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485A - 소음기 장치와 이러한 소음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소음기 장치와 이러한 소음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485A
KR20140015485A KR1020137027700A KR20137027700A KR20140015485A KR 20140015485 A KR20140015485 A KR 20140015485A KR 1020137027700 A KR1020137027700 A KR 1020137027700A KR 20137027700 A KR20137027700 A KR 20137027700A KR 20140015485 A KR20140015485 A KR 20140015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resonator
inlet
piston compress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563B1 (ko
Inventor
다비드 고드
라그나르 글라브
라르스 셸스트룀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4001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60T17/008Silenc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6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sidebranch resonators, e.g. 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14Dead or resonance chambers connected to gas flow tube by relatively short side-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피스톤 압축기에 연결하기 위한 소음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 피스톤 압축기의 흡입 라인이나 공기 배출구에 연결하기 위한 유입구와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배출구 또는 압축 공기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까지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된 통류 도관으로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까지 공기를 유동할 수 있게 관통시키는 통류 도관(20), 및 하우징에 위치되고 종방향으로 굽어진 세장형 공진기 도관을 포함하는 사분파 공진기로서, 하우징에 위치된 세장형 공진기 도관(31)을 포함하는 사분파 공진기(30)로서, 상기 공진기 도관은 종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한쪽 단부에는 통류 도관의 벽에 위치된 유입구 구멍(32)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 단부(33)는 폐쇄되고, 상기 통류 도관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동일한 단면적을 구비한 것인, 사분파 공진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소음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기 장치와 이러한 소음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SILENCER DEVICE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SILENCER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피스톤 압축기에 연결하기 위한 소음 장치 및 이러한 소음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공압 작동식 브레이크 실린더를 구비한 자동차에서, 피스톤 압축기는 종종 브레이크 실린더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피스톤 압축기는 소음 문제를 발생시키고 심지어 차량의 소음 적합 증명(noise certification)에 방해가 되는 매우 특징적인 맥동음(pulsating sound)을 생성하는 강력한 음조의 음원이 된다. 따라서, 이 맥동음을 감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피스톤 압축기가 작동할 때 생성되는 맥동음을 감쇄하는 데에 적절한 소음 장치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소음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 장치는
- 피스톤 압축기의 흡입 라인이나 공기 배출구에 연결하기 위한 유입구와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유입구 또는 압축 공기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까지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된 통류 도관으로서, 피스톤 압축기의 흡입 공기를 상기 흡입 라인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유입구까지 유동할 수 있게 관통시키거나 또는 압축 공기를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배출구로부터 압축 공기 라인 까지 유동할 수 있게 관통시키는 통류 도관, 및
- 하우징에 위치된 세장형 공진기 도관을 포함하는 사분파 공진기(quarter-wave resonator)로서, 상기 공진기 도관은 종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한쪽 단부에는 통류 도관의 벽에 위치된 유입구 구멍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폐쇄되고, 상기 통류 도관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동일한 단면적을 구비한 것인, 사분파 공진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따른 소음기 장치는 피스톤 압축기와 흡입 공기를 피스톤 압축기로 도입하는 흡입 라인 사이 또는 피스톤 압축기와 상기 피스톤 압축기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는 압축 공기 라인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사분파 공진기는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유입구 또는 공기 배출구 가까이에, 즉, 차량 모델 및 상기 흡입 라인과 압축 공기 라인의 구성과는 무관하게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유입구 또는 공기 배출구에 관련된 위치의 음원 부근에 위치될 것이다. 사분파 공진기의 이러한 위치 결정에 의해 음향학적으로 유리해지고 상기 공진기가 상기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유입구 또는 공기 배출구로부터 더 떨어져 있을 경우 보다 상기 흡입 라인과 상기 압축 공기 라인의 특정 구성에 덜 의존되는 상기 공진기의 음향 감쇄 특성을 초래한다.
