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155B1 - 냉매 압축기 - Google Patents

냉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155B1
KR101128155B1 KR1020087020279A KR20087020279A KR101128155B1 KR 101128155 B1 KR101128155 B1 KR 101128155B1 KR 1020087020279 A KR1020087020279 A KR 1020087020279A KR 20087020279 A KR20087020279 A KR 20087020279A KR 101128155 B1 KR101128155 B1 KR 10112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pace
noise
aesthetics
refrigerant compress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923A (ko
Inventor
아키히코 구보타
세이고 야나세
아츠시 나루세
기와무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10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흡입 머플러(137)는, 일단이 소음 공간(139)으로 개구된 미관(147)과, 일단이 소음 공간(139)으로 개구된 연통관(155)을 구비하고, 각각의 개구부(161, 163)는 소음 공간(139)의 중간에 있으며, 밀폐 용기의 고역 공진 주파수와 거의 일치하는 공진 주파수를 갖는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가 미관(147)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냉매 압축기에 따르면, 밀폐 용기의 고역 공진 주파수와 거의 일치하는 노이즈의 방사를 억제하고, 또한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에 의해 이를 소음함으로써, 밀폐 용기의 공진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매 압축기{REFRIGERANT COMPRESSOR}
본 발명은 냉장ㆍ냉동고 등의 냉동 사이클에 사용되는 냉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타입의 냉매 압축기는, 밀폐 용기 내에 개구되어 냉매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 머플러 내에 공명 챔버를 구비하여 특정 주파수의 음을 저감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관한 기술 내용은 심사되지 않은 일본 특허 공개 제 10-184542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냉매 압축기를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냉매 압축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절단 사시도다. 도 9는 종래의 냉매 압축기의 압축 요소의 일부와 흡입 머플러의 부분절단 사시도다. 도 8 및 도 9에서, 윤활유(도시되지 않음)를 저장하기 위한 밀폐 용기(1)가 크랭크 핀(7)에 일체로 성형된 크랭크축(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프레임(9)의 상측 및 하측에 전동 요소(3)와 압축 요소(5)를 배치함으로써 구성되는 압축기 본체(10)를 스프링 등의 탄성체(11)를 거쳐서 지지하여 수용하고 있다.
크랭크 핀(7)은 전동 요소(3)를 구성하는 로터(도시되지 않음)에 압입 고정 된 크랭크축에 편심해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3)은 대체로 원통형인 실린더(15)에 자유롭게 왕복 및 활주하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연결부(17)에 의해 크랭크 핀(7)과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15)의 개구 단면(도시되지 않음)을 밀봉하기 위한 밸브 플레이트(19)가 흡입 밸브(도시되지 않음)의 개폐에 의해 실린더(15)와 연통하는 흡입 포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실린더(15), 피스톤(13)의 상면(도시되지 않음) 및 밸브 플레이트(19)는 압축 챔버(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다.
고압 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 헤드(21)가 밸브 플레이트(19)를 거쳐서 실린더(15)의 대향측에 고정되어 있다.
흡입 머플러(23)는 밀폐 용기(1) 내에의 개구(25)를 갖는 냉매 가스(도시되지 않음)의 흡입 통로인 미관(tail tube)(27)과, 스로틀 홀(throttle hole)(29)을 거쳐서 미관(27)에 연통되는 공명 챔버(31)를 포함하는 공명기(33)를 구성하고 있다. 연통관(35)의 일단이 실린더 헤드(21)를 거쳐서 압축 요소(5)의 밸브 플레이트(19)에 형성된 흡입 포트에 연결되어 있고, 연통관(35)의 타단은 흡입 머플러(23)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매 압축기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크랭크 핀(7)에 일체로 성형된 크랭크축이 전동 요소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크랭크 핀(7)의 편심 운동으로 인해 피스톤(13)이 연결부(17)를 통해 실린더(15) 내에서 왕복 운동하고, 흡입, 압축 및 토출 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피스톤(13)의 흡입 행정에서, 밀폐 용기(1)의 공간 내에 충전된 냉매 가스가 미관(27)의 개구(25)로부터 흡입되어, 흡입 머플러(23), 연통관(35) 및 실린더 헤드(21)에 의해 형성된 흡입 유로(suction flow channel)를 통해 밸브 플레이트(19)의 흡입 포트를 폐쇄하는 흡입 밸브로 유도되고, 이 흡입 밸브를 밀어 개방함으로써 실린더(15) 내로 유입된다. 이 경우에, 공명기(33)는 밸브 플레이트(19)의 흡입 밸브의 진동음이나 냉매 가스의 맥동음으로서 발생하는 노이즈(noise)의 저주파음(약 400㎐ 내지 약 600㎐)을 소음(消音)한다. 그 결과, 냉매 압축기의 저주파수 영역의 음은 저감된다.
