B-3.10) 프로파클로르, (B-3.11) 프로피소클로르 및 (B-3.12) 테닐클로르;
(B-4) 티오카바메이트, 예를 들어 (B-4.1) S-에틸 N,N-디프로필티오카바메이트 (EPTC), (B-4.2) S-에틸 N,N-디이소부틸티오카바메이트 (부틸레이트), (B-4.3) 사이클로에이트, (B-4.4) 디메피레이트, (B-4.5) 에스프로카브, (B-4.6) 몰리네이트, (B-4.7) 오르벤카브, (B-4.8) 페불레이트, (B-4.9) 프로설포카브, (B-4.10) 티오벤카브, (B-4.11) 티오카바질, (B-4.12) 트리알레이트 및 (B-4.13) 베르놀레이트;
(B-5) 사이클로헥산디온 옥심, 예를 들어 (B-5.1) 알록시딤, (B-5.2) 부트록시딤, (B-5.3) 클레토딤, (B-5.4) 클로프록시딤, (B-5.5) 사이클록시딤, (B-5.6) 프로폭시딤, (B-5.7) 세톡시딤, (B-5.8) 테프랄록시딤 및 (B-5.9) 트랄콕시딤;
(B-6) 이미다졸리논, 예를 들어 (B-6.1) 이미자메타벤즈-메틸, (B-6.2) 이미자픽, (B-6.3) 이미자목스, (B-6.4) 이미자피르, (B-6.5) 이미자퀸 및 (B-6.6) 이마제타피르;
(B-7) 트리아졸로피리미딘설폰아미드 유도체, 예를 들어 (B-7.1) 클로란술람-메틸, (B-7.2) 디클로술람, (B-7.3) 플로라술람, (B-7.4) 플루메트술람, (B-7.5) 메토술람, (B-7.6) 페녹스술람 (B-7.7) 및 피록스술람;
(B-8) 벤조일사이클로헥산디온, 예를 들어 (B-8.1) 설코트리온, (B-8.2) 2-(2-니트로벤조일)-4,4-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 (EP-A 0 274 634), (B-8.3) 2-(2-니트로-3-메틸설포닐벤조일)-4,4-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 (WO 91/13548), (B-8.4) 메소트리온, (B-8.5) 2-[2-클로로-3-(5-시아노-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6) 2-[2-클로로-3-(5-시아노-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7) 2-[2-클로로-3-(5-에톡시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8) 2-[2-클로로-3-(5-에톡시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9) 2-[2-클로로-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10) 템보트리온, (B-8.11) 2-[2-클로로-3-[(2,2-디플루오로에톡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12) 2-[2-클로로-3-[(2,2-디플루오로에톡시)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13) 2-[2-클로로-3-[(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14) 2-[2-클로로-3-[(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15) 2-[2-클로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16) 2-[2-클로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17) 2-[2-클로로-3-(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18) 테푸릴트리온, (B-8.19) 2-[2-클로로-3-[2-(2-메톡시에톡시)에톡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20) 2-[2-클로로-3-[2-(2-메톡시에톡시)에톡시-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8.21) 3-({2-[(2-메톡시에톡시)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카보닐)바이사이클로[3.2.1]옥탄-2,4-디온 (WO 2001094339);
(B-9) 벤조일이속사졸, 예를 들어 (B-9.1) 이속사플루톨, (B-9.2) 이속사클로르톨;
(B-10) 벤조일피라졸, 예를 들어 (B-10.1) 벤조페나프, (B-10.2) 피리졸리네이트, (B-10.3) 피라족시펜, (B-10.4) 5-하이드록시-1-메틸-4-[2-(메틸설포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라졸 (WO 01/74785), (B-10.5) 1-에틸-5-하이드록시-4-[2-(메틸설포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라졸 (WO 01/74785), (B-10.6) 1,3-디메틸-5-하이드록시-4-[2-(메틸설포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라졸 (WO 01/74785), (B-10.7) 피라설포톨, (B-10.8) 5-하이드록시-1-메틸-4-[-2-클로로-3-(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메틸설포닐벤조일]피라졸 (WO 99/58509), (B-10.9) 토프라메존, (B-10.10) 1-에틸-5-하이드록시-3-메틸-4-[2-메틸-4-메틸설포닐-3-(2-메톡시에틸아미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11) 3-사이클로프로필-5-하이드록시-1-메틸-4-[2-메틸-4-메틸설포닐-3-(2-메톡시에틸아미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12) 5-벤족시-1-에틸-4-[2-메틸-4-메틸설포닐-3-(2-메톡시에틸아미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13) 1-에틸-5-하이드록시-4-(3-디메틸아미노-2-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14) 5-하이드록시-1-메틸-4-(2-클로로-3-디메틸아미노-4-메틸설포닐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15) 1-에틸-5-하이드록시-4-(3-알릴아미노-2-클로로-4-메틸설포닐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16) 1-에틸-5-하이드록시-4-(2-메틸-4-메틸설포닐-3-모르폴리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17) 5-하이드록시-1-이소프로필-4-(2-클로로-4-메틸설포닐-3-모르폴리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18) 3-사이클로프로필-5-하이드록시-1-메틸-4-(2-클로로-4-메틸설포닐-3-모르폴리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19) 1,3-디메틸-5-하이드록시-4-(2-클로로-4-메틸설포닐-3-피라졸-1-일-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20) 1-에틸-5-하이드록시-3-메틸-4-(2-클로로-4-메틸설포닐-3-피라졸-1-일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21) 1-에틸-5-하이드록시-4-(2-클로로-4-메틸설포닐-3-피라졸-1-일-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10.22) (5-하이드록시-1-메틸-1H-피라졸-4-일)(3,3,4-트리메틸-1,1-디옥시도-2,3-디-하이드로-1-벤조티엔-5-일)메타논 (US2002/0016262), (B-10.23) 1-메틸-4-[(3,3,4-트리메틸-1,1-디옥시도-2,3-디하이드로-1-벤조티엔-5-일)카보닐]-1H-피라졸-5-일프로판-1-설포네이트 (WO 2002/015695), (B-10.24) 벤조바이사이클론;
(B-11) 설포닐아미노카보닐트리아졸리논, (B-11.1) 플루카바존-소듐, (B-11.2) 프로폭시카바존, (B-11.3) 프로폭시카바존-소듐, (B-11.4) 티엔카바존-메틸;
(B-12) 트리아졸리논, 예를 들어 (B-12.1) 아미카바존, (B-12.2) 아자페니딘, (B-12.3) 카펜트라존-에틸, (B-12.4) 설펜트라존, (B-12.5) 벤카바존;
(B-13) 포스핀산 및 유도체, 예를 들어 (B-13.1) 빌라나포스, (B-13.2) 글루포시네이트, (B-13.3)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B-14) 글리신 유도체, 예를 들어 (B-14.1) 글리포세이트, (B-14.2) 글리포세이트-소듐, (B-14.3)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
N-(포스포노메틸)글리신 트리메슘 염 (설포세이트);
(B-15) 피리미디닐옥시피리딘카복실산 유도체 및 피리미디닐옥시벤조산 유도체, 예를 들어 (B-15.1) 벤질 3-(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피리딘-2-카복실레이트 (EP-A 0 249 707), (B-15.2) 메틸 3-(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피리딘-2-카복실레이트 (EP-A 0 249 707), (B-15.3) 1-(에톡시카보닐옥시에틸) 2,6-비스[(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벤조에이트 (EP-A 0 472 113), (B-15.4) 비스피리박-소듐, (B-15.5) 피리밤벤즈-이소프로필, (B-15.6) 피리밤벤즈-프로필, (B-15.7) 피리벤족심, (B-15.8) 피리프탈리드, (B-15.9) 피리미노박-메틸, (B-15.10) 피리티오박-소듐, (B-15.11) 피리미설판;
(B-16) S-(N-아릴-N-알킬카바모일메틸)디티오포스폰산 에스테르, 예컨대 (B-16.1) 아닐로포스;
(B-17) 트리아지논, 예를 들어 (B-17.1) 헥사지논, (B-17.2) 메타미트론, (B-17.3) 메트리부진;
(B-18) 피리딘카복실산, 예를 들어 (B-18.1) 아미노피랄리드, (B-18.2) 클로피랄리드, (B-18.3) 플루록시피르, (B-18.4) 피클로람 및 (B-18.5) 트리클로피르;
(B-19) 피리딘, 예를 들어 (B-19.1) 디티오피르 및 (B-19.2) 티아조피르;
(B-20) 피리딘카복사미드, 예를 들어 (B-20.1) 디플루페니칸 및 (B-20.1) 피콜리나펜;
(B-21) 1,3,5-트리아진, 예를 들어 (B-21.1) 아메트린, (B-21.2) 아트라진, (B-21.3) 시아나진, (B-21.4) 디메타메트린, (B-21.5) 프로메톤, (B-21.6) 프로메트린, (B-21.7) 프로파진, (B-21.8) 시마진, (B-21.9) 사이메트린, (B-21.10) 테르부메톤, (B-21.11) 테르부틸라진, (B-21.12) 테르부트린 및 (B-21.13) 트리에타진;
(B-22) 케토에놀, 예를 들어 (B-22.1) 피녹사덴;
(B-23) 피라졸, 예를 들어 (B-23.1) 피록사설폰.
그룹 (B-1) 내지 (B-23)의 제초제는, 예를 들어, 각각의 상기 언급된 문헌 및 "The Pesticide Manual",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14th Edition, 2006, 또는 e-Pesticide Manual, Version 4.0,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2006 또는 "Compendium of Pesticide Common Names"에 의해 공지되었다.
구조 형태에 따라 기술된 일부 제초제는 또한 작용 방식에서 구조가 겹치는 특성을 공유하며, 일부는 또한 화학식 (I)의 피리미디닐부탄올과 배합시 그의 거동이 서로 유사하다.
화학식 (I)의 피리미디닐부탄올과 배합될 수 있는 적합한 그룹 (B)의 제초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B-A) 해로운 작용이 수 일 또는 수 주에 걸쳐 전개되는 제초제, 예를 들면,
(B-A.1) 클로로필의 형성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제초제(표백제로 작용하는 제초제), 예를 들어
(B-A.1.1) 하이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 디옥시게나제 억제제(HPPD 억제제), 예컨대 (B-A.1.1.1) 설코트리온, (B-A.1.1.2) 2-(2-니트로벤조일)-4,4-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 (EP-A 0 274 634), (B-A.1.1.3) 2-(2-니트로-3-메틸설포닐벤조일)-4,4-디메틸사이클로헥산-1,3-디온 (WO 91/13548), (B-A.1.1.4) 메소트리온, (B-A.1.1.5) 2-[2-클로로-3-(5-시아노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6) 2-[2-클로로-3-(5-시아노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7) 2-[2-클로로-3-(5-에톡시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8) 2-[2-클로로-3-(5-에톡시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9) 2-[2-클로로-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10) 템보트리온, (B-A.1.1.11) 2-[2-클로로-3-[(2,2-디플루오로에톡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12) 2-[2-클로로-3-[(2,2-디플루오로에톡시)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13) 2-[2-클로로-3-[(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14) 2-[2-클로로-3-[(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15) 2-[2-클로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16) 2-[2-클로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17) 2-[2-클로로-3-(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18) 2-[2-클로로-3-(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테푸릴트리온), (B-A.1.1.19) 2-[2-클로로-3-[2-(2-메톡시에톡시)에톡시메틸]-4-(에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20) 2-[2-클로로-3-[2-(2-메톡시에톡시)에톡시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1,3-사이클로헥산디온, (B-A.1.1.21) 3-({2-[(2-메톡시에톡시)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카보닐)바이사이클로-[3.2.1]-옥탄-2,4-디온 (WO 2001094339), (B-A.1.1.22) 이속사플루톨, (B-A.1.1.23) 벤조페나프, (B-A.1.1.24) 피라졸리네이트, (B-A.1.1.25) 피라족시펜, (B-A.1.1.26) 5-하이드록시-1-메틸-4-[2-(메틸설포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라졸 (WO 01/74785), (B-A.1.1.27) 1-에틸-5-하이드록시-4-[2-(메틸설포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라졸 (WO 01/74785), (B-A.1.1.28) 1,3-디메틸-5-하이드록시-4-[2-(메틸설포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라졸 (WO 01/74785), (B-A.1.1.29) 피라설포톨, (B-A.1.1.30) 5-하이드록시-1-메틸-4-[2-클로로-3-(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4-메틸설포닐벤조일]피라졸 (WO 99/58509), (B-A.1.1.31) 5-하이드록시-1-메틸-4-[3-(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2-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피라졸 (WO 99/58509), (B-A.1.1.32) 토프라메존, (B-A.1.1.33) 3-사이클로프로필-5-하이드록시-1-메틸-4-[2-메틸-4-메틸설포닐-3-(2-메톡시에틸아미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34) 5-벤족시-1-에틸-4-[2-메틸-4-메틸설포닐-3-(2-메톡시에틸아미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35) 1-에틸-5-하이드록시-4-(3-디메틸아미노-2-메틸-4-메틸설포닐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36) 5-하이드록시-1-메틸-4-(2-클로로-3-디메틸아미노-4-메틸설포닐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37) 1-에틸-5-하이드록시-4-(3-알릴아미노-2-클로로-4-메틸설포닐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38) 1-에틸-5-하이드록시-4-(2-메틸-4-메틸설포닐-3-모르폴리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39) 5-하이드록시-1-이소프로필-4-(2-클로로-4-메틸설포닐-3-모르폴리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40) 3-사이클로프로필-5-하이드록시-1-메틸-4-(2-클로로-4-메틸설포닐-3-모르폴리노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41) 1,3-디메틸-5-하이드록시-4-(2-클로로-4-메틸설포닐-3-피라졸-1-일-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42) 1-에틸-5-하이드록시-3-메틸-4-(2-클로로-4-메틸설포닐-3-피라졸-1-일-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43) 1-에틸-5-하이드록시-4-(2-클로로-4-메틸설포닐-3-피라졸-1-일벤조일)피라졸 (WO 96/26206), (B-A.1.1.44) (5-하이드록시-1-메틸-1H-피라졸-4-일)(3,3,4-트리메틸-1,1-디옥시도-2,3-디하이드로-1-벤조티엔-5-일)메타논 (US-A 2002/0016262), (B-A.1.1.45) 1-메틸-4-[(3,3,4-트리메틸-1,1-디옥시도-2,3-디하이드로-1-벤조티엔-5-일)카보닐]-1H-피라졸-5-일프로판-1-설포네이트 (WO 2002/015695), (B-A.1.1.46) 벤조바이사이클론 및 (B-A.1.1.47) 이속사클로르톨;
(B-A.1.2) 파이토엔 불포화효소 억제제를 포함한 카로테노이드 생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B-A.1.2.1) 노르플루라존, (B-A.1.2.2) 베플루부타미드, (B-A.1.2.3) 플루리돈, (B-A.1.2.4) 플루로클로리돈, (B-A.1.2.5) 플루르타몬, (B-A.1.2.6) 아미트롤, (B-A.1.2.7) 클로마존, (B-A.1.2.8) 아클로니펜, (B-A.1.2.9) 디플루페니칸 및 (B-A.1.2.10) 피콜리나펜,
(B-A.1.3) 디하이드로프테로에이트 신타아제(DHP 신타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B-A.1.3.1) 아술람;
(B-A.2) 아미노산 합성을 방해하는 제초제, 예를 들어
(B-A.2.1) 식물의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B-A.2.1.1) 클로르설푸론, (B-A.2.1.2) 클로리무론-에틸, (B-A.2.1.3) 메트설푸론-메틸, (B-A.2.1.4) 트리아설푸론, (B-A.2.1.5) 설포메투론-메틸, (B-A.2.1.6) 트리베누론-메틸, (B-A.2.1.7) 벤설푸론-메틸, (B-A.2.1.8) 프리미설푸론-메틸, (B-A.2.1.9) 3-(4-에틸-6-메톡시-1,3,5-트리아진-2-일)-1-(2,3-디하이드로-1,1-디옥소-2-메틸벤조-[b]티오펜-7-설포닐)우레아 (EP-A 0 796 83), (B-A.2.1.10) 3-(4-에톡시-6-에틸-1,3,5-트리아진-2-일)-1-(2,3-디하이드로-1,1-디옥소-2-메틸벤조[b]-티오펜-7-설포닐)우레아 (EP-A 0 079 683), (B-A.2.1.11) 3-(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1-(2-메톡시카보닐-5-요오도-페닐설포닐)우레아 (WO 92/13845), (B-A.2.1.11a) 화합물 (B-A.2.1.11)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11b) 요오도설푸론-메틸-소듐, (B-A.2.1.12) 트리플루설푸론-메틸, (B-A.2.1.13) 옥사설푸론, (B-A.2.1.14) 메소설푸론-메틸, (B-A.2.1.14a) 화합물 (B-A.2.1.14)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14b) 화합물 (B-A.2.1.14)의 나트륨 염, (B-A.2.1.15) 포람설푸론, (B-A.2.1.15a) 화합물 (B-A.2.1.15)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15b) 화합물 (B-A.2.1.15)의 나트륨 염, (B-A.2.1.16) 시노설푸론, (B-A.2.1.17) 에타메트설푸론-메틸, (B-A.2.1.18) 프로설푸론, (B-A.2.1.19) 설포메투론-메틸, (B-A.2.1.20) 트리토설푸론, (B-A.2.1.21) 모노설푸론), (B-A.2.1.22) 메틸 2-[({[4-메톡시-6-(메틸티오)피리미딘-2-일]카바모일}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B-A.2.1.23) 티펜설푸론-메틸, (B-A.2.1.24) 피라조설푸론-에틸, (B-A.2.1.25) 할로설푸론-메틸, (B-A.2.1.26) 메틸 5-(4,6-디메틸피리미딘-2-일카바모일설파모일)-1-(2-피리딜)피라졸-4-카복실레이트 (NC-330, 참조: Brighton Crop Prot. Conference 'Weeds' 1991, Vol. 1, p. 45 et seq.), (B-A.2.1.27) 아짐설푸론, (B-A.2.1.28) 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바모일]-4-(5,5-디메틸-4,5-디하이드로이속사졸-3-일)-1,3-디메틸-1H-피라졸-5-설폰아미드, (B-A.2.1.29) 아미도설푸론, (B-A.2.1.29a) 화합물 (B-A.2.1.29)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29b) 화합물 (B-A.2.1.29)의 나트륨 염, (B-A.2.1.29c) EP-A 0 131 258 및 Z. Pfl. Krankh. Pfl. Schutz, 특별판 XII, 489-497 (B-A990)에 따른 아미도설푸론의 구조 유사체, (B-A.2.1.30) 니코설푸론, (B-A.2.1.31) 림설푸론, (B-A.2.1.32) 플루피르설푸론-메틸-소듐, (B-A.2.1.33) 3-(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1-(3-N-메틸설포닐-N-메틸아미노피리딘-2-일)설포닐우레아 (DE-A 40 00 503 및 DE-A 40 30 577), (B-A.2.1.33a) 화합물 (B-A.2.1.33)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33b) 화합물 (B-A.2.1.33)의 나트륨 염, (B-A.2.1.34) 플라자설푸론, (B-A.2.1.35) 트리플록시설푸론-소듐, (B-A.2.1.36) 플루세토설푸론, (B-A.2.1.37) 에톡시설푸론, (B-A.2.1.37a) 화합물 (B-A.2.1.37)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37b) 화합물 (B-A.2.1.37)의 나트륨 염, (B-A.2.1.38) 설포-설푸론, (B-A.2.1.39) 이마조설푸론, (B-A.2.1.40) 2-클로로-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바모일]-6-프로필이미다조[1,2-b]피리다진-3-설폰아미드, (B-A.2.1.41) 사이클로설파무론, (B-A.2.1.42) 오르토설파무론, (B-A.2.1.43) 이미자메타벤즈-메틸, (B-A.2.1.44) 이미자픽, (B-A.2.1.45) 이미자목스, (B-A.2.1.46) 이미자피르, (B-A.2.1.47) 이미자퀸 및 (B-A.2.1.48) 이마제타피르, (B-A.2.1.49) 클로란술람-메틸, (B-A.2.1.50) 디클로술람, (B-A.2.1.51) 플로라술람, (B-A.2.1.52) 플루메트술람, (B-A.2.1.53) 메토술람, (B-A.2.1.54) 페녹스술람, (B-A.2.1.55) 피록스술람, (B-A.2.1.56) 4,5-디하이드로-3-메톡시-4-메틸-5-옥소-N-(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설포닐)-1H-1,2,4-트리아졸-1-카복사미드, (B-A.2.1.56a) 화합물 (B-A.2.1.56)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56b) 플루카바존-소듐, (B-A.2.1.57) 메틸 2-(4,5-디하이드로-4-메틸-5-옥소-3-프로폭시-1H-1,2,4-트리아졸-1-일)-카복사미도설포닐벤조에이트, (B-A.2.1.57a) 화합물 (B-A.2.1.57)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57b) 프로폭시카바존-소듐, (B-A.2.1.58) 티엔카바존-메틸, (B-A.2.1.59) 벤질 3-(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피리딘-2-카복실레이트 (EP-A 0 249 707), (B-A.2.1.60) 메틸 3-(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피리딘-2-카복실레이트 (EP-A 0 249 707), (B-A.2.1.61) 1-(에톡시카보닐옥시에틸) 2,6-비스-[(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벤조에이트 (EP-A 0 472 113), (B-A.2.1.62) 2,6-비스[(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벤조산, (B-A.2.1.62a) 화합물 (B-A.2.1.62)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62b) 비스피리박-소듐, (B-A.2.1.63) 피리밤벤즈-이소프로필, (B-A.2.1.64) 피리밤벤즈-프로필, (B-A.2.1.65) 피리벤족심, (B-A.2.1.66) 피리프탈리드, (B-A.2.1.67) 피리미노박-메틸, (B-A.2.1.68) 2-클로로-6-(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티오)벤조산, (B-A.2.1.68a) 화합물 (B-A.2.1.68)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68b) 피리티오박-소듐, 및 (B-A.2.1.69) 피리미설판;
(B-A.2.2) EPSP 신타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B-A.2.2.1) 글리포세이트, (B-A.2.2.1a) 화합물 (B-A.2.2.1)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1.1b) 글리포세이트-소듐, (B-A.2.1.1c)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 (B-A.2.2.2) 설포세이트;
(B-A.2.3) 글루타민 합성효소 억제제, 예를 들어, (B-A.2.3.1) 비알라포스 (= 빌라나포스), (B-A.2.3.2) 글루포시네이트, (B-A.2.3.1a) 화합물 (B-A.2.3.1)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염, (B-A.2.3.1b) 글루포시네이트-나트륨 염, (B-A.2.3.1c)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B-A.3) 식물의 지질 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B-A.3.1) 아세틸-조효소 카복실라아제 (ACCase) 억제제, 예를 들어 (B-A.3.1.1) 디클로포프-메틸, (B-A.3.1.1a) 디클로포프-P-메틸, (B-A.3.1.2) 메틸 2-(4-(4-브로모-2-클로로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 26 01 548), (B-A.3.1.3) 메틸 2-(4-(4-브로모-2-플루오로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US-A 4,808,750), (B-A.3.1.4) 메틸 2-(4-(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 24 33 067), (B-A.3.1.5) 메틸 2-(4-(2-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US 4,808,750), (B-A.3.1.6) 메틸 2-(4-(2,4-디클로로벤질)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 24 17 487), (B-A.3.1.7) 에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펜트-2-에노에이트, (B-A.3.1.8) 메틸 2-(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 24 33 067), (B-A.3.1.9) 시할로포프-부틸, (B-A.3.1.10) 에틸 2-(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EP-A 0 002 925), (B-A.3.1.11) 프로파길 2-(4-(3,5-디클로로피리딜-2-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EP-A 0 003 114), (B-A.3.1.12) 할록시포프, (B-A.3.1.12a) 할록시포프-메틸, (B-A.3.1.12b) 할록시포프-에토틸, (B-A.3.1.12c) 할록시포프-소듐, (B-A.3.1.12d) 할록시포프-P, (B-A.3.1.12e) 할록시포프-P-메틸, (B-A.3.1.12f) 할록시포프-P-에토틸, (B-A.3.1.12g) 할록시포프-P-소듐, (B-A.3.1.13) 에틸 2-(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EP-A 0 003 890), (B-A.3.1.14) 클로디나포프-프로파길, (B-A.3.1.15) 플루아지포프-부틸, (B-A.3.1.15a) 플루아지포프-P-부틸, (B-A.3.1.16) (R)-2-[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 (B-A.3.1.17) 퀴잘로포프, (B-A.3.1.17a) 퀴잘로포프-P, (B-A.3.1.17b) 퀴잘로포프-에틸, (B-A.3.1.17c) 퀴잘로포프-메틸, (B-A.3.1.17d) 퀴잘로포프-테푸릴, (B-A.3.1.17e) 퀴잘로포프-P-에틸, (B-A.3.1.17f) 퀴잘로포프-P-메틸, (B-A.3.1.17g) 퀴잘로포프-P-테푸릴, (B-A.3.1.18) 프로파퀴자포프, (B-A.3.1.19) 메틸 2-(4-(6-플루오로-2퀴녹살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참조: J. Pest. Sci. 1985, 10, 61), (B-A.3.1.20) 페녹사프로프, (B-A.3.1.20a) 페녹사프로프-에틸, (B-A.3.1.20b) 페녹사프로프-P, (B-A.3.1.20c) 페녹사프로프-P-에틸, (B-A.3.1.21) 에틸 2-(4-(6-클로로벤조티아졸-2-일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DE-A-26 40 730), (B-A.3.1.22) 메타미포프, (B-A.3.1.23) 알록시딤(-소듐), (B-A.3.1.24) 부트록시딤, (B-A.3.1.25) 클레토딤, (B-A.3.1.26) 클로프록시딤, (B-A.3.1.27) 사이클록시딤, (B-A.3.1.28) 프로폭시딤, (B-A.3.1.29) 세톡시딤, (B-A.3.1.30) 테프랄록시딤, (B-A.3.1.31) 트랄콕시딤 및 (B-A.3.1.32) 피녹사덴;
(B-A.3.2) ACCase 억제제와 상이한 작용 기전을 가지는 지질 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B-A.3.2.1) S-에틸 N,N-디프로필티오카바메이트 (EPTC), (B-A.3.2.2) S-에틸 N,N-디이소부틸티오카바메이트 (부틸레이트), (B-A.3.2.3) 티오벤카브 = 벤티오카브, (B-A.3.2.4) 사이클로에이트, (B-A.3.2.5) 디메피레이트, (B-A.3.2.6) 에스프로카브, (B-A.3.2.7) 몰리네이트, (B-A.3.2.8) 오르벤카브, (B-A.3.2.9) 페불레이트, (B-A.3.2.10) 프로설포카브, (B-A.3.2.11) 티오카바질, (B-A.3.2.12) 트리알레이트, (B-A.3.2.13) 베르놀레이트, (B-A.3.2.14) 벤술리드, (B-A.3.2.15) 벤푸레세이트, (B-A.3.2.16) 에토푸메세이트, (B-A.3.2.17) TCA, (B-A.3.2.18) 달라폰 및 (B-A.3.2.19) 플루프로파네이트,
(B-A.4) 세포 분열 및 세포 분화 억제제, 예를 들어
(B-A.4.1) 세포벽 합성 억제제(셀룰로스 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B-A.4.1.1) 디클로베닐, (B-A.4.1.2) 클로르티아미드, (B-A.4.1.3) 이속사벤, (B-A.4.1.4) 플루폭삼 및 (B-A.4.1.5) 트리아지플람;
(B-A.4.2) 미소관 억제제(미소관 및 그의 조직 형성 억제제), 예컨대 (B-A.4.2.1) 베네핀 = 벤플루랄린, (B-A.4.2.2) 부트랄린, (B-A.4.2.3) 디니트라민, (B-A.4.2.4) 에탈플루랄린, (B-A.4.2.5) 오리잘린, (B-A.4.2.6) 펜디메탈린, (B-A.4.2.7) 트리플루랄린, (B-A.4.2.8) 아미프로포스-메틸, (B-A.4.2.9) 부타미포스, (B-A.4.2.10) 프로피자미드 = 프론아미드, (B-A.4.2.11) 테부탐, (B-A.4.2.12) DCPA = 클로르탈-디메틸, (B-A.4.2.13) 클로르프로팜, (B-A.4.2.14) 프로팜, (B-A.4.2.15) 카베타미드, (B-A.4.2.16) 디티오피르 및 (B-A.4.2.17) 티아조피르;
(B-A.4.3) 유사분열 또는 미소관 조직 억제제, 예컨대 (B-A.4.3.1) 클로르프로팜, (B-A.4.3.2) 프로팜, (B-A.4.3.3) 카베타미드;
(B-A.4.4) 매우 긴 쇄의 지방산(VLCFA) 합성 억제제, 예컨대 (B-A.4.4.1) 아세토클로르, (B-A.4.4.2) 알라클로르, (B-A.4.4.3) 부타클로르, (B-A.4.4.4) 디메타클로르, (B-A.4.4.5) 디메텐아미드, (B-A.4.4.6) 메타자클로르, (B-A.4.4.7) 메톨라클로르, (B-A.4.4.8) S-메톨라클로르, (B-A.4.4.9) 페톡사미드, (B-A.4.4.10) 프레틸라클로르, (B-A.4.4.11) 프로파클로르, (B-A.4.4.12) 프로피소클로르, (B-A.4.4.13) 테닐클로르, (B-A.4.4.14) 디펜아미드, (B-A.4.4.15) 나프로파미드, (B-A.4.4.16) 나프로아닐리드, (B-A.4.4.17) 플루페나세트, (B-A.4.4.18) 메페나세트, (B-A.4.4.19) 펜트라자미드, (B-A.4.4.20) 카펜스트롤, (B-A.4.4.21) 피페로포스, (B-A.4.4.22) S-(N-아릴-N-알킬카바모일메틸)디티오포스포네이트 및 (B-A.4.4.22a) S-[N-(4-클로로페닐)-N-이소프로필카바모일메틸] O,O-디메틸 디티오포스페이트 (아닐로포스);
(B-A.5) 광합성 붕괴 제초제, 예컨대 (B-A.5.1) 광합성 II 시스템 억제제, 예컨대 (B-A.5.1.1) 데스메트린, (B-A.5.1.2) 브로마실, (B-A.5.1.3) 레나실, (B-A.5.1.4) 테르바실, (B-A.5.1.5) 피라존 = 클로리다존, (B-A.5.1.6) 데스메디팜, (B-A.5.1.7) 펜메디팜, (B-A.5.1.8) 클로로브로무론, (B-A.5.1.9) 클로로톨루론, (B-A.5.1.10) 클로록수론, (B-A.5.1.11) 디메푸론, (B-A.5.1.12) 디우론, (B-A.5.1.13) 에티디무론, (B-A.5.1.14) 페누론, (B-A.5.1.15) 플루오메투론, (B-A.5.1.16) 이소프로투론, (B-A.5.1.17) 이소우론, (B-A.5.1.18) 리누론, (B-A.5.1.19) 메타벤즈티아주론, (B-A.5.1.20) 메토브로무론, (B-A.5.1.21) 메톡수론, (B-A.5.1.22) 모노리누론, (B-A.5.1.23) 네부론, (B-A.5.1.24) 시두론, (B-A.5.1.25) 테부티우론, (B-A.5.1.26) 프로파닐, (B-A.5.1.27) 펜타노클로르, (B-A.5.1.28) 브로모페녹심, (B-A.5.1.29) 브로목시닐, (B-A.5.1.30) 이옥시닐, (B-A.5.1.31) 벤타존, (B-A.5.1.32) 피리데이트, (B-A.5.1.33) 피리다폴, (B-A.5.1.34) 4-아미노-N-tert-부틸-4,5-디하이드로-3-이소프로필-5-옥소-1,2,4-1H-트리아졸-1-카복사미드 (아미카바존), (B-A.5.1.35) 3-사이클로헥실-6-디메틸아미노-1-메틸-1,3,5-트리아진-2,4-(B-AH,3H)-디온 (헥사지논), (B-A.5.1.36) 4-아미노-4,5-디하이드로-3-메틸-6-페닐-1,2,4-트리아진-5-온 (메타미트론), (B-A.5.1.37) 4-아미노-6-tert-부틸-4,5-디하이드로-3-메틸티오-1,2,4-트리아진-5-온 (메트리부진), (B-A.5.1.38) 아메트린, (B-A.5.1.39) 아트라진, (B-A.5.1.40) 시아나진, (B-A.5.1.41) 디메타메트린, (B-A.5.1.42) 프로메톤, (B-A.5.1.43) 프로메트린, (B-A.5.1.44) 프로파진, (B-A.5.1.45) 시마진, (B-A.5.1.46) 사이메트린, (B-A.5.1.47) 테르부메톤, (B-A.5.1.48) 테르부틸라진, (B-A.5.1.49) 테르부트린 및 (B-A.5.1.50) 트리에타진;
(B-A.6) 호르몬-유사 효과로 식물 발생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는 제초제, 예컨대 (B-A.6.1) 클로메프로프, (B-A.6.2) 2,4-D, (B-A.6.3) 2,4-DB, (B-A.6.4) 디클로르프로프 = 2,4-DP, (B-A.6.5) MCPA, (B-A.6.6) MCPB, (B-A.6.7) 메코프로프 = MCPP = CMPP, (B-A.6.8) 클로람벤, (B-A.6.9) 디캄바, (B-A.6.10) TBA, (B-A.6.11) 퀸클로락, (B-A.6.12) 퀸메락, (B-A.6.13) 베나졸린-에틸, (B-A.6.14) 나프탈람, (B-A.6.15) 디플루펜조피르-Na, (B-A.6.16) 아미노피랄리드, (B-A.6.17) 클로피랄리드, (B-A.6.18) 플루록시피르 (-멥틸), (B-A.6.19) 피클로람, (B-A.6.20) 트리클로피르, (B-A.6.21) 포르클로르페누론 및 (B-A.6.22) 티디아주론;
(B-A.7) 작용 기전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제초제, 예컨대 (B-A.7.1) 플람프로프-M-메틸 /-이소프로필, (B-A.7.2) 디펜조쿠아트, (B-A.7.3) DSMA, (B-A.7.4) MSMA, (B-A.7.5) 브로모부타이드, (B-A.7.6) (클로로)-플루레놀 (-메틸), (B-A.7.7) 신메틸린, (B-A.7.8) 쿠밀우론, (B-A.7.9) 다조메트, (B-A.7.10) 딤론 = 다이무론, (B-A.7.11) 메틸-디무론= 메틸-딤론, (B-A.7.12) 에토벤자니드, (B-A.7.13) 포사민, (B-A.7.14) 인다노판, (B-A.7.15) 메탐, (B-A.7.16) 옥사지클로메폰 및 (B-A.7.17) 피리부티카브;
(B-B) 해로운 작용을 신속히 개시하는 제초제, 예를 들어
(B-B.1) 광 시스템 I에서의 전자 전달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제초제, 예컨대 (B-B.1.1) 디쿠아트, (B-B.1.1a) 디쿠아트 디브로마이드, (B-B.1.2) 파라쿠아트, (B-B.1.2a) 파라쿠아트 디클로라이드;
(B-B.2) 프로토포르피린 옥시다아제 억제제, 예컨대 (B-B.2.1) 아시플루오르펜-Na, (B-B.2.2) 비페녹스, (B-B.2.3) 클로메톡시펜, (B-B.2.4)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B-B.2.5) 포메사펜, (B-B.2.6) 할로사펜, (B-B.2.7) 락토펜, (B-B.2.8) 옥시플루오르펜, (B-B.2.9) 플루아졸레이트, (B-B.2.10) 피라플루펜-에틸, (B-B.2.11) 시니돈/-메틸/-에틸, (B-B.2.12) 플루미옥사진, (B-B.2.13) 플루미클로락-펜틸, (B-B.2.14) 플루티아세트-메틸, (B-B.2.15) 티디아지민, (B-B.2.16) 옥사디아존, (B-B.2.17) 옥사디아르길, (B-B.2.18) 펜톡사존, (B-B.2.19) 벤즈펜디존, (B-B.2.20) 부타페나실, (B-B.2.21) 피라클로닐, (B-B.2.22) 프로플루아졸, (B-B.2.23) 플루펜피르-에틸, (B-B.2.24) 아자페니딘, (B-B.2.25) 카펜트라존-에틸, (B-B.2.26) 설펜트라존 및 (B-B.2.27) 벤카바존;
(B-B.3) 식물의 세포막 파괴제, 예컨대 (B-B.3.1) DNOC, (B-B.3.2) 디노셉 및 (B-B.3.3) 디노테르브;
(B-B.4) 미지 작용 기전의 제초제, 예컨대 (B-B.4.1) 올레산 및 (B-B.4.2) 펠라르곤산.