사분파 공진기를 이용하는 데 있어 유리한 점은 공진기가, 기본 음향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어떤 기타 유형의 공진기와 달리, 기본 음향과 모든 2차 고조파를 감쇄시킨다는 것이다. 사분파 공진기의 다른 유리한 점은 이러한 공진기가 비교적 콤팩트한 구성이라는 것이다. 상기 공진기를 곡형 공진기 도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소음기가 특히 콤팩트해지고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은 기부 요소에 끼워지는 덮개 요소를 가지는 기부 요소를 포함하고,
- 공진기 도관은 상기 기부 요소에 위치된 채널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덮개 요소 쪽으로 대향하는 종방향 구멍을 가지고,
- 채널의 상기 종방향 구멍이 상기 덮개 요소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을 기부 요소와 덮개 요소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소음기 장치를 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이 구성은 또한 상기 덮개 요소가 상기 기부 요소에 끼워지기 전에 상기 공진기 도관이 소망하는 조정과 교체를 위해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에 접근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기 장치는 기부 요소에 끼워질 수 있는 덮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요소는 기부 요소에 상기 덮개 요소가 끼워질 때 공진기 도관의 폐쇄된 다른 한쪽 단부를 형성하는 단부 벽을 형성하도록 채널의 종방향 구멍을 통하여 상기 기부 요소 내의 상기 채널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덮개 요소에서 상기 돌출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공진기 도관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기부 요소들을 서로 다른 덮개 요소들과 결합시킴으로써 상호 다른 음향 감쇄 특성을 구비한 소음기 장치를 달성하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공유하는 기부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판이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에 공진기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에 이러한 천공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사분파 공진기가 최적화되기 위한 주파수에서 다소 열등한 감쇄의 희생으로 더 많은 주파수가 감쇄되는 방식으로 상기 사분파 공진기의 음향 감쇄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천공판은 상기 사분파 공진기에 더 넓은 음향 감쇄 특성을 부여하며, 또한 상기 공진기 도관 안으로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음성 물질로 이루어진 흡음재가 공진기 도관의 내부 표면에 하나 이상 제공된다, 상기 공진기 도관에 이러한 흡음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사분파 공진기가 최적화되기 위한 주파수에서 다소 열등한 감쇄의 희생으로 더 많은 주파수가 감쇄된다는 점에서 상기 사분파 공진기의 음향 감쇄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흡음재에 의해 상기 사분파 공진기에 더 넓은 음향 감쇄 특성이 부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 장치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과 이하에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에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12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자동차에 관련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장치의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소음기 장치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소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IV- IV를 따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소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VI- VI를 따르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 장치를 통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음 장치를 통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음 장치를 통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소음기 장치(10)는 후자가 작동 중일 때 피스톤 압축기의 가스 교환 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쇄하기 위해 자동차의 피스톤 압축기(1)(도 5에 개략적으로 점선으로 도시됨)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피스톤 압축기(1)는 예를 들어 소위 브레이크 압축기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압 작동식 브레이크 실린더를 위해 압축 공기를 생성 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상기 소음 장치(10)는 자동차의 흡입 라인(2)(도 5에 개략적으로 점선으로 도시됨)에 연결하기 위한 유입구(12)와 피스톤 압축기(1)의 공기 유입구(12)에 연결하기 위한 배출구(13)를 구비한 하우징(11)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라인(2)은 상기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의 유입구(12)에 연결된 하류 단부(3)를 구비하고,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연소 엔진의 공기 흡입구에 가깝게 위치된 필터에 연결된 상류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피스톤 압축기(1)에 장착된 소음기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소음기 장치(10)는,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11)의 브래킷(16)을 통해 이어지는 구멍(hole)(15)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피스톤 압축기의 하우징에 나사 가공된 개구에 맞물리는 제1 나사부 고정 수단(14)과,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11)을 통해 이어지는 구멍(18)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피스톤 압축기의 하우징에 나사 가공된 구멍에 맞물리는 제2 나사부 고정 수단(17)에 의해 상기 피스톤 압축기(1)의 외부 하우징에 견고하게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11)과 피스톤 압축기의 하우징 사이에 이격(spacing) 수단(19)이 제공된다. 상기 이격 수단(19)은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 수단(17)을 위한 구멍(18)은 상기 이격 수단을 통해 연장된다.
통류 도관(20)(도 4 참조)은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11) 내에 위치된다. 이 통류 도관(20)은 피스톤 압축기의 흡입 공기가 상기 통류 도관(20)을 통하여 흡입 라인(2)에서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유입구까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을 통하여 후자의 유입구(12)에서 배출구(13)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12) 및 배출구(13)에 의해 상기 통류 도관(20)의 각각의 유입구 및 배출구도 구성된다.