그러나, 고주파수 영역의 음이 충분히 감쇠되지 않기 때문에, 흡입 머플러(23)는 프레싱을 통해 철판을 드로우 성형(draw forming)함으로써 성형된 밀폐 용기(1)의 고역 공진 주파수(예컨대, 약 2000㎐ 또는 2500㎐)를 여기시켜서, 고주파음이 더욱 높아진다. 공명기(33)는 스로틀 홀(29)을 거쳐서 미관(27)과 연통하는 공명 챔버(31)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상, 단일부품으로 구성될 수 없어서, 접합부의 접착 불량에 의한 냉매 가스의 누설로 인해 공진 주파수가 변화되고, 노이즈 저감 효과가 감소한다.
본 발명은, 밀폐 용기의 고역 공진 주파수(예컨대, 약 2000㎐ 또는 2500㎐)가 흡입 머플러에 의해 여기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공진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저노이즈 냉매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냉매 압축기는 압축 챔버와 연통하는 흡입 머플러 내에 소음 공간(sound deadening space)을 형성하고, 흡입 머플러는, 일단(제 1 단)이 밀폐 용기 내로 개구되고 타단(제 2 단)이 소음 공간으로 개구되는 미관을 구비하고, 미관의 소음 공간에 대한 개구 방향의 위치는 소음 공간의 중앙에 있다. 따라서, 흡입 밸브의 진동음이나 냉매 가스의 맥동음으로서 발생하는 고주파음은 미관의 소음 공간에 대한 개구 위치를 고주파음이 용이하게 감쇠될 수 있는 소음 공간의 중앙의 음향 노드(acoustic node)에 위치시킴으로써 저감될 수 있고, 밀폐 용기의 고역 공진 주파수(예컨대, 약 2000㎐ 또는 2500㎐)의 여기가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매 압축기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매 압축기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흡입 머플러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L자형 굴절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입 머플러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소음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밀폐 용기의 공진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종래 기술에 따른 냉매 압축기의 노이즈 레벨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8은 종래의 냉매 압축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절단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냉매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및 압축 요소의 일부의 부분 절단 사시도.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 1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매 압축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매 압축기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흡입 머플러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L자형 굴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밀폐 용기(101)는 바닥부에 윤활유(103)를 저장하고, 냉매 가스(도시되지 않음)를 흡입하여 압축하기 위한 압축 요소(105)와, 압축 요소(105)를 구동하기 위한 로터(107) 및 스테이터(109)를 포함하는 전동 요소(111)로 구성되는 압축기 본체(113)를 스프링 등의 탄성체(115)를 거쳐서 지지하여 수용하고 있다.
피스톤(117)은 대체로 원통형인 실린더(119)에 자유롭게 왕복 및 활주하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연결부 또는 커넥팅 로드(123)에 의해 크랭크 핀(121)과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 핀(121)은 로터(107)에 압입 고정된 크랭크축(125)에 편심해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19)의 개구 단면을 밀봉하기 위한 밸브 플레이트(127)가 흡입 밸브(129)의 개폐에 의해 실린더(119)와 연통하는 흡입 포트(131)를 포함하고, 실린 더(119), 피스톤(117)의 상면 및 밸브 플레이트(127)는 압축 챔버(133)를 형성한다.