상기 언급된 그룹 (B-A) 및 (B-B) 및 그의 서브그룹의 제초제는 각각의 상기 언급된 문헌에 의해 공지되었으며, 예를 들어, "The Pesticide Manual",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14th Edition, 2006, 또는 상응하는 e-Pesticide Manual, version 4.0,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2006 또는 "Compendium of Pesticide Common Names"(인터넷을 통해 이용가능)에서 그의 화학명, 또는 상업 제품인 경우에는 주어진 관용명에 의해 정의된다.
상업적 활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지정된 화합물의 특정 염 또는 에스테르 형태로 존재하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제시되지 않는 경우에라도 통상의 상업적 형태도 포함한다.
일부의 경우, 제초제 그룹 (B-A) 및 (B-B) 및 그의 서브그룹은 다양한 구조 계통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언급된 그룹 (B-A) 및 (B-B)의 그룹 또는 서브그룹의 동일한 구조 계통으로부터의 각각의 제초제는 각 경우 각각의 작용 기전 또는 현상학적 그룹내에서 더욱 바람직한 서브그룹을 형성한다.
화합물 (I-1)과 제초제 그룹 (B-A), (B-A.1), (B-A.1.1), (B-A.1.2), (B-A.1.3), (B-A.2), (B-A.2.1), (B-A.2.2), (B-A.3), (B-A.3.1), (B-A.3.2), (B-A.4), (B-A.4.1), (B-A.4.2), (B-A.4.3), (B-A.4.4), (B-A.5), (B-A.5.1), (B-A.6), (B-A.7), (B-B), (B-B.1), (B-B.2), (B-B.3) 및 (B-B.4)의 그룹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I-2)와 제초제 그룹 (B-A), (B-A.1), (B-A.1.1), (B-A.1.2), (B-A.1.3), (B-A.2), (B-A.2.1), (B-A.2.2), (B-A.3), (B-A.3.1), (B-A.3.2), (B-A.4), (B-A.4.1), (B-A.4.2), (B-A.4.3), (B-A.4.4), (B-A.5), (B-A.5.1), (B-A.6), (B-A.7), (B-B), (B-B.1), (B-B.2), (B-B.3) 및 (B-B.4)의 그룹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I-3)과 제초제 그룹 (B-A), (B-A.1), (B-A.1.1), (B-A.1.2), (B-A.1.3), (B-A.2), (B-A.2.1), (B-A.2.2), (B-A.3), (B-A.3.1), (B-A.3.2), (B-A.4), (B-A.4.1), (B-A.4.2), (B-A.4.3), (B-A.4.4), (B-A.5), (B-A.5.1), (B-A.6), (B-A.7), (B-B), (B-B.1), (B-B.2), (B-B.3) 및 (B-B.4)의 그룹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I-4)와 제초제 그룹 (B-A), (B-A.1), (B-A.1.1), (B-A.1.2), (B-A.1.3), (B-A.2), (B-A.2.1), (B-A.2.2), (B-A.3), (B-A.3.1), (B-A.3.2), (B-A.4), (B-A.4.1), (B-A.4.2), (B-A.4.3), (B-A.4.4), (B-A.5), (B-A.5.1), (B-A.6), (B-A.7), (B-B), (B-B.1), (B-B.2), (B-B.3) 및 (B-B.4)의 그룹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I-5)와 제초제 그룹 (B-A), (B-A.1), (B-A.1.1), (B-A.1.2), (B-A.1.3), (B-A.2), (B-A.2.1), (B-A.2.2), (B-A.3), (B-A.3.1), (B-A.3.2), (B-A.4), (B-A.4.1), (B-A.4.2), (B-A.4.3), (B-A.4.4), (B-A.5), (B-A.5.1), (B-A.6), (B-A.7), (B-B), (B-B.1), (B-B.2), (B-B.3) 및 (B-B.4)의 그룹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룹 (C):
적합한 식물 성장 조절제(PGR)는 식물 또는 그의 열매의 발아, 성장, 성숙 및 숙성 또는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화합물 또는 혼합물이다. 이들 식물 성장 조절제는 하기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하위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C-1) 항옥신, 예컨대 (C-1.1) 클로피브린 [2-(4-클로르페녹시)-2-메틸프로판산] 및 (C-1.2) 2,3,5-트리요오도벤조산;
(C-2) 옥신, 예컨대 (C-2.1) 4-CPA (4-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C-2.2) 2,4-D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C-2.3) 2,4-DB [4-(2,4-디클로로페녹시)부탄산], (C-2.4) 2,4-DEP {트리스[2-(2,4-디클로로페녹시)에틸]포스파이트}, (C-2.5) 디클로르프로프, (C-2.6) 페노프로프, (C-2.7) IAA (β-인돌아세트산), (C-2.8) IBA (4-인돌-3-일부탄산), (C-2.9) 나프탈린아세트아미드, (C-2.10) α-나프탈린아세트산, (C-2.11) 1-나프톨, (C-2.12) 나프톡시아세트산, (C-2.13) 나프탄산칼륨, (C-2.14) 나프탄산나트륨, (C-2.15) 2,4,5-T [(2,4,5-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C-3) 사이토카인, 예컨대 (C-3.1) 2iP [N-(3-메틸부트-2-에닐)-1H-퓨린-6-아민], (C-3.2) 벤질아데닌, (C-3.3) 키네틴, (C-3.3) 제아틴;
(C-4) 고엽제, 예컨대 (C-4.1) 칼슘 시아나미드, (C-4.2) 디메티핀, (C-4.3) 엔도탈, (C-4.4) 에테폰, (C-4.5) 메르포스, (C-4.6) 메톡수론, (C-4.7) 펜타클로로페놀, (C-4.8) 티디아주론, (C-4.9) 트리부포스;
(C-5) 에틸렌 억제제, 예컨대 (C-5.1) 아비글리신, (C-5.2) 아비글리신-하이드로클로라이드, (C-5.3) 1-메틸사이클로프로펜;
(C-6) 에틸렌 생성제, 예컨대 (C-6.1) ACC (1-아미노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산), (C-6.2) 에타셀라실, (C-6.3) 에테폰, (C-6.4) 글리옥심;
(C-7) 지베렐린, 예컨대 지베렐린 A1 (C-7.1), A4 (C-7.2), A7 (C-7.3), (C-7.4) 지베렐린산 (= 지베렐린 A3);
(C-8) 성장 억제제, 예컨대 (C-8.1) 아브시스산, (C-8.2) 안시미돌, (C-8.3) 부트랄린, (C-8.4) 카바릴, (C-8.5) 클로르포늄 또는 (C-8.5A) 그의 클로라이드, (C-8.6) 클로르프로팜, (C-8.7) 디케굴락, (C-8.8) 디케굴락-소듐, (C-8.9) 플루메트랄린, (C-8.10) 플루오리다미드, (C-8.11) 포사민, (C-8.12) 글리포신, (C-8.13) 이소피리몰, (C-8.14) 자스몬산, (C-8.15) 말레산 히드라지드 또는 (C-8.15A) 그의 포타슘 염, (C-8.16) 메피쿠아트 또는 (C-8.16A) 그의 클로라이드, (C-8.17) 피프록타닐 또는 (C-8.17A) 그의 브로마이드, (C-8.18) 프로하이드로자스몬, (C-8.19) 프로팜, (C-8.20) 2,3,5-트리요오도벤조산;
(C-9) 모르팍틴, 예컨대 (C-9.1) 클로르플루렌, (C-9.2) 클로르플루레놀, (C-9.3) 클로르플루레놀-메틸, (C-9.4) 디클로로플루레놀, (C-9.5) 플루레놀;
(C-10) 성장 지연제/변경제, 예컨대 (C-10.1) 클로르메쿠아트, (C-10.2) 클로르메쿠아트-클로라이드, (C-10.3) 다미노지드, (C-10.4) 플루르프리미돌, (C-10.5) 메플루이디드, (C-10.6) 메플루이디드-디올아민, (C-10.7) 파클로부트라졸, (C-10.8) 사이프로코나졸, (C-10.9) 테트사이클라시스, (C-10.10) 유니코나졸, (C-10.11) 유니코나졸-P;
(C-11) 성장 촉진제, 예컨대 (C-11.1) 브라시놀리드, (C-11.2) 포르클로르페누론, (C-11.3) 하이멕사졸, (C-11.4) 2-아미노-6-옥시퓨린 유도체, (C-11.5) 인돌리논 유도체, (C-11.6) 3,4-이치환된 말레이미드 유도체 및 (C-11.7) 아제피논 유도체;
(C-12) 비분류 PGR, 예컨대 (C-12.1) 벤조플루오르, (C-12.2) 부미나포스, (C-12.3) 카르본, (C-12.4) 시오부타이드, (C-12.5) 클로펜셋, (C-12.6) 클로펜스-포타슘, (C-12.7) 클록시포낙, (C-12.8) 클록시포낙-소듐, (C-12.9) 사이클라닐리드, (C-12.10) 사이클로헥시미드, (C-12.11) 에포콜레온, (C-12.12) 에티클로제이트, (C-12.13) 에틸렌, (C-12.14) 펜리다존, (C-12.15) 헵토파르길, (C-12.16) 홀로설프, (C-12.17) 이나벤피드, (C-12.18) 카레타잔, (C-12.19) 블레이아르세나트, (C-12.20) 메타설포카브, (C-12.21) 프로헥사디온, (C-12.22) 프로헥사디온-칼슘, (C-12.23) 피다논, (C-12.24) 신토펜, (C-12.25) 트리아펜테놀, (C-12.26) 트리넥사팍 및 (C-12.27) 트리넥사팍-에틸;
(C-13) 기타 PGR, 예컨대 (C-13.1) 2,6-디이소프로필나프탈린, (C-13.2) 클로프로프, (C-13.3) 에틸 1-나프틸아세테이트, (C-13.4) 이소프로티올란, (C-13.5) MCPB-에틸 [에틸 4-(4-클로로-o-톨릴옥시)부타노에이트], (C-13.6) N-아세틸티아졸리딘-4-카복실산, (C-13.7) n-데칸올, (C-13.8) 펠라르곤산, (C-13.9) N-페닐프탈림산, (C-13.10) 테크나젠, (C-13.11) 트리아콘타놀, (C-13.12) 2,3-디하이드로-5,6-디페닐-1,4-옥사티인, (C-13.13) 2-시아노-3-(2,4-디클로로페닐)아크릴산, (C-13.14) 2-히드라지노에탄올, (C-13.15) 알로락, (C-13.16) 아미도클로르, (C-13.17) BTS 44584 [디메틸(4-피페리디노카보닐옥시-2,5-크실릴)설포늄톨루엔-4-설포네이트], (C-13.18) 클로람벤, (C-13.19) 클로르플루렌, (C-13.20) 클로르플루렌-메틸, (C-13.21) 디캄바-메틸, (C-13.22) 디클로르플루레놀, (C-13.23) 디클로르플루레놀-메틸, (C-13.24) 디멕사노, (C-13.25) 에타셀라실, (C-13.26) 헥사플루오로아세톤-트리하이드레이트, (C-13.27) N-(2-에틸-2H-피라졸-3-일)-N'-페닐우레아, (C-13.28) N-m-톨릴프탈람산, (C-13.29) N-피롤리디노숙시남산, (C-13.30) 프로필 3-tert-부틸페녹시아세테이트, (C-13.31) 피다논, (C-13.32) 나트륨 (Z)-3-클로로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클로르메쿠아트, 클로르메쿠아트-클로라이드, 사이클라닐리드, 디메티핀, 에테폰, 플루메트랄린, 플루르프리미돌, 이나벤피드, 메피쿠아트, 메피쿠아트-클로라이드, 1-메틸사이클로프로펜, 파클로부트라졸, 프로헥사디온-칼슘, 프로하이드로자스몬, 트리부포스, 티디아주론, 트리넥사팍, 트리넥사팍-에틸 또는 유니코나졸이 화학식 (I)의 피리미디닐부탄올에 대한 혼합 파트너로 사용된다.
상기 언급된 식물 성장 조절제는 모두 공지되었다[참조: Pesticide Manual, 14th Edition (2006) 및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alanwood.net/pesticides/ index.html하에 요약된 농약 관용명].
그룹 (D)
그룹 (D)의 약해완화제는 일반적으로 (D-1) 4-디클로로아세틸-1-옥사-4-아자스피로[4.5]데칸 (AD-67), (D-2) 디사이클로논, (D-3) 베녹사코르, (D-4) 클로퀸토셋-멕실 (참조: 또한 EP-A-0 086750, EP-A-0 094349, EP-A-0191736, EP-A-0492366에서의 관련 화합물), (D-5) 쿠밀우론, (D-6) 시오메트리닐, (D-7)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4-D), (D-8) 4-(2,4-디클로로페녹시)부티르산 (2,4-DB), (D-9) 다이무론 (딤론), (D-10) 디캄바, (D-11) 디메피레이트, (D-12) 2,2-디클로로-N-(2-옥소-2-(2-프로페닐아미노)에틸)-N-(2-프로페닐)아세트아미드 (DKA-24), (D-13) 디클로르미드, (D-14) 펜클로림, (D-15) 펜클로라졸-에틸 (참조: 또한 EP-A-0174562 및 EP-A-346620에서의 관련 화합물), (D-16) 플루라졸, (D-17) 플룩소페님, (D-18) 푸릴라졸, (D-19) 이속사디펜-에틸 (참조: 또한 WO-A-95/07897에서의 관련 화합물), (D-20) 락티디클로르, (D-21) (4-클로로-o-톨릴옥시)아세트산(MCPA), (D-22) 메코프로프, (D-23) 메펜피르-디에틸 (참조: 또한 WO-A-91/07874에서의 관련 화합물), (D-24) 2-디클로로메틸-2-메틸-1,3-디옥솔란 (MG-191), (D-25) 2-프로페닐-1-옥사-4-아자스피로[4.5]데칸 4-카보디티오에이트 (MG-838), (D-26) 1,8-나프탈산 무수물, (D-27) 옥사베트리닐, (D-28) 2,2-디클로로-N-(1,3-디옥솔란-2-일메틸)-N-(2-프로페닐)아세트아미드 (PPG-1292), (D-29) 3-디클로로아세틸-2,2-디메틸옥사졸리딘 (R-28725), (D-30) 3-디클로로아세틸-2,2,5-트리메틸옥사졸리딘 (R-29148), (D-31) 4-(4-클로로-o-톨릴)부티르산, (D-32) 4-(4-클로로페녹시)부티르산, (D-33) 디페닐메톡시 아세트산, (D-34) 메틸 디페닐메톡시아세테이트, (D-35) 에틸 디페닐메톡시아세테이트, (D-36) 메틸 1-(2-클로로페닐)-5-페닐-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 (D-37) 에틸 1-(2,4-디클로로페닐)-5-메틸-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 (D-38) 에틸 1-(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 (D-39) 에틸 1-(2,4-디클로로페닐)-5-(1,1-디메틸에틸)-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 (D-40) 에틸 1-(2,4-디클로로페닐)-5-페닐-1H-피라졸-3-카복실레이트 (참조: 또한 EP-A-0269806 및 EP-A-0333131에서의 관련 화합물), (D-41) 에틸 5-(2,4-디클로로벤질)-2-이속사졸린-3-카복실레이트, (D-42) 에틸 5-페닐-2-이속사졸린-3-카복실레이트, (D-43) 에틸 5-(4-플루오로페닐)-5-페닐-2-이속사졸린-3-카복실레이트 (참조: 또한 WO-A-91/08202에서의 관련 화합물), (D-44) 1,3-디메틸부트-1-일 5-클로로퀴놀린-8-옥시아세테이트, (D-45) 4-알릴옥시부틸 5-클로로퀴놀린-8-옥시아세테이트, (D-46) 1-알릴옥시프로프-2-일 5-클로로퀴놀린-8-옥시아세테이트, (D-47) 메틸 5-클로로퀴녹살린-8-옥시아세테이트, (D-48) 에틸 5-클로로퀴놀린-8-옥시아세테이트, (D-49) 알릴 5-클로로퀴녹살린-8-옥시아세테이트, (D-50) 2-옥소프로프-1-일 5-클로로퀴놀린-8-옥시아세테이트, (D-51) 디에틸 5-클로로퀴놀린-8-옥시말로네이트, (D-52) 디알릴 5-클로로퀴녹살린-8-옥시말로네이트, (D-53) 디에틸 5-클로로퀴놀린-8-옥시말로네이트 (참조: 또한 EP-A-0582198에서의 관련 화합물), (D-54) 4-카복시크로만-4-일-아세트산(AC-304415, 참조: EP-A-0613618), (D-55) 4-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D-56)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D-57) 1-브로모-4-클로로메틸설포닐벤젠, (D-58) 1-[4-(N-2-메톡시벤조일설파모일)페닐]-3-메틸우레아 (특히 N-(2-메톡시벤조일)-4-[(메틸아미노카보닐)아미노]벤젠설폰아미드), (D-59) 1-[4-(N-2-메톡시벤조일설파모일)페닐]-3,3-디메틸우레아, (D-60) 1-[4-(N-4,5-디메틸벤조일설파모일)페닐]-3-메틸우레아, (D-61) 1-[4-(N-나프틸설파모일)페닐]-3,3-디메틸우레아, (D-62) N-{[4-(사이클로프로필카바모일)페닐]설포닐}-2-메톡시벤즈아미드 (사이프로설파미드), (D-63) N-{[4-(사이클로프로필카바모일)페닐]설포닐}-2-메톡시-5-메틸벤즈아미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작물 상용성 개선 화합물이다.
그룹 (D)의 바람직한 약해완화제는 (D-4) 클로퀸토셋-멕실, (D-5) 쿠밀우론, (D-9) 딤론, (D-11) 디메피레이트, (D-14) 펜클로림, (D-15) 펜클로라졸-에틸, (D-18) 푸릴라졸, (D-19) 이속사디펜-에틸, (D-23) 메펜피르-디에틸, (D-62) N-{[4-(사이클로프로필카바모일)페닐]설포닐}-2-메톡시벤즈아미드 (사이프로설파미드) 및 (D-63) N-{[4-(사이클로프로필카바모일)페닐]설포닐}-2-메톡시-5-메틸벤즈아미드이다.
또, 그룹 (D)에 언급된 약해완화제는, 예를 들어, C.D.S. Tomlin (Ed.), Pesticide Manual, 13th Edition,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Farnham, 2003 (또는 나중 판)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로서 화합물 (I-1) 및 성분 (B), (C) 또는 (D)의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 특히 혼합물 (I-1)+(B-A.1.1.1), (I-1)+(B-A.1.1.2), (I-1)+(B-A.1.1.3), (I-1)+(B-A.1.1.4), (I-1)+(B-A.1.1.5), (I-1)+(B-A.1.1.6), (I-1)+(B-A.1.1.7), (I-1)+(B-A.1.1.8), (I-1)+(B-A.1.1.9), (I-1)+(B-A.1.1.10), (I-1)+(B-A.1.1.11), (I-1)+(B-A.1.1.12), (I-1)+(B-A.1.1.13), (I-1)+(B-A.1.1.14), (I-1)+(B-A.1.1.15), (I-1)+(B-A.1.1.16), (I-1)+(B-A.1.1.17), (I-1)+(B-A.1.1.18), (I-1)+(B-A.1.1.19), (I-1)+(B-A.1.1.20), (I-1)+(B-A.1.1.21), (I-1)+(B-A.1.1.22), (I-1)+(B-A.1.1.23), (I-1)+(B-A.1.1.24), (I-1)+(B-A.1.1.25), (I-1)+(B-A.1.1.26), (I-1)+(B-A.1.1.27), (I-1)+(B-A.1.1.28), (I-1)+(B-A.1.1.29), (I-1)+(B-A.1.1.30), (I-1)+(B-A.1.1.31), (I-1)+(B-A.1.1.32), (I-1)+(B-A.1.1.33), (I-1)+(B-A.1.1.34), (I-1)+(B-A.1.1.35), (I-1)+(B-A.1.1.36), (I-1)+(B-A.1.1.37), (I-1)+(B-A.1.1.38), (I-1)+(B-A.1.1.39), (I-1)+(B-A.1.1.40), (I-1)+(B-A.1.1.41), (I-1)+(B-A.1.1.42), (I-1)+(B-A.1.1.43), (I-1)+(B-A.1.1.44), (I-1)+(B-A.1.1.45), (I-1)+(B-A.1.1.46), (I-1)+(B-A.1.1.47), (I-1)+(B-A.1.2.1), (I-1)+(B-A.1.2.2), (I-1)+(B-A.1.2.3), (I-1)+(B-A.1.2.4), (I-1)+(B-A.1.2.5), (I-1)+(B-A.1.2.6), (I-1)+(B-A.1.2.7), (I-1)+(B-A.1.2.8), (I-1)+(B-A.1.2.9), (I-1)+(B-A.1.2.10), (I-1)+(B-A.1.3.1), (I-1)+(B-A.2.1.1), (I-1)+(B-A.2.1.2), (I-1)+(B-A.2.1.3), (I-1)+(B-A.2.1.4), (I-1)+(B-A.2.1.5), (I-1)+(B-A.2.1.6), (I-1)+(B-A.2.1.7), (I-1)+(B-A.2.1.8), (I-1)+(B-A.2.1.9), (I-1)+(B-A.2.1.10), (I-1)+(B-A.2.1.11), (I-1)+(B-A.2.1.11a), (I-1)+(B-A.2.1.11b), (I-1)+(B-A.2.1.12), (I-1)+(B-A.2.1.13), (I-1)+(B-A.2.1.14), (I-1)+(B-A.2.1.14a), (I-1)+(B-A.2.1.14b), (I-1)+(B-A.2.1.15), (I-1)+(B-A.2.1.15a), (I-1)+(B-A.2.1.15b), (I-1)+(B-A.2.1.16), (I-1)+(B-A.2.1.17), (I-1)+(B-A.2.1.18), (I-1)+(B-A.2.1.19), (I-1)+(B-A.2.1.20), (I-1)+(B-A.2.1.21), (I-1)+(B-A.2.1.22), (I-1)+(B-A.2.1.23), (I-1)+(B-A.2.1.24), (I-1)+(B-A.2.1.25), (I-1)+(B-A.2.1.26), (I-1)+(B-A.2.1.27), (I-1)+(B-A.2.1.28), (I-1)+(B-A.2.1.29), (I-1)+(B-A.2.1.29a), (I-1)+(B-A.2.1.29b), (I-1)+(B-A.2.1.29c), (I-1)+(B-A.2.1.30), (I-1)+(B-A.2.1.31), (I-1)+(B-A.2.1.32), (I-1)+(B-A.2.1.33), (I-1)+(B-A.2.1.33a), (I-1)+(B-A.2.1.33b), (I-1)+(B-A.2.1.34), (I-1)+(B-A.2.1.35), (I-1)+(B-A.2.1.36), (I-1)+(B-A.2.1.37), (I-1)+(B-A.2.1.37a), (I-1)+(B-A.2.1.37b), (I-1)+(B-A.2.1.38), (I-1)+(B-A.2.1.39), (I-1)+(B-A.2.1.40), (I-1)+(B-A.2.1.41), (I-1)+(B-A.2.1.42), (I-1)+(B-A.2.1.43), (I-1)+(B-A.2.1.44), (I-1)+(B-A.2.1.45), (I-1)+(B-A.2.1.46), (I-1)+(B-A.2.1.47), (I-1)+(B-A.2.1.48), (I-1)+(B-A.2.1.49), (I-1)+(B-A.2.1.50), (I-1)+(B-A.2.1.51), (I-1)+(B-A.2.1.52), (I-1)+(B-A.2.1.53), (I-1)+(B-A.2.1.54), (I-1)+(B-A.2.1.55), (I-1)+(B-A.2.1.56), (I-1)+(B-A.2.1.56a), (I-1)+(B-A.2.1.56b), (I-1)+(B-A.2.1.57), (I-1)+(B-A.2.1.57a), (I-1)+(B-A.2.1.57b), (I-1)+(B-A.2.1.58), (I-1)+(B-A.2.1.59), (I-1)+(B-A.2.1.60), (I-1)+(B-A.2.1.61), (I-1)+(B-A.2.1.62), (I-1)+(B-A.2.1.62a), (I-1)+(B-A.2.1.62b), (I-1)+(B-A.2.1.63), (I-1)+(B-A.2.1.64), (I-1)+(B-A.2.1.65), (I-1)+(B-A.2.1.66), (I-1)+(B-A.2.1.67), (I-1)+(B-A.2.1.68), (I-1)+(B-A.2.1.68a), (I-1)+(B-A.2.1.68b), (I-1)+(B-A.2.1.69), (I-1)+(B-A.2.2.1), (I-1)+(B-A.2.2.1a), (I-1)+(B-A.2.1.1b), (I-1)+(B-A.2.1.1c), (I-1)+(B-A.2.2.2), (I-1)+(B-A.2.3.1), (I-1)+(B-A.2.3.2), (I-1)+(B-A.2.3.1a), (I-1)+(B-A.2.3.1b), (I-1)+(B-A.2.3.1c), (I-1)+(B-A.3.1.1), (I-1)+(B-A.3.1.1a), (I-1)+(B-A.3.1.2), (I-1)+(B-A.3.1.3), (I-1)+(B-A.3.1.4), (I-1)+(B-A.3.1.5), (I-1)+(B-A.3.1.6), (I-1)+(B-A.3.1.7), (I-1)+(B-A.3.1.8), (I-1)+(B-A.3.1.9), (I-1)+(B-A.3.1.10), (I-1)+(B-A.3.1.11), (I-1)+(B-A.3.1.12), (I-1)+(B-A.3.1.12a), (I-1)+(B-A.3.1.12b), (I-1)+(B-A.3.1.12c), (I-1)+(B-A.3.1.12d), (I-1)+(B-A.3.1.12e), (I-1)+(B-A.3.1.12f), (I-1)+(B-A.3.1.12g), (I-1)+(B-A.3.1.13), (I-1)+(B-A.3.1.14), (I-1)+(B-A.3.1.15), (I-1)+(B-A.3.1.15a), (I-1)+(B-A.3.1.16), (I-1)+(B-A.3.1.17), (I-1)+(B-A.3.1.17a), (I-1)+(B-A.3.1.17b), (I-1)+(B-A.3.1.17c), (I-1)+(B-A.3.1.17d), (I-1)+(B-A.3.1.17e), (I-1)+(B-A.3.1.17f), (I-1)+(B-A.3.1.17g), (I-1)+(B-A.3.1.18), (I-1)+(B-A.3.1.19), (I-1)+(B-A.3.1.20), (I-1)+(B-A.3.1.20a), (I-1)+(B-A.3.1.20b), (I-1)+(B-A.3.1.20c), (I-1)+(B-A.3.1.21), (I-1)+(B-A.3.1.22), (I-1)+(B-A.3.1.23), (I-1)+(B-A.3.1.24), (I-1)+(B-A.3.1.25), (I-1)+(B-A.3.1.26), (I-1)+(B-A.3.1.27), (I-1)+(B-A.3.1.28), (I-1)+(B-A.3.1.29), (I-1)+(B-A.3.1.30), (I-1)+(B-A.3.1.31), (I-1)+(B-A.3.1.32), (I-1)+(B-A.3.2.1), (I-1)+(B-A.3.2.2), (I-1)+(B-A.3.2.3), (I-1)+(B-A.3.2.4), (I-1)+(B-A.3.2.5), (I-1)+(B-A.3.2.6), (I-1)+(B-A.3.2.7), (I-1)+(B-A.3.2.8), (I-1)+(B-A.3.2.9), (I-1)+(B-A.3.2.10), (I-1)+(B-A.3.2.11), (I-1)+(B-A.3.2.12), (I-1)+(B-A.3.2.13), (I-1)+(B-A.3.2.14), (I-1)+(B-A.3.2.15), (I-1)+(B-A.3.2.16), (I-1)+(B-A.3.2.17), (I-1)+(B-A.3.2.18), (I-1)+(B-A.3.2.19), (I-1)+(B-A.4.1.1), (I-1)+(B-A.4.1.2), (I-1)+(B-A.4.1.3), (I-1)+(B-A.4.1.4), (I-1)+(B-A.4.1.5), (I-1)+(B-A.4.2.1), (I-1)+(B-A.4.2.2), (I-1)+(B-A.4.2.3), (I-1)+(B-A.4.2.4), (I-1)+(B-A.4.2.5), (I-1)+(B-A.4.2.6), (I-1)+(B-A.4.2.7), (I-1)+(B-A.4.2.8), (I-1)+(B-A.4.2.9), (I-1)+(B-A.4.2.10), (I-1)+(B-A.4.2.11), (I-1)+(B-A.4.2.12), (I-1)+(B-A.4.2.13), (I-1)+(B-A.4.2.14), (I-1)+(B-A.4.2.15), (I-1)+(B-A.4.2.16), (I-1)+(B-A.4.2.17), (I-1)+(B-A.4.3.1), (I-1)+(B-A.4.3.2), (I-1)+(B-A.4.3.3), (I-1)+(B-A.4.4.1), (I-1)+(B-A.4.4.2), (I-1)+(B-A.4.4.3), (I-1)+(B-A.4.4.4), (I-1)+(B-A.4.4.5), (I-1)+(B-A.4.4.6), (I-1)+(B-A.4.4.7), (I-1)+(B-A.4.4.8), (I-1)+(B-A.4.4.9), (I-1)+(B-A.4.4.10), (I-1)+(B-A.4.4.11), (I-1)+(B-A.4.4.12), (I-1)+(B-A.4.4.13), (I-1)+(B-A.4.4.14), (I-1)+(B-A.4.4.15), (I-1)+(B-A.4.4.16), (I-1)+(B-A.4.4.17), (I-1)+(B-A.4.4.18), (I-1)+(B-A.4.4.19), (I-1)+(B-A.4.4.20), (I-1)+(B-A.4.4.21), (I-1)+(B-A.4.4.22), (I-1)+(B-A.4.4.22a), (I-1)+(B-A.5.1.1), (I-1)+(B-A.5.1.2), (I-1)+(B-A.5.1.3), (I-1)+(B-A.5.1.4), (I-1)+(B-A.5.1.5), (I-1)+(B-A.5.1.6), (I-1)+(B-A.5.1.7), (I-1)+(B-A.5.1.8), (I-1)+(B-A.5.1.9), (I-1)+(B-A.5.1.10), (I-1)+(B-A.5.1.11), (I-1)+(B-A.5.1.12), (I-1)+(B-A.5.1.13), (I-1)+(B-A.5.1.14), (I-1)+(B-A.5.1.15), (I-1)+(B-A.5.1.16), (I-1)+(B-A.5.1.17), (I-1)+(B-A.5.1.18), (I-1)+(B-A.5.1.19), (I-1)+(B-A.5.1.20), (I-1)+(B-A.5.1.21), (I-1)+(B-A.5.1.22), (I-1)+(B-A.5.1.23), (I-1)+(B-A.5.1.24), (I-1)+(B-A.5.1.25), (I-1)+(B-A.5.1.26), (I-1)+(B-A.5.1.27), (I-1)+(B-A.5.1.28), (I-1)+(B-A.5.1.29), (I-1)+(B-A.5.1.30), (I-1)+(B-A.5.1.31), (I-1)+(B-A.5.1.32), (I-1)+(B-A.5.1.33), (I-1)+(B-A.5.1.34), (I-1)+(B-A.5.1.35), (I-1)+(B-A.5.1.36), (I-1)+(B-A.5.1.37), (I-1)+(B-A.5.1.38), (I-1)+(B-A.5.1.39), (I-1)+(B-A.5.1.40), (I-1)+(B-A.5.1.41), (I-1)+(B-A.5.1.42), (I-1)+(B-A.5.1.43), (I-1)+(B-A.5.1.44), (I-1)+(B-A.5.1.45), (I-1)+(B-A.5.1.46), (I-1)+(B-A.5.1.47), (I-1)+(B-A.5.1.48), (I-1)+(B-A.5.1.49), (I-1)+(B-A.5.1.50), (I-1)+(B-A.6.1), (I-1)+(B-A.6.2), (I-1)+(B-A.6.3), (I-1)+(B-A.6.4), (I-1)+(B-A.6.5), (I-1)+(B-A.6.6), (I-1)+(B-A.6.7), (I-1)+(B-A.6.8), (I-1)+(B-A.6.9), (I-1)+(B-A.6.10), (I-1)+(B-A.6.11), (I-1)+(B-A.6.12), (I-1)+(B-A.6.13), (I-1)+(B-A.6.14), (I-1)+(B-A.6.15), (I-1)+(B-A.6.16), (I-1)+(B-A.6.17), (I-1)+(B-A.6.18), (I-1)+(B-A.6.19), (I-1)+(B-A.6.20), (I-1)+(B-A.6.21), (I-1)+(B-A.6.22), (I-1)+(B-A.7.1), (I-1)+(B-A.7.2), (I-1)+(B-A.7.3), (I-1)+(B-A.7.4), (I-1)+