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413A - 회전 댐퍼 및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댐퍼 및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413A
KR20140011413A KR1020137034700A KR20137034700A KR20140011413A KR 20140011413 A KR20140011413 A KR 20140011413A KR 1020137034700 A KR1020137034700 A KR 1020137034700A KR 20137034700 A KR20137034700 A KR 20137034700A KR 20140011413 A KR20140011413 A KR 2014001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rotor
main body
cam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303B1 (ko
Inventor
가즈요시 오시마
겐 신무라
히데키 오가사와라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05D3/14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with at least one of the hinge part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6Braking devices structurally combined with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45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rotary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힌지 장치의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42) 사이에 회전 댐퍼 (8) 를 배치한다. 회전 댐퍼 (8) 의 댐퍼 본체 (81) 를 로터 (82) 에 대해 그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측판부 (42) 와 댐퍼 본체 (82) 사이에, 회전 캠판 (95) 및 가동 캠판 (96) 을 형성한다. 회전 캠판 (95) 은, 그 회전 위치에 따라 가동 캠판 (96) 을 로터 (82) 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나아가서는 댐퍼 본체 (81) 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댐퍼 본체 (81) 의 저면과 로터 (82) 의 좌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S1) 의 크기가 변화한다. 그 결과, 간극 (S1) 을 통과하는 유체에 대한 간극 (S1) 의 유통 저항이 변화하고, 로터 (82) 의 저속 회전시의 회전 속도가 조절된다.

Description

회전 댐퍼 및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ROTARY DAMPER AND HINGE DEVICE WITH DAMPER}
본 발명은, 회전 댐퍼 및 그 회전 댐퍼가 사용된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는,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에 장착되는 하우징측 장착 부재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측 장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측 장착 부재는, 하우징측 장착 부재에 제 1 및 제 2 링크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측 장착 부재를 하우징에 장착함과 함께, 도어측 장착 부재를 도어에 장착하면, 도어가 하우징에 힌지 장치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힌지 장치는 회전 댐퍼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회전 댐퍼는, 제 1 링크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억제하고, 그것에 의해 도어측 장착 부재 및 도어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억제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68592호
도어의 저속 회전시의 회전 속도는, 사용자마다 좋아하는 속도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는, 도어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억제한다는 댐퍼 효과가 일정 불변이기 때문에, 도어의 저속 회전시의 회전 속도를 각 사용자의 기호에 맞출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제 1 발명은, 수용부를 갖는 댐퍼 본체와, 이 댐퍼 본체의 수용부에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과 상기 로터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복수의 압력실로 구분되고, 각 압력실에 충전된 유체가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로터의 외면 사이의 간극을 통과할 때의 유통 저항에 의해 상기 로터의 회전 속도가 저속으로 억제되는 회전 댐퍼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와 상기 로터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댐퍼 본체와 상기 로터 중 어느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당해 일방의 타방에 대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 고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일방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일방을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일방이 상기 타방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일방과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배치된 캠 기구이고, 상기 캠 기구가, 상기 댐퍼 본체 및 상기 로터와 별체로 형성된 캠 부재를 갖고, 상기 캠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일방과의 대향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일방과의 대향면에는, 상기 일방에 맞닿아,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 기구가, 상기 댐퍼 본체, 상기 로터 및 상기 고정 부재와 별체로 형성된 제 2 캠 부재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캠 부재가, 상기 일방의 상기 캠 부재와의 대향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캠 부재의 상기 캠 부재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캠부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가,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캠 부재를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상기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2 발명은, 하우징측 장착 부재와, 이 하우징측 장착 부재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링크와, 이 제 1 및 제 2 링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측 장착 부재와, 상기 제 1 링크의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에 대한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억제하는 회전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댐퍼가, 수용부를 갖는 댐퍼 본체, 및 상기 댐퍼 본체의 수용부에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로터를 갖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과 상기 로터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복수의 압력실로 구분되고, 각 압력실에 충전된 유체가 상기 로터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로터의 외면 사이의 간극을 통과할 때의 유통 저항에 의해 상기 로터의 회전 속도가 저속으로 억제되는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와 상기 로터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댐퍼 본체와 상기 로터 중 어느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당해 일방의 타방에 대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회전 댐퍼가 그 회전축선을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부의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에 대한 회전 중심과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또는 제 1 링크와 상기 일방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일방을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또는 상기 제 1 링크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일방이 상기 타방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또는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일방 