고압 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 헤드(135)는 밸브 플레이트(127)를 거쳐서 실린더(119)의 대향측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서, 흡입 머플러(137)는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소음 공간(139)을 형성한다. 소음 공간(139)에는 팽창 챔버(151) 및 공명 챔버(153)가 구비되어 있다.
연직부(143) 및 L자형 굴절부(145)를 포함하고, 일단이 소음 공간(139)으로 개구되며 타단이 밀폐 용기(101) 내로 개구된 냉매 가스의 흡입 포트(141)를 형성하는 미관(147)이 흡입 머플러(137)에 구비되어 있다.
미관(147)은 L자형 굴절부(145)에 의해 거의 L자형으로 형성되고, 소음 공간(139)의 팽창 챔버(151)로 개구된 개구부(161)는 개구 방향으로 소음 공간(139)의 공간 길이(L1)의 중간이 되는 L1/2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연직부(143)와 L자형 굴절부(145)의 접속부(157, 159)의 형상은 각각 복수의 원호 또는 직선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 머플러(137)에는 일단(제 2 단)이 소음 공간(139)으로 개구되어 있고 타단(제 1 단)이 실린더 헤드(135)를 거쳐서 압축 요소(105)의 밸브 플레이트(127) 내에 마련된 흡입 포트(131)에 연결된 연통관(155)이 구비되어 있다.
연통관(155)이 소음 공간(139)의 팽창 챔버(151)로 개구되는 개구부(163)는 개구 방향으로 소음 공간(139)의 공간 길이(L2)의 중간이 되는 L2/2의 위치에 마련 되어 있다.
소음 공간(139)의 팽창 챔버(151)로의 미관(147) 및 연통관(155)의 개구 방향은 직교하고, 미관(147)의 개구부(161) 및 연통관(155)의 개구부(163)의 개구된 위치는 상호 근접해 있다.
L자형 굴절부(145)의 하향으로 개구된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는 미관(147)의 L자형 굴절부(145)의 한쪽 축선상에 연장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는 미관(147)의 L자형 굴절부(145)와 연통하는 부분에 스로틀부가 없는 사이드 브랜치형이다.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는 구획벽(165)에 의해 상이한 깊이(공진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되고, 이 공진 주파수는 밀폐 용기(101)에 있어서 작은 곡률을 갖는 측면 부분 등에서 발생하는 고역 공진 주파수(예컨대, 약 2000㎐ 또는 약 2500㎐)와 거의 일치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약 2000㎐ 및 약 2500㎐와 일치하는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냉매 압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전동 요소(111)의 로터(107)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축(125)이 회전 구동되면, 피스톤(117)은 크랭크 핀(121)의 편심 운동에 의해 커넥팅 로드(123)를 통해 실린더(119) 내에서 왕복하여 소정의 압축 동작을 수행한다. 피스톤(117)의 흡입 행정에서는, 밀폐 용기(101) 내의 공간을 충전하는 냉매 가스가 흡입 머플러(137)의 미관(147)의 흡입 포트(141)로부터 흡입된다. 그 후에, 이 냉매 가스는 팽창 챔 버(151), 연통관(155) 및 실린더 헤드(135)로 구성된 흡입 유로를 통해 밸브 플레이트(127)의 흡입 포트(131)를 폐쇄하는 흡입 밸브(129)로 유도되고, 이 흡입 밸브(129)를 밀어 개방함으로써 압축 챔버(133) 내로 유입된다.
밸브 플레이트(127)의 흡입 밸브(129)의 진동음과 냉매 가스의 맥동음으로서 발생하는 노이즈 중에서 밀폐 용기(101) 내의 작은 곡률을 갖는 측면 부분 등에서 발생하는 고역 공진 주파수(예컨대, 약 2000㎐ 및 약 2500㎐)와 거의 일치하는 노이즈는 팽창 챔버(151)에 의해 소음되어 미관(147)의 L자형 굴절부(145) 및 연직부(143)를 통해 밀폐 용기(101)의 내부로 방출된다.