(B-A.7.5), (I-1)+(B-A.7.6), (I-1)+(B-A.7.7), (I-1)+(B-A.7.8), (I-1)+(B-A.7.9), (I-1)+(B-A.7.10), (I-1)+(B-A.7.11), (I-1)+(B-A.7.12), (I-1)+(B-A.7.13), (I-1)+(B-A.7.14), (I-1)+(B-A.7.15), (I-1)+(B-A.7.16), (I-1)+(B-A.7.17), (I-1)+(B-B.1.1), (I-1)+(B-B.1.1a), (I-1)+(B-B.1.2), (I-1)+(B-B.1.2a), (I-1)+(B-B.2.1), (I-1)+(B-B.2.2), (I-1)+(B-B.2.3), (I-1)+(B-B.2.4), (I-1)+(B-B.2.5), (I-1)+(B-B.2.6), (I-1)+(B-B.2.7), (I-1)+(B-B.2.8), (I-1)+(B-B.2.9), (I-1)+(B-B.2.10), (I-1)+(B-B.2.11), (I-1)+(B-B.2.12), (I-1)+(B-B.2.13), (I-1)+(B-B.2.14), (I-1)+(B-B.2.15), (I-1)+(B-B.2.16), (I-1)+(B-B.2.17), (I-1)+(B-B.2.18), (I-1)+(B-B.2.19), (I-1)+(B-B.2.20), (I-1)+(B-B.2.21), (I-1)+(B-B.2.22), (I-1)+(B-B.2.23), (I-1)+(B-B.2.24), (I-1)+(B-B.2.25), (I-1)+(B-B.2.26), (I-1)+(B-B.2.27), (I-1)+(B-B.3.1), (I-1)+(B-B.3.2), (I-1)+(B-B.3.3), (I-1)+(B-B.4.1), (I-1)+(B-B.4.2), (I-1)+(C-1.1), (I-1)+(C-1.2), (I-1)+(C-2.1), (I-1)+(C-2.2), (I-1)+(C-2.3), (I-1)+(C-2.4), (I-1)+(C-2.5), (I-1)+(C-2.6), (I-1)+(C-2.7), (I-1)+(C-2.8), (I-1)+(C-2.9), (I-1)+(C-2.10), (I-1)+(C-2.11), (I-1)+(C-2.12), (I-1)+(C-2.13), (I-1)+(C-2.14), (I-1)+(C-2.15), (I-1)+(C-3.1), (I-1)+(C-3.2), (I-1)+(C-3.3), (I-1)+(C-3.3), (I-1)+(C-4.1), (I-1)+(C-4.2), (I-1)+(C-4.3), (I-1)+(C-4.4), (I-1)+(C-4.5), (I-1)+(C-4.6), (I-1)+(C-4.7), (I-1)+(C-4.8), (I-1)+(C-4.9), (I-1)+(C-5.1), (I-1)+(C-5.2), (I-1)+(C-5.3), (I-1)+(C-6.1), (I-1)+(C-6.2), (I-1)+(C-6.3), (I-1)+(C-6.4), (I-1)+(C-7.1), (I-1)+(C-7.2), (I-1)+(C-7.3), (I-1)+(C-7.4), (I-1)+(C-8.1), (I-1)+(C-8.2), (I-1)+(C-8.3), (I-1)+(C-8.4), (I-1)+(C-8.5), (I-1)+(C-8.5A), (I-1)+(C-8.6), (I-1)+(C-8.7), (I-1)+(C-8.8), (I-1)+(C-8.9), (I-1)+(C-8.10), (I-1)+(C-8.11), (I-1)+(C-8.12), (I-1)+(C-8.13), (I-1)+(C-8.14), (I-1)+(C-8.15), (I-1)+(C-8.15A), (I-1)+(C-8.16), (I-1)+(C-8.16A), (I-1)+(C-8.17), (I-1)+(C-8.17A), (I-1)+(C-8.18), (I-1)+(C-8.19), (I-1)+(C-8.20), (I-1)+(C-9.1), (I-1)+(C-9.2), (I-1)+(C-9.3), (I-1)+(C-9.4), (I-1)+(C-9.5), (I-1)+(C-10.1), (I-1)+(C-10.2), (I-1)+(C-10.3), (I-1)+(C-10.4), (I-1)+(C-10.5), (I-1)+(C-10.6), (I-1)+(C-10.7), (I-1)+(C-10.8), (I-1)+(C-10.9), (I-1)+(C-10.10), (I-1)+(C-10.11), (I-1)+(C-11.1), (I-1)+(C-11.2), (I-1)+(C-11.3), (I-1)+(C-11.4), (I-1)+(C-11.5), (I-1)+(C-11.6), (I-1)+(C-11.7), (I-1)+(C-12.1), (I-1)+(C-12.2), (I-1)+(C-12.3), (I-1)+(C-12.4), (I-1)+(C-12.5), (I-1)+(C-12.6), (I-1)+(C-12.7), (I-1)+(C-12.8), (I-1)+(C-12.9), (I-1)+(C-12.10), (I-1)+(C-12.11), (I-1)+(C-12.12), (I-1)+(C-12.13), (I-1)+(C-12.14), (I-1)+(C-12.15), (I-1)+(C-12.16), (I-1)+(C-12.17), (I-1)+(C-12.18), (I-1)+(C-12.19), (I-1)+(C-12.20), (I-1)+(C-12.21), (I-1)+(C-12.22), (I-1)+(C-12.23), (I-1)+(C-12.24), (I-1)+(C-12.25), (I-1)+(C-12.26), (I-1)+(C-12.27), (I-1)+(C-13.1), (I-1)+(C-13.2), (I-1)+(C-13.3), (I-1)+(C-13.4), (I-1)+(C-13.5), (I-1)+(C-13.6), (I-1)+(C-13.7), (I-1)+(C-13.8), (I-1)+(C-13.9), (I-1)+(C-13.10), (I-1)+(C-13.11), (I-1)+(C-13.12), (I-1)+(C-13.13), (I-1)+(C-13.14), (I-1)+(C-13.15), (I-1)+(C-13.16), (I-1)+(C-13.17), (I-1)+(C-13.18), (I-1)+(C-13.19), (I-1)+(C-13.20), (I-1)+(C-13.21), (I-1)+(C-13.22), (I-1)+(C-13.23), (I-1)+(C-13.24), (I-1)+(C-13.25), (I-1)+(C-13.26), (I-1)+(C-13.27), (I-1)+(C-13.28), (I-1)+(C-13.29), (I-1)+(C-13.30), (I-1)+(C-13.31), (I-1)+(C-13.32), (I-1)+(D-1), (I-1)+(D-2), (I-1)+(D-3), (I-1)+(D-4), (I-1)+(D-5), (I-1)+(D-6), (I-1)+(D-7), (I-1)+(D-8), (I-1)+(D-9), (I-1)+(D-10), (I-1)+(D-11), (I-1)+(D-12), (I-1)+(D-13), (I-1)+(D-14), (I-1)+(D-15), (I-1)+(D-16), (I-1)+(D-17), (I-1)+(D-18), (I-1)+(D-19), (I-1)+(D-20), (I-1)+(D-21), (I-1)+(D-22), (I-1)+(D-23), (I-1)+(D-24), (I-1)+(D-25), (I-1)+(D-26), (I-1)+(D-27), (I-1)+(D-28), (I-1)+(D-29), (I-1)+(D-30), (I-1)+(D-31), (I-1)+(D-32), (I-1)+(D-33), (I-1)+(D-34), (I-1)+(D-35), (I-1)+(D-36), (I-1)+(D-37), (I-1)+(D-38), (I-1)+(D-39), (I-1)+(D-40), (I-1)+(D-41), (I-1)+(D-42), (I-1)+(D-43), (I-1)+(D-44), (I-1)+(D-45), (I-1)+(D-46), (I-1)+(D-47), (I-1)+(D-48), (I-1)+(D-49), (I-1)+(D-50), (I-1)+(D-51), (I-1)+(D-52), (I-1)+(D-53), (I-1)+(D-54), (I-1)+(D-55), (I-1)+(D-56), (I-1)+(D-57), (I-1)+(D-58), (I-1)+(D-59), (I-1)+(D-60), (I-1)+(D-61), (I-1)+(D-62), (I-1)+(D-63)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로서 화합물 (I-2) 및 성분 (B), (C) 또는 (D)의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 특히 혼합물 (I-2)+(B-A.1.1.1), (I-2)+(B-A.1.1.2), (I-2)+(B-A.1.1.3), (I-2)+(B-A.1.1.4), (I-2)+(B-A.1.1.5), (I-2)+(B-A.1.1.6), (I-2)+(B-A.1.1.7), (I-2)+(B-A.1.1.8), (I-2)+(B-A.1.1.9), (I-2)+(B-A.1.1.10), (I-2)+(B-A.1.1.11), (I-2)+(B-A.1.1.12), (I-2)+(B-A.1.1.13), (I-2)+(B-A.1.1.14), (I-2)+(B-A.1.1.15), (I-2)+(B-A.1.1.16), (I-2)+(B-A.1.1.17), (I-2)+(B-A.1.1.18), (I-2)+(B-A.1.1.19), (I-2)+(B-A.1.1.20), (I-2)+(B-A.1.1.21), (I-2)+(B-A.1.1.22), (I-2)+(B-A.1.1.23), (I-2)+(B-A.1.1.24), (I-2)+(B-A.1.1.25), (I-2)+(B-A.1.1.26), (I-2)+(B-A.1.1.27), (I-2)+(B-A.1.1.28), (I-2)+(B-A.1.1.29), (I-2)+(B-A.1.1.30), (I-2)+(B-A.1.1.31), (I-2)+(B-A.1.1.32), (I-2)+(B-A.1.1.33), (I-2)+(B-A.1.1.34), (I-2)+(B-A.1.1.35), (I-2)+(B-A.1.1.36), (I-2)+(B-A.1.1.37), (I-2)+(B-A.1.1.38), (I-2)+(B-A.1.1.39), (I-2)+(B-A.1.1.40), (I-2)+(B-A.1.1.41), (I-2)+(B-A.1.1.42), (I-2)+(B-A.1.1.43), (I-2)+(B-A.1.1.44), (I-2)+(B-A.1.1.45), (I-2)+(B-A.1.1.46), (I-2)+(B-A.1.1.47), (I-2)+(B-A.1.2.1), (I-2)+(B-A.1.2.2), (I-2)+(B-A.1.2.3), (I-2)+(B-A.1.2.4), (I-2)+(B-A.1.2.5), (I-2)+(B-A.1.2.6), (I-2)+(B-A.1.2.7), (I-2)+(B-A.1.2.8), (I-2)+(B-A.1.2.9), (I-2)+(B-A.1.2.10), (I-2)+(B-A.1.3.1), (I-2)+(B-A.2.1.1), (I-2)+(B-A.2.1.2), (I-2)+(B-A.2.1.3), (I-2)+(B-A.2.1.4), (I-2)+(B-A.2.1.5), (I-2)+(B-A.2.1.6), (I-2)+(B-A.2.1.7), (I-2)+(B-A.2.1.8), (I-2)+(B-A.2.1.9), (I-2)+(B-A.2.1.10), (I-2)+(B-A.2.1.11), (I-2)+(B-A.2.1.11a), (I-2)+(B-A.2.1.11b), (I-2)+(B-A.2.1.12), (I-2)+(B-A.2.1.13), (I-2)+(B-A.2.1.14), (I-2)+(B-A.2.1.14a), (I-2)+(B-A.2.1.14b), (I-2)+(B-A.2.1.15), (I-2)+(B-A.2.1.15a), (I-2)+(B-A.2.1.15b), (I-2)+(B-A.2.1.16), (I-2)+(B-A.2.1.17), (I-2)+(B-A.2.1.18), (I-2)+(B-A.2.1.19), (I-2)+(B-A.2.1.20), (I-2)+(B-A.2.1.21), (I-2)+(B-A.2.1.22), (I-2)+(B-A.2.1.23), (I-2)+(B-A.2.1.24), (I-2)+(B-A.2.1.25), (I-2)+(B-A.2.1.26), (I-2)+(B-A.2.1.27), (I-2)+(B-A.2.1.28), (I-2)+(B-A.2.1.29), (I-2)+(B-A.2.1.29a), (I-2)+(B-A.2.1.29b), (I-2)+(B-A.2.1.29c), (I-2)+(B-A.2.1.30), (I-2)+(B-A.2.1.31), (I-2)+(B-A.2.1.32), (I-2)+(B-A.2.1.33), (I-2)+(B-A.2.1.33a), (I-2)+(B-A.2.1.33b), (I-2)+(B-A.2.1.34), (I-2)+(B-A.2.1.35), (I-2)+(B-A.2.1.36), (I-2)+(B-A.2.1.37), (I-2)+(B-A.2.1.37a), (I-2)+(B-A.2.1.37b), (I-2)+(B-A.2.1.38), (I-2)+(B-A.2.1.39), (I-2)+(B-A.2.1.40), (I-2)+(B-A.2.1.41), (I-2)+(B-A.2.1.42), (I-2)+(B-A.2.1.43), (I-2)+(B-A.2.1.44), (I-2)+(B-A.2.1.45), (I-2)+(B-A.2.1.46), (I-2)+(B-A.2.1.47), (I-2)+(B-A.2.1.48), (I-2)+(B-A.2.1.49), (I-2)+(B-A.2.1.50), (I-2)+(B-A.2.1.51), (I-2)+(B-A.2.1.52), (I-2)+(B-A.2.1.53), (I-2)+(B-A.2.1.54), (I-2)+(B-A.2.1.55), (I-2)+(B-A.2.1.56), (I-2)+(B-A.2.1.56a), (I-2)+(B-A.2.1.56b), (I-2)+(B-A.2.1.57), (I-2)+(B-A.2.1.57a), (I-2)+(B-A.2.1.57b), (I-2)+(B-A.2.1.58), (I-2)+(B-A.2.1.59), (I-2)+(B-A.2.1.60), (I-2)+(B-A.2.1.61), (I-2)+(B-A.2.1.62), (I-2)+(B-A.2.1.62a), (I-2)+(B-A.2.1.62b), (I-2)+(B-A.2.1.63), (I-2)+(B-A.2.1.64), (I-2)+(B-A.2.1.65), (I-2)+(B-A.2.1.66), (I-2)+(B-A.2.1.67), (I-2)+(B-A.2.1.68), (I-2)+(B-A.2.1.68a), (I-2)+(B-A.2.1.68b), (I-2)+(B-A.2.1.69), (I-2)+(B-A.2.2.1), (I-2)+(B-A.2.2.1a), (I-2)+(B-A.2.1.1b), (I-2)+(B-A.2.1.1c), (I-2)+(B-A.2.2.2), (I-2)+(B-A.2.3.1), (I-2)+(B-A.2.3.2), (I-2)+(B-A.2.3.1a), (I-2)+(B-A.2.3.1b), (I-2)+(B-A.2.3.1c), (I-2)+(B-A.3.1.1), (I-2)+(B-A.3.1.1a), (I-2)+(B-A.3.1.2), (I-2)+(B-A.3.1.3), (I-2)+(B-A.3.1.4), (I-2)+(B-A.3.1.5), (I-2)+(B-A.3.1.6), (I-2)+(B-A.3.1.7), (I-2)+(B-A.3.1.8), (I-2)+(B-A.3.1.9), (I-2)+(B-A.3.1.10), (I-2)+(B-A.3.1.11), (I-2)+(B-A.3.1.12), (I-2)+(B-A.3.1.12a), (I-2)+(B-A.3.1.12b), (I-2)+(B-A.3.1.12c), (I-2)+(B-A.3.1.12d), (I-2)+(B-A.3.1.12e), (I-2)+(B-A.3.1.12f), (I-2)+(B-A.3.1.12g), (I-2)+(B-A.3.1.13), (I-2)+(B-A.3.1.14), (I-2)+(B-A.3.1.15), (I-2)+(B-A.3.1.15a), (I-2)+(B-A.3.1.16), (I-2)+(B-A.3.1.17), (I-2)+(B-A.3.1.17a), (I-2)+(B-A.3.1.17b), (I-2)+(B-A.3.1.17c), (I-2)+(B-A.3.1.17d), (I-2)+(B-A.3.1.17e), (I-2)+(B-A.3.1.17f), (I-2)+(B-A.3.1.17g), (I-2)+(B-A.3.1.18), (I-2)+(B-A.3.1.19), (I-2)+(B-A.3.1.20), (I-2)+(B-A.3.1.20a), (I-2)+(B-A.3.1.20b), (I-2)+(B-A.3.1.20c), (I-2)+(B-A.3.1.21), (I-2)+(B-A.3.1.22), (I-2)+(B-A.3.1.23), (I-2)+(B-A.3.1.24), (I-2)+(B-A.3.1.25), (I-2)+(B-A.3.1.26), (I-2)+(B-A.3.1.27), (I-2)+(B-A.3.1.28), (I-2)+(B-A.3.1.29), (I-2)+(B-A.3.1.30), (I-2)+(B-A.3.1.31), (I-2)+(B-A.3.1.32), (I-2)+(B-A.3.2.1), (I-2)+(B-A.3.2.2), (I-2)+(B-A.3.2.3), (I-2)+(B-A.3.2.4), (I-2)+(B-A.3.2.5), (I-2)+(B-A.3.2.6), (I-2)+(B-A.3.2.7), (I-2)+(B-A.3.2.8), (I-2)+(B-A.3.2.9), (I-2)+(B-A.3.2.10), (I-2)+(B-A.3.2.11), (I-2)+(B-A.3.2.12), (I-2)+(B-A.3.2.13), (I-2)+(B-A.3.2.14), (I-2)+(B-A.3.2.15), (I-2)+(B-A.3.2.16), (I-2)+(B-A.3.2.17), (I-2)+(B-A.3.2.18), (I-2)+(B-A.3.2.19), (I-2)+(B-A.4.1.1), (I-2)+(B-A.4.1.2), (I-2)+(B-A.4.1.3), (I-2)+(B-A.4.1.4), (I-2)+(B-A.4.1.5), (I-2)+(B-A.4.2.1), (I-2)+(B-A.4.2.2), (I-2)+(B-A.4.2.3), (I-2)+(B-A.4.2.4), (I-2)+(B-A.4.2.5), (I-2)+(B-A.4.2.6), (I-2)+(B-A.4.2.7), (I-2)+(B-A.4.2.8), (I-2)+(B-A.4.2.9), (I-2)+(B-A.4.2.10), (I-2)+(B-A.4.2.11), (I-2)+(B-A.4.2.12), (I-2)+(B-A.4.2.13), (I-2)+(B-A.4.2.14), (I-2)+(B-A.4.2.15), (I-2)+(B-A.4.2.16), (I-2)+(B-A.4.2.17), (I-2)+(B-A.4.3.1), (I-2)+(B-A.4.3.2), (I-2)+(B-A.4.3.3), (I-2)+(B-A.4.4.1), (I-2)+(B-A.4.4.2), (I-2)+(B-A.4.4.3), (I-2)+(B-A.4.4.4), (I-2)+(B-A.4.4.5), (I-2)+(B-A.4.4.6), (I-2)+(B-A.4.4.7), (I-2)+(B-A.4.4.8), (I-2)+(B-A.4.4.9), (I-2)+(B-A.4.4.10), (I-2)+(B-A.4.4.11), (I-2)+(B-A.4.4.12), (I-2)+(B-A.4.4.13), (I-2)+(B-A.4.4.14), (I-2)+(B-A.4.4.15), (I-2)+(B-A.4.4.16), (I-2)+(B-A.4.4.17), (I-2)+(B-A.4.4.18), (I-2)+(B-A.4.4.19), (I-2)+(B-A.4.4.20), (I-2)+(B-A.4.4.21), (I-2)+(B-A.4.4.22), (I-2)+(B-A.4.4.22a), (I-2)+(B-A.5.1.1), (I-2)+(B-A.5.1.2), (I-2)+(B-A.5.1.3), (I-2)+(B-A.5.1.4), (I-2)+(B-A.5.1.5), (I-2)+(B-A.5.1.6), (I-2)+(B-A.5.1.7), (I-2)+(B-A.5.1.8), (I-2)+(B-A.5.1.9), (I-2)+(B-A.5.1.10), (I-2)+(B-A.5.1.11), (I-2)+(B-A.5.1.12), (I-2)+(B-A.5.1.13), (I-2)+(B-A.5.1.14), (I-2)+(B-A.5.1.15), (I-2)+(B-A.5.1.16), (I-2)+(B-A.5.1.17), (I-2)+(B-A.5.1.18), (I-2)+(B-A.5.1.19), (I-2)+(B-A.5.1.20), (I-2)+(B-A.5.1.21), (I-2)+(B-A.5.1.22), (I-2)+(B-A.5.1.23), (I-2)+(B-A.5.1.24), (I-2)+(B-A.5.1.25), (I-2)+(B-A.5.1.26), (I-2)+(B-A.5.1.27), (I-2)+(B-A.5.1.28), (I-2)+(B-A.5.1.29), (I-2)+(B-A.5.1.30), (I-2)+(B-A.5.1.31), (I-2)+(B-A.5.1.32), (I-2)+(B-A.5.1.33), (I-2)+(B-A.5.1.34), (I-2)+(B-A.5.1.35), (I-2)+(B-A.5.1.36), (I-2)+(B-A.5.1.37), (I-2)+(B-A.5.1.38), (I-2)+(B-A.5.1.39), (I-2)+(B-A.5.1.40), (I-2)+(B-A.5.1.41), (I-2)+(B-A.5.1.42), (I-2)+(B-A.5.1.43), (I-2)+(B-A.5.1.44), (I-2)+(B-A.5.1.45), (I-2)+(B-A.5.1.46), (I-2)+(B-A.5.1.47), (I-2)+(B-A.5.1.48), (I-2)+(B-A.5.1.49), (I-2)+(B-A.5.1.50), (I-2)+(B-A.6.1), (I-2)+(B-A.6.2), (I-2)+(B-A.6.3), (I-2)+(B-A.6.4), (I-2)+(B-A.6.5), (I-2)+(B-A.6.6), (I-2)+(B-A.6.7), (I-2)+(B-A.6.8), (I-2)+(B-A.6.9), (I-2)+(B-A.6.10), (I-2)+(B-A.6.11), (I-2)+(B-A.6.12), (I-2)+(B-A.6.13), (I-2)+(B-A.6.14), (I-2)+(B-A.6.15), (I-2)+(B-A.6.16), (I-2)+(B-A.6.17), (I-2)+(B-A.6.18), (I-2)+(B-A.6.19), (I-2)+(B-A.6.20), (I-2)+(B-A.6.21), (I-2)+(B-A.6.22), (I-2)+(B-A.7.1), (I-2)+(B-A.7.2), (I-2)+(B-A.7.3), (I-2)+(B-A.7.4), (I-2)+(B-A.7.5), (I-2)+(B-A.7.6), (I-2)+(B-A.7.7), (I-2)+(B-A.7.8), (I-2)+(B-A.7.9), (I-2)+(B-A.7.10), (I-2)+(B-A.7.11), (I-2)+(B-A.7.12), (I-2)+(B-A.7.13), (I-2)+(B-A.7.14), (I-2)+(B-A.7.15), (I-2)+(B-A.7.16), (I-2)+(B-A.7.17), (I-2)+(B-B.1.1), (I-2)+(B-B.1.1a), (I-2)+(B-B.1.2), (I-2)+(B-B.1.2a), (I-2)+(B-B.2.1), (I-2)+(B-B.2.2), (I-2)+(B-B.2.3), (I-2)+(B-B.2.4), (I-2)+(B-B.2.5), (I-2)+(B-B.2.6), (I-2)+(B-B.2.7), (I-2)+(B-B.2.8), (I-2)+(B-B.2.9), (I-2)+(B-B.2.10), (I-2)+(B-B.2.11), (I-2)+(B-B.2.12), (I-2)+(B-B.2.13), (I-2)+(B-B.2.14), (I-2)+(B-B.2.15), (I-2)+(B-B.2.16), (I-2)+(B-B.2.17), (I-2)+(B-B.2.18), (I-2)+(B-B.2.19), (I-2)+(B-B.2.20), (I-2)+(B-B.2.21), (I-2)+(B-B.2.22), (I-2)+(B-B.2.23), (I-2)+(B-B.2.24), (I-2)+(B-B.2.25), (I-2)+(B-B.2.26), (I-2)+(B-B.2.27), (I-2)+(B-B.3.1), (I-2)+(B-B.3.2), (I-2)+(B-B.3.3), (I-2)+(B-B.4.1), (I-2)+(B-B.4.2), (I-2)+(C-1.1), (I-2)+(C-1.2), (I-2)+(C-2.1), (I-2)+(C-2.2), (I-2)+(C-2.3), (I-2)+(C-2.4), (I-2)+(C-2.5), (I-2)+(C-2.6), (I-2)+(C-2.7), (I-2)+(C-2.8), (I-2)+(C-2.9), (I-2)+(C-2.10), (I-2)+(C-2.11), (I-2)+(C-2.12), (I-2)+(C-2.13), (I-2)+(C-2.14), (I-2)+(C-2.15), (I-2)+(C-3.1), (I-2)+(C-3.2), (I-2)+(C-3.3), (I-2)+(C-3.3), (I-2)+(C-4.1), (I-2)+(C-4.2), (I-2)+(C-4.3), (I-2)+(C-4.4), (I-2)+(C-4.5), (I-2)+(C-4.6), (I-2)+(C-4.7), (I-2)+(C-4.8), (I-2)+(C-4.9), (I-2)+(C-5.1), (I-2)+(C-5.2), (I-2)+(C-5.3), (I-2)+(C-6.1), (I-2)+(C-6.2), (I-2)+(C-6.3), (I-2)+(C-6.4), (I-2)+(C-7.1), (I-2)+(C-7.2), (I-2)+(C-7.3), (I-2)+(C-7.4), (I-2)+(C-8.1), (I-2)+(C-8.2), (I-2)+(C-8.3), (I-2)+(C-8.4), (I-2)+(C-8.5), (I-2)+(C-8.5A), (I-2)+(C-8.6), (I-2)+(C-8.7), (I-2)+(C-8.8), (I-2)+(C-8.9), (I-2)+(C-8.10), (I-2)+(C-8.11), (I-2)+(C-8.12), (I-2)+(C-8.13), (I-2)+(C-8.14), (I-2)+(C-8.15), (I-2)+(C-8.15A), (I-2)+(C-8.16), (I-2)+(C-8.16A), (I-2)+(C-8.17), (I-2)+(C-8.17A), (I-2)+(C-8.18), (I-2)+(C-8.19), (I-2)+(C-8.20), (I-2)+(C-9.1), (I-2)+(C-9.2), (I-2)+(C-9.3), (I-2)+(C-9.4), (I-2)+(C-9.5), (I-2)+(C-10.1), (I-2)+(C-10.2), (I-2)+(C-10.3), (I-2)+(C-10.4), (I-2)+(C-10.5), (I-2)+(C-10.6), (I-2)+(C-10.7), (I-2)+(C-10.8), (I-2)+(C-10.9), (I-2)+(C-10.10), (I-2)+(C-10.11), (I-2)+(C-11.1), (I-2)+(C-11.2), (I-2)+(C-11.3), (I-2)+(C-11.4), (I-2)+(C-11.5), (I-2)+(C-11.6), (I-2)+(C-11.7), (I-2)+(C-12.1), (I-2)+(C-12.2), (I-2)+(C-12.3), (I-2)+(C-12.4), (I-2)+(C-12.5), (I-2)+(C-12.6), (I-2)+(C-12.7), (I-2)+(C-12.8), (I-2)+(C-12.9), (I-2)+(C-12.10), (I-2)+(C-12.11), (I-2)+(C-12.12), (I-2)+(C-12.13), (I-2)+(C-12.14), (I-2)+(C-12.15), (I-2)+(C-12.16), (I-2)+(C-12.17), (I-2)+(C-12.18), (I-2)+(C-12.19), (I-2)+(C-12.20), (I-2)+(C-12.21), (I-2)+(C-12.22), (I-2)+(C-12.23), (I-2)+(C-12.24), (I-2)+(C-12.25), (I-2)+(C-12.26), (I-2)+(C-12.27), (I-2)+(C-13.1), (I-2)+(C-13.2), (I-2)+(C-13.3), (I-2)+(C-13.4), (I-2)+(C-13.5), (I-2)+(C-13.6), (I-2)+(C-13.7), (I-2)+(C-13.8), (I-2)+(C-13.9), (I-2)+(C-13.10), (I-2)+(C-13.11), (I-2)+(C-13.12), (I-2)+(C-13.13), (I-2)+(C-13.14), (I-2)+(C-13.15), (I-2)+(C-13.16), (I-2)+(C-13.17), (I-2)+(C-13.18), (I-2)+(C-13.19), (I-2)+(C-13.20), (I-2)+(C-13.21), (I-2)+(C-13.22), (I-2)+(C-13.23), (I-2)+(C-13.24), (I-2)+(C-13.25), (I-2)+(C-13.26), (I-2)+(C-13.27), (I-2)+(C-13.28), (I-2)+(C-13.29), (I-2)+(C-13.30), (I-2)+(C-13.31), (I-2)+(C-13.32), (I-2)+(D-1), (I-2)+(D-2), (I-2)+(D-3), (I-2)+(D-4), (I-2)+(D-5), (I-2)+(D-6), (I-2)+(D-7), (I-2)+(D-8), (I-2)+(D-9), (I-2)+(D-10), (I-2)+(D-11), (I-2)+(D-12), (I-2)+(D-13), (I-2)+(D-14), (I-2)+(D-15), (I-2)+(D-16), (I-2)+(D-17), (I-2)+(D-18), (I-2)+(D-19), (I-2)+(D-20), (I-2)+(D-21), (I-2)+(D-22), (I-2)+(D-23), (I-2)+(D-24), (I-2)+(D-25), (I-2)+(D-26), (I-2)+(D-27), (I-2)+(D-28), (I-2)+(D-29), (I-2)+(D-30), (I-2)+(D-31), (I-2)+(D-32), (I-2)+(D-33), (I-2)+(D-34), (I-2)+(D-35), (I-2)+(D-36), (I-2)+(D-37), (I-2)+(D-38), (I-2)+(D-39), (I-2)+(D-40), (I-2)+(D-41), (I-2)+(D-42), (I-2)+(D-43), (I-2)+(D-44), (I-2)+(D-45), (I-2)+(D-46), (I-2)+(D-47), (I-2)+(D-48), (I-2)+(D-49), (I-2)+(D-50), (I-2)+(D-51), (I-2)+(D-52), (I-2)+(D-53), (I-2)+(D-54), (I-2)+(D-55), (I-2)+(D-56), (I-2)+(D-57), (I-2)+(D-58), (I-2)+(D-59), (I-2)+(D-60), (I-2)+(D-61), (I-2)+(D-62), (I-2)+(D-63)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로서 화합물 (I-3) 및 성분 (B), (C) 또는 (D)의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 특히 혼합물 (I-3)+(B-A.1.1.1), (I-3)+(B-A.1.1.2), (I-3)+(B-A.1.1.3), (I-3)+(B-A.1.1.4), (I-3)+(B-A.1.1.5), (I-3)+(B-A.1.1.6), (I-3)+(B-A.1.1.7), (I-3)+(B-A.1.1.8), (I-3)+(B-A.1.1.9), (I-3)+(B-A.1.1.10), (I-3)+(B-A.1.1.11), (I-3)+(B-A.1.1.12), (I-3)+(B-A.1.1.13), (I-3)+(B-A.1.1.14), (I-3)+(B-A.1.1.15), (I-3)+(B-A.1.1.16), (I-3)+(B-A.1.1.17), (I-3)+(B-A.1.1.18), (I-3)+(B-A.1.1.19), (I-3)+(B-A.1.1.20), (I-3)+(B-A.1.1.21), (I-3)+(B-A.1.1.22), (I-3)+(B-A.1.1.23), (I-3)+(B-A.1.1.24), (I-3)+(B-A.1.1.25), (I-3)+(B-A.1.1.26), (I-3)+(B-A.1.1.27), (I-3)+(B-A.1.1.28), (I-3)+(B-A.1.1.29), (I-3)+(B-A.1.1.30), (I-3)+(B-A.1.1.31), (I-3)+(B-A.1.1.32), (I-3)+(B-A.1.1.33), (I-3)+(B-A.1.1.34), (I-3)+(B-A.1.1.35), (I-3)+(B-A.1.1.36), (I-3)+(B-A.1.1.37), (I-3)+(B-A.1.1.38), (I-3)+(B-A.1.1.39), (I-3)+(B-A.1.1.40), (I-3)+(B-A.1.1.41), (I-3)+(B-A.1.1.42), (I-3)+(B-A.1.1.43), (I-3)+(B-A.1.1.44), (I-3)+(B-A.1.1.45), (I-3)+(B-A.1.1.46), (I-3)+(B-A.1.1.47), (I-3)+(B-A.1.2.1), (I-3)+(B-A.1.2.2), (I-3)+(B-A.1.2.3), (I-3)+(B-A.1.2.4), (I-3)+(B-A.1.2.5), (I-3)+(B-A.1.2.6), (I-3)+(B-A.1.2.7), (I-3)+(B-A.1.2.8), (I-3)+(B-A.1.2.9), (I-3)+(B-A.1.2.10), (I-3)+(B-A.1.3.1), (I-3)+(B-A.2.1.1), (I-3)+(B-A.2.1.2), (I-3)+(B-A.2.1.3), (I-3)+(B-A.2.1.4), (I-3)+(B-A.2.1.5), (I-3)+(B-A.2.1.6), (I-3)+(B-A.2.1.7), (I-3)+(B-A.2.1.8), (I-3)+(B-A.2.1.9), (I-3)+(B-A.2.1.10), (I-3)+(B-A.2.1.11), (I-3)+(B-A.2.1.11a), (I-3)+(B-A.2.1.11b), (I-3)+(B-A.2.1.12), (I-3)+(B-A.2.1.13), (I-3)+(B-A.2.1.14), (I-3)+(B-A.2.1.14a), (I-3)+(B-A.2.1.14b), (I-3)+(B-A.2.1.15), (I-3)+(B-A.2.1.15a), (I-3)+(B-A.2.1.15b), (I-3)+(B-A.2.1.16), (I-3)+(B-A.2.1.17), (I-3)+(B-A.2.1.18), (I-3)+(B-A.2.1.19), (I-3)+(B-A.2.1.20), (I-3)+(B-A.2.1.21), (I-3)+(B-A.2.1.22), (I-3)+(B-A.2.1.23), (I-3)+(B-A.2.1.24), (I-3)+(B-A.2.1.25), (I-3)+(B-A.2.1.26), (I-3)+(B-A.2.1.27), (I-3)+(B-A.2.1.28), (I-3)+(B-A.2.1.29), (I-3)+(B-A.2.1.29a), (I-3)+(B-A.2.1.29b), (I-3)+(B-A.2.1.29c), (I-3)+(B-A.2.1.30), (I-3)+(B-A.2.1.31), (I-3)+(B-A.2.1.32), (I-3)+(B-A.2.1.33), (I-3)+(B-A.2.1.33a), (I-3)+(B-A.2.1.33b), (I-3)+(B-A.2.1.34), (I-3)+(B-A.2.1.35), (I-3)+(B-A.2.1.36), (I-3)+(B-A.2.1.37), (I-3)+(B-A.2.1.37a), (I-3)+(B-A.2.1.37b), (I-3)+(B-A.2.1.38), (I-3)+(B-A.2.1.39), (I-3)+(B-A.2.1.40), (I-3)+(B-A.2.1.41), (I-3)+(B-A.2.1.42), (I-3)+(B-A.2.1.43), (I-3)+(B-A.2.1.44), (I-3)+(B-A.2.1.45), (I-3)+(B-A.2.1.46), (I-3)+(B-A.2.1.47), (I-3)+(B-A.2.1.48), (I-3)+(B-A.2.1.49), (I-3)+(B-A.2.1.50), (I-3)+(B-A.2.1.51), (I-3)+(B-A.2.1.52), (I-3)+(B-A.2.1.53), (I-3)+(B-A.2.1.54), (I-3)+(B-A.2.1.55), (I-3)+(B-A.2.1.56), (I-3)+(B-A.2.1.56a), (I-3)+(B-A.2.1.56b), (I-3)+(B-A.2.1.57), (I-3)+(B-A.2.1.57a), (I-3)+(B-A.2.1.57b), (I-3)+(B-A.2.1.58), (I-3)+(B-A.2.1.59), (I-3)+(B-A.2.1.60), (I-3)+(B-A.2.1.61), (I-3)+(B-A.2.1.62), (I-3)+(B-A.2.1.62a), (I-3)+(B-A.2.1.62b), (I-3)+(B-A.2.1.63), (I-3)+(B-A.2.1.64), (I-3)+(B-A.2.1.65), (I-3)+(B-A.2.1.66), (I-3)+(B-A.2.1.67), (I-3)+(B-A.2.1.68), (I-3)+(B-A.2.1.68a), (I-3)+(B-A.2.1.68b), (I-3)+(B-A.2.1.69), (I-3)+(B-A.2.2.1), (I-3)+(B-A.2.2.1a), (I-3)+(B-A.2.1.1b), (I-3)+(B-A.2.1.1c), (I-3)+(B-A.2.2.2), (I-3)+(B-A.2.3.1), (I-3)+(B-A.2.3.2), (I-3)+(B-A.2.3.1a), (I-3)+(B-A.2.3.1b), (I-3)+(B-A.2.3.1c), (I-3)+(B-A.3.1.1), (I-3)+(B-A.3.1.1a), (I-3)+(B-A.3.1.2), (I-3)+(B-A.3.1.3), (I-3)+(B-A.3.1.4), (I-3)+(B-A.3.1.5), (I-3)+(B-A.3.1.6), (I-3)+(B-A.3.1.7), (I-3)+(B-A.3.1.8), (I-3)+(B-A.3.1.9), (I-3)+(B-A.3.1.10), (I-3)+(B-A.3.1.11), (I-3)+(B-A.3.1.12), (I-3)+(B-A.3.1.12a), (I-3)+(B-A.3.1.12b), (I-3)+(B-A.3.1.12c), (I-3)+(B-A.3.1.12d), (I-3)+(B-A.3.1.12e), (I-3)+(B-A.3.1.12f), (I-3)+(B-A.3.1.12g), (I-3)+(B-A.3.1.13), (I-3)+(B-A.3.1.14), (I-3)+(B-A.3.1.15), (I-3)+(B-A.3.1.15a), (I-3)+(B-A.3.1.16), (I-3)+(B-A.3.1.17), (I-3)+(B-A.3.1.17a), (I-3)+(B-A.3.1.17b), (I-3)+(B-A.3.1.17c), (I-3)+(B-A.3.1.17d), (I-3)+(B-A.3.1.17e), (I-3)+(B-A.3.1.17f), (I-3)+(B-A.3.1.17g), (I-3)+(B-A.3.1.18), (I-3)+(B-A.3.1.19), (I-3)+(B-A.3.1.20), (I-3)+(B-A.3.1.20a), (I-3)+(B-A.3.1.20b), (I-3)+(B-A.3.1.20c), (I-3)+(B-A.3.1.21), (I-3)+(B-A.3.1.22), (I-3)+(B-A.3.1.23), (I-3)+(B-A.3.1.24), (I-3)+(B-A.3.1.25), (I-3)+(B-A.3.1.26), (I-3)+(B-A.3.1.27), (I-3)+(B-A.3.1.28), (I-3)+(B-A.3.1.29), (I-3)+(B-A.3.1.30), (I-3)+(B-A.3.1.31), (I-3)+(B-A.3.1.32), (I-3)+(B-A.3.2.1), (I-3)+(B-A.3.2.2), (I-3)+(B-A.3.2.3), (I-3)+(B-A.3.2.4), (I-3)+(B-A.3.2.5), (I-3)+(B-A.3.2.6), (I-3)+(B-A.3.2.7), (I-3)+(B-A.3.2.8), (I-3)+(B-A.3.2.9), (I-3)+(B-A.3.2.10), (I-3)+(B-A.3.2.11), (I-3)+(B-A.3.2.12), (I-3)+(B-A.3.2.13), (I-3)+(B-A.3.2.14), (I-3)+(B-A.3.2.15), (I-3)+(B-A.3.2.16), (I-3)+(B-A.3.2.17), (I-3)+(B-A.3.2.18), (I-3)+(B-A.3.2.19), (I-3)+(B-A.4.1.1), (I-3)+(B-A.4.1.2), (I-3)+(B-A.4.1.3), (I-3)+(B-A.4.1.4), (I-3)+(B-A.4.1.5), (I-3)+(B-A.4.2.1), (I-3)+(B-A.4.2.2), (I-3)+(B-A.4.2.3), (I-3)+(B-A.4.2.4), (I-3)+(B-A.4.2.5), (I-3)+(B-A.4.2.6), (I-3)+(B-A.4.2.7), (I-3)+(B-A.4.2.8), (I-3)+(B-A.4.2.9), (I-3)+(B-A.4.2.10), (I-3)+(B-A.4.2.11), (I-3)+(B-A.4.2.12), (I-3)+(B-A.4.2.13), (I-3)+(B-A.4.2.14), (I-3)+(B-A.4.2.15), (I-3)+(B-A.4.2.16), (I-3)+(B-A.4.2.17), (I-3)+(B-A.4.3.1), (I-3)+(B-A.4.3.2), (I-3)+(B-A.4.3.3), (I-3)+(B-A.4.4.1), (I-3)+(B-A.4.4.2), (I-3)+(B-A.4.4.3), (I-3)+(B-A.4.4.4), (I-3)+(B-A.4.4.5), (I-3)+(B-A.4.4.6), (I-3)+(B-A.4.4.7), (I-3)+(B-A.4.4.8), (I-3)+(B-A.4.4.9), (I-3)+(B-A.4.4.10), (I-3)+(B-A.4.4.11), (I-3)+(B-A.4.4.12), (I-3)+(B-A.4.4.13), (I-3)+(B-A.4.4.14), (I-3)+(B-A.4.4.15), (I-3)+(B-A.4.4.16), (I-3)+(B-A.4.4.17), (I-3)+(B-A.4.4.18), (I-3)+(B-A.4.4.19), (I-3)+(B-A.4.4.20), (I-3)+(B-A.4.4.21), (I-3)+(B-A.4.4.22), (I-3)+(B-A.4.4.22a), (I-3)+(B-A.5.1.1), (I-3)+(B-A.5.1.2), (I-3)+(B-A.5.1.3), (I-3)+(B-A.5.1.4), (I-3)+(B-A.5.1.5), (I-3)+(B-A.5.1.6), (I-3)+(B-A.5.1.7), (I-3)+(B-A.5.1.8), (I-3)+(B-A.5.1.9), (I-3)+(B-A.5.1.10), (I-3)+(B-A.5.1.11), (I-3)+(B-A.5.1.12), (I-3)+(B-A.5.1.13), (I-3)+(B-A.5.1.14), (I-3)+(B-A.5.1.15), (I-3)+(B-A.5.1.16), (I-3)+(B-A.5.1.17), (I-3)+(B-A.5.1.18), (I-3)+(B-A.5.1.19), (I-3)+(B-A.5.1.20), (I-3)+(B-A.5.1.21), (I-3)+(B-A.5.1.22), (I-3)+(B-A.5.1.23), (I-3)+(B-A.5.1.24), (I-3)+(B-A.5.1.25), (I-3)+(B-A.5.1.26), (I-3)+(B-A.5.1.27), (I-3)+(B-A.5.1.28), (I-3)+(B-A.5.1.29), (I-3)+(B-A.5.1.30), (I-3)+(B-A.5.1.31), (I-3)+(B-A.5.1.32), (I-3)+(B-A.5.1.33), (I-3)+(B-A.5.1.34), (I-3)+(B-A.5.1.35), (I-3)+(B-A.5.1.36), (I-3)+(B-A.5.1.37), (I-3)+(B-A.5.1.38), (I-3)+(B-A.5.1.39), (I-3)+(B-A.5.1.40), (I-3)+(B-A.5.1.41), (I-3)+(B-A.5.1.42), (I-3)+(B-A.5.1.43), (I-3)+(B-A.5.1.44), (I-3)+(B-A.5.1.45), (I-3)+(B-A.5.1.46), (I-3)+(B-A.5.1.47), (I-3)+(B-A.5.1.48), (I-3)+(B-A.5.1.49), (I-3)+(B-A.5.1.50), (I-3)+(B-A.6.1), (I-3)+(B-A.6.2), (I-3)+(B-A.6.3), (I-3)+(B-A.6.4), (I-3)+(B-A.6.5), (I-3)+(B-A.6.6), (I-3)+(B-A.6.7), (I-3)+(B-A.6.8), (I-3)+(B-A.6.9), (I-3)+(B-A.6.10), (I-3)+(B-A.6.11), (I-3)+(B-A.6.12), (I-3)+(B-A.6.13), (I-3)+(B-A.6.14), (I-3)+(B-A.6.15), (I-3)+(B-A.6.16), (I-3)+(B-A.6.17), (I-3)+(B-A.6.18), (I-3)+(B-A.6.19), (I-3)+(B-A.6.20), (I-3)+(B-A.6.21), (I-3)+(B-A.6.22), (I-3)+(B-A.7.1), (I-3)+(B-A.7.2), (I-3)+(B-A.7.3), (I-3)+(B-A.7.4), (I-3)+(B-A.7.5), (I-3)+(B-A.7.6), (I-3)+(B-A.7.7), (I-3)+(B-A.7.8), (I-3)+(B-A.7.9), (I-3)+(B-A.7.10), (I-3)+(B-A.7.11), (I-3)+(B-A.7.12), (I-3)+(B-A.7.13), (I-3)+(B-A.7.14), (I-3)+(B-A.7.15), (I-3)+(B-A.7.16), (I-3)+(B-A.7.17), (I-3)+(B-B.1.1), (I-3)+(B-B.1.1a), (I-3)+(B-B.1.2), (I-3)+(B-B.1.2a), (I-3)+(B-B.2.1), (I-3)+(B-B.2.2), (I-3)+(B-B.2.3), (I-3)+(B-B.2.4), (I-3)+(B-B.2.5), (I-3)+(B-B.2.6), (I-3)+(B-B.2.7), (I-3)+(B-B.2.8), (I-3)+(B-B.2.9), (I-3)+(B-B.2.10), (I-3)+(B-B.2.11), (I-3)+(B-B.2.12), (I-3)+(B-B.2.13), (I-3)+(B-B.2.14), (I-3)+(B-B.2.15), (I-3)+(B-B.2.16), (I-3)+(B-B.2.17), (I-3)+(B-B.2.18), (I-3)+(B-B.2.19), (I-3)+(B-B.2.20), (I-3)+(B-B.2.21), (I-3)+(B-B.2.22), (I-3)+(B-B.2.23), (I-3)+(B-B.2.24), (I-3)+(B-B.2.25), (I-3)+(B-B.2.26), (I-3)+(B-B.2.27), (I-3)+(B-B.3.1), (I-3)+(B-B.3.2), (I-3)+(B-B.3.3), (I-3)+(B-B.4.1), (I-3)+(B-B.4.2), (I-3)+(C-1.1), (I-3)+(C-1.2), (I-3)+(C-2.1), (I-3)+(C-2.2), (I-3)+(C-2.3), (I-3)+(C-2.4), (I-3)+(C-2.5), (I-3)+(C-2.6), (I-3)+(C-2.7), (I-3)+(C-2.8), (I-3)+(C-2.9), (I-3)+(C-2.10), (I-3)+(C-2.11), (I-3)+(C-2.12), (I-3)+(C-2.13), (I-3)+(C-2.14), (I-3)+(C-2.15), (I-3)+(C-3.1), (I-3)+(C-3.2), (I-3)+(C-3.3), (I-3)+(C-3.3), (I-3)+(C-4.1), (I-3)+(C-4.2), (I-3)+(C-4.3), (I-3)+(C-4.4), (I-3)+(C-4.5), (I-3)+(C-4.6), (I-3)+(C-4.7), (I-3)+(C-4.8), (I-3)+(C-4.9), (I-3)+(C-5.1), (I-3)+(C-5.2), (I-3)+(C-5.3), (I-3)+(C-6.1), (I-3)+(C-6.2), (I-3)+(C-6.3), (I-3)+(C-6.4), (I-3)+(C-7.1), (I-3)+(C-7.2), (I-3)+(C-7.3), (I-3)+(C-7.4), (I-3)+(C-8.1), (I-3)+(C-8.2), (I-3)+(C-8.3), (I-3)+(C-8.4), (I-3)+(C-8.5), (I-3)+(C-8.5A), (I-3)+(C-8.6), (I-3)+(C-8.7), (I-3)+(C-8.8), (I-3)+(C-8.9), (I-3)+(C-8.10), (I-3)+(C-8.11), (I-3)+(C-8.12), (I-3)+(C-8.13), (I-3)+(C-8.14), (I-3)+(C-8.15), (I-3)+(C-8.15A), (I-3)+(C-8.16), (I-3)+(C-8.16A), (I-3)+(C-8.17), (I-3)+(C-8.17A), (I-3)+(C-8.18), (I-3)+(C-8.19), (I-3)+(C-8.20), (I-3)+(C-9.1), (I-3)+(C-9.2), (I-3)+(C-9.3), (I-3)+(C-9.4), (I-3)+(C-9.5), (I-3)+(C-10.1), (I-3)+(C-10.2), (I-3)+(C-10.3), (I-3)+(C-10.4), (I-3)+(C-10.5), (I-3)+(C-10.6), (I-3)+(C-10.7), (I-3)+(C-10.8), (I-3)+(C-10.9), (I-3)+(C-10.10), (I-3)+(C-10.11), (I-3)+(C-11.1), (I-3)+(C-11.2), (I-3)+(C-11.3), (I-3)+(C-11.4), (I-3)+(C-11.5), (I-3)+(C-11.6), (I-3)+(C-11.7), (I-3)+(C-12.1), (I-3)+(C-12.2), (I-3)+(C-12.3), (I-3)+(C-12.4), (I-3)+(C-12.5), (I-3)+(C-12.6), (I-3)+(C-12.7), (I-3)+(C-12.8), (I-3)+(C-12.9), (I-3)+(C-12.10), (I-3)+(C-12.11), (I-3)+(C-12.12), (I-3)+(C-12.13), (I-3)+(C-12.14), (I-3)+(C-12.15), (I-3)+(C-12.16), (I-3)+(C-12.17), (I-3)+(C-12.18), (I-3)+(C-12.19), (I-3)+(C-12.20), (I-3)+(C-12.21), (I-3)+(C-12.22), (I-3)+(C-12.23), (I-3)+(C-12.24), (I-3)+(C-12.25), (I-3)+(C-12.26), (I-3)+(C-12.27), (I-3)+(C-13.1), (I-3)+(C-13.2), (I-3)+(C-13.3), (I-3)+(C-13.4), (I-3)+(C-13.5), (I-3)+(C-13.6), (I-3)+(C-13.7), (I-3)+(C-13.8), (I-3)+(C-13.9), (I-3)+(C-13.10), (I-3)+(C-13.11), (I-3)+(C-13.12), (I-3)+(C-13.13), (I-3)+(C-13.14), (I-3)+(C-13.15), (I-3)+(C-13.16), (I-3)+(C-13.17), (I-3)+(C-13.18), (I-3)+(C-13.19), (I-3)+(C-13.20), (I-3)+(C-13.21), (I-3)+(C-13.22), (I-3)+(C-13.23), (I-3)+(C-13.24), (I-3)+(C-13.25), (I-3)+(C-13.26), (I-3)+(C-13.27), (I-3)+(C-13.28), (I-3)+(C-13.29), (I-3)+(C-13.30), (I-3)+(C-13.31), (I-3)+(C-13.32), (I-3)+(D-1), (I-3)+(D-2), (I-3)+(D-3), (I-3)+(D-4), (I-3)+(D-5), (I-3)+(D-6), (I-3)+(D-7), (I-3)+(D-8), (I-3)+(D-9), (I-3)+(D-10), (I-3)+(D-11), (I-3)+(D-12), (I-3)+(D-13), (I-3)+(D-14), (I-3)+(D-15), (I-3)+(D-16), (I-3)+(D-17), (I-3)+(D-18), (I-3)+(D-19), (I-3)+(D-20), (I-3)+(D-21), (I-3)+(D-22), (I-3)+(D-23), (I-3)+(D-24), (I-3)+(D-25), (I-3)+(D-26), (I-3)+(D-27), (I-3)+(D-28), (I-3)+(D-29), (I-3)+(D-30), (I-3)+(D-31), (I-3)+(D-32), (I-3)+(D-33), (I-3)+(D-34), (I-3)+(D-35), (I-3)+(D-36), (I-3)+(D-37), (I-3)+(D-38), (I-3)+(D-39), (I-3)+(D-40), (I-3)+(D-41), (I-3)+(D-42), (I-3)+(D-43), (I-3)+(D-44), (I-3)+(D-45), (I-3)+(D-46), (I-3)+(D-47), (I-3)+(D-48), (I-3)+(D-49), (I-3)+(D-50), (I-3)+(D-51), (I-3)+(D-52), (I-3)+(D-53), (I-3)+(D-54), (I-3)+(D-55), (I-3)+(D-56), (I-3)+(D-57), (I-3)+(D-58), (I-3)+(D-59), (I-3)+(D-60), (I-3)+(D-61), (I-3)+(D-62), (I-3)+(D-63)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로서 화합물 (I-4) 및 성분 (B), (C) 또는 (D)의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 특히 혼합물 (I-4)+(B-A.1.1.1), (I-4)+(B-A.1.1.2), (I-4)+(B-A.1.1.3), (I-4)+(B-A.1.1.4), (I-4)+(B-A.1.1.5), (I-4)+(B-A.1.1.6), (I-4)+(B-A.1.1.7), (I-4)+(B-A.1.1.8), (I-4)+(B-A.1.1.9), (I-4)+(B-A.1.1.10), (I-4)+(B-A.1.1.11), (I-4)+(B-A.1.1.12), (I-4)+(B-A.1.1.13), (I-4)+(B-A.1.1.14), (I-4)+(B-A.1.1.15), (I-4)+(B-A.1.1.16), (I-4)+(B-A.1.1.17), (I-4)+(B-A.1.1.18), (I-4)+(B-A.1.1.19), (I-4)+(B-A.1.1.20), (I-4)+(B-A.1.1.21), (I-4)+(B-A.1.1.22), (I-4)+(B-A.1.1.23), (I-4)+(B-A.1.1.24), (I-4)+(B-A.1.1.25), (I-4)+(B-A.1.1.26), (I-4)+(B-A.1.1.27), (I-4)+(B-A.1.1.28), (I-4)+(B-A.1.1.29), (I-4)+(B-A.1.1.30), (I-4)+(B-A.1.1.31), (I-4)+(B-A.1.1.32), (I-4)+(B-A.1.1.33), (I-4)+(B-A.1.1.34), (I-4)+(B-A.1.1.35), (I-4)+(B-A.1.1.36), (I-4)+(B-A.1.1.37), (I-4)+(B-A.1.1.38), (I-4)+(B-A.1.1.39), (I-4)+(B-A.1.1.40), (I-4)+(B-A.1.1.41), (I-4)+(B-A.1.1.42), (I-4)+(B-A.1.1.43), (I-4)+(B-A.1.1.44), (I-4)+(B-A.1.1.45), (I-4)+(B-A.1.1.46), (I-4)+(B-A.1.1.47), (I-4)+(B-A.1.2.1), (I-4)+(B-A.1.2.2), (I-4)+(B-A.1.2.3), (I-4)+(B-A.1.2.4), (I-4)+(B-A.1.2.5), (I-4)+(B-A.1.2.6), (I-4)+(B-A.1.2.7), (I-4)+(B-A.1.2.8), (I-4)+(B-A.1.2.9), (I-4)+(B-A.1.2.10), (I-4)+(B-A.1.3.1), (I-4)+(B-A.2.1.1), (I-4)+(B-A.2.1.2), (I-4)+(B-A.2.1.3), (I-4)+(B-A.2.1.4), (I-4)+(B-A.2.1.5), (I-4)+(B-A.2.1.6), (I-4)+(B-A.2.1.7), (I-4)+(B-A.2.1.8), (I-4)+(B-A.2.1.9), (I-4)+(B-A.2.1.10), (I-4)+(B-A.2.1.11), (I-4)+(B-A.2.1.11a), (I-4)+(B-A.2.1.11b), (I-4)+(B-A.2.1.12), (I-4)+(B-A.2.1.13), (I-4)+(B-A.2.1.14), (I-4)+(B-A.2.1.14a), (I-4)+(B-A.2.1.14b), (I-4)+(B-A.2.1.15), (I-4)+(B-A.2.1.15a), (I-4)+(B-A.2.1.15b), (I-4)+(B-A.2.1.16), (I-4)+(B-A.2.1.17), (I-4)+(B-A.2.1.18), (I-4)+(B-A.2.1.19), (I-4)+(B-A.2.1.20), (I-4)+(B-A.2.1.21), (I-4)+(B-A.2.1.22), (I-4)+(B-A.2.1.23), (I-4)+(B-A.2.1.24), (I-4)+(B-A.2.1.25), (I-4)+(B-A.2.1.26), (I-4)+(B-A.2.1.27), (I-4)+(B-A.2.1.28), (I-4)+(B-A.2.1.29), (I-4)+(B-A.2.1.29a), (I-4)+(B-A.2.1.29b), (I-4)+(B-A.2.1.29c), (I-4)+(B-A.2.1.30), (I-4)+(B-A.2.1.31), (I-4)+(B-A.2.1.32), (I-4)+(B-A.2.1.33), (I-4)+(B-A.2.1.33a), (I-4)+(B-A.2.1.33b), (I-4)+(B-A.2.1.34), (I-4)+(B-A.2.1.35), (I-4)+(B-A.2.1.36), (I-4)+(B-A.2.1.37), (I-4)+(B-A.2.1.37a), (I-4)+(B-A.2.1.37b), (I-4)+(B-A.2.1.38), (I-4)+(B-A.2.1.39), (I-4)+(B-A.2.1.40), (I-4)+(B-A.2.1.41), (I-4)+(B-A.2.1.42), (I-4)+(B-A.2.1.43), (I-4)+(B-A.2.1.44), (I-4)+(B-A.2.1.45), (I-4)+(B-A.2.1.46), (I-4)+(B-A.2.1.47), (I-4)+(B-A.2.1.48), (I-4)+(B-A.2.1.49), (I-4)+(B-A.2.1.50), (I-4)+(B-A.2.1.51), (I-4)+(B-A.2.1.52), (I-4)+(B-A.2.1.53), (I-4)+(B-A.2.1.54), (I-4)+(B-A.2.1.55), (I-4)+(B-A.2.1.56), (I-4)+(B-A.2.1.56a), (I-4)+(B-A.2.1.56b), (I-4)+(B-A.2.1.57), (I-4)+(B-A.2.1.57a), (I-4)+(B-A.2.1.57b), (I-4)+(B-A.2.1.58), (I-4)+(B-A.2.1.59), (I-4)+(B-A.2.1.60), (I-4)+(B-A.2.1.61), (I-4)+(B-A.2.1.62), (I-4)+(B-A.2.1.62a), (I-4)+(B-A.2.1.62b), (I-4)+(B-A.2.1.63), (I-4)+(B-A.2.1.64), (I-4)+(B-A.2.1.65), (I-4)+(B-A.2.1.66), (I-4)+(B-A.2.1.67), (I-4)+(B-A.2.1.68), (I-4)+(B-A.2.1.68a), (I-4)+(B-A.2.1.68b), (I-4)+(B-A.2.1.69), (I-4)+(B-A.2.2.1), (I-4)+(B-A.2.2.1a), (I-4)+(B-A.2.1.1b), (I-4)+(B-A.2.1.1c), (I-4)+(B-A.2.2.2), (I-4)+(B-A.2.3.1), (I-4)+(B-A.2.3.2), (I-4)+(B-A.2.3.1a), (I-4)+(B-A.2.3.1b), (I-4)+(B-A.2.3.1c), (I-4)+(B-A.3.1.1), (I-4)+(B-A.3.1.1a), (I-4)+(B-A.3.1.2), (I-4)+(B-A.3.1.3), (I-4)+(B-A.3.1.4), (I-4)+(B-A.3.1.5), (I-4)+(B-A.3.1.6), (I-4)+(B-A.3.1.7), (I-4)+(B-A.3.1.8), (I-4)+(B-A.3.1.9), (I-4)+(B-A.3.1.10), (I-4)+(B-A.3.1.11), (I-4)+(B-A.3.1.12), (I-4)+(B-A.3.1.12a), (I-4)+(B-A.3.1.12b), (I-4)+(B-A.3.1.12c), (I-4)+(B-A.3.1.12d), (I-4)+(B-A.3.1.12e), (I-4)+(B-A.3.1.12f), (I-4)+(B-A.3.1.12g), (I-4)+(B-A.3.1.13), (I-4)+(B-A.3.1.14), (I-4)+(B-A.3.1.15), (I-4)+(B-A.3.1.15a), (I-4)+(B-A.3.1.16), (I-4)+(B-A.3.1.17), (I-4)+(B-A.3.1.17a), (I-4)+(B-A.3.1.17b), (I-4)+(B-A.3.1.17c), (I-4)+(B-A.3.1.17d), (I-4)+(B-A.3.1.17e), (I-4)+(B-A.3.1.17f), (I-4)+(B-A.3.1.17g), (I-4)+(B-A.3.1.18), (I-4)+(B-A.3.1.19), (I-4)+(B-A.3.1.20), (I-4)+(B-A.3.1.20a), (I-4)+(B-A.3.1.20b), (I-4)+(B-A.3.1.20c), (I-4)+(B-A.3.1.21), (I-4)+(B-A.3.1.22), (I-4)+(B-A.3.1.23), (I-4)+(B-A.3.1.24), (I-4)+(B-A.3.1.25), (I-4)+(B-A.3.1.26), (I-4)+(B-A.3.1.27), (I-4)+(B-A.3.1.28), (I-4)+(B-A.3.1.29), (I-4)+(B-A.3.1.30), (I-4)+(B-A.3.1.31), (I-4)+(B-A.3.1.32), (I-4)+(B-A.3.2.1), (I-4)+(B-A.3.2.2), (I-4)+(B-A.3.2.3), (I-4)+(B-A.3.2.4), (I-4)+(B-A.3.2.5), (I-4)+(B-A.3.2.6), (I-4)+(B-A.3.2.7), (I-4)+(B-A.3.2.8), (I-4)+(B-A.3.2.9), (I-4)+(B-A.3.2.10), (I-4)+(B-A.3.2.11), (I-4)+(B-A.3.2.12), (I-4)+(B-A.3.2.13), (I-4)+(B-A.3.2.14), (I-4)+(B-A.3.2.15), (I-4)+(B-A.3.2.16), (I-4)+(B-A.3.2.17), (I-4)+(B-A.3.2.18), (I-4)+(B-A.3.2.19), (I-4)+(B-A.4.1.1), (I-4)+(B-A.4.1.2), (I-4)+(B-A.4.1.3), (I-4)+(B-A.4.1.4), (I-4)+(B-A.4.1.5), (I-4)+(B-A.4.2.1), (I-4)+(B-A.4.2.2), (I-4)+(B-A.4.2.3), (I-4)+(B-A.4.2.4), (I-4)+(B-A.4.2.5), (I-4)+(B-A.4.2.6), (I-4)+(B-A.4.2.7), (I-4)+(B-A.4.2.8), (I-4)+(B-A.4.2.9), (I-4)+(B-A.4.2.10), (I-4)+(B-A.4.2.11), (I-4)+(B-A.4.2.12), (I-4)+(B-A.4.2.13), (I-4)+(B-A.4.2.14), (I-4)+(B-A.4.2.15), (I-4)+(B-A.4.2.16), (I-4)+(B-A.4.2.17), (I-4)+(B-A.4.3.1), (I-4)+(B-A.4.3.2), (I-4)+(B-A.4.3.3), (I-4)+(B-A.4.4.1), (I-4)+(B-A.4.4.2), (I-4)+(B-A.4.4.3), (I-4)+(B-A.4.4.4), (I-4)+(B-A.4.4.5), (I-4)+(B-A.4.4.6), (I-4)+(B-A.4.4.7), (I-4)+(B-A.4.4.8), (I-4)+(B-A.4.4.9), (I-4)+(B-A.4.4.10), (I-4)+(B-A.4.4.11), (I-4)+(B-A.4.4.12), (I-4)+(B-A.4.4.13), (I-4)+(B-A.4.4.14), (I-4)+(B-A.4.4.15), (I-4)+(B-A.4.4.16), (I-4)+(B-A.4.4.17), (I-4)+(B-A.4.4.18), (I-4)+(B-A.4.4.19), (I-4)+(B-A.4.4.20), (I-4)+(B-A.4.4.21), (I-4)+(B-A.4.4.22), (I-4)+(B-A.4.4.22a), (I-4)+(B-A.5.1.1), (I-4)+(B-A.5.1.2), (I-4)+(B-A.5.1.3), (I-4)+(B-A.5.1.4), (I-4)+(B-A.5.1.5), (I-4)+(B-A.5.1.6), (I-4)+(B-A.5.1.7), (I-4)+(B-A.5.1.8), (I-4)+(B-A.5.1.9), (I-4)+(B-A.5.1.10), (I-4)+(B-A.5.1.11), (I-4)+(B-A.5.1.12), (I-4)+(B-A.5.1.13), (I-4)+(B-A.5.1.14), (I-4)+(B-A.5.1.15), (I-4)+(B-A.5.1.16), (I-4)+(B-A.5.1.17), (I-4)+(B-A.5.1.18), (I-4)+(B-A.5.1.19), (I-4)+(B-A.5.1.20), (I-4)+(B-A.5.1.21), (I-4)+(B-A.5.1.22), (I-4)+(B-A.5.1.23), (I-4)+(B-A.5.1.24), (I-4)+(B-A.5.1.25), (I-4)+(B-A.5.1.26), (I-4)+(B-A.5.1.27), (I-4)+(B-A.5.1.28), (I-4)+(B-A.5.1.29), (I-4)+(B-A.5.1.30), (I-4)+(B-A.5.1.31), (I-4)+(B-A.5.1.32), (I-4)+(B-A.5.1.33), (I-4)+(B-A.5.1.34), (I-4)+(B-A.5.1.35), (I-4)+(B-A.5.1.36), (I-4)+(B-A.5.1.37), (I-4)+(B-A.5.1.38), (I-4)+(B-A.5.1.39), (I-4)+(B-A.5.1.40), (I-4)+(B-A.5.1.41), (I-4)+(B-A.5.1.42), (I-4)+(B-A.5.1.43), (I-4)+(B-A.5.1.44), (I-4)+(B-A.5.1.45), (I-4)+(B-A.5.1.46), (I-4)+(B-A.5.1.47), (I-4)+(B-A.5.1.48), (I-4)+(B-A