사분파 공진기(30)(도 4 참조)는 또한 상기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11) 내에 위치된다. 이 사분파 공진기(30)는, 종방향으로 만곡되고 한쪽 단부에 상기 통류 도관(20)의 벽(21)에 위치된 유입구 구멍(32)을 구비하는 세장형 공진기 도관(31)을 포함한다. 상기 공진기 도관(31)의 다른 한쪽 단부(33)는 폐쇄되어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상기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은 통류 도관(20)의 굴곡부(22)에 위치되어 있고 굴곡부의 내부에 있다.
상기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의 단면적은 통류 도관(20)보다 크거나 같지만, 상기 통류 도관(20)의 단면적의 3 배를 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공진기 도관(31)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 구멍(32)의 단면적과 유사한 도관의 전체를 따라 일정하지만, 대안적으로 상기 공진기 도관은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에서 공진기 도관의 폐쇄 단부(33)쪽으로 더 좁아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공진기 도관(31)은 곡형으로 만곡되고, 서로의 옆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되고 도관 굴곡부(31c)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부분(31a, 31b)을 포함하고 있다. 이 도관 굴곡부(31c)는 180 °에 걸쳐서 만곡되어 있다. 상기 도관의 부분(31a, 31b)(도 4 참조)들은 이들의 사이에 위치된 벽(36)을 분할함으로써 서로 분리되어 있고 이들의 분할 벽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공진기 도관(31)은 몇 가지의 다른 방법으로 만곡될 수도 있다.
사분파 공진기(30)는 흡입 라인(2)의 주 고유주파수(dominant natural frequency)에 동조되고 따라서 공진기 도관(31)의 길이는 그 주파수에 근거하여 감소된다.
하우징(11)은 유리하게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덮개 요소(50)가 끼워지는 기부 요소(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요소(50)는 판 형상이고 통류 도관(20)의 하류측 단부에 연결되고 하우징의 상기 배출구(13)를 구성하는 구멍(51)을 통해서 이어져 있다. 공진기 도관(31)은 상기 기부 요소(40)에 위치되고 상기 덮개 요소(50) 쪽으로 대향하는 종방향 구멍(42)이 구비된 채널(41)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채널(41)의 이 종방향 구멍(42)은 상기 덮개 요소(50)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채널(41)은 상기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에서 상기 기부 요소(40)의 일부를 형성하고 도 1 내지 도 6에서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공진기 도관(31)의 폐쇄된 다른 한쪽 단부를 형성하는 단부 벽(43)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이격 수단(19)은 상기 덮개 요소(50)에 위치되고 상기 덮개 요소(5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기부 요소(40)는 상기 덮개 요소(50)쪽으로 대향하는 덮개 요소의 측면 위의 기부 요소(40)로부터 돌출된 위치 결정 핀(44)이 구비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핀(44)은 상기 덮개 요소(50)를 통해서 이어진 각각의 구멍에 수용될 수 있다. 기부 요소와 덮개 요소를 함께 끼워 맞추는 단계에는 상기 기부 요소의 위치 결정 핀(44)들을 상기 덮개 요소(50)의 각각의 구멍 안으로 눌러 넣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 위치 결정 핀들의 길이는 상기 덮개 요소가 상기 기부 요소 상에 제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기부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대향하는 상기 덮개 요소의 측면 상의 각각의 구멍들로부터 위치 결정 핀들은 다소 돌출되도록 되어있다. 이어서 상기 위치 결정 핀(44)들의 돌출되는 단부들에 압력이나 충격력이 가해지고, 이렇게 되면 위치 결정 핀이 변형되고 각각의 구멍들을 채우고 이에 의해 상기 덮개 요소가 상기 기부 요소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덮개 요소(50)는 나사 연결부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기부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유리하게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주물 하우징인데, 이 경우에 기부 요소(40)와 덮개 요소(50)가 알루미늄 주물의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기 하우징(11)은 몇 가지 다른 방식과 몇 가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공진기 도관(31)의 폐쇄된 다른 한쪽 단부(33)는 기부 요소(40)쪽으로 대향하는 덮개 요소 측면의 덮개 요소(5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2)는 상기 덮개 요소(50)가 상기 기부 요소(40)에 끼워 맞춰질 때 후자의 폐쇄된 다른 한쪽 단부(33)를 형성하고 공진기 도관(31)의 종방향 축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벽을 형성하도록 채널의 종방향 구멍(42)을 통해서 기부 요소(40)의 채널(41)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공진기 도관(31)의 길이와 사분파 공진기(30)의 결과적인 음향 감쇄 특성은 상기 돌출부(52)의 위치에 의해 형성된다. 