L자형 굴절부(145)의 일단이 소음 공간(139)을 구성하는 팽창 챔버(151)로 개구되는 개구부(161)의 위치는, 개구 방향으로 소음 공간(139)의 공간 길이(L1)의 중간이기 때문에, 대체로 소음 공간(139)의 공간 길이가 가지는 음향 모드의 노드의 위치가 된다. 그러므로, L자형 굴절부(145) 및 연직부(143)를 통해 밀폐 용기(101)의 내부로 방사되는 음압은 극도로 작아진다. L자형 굴절부(145)의 일단이 소음 공간(139)을 구성하는 팽창 챔버(151)로 개구되는 위치는 연직부(143)와 L자형 굴절부(145)의 접속부(157, 159)의 복수의 직선 또는 원호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므로, L자형 굴절부(145)가 연직부(143)의 축에 대한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다.
연통관(155)의 일단이 소음 공간(139)을 구성하는 팽창 챔버(151)로 개구되는 개구부(163)의 위치는 개구 방향으로 소음 공간의 공간 길이(L2)의 중간이므로, 대체로 소음 공간(139)의 공간 길이가 가지는 음향 모드의 노드의 위치가 된다. 그러므로, 음향 모드에 있어서의 여기는 작아지고, 소음 공간(139) 내에서의 노이즈의 진폭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미관(147)의 L자형 굴절부(145)가 소음 공간(139)을 구성하는 팽창 챔버(151)로 개구되는 개구부(161)와, 연통관(155)이 소음 공간(139)을 구성하는 팽창 챔버(151)로 개구되는 개구부(163)의 위치를 각각의 개구 방향으로 소음 공간(139)의 공간 길이(L1, L2)의 중간으로 함으로써, 노이즈가 흡입 머플러(137)의 외부로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미관(147)을 구성하는 L자형 굴절부(145)와 연통관(155)의 각각이 소음 공간(139)을 구성하는 팽창 챔버(151)로 개구되는 개구부(161) 및 개구부(163)는 상호 근접해 있고, 2개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선과 각각의 개구 방향이 이루는 각은 90°이하다. 그러므로, 냉매 가스의 흡입 흐름은 더욱 스무드해지고(smoother), 수열손실(heat receiving loss)이 저감되어 냉동 효율이 향상된다.
이제,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를 설명한다.
구획벽(165)에 의해 상이한 공진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되는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가 미관(147)의 L자형 굴절부(145)에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 머플러에 의해 소음될 수 있는 노이즈의 주파수 f(공진 주파수 f)는 머플러의 공명 챔버의 길이(Lp) 및 내경(D) 뿐만 아니라, 머플러 내에서의 냉매 가스의 음속(C)에 의해 정의된다. 주파수 f는 식 1로 나타난다.
Figure 112008059009140-pct00001
단, n은 자연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매 압축기에 있어서,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의 내경 및 길이가 조정되어서, 공진 주파수는 밀폐 용기(101)의 고역 공진 주파수(예컨대, 약 2000㎐ 및 약 2500㎐)와 거의 일치한다.
공명 머플러에 있어서,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에서 냉매 가스의 누설이 발생하면,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의 길이(L) 및 내경(D)이 변화되어서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 f가 변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매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 머플러(137)는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와 일체로 성형되어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에서의 냉매 가스의 누설은 발생하지 않는다.
냉매 가스와 함께 미관(147) 내로 유입된 윤활유(103)가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 내에 모이면,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의 길이(Lp)가 변화되어서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 f가 변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매 압축기에 있어서,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는 L자형 굴절부(145)에의 개구부가 하향으로 배향되도록 형성되어 윤활유(103)가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 내에 모이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밀폐 용기(101)의 내부로 방사되는 음압은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에 의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가 구획벽(165)에 의해 상이한 깊이, 즉 상이한 공진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되기 때문에, 밀폐 용기(101)가 가지는 복수의 고역 공진 주파수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매 압축기에 있어서, 미관(147)은 L자형 굴절부(145)를 포함하고,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는 L자형 굴절부(145)의 한쪽 축선상에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L자형 굴절부(145) 및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는 금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 가공시의 스트로크가 작기 때문에 금형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일체적 성형으로 인해 L자형 굴절부(145)와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의 연통부에서의 냉매 가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의 공진 주파수 f는 변화하지 않는다.