.5.1.49), (I-4)+(B-A.5.1.50), (I-4)+(B-A.6.1), (I-4)+(B-A.6.2), (I-4)+(B-A.6.3), (I-4)+(B-A.6.4), (I-4)+(B-A.6.5), (I-4)+(B-A.6.6), (I-4)+(B-A.6.7), (I-4)+(B-A.6.8), (I-4)+(B-A.6.9), (I-4)+(B-A.6.10), (I-4)+(B-A.6.11), (I-4)+(B-A.6.12), (I-4)+(B-A.6.13), (I-4)+(B-A.6.14), (I-4)+(B-A.6.15), (I-4)+(B-A.6.16), (I-4)+(B-A.6.17), (I-4)+(B-A.6.18), (I-4)+(B-A.6.19), (I-4)+(B-A.6.20), (I-4)+(B-A.6.21), (I-4)+(B-A.6.22), (I-4)+(B-A.7.1), (I-4)+(B-A.7.2), (I-4)+(B-A.7.3), (I-4)+(B-A.7.4), (I-4)+(B-A.7.5), (I-4)+(B-A.7.6), (I-4)+(B-A.7.7), (I-4)+(B-A.7.8), (I-4)+(B-A.7.9), (I-4)+(B-A.7.10), (I-4)+(B-A.7.11), (I-4)+(B-A.7.12), (I-4)+(B-A.7.13), (I-4)+(B-A.7.14), (I-4)+(B-A.7.15), (I-4)+(B-A.7.16), (I-4)+(B-A.7.17), (I-4)+(B-B.1.1), (I-4)+(B-B.1.1a), (I-4)+(B-B.1.2), (I-4)+(B-B.1.2a), (I-4)+(B-B.2.1), (I-4)+(B-B.2.2), (I-4)+(B-B.2.3), (I-4)+(B-B.2.4), (I-4)+(B-B.2.5), (I-4)+(B-B.2.6), (I-4)+(B-B.2.7), (I-4)+(B-B.2.8), (I-4)+(B-B.2.9), (I-4)+(B-B.2.10), (I-4)+(B-B.2.11), (I-4)+(B-B.2.12), (I-4)+(B-B.2.13), (I-4)+(B-B.2.14), (I-4)+(B-B.2.15), (I-4)+(B-B.2.16), (I-4)+(B-B.2.17), (I-4)+(B-B.2.18), (I-4)+(B-B.2.19), (I-4)+(B-B.2.20), (I-4)+(B-B.2.21), (I-4)+(B-B.2.22), (I-4)+(B-B.2.23), (I-4)+(B-B.2.24), (I-4)+(B-B.2.25), (I-4)+(B-B.2.26), (I-4)+(B-B.2.27), (I-4)+(B-B.3.1), (I-4)+(B-B.3.2), (I-4)+(B-B.3.3), (I-4)+(B-B.4.1), (I-4)+(B-B.4.2), (I-4)+(C-1.1), (I-4)+(C-1.2), (I-4)+(C-2.1), (I-4)+(C-2.2), (I-4)+(C-2.3), (I-4)+(C-2.4), (I-4)+(C-2.5), (I-4)+(C-2.6), (I-4)+(C-2.7), (I-4)+(C-2.8), (I-4)+(C-2.9), (I-4)+(C-2.10), (I-4)+(C-2.11), (I-4)+(C-2.12), (I-4)+(C-2.13), (I-4)+(C-2.14), (I-4)+(C-2.15), (I-4)+(C-3.1), (I-4)+(C-3.2), (I-4)+(C-3.3), (I-4)+(C-3.3), (I-4)+(C-4.1), (I-4)+(C-4.2), (I-4)+(C-4.3), (I-4)+(C-4.4), (I-4)+(C-4.5), (I-4)+(C-4.6), (I-4)+(C-4.7), (I-4)+(C-4.8), (I-4)+(C-4.9), (I-4)+(C-5.1), (I-4)+(C-5.2), (I-4)+(C-5.3), (I-4)+(C-6.1), (I-4)+(C-6.2), (I-4)+(C-6.3), (I-4)+(C-6.4), (I-4)+(C-7.1), (I-4)+(C-7.2), (I-4)+(C-7.3), (I-4)+(C-7.4), (I-4)+(C-8.1), (I-4)+(C-8.2), (I-4)+(C-8.3), (I-4)+(C-8.4), (I-4)+(C-8.5), (I-4)+(C-8.5A), (I-4)+(C-8.6), (I-4)+(C-8.7), (I-4)+(C-8.8), (I-4)+(C-8.9), (I-4)+(C-8.10), (I-4)+(C-8.11), (I-4)+(C-8.12), (I-4)+(C-8.13), (I-4)+(C-8.14), (I-4)+(C-8.15), (I-4)+(C-8.15A), (I-4)+(C-8.16), (I-4)+(C-8.16A), (I-4)+(C-8.17), (I-4)+(C-8.17A), (I-4)+(C-8.18), (I-4)+(C-8.19), (I-4)+(C-8.20), (I-4)+(C-9.1), (I-4)+(C-9.2), (I-4)+(C-9.3), (I-4)+(C-9.4), (I-4)+(C-9.5), (I-4)+(C-10.1), (I-4)+(C-10.2), (I-4)+(C-10.3), (I-4)+(C-10.4), (I-4)+(C-10.5), (I-4)+(C-10.6), (I-4)+(C-10.7), (I-4)+(C-10.8), (I-4)+(C-10.9), (I-4)+(C-10.10), (I-4)+(C-10.11), (I-4)+(C-11.1), (I-4)+(C-11.2), (I-4)+(C-11.3), (I-4)+(C-11.4), (I-4)+(C-11.5), (I-4)+(C-11.6), (I-4)+(C-11.7), (I-4)+(C-12.1), (I-4)+(C-12.2), (I-4)+(C-12.3), (I-4)+(C-12.4), (I-4)+(C-12.5), (I-4)+(C-12.6), (I-4)+(C-12.7), (I-4)+(C-12.8), (I-4)+(C-12.9), (I-4)+(C-12.10), (I-4)+(C-12.11), (I-4)+(C-12.12), (I-4)+(C-12.13), (I-4)+(C-12.14), (I-4)+(C-12.15), (I-4)+(C-12.16), (I-4)+(C-12.17), (I-4)+(C-12.18), (I-4)+(C-12.19), (I-4)+(C-12.20), (I-4)+(C-12.21), (I-4)+(C-12.22), (I-4)+(C-12.23), (I-4)+(C-12.24), (I-4)+(C-12.25), (I-4)+(C-12.26), (I-4)+(C-12.27), (I-4)+(C-13.1), (I-4)+(C-13.2), (I-4)+(C-13.3), (I-4)+(C-13.4), (I-4)+(C-13.5), (I-4)+(C-13.6), (I-4)+(C-13.7), (I-4)+(C-13.8), (I-4)+(C-13.9), (I-4)+(C-13.10), (I-4)+(C-13.11), (I-4)+(C-13.12), (I-4)+(C-13.13), (I-4)+(C-13.14), (I-4)+(C-13.15), (I-4)+(C-13.16), (I-4)+(C-13.17), (I-4)+(C-13.18), (I-4)+(C-13.19), (I-4)+(C-13.20), (I-4)+(C-13.21), (I-4)+(C-13.22), (I-4)+(C-13.23), (I-4)+(C-13.24), (I-4)+(C-13.25), (I-4)+(C-13.26), (I-4)+(C-13.27), (I-4)+(C-13.28), (I-4)+(C-13.29), (I-4)+(C-13.30), (I-4)+(C-13.31), (I-4)+(C-13.32), (I-4)+(D-1), (I-4)+(D-2), (I-4)+(D-3), (I-4)+(D-4), (I-4)+(D-5), (I-4)+(D-6), (I-4)+(D-7), (I-4)+(D-8), (I-4)+(D-9), (I-4)+(D-10), (I-4)+(D-11), (I-4)+(D-12), (I-4)+(D-13), (I-4)+(D-14), (I-4)+(D-15), (I-4)+(D-16), (I-4)+(D-17), (I-4)+(D-18), (I-4)+(D-19), (I-4)+(D-20), (I-4)+(D-21), (I-4)+(D-22), (I-4)+(D-23), (I-4)+(D-24), (I-4)+(D-25), (I-4)+(D-26), (I-4)+(D-27), (I-4)+(D-28), (I-4)+(D-29), (I-4)+(D-30), (I-4)+(D-31), (I-4)+(D-32), (I-4)+(D-33), (I-4)+(D-34), (I-4)+(D-35), (I-4)+(D-36), (I-4)+(D-37), (I-4)+(D-38), (I-4)+(D-39), (I-4)+(D-40), (I-4)+(D-41), (I-4)+(D-42), (I-4)+(D-43), (I-4)+(D-44), (I-4)+(D-45), (I-4)+(D-46), (I-4)+(D-47), (I-4)+(D-48), (I-4)+(D-49), (I-4)+(D-50), (I-4)+(D-51), (I-4)+(D-52), (I-4)+(D-53), (I-4)+(D-54), (I-4)+(D-55), (I-4)+(D-56), (I-4)+(D-57), (I-4)+(D-58), (I-4)+(D-59), (I-4)+(D-60), (I-4)+(D-61), (I-4)+(D-62), (I-4)+(D-63)에 관한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로서 화합물 (I-5) 및 성분 (B), (C) 또는 (D)의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 특히 혼합물 (I-5)+(B-A.1.1.1), (I-5)+(B-A.1.1.2), (I-5)+(B-A.1.1.3), (I-5)+(B-A.1.1.4), (I-5)+(B-A.1.1.5), (I-5)+(B-A.1.1.6), (I-5)+(B-A.1.1.7), (I-5)+(B-A.1.1.8), (I-5)+(B-A.1.1.9), (I-5)+(B-A.1.1.10), (I-5)+(B-A.1.1.11), (I-5)+(B-A.1.1.12), (I-5)+(B-A.1.1.13), (I-5)+(B-A.1.1.14), (I-5)+(B-A.1.1.15), (I-5)+(B-A.1.1.16), (I-5)+(B-A.1.1.17), (I-5)+(B-A.1.1.18), (I-5)+(B-A.1.1.19), (I-5)+(B-A.1.1.20), (I-5)+(B-A.1.1.21), (I-5)+(B-A.1.1.22), (I-5)+(B-A.1.1.23), (I-5)+(B-A.1.1.24), (I-5)+(B-A.1.1.25), (I-5)+(B-A.1.1.26), (I-5)+(B-A.1.1.27), (I-5)+(B-A.1.1.28), (I-5)+(B-A.1.1.29), (I-5)+(B-A.1.1.30), (I-5)+(B-A.1.1.31), (I-5)+(B-A.1.1.32), (I-5)+(B-A.1.1.33), (I-5)+(B-A.1.1.34), (I-5)+(B-A.1.1.35), (I-5)+(B-A.1.1.36), (I-5)+(B-A.1.1.37), (I-5)+(B-A.1.1.38), (I-5)+(B-A.1.1.39), (I-5)+(B-A.1.1.40), (I-5)+(B-A.1.1.41), (I-5)+(B-A.1.1.42), (I-5)+(B-A.1.1.43), (I-5)+(B-A.1.1.44), (I-5)+(B-A.1.1.45), (I-5)+(B-A.1.1.46), (I-5)+(B-A.1.1.47), (I-5)+(B-A.1.2.1), (I-5)+(B-A.1.2.2), (I-5)+(B-A.1.2.3), (I-5)+(B-A.1.2.4), (I-5)+(B-A.1.2.5), (I-5)+(B-A.1.2.6), (I-5)+(B-A.1.2.7), (I-5)+(B-A.1.2.8), (I-5)+(B-A.1.2.9), (I-5)+(B-A.1.2.10), (I-5)+(B-A.1.3.1), (I-5)+(B-A.2.1.1), (I-5)+(B-A.2.1.2), (I-5)+(B-A.2.1.3), (I-5)+(B-A.2.1.4), (I-5)+(B-A.2.1.5), (I-5)+(B-A.2.1.6), (I-5)+(B-A.2.1.7), (I-5)+(B-A.2.1.8), (I-5)+(B-A.2.1.9), (I-5)+(B-A.2.1.10), (I-5)+(B-A.2.1.11), (I-5)+(B-A.2.1.11a), (I-5)+(B-A.2.1.11b), (I-5)+(B-A.2.1.12), (I-5)+(B-A.2.1.13), (I-5)+(B-A.2.1.14), (I-5)+(B-A.2.1.14a), (I-5)+(B-A.2.1.14b), (I-5)+(B-A.2.1.15), (I-5)+(B-A.2.1.15a), (I-5)+(B-A.2.1.15b), (I-5)+(B-A.2.1.16), (I-5)+(B-A.2.1.17), (I-5)+(B-A.2.1.18), (I-5)+(B-A.2.1.19), (I-5)+(B-A.2.1.20), (I-5)+(B-A.2.1.21), (I-5)+(B-A.2.1.22), (I-5)+(B-A.2.1.23), (I-5)+(B-A.2.1.24), (I-5)+(B-A.2.1.25), (I-5)+(B-A.2.1.26), (I-5)+(B-A.2.1.27), (I-5)+(B-A.2.1.28), (I-5)+(B-A.2.1.29), (I-5)+(B-A.2.1.29a), (I-5)+(B-A.2.1.29b), (I-5)+(B-A.2.1.29c), (I-5)+(B-A.2.1.30), (I-5)+(B-A.2.1.31), (I-5)+(B-A.2.1.32), (I-5)+(B-A.2.1.33), (I-5)+(B-A.2.1.33a), (I-5)+(B-A.2.1.33b), (I-5)+(B-A.2.1.34), (I-5)+(B-A.2.1.35), (I-5)+(B-A.2.1.36), (I-5)+(B-A.2.1.37), (I-5)+(B-A.2.1.37a), (I-5)+(B-A.2.1.37b), (I-5)+(B-A.2.1.38), (I-5)+(B-A.2.1.39), (I-5)+(B-A.2.1.40), (I-5)+(B-A.2.1.41), (I-5)+(B-A.2.1.42), (I-5)+(B-A.2.1.43), (I-5)+(B-A.2.1.44), (I-5)+(B-A.2.1.45), (I-5)+(B-A.2.1.46), (I-5)+(B-A.2.1.47), (I-5)+(B-A.2.1.48), (I-5)+(B-A.2.1.49), (I-5)+(B-A.2.1.50), (I-5)+(B-A.2.1.51), (I-5)+(B-A.2.1.52), (I-5)+(B-A.2.1.53), (I-5)+(B-A.2.1.54), (I-5)+(B-A.2.1.55), (I-5)+(B-A.2.1.56), (I-5)+(B-A.2.1.56a), (I-5)+(B-A.2.1.56b), (I-5)+(B-A.2.1.57), (I-5)+(B-A.2.1.57a), (I-5)+(B-A.2.1.57b), (I-5)+(B-A.2.1.58), (I-5)+(B-A.2.1.59), (I-5)+(B-A.2.1.60), (I-5)+(B-A.2.1.61), (I-5)+(B-A.2.1.62), (I-5)+(B-A.2.1.62a), (I-5)+(B-A.2.1.62b), (I-5)+(B-A.2.1.63), (I-5)+(B-A.2.1.64), (I-5)+(B-A.2.1.65), (I-5)+(B-A.2.1.66), (I-5)+(B-A.2.1.67), (I-5)+(B-A.2.1.68), (I-5)+(B-A.2.1.68a), (I-5)+(B-A.2.1.68b), (I-5)+(B-A.2.1.69), (I-5)+(B-A.2.2.1), (I-5)+(B-A.2.2.1a), (I-5)+(B-A.2.1.1b), (I-5)+(B-A.2.1.1c), (I-5)+(B-A.2.2.2), (I-5)+(B-A.2.3.1), (I-5)+(B-A.2.3.2), (I-5)+(B-A.2.3.1a), (I-5)+(B-A.2.3.1b), (I-5)+(B-A.2.3.1c), (I-5)+(B-A.3.1.1), (I-5)+(B-A.3.1.1a), (I-5)+(B-A.3.1.2), (I-5)+(B-A.3.1.3), (I-5)+(B-A.3.1.4), (I-5)+(B-A.3.1.5), (I-5)+(B-A.3.1.6), (I-5)+(B-A.3.1.7), (I-5)+(B-A.3.1.8), (I-5)+(B-A.3.1.9), (I-5)+(B-A.3.1.10), (I-5)+(B-A.3.1.11), (I-5)+(B-A.3.1.12), (I-5)+(B-A.3.1.12a), (I-5)+(B-A.3.1.12b), (I-5)+(B-A.3.1.12c), (I-5)+(B-A.3.1.12d), (I-5)+(B-A.3.1.12e), (I-5)+(B-A.3.1.12f), (I-5)+(B-A.3.1.12g), (I-5)+(B-A.3.1.13), (I-5)+(B-A.3.1.14), (I-5)+(B-A.3.1.15), (I-5)+(B-A.3.1.15a), (I-5)+(B-A.3.1.16), (I-5)+(B-A.3.1.17), (I-5)+(B-A.3.1.17a), (I-5)+(B-A.3.1.17b), (I-5)+(B-A.3.1.17c), (I-5)+(B-A.3.1.17d), (I-5)+(B-A.3.1.17e), (I-5)+(B-A.3.1.17f), (I-5)+(B-A.3.1.17g), (I-5)+(B-A.3.1.18), (I-5)+(B-A.3.1.19), (I-5)+(B-A.3.1.20), (I-5)+(B-A.3.1.20a), (I-5)+(B-A.3.1.20b), (I-5)+(B-A.3.1.20c), (I-5)+(B-A.3.1.21), (I-5)+(B-A.3.1.22), (I-5)+(B-A.3.1.23), (I-5)+(B-A.3.1.24), (I-5)+(B-A.3.1.25), (I-5)+(B-A.3.1.26), (I-5)+(B-A.3.1.27), (I-5)+(B-A.3.1.28), (I-5)+(B-A.3.1.29), (I-5)+(B-A.3.1.30), (I-5)+(B-A.3.1.31), (I-5)+(B-A.3.1.32), (I-5)+(B-A.3.2.1), (I-5)+(B-A.3.2.2), (I-5)+(B-A.3.2.3), (I-5)+(B-A.3.2.4), (I-5)+(B-A.3.2.5), (I-5)+(B-A.3.2.6), (I-5)+(B-A.3.2.7), (I-5)+(B-A.3.2.8), (I-5)+(B-A.3.2.9), (I-5)+(B-A.3.2.10), (I-5)+(B-A.3.2.11), (I-5)+(B-A.3.2.12), (I-5)+(B-A.3.2.13), (I-5)+(B-A.3.2.14), (I-5)+(B-A.3.2.15), (I-5)+(B-A.3.2.16), (I-5)+(B-A.3.2.17), (I-5)+(B-A.3.2.18), (I-5)+(B-A.3.2.19), (I-5)+(B-A.4.1.1), (I-5)+(B-A.4.1.2), (I-5)+(B-A.4.1.3), (I-5)+(B-A.4.1.4), (I-5)+(B-A.4.1.5), (I-5)+(B-A.4.2.1), (I-5)+(B-A.4.2.2), (I-5)+(B-A.4.2.3), (I-5)+(B-A.4.2.4), (I-5)+(B-A.4.2.5), (I-5)+(B-A.4.2.6), (I-5)+(B-A.4.2.7), (I-5)+(B-A.4.2.8), (I-5)+(B-A.4.2.9), (I-5)+(B-A.4.2.10), (I-5)+(B-A.4.2.11), (I-5)+(B-A.4.2.12), (I-5)+(B-A.4.2.13), (I-5)+(B-A.4.2.14), (I-5)+(B-A.4.2.15), (I-5)+(B-A.4.2.16), (I-5)+(B-A.4.2.17), (I-5)+(B-A.4.3.1), (I-5)+(B-A.4.3.2), (I-5)+(B-A.4.3.3), (I-5)+(B-A.4.4.1), (I-5)+(B-A.4.4.2), (I-5)+(B-A.4.4.3), (I-5)+(B-A.4.4.4), (I-5)+(B-A.4.4.5), (I-5)+(B-A.4.4.6), (I-5)+(B-A.4.4.7), (I-5)+(B-A.4.4.8), (I-5)+(B-A.4.4.9), (I-5)+(B-A.4.4.10), (I-5)+(B-A.4.4.11), (I-5)+(B-A.4.4.12), (I-5)+(B-A.4.4.13), (I-5)+(B-A.4.4.14), (I-5)+(B-A.4.4.15), (I-5)+(B-A.4.4.16), (I-5)+(B-A.4.4.17), (I-5)+(B-A.4.4.18), (I-5)+(B-A.4.4.19), (I-5)+(B-A.4.4.20), (I-5)+(B-A.4.4.21), (I-5)+(B-A.4.4.22), (I-5)+(B-A.4.4.22a), (I-5)+(B-A.5.1.1), (I-5)+(B-A.5.1.2), (I-5)+(B-A.5.1.3), (I-5)+(B-A.5.1.4), (I-5)+(B-A.5.1.5), (I-5)+(B-A.5.1.6), (I-5)+(B-A.5.1.7), (I-5)+(B-A.5.1.8), (I-5)+(B-A.5.1.9), (I-5)+(B-A.5.1.10), (I-5)+(B-A.5.1.11), (I-5)+(B-A.5.1.12), (I-5)+(B-A.5.1.13), (I-5)+(B-A.5.1.14), (I-5)+(B-A.5.1.15), (I-5)+(B-A.5.1.16), (I-5)+(B-A.5.1.17), (I-5)+(B-A.5.1.18), (I-5)+(B-A.5.1.19), (I-5)+(B-A.5.1.20), (I-5)+(B-A.5.1.21), (I-5)+(B-A.5.1.22), (I-5)+(B-A.5.1.23), (I-5)+(B-A.5.1.24), (I-5)+(B-A.5.1.25), (I-5)+(B-A.5.1.26), (I-5)+(B-A.5.1.27), (I-5)+(B-A.5.1.28), (I-5)+(B-A.5.1.29), (I-5)+(B-A.5.1.30), (I-5)+(B-A.5.1.31), (I-5)+(B-A.5.1.32), (I-5)+(B-A.5.1.33), (I-5)+(B-A.5.1.34), (I-5)+(B-A.5.1.35), (I-5)+(B-A.5.1.36), (I-5)+(B-A.5.1.37), (I-5)+(B-A.5.1.38), (I-5)+(B-A.5.1.39), (I-5)+(B-A.5.1.40), (I-5)+(B-A.5.1.41), (I-5)+(B-A.5.1.42), (I-5)+(B-A.5.1.43), (I-5)+(B-A.5.1.44), (I-5)+(B-A.5.1.45), (I-5)+(B-A.5.1.46), (I-5)+(B-A.5.1.47), (I-5)+(B-A.5.1.48), (I-5)+(B-A.5.1.49), (I-5)+(B-A.5.1.50), (I-5)+(B-A.6.1), (I-5)+(B-A.6.2), (I-5)+(B-A.6.3), (I-5)+(B-A.6.4), (I-5)+(B-A.6.5), (I-5)+(B-A.6.6), (I-5)+(B-A.6.7), (I-5)+(B-A.6.8), (I-5)+(B-A.6.9), (I-5)+(B-A.6.10), (I-5)+(B-A.6.11), (I-5)+(B-A.6.12), (I-5)+(B-A.6.13), (I-5)+(B-A.6.14), (I-5)+(B-A.6.15), (I-5)+(B-A.6.16), (I-5)+(B-A.6.17), (I-5)+(B-A.6.18), (I-5)+(B-A.6.19), (I-5)+(B-A.6.20), (I-5)+(B-A.6.21), (I-5)+(B-A.6.22), (I-5)+(B-A.7.1), (I-5)+(B-A.7.2), (I-5)+(B-A.7.3), (I-5)+(B-A.7.4), (I-5)+(B-A.7.5), (I-5)+(B-A.7.6), (I-5)+(B-A.7.7), (I-5)+(B-A.7.8), (I-5)+(B-A.7.9), (I-5)+(B-A.7.10), (I-5)+(B-A.7.11), (I-5)+(B-A.7.12), (I-5)+(B-A.7.13), (I-5)+(B-A.7.14), (I-5)+(B-A.7.15), (I-5)+(B-A.7.16), (I-5)+(B-A.7.17), (I-5)+(B-B.1.1), (I-5)+(B-B.1.1a), (I-5)+(B-B.1.2), (I-5)+(B-B.1.2a), (I-5)+(B-B.2.1), (I-5)+(B-B.2.2), (I-5)+(B-B.2.3), (I-5)+(B-B.2.4), (I-5)+(B-B.2.5), (I-5)+(B-B.2.6), (I-5)+(B-B.2.7), (I-5)+(B-B.2.8), (I-5)+(B-B.2.9), (I-5)+(B-B.2.10), (I-5)+(B-B.2.11), (I-5)+(B-B.2.12), (I-5)+(B-B.2.13), (I-5)+(B-B.2.14), (I-5)+(B-B.2.15), (I-5)+(B-B.2.16), (I-5)+(B-B.2.17), (I-5)+(B-B.2.18), (I-5)+(B-B.2.19), (I-5)+(B-B.2.20), (I-5)+(B-B.2.21), (I-5)+(B-B.2.22), (I-5)+(B-B.2.23), (I-5)+(B-B.2.24), (I-5)+(B-B.2.25), (I-5)+(B-B.2.26), (I-5)+(B-B.2.27), (I-5)+(B-B.3.1), (I-5)+(B-B.3.2), (I-5)+(B-B.3.3), (I-5)+(B-B.4.1), (I-5)+(B-B.4.2), (I-5)+(C-1.1), (I-5)+(C-1.2), (I-5)+(C-2.1), (I-5)+(C-2.2), (I-5)+(C-2.3), (I-5)+(C-2.4), (I-5)+(C-2.5), (I-5)+(C-2.6), (I-5)+(C-2.7), (I-5)+(C-2.8), (I-5)+(C-2.9), (I-5)+(C-2.10), (I-5)+(C-2.11), (I-5)+(C-2.12), (I-5)+(C-2.13), (I-5)+(C-2.14), (I-5)+(C-2.15), (I-5)+(C-3.1), (I-5)+(C-3.2), (I-5)+(C-3.3), (I-5)+(C-3.3), (I-5)+(C-4.1), (I-5)+(C-4.2), (I-5)+(C-4.3), (I-5)+(C-4.4), (I-5)+(C-4.5), (I-5)+(C-4.6), (I-5)+(C-4.7), (I-5)+(C-4.8), (I-5)+(C-4.9), (I-5)+(C-5.1), (I-5)+(C-5.2), (I-5)+(C-5.3), (I-5)+(C-6.1), (I-5)+(C-6.2), (I-5)+(C-6.3), (I-5)+(C-6.4), (I-5)+(C-7.1), (I-5)+(C-7.2), (I-5)+(C-7.3), (I-5)+(C-7.4), (I-5)+(C-8.1), (I-5)+(C-8.2), (I-5)+(C-8.3), (I-5)+(C-8.4), (I-5)+(C-8.5), (I-5)+(C-8.5A), (I-5)+(C-8.6), (I-5)+(C-8.7), (I-5)+(C-8.8), (I-5)+(C-8.9), (I-5)+(C-8.10), (I-5)+(C-8.11), (I-5)+(C-8.12), (I-5)+(C-8.13), (I-5)+(C-8.14), (I-5)+(C-8.15), (I-5)+(C-8.15A), (I-5)+(C-8.16), (I-5)+(C-8.16A), (I-5)+(C-8.17), (I-5)+(C-8.17A), (I-5)+(C-8.18), (I-5)+(C-8.19), (I-5)+(C-8.20), (I-5)+(C-9.1), (I-5)+(C-9.2), (I-5)+(C-9.3), (I-5)+(C-9.4), (I-5)+(C-9.5), (I-5)+(C-10.1), (I-5)+(C-10.2), (I-5)+(C-10.3), (I-5)+(C-10.4), (I-5)+(C-10.5), (I-5)+(C-10.6), (I-5)+(C-10.7), (I-5)+(C-10.8), (I-5)+(C-10.9), (I-5)+(C-10.10), (I-5)+(C-10.11), (I-5)+(C-11.1), (I-5)+(C-11.2), (I-5)+(C-11.3), (I-5)+(C-11.4), (I-5)+(C-11.5), (I-5)+(C-11.6), (I-5)+(C-11.7), (I-5)+(C-12.1), (I-5)+(C-12.2), (I-5)+(C-12.3), (I-5)+(C-12.4), (I-5)+(C-12.5), (I-5)+(C-12.6), (I-5)+(C-12.7), (I-5)+(C-12.8), (I-5)+(C-12.9), (I-5)+(C-12.10), (I-5)+(C-12.11), (I-5)+(C-12.12), (I-5)+(C-12.13), (I-5)+(C-12.14), (I-5)+(C-12.15), (I-5)+(C-12.16), (I-5)+(C-12.17), (I-5)+(C-12.18), (I-5)+(C-12.19), (I-5)+(C-12.20), (I-5)+(C-12.21), (I-5)+(C-12.22), (I-5)+(C-12.23), (I-5)+(C-12.24), (I-5)+(C-12.25), (I-5)+(C-12.26), (I-5)+(C-12.27), (I-5)+(C-13.1), (I-5)+(C-13.2), (I-5)+(C-13.3), (I-5)+(C-13.4), (I-5)+(C-13.5), (I-5)+(C-13.6), (I-5)+(C-13.7), (I-5)+(C-13.8), (I-5)+(C-13.9), (I-5)+(C-13.10), (I-5)+(C-13.11), (I-5)+(C-13.12), (I-5)+(C-13.13), (I-5)+(C-13.14), (I-5)+(C-13.15), (I-5)+(C-13.16), (I-5)+(C-13.17), (I-5)+(C-13.18), (I-5)+(C-13.19), (I-5)+(C-13.20), (I-5)+(C-13.21), (I-5)+(C-13.22), (I-5)+(C-13.23), (I-5)+(C-13.24), (I-5)+(C-13.25), (I-5)+(C-13.26), (I-5)+(C-13.27), (I-5)+(C-13.28), (I-5)+(C-13.29), (I-5)+(C-13.30), (I-5)+(C-13.31), (I-5)+(C-13.32), (I-5)+(D-1), (I-5)+(D-2), (I-5)+(D-3), (I-5)+(D-4), (I-5)+(D-5), (I-5)+(D-6), (I-5)+(D-7), (I-5)+(D-8), (I-5)+(D-9), (I-5)+(D-10), (I-5)+(D-11), (I-5)+(D-12), (I-5)+(D-13), (I-5)+(D-14), (I-5)+(D-15), (I-5)+(D-16), (I-5)+(D-17), (I-5)+(D-18), (I-5)+(D-19), (I-5)+(D-20), (I-5)+(D-21), (I-5)+(D-22), (I-5)+(D-23), (I-5)+(D-24), (I-5)+(D-25), (I-5)+(D-26), (I-5)+(D-27), (I-5)+(D-28), (I-5)+(D-29), (I-5)+(D-30), (I-5)+(D-31), (I-5)+(D-32), (I-5)+(D-33), (I-5)+(D-34), (I-5)+(D-35), (I-5)+(D-36), (I-5)+(D-37), (I-5)+(D-38), (I-5)+(D-39), (I-5)+(D-40), (I-5)+(D-41), (I-5)+(D-42), (I-5)+(D-43), (I-5)+(D-44), (I-5)+(D-45), (I-5)+(D-46), (I-5)+(D-47), (I-5)+(D-48), (I-5)+(D-49), (I-5)+(D-50), (I-5)+(D-51), (I-5)+(D-52), (I-5)+(D-53), (I-5)+(D-54), (I-5)+(D-55), (I-5)+(D-56), (I-5)+(D-57), (I-5)+(D-58), (I-5)+(D-59), (I-5)+(D-60), (I-5)+(D-61), (I-5)+(D-62), (I-5)+(D-63)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에서 활성 화합물이 특정 중량비로 존재하는 경우, 상승 효과가 특히 뚜렷하다. 그러나,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중 활성 화합물의 중량비는 비교적 넓은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에서 화합물 (A) 및 (B), (C) 또는 (D)는 100:1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50:1 내지 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1 내지 1:20 범위의 상승적으로 효과적인 A:B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A:B 중량비는 5:1 내지 1:95, 90:1 내지 1:90, 85:1 내지 1:85, 80:1 내지 1:80, 75:1 내지 1:75, 70:1 내지 1:70, 65:1 내지 1:65, 60:1 내지 1:60, 55:1 내지 1:55, 45:1 내지 1:45, 40:1 내지 1:40, 35:1 내지 1:35, 30:1 내지 1:30, 25:1 내지 1:25, 15:1 내지 1:15, 10:1 내지 1:10, 5:1 내지 1:5, 4:1 내지 1:4, 3:1 내지 1:3, 2:1 내지 1:2이며, 주어진 순서대로 바람직한 순위가 올라간다.