동일한 기부 요소(40)에 끼워지는 두 개의 상호 교환 가능한 덮개 요소(50) 즉, 도 7에 예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덮개 요소들 중의 돌출부(52)가 구비된 하나의 덮개 요소와 돌출부가 없는 다른 하나의 덮개 요소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덮개 요소(50)의 선택에 의해 상기 공진기 도관(31)의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물론, 공진기 도관(31)의 길이의 이러한 변경 가능성은, 주어진 기부 요소(40)에 끼워질 수 있고 도 7에 예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상이한 덮개 요소들의 위에 상이한 위치에 위치되는 유형의 돌출부(52)가 구비되는 상호 교환 가능한 두 개 이상의 덮개 요소(50)를 구비함으로써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사분파 공진기의 음향 감쇄 특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 천공판(34)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의 공진기 도관(31) 위에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판(34)은 기부 요소와 일체로 될 수 있거나 혹은 덮개 요소 위의 돌출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분파 공진기의 음향 감쇄 특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흡음성 물질로 이루어진 흡음재가 공진기 도관의 내부 표면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흡음재(35)는 공진기 도관의 폐쇄된 다른 한쪽 단부(33)에 배치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흡음재들은, 예를 들어,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에서 공진기 도관(31)을 따라 다른 지점들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흡음재(35)들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 울, 폼 플라스틱, 면직물, 천 혹은 그 밖의 흡음 특성이 있는 적절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 장치(10)는 흡입 라인과 피스톤 압축기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음기 장치(10)는 대안적으로 피스톤 압축기와 압축 공기 라인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11)의 유입구(12)는 상기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배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11)의 배출구(13)는 압축 공기라인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상기 소음기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관점에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사분파 공진기(30)는 압축 공기 라인의 주 고유주파수에 동조될 것이고, 따라서 공진기 도관(31)의 길이는 상기 압축 공기 라인의 주 고유주파수에 의거하여 길이가 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 장치는 특히 중장비 차량, 예를 들어 버스, 트랙터 장치 또는 트럭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의 가능성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동일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명백하기 때문에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3)

  1. 자동차의 피스톤 압축기에 연결하기 위한 소음기 장치로서,
    - 피스톤 압축기의 흡입 라인이나 공기 배출구에 연결하기 위한 유입구(12)와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유입구 또는 압축 공기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배출구(13)를 구비한 하우징(11),
    - 상기 유입구(12)로부터 상기 배출구(13)까지 상기 하우징(11)을 통하여 연장된 통류 도관(20)으로서, 상기 유입구(12)로부터 상기 배출구(13)까지 공기를 유동할 수 있게 관통시키는 통류 도관(20), 및
    - 하우징(11)에 위치된 세장형 공진기 도관(31)을 포함하는 사분파 공진기(30)로서, 상기 공진기 도관은 종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한쪽 단부에는 통류 도관(20)의 벽(21)에 위치된 유입구 구멍(32)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 단부(33)는 폐쇄되고, 상기 통류 도관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동일한 단면적을 구비한 것인, 사분파 공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 도관(31)은 곡형으로 만곡되고 서로의 옆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되고 도관 굴곡부(31c)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부분(31a, 31b)(도 4참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은 통류 도관(20)의 굴곡부(22)에 위치되고 상기 굴곡부의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하우징(11)은 기부 요소(40)에 끼워지는 덮개 요소(50)를 가지는 기부 요소(40)를 포함하고,
    - 상기 공진기 도관은 상기 기부 요소(40)에 위치된 채널(41)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덮개 요소(50)쪽으로 대향하는 종방향 구멍(42)을 가지고,
    - 상기 채널(41)의 상기 종방향 구멍(42)이 상기 덮개 요소(5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41)은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으로부터 상기 기부 요소(40)에 위치된 단부 벽(43)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소음기 장치(10)는 상기 기부 요소(40)에 끼워질 수 있는 덮개 요소(5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요소(50)는 상기 기부 요소에 상기 덮개 요소가 끼워질 때 공진기 도관(31)의 폐쇄된 다른 한쪽 단부(33)를 형성하는 단부 벽을 형성하도록 채널의 종방향 구멍(42)을 통하여 상기 기부 요소 내의 상기 채널(41)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5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 장치는 또한 상기 기부 요소(40)에 끼워질 수 있고 덮개 요소의 선택에 의해 공진기 도관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돌출부(52)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소음기 장치(10)는 상기 기부 요소(40)에 각각 끼워질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상호 교환 가능한 덮개 요소(50)들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요소(50)는 상기 기부 요소에 상기 덮개 요소가 끼워질 때 상기 공진기(31)의 