더욱이,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는 L자형 굴절부(145)로의 개구부가 하향으로 배향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윤활유(103)는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 내에 모이지 않을 것이고,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의 길이가 변화되지 않아서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의 공진 주파수 f도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냉매 압축기의 작동 동안, 흡입 머플러(137)가 밀폐 용기(101)의 고역 공진 주파수(예컨대, 약 2000㎐ 및 약 2500㎐)와 거의 일치하는 주파수에 대한 소음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입 머플러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입 머 플러의 소음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특성곡선 a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흡입 머플러(137)의 소음 특성의 레벨을 나타내며, 특성곡선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흡입 머플러의 소음 특성의 레벨을 나타낸다. 특성곡선 a는 특성곡선 b와 비교하여 2000㎐부터 3000㎐까지의 소음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고 있음이 명백하다. 이는, 미관(147)의 개구부(161) 및 연통관(155)의 개구부(163)의 위치가 소음 공간(139)의 공간 길이(L1, L2)의 중간이고, 구획벽(165)에 의해 상이한 공진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되는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149)가 L자형 굴절부(145) 상에 마련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밀폐 용기의 공진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6에 있어서, 특성곡선 c는 밀폐 용기(101)의 공진 특성의 레벨을 나타낸다. 2000㎐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에 복수의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종래 기술에 따른 냉매 압축기의 노이즈 레벨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7에 있어서, 특성곡선 d는 흡입 머플러(137)의 소음 기능에 의해 저감된 냉매 압축기의 노이즈 레벨을 나타낸다. 특성곡선 e는 종래 기술의 흡입 머플러에서의 냉매 압축기의 노이즈 레벨을 나타낸다. 이 그래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입 머플러에 의해 밀폐 용기(101)의 고역 공진 주파수 부근의 주파수 f(약 2000㎐ 및 약 2500㎐)에서의 노이즈 레벨이 대폭 저감 된다.
따라서, 밀폐 용기(101)의 공진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은 안정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사이드 브랜치형의 공명기를 예시했지만, 헬름홀츠형 공명기(Helmholtz resonator) 또는 다공관형 공명기(perforated tube resonator)가 미관(147)에 마련되어도 높은 소음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압축기는 밀폐 용기의 공진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에어 컨디셔너, 냉장ㆍ냉동고 등의 냉매 압축기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밀폐 용기를 갖는 냉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 용기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동시에 압축 요소를 수용하고,
    상기 압축 요소는 냉매 가스가 압축되는 압축 챔버와, 상기 압축 챔버에 연통하는 동시에 소음(消音) 공간을 형성하는 흡입 머플러를 구비하며,
    상기 흡입 머플러는 일단(一端)이 상기 밀폐 용기 내로 개구하고 타단(他端)이 상기 소음 공간으로 개구하는 미관(tail tube)을 구비하고, 상기 미관의 상기 소음 공간에 대한 개구 방향의 위치는 상기 소음 공간의 중앙이며,
    상기 미관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와, 상기 연직부에 연속하여 L자형으로 굴절되어 타단이 상기 소음 공간으로 개구하는 L자형 굴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관의 상기 연직부의 연장선 상에 하방으로 개구한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가 마련되며,
    상기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는 상기 미관의 상기 L자형 굴절부와 일체 성형되고,
    상기 사이드 브랜치형 공명기는 구획벽으로 구획되어 복수의 공명 주파수를 갖는
    냉매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머플러는, 일단이 상기 압축 챔버 내로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소음 공간으로 개구하는 동시에, 상기 미관의 상기 소음 공간에 대한 개구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소음 공간에 대한 개구 방향을 갖는 연통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의 상기 소음 공간에 대한 개구 방향의 위치는 상기 소음 공간의 중앙인
    냉매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관의 상기 소음 공간에 대한 개구부가, 상기 연통관의 상기 소음 공간에 대한 개구부에 근접해 있는