화합물 (A), (B), (C) 또는 (D)는 토토머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이 각 경우 특정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어도, 상기 및 이후 화합물은 적용가능한 상응하는 토토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중심을 갖는 화합물 (A), (B), (C) 또는 (D)는, 예를 들어 광산, 이를테면 과염소산, 황산, 질산, 아질산, 인산 또는 할로겐화수소산과 같은 강한 무기산, 비치환되거나, 할로-치환된 것과 같이 치환된 C1-C4 알칸카복실산, 이를테면 아세트산,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디카복실산, 이를테면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프탈산,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이를테면 아스코르브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 또는 벤조산과 같은 강한 유기 카복실산, 또는 비치환되거나, 할로-치환된 것과 같이 치환된 C1-C4 알칸- 또는 아릴-설폰산, 이를테면 메탄- 또는 p-톨루엔설폰산과 같은 유기 설폰산과 산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산 그룹을 갖는 화합물 (A), (B), (C) 또는 (D)는, 예를 들어 염기와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칼륨 또는 마그네슘 염과 같은 금속 염, 또는 암모니아 또는 모르폴린, 피페리딘, 피롤리딘, 모노-, 디- 또는 트리-저급 알킬 아민, 이를테면 에틸-, 디에틸-, 트리에틸- 또는 디메틸프로필아민, 또는 모노-, 디- 또는 트리-하이드록시-저급 알킬 아민, 이를테면 모노-, 디- 또는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유기 아민과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응하는 내부염이 임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농학적으로 유리한 염이 바람직하다. 유리 형태 및 이들 염 형태의 화합물 (A), (B), (C) 또는 (D) 간의 밀접한 관계로 볼 때, 상기 및 이후에서 유리 화합물 (A) 또는 유리 화합물 (B), (C) 또는 (D) 또는 이들 염이라는 것은, 경우에 따라 필요하다면 상응하는 염 또는 유리 화합물 (A) 또는 유리 화합물 (B), (C) 또는 (D)도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동등성은 화합물 (A), (B), (C) 또는 (D)의 토토머 및 이들의 염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합물"이라는 표현은, 예를 들어, 단일 "즉석 믹스(ready-mix)" 형태, "탱크 믹스(tank mix)"와 같이 단일 화합물들의 분리 제제로 구성된 배합 분무 혼합물 형태 및 순차적인 방식으로, 즉 수 시간 또는 수 일의 적당한 짧은 간격으로 한가지 성분에 이어 다른 성분이 적용될 경우 단일 활성 성분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과 같은 화합물 (A) 및 화합물 (B), (C) 또는 (D)의 다양한 배합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A) 및 화합물 (B), (C) 또는 (D)의 적용 순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원치않는 미생물을 퇴치/구제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조성물은 농업용으로 적합한 보조제, 용매, 담체, 계면활성물질 또는 증량제를 포함하는 살진균성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을 식물병원성 진균 및/또는 이들의 서식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치않는 미생물의 퇴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담체라는 것은, 특히 식물 또는 식물 부위 또는 종자 적용을 위해 적용성을 개선하도록 활성 화합물과 혼합되거나, 활성 화합물에 결합되는 천연 또는 합성의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을 의미한다.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는 담체는 일반적으로 불활성이고, 농업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적합한 고체 또는 액체 담체는, 예를 들어 암모늄염, 및 카올린, 점토, 활석, 쵸크, 석영, 아타펄기트, 몬트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와 같은 분쇄된 천연 광물, 및 미분 실리카, 알루미나 및 천연 또는 합성 실리케이트와 같은 분쇄된 합성 광물, 수지, 왁스, 고체 비료, 물, 알콜, 특히 부탄올, 유기 용매, 광유 및 식물성 오일 및 또한 이들의 유도체이다. 이들 담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합한 과립제용 고체 담체는, 예를 들어 방해석, 대리석, 경석, 해포석 및 백운석과 같은 분쇄 및 분류된 천연 암석, 또는 무기 및 유기 가루의 합성 과립, 및 톱밥, 코코넛 껍질, 옥수수 속대 및 담배줄기와 같은 유기물질의 과립이다.
적합한 액화가스 증량제 또는 담체란 주변 온도 및 대기압하에서 가스 상태인 액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부탄, 프로판, 질소 및 CO2와 같은 에어로졸 추진제이다.
점착부여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분말, 과립 또는 라텍스 형태의 중합체, 또는 세팔린 및 레시틴과 같은 천연 인지질 및 합성 인지질이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그밖의 가능한 첨가제는 임의로 변형된 광유 및 식물유 및 왁스이다.
사용된 증량제가 물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기 용매가 또한 보조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액체 용매는, 주로 크실렌, 톨루엔 또는 알킬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 클로로벤젠, 클로로에틸렌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 방향족 및 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산 또는 파라핀, 예를 들어, 광유 분획, 광유 및 식물유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부탄올 또는 글리콜과 같은 알콜 및 그들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강한 극성 용매, 및 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의 성분,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또는 이들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산염, 리그노설폰산염, 페놀설폰산염 또는 나프탈렌설폰산염, 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 알콜 또는 지방산 또는 지방 아민과의 중축합물, 치환된 페놀(특히, 알킬페놀 또는 아릴페놀), 설포숙신산 에스테르염, 타우린 유도체(특히, 알킬 타우레이트), 폴리에톡실화 알콜 또는 페놀의 인산 에스테르, 폴리올의 지방 에스테르, 및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및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하나의 활성 화합물 및/또는 하나의 불활성 담체가 수불용성이고, 적용이 물에서 일어나는 경우, 계면활성제의 존재가 필요하다. 바람직하게,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5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착색제, 예를 들어 산화철, 산화티탄 및 페로시안 블루와 같은 무기안료, 및 알리자린 염료, 아조염료 및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유기 염료, 및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과 같은 미량 영양소가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또한, 예를 들어, 보호 콜로이드, 결합제, 점착제, 농후제, 요변성물질(thixotropic substance), 침투제, 안정화제, 격리제, 복합물 형성제 등의 다른 추가의 성분들도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은 제제화용으로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고체 또는 액체 첨가제와 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활성 화합물을 0.05 내지 99 중량%, 0.01 내지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조성물은 그 자체로, 또는 그의 각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에 따라서 그의 제제 형태로,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사용형, 이를테면 에어로졸, 캡슐 현탁액, 냉무 농축물, 온무 농축물, 캡슐화된 과립, 미세 과립, 종자 처리용 유동성 농축물, 즉석 사용 용액, 뿌릴 수 있는 가루(dustable powder), 유화성 농축물, 수중유 유제, 유중수 유제, 마크로과립, 마이크로과립, 오일 분산성 분말, 오일 혼화성 유동성 농축물, 오일 혼화성 액체, 포움, 페이스트, 살해충제 코팅 종자, 현탁 농축물, 현탁-유제 농축물, 가용성 농축물, 현탁액, 수화제, 가용성 분말, 더스트 및 과립, 수용성 과립 또는 정제, 종자 처리용 수용성 분말, 수화제, 활성 화합물이 함침된 천연 제품 및 합성 물질, 종자용 코팅 물질 및 중합 물질중의 마이크로캡슐, ULV 냉무제 및 온무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제제는 공지된 방법 자체에 의해, 예를 들면 활성 화합물 또는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을,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적합한 첨가제는 통상의 모든 제제 보조제, 예를 들면 유기 용매, 중량제, 용매 또는 희석제, 고체 담체 및 충전제, 계면활성제(예컨대 보조제, 유화제, 분산제, 보호성 콜로이드, 습윤제 및 점착부여제), 분산제 및/또는 결합제 또는 고정제, 방부제, 염료 및 안료, 소포제, 무기 및 유기 농후제, 발수제, 경우에 따라 건조제 및 UV 안정화제 및, 지베렐린, 물 및 다른 가공 보조제이다. 각 경우 제조될 제제의 형태에 따라, 추가의 처리 단계, 예를 들면 습식 그라인딩, 건식 그라인딩 또는 제립화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용 준비가 되어 있고 식물 또는 종자에 적합한 장비와 함께 적용될 수 있는 제제뿐 아니라, 사용전 희석되어야 하는 상업적 농축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조성물은 그의 (상업적) 제제 및 이들 제제로부터 제조된 사용형중에 살충제, 유인제, 소독제, 살균제, 살비제, 살선충제, 살진균제, 성장조절제, 제초제, 비료, 약해완화제 및 정보물질과 같은 기타 (공지된) 활성 화합물과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 식물 및 식물 부위를 처리하는 것은 통상의 처리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침지, 분무, 분사, 관개, 증발, 더스팅, 분사, 살포, 포밍, 도포, 뿌리기, 급수(드렌칭), 세류 관개에 의해서 및, 전파 물질, 특히 종자의 경우에는 또한 건조 종자 처리용 분말, 종자 처리용 용액, 슬러리 처리용 수용성 분말, 외피형성, 일 이상의 층 코팅 등에 의해 직접, 또는 그의 주변, 서식지 또는 저장 공간에 작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활성 화합물을 극소 용적법으로 적용하거나, 활성 화합물 제제 또는 활성 화합물 자체를 토양에 주입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종자 처리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단락의 방법중 한 방법으로 처리된 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종자를 처리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유해 유기체에 의해 야기되는 대부분의 작물 피해는 종자가 저장되는 동안과 종자 파종 후 뿐만 아니라 식물이 발아하는 동안 및 발아후 종자 감염으로 촉발된다. 이러한 현상은 발아 식물의 뿌리 및 새싹이 특히 민감하고 심지어 약간의 피해에도 전체 식물이 고사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관건이다. 따라서, 적절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종자 및 발아 식물을 보호하는 것이 특히 관심사이다.
식물의 종자를 처리하여 식물병원성 진균을 구제하는 것은 예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지속적인 개량 과제이다. 그러나, 종자 처리는 만족할만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번번히 곤란한 일련의 문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파종후 또는 식물 출현후 작물 보호제의 추가 적용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추가 적용이 적어도 상당히 감소된 종자 및 발아 식물의 보호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요망된다. 사용된 활성 화합물이 식물 자체에는 피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식물병원성 진균의 침습으로부터 종자 및 발아 식물을 최대한 보호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활성 화합물의 양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또한 요망된다. 특히, 종자 처리방법은 또한 작물 보호제를 최소한으로 사용함으로써 종자 및 발아 식물을 최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형질전환(transgenic) 식물의 고유 살진균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종자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하여 종자 및 발아 식물을 식물병원성 진균의 침습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종자 및 발아 식물을 식물병원성 진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종자를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진균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된 종자에 관한 것이다.
출현후 식물에 피해를 입히는 식물병원성 진균의 구제는 주로 작물 보호 조성물로 토양 및 식물의 지상부를 처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작물 보호 조성물이 환경과 인간 및 동물의 건강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로, 활성 화합물의 적용량을 줄이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한가지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특정 전신성으로 인해, 이들 활성 화합물로 종자를 처리하는 것이 식물병원성 진균으로부터 종자 자체뿐 아니라 출현후 식물도 보호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파종시 또는 그 직후 작물을 즉시 처리할 필요가 없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혼합물이 특히 형질전환 종자에 사용되어 이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이 해충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조성물로 종자를 처리함으로써, 예를 들어 살충 단백질의 발현만으로도 특정 해충이 구제될 수 있다. 놀랍게도, 해충 침습에 대한 보호 효과를 또한 증가시키는 추가의 상승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농업, 온실, 숲, 또는 또는 원예 분야 또는 포도재배시 사용되는 임의 식물 품종의 종자를 보호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이는 곡물(예: 밀, 보리, 호밀, 라이밀, 수수, 귀리), 옥수수(콘), 목화, 대두, 벼, 감자, 해바라기, 콩, 커피, 무(예: 사탕무 및 사료무), 땅콩, 유채, 양귀비, 올리브, 코코넛, 카카오, 사탕수수, 담배, 채소(예: 토마토, 오이, 양파 및 상치), 잔디 및 관상 식물(이하 참조)의 종자 형태를 취한다. 곡물(예: 밀, 보리, 호밀, 라이밀, 귀리), 옥수수(콘) 및 벼 종자의 처리가 특히 중요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조성물로 형질전환 종자를 처리하는 것이 또한 특히 중요하다. 이는 살충성을 갖는 폴리펩티드 또는 펩티드를 발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종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의 종자에 적용된다. 형질전환 종자내 이종 유전자는 바실러스(Bacillus), 리조비움(Rhizobium), 슈도모나스(Pseudomonas), 세타리아(Serratia), 트리코더마(Tri-choderma), 클라비박터(Clavibacter), 글로무스(Glomus) 또는 글리오클라듐(Glio-cladium)과 같은 종의 미생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종 유전자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로부터 유래되며, 그의 유전자 산물은 유럽 조명충나방 및/또는 옥수수 뿌리벌레에 대해 활성을 나타낸다.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로부터 유래된 이종 유전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조성물은 그 자체로 또는 적합한 제제로 종자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종자는 어떠한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히 안정한 상태로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종자는 수확과 파종 사이 어느 시점에도 처리가 가능하다. 보통, 사용된 종자는 식물로부터 분리되며, 식물의 속, 껍질, 줄기, 외피, 털 또는 과육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수확하였거나, 세정처리되었거나, 15 중량% 미만의 수분 함량으로 건조된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건조후 예를 들어 물로 처리한 다음, 다시 건조시킨 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종자 처리시, 종자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 및/또는 추가의 첨가제의 양은 종자 발아가 불리하게 영향을 받지 않거나, 발생된 식물이 피해를 입지 않게 선택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는 특히 특정 적용 비율에서 식물독성 작용을 가질 수 있는 활성 화합물인 경우에 명심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직접, 즉 추가 성분없이 희석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을 적합한 제제 형태로 하여 종자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제제 및 종자 처리방법은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US 4,272,417 A호, US 4,245,432 A호, US 4,808,430 A호, US 5,876,739 A호, US 2003/0176428 Al호, WO 2002/080675 A1호, WO 2002/028186 A2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은 용액제, 유제, 현탁액, 산제, 포움, 슬러리 또는 기타 종자용 코팅 물질 및 ULV 제제와 같은 통상의 제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활성 화합물을 통상의 첨가제, 이를테면 통상의 증량제 및 또한 용매 또는 희석제, 착색제, 습윤제, 분산제, 유화제, 소포제, 방부제, 이차 농조화제, 점착부여제, 지베렐린 및 물과 혼합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제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착색제는 이러한 목적에 통상적인 모든 착색제를 포함한다. 수난용성 안료 및 수용성 염료 둘 다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로다민 B, C.I. 적색소 112 및 C.I. 적용매 1로 알려진 착색제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자 드레싱 제제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습윤제는 습윤성을 촉진하고 농화학 활성 화합물의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한다.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예컨대 디이소프로필- 또는 디이소부틸나프탈렌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자 드레싱 제제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분산제 및/또는 유화제는 농화학 활성 화합물의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비이온성,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분산제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분산제 또는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분산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비이온성 분산제는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폴리머,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및 트리스티릴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및 이들의 설폰화 또는 설페이트화 유도체이다. 특히 적합한 음이온성 분산제는 리그노설포네이트, 폴리아크릴산염 및 아릴설포네이트-포름알데하이드 축합물이다.
본 발명의 종자 드레싱 제제에 존재할 수 있는 소포제는 농화학 활성 화합물의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기포 억제 화합물이다. 실리콘 소포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실리콘 유제, 장쇄 알콜, 지방산 및 이들의 염 및 또한 유기 불소 화합물 및 그의 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종자 드레싱 제제에 존재할 수 있는 방부제는 농화학 조성물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이다. 예를 들자면, 디클로로펜 및 벤질 알콜 헤미포르말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자 드레싱 제제에 존재할 수 있는 이차 농조화제는 농화학 조성물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이다. 셀룰로즈 유도체, 아크릴산 유도체,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크산탄검 또는 비굼(Veegum), 개질 점토, 필로실리케이트, 예컨대 아타펄자이트 및 벤토나이트, 및 또한 미분 규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종자 드레싱 제제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점착부여제는 종자 드레싱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통상의 결합제이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콜 및 틸로스가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제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지베렐린은 바람직하게는 지베렐린 A1, A3 (= 지베렐린산), A4 및 A7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지베렐린산이 사용된다. 지베렐린은 공지되었다(참조: R. Wegler "Chemie der Pflanzenschutz- und Schaedlingsbekaempfungsmittel" [Chemistry of Crop Protection Agents and Pesticides], Vol. 2, Springer Verlag, 1970, pp. 401-412).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제는 임의의 각종 광범위 형태의 종자를 처리하기 위해 직접, 또는 사전에 물로 희석 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제 또는 그의 희석 제제는 또한 형질전환 식물의 종자 드레싱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발현에 의해 형성된 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 상승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제 또는 물을 첨가하여 그로부터 제조된 제제로 종자를 처리하는데 적합한 장비는 드레싱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혼합 장비이다. 드레싱시 채용되는 특정 절차는 종자를 믹서에 도입하고, 특정 소정량의 종자 드레싱 제제를 그 자체로 또는 물로 희석한 후에 첨가한 후, 제제가 종자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로는, 건조 공정이 뒤따르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강력한 살미생 활성을 지니며, 예를 들어 작물 및 재료 보호에 있어서 원치않는 미생물, 예를 들면 진균 및 박테리아를 구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작물 보호에 있어 살진균제는, 뿌리혹곰팡이류(Plasmodiophoromycetes), 난균류(Oomycetes), 호상균류(Chytridiomycetes), 접합균류(Zygomycetes), 자낭균류(Ascomycetes), 담자균류(Basidiomycetes) 및 불완전균류(Deuteromycetes)를 구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작물 보호에 있어 살박테리아제는 슈도모노아다세아(Pseudomonoadaceae), 리조비아세아(Rhizobiaceae), 엔테로박테리아세아(Enterobacteriaceae), 코리네박테리아세아(Corynebacteriaceae) 및 스트렙토마이세타세아(Streptomycetaceae)를 구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진균 조성물은 식물병원성 진균을 치유적 또는 예방적으로 구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종자, 식물 또는 식물 부위, 열매, 또는 식물이 자라고 있는 토양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성 진균을 치유적 또는 예방적으로 구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 또는 식물 부위, 열매, 또는 식물이 자라고 있는 토양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물 보호에 있어 식물병원성 진균을 구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효과적이지만 식물독성이 아닌 양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한다. "효과적이지만 식물독성이 아닌 양"은 한편으로는 식물의 진균성 질병을 만족할만하게 또는 완전히 제거하면서, 어떤 상당한 식물독성의 증상도 수반하지 않기에 충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적용 비율은 비교적 넓은 범위로 변할 수 있으며, 그 비율은 예를 들면 식물병원성 진균, 식물 또는 작물, 기후 조건 및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분과 같은 다수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식물 질병을 구제하는데 필요한 농도에서 식물이 활성 화합물에 대해 우수한 내약성을 갖기 때문에 식물의 지상부, 영양 번식 물질 및 종자, 및 토양의 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모든 식물 및 식물 부위가 처리될 수 있다. 식물이란 원하거나 원치않는 야생 식물, 재배종 및 식물 품종(식물 품종 또는 식물 육종권자의 주권으로 보호될 수 있거나 보호될 수 없는)과 같은 모든 식물 및 식물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재배종 및 식물 품종은 이게놈 반수체, 원형질 융합, 랜덤 및 유도적 돌연변이, 분자 또는 유전자 마커의 사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생명공학적 방법에 의해 또는 생명공학 및 유전자공학 방법에 의해 보조 또는 보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전파 및 육종 방법으로 얻어지는 식물일 수 있다. 식물 부위는 식물의 모든 지상 및 지하 부분 및 기관, 예를 들어 싹, 잎, 꽃 및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들의 예로 잎, 침엽(needles), 줄기(stem), 가지, 꽃, 자실체, 과실, 종자, 뿌리, 괴경, 구경 및 뿌리 줄기가 언급될 수 있다. 작물, 및 영양 및 생식 번식 물질, 예를 들어 자른가지, 구경, 뿌리 줄기, 괴경, 기는줄기 및 종자가 또한 식물 부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식물 내성이 우수하고, 온혈 동물에 허용하는 정도의 독성을 가지며, 친환경성이 우수하여서 식물 및 식물 기관을 보호하고, 수확량을 증산시키고, 수확 물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하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작물 보호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정상적인 감수성 및 내성 종 및 발달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 단계에 대하여 활성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식물로는 하기 주요 밭작물을 들 수 있다: 옥수수, 대두, 목화, 유채속 평지씨, 이를테면 브라시카 나푸스(Brassica napus)(예: 캐놀라), 브라시카 라파(Brassica rapa), 브라시카 준세아(B. juncea) (예: 겨자) 및 브라시카 카리나타(Brassica carinata), 벼, 밀, 사탕무, 사탕수수, 귀리, 호밀, 보리, 수수, 라이밀, 아마, 덩굴식물 및 다양한 식물 분류 단위의 각종 과실 및 채소, 예컨대 장미과류(Rosaceae sp.)(예를 들어, 사과 및 배 등의 이과 식물(pip fruit) 뿐만 아니라, 살구, 체리, 아몬드 및 복숭아 등의 핵과, 딸기 등의 연한 과일), 리베시오이다에 종(Ribesioidae sp.), 가래나무과 종(Juglandaceae sp.), 자작나무과 종(Betulaceae sp.), 옻나무과 종(Anacardiaceae sp.), 참나무과 종(Fagaceae sp.), 뽕나무과 종(Moraceae sp.), 올레아세아에 종(Oleaceae sp.), 악티니다세아에 종(Actinidaceae sp.), 녹나무과 종(Lauraceae sp.), 파초과 종(Musaceae sp.)(예를 들어 바나나 나무 및 농장), 꼭두서니과 종(Rubiaceae sp.)(예를 들어 커피), 차나무과 종(Theaceae sp.), 스테르쿨리세아에 종(Sterculiceae sp.), 운향과 종(Rutaceae sp.)(예를 들어 레몬, 오렌지 및 자몽); 솔라나세아에 종(Solanaceae sp.)(예를 들어 토마토, 감자, 후추, 가지), 백합과 종(Liliaceae sp.), 콤포시티아에 종(Compositiae sp.)(예: 상추, 아티초크 및 치커리 - 뿌리 치커리, 꽃상추 또는 보통의 치커리(common chicory) 포함), 산형과 종(Umbelliferae sp.)(예: 당근, 파슬리, 셀러리 및 뿌리를 쓰는 셀러리), 박과 종(Cucurbitaceae sp.)(예를 들어 오이- 절임 오이, 호박, 수박, 호리병박 및 멜론 포함), 부추과 종(Alliaceae ap.)(예: 양파 및 부추), 십자화과 종(Cruciferae sp.)(예: 흰양배추, 적채,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브루셀 양배추(brussel sprout), 청경채, 콜라비, 무, 양고추냉이, 큰다닥냉이, 배추), 레구미노사에 종(Leguminosae sp.)(예: 땅콩, 완두 및 콩 - 예컨대 덩굴성 강남콩 및 잠두 포함), 케노포디아세아 종(Chenopodiaceae sp.)(예: 사료용 사탕무, 근대, 시금치, 근대뿌리), 말바세아(Malvaceae)(예: 오크라), 아스파라가세아(Asparagaceae) (예: 아스파라거스); 원예 작물 및 수풀; 관상 식물; 및 각 경우 이들 작물의 유전자적으로 변형된 상동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모든 식물 및 이들의 일부가 처리 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야생 식물종 및 식물 재배종, 또는 통상적인 생물학적 육종법, 예를 들어 교잡육종 또는 원형체 유합(protoplast fusion)에 의해 얻어진 식물 종 및 식물 재배종 및 이들의 일부가 처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 적합하다면 통상적인 방법과 함께 유전자공학적으로 얻어진 형질전환 식물(transgenic plant) 및 식물 재배종(유전자 변형 유기체) 및 이들의 일부가 처리된다. 용어 "부분",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부위"는 상기 설명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시판되거나 사용되고 있는 식물 재배종의 식물이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다. 식물 재배종이라는 것은 통상적인 육종 기술, 돌연변이형성 또는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육종되는 새로운 성질("특성")을 갖는 식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은 재배종(cultivar), 생리형(biotype) 또는 유전자형(genotyp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방법은 유전자 변형 유기체(GMO), 예를 들어, 식물 또는 종자의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유전적으로 변형된 식물(또는 형질전환 식물)은 이종 유전자가 게놈에 안정하게 통합된 식물이다. "이종 유전자"라는 표현은 본질적으로, 식물 외부에서 제공되거나, 어셈블되고, 핵, 엽록체 또는 미토콘드리아 게놈에 도입된 경우 대상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를 발현하거나, 또는 식물중에 존재하는 다른 유전자(들)를 하향 조절 또는 침묵시킴으로써(예를 들어, 안티센스 기술, 공동억제 기술 또는 RNA 간섭(RNAi) 기술을 사용하여 형질전환된 식물에 새롭거나 개선된 작물학적 특성 또는 그밖의 다른 특성을 제공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게놈에 위치한 이종 유전자는 또한 이식유전자(transgene)로도 불린다. 식물 게놈에서 그의 특정 위치에 의해 정의되는 이식유전자는 형질전환 또는 유전자이식 이벤트로 언급된다.
식물 종 또는 식물 재배종, 그들의 위치 및 성장 조건(토양, 기후, 성장 기간, 영양분)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처리는 또한 초상가적("상승적") 효과를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활성 화합물 및 조성물의 적용 비율의 감소 및/또는 활성 스펙트럼의 확장 및/또는 활성 증가, 식물 성장성 향상, 고온 또는 저온 대한 내성 증가, 가뭄 또는 물 또는 토양 염분 함량에 대한 내성 증가, 개화성 증가, 수확 용이성, 성숙성 촉진, 수확량 증가, 더욱 큰 과실, 큰 식물 높이, 더 푸른 잎 색깔, 더 이른 개화, 수확 산물의 품질 및/또는 영양가 증대, 과실내의 더 높은 당도, 수확 산물의 더욱 우수한 저장 안정성 및/또는 가공성의 효과가 가능하고, 이는 실제로 예상되는 효과를 능가한다.
특정 적용 비율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은 또한 식물에서 강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또한 원치 않는 미생물에 의한 공격에 대해 식물의 방어 시스템을 결집시키는데 적합하다. 이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의 예를 들어, 진균에 대한 강화된 활성의 한 요인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식물-강화(내성-유도) 물질은 원치않는 미생물로 접종되었을 때, 처리된 식물이 이들 미생물에 대해 상당한 정도의 내성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식물의 방어 시스템을 자극할 수 있는 물질 또는 물질의 배합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처리 후 특정 기간 내에 상기 언급된 병원균에 의한 공격에 대하여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보호가 달성되는 시기는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로 식물을 처리한 후 1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일에 달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처리되는 식물 및 식물 재배종은 이들 식물에 특히 유리한 유용한 특성을 부여하는 유전자를 지니는 모든 식물을 포함한다(육종 및/또는 생명공학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것과 상관없이)
본 발명에 따라 또한 바람직하게 처리되는 식물 및 식물 재배종은 하나 이상의 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내성이 있는 것으로, 즉, 상기 식물은 동물 및 미생물 해충, 예를 들어, 선충류, 곤충, 응애, 식물병원성 진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또는 비로이드에 대한 방어성이 더욱 우수하다.