상기 폐쇄된 다른 한쪽 단부(33)를 형성하는 단부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채널의 종방향 구멍(42)에 의해 상기 기부 요소 내의 상기 채널(41)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52)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2)는 상기 덮개 요소의 선택에 의해 상기 공진기 도관의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덮개 요소(50)들 위의 서로 다른 위치 결정 지점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은 통류 도관의 단면적의 3 배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판(34)이 공진기 도관의 유입구 구멍(32)의 공진기 도관(31) 위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음성 물질로 이루어진 흡음재(35)는 상기 공진기 도관의 내부 표면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장치.
  12. 피스톤 압축기(1), 흡입 라인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유입구로 공기가 도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 압축기(1)에 연결되는 흡입 라인(2), 및 압축 공기 라인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배출구로부터 압축 공기가 도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 압축기(1)에 연결된 압축 공기 라인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음기 장치(10)가 상기 흡입 라인(2)과 상기 피스톤 압축기(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소음기의 하우징(11)의 유입구(12)는 상기 흡입 라인(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음기의 하우징(11)의 배출구(13)는 상기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음기 장치(10)가 상기 피스톤 압축기(1)와 상기 압축 공기 라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11)의 유입구(12)는 상기 피스톤 압축기의 공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음기 장치의 하우징의 배출구(13)는 상기 압축 공기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압축기(1)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37027700A 2011-04-29 2012-04-12 소음기 장치와 이러한 소음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KR101955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150376A SE535923C2 (sv) 2011-04-29 2011-04-29 Ljuddämparanordning och motorfordon innefattande en sådan ljuddämparanordning
SE1150376-0 2011-04-29
PCT/SE2012/050396 WO2012148343A1 (en) 2011-04-29 2012-04-12 Silencer device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silenc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485A true KR20140015485A (ko) 2014-02-06
KR101955563B1 KR101955563B1 (ko) 2019-03-07

Family

ID=4707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700A KR101955563B1 (ko) 2011-04-29 2012-04-12 소음기 장치와 이러한 소음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34128B2 (ko)
EP (1) EP2702273B1 (ko)
JP (1) JP2014515077A (ko)
KR (1) KR101955563B1 (ko)
CN (1) CN103492715B (ko)
BR (1) BR112013027551B1 (ko)
RU (1) RU2565487C2 (ko)
SE (1) SE535923C2 (ko)
WO (1) WO2012148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3035A2 (en) 2014-12-22 2016-06-30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FR3036731B1 (fr) * 2015-05-29 2017-05-19 Novares France Dispositif d'attenuation des bruits de bouche et des bruits rayonnes
RU171331U1 (ru) * 2016-12-16 2017-05-29 Сергей Георгиевич Смирнов Реактивный глушитель шума
US10662948B2 (en) * 2017-06-13 2020-05-26 HELLA GmbH & Co. KGaA Expansion chamber for a brake boost vacuum pu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147A (ja) * 1998-10-23 2000-05-09 Matsushita Refrig Co Ltd マフラー
US20070045044A1 (en) * 2005-08-26 2007-03-01 Sullivan John T Flow-through mufflers with optional thermo-electric, sound cancellation, and tuning capabilities
JP2007126990A (ja) * 2005-11-01 2007-05-24 Denso Corp 圧縮機用マフラ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00270103A1 (en) * 2007-07-10 2010-10-28 Tmg Performance Products, Llc Exhaust muffl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9462A (en) * 1929-05-07 1932-01-05 Maxim Silencer Co Silencer
JPS5156611U (ko) * 1974-10-30 1976-05-04
SU883529A1 (ru) * 1978-04-27 1981-11-23 Московское Ордена Ленина И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Высшее Техническое Училище Им. Н.Э.Баумана Резонансный глушитель
DE68911112T2 (de) * 1988-02-19 1994-05-26 Noise Cancellation Tech Abgasschalldämpfer-anlage für brennkraftmaschnine.