    냉매 압축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7020279A 2006-12-06 2007-12-03 냉매 압축기 KR101128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28994 2006-12-06
JP2006328994 2006-12-06
PCT/JP2007/073737 WO2008069334A1 (en) 2006-12-06 2007-12-03 Refrigerant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923A KR20080101923A (ko) 2008-11-21
KR101128155B1 true KR101128155B1 (ko) 2012-03-23

Family

ID=3927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279A KR101128155B1 (ko) 2006-12-06 2007-12-03 냉매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71777A1 (ko)
JP (1) JP4735718B2 (ko)
KR (1) KR101128155B1 (ko)
CN (2) CN101196183B (ko)
WO (1) WO2008069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8355B2 (ja) * 2009-02-13 2013-11-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2011144719A (ja) * 2010-01-13 2011-07-28 Sanden Corp 圧縮機
SE535923C2 (sv) * 2011-04-29 2013-02-19 Scania Cv Ab Ljuddämparanordning och motorfordon innefattande en sådan ljuddämparanordning
JP5632334B2 (ja) * 2011-06-10 2014-11-26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の吸入マフラ
JP2013231429A (ja) * 2012-04-06 2013-11-14 Panasonic Corp 密閉型圧縮機
CN108915997A (zh) * 2018-08-24 2018-11-3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消声器、压缩机组件及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674A (en) 1993-04-24 1996-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ise attenuator of compressor
JP2000130147A (ja) * 1998-10-23 2000-05-09 Matsushita Refrig Co Ltd マフラー
US20020062657A1 (en) 2000-01-29 2002-05-30 Guenter Dittrich Refrigerant compressor
WO2006116830A1 (en) 2005-05-03 2006-11-09 Whirlpool S.A. Suction muffler for a refrigeration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180A (ja) * 1998-04-28 1999-11-09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電動圧縮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674A (en) 1993-04-24 1996-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ise attenuator of compressor
JP2000130147A (ja) * 1998-10-23 2000-05-09 Matsushita Refrig Co Ltd マフラー
US20020062657A1 (en) 2000-01-29 2002-05-30 Guenter Dittrich Refrigerant compressor
WO2006116830A1 (en) 2005-05-03 2006-11-09 Whirlpool S.A. Suction muffler for a refrigeration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23938A (ja) 2009-06-25
WO2008069334A1 (en) 2008-06-12
JP4735718B2 (ja) 2011-07-27
KR20080101923A (ko) 2008-11-21
CN101196183A (zh) 2008-06-11
CN201206540Y (zh) 2009-03-11
EP1971777A1 (en) 2008-09-24
CN101196183B (zh)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832B1 (ko) 냉동 압축기
KR101128155B1 (ko) 냉매 압축기
EP1700035B1 (en) Compressor
KR100538855B1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
JP4735084B2 (ja) 密閉型圧縮機
KR100254486B1 (ko) 밀폐형 압축기용 소음기와 이것을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
JP2009019570A (ja) 密閉型圧縮機
KR101206811B1 (ko) 밀폐형 압축기
JP4792675B2 (ja) 密閉型圧縮機
JP2014234768A (ja) 密閉型圧縮機
JP2004293464A (ja) 密閉型圧縮機
KR20030059614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변형 흡입 머플러
JP5386906B2 (ja) 冷媒圧縮機
KR100314058B1 (ko) 리니어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구조
KR10048656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맥동 및 소음 저감 장치
JP4569404B2 (ja) 圧縮機
KR100190137B1 (ko)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머플러
JP2016160758A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凍装置
JP2000145634A (ja) 密閉形電動圧縮機
KR200462290Y1 (ko) 밀폐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805

Effective date: 201202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