선충-내성 식물의 예가, 예를 들어 하기 미국 특허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11/765,491, 11/765,494, 10/926,819, 10/782,020, 12/032,479, 10/783,417, 10/782,096, 11/657,964, 12/192,904, 11/396,808, 12/166,253, 12/166,239, 12/166,124, 12/166,209, 11/762,886, 12/364,335, 11/763,947, 12/252,453, 12/209,354, 12/491,396 및 12/497,221.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및 식물 재배종은 하나 이상의 비생물적 스트레스 인자에 대하여 내성이 있는 식물이다. 비생물적 스트레스 조건은 예를 들어, 가뭄, 냉온 노출, 열 노출, 삼투성 스트레스, 홍수, 증가된 토양 염분, 증가된 광물 노출, 오존 노출, 높은 광 노출, 질소 영양분의 제한적 이용성, 인 영양분의 제한적 이용성, 응지 회피성(shade avoidanc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및 식물 재배종은 수확성 강화를 특징으로 하는 식물이다. 상기 식물에서 수확량 증가는 예를 들어, 개선된 식물 생리성, 성장 및 발달, 예를 들어, 물 이용 효율, 물 보유 효율, 개선된 질소 이용, 강화된 탄소 동화, 개선된 광합성, 증가된 발아 효율 및 가속화된 성숙의 결과일 수 있다. 수확량은 또한 이른 개화, 잡종 종자(hybrid seed) 생산용 개화 조절, 모종 성장력, 식물 크기, 절간(internode) 개수 및 거리, 뿌리 성장, 종자 크기, 과실 크기, 꼬투리 크기, 꼬투리 또는 이삭 개수, 꼬투리 또는 이삭당 종자 개수, 종자 부피, 강화된 종자 필링성(filling), 종자 이산성 감소, 꼬투리 열개(dehiscence) 감소 및 내도복성(lodging resistance)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개선된 식물 아키텍쳐(architecture)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스트레스 및 비스트레스 조건하에서). 추가의 수확량 특성은 종자 조성, 예를 들어, 탄수화물 함량, 단백질 함량, 오일 함량 및 조성, 영양가, 반-영양적 화합물의 감소, 개선된 가공성 및 더욱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식물은 일반적으로 더욱 높은 수량, 원기, 활력 및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내성을 초래하는 잡종강세 또는 잡종 성장력의 특성을 이미 발현한 잡종 식물이다. 이러한 식물은 일반적으로 근교 웅성-불임 어버이 계통(inbred male-sterile parent line)(자성 어버이)을 다른 근교 웅성-번식성 어버이 계통(웅성 어버이)과 이종교배시켜 만들어진다. 잡종 종자는 일반적으로 웅성 불임 식물로부터 수확되어, 재배자들에게 판매된다. 웅성 불임 식물은 때때로(예: 콘에서) 수꽃이삭제거(detasseling), 즉, 웅성 생식기관(또는 웅성 꽃)의 기계적 제거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나, 더욱 일반적으로 웅성 불임성은 식물 게놈에서 유전 결정기의 결과이다. 이 경우 및 특히, 종자가 잡종 식물로부터 수확될 원하는 산물일 때, 이는 전형적으로 잡종 식물에서 웅성 번식성을 완전히 회복시키는 것을 보장하는데 유용하다. 이는 웅성 어버이가 웅성 불임성에 관여하는 유전 결정기를 함유한 잡종 식물에서 웅성 생식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적절한 생식성 회복 유전자를 갖도록 보장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웅성 불임성 유전 결정기는 세포질에 위치할 수 있다. 세포질 웅성 불임성(CMS)의 예는 예를 들어, 브라시카 종(Brassica species)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웅성 불임성 유전 결정기는 또한 핵 게놈에 위치할 수도 있다. 웅성 불임 식물은 또한 유전자 공학과 같은 식물 생명공학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웅성-불임 식물을 얻는 특히 유용한 수단은 WO 89/10396호에 기술되었고,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리보누클레아제, 예를 들어, 바르나제(barnase)가 수술의 융단 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된다. 이어서, 생식성이 리보누클레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바르스타(barstar)의 융단 세포에서의 발현으로 회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 공학과 같은 식물 생명공학 방법으로 얻어짐)은 제초제 내성 식물, 즉, 하나 이상의 주어진 제초제에 내성이 있도록 만들어진 식물일 수 있다. 이러한 식물은 유전자 형질전환, 또는 이러한 제초제 내성을 부여하는 돌연변이를 함유하는 식물의 선별로 얻을 수 있다.
제초제-내성 식물은 예를 들어, 글리포세이트-내성 식물, 즉, 제초제 글리포세이트 또는 그의 염에 내성이 있도록 만들어진 식물이다. 식물은 상이한 수단을 통해 글리포세이트에 내성이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리포세이트-내성 식물은 식물을 효소 5-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3-포스페이트 신타제(EPSPS)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EPSPS 유전자의 예는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박테리아의 AroA 유전자(돌연변이 CT7)(Comai et al., Science (1983), 221, 370-371), 아르고박테리움 종 (Argobacterium sp.) 박테리아의 CP4 유전자(Barry et al., Curr. Topics Plant Physiol. (1992), 7, 139-145), 페투니아(Petunia) EPSPS를 코딩하는 유전자(Shah et al., Science (1986), 233, 478-481), 토마토 EPSPS(Gasser et al., J. Biol. Chem. (1988), 263, 4280-4289), 또는 엘레우신(Eleusine) EPSPS(WO 01/66704호)이다. 이는 또한 돌연변이 EPSPS일 수 있다. 글리포세이트-내성 식물은 또한 글리포세이트 옥시도-리덕타제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발현하여 얻을 수 있다. 글리포세이트-내성 식물은 또한 글리포세이트 아세틸 트랜스퍼라제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발현하여 얻을 수 있다. 글리포세이트-내성 식물은 또한 상기 언급된 유전자의 자연-발생 돌연변이를 함유하는 식물을 선택하여 얻을 수도 있다. 글리포세이트 내성을 부여하는 EPSPS 유전자 발현 식물은 기술되었다. 글리포세이트 내성을 부여하는 다른 유전자, 예를 들면 데카복실라제 유전자 발현 식물이 기술되었다.
다른 제초제 내성 식물은 효소 글루타민 신타제를 억제하는 제초제, 예를 들어, 비알라포스, 포스피노트리신 또는 글루포시네이트에 내성이 있도록 만들어진 식물이다. 이러한 식물은 제초제를 해독하는 효소 또는 억제에 내성이 있는 돌연변이 글루타민 신타제 효소를 발현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유효한 해독 효소중 하나는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트랜스퍼라제(예를 들어, 스트렙토마이세스 종(Streptomyces species)으로부터의 바(bar) 또는 팻(pat) 단백질)를 코딩하는 효소이다. 외인성 포스피노트리신 아세틸트랜스퍼라제를 발현하는 식물이 또한 게재되었다.
추가적인 제초제-내성 식물은 또한 효소 하이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디옥시게나제(hydroxyphenylpyruvatedioxygenase, HPPD)를 억제하는 제초제에 내성이 있도록 만들어진 식물이다. HPPD는 파라-하이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HPP)가 호모겐티세이트(homogentisate)로 형질전환되는 반응을 촉매화하는 효소이다. HPPD-억제제에 내성이 있는 식물은 WO 96/38567호, WO 99/24585호, WO 99/24586호, WO 2009/144079호, WO 2002/046387호 또는 US 6,768,04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돌연변이 또는 키메라 HPPD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될 수 있다. HPPD 억제제에 대한 내성은 또한, HPPD 억제제에 의한 고유 HPPD 효소의 억제에도 불구하고 식물을 호모겐티세이트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시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식물은 WO 99/34008호 및 WO 02/36787호에 기술되어 있다. 식물의 HPPD 억제제에 대한 내성은 또한, WO 2004/02492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식물을 HPPD-내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 외에 효소 프레페네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prephenate dehydroge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시킴으로써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HPPD 억제제를 대사하거나 분해하는 효소, 예를 들면 CYP450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그의 게놈에 삽입함으로써 식물이 HPPD 억제제에 더욱 내성이 되도록 만들 수 있다(참조: WO 2007/103567 및 WO 2008/150473).
그밖의 추가적인 제초제 내성 식물은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제(ALS) 억제제에 내성이 있도록 만들어진 식물이다. 공지된 ALS 억제제는 예를 들어, 설포닐우레아, 이미다졸리논, 트리아졸로피리미딘, 피리미디닐옥시(티오)벤조에이트 및/또는 설포닐아미노카보닐트리아졸리논 제초제를 포함한다. 트라넬(Tranel) 및 라이트(Wright)에 의한 문헌(2002, Weed Science 50: 700-712)에 기술된 바와 같이, ALS 효소에서 다른 돌연변이(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제, AHAS로도 공지됨)는 다른 제초제 및 제초제 그룹에 내성을 주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설포닐우레아-내성 식물 및 이미다졸리논-내성 식물의 생성이 기술되었다. 추가의 설포닐우레아- 및 이미다졸리논-내성 식물이 또한 기술되었다.
이미다졸리논 및/또는 설포닐우레아에 내성이 있는 다른 식물은 돌연변이생성 유도, 제초제의 존재하에 세포 배양물에서의 선별 또는 돌연변이 육종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참조예: 대두 - US 5,084,082호, 벼 - WO 97/41218호, 사탕무 - US 5,773,702호 및 WO 99/057965호, 상추 - US 5,198,599호 또는 해바라기 - WO 01/065922호).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 공학과 같은 식물 생명공학 방법에 의해 얻어짐)은 곤충-내성 형질전환 식물, 즉, 특정 표적 곤충에 의한 공격에 내성이 있게 만들어진 식물이다. 이러한 식물은 유전자 형질전환, 또는 이러한 곤충 내성을 부여하는 돌연변이를 함유하는 식물 선별로 얻을 수 있다.
본 원에 사용된 "곤충-내성 형질전환 식물"에는 하기 1) 내지 10)을 코딩하는 코딩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식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임의의 식물을 포함한다:
1)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유래 살충성 결정 단백질 또는 그의 살충성 부분, 예를 들어, Crickmore 등에 의해 작성되고 (1998,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62, 807-813), Crickmore 등에 의해 (2005)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독소 명명이 온라인: http://www.lifesci.sussex.ac.uk/Home/Neil_Crickmore/Bt/)에서 업데이트된 살충성 결정 단백질, 또는 그의 살충성 부분, 예를 들면, Cry 단백질 클래스 Cry1Ab, Cry1Ac, Cry1B, Cry1C, Cry1D, Cry1F, Cry2Ab, Cry3Aa 또는 Cry3Bb의 단백질, 또는 그의 살충성 부분 (예를 들어, EP-A 1999141 and WO 2007/107302); 또는 미국 특허 출원 12/249,016호에 기술된 합성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 또는
2)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유래의 제2의 다른 결정 단백질 또는 그의 부분의 존재하에 살충성인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유래의 결정 단백질 또는 그의 부분, 예를 들어, Cry34 및 Cry35 결정 단백질로 구성된 이원성 독소(binary toxin) (Moellenbeck et al. 2001, Nat. Biotechnol. 19:668-72; Schnepf et al. 2006, Applied Environm. Microbiol. 71, 1765-1774), 또는 Cry1A 또는 Cry1F 단백질 및 Cry2Aa 또는 Cry2Ab 또는 Cry2Ae 단백질로 구성된 이원성 독소 (미국 특허 출원 12/214,022호 및 EP08010791.5호); 또는
3)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유래의 두개의 다른 살충성 결정 단백질 부분들을 포함하는 잡종 살충성 단백질, 예를 들어, 상기 1)의 단백질 잡종, 또는 상기 2)의 단백질 잡종, 예를 들어, 옥수수 이벤트 MON98034(WO 2007/027777)에 의해 생산된 Cry1A.105 단백질; 또는
4) 표적 곤충 종에 대한 고도의 살충 활성을 얻고/얻거나, 영향을 받는 표적 곤충 종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및/또는 복제 또는 형질전환중에 코딩 DNA로 도입되는 변화 때문에 일부, 특히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대체되는 상기 1) 내지 3)중 임의의 한 단백질, 예를 들어, 옥수수 이벤트 MON863 또는 MON88017에서 Cry3Bb1 단백질, 또는 옥수수 이벤트 MIR604에서 Cry3A 단백질; 또는
5)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또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부터 분비된 살충성 단백질, 또는 그의 살충성 부분, 예를 들어, http://www.lifesci. sussex.ac.uk/home/Neil_Crickmore/Bt/vip.html에 열거된 식물성 살충성(VIP) 단백질, 예를 들어, VIP3Aa 단백질 부류의 단백질; 또는
6)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또는 바실러스 세레우스로부터 분비된 제2 단백질의 존재하에서 살충성인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또는 바실러스 세레우스로부터 분비된 단백질, 예를 들어, VIP1A 및 VIP2A 단백질로 구성된 이원성 독소(WO 94/21795); 또는
7)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또는 바실러스 세레우스로부터 분비된 다른 단백질의 부분을 포함하는 잡종 살충성 단백질, 예를 들어, 상기 1)의 단백질 잡종 또는 상기 2)의 단백질 잡종; 또는
8) 표적 곤충 종에 대한 고도의 살충 활성을 얻고/얻거나, 영향을 받는 표적 곤충 종의 범위를 확대기 위해, 및/또는 복제 또는 형질전환중에(여전히 살충성 단백질을 코딩하면서) 코딩 DNA로 도입되는 변화 때문에 일부, 특히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대체되는 상기 5) 내지 7)중 임의의 한 단백질, 예를 들어, 목화 이벤트 COT102에서 VIP3Aa 단백질; 또는
9)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유래 결정 단백질의 존재하에 살충성인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또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로부터 분비된 단백질, 예를 들어, 단백질 VIP3 및 Cry1A 또는 Cry1F로 구성된 이원성 독소 (미국 특허 출원 61/126083호 및 61/195019호), 또는 VIP3 단백질 및 Cry2Aa 또는 Cry2Ab 또는 Cry2Ae 단백질로 구성된 이원성 독소 (미국 특허 출원 12/214,022호 및 EP 08010791.5호); 또는
10) 표적 곤충 종에 대한 고도의 살충 활성을 얻고/얻거나, 영향을 받는 표적 곤충 종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및/또는 (여전히 살충 단백질을 코딩하면서) 복제 또는 형질전환중에 코딩 DNA로 도입되는 변화 때문에 일부, 특히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대체되는 상기 9)에 따른 단백질.
물론, 본 원에 사용된 곤충-내성 형질전환 식물은 또한, 상기 1 내지 10 부류중 임의의 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식물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곤충-내성 식물은 다른 표적 곤충 종에 대한 상이한 단백질을 사용하는 경우 영향을 받는 표적 곤충 종의 범위를 확대하거나, 또는 동일 표적 곤충 종에 대하여는 살충성이나, 곤충에서 다른 수용체 결합 부위에 결합하는 것과 같이 다른 작용 모드를 갖는 상이한 단백질을 사용함으로써 식물의 곤충 내성 발생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1 내지 10 부류중 임의의 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복수의 이식유전자를 함유한다.
본 원에서 "곤충-내성 형질전환 식물"은 또한 식물 곤충 해충이 섭취시 발현에 의해 해충의 성장을 억제하는 이중나선 RNA를 생산하는 서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식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임의의 식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 공학과 같은 식물 생명공학 방법에 의해 얻어짐)은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해 내성이다. 이러한 식물은 유전자 형질전환, 또는 이러한 스트레스 내성을 부여하는 돌연변이를 함유하는 식물 선별로 얻을 수 있다. 특히 유용한 스트레스 내성 식물로는 다음을 예로 들 수 있다:
1) 식물 세포 또는 식물에서 폴리(ADP-리보스)폴리머라제(PARP) 유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식유전자를 함유하는 식물.
2) 식물 또는 식물 세포의 PARG 코딩 유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 내성 강화 이식유전자를 함유하는 식물.
3) 니코틴아미다제, 니코티네이트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 니코틴산 모노뉴클레오티드 아데닐 트랜스퍼라제,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신쎄타제 또는 니코틴 아미드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를 포함하는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샐비지 합성 경로(salvage synthesis pathway)의 식물-기능성 효소를 코딩하는 스트레스 내성 강화 이식유전자를 함유하는 식물.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 공학과 같은 식물 생명공학 방법에 의해 얻어짐)은 다음과 같이 수확 산물의 양, 품질 및/또는 저장 안정성 변경 및/또는 수확 산물의 특정 성분의 특성 변경을 나타낸다:
1) 변성 전분을 합성하여 물리-화학적 특성, 특히, 아밀로스 함량 또는 아밀로스/아밀로펙틴 비, 분지 도, 평균 쇄 길이, 측쇄 분포, 점도 거동, 겔화 강도, 전분 낟알 크기 및/또는 전분 낟알 형태가 야생형 식물 세포 또는 식물에서 합성된 전분에 비해 변경됨에 따라 특수 적용에 보다 적합한 형질전환 식물.
2) 비전분 탄수화물 중합체를 합성하거나, 또는 유전적 변형없이 야생형 식물에 비해 특성이 변경된 비전분 탄수화물 중합체를 합성하는 형질전환 식물. 예로는 이눌린 및 레반형(levan-type)의 폴리프럭토스를 생성하는 식물, 알파-1,4-글루칸을 생성하는 식물, 알파-1,6-분지된 알파-1,4-글루칸을 생성하는 식물, 알터난을 생성하는 식물을 들 수 있다.
3) 히알루로난을 생성하는 형질전환 식물.
4) 특정 성질, 예컨대 "고용융성 고체분", "매운맛이 적은"(LP) 및/또는 "장기 저장성"(LS)을 가지는 양파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 또는 잡종 식물.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 공학과 같은 식물 생명공학 방법에 의해 얻어짐)은 섬유 특성이 변경된 식물, 예컨대 목화 식물이다. 이러한 식물은 유전자 형질전환에 의해서나, 이와 같이 섬유 특성 변경을 부여하는 돌연변이를 함유하는 식물을 선별하여 얻을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
a) 변경된 형태의 셀룰로스 합성효소 유전자를 함유하는 식물, 예컨대 목화 식물,
b) 변경된 형태의 rsw2 또는 rsw3 상동성 핵산을 함유하는 식물, 예컨대 목화 식물, 예를 들면 수크로스 포스페이트 합성효소 발현이 증가된 목화 식물;
c) 수크로스 포스페이트 합성효소 발현이 증가된 식물, 예컨대 목화 식물;
d) 섬유 세포 근거로, 예를 들면 섬유-선택적 β-1,3-글루카나제 하향조절을 통해 플라스모데스마타 게이팅(plasmodesmatal gating) 시기가 변경된 식물, 예컨대 목화 식물;
e) 예를 들면 nodC 및 키틴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N-아세틸글루코사민트랜스퍼라제 유전자 발현을 통해 반응성이 변경된 섬유를 가지는 식물, 예컨대 목화 식물.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 공학과 같은 식물 생명공학 방법에 의해 얻어짐)은 오일 프로필 특성이 변경된 식물, 예컨대 유채 또는 관련 배추속(Brassica) 식물이다. 이러한 식물은 유전자 형질전환에 의해서나, 이와 같이 오일 특성 변경을 부여하는 돌연변이를 함유하는 식물을 선별하여 얻을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
a) 고올레산 함량의 오일을 생산하는 식물, 예컨대 유채 식물;
b) 저 리놀렌산 함량의 오일을 생산하는 식물, 예컨대 유채 식물;
c) 포화 지방산 수준이 낮은 오일을 생산하는 식물, 예컨대 유채 식물.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 공학과 같은 식물 생명공학 방법으로 얻어짐)은 바이러스, 예를 들면 감자 바이러스 Y에 내성이거나(Tecnoplant(Argentina)의 SY230 및 SY233 이벤트), 감자 역병과 같은 질병에 내성이거나(예를 들어, RB 유전자), 한랭에 따른 단맛 감소를 나타내거나(유전자 Nt-Inh, II-INV를 가짐), 왜소 표현형을 나타내는 (A-20 옥시다제 유전자) 감자와 같은 식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 공학과 같은 식물 생명공학 방법으로 얻어짐)은 종자 탈립성이 변경된 유채 또는 관련 배추속 식물과 같은 식물이다. 이러한 식물은 유전자 변형, 또는 이같은 변경된 특성을 부여하는 돌연변이를 지니는 식물의 선별로 얻을 수 있으며, 종자 탈립성이 지연 또는 감소된 유채와 같은 식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특히 유용한 형질전환 식물은 미국에서 미국의 미국 농림부(USDA) 산하 동식물검역소(APHIS)에 따라 비규제 품목 신청이 허가되었거나 계류중인 형질전환 이벤트 또는 형질전환 이벤트 조합을 포함하는 식물이다. 이 정보는, APHIS(4700 River Road Riverdale, MD 20737, USA) 또는 예를 들어, 그의 인터넷 사이트(URL http://www.aphis.usda.gov/brs/not_reg.html)에서 언제든지 바로 입수할 수 있다. 본 출원일 현재, 다음 정보를 가지는 신청 현황이 APHIS에서 허가되었거나 계류중이다:
- 신청: 신청 확인번호. 형질전환 이벤트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은 신청 번호를 통해, 예를 들면 APHIS 웹사이트상에서 APHIS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개별 신청 서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내용은 본 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 신청 연장: 범위 또는 기간 연장이 요청된 기존 신청 기준.
- 기관: 신청서를 제출한 사업체 명칭.
- 규제 품목: 관련 식물 종.
- 형질전환 표현형: 형질전환 이벤트에 의해 식물에 부여된 특성.
- 형질전환 이벤트 또는 라인: 비규제 품목이 신청된 이벤트(들)(라인(들)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음) 명.
APHIS 서류: 요청시 APHIS로부터 입수할 수 있고 신청에 대해 APHIS에 의해 공개된 다양한 서류.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특히 유용한 형질전환 식물은 하나 이상의 독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식물로서, YIELD GARD®(예: 옥수수, 목화, 대두), KnockOut®(예: 옥수수), BiteGard®(예: 옥수수), Bt-Xtra®(예: 옥수수), StarLink®(예: 옥수수), Bollgard®(목화), Nucotn®(목화), Nucotn 33B®(목화), NatureGard®(예: 옥수수), Protecta®및 NewLeaf®(감자)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이다. 제초제-내약성 식물의 예로 Roundup Ready®(글리포세이트 내약성, 예: 옥수수, 목화, 대두), Liberty Link®(포스피노트리신 내약성, 예: 유채), IMI®(이미다졸리논 내약성) 및 STS®(설포닐우레아 내약성, 예: 옥수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옥수수 품종, 목화 품종 및 대두 품종이 언급될 수 있다. 제초제-내약성 식물(제초제 내약성을 위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육종된 식물)의 예로 Clearfield® 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품종(예: 옥수수)이 언급될 수 있다.
단일 형질전환 이벤트 또는 형질전환 이벤트 조합을 지니고 있는 추가적인 특히 유용한 식물이, 예를 들어 다양한 국가 또는 지역의 감독 기관 데이터베이스에 언급되어 있는 다(참조예: http://gmoinfo.jrc.it/gmp_browse.aspx 및 http://ceragmc.org/index.php?evidcode=&hstIDXCode=&gType=&AbbrCode=&atCode=&stCode=&coIDCode=&action=gm_crop_database&mode=Submit).
재료 보호시, 본 발명의 물질은 공업용 물질이 원치 않는 진균 및/또는 미생물등에 의해 감염 및 파괴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업용 물질이란 공학 용도로 제조된 무생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생물에 의한 변화 또는 파괴로부터 본 발명의 활성 물질에 의해 보호받고자 하는 공업용 물질은 접착제, 아교, 종이, 카드보드, 직물, 카펫, 가죽, 목재, 페인트, 플라스틱 제품, 냉각 윤활제 및 미생물에 의해 감염되거나 파괴될 수 있는 기타 물질일 수 있다. 보호되는 물질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는 또한 진균 및/또는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불리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생산 플랜트 및 빌딩, 예를 들어 냉각 회로, 냉각 및 가열 시스템, 에어컨 및 배기 장치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될 수 있는 공업용 물질은 접착제, 아교, 종이, 카드보드, 가죽, 목재, 페인트, 냉각 윤활제 및 열전달 유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목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부패, 변색, 탈색 또는 곰팡이 형성과 같은 불리한 효과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및 조성물은 유사하게 해수 또는 염수와 접하고 있는 물체, 예를 들어 선박 선체, 스크린, 그물, 구조물, 부두 및 신호 설비를 콜로니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방법은 또한 진균 및 미생물 공격으로부터 저장 제품을 보호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저장 제품"이란 자연 라이프 사이클로부터 취해지고 장기 보호가 필요한,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원의 천연 물질 또는 그의 가공 제품으로 이해하면 된다. 식물성 기원의 저장 제품, 예를 들면 식물 또는 식물 부위, 이를테면 줄기, 잎, 괴경, 종자, 과실, 낟알 등이 새로이 수확된 상태로 또는 전-건조, 습윤화, 세분화, 분쇄, 압축 또는 굽기에 의해 가공된 후 보호될 수 있다. 저장 제품의 정의는 또한 건축용 목재, 전신주 및 배리어와 같은 비가공 형태, 또는 가구나 목재로 만들어진 제품과 같은 완성품 형태 모두의 목재를 포함한다. 동물 기원의 저장 제품은, 예를 들면 가죽, 레더, 모피 및 털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부패, 변색 또는 곰팡이 형성과 같은 불리한 효과를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저장 제품"은 식물성 기원의 천연 물질 및 이들의 가공 형태, 더욱 바람직하게는 과일 및 그의 가공 형태, 예컨대 이과, 핵과, 씨없는 부드러운 과일 및 감귤류 과일 및 이들의 가공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진균 질병을 야기하는 몇가지 병원균의 예를 하기에 언급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하기 백분병 병원균에 의한 질병:
Blumeria 종, 예컨대 Blumeria graminis 등;
Podosphaera 종, 예컨대 Podosphaera leucotricha 등;
Sphaerotheca 종, 예컨대 Sphaerotheca fuliginea 등;
Uncinula 종, 예컨대 Uncinula necator 등;
예를 들어, 하기 녹병 병원균에 의한 질병:
Gymnosporangium 종, 예컨대 Gymnosporangium sabinae 등;
Hemileia 종, 예컨대 Hemileia vastatrix 등;
Phakopsora 종, 예컨대 Phakopsora pachyrhiziPhakopsora meibomiae 등;
Puccinia 종, 예컨대 Puccinia recondita 또는 Puccinia triricina 등;
Uromyces 종, 예컨대 Uromyces appendiculatus 등;
예를 들어, 하기 난균류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병원균에 의한 질병:
Bremia 종, 예컨대 Bremia lactucae 등;
Peronospora 종, 예컨대 Peronospora pisi 또는 Peronospora brassicae 등;
Phytophthora 종, 예컨대 Phytophthora infestans 등;
Plasmopara 종, 예컨대 Plasmopara viticola 등;
Pseudoperonospora 종, 예컨대 Pseudoperonospora humuli 또는 Pseudoperonospora cubensis 등;
Pythium 종, 예컨대 Pythium ultimum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잎 반점병 및 잎 시듦병:
Alternaria 종, 예컨대 Alternaria solani 등;
Cercospora 종, 예컨대 Cercospora beticola 등;
Cladiosporum 종, 예컨대 Cladiosporium cucumerinum 등;
Cochliobolus 종, 예컨대 Cochliobolus sativus(분생자 형태: Drechslera, 동형: Helminthosporium) 등;
Colletotrichum 종, 예컨대 Colletotrichum lindemuthanium 등;
Cycloconium 종, 예컨대 Cycloconium oleaginum 등;
Diaporthe 종, 예컨대 Diaporthe citri 등;
Elsinoe 종, 예컨대 Elsinoe fawcettii 등;
Gloeosporium 종, 예컨대 Gloeosporium laeticolor 등;
Glomerella 종, 예컨대 Glomerella cingulata 등;
Guignardia 종, 예컨대 Guignardia bidwelli 등;
Leptosphaeria 종, 예컨대 Leptosphaeria maculans Leptosphaeria nodorum 등;
Magnaporthe 종, 예컨대 Magnaporthe grisea 등;
Microdochium 종, 예컨대 Microdochium nivale 등;
Mycosphaerella 종, 예컨대 Mycosphaerelle graminicola, Mycosphaerelle arachidicola Mycosphaerelle fijiensis 등;
Phaeosphaeria 종, 예컨대 Phaeosphaeria nodorum 등;
Pyrenophora 종, 예컨대 Pyrenophora teres 등;
Ramularia 종, 예컨대 Ramularia collocygni 등;
Rhynchosporium 종, 예컨대 Rhynchosporium secalis 등;
Septoria 종, 예컨대 Septoria apii 및 Septoria lycopersici 등;
Typhula 종, 예컨대 Typhula incarnata 등;
Venturia 종, 예컨대 Venturia inaequalis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뿌리 줄기병:
Corticium 종, 예컨대 Corticium graminearum 등;
Fusarium 종, 예컨대 Fusarium oxysporum 등;
Gaeumannomyces 종, 예컨대 Gaeumannomyces graminis 등;
Rhizoctonia 종, 예컨대 Rhizoctonia solani 등;
Tapesia 종, 예컨대 Tapesia acuformis 등;
Thielaviopsis 종, 예컨대 Thielaviopsis basicola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이삭 줄기(옥수수속 포함) 병:
Alternaria 종, 예컨대 Alternaria spp. 등;
Aspergillus 종, 예컨대 Aspergillus flavus 등;
Cladosporium 종, 예컨대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등;
Claviceps 종, 예컨대 Claviceps purpurea 등;
Fusarium 종, 예컨대 Fusarium culmorum 등;
Gibberella 종, 예컨대 Gibberella zeae 등;
Monographella 종, 예컨대 Monographella nivalis 등;
Septoria 종, 예컨대 Septoria nodorum 등;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종자- 및 토양성 썩음병, 곰팡이, 시듦, 부패 및 잘록병:
예를 들어 Alternaria brassicicola에 의해 야기되는 Alternaria 질병;
예를 들어 Aphanomyces euteiches에 의해 야기되는 Aphanomyces 질병;
예를 들어 Ascochyta lentis에 의해 야기되는 Ascochyta 질병;
예를 들어 Aspergillus flavus에 의해 야기되는 Aspergillus 질병;
예를 들어 Cladosporium herbarum에 의해 야기되는 Cladosporium 질병;
예를 들어 Cochliobolus sativus에 의해 야기되는 Cochliobolus 질병; (분생자 형태: Drechslera, 동형: Helminthosporium);
예를 들어 Colletotrichum coccodes에 의해 야기되는 Colletotrichum 질병;
예를 들어 Fusarium culmorum에 의해 야기되는 Fusarium 질병;
예를 들어 Gibberella zeae에 의해 야기되는 Gibberella 질병;
예를 들어 Macrophomina phaseolina에 의해 야기되는 Macrophomina 질병;
예를 들어 Microdochium nivale에 의해 야기되는 Microdochium 질병;
예를 들어 Monographella nivalis에 의해 야기되는 Monographella 질병;
예를 들어 Penicillium expansum에 의해 야기되는 Penicillium 질병;
예를 들어 Phoma lingam에 의해 야기되는 Phoma 질병;
예를 들어 Phomopsis sojae에 의해 야기되는 Phomopsis 질병;
예를 들어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해 야기되는 Phytophthora 질병;
예를 들어 Pyrenophora graminea에 의해 야기되는 Pyrenophora 질병;
예를 들어 Pyricularia oryzae에 의해 야기되는 Pyricularia 질병;
예를 들어 Pythium ultimum에 의해 야기되는 Pythium 질병;
예를 들어 Rhizoctonia solani에 의해 야기되는 Rhizoctonia 질병;
예를 들어 Rhizopus oryzae에 의해 야기되는 Rhizopus 질병;
예를 들어 Sclerotium rolfsii에 의해 야기되는 Sclerotium 질병;
예를 들어 Septoria nodorum에 의해 야기되는 Septoria 질병;
예를 들어 Typhula incarnata에 의해 야기되는 Typhula 질병;
예를 들어 Verticillium dahliae에 의해 야기되는 Verticillium 질병;
예를 들어, 하기 깜부기균에 의한 병:
Sphacelotheca 종, 예컨대 Sphacelotheca reiliana 등;
Tilletia 종, 예컨대 Tilletia caries, Tilletia controversa 등;
Urocystis 종, 예컨대 Urocystis occulta 등;
Ustilago 종, 예컨대 Ustilago nuda, Ustilago nuda tritici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열매 역병:
Aspergillus 종, 예컨대 Aspergillus flavus 등;
Botrytis 종, 예컨대 Botrytis cinerea 등;
Penicillium 종, 예컨대 Penicillium expansumPenicillium purpurogenum 등;
Sclerotinia 종, 예컨대 Sclerotinia sclerotiorum 등;
Verticilium 종, 예컨대 verticilium alboatrum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종자- 및 토양성 썩음, 시듦병, 및 묘종병:
Fusarium 종, 예컨대, Fusarium culmorum 등;
Phytophthora 종, 예컨대, Phytophthora cactorum 등;
Pythium 종, 예컨대, Pythium ultimum 등;
Rhizoctonia 종, 예컨대, Rhizoctonia solani 등;
Sclerotium 종, 예컨대, Sclerotium rolfsii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암성 질병, 혹 및 빗자루병:
Nectria 종, 예컨대 Nectria galligena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시듦병:
Monilinia 종, 예컨대 Monilinia laxa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잎, 꽃 및 열매 변형:
Taphrina 종, 예컨대 Taphrina deformans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목질 식물의 변성 질병:
Esca 종, 예컨대 Phaemoniella clamydospora, Phaeoacremonium aleophilumFomitiporia mediterranea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개화 및 종자 질병:
Botrytis 종, 예컨대 Botrytis cinerea 등;
예를 들어, 하기 종에 의한 식물 덩이줄기 질병:
Rhizoctonia 종, 예컨대 Rhizoctonia solani 등;
Helminthosporium 종, 예컨대 Helminthosporium solani 등;
예를 들어, 하기 박테리아 병원균에 의한 질병:
Xanthomonas 종, 예컨대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등;
Pseudomonas 종, 예컨대 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 등;
Erwinia 종, 예컨대 Erwinia amylovora.