GB9522724D0 (en) * 1995-11-06 1996-01-10 Acts Ltd A noise attenuator for an induction system or an exhaust system
SE518146C2 (sv) * 1997-08-14 2002-09-03 Ragnar Glav Ljuddämpare i form av krökt konisk resonator
US5952625A (en) 1998-01-20 1999-09-14 Jb Design, Inc. Multi-fold side branch muffler
DE20018689U1 (de) 2000-11-02 2001-02-15 Emico Emission Control Systems Lambda-Viertel-Rohr mit Schaltfunktion
US6840746B2 (en) * 2002-07-02 2005-01-11 Bristol Compressors, Inc. Resistive suction muffler for refrigerant compressors
DE10352442A1 (de) 2003-11-10 2005-06-16 Man Nutzfahrzeuge Ag Druckluft-Kolbenverdichter
KR101128155B1 (ko) * 2006-12-06 2012-03-23 파나소닉 주식회사 냉매 압축기
JP4924215B2 (ja) * 2007-06-06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媒圧縮機
WO2009009120A1 (en) * 2007-07-10 2009-01-15 Jb Design, Inc. Muffler
JP5386906B2 (ja) * 2008-09-25 2014-0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媒圧縮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147A (ja) * 1998-10-23 2000-05-09 Matsushita Refrig Co Ltd マフラー
US20070045044A1 (en) * 2005-08-26 2007-03-01 Sullivan John T Flow-through mufflers with optional thermo-electric, sound cancellation, and tuning capabilities
JP2007126990A (ja) * 2005-11-01 2007-05-24 Denso Corp 圧縮機用マフラ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00270103A1 (en) * 2007-07-10 2010-10-28 Tmg Performance Products, Llc Exhaust muff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2273B1 (en) 2017-10-04
BR112013027551A2 (pt) 2022-08-09
US8734128B2 (en) 2014-05-27
CN103492715B (zh) 2016-04-20
JP2014515077A (ja) 2014-06-26
RU2565487C2 (ru) 2015-10-20
RU2013152978A (ru) 2015-06-10
US20140030126A1 (en) 2014-01-30
EP2702273A1 (en) 2014-03-05
BR112013027551B1 (pt) 2023-02-14
CN103492715A (zh) 2014-01-01
KR101955563B1 (ko) 2019-03-07
EP2702273A4 (en) 2015-12-02
SE1150376A1 (sv) 2012-10-30
WO2012148343A1 (en) 2012-11-01
SE535923C2 (sv)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8392B2 (ja) 吸気システムまたは排気システムのための騒音減衰器
JP4689363B2 (ja) 増音装置
US9097220B2 (en) Acoustic attenuator for an engine booster
US8381871B1 (en) Compact low frequency resonator
JP2019143478A (ja) 消音装置
KR20140015485A (ko) 소음기 장치와 이러한 소음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TWI635218B (zh) 消音器
US20070295554A1 (en) Sound Proofing Device and Device for Conducting a Fluid
EP1908930A2 (en) Exhaust silencer for automotive vehicles
JP2006274926A (ja) エンジン吸気音の導入構造
WO2007083572A1 (ja) 吸気音低減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作業機械
JPS61190158A (ja) 内燃機関用吸気系消音装置
JP6899278B2 (ja) 消音装置
JP2006291810A (ja) 吸気サイレンサ
KR101384525B1 (ko) 인테이크호스
JP6933505B2 (ja) 消音装置
RU2517933C2 (ru) Контур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ий расширительную камеру
JP2016217201A (ja) エアクリーナ
JP6319253B2 (ja) 内燃機関の吸気音増幅装置
KR20100022035A (ko) 자동차의 배기 라인 소음기
JP6800766B2 (ja) 吸気ダクト
JP5248184B2 (ja) 気体導通管
JP6823903B2 (ja) 消音装置
JPS5843661Y2 (ja) 消音装置付空気清浄器
JP6247732B2 (ja) 消音体及びこれを用いた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