하기 대두 질병이 바람직하게는 방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에 의한 잎, 줄기, 꼬투리 및 종자상의 진균 질병:
알터나리아 잎반점(알터나리아 종. atrans tenuissima), 탄저병 (Colletotrichum gloeosporoides dematium var. truncatum), 갈색점 무늬병(Septoria glycines), 세르코스포라 잎점무늬 마름병(Cercospora kikuchii), 코아네포라 잎마름병(Choanephora infundibulifera trispora (Syn.)), 닥툴리오포라 잎마름병(Dactuliophora glycines), 백분병(Peronospora manshurica), 드레크슬레라 마름병(Drechslera glycini), 백성병 잎반점(Cercospora sojina), 렙토스파에룰리나 잎반점(Leptosphaerulina trifolii), 필로스티카 잎반점(Phyllosticta sojaecola), 꼬투리 줄기 마름병(Phomopsis sojae), 백분병(Microsphaera diffusa), 피레노카에타 잎반점(Pyrenochaeta glycines), 리족토니아 공중, 잎, 가지 마름병(Rhizoctonia solani), 녹병(Phakopsora pachyrhizi, Phakopsora meibomiae), 반점병(Sphaceloma glycines), 스템필리움 잎 마름병(Stemphylium botryosum), 타겟 반점(Corynespora cassiicola) 등;
예를 들어 하기에 의한 뿌리 및 줄기 기부상의 진균 질병:
검은 근부병(Calonectria crotalariae), 탄저병(Macrophomina phaseolina), 푸사리움 마름병 또는 시듦병, 근부병 및 꼬투리 썩음병 및 윤반병(Fusarium oxysporum, Fusarium orthoceras, Fusarium semitectum, Fusarium equiseti), 미코렙토디스쿠스 근부병(Mycoleptodiscus terrestris), 네오코스모스포라 (Neocosmopspora vasinfecta), 꼬투리 및 줄기 마름병(Diaporthe phaseolorum), 줄기 암종병(Diaporthe phaseolorum var. caulivora), 피토프토라 썩음병(Phytophthora megasperma), 갈색 줄기 썩음병(Phialophora gregata), 피티움 썩음병(Pythium aphanidermatum, Pythium irregulare, Pythium debaryanum, Pythium myriotylum, Pythium ultimum), 리족토니아 근부병, 줄기 썩음병 및 잎잘록병(Rhizoctonia solani), 쉴레로티니아 줄기 썩음병(Sclerotinia sclerotiorum), 쉴레로티니아 백견병(Sclerotinia rolfsii), 티라비옵시스 근부병(Thielaviopsis basicola).
상기 언급된 유기체의 내성종들을 구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공업용 물질을 분해 또는 변화시킬 수 있는 미생물로는 에를 들어, 박테리아, 진균, 효모, 조류 및 점균류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진균, 특히 사상균, 목재 변색 및 목재 파괴 진균(바시디오마이세테스), 점균류 및 조류에 작용한다. 이들로는 알터나리아(Alternaria), 예를 들어 알터나리아 테누이스(Alternaria tenuis), 아스퍼길루스(Aspergillus), 예를 들어 아스퍼길루스 니거(Aspergillus niger), 캐토미움(Chaetomium), 예를 들어 캐토미움 글로보숨(Chaetomium globosum), 코니오포라(Coniophora), 예를 들어 코니오포라 푸에타나(Coniophora puetana), 렌티누스(Lentinus), 예를 들어 렌티누스 티그리누스(Lentinus tigrinus), 페니실리움(Penicillium), 예를 들어 페니실리움 글라우쿰(Penicillium glaucum), 폴리포루스(Polyporus), 예를 들어, 폴리포루스 버시컬러(Polyporus versicolor), 아우레오바시디움(Aureobasidium), 예를 들어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스클레오포마(Sclerophoma), 예를 들어 스클레오포마 피타이오필라(Sclerophoma pityophila), 트리코더마(trichoderma), 예를 들어 트리코더마 비리데(Trichoderma viride), 에세리키아(Escherichia), 예를 들어 에세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슈도모나스(Pseudomonas), 예를 들어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 예를 들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속의 미생물들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그 외에도 또한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특히 피부진균(dermatophyte) 및 효모, 사상균 및 이상 진균(예를 들어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a glabrata)와 같은 칸디다 종(Candida species)) 및 에피더모파이톤 플로코숨(Epidermophyton floccosum), 아스퍼길루스 니거(Aspergillus noger) 및 아스퍼길루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와 같은 아스퍼길루스 종(Aspergillus species), 트리코파이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와 같은 트리코파이톤 종(Trichophyton species), 마이크로스포론 카니스(Microsporon canis) 및 아우도우이니(audouinii)와 같은 마이크로스포론 종(Microsporon species))에 대해 매우 광범위한 항균 작용 스펙트럼을 가진다. 이들 진균 리스트는 구제할 수 있는 항균 스텍트럼을 조금도 한정하지 않으며 단지 설명만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적용하는 경우, 적용 비율은 넓은 범위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방법에 보통 적용되는 활성 화합물의 용량/적용 비율은 일반적으로, 유리하게는
- 식물 부위, 에를 들면 잎의 처리(엽면 처리) 경우 0.1 내지 10,000 g/h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g/ha,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g/ha (적용이 관주 또는 점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용량은 특히 암면 또는 펄라이트 등의 불활성 기재 사용시 감소가 가능함);
- 종자 처리의 경우 종자 100 킬로그램당 2 내지 200 g, 바람직하게는 종자 100 킬로그램당 3 내지 150 g, 특히 바람직하게는 종자 100 킬로그램당 2.5 내지 25 g,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종자 100 킬로그램당 2.5 내지 12.5 g;
- 토양 처리의 경우에는 0.1 내지 10,000 g/ha,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0 g/ha이다.
상기 적용 비율은 예시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지 않는다. 당업자들이라면 특히 처리하고자 하는 식물 또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어떤 적용량을 적용할 수 있을지를 알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처리 후 특정 기간 내에 해충 및/또는 식물병원성 진균 및/또는 미생물에 의한 공격에 대하여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보호가 제공되는 시기는 일반적으로 배합물로 식물을 처리한 후 1 내지 28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4일,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일, 또는 식물 번식 물질 처리 후 최대 200일 까지에 달한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 및 조성물을 식물 및 수확 식물 물질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식품 및 동물 사료에서 진균독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이 경우 진균독으로는 예를 들어, 특히 푸사리움 아쿠미나툼(Fusarium acuminatum), 푸사리움 아베나세움(F. avenaceum), 푸사리움 크루크웰렌세(F. crookwellense), 푸사리움 쿨모룸(F. culmorum),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F. graminearum)(지베렐라 제애(Gibberella zeae)), 푸사리움 에퀴세티(F. equiseti), 푸사리움 푸지코로이(F. fujikoroi), 푸사리움 무사룸(F. musarum), 푸사리움 옥시포룸(F. oxysporum), 푸사리움 프로리페라툼(F. proliferatum), 푸사리움 포애(F. poae), 푸사리움 슈도그라미네아룸(F. pseudograminearum), 푸사리움 삼부시움(F. sambucinum), 푸사리움 쉬르피(F. scirpi), 푸사리움 세미테쿰(F. semitectum), 푸사리움 솔라니(F. solani), 푸사리움 스포로트리코이데스(F. sporotrichoides), 푸사리움 랑세티애(F. langsethiae), 푸사리움 수브글루티난스(F. subglutinans), 푸사리움 트리신크툼(F. tricinctum), 푸사리움 베리티실리오이데스(F. verticillioides) 등의 푸사리움 종(Fusarium spec.)과 같은 진균, 및 특히 아스페르질루스 종(Aspergillus spec.), 페니실리움 종(Penicillium spec.), 클라비세프스 푸르푸레아(Claviceps purpurea), 스타키보트리스 종(Stachybotrys spec.)으로 인해 발생하는 데옥시니발레놀(DON), 니발레놀, 15-Ac-DON, 3-Ac-DON, T2- 및 HT2-독소, 푸모니신(Fumonisines), 제아랄레논(Zearalenone), 모닐리포르민(Monilifor-mine), 푸사린(Fusarine), 디아세오톡시쉬르페놀(Diaceotoxyscirpenole; DAS), 뷰베리신(Beauvericine), 엔니아틴(Enniatine), 푸사로프롤리페린(Fusaroprolife-rine), 푸사레놀(Fusarenole), 오크라톡신(Ochratoxines), 파튤린(Patuline), 에르고트 알칼로이드(Ergot alkaloid) 및 아플라톡신(Aflatoxines)이 언급될 수 있지만, 이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과 화합물 (B), (C) 또는 (D)의 배합물은 또한 다수의 작물, 예를 들면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 예컨대 곡물(예: 밀, 보리, 라이밀, 호밀, 벼, 옥수수, 수수), 사탕무, 사탕수수, 유채, 목화, 해바라기, 완두, 콩 및 대두에서 유해 생물을 선택적으로 구제하는데 적합하다. 이들을 외떡잎 작물, 예컨대 곡물(예: 밀, 보리, 호밀, 라이밀, 수수), 옥수수 및 벼, 외떡잎 야채 작물뿐 아니라 쌍떡잎 작물, 예컨대 대두, 유채, 목화, 포도나무, 야채 식물, 과수 식물 및 관상 식물에 사용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배합물은 유용 식물(작물)에서 유해 식물을 선택적으로 구제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또한 유용 식물 및 관상 식물의 장소 및 터, 예를 들면 유용한 잔디밭 또는 장식용 잔디에서 유해 식물, 특히 롤륨(lolium), 왕포아풀 또는 버뮤다 그래스를 구제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유용 식물 또는 작물중에서 또한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특정 농약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내성인 돌연변이 작물 또는 완전 또는 부분 내성인 형질전환 작물, 예를 들면 글루포시네이트 또는 글리포세이트 내성 작물, 또는 제초성 리미다졸리논 내성 대두 작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새로운 방식에 따른 배합물의 특정 이점은 보통 적용되는 농약에 충분한 내성을 보이지 않는 작물에서의 그의 효율적인 작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 (B), (C) 또는 (D)와 배합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효과적인 유용 식물 보호량을 유해 식물에 대해 효과적인 양의 하나 이상의 제초제 전, 후 또는 그와 동시에 식물, 식물의 일부, 식물 종자들 또는 종자에 적용하여 유용 작물에서 유해 식물을 선택적으로 구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의 우수한 살진균 활성은 이후 실시예로 입증된다. 개개의 활성 화합물이 그의 살진균 활성면에 있어서 미약한 반면, 배합물은 활성을 단순히 합한 것 이상의 활성을 나타낸다.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의 살진균 활성이 개별적으로 적용된 활성 화합물들의 총 활성을 능가하는 경우 살진균제의 상승 효과가 항상 존재한다. 주어진 두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에 대한 예상 살진균 활성은 콜비(Colby) 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참조: Colby, S.R., "Calculating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s of Herbicide Combinations", Weeds 1967, 15, 20-22):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X는 활성 화합물 A를 m ppm (또는 g/㏊)의 적용비율로 사용한 경우 효과이고,
Y는 활성 화합물 B를 n ppm (또는 g/㏊)의 적용비율로 사용한 경우 효과이며,
E는 활성 화합물 A 및 B를 각각 mn ppm (또는 g/㏊)의 적용비율로 사용한 경우 효과이다.
효과 정도는 %로 결정된다. 0%란 대조군의 것에 상응하는 효과를 의미하고, 효과가 100%란 질병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실질적인 살진균 활성이 계산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합물의 작용은 상가적(superadditive)이며, 즉 상승 효과가 존재한다. 이 경우, 실제 관찰된 구제율은 상기 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예상 효과(E)의 값보다 커야 한다. 상승 효과를 입증하는 또 다른 방식은 타메스 방법이다(참조: "Isoboles, a graphic representation of synergism in pesticides" in Neth. J. Plant Path., 1964, 70, 73-80).
이하 본 발명이 실시예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피토프토라 시험(토마토)/예방성
용 매 : 아세톤 24.5 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24.5 중량부
유화제 :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1 중량부
활성 화합물 1 중량부를 상기 언급된 양의 용매 및 유화제와 혼합하고, 농축물을 목적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제제를 제조하였다.
예방 활성을 시험하기 위해, 어린 식물에 활성 화합물의 제제를 지정된 적용 비율로 분무하였다. 분무 코팅이 건조되면, 식물을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의 수성 포자 현탁액으로 접종하였다. 이어, 식물을 약 20 ℃ 및 100% 상대 대기습도의 배양실에 놓아 두었다.
접종 3 일 후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0%란 비처리 대조군의 것에 상응하는 효과를 의미하고, 효과가 100%란 질병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에 대해 관찰된 활성이 계산된 활성보다 크고, 즉 상승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표 1
피토프토라 시험(토마토)/보호성
Figure pct00003

실시예 2
벤투리아 시험(사과)/예방성
용 매 : 아세톤 24.5 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24.5 중량부
유화제 :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1 중량부
활성 화합물 1 중량부를 상기 언급된 양의 용매 및 유화제와 혼합하고, 농축물을 목적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제제를 제조하였다.
예방 활성을 시험하기 위해, 어린 식물에 활성 화합물의 제제를 지정된 적용 비율로 분무하였다. 분무 코팅이 건조되면, 식물을 사과 검은별무늬병 원인균(벤투리아 이내쿠알리스(Venturia inaequalis)의 수성 분생자 현탁액으로 접종한 후, 약 20 ℃의 온도 및 100% 상대 대기습도의 배양실에 하루동안 놓아 두었다.
그후, 식물을 21 ℃ 및 약 90% 상대 대기습도의 온실에 놓아 두었다.
접종 10 일 후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0%란 비처리 대조군의 것에 상응하는 효과를 의미하고, 효과가 100%란 질병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에 대해 관찰된 활성이 계산된 활성보다 크고, 즉 상승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표 2
벤투리아 시험(사과)/예방성
Figure pct00004

실시예 3
알터나리아 시험(토마토)/예방성
용 매 : 아세톤 24.5 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24.5 중량부
유화제 :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1 중량부
활성 화합물 1 중량부를 상기 언급된 양의 용매 및 유화제와 혼합하고, 농축물을 목적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제제를 제조하였다.
보호 활성을 시험하기 위해, 어린 식물에 활성 화합물 제제를 지정된 적용 비율로 분무하였다. 분무 코팅이 건조되면, 식물을 알터나리아 솔라니(Alternaria solani)의 수성 포자 현탁액으로 접종하였다. 이어, 식물을 약 20 ℃ 및 100% 상대 대기습도의 배양실에 놓아 두었다.
접종 3일 후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0%란 비처리 대조군의 것에 상응하는 효과를 의미하고, 효과가 100%란 질병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에 대해 관찰된 활성이 계산된 활성보다 크고, 즉 상승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표 3
알터나리아 시험(토마토)/예방성
Figure pct00005

Claims (15)

  1. (A) 적어도 하나의 하기 화학식 (I)의 디티이노-테트라카복스이미드 또는 그의 농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고,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을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을 나타냄], 및
    (B)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제초 활성 화합물, 또는
    (C) 적어도 하나의 식물 성장 조절제, 및/또는
    (D) 적어도 하나의 농약의 식물독성 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해완화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I-1)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또는 (I-2) 2,6-디에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또는 (I-3) 2,6-디프로필-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또는 (I-4) 2,6-디이소프로필-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또는 (I-5)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4-옥사이드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3.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및 추가의 보조제, 용매, 담체, 계면활성제 또는 증량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제 3 항에 따른 조성물을 종자, 식물, 식물의 열매, 또는 식물이 재배되고 있거나 재배할 토양에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보호시 식물병원성 진균을 구제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식물, 식물의 열매, 또는 식물이 재배되고 있거나 재배하고자 하는 토양이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잎 처리시 헥타르당 0.1 내지 10,000 g, 및 종자 처리시 종자 100 ㎏당 2 내지 200 g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작물 보호시 원치않는 식물병원성 진균을 구제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제 3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8. 종자, 형질전환 식물의 종자 및 형질전환 식물을 처리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제 3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9.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제 3 항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된 종자.
  10. 유효량의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제 3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그룹 (B), (C) 및 (D)의 화합물 전, 후 또는 그와 동시에 식물, 식물의 일부, 식물 종자들 또는 종자에 적용되는, 농약의 식물독성 부작용에 대해 유용 식물 또는 작물을 보호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용이 출현 후 방법에 의한 것인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적용이 식물 종자들 또는 종자 처리에 의한 것인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적용이 출현 전 방법에 의한 것인 방법.
  14. 유효량의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또는 제 3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그룹 (B), (C) 및 (D)의 화합물 전, 후 또는 그와 동시에 식물, 식물의 일부, 식물 종자들 또는 종자에 적용되는, 유용 식물의 작물에서 유해 식물을 선택적으로 구제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종자를 파종 후에 출현 전 방법 또는 출현 후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으로 처리하고, 하나 이상의 그룹 (B), (C) 및 (D)의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37021985A 2011-02-15 2012-02-14 디티이노 테트라카복사미드 살진균제 및 제초제, 약해완화제 또는 식물 성장 조절제를 함유하는 상승적 배합물 KR201400188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54541.4 2011-02-15
EP11154541 2011-02-15
US201161445715P 2011-02-23 2011-02-23
US61/445,715 2011-02-23
PCT/EP2012/052519 WO2012110517A1 (en) 2011-02-15 2012-02-14 Synergistic combinations containing a dithiino-tetracarboxamide fungicide and a herbicide, safener or plant growth regu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879A true KR20140018879A (ko) 2014-02-13

Family

ID=4412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985A KR20140018879A (ko) 2011-02-15 2012-02-14 디티이노 테트라카복사미드 살진균제 및 제초제, 약해완화제 또는 식물 성장 조절제를 함유하는 상승적 배합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30316901A1 (ko)
EP (1) EP2675277A1 (ko)
JP (1) JP5852679B2 (ko)
KR (1) KR20140018879A (ko)
CN (1) CN103415213A (ko)
AR (1) AR085365A1 (ko)
BR (1) BR112013020866A2 (ko)
CA (1) CA2827159A1 (ko)
MX (1) MX336181B (ko)
PE (1) PE20140417A1 (ko)
WO (1) WO2012110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5386B (zh) * 2018-09-06 2020-11-06 南京农业大学 一种玉米抗倒增产调节剂及其应用
EP4284170A1 (en) * 2021-02-01 2023-12-06 Valent BioSciences LLC 1-amino-1-cyclopropanecarboaylic acid solid compositions
CN116649210B (zh) * 2023-07-15 2024-04-02 黑龙江省农业科学院草业研究所 除草剂乙丁氟灵在玉米单倍体加倍中的应用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4229A (en) 1964-01-30 1968-01-16 Shell Oil Co 1, 4 dithiin-2, 3, 5, 6-tetracarboximid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DE2417487C2 (de) 1974-04-10 1983-01-20 Hoechst Ag, 6000 Frankfurt Benzyl-phenoxyalkancarbonsäuren, deren 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433067B2 (de) 1974-07-10 1977-11-24 a- [4-(4" Trifluormethylphenoxy)-phenoxy] -propionsäuren und deren 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herbizide Mittel Hoechst AG, 6000 Frankfurt Alpha- eckige klammer auf 4-(4' trifluormethylphenoxy)-phenoxy eckige klammer zu -propionsaeuren und deren 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herbizide mittel
DE2601548C2 (de) 1976-01-16 1984-01-26 Hoechst Ag, 6230 Frankfurt 2-[4-(2'-Chlor-4'-bromphenoxy)-phenoxy]-propionsäure und Derivate sowie diese enthaltende herbizide Mittel
DE2640730C2 (de) 1976-09-10 1983-08-25 Hoechst Ag, 6230 Frankfurt Benzoxazolyloxy- und Benzothiazolyloxy-phenoxy-Verbindungen und diese enthaltende herbizide Mittel
JPS55500010A (ko) 1977-12-23 1980-01-17
EP0003114B1 (de) 1978-01-18 1982-01-27 Ciba-Geigy Ag Herbizid wirksame ungesättigte Ester von 4-(3',5'-Dihalogenpyridyl -(2')-oxy)-alpha-phenoxypropionsä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sie enthaltende herbizide Mittel und deren Verwendung
DE2964580D1 (en) 1978-03-01 1983-03-03 Ici Plc Herbicidal pyridine compounds and herb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2834251A1 (de) 1978-08-04 1980-03-06 Huels Chemische Werke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tertiaeren aminen
US4272417A (en) 1979-05-22 1981-06-09 Cargill, Incorporated Stable protective seed coating
US4245432A (en) 1979-07-25 1981-01-20 Eastman Kodak Company Seed coatings
BR8206012A (pt) 1981-10-16 1983-09-13 Du Pont Composto;composicao e processo adequados para controlar crescimento de vegetacao;processo para sintetizar compostos
MA19709A1 (fr) 1982-02-17 1983-10-01 Ciba Geigy Ag Application de derives de quinoleine a la protection des plantes cultivees .
DE3382743D1 (de) 1982-05-07 1994-05-11 Ciba Geigy Verwendung von Chinolinderivaten zum Schützen von Kulturpflanzen.
DE3324802A1 (de) 1983-07-09 1985-01-17 Hoechst Ag, 6230 Frankfurt Neue n-alkoxy- und n- alkylsulfonylaminosulfonylharnstoffe, und neue (pyrimido) triazino-thiadiazinoxide als vorprodukte
US4808750A (en) 1983-09-01 1989-02-28 The Dow Chemical Company Fluorophenoxyphenoxypropionates and derivatives thereof
DE3525205A1 (de) 1984-09-11 1986-03-20 Hoechst Ag, 6230 Frankfurt Pflanzenschuetzende mittel auf basis von 1,2,4-triazolderivaten sowie neue derivate des 1,2,4-triazols
DE3680212D1 (de) 1985-02-14 1991-08-22 Ciba Geigy Ag Verwendung von chinolinderivaten zum schuetzen von kulturpflanzen.
EP0249707B1 (en) 1986-06-14 1992-03-11 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 Picolinic acid derivatives and herbicidal compositions
DE3633840A1 (de) 1986-10-04 1988-04-14 Hoechst Ag Phenylpyrazolcarbonsaeure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pflanzenwachstumsregulatoren und safener
EP0274634A1 (en) 1986-12-04 1988-07-20 Stauffer Chemical Company Synergistic herbicide compositions and method of application
US4808430A (en) 1987-02-27 1989-02-28 Yazaki Corporation Method of applying gel coating to plant seeds
ATE93857T1 (de) 1988-01-06 1993-09-15 Uniroyal Chem Co Inc Herbizide heterozyklisch-alkylenchinoxalinyloxyphenoxy propansaeureester.
DE3808896A1 (de) 1988-03-17 1989-09-28 Hoechst Ag Pflanzenschuetzende mittel auf basis von pyrazolcarbonsaeurederivaten
GB8810120D0 (en) 1988-04-28 1988-06-02 Plant Genetic Systems Nv Transgenic nuclear male sterile plants
DE3817192A1 (de) 1988-05-20 1989-11-30 Hoechst Ag 1,2,4-triazolderivate enthaltende pflanzenschuetzende mittel sowie neue derivate des 1,2,4-triazols
US5084082A (en) 1988-09-22 1992-01-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oybean plants with dominant selectable trait for herbicide resistance
DE3939010A1 (de) 1989-11-25 1991-05-29 Hoechst Ag Isoxazol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pflanzenschuetzende mittel
DE3939503A1 (de) 1989-11-30 1991-06-06 Hoechst Ag Neue pyrazoline zum schutz von kulturpflanzen gegenueber herbiziden
DE4000503A1 (de) 1990-01-10 1991-07-11 Hoechst Ag Pyridylsulfonylharnstoffe als herbizide und pflanzenwachstumsregulatoren
WO1991013548A1 (en) 1990-03-14 1991-09-19 Ahle James L Herbicidal compositions of aroylated 1,3-dicarbonyl or 1,3,5-tricarbonyl cyclohexane herbicides and an antidote system therefor
US5198599A (en) 1990-06-05 1993-03-30 Idaho Resarch Foundation, Inc. Sulfonylurea herbicide resistance in plants
JPH04103574A (ja) 1990-08-22 1992-04-06 Kumiai Chem Ind Co Ltd 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除草剤
DE4030579A1 (de) 1990-09-27 1992-04-02 Hoechst Ag Cyclohexylphenylpyrimid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fluessigkristallinen mischungen
EP0492366B1 (de) 1990-12-21 1997-03-26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Neue 5-Chlorchinolin-8-oxyalkancarbonsä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ntidots von Herbiziden
ZA92970B (en) 1991-02-12 1992-10-28 Hoechst Ag Arylsulfonylureas,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growth regulators
TW259690B (ko) 1992-08-01 1995-10-11 Hoechst Ag
US5407897A (en) 1993-03-03 1995-04-18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for safening herbicides in crops using substituted benzopyran and tetrahydronaphthalene compounds
RO117111B1 (ro) 1993-03-25 2001-10-30 Ciba Geigy Ag Proteina pesticida si secventa de nucleotide, care o codifica
DE4331448A1 (de) 1993-09-16 1995-03-23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Substituierte Isoxazolin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iese enthaltende Mittel und deren Verwendung als Safener
KR19980702466A (ko) 1995-02-24 1998-07-15 페라 스타르크, 요헨 카르크 피라졸-4-일-벤조일 유도체 및 제초제로서의 그의 용도
FR2734842B1 (fr) 1995-06-02 1998-02-27 Rhone Poulenc Agrochimie Sequence adn d'un gene de l'hydroxy-phenyl pyruvate dioxygenase et obtention de plantes contenant un gene de l'hydroxy-phenyl pyruvate dioxygenase, tolerantes a certains herbicides
US5773704A (en) 1996-04-29 1998-06-30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Herbicide resistant rice
US5876739A (en) 1996-06-13 1999-03-02 Novartis Ag Insecticidal seed coating
US5773702A (en) 1996-07-17 1998-06-30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Imidazolinone herbicide resistant sugar beet plants
FR2770854B1 (fr) 1997-11-07 2001-11-30 Rhone Poulenc Agrochimie Sequence adn d'un gene de l'hydroxy-phenyl pyruvate dioxygenase et obtention de plantes contenant un tel gene, tolerantes aux herbicides
FR2772789B1 (fr) 1997-12-24 2000-11-24 Rhone Poulenc Agro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enzymatique d'homogentisate
US20020016262A1 (en) 1998-03-02 2002-02-07 Idemitsu Kosan Co., Ltd. Pyrazole derivatives and herbicides containing the same
CZ299064B6 (cs) 1998-05-11 2008-04-16 Basf Aktiengesellschaft Zpusob výroby isoxazolu
DE19821614A1 (de) 1998-05-14 1999-11-18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Sulfonylharnstoff-tolerante Zuckerrübenmutanten
US6503904B2 (en) 1998-11-16 2003-01-07 Syngenta Crop Protection, Inc. Pesticidal composition for seed treatment
AU2001242005B2 (en) 2000-03-09 2006-04-27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s for making plants tolerant to glyphosate and compositions thereof
AU2001238631A1 (en) 2000-03-09 2001-09-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lfonylurea-tolerant sunflower plants
EP1280778B1 (de) 2000-03-31 2006-08-02 Bayer CropScience GmbH Benzoylpyrazol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US6768044B1 (en) 2000-05-10 2004-07-27 Bayer Cropscience Sa Chimeric hydroxyl-phenyl pyruvate dioxygenase, DNA sequence and method for obtaining plants containing such a gene, with herbicide tolerance
GT200100103A (es) 2000-06-09 2002-02-21 Nuevos herbicidas
AU2001295504A1 (en) 2000-08-25 2002-03-04 Basf Aktiengesellschaft A herbicidal synergistic combination of a dihydrobenzothiophene compound and a photosystem ii inhibitor
US6660690B2 (en) 2000-10-06 2003-12-09 Monsanto Technology, L.L.C. Seed treatment with combinations of insecticides
FR2815969B1 (fr) 2000-10-30 2004-12-10 Aventis Cropscience Sa Plantes tolerantes aux herbicides par contournement de voie metabolique
CA2427787C (en) 2000-12-07 2012-07-17 Syngenta Limited Herbicide resistant plants
US20020134012A1 (en) 2001-03-21 2002-09-26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 of controlling the release of agricultural active ingredients from treated plant seeds
FR2844142B1 (fr) 2002-09-11 2007-08-17 Bayer Cropscience Sa Plantes transformees a biosynthese de prenylquinones amelioree
ES2400809T3 (es) 2005-08-31 2013-04-12 Monsanto Technology Llc Secuencias de nucleótidos que codifican proteínas insecticidas
US20070214515A1 (en) 2006-03-09 2007-09-13 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nucleotide encoding a maize herbicide resistance gene and methods for use
US20100235951A1 (en) 2006-03-21 2010-09-16 Bayer Bioscience N.V. Novel genes encoding insecticidal proteins
JP5037098B2 (ja) * 2006-11-24 2012-09-26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農園芸用組成物
AR066787A1 (es) 2007-05-30 2009-09-09 Syngenta Participations Ag Genes del citocromo p450 que confieren resistencia a los herbicidas
AU2008348661B2 (en) * 2008-01-25 2014-02-20 Syngenta Limited Herbicidal compositions
EA201001235A1 (ru) * 2008-02-04 2011-04-29 Басф Се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се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05368799A (zh) 2008-04-14 2016-03-02 拜耳作物科学公司 新的突变羟基苯基丙酮酸双加氧酶,dna序列和耐受hppd抑制剂除草剂的植物分离
EA020599B1 (ru) * 2008-07-04 2014-12-30 Басф Се Фунгицидные смеси, содержащие замещенные 1-метилпиразол-4-илкарбоксанилиды и абамектин
PT2386203E (pt) * 2008-10-15 2014-02-17 Bayer Cropscience Ag Utilização de ditiina-tetracarboximidas para combater fungos fitopatogénicos
CA2748166C (en) * 2009-01-07 2017-06-20 Basf Se Mixture comprising an imidazolinone herbicide and a fungicidal compound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5277A1 (en) 2013-12-25
US20130316901A1 (en) 2013-11-28
PE20140417A1 (es) 2014-03-29
MX2013009309A (es) 2013-09-26
BR112013020866A2 (pt) 2016-08-02
AR085365A1 (es) 2013-09-25
CN103415213A (zh) 2013-11-27
CA2827159A1 (en) 2012-08-23
JP2014505092A (ja) 2014-02-27
WO2012110517A1 (en) 2012-08-23
MX336181B (es) 2016-01-11
JP5852679B2 (ja)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13448B2 (en)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mprising carboxamide derivatives
ES2283830T3 (es) Combinaciones de ariloxifenoxipropionatos y fitoprotectores, y su uso par aumentar el control de las malas hierbas.
ES2950189T3 (es) 3-fenilisoxazolina-5-carboxamidas de ésteres de ácido ciclopentenilcarboxílico que contienen s herbicidas
PT2819518T (pt) Combinações de compostos activos contendo uma tiazoilisoxazolina e um fungicida
MXPA05000752A (es) Combinaciones de herbicidas del tipo de oximas de ciclohexanodionas y de antidotos.
BR112016007643B1 (pt) Composições fungicidas com derivado de carboxamida e composto fungicida, seus processos de produção, seus usos e método para o controle de fungos nocivos fitopatogênicos
KR20150121037A (ko) 숙주의 방어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프로티오코나졸의 용도
KR20170094434A (ko) (티오)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및 살진균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활성 화합물 조합물
JP5852679B2 (ja) ジチイノ−テトラカルボキサミド殺菌剤と除草剤、薬害軽減剤又は植物成長調節剤を含んでいる相乗性組合せ
WO2021204665A1 (de) Substituierte isophtalsäurediamide
WO2021204666A1 (de) Substituierte isophtalsäurediamid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KR20140024336A (ko) 디티이노-테트라카복사미드 살진균제를 포함하는 살진균성 배합물
BR122020002297B1 (pt) composição de compostos ativos, método para controlar fungos fitopatogênicos e uso das referidas composições
US20220153725A1 (en) Herbicidally active 4-(4-trifluormethyl-6-cycloropylpyrazolyl)pyrimidines
EP4132917A1 (de) Substituierte isophtalsäurediamide
ES2729778T3 (es) Combinaciones de compuestos activos que comprenden derivados de carboxamida y un agente de control biológico
EP4026833A1 (de) Herbizid wirksame 2-(het)arylmethylpyrimidine
NZ617827B2 (en)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mprising a (thio)carboxamide derivative and a fungicidal compound
NZ617827A (en)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mprising a (thio)carboxamide derivative and a fungicidal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