사이에 배치된 캠 기구이고, 상기 캠 기구가, 상기 댐퍼 본체 및 상기 로터와 별체로 형성된 캠 부재를 갖고, 상기 캠 부재가,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또는 상기 제 1 링크의 상기 일방과의 대향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 부재의 상기 일방과의 대향면에는, 상기 일방에 맞닿아,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 상기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제 1 및 제 2 측판부가 형성됨으로써 단면 (斷面)「コ」자상을 이루고,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부,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부, 상기 회전 댐퍼 및 상기 캠 부재가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의 제 1 측판부에는, 이것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작창공이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장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에는 조작편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편부를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의 외부로부터 조작하여 상기 캠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편부가 상기 조작창공에 그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 기구가, 상기 제 1 링크, 상기 댐퍼 본체 및 상기 로터와 별체로 형성된 제 2 캠 부재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캠 부재가, 상기 일방의 상기 캠 부재와의 대향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캠 부재의 상기 캠 부재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캠부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가,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캠 부재를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상기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 구성을 갖는 제 1 및 제 2 발명에 의하면, 위치 조절 수단에 의해 댐퍼 본체와 로터 중 어느 일방을 이동시켜 타방에 대해 위치 조절하면, 로터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수용부의 내면과 로터의 단면 사이의 간극이 대소로 변화한다. 이 결과, 유체에 대한 간극의 유통 저항이 변화하고, 나아가서는 댐퍼 기구의 댐퍼 효과가 변화한다. 따라서, 위치 조절 수단에 의해 댐퍼 본체와 로터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저속시의 회전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어측 장착 부재를 열림 위치에 회전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X 화살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Y 화살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Z 화살표도이다.
도 5 는, 동 실시형태를 도어측 장착 부재를 열림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동 실시형태의 기부 및 하우징측 장착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동 실시형태의 하우징측 장착 부재, 도어측 장착 부재 및 그들 사이에 형성되는 각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A-A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어측 장착 부재를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도 8 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0 은, 도어측 장착 부재를 닫힘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도 8 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 의 B-B 선을 따른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어측 장착 부재를 중간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도 11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어측 장착 부재를 닫힘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도 11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 의 C-C 선을 따른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어측 장착 부재를 중간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도 14 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어측 장착 부재를 닫힘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도 14 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2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9 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회전 댐퍼의 측면도이다.
도 20 은, 동 회전 댐퍼의 우측면도이다.
도 21 은, 동 회전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22 는, 동 회전 댐퍼를 로터가 폐회전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19 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 은, 동 회전 댐퍼를 로터가 열림 회전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22 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24 는, 댐퍼 본체가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22 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 는, 댐퍼 본체가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23 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 은, 댐퍼 본체가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22 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 은, 댐퍼 본체가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22 의 Y-Y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 은, 댐퍼 본체가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22 의 Y-Y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9 는, 도 2 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어측 장착 부재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8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31 은, 동 제 2 실시형태를 도어측 장착 부재가 소정의 제 1 중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8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32 는, 동 제 2 실시형태를 도어측 장착 부재가 소정의 제 2 중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8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33 은, 동 제 2 실시형태를 도어측 장착 부재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 8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3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비틀림 스프링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 은, 동 제 3 실시형태를 도 35 와 상이한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 은, 동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18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38 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외측 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 은, 동 제 4 실시형태를 도 39 와 상이한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29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1) 는, 도 1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 (2), 힌지 본체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내측 링크 (제 1 링크) (4), 외측 링크 (제 2 링크) (5), 컵 부재 (도어측 장착 부재) (6),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그리고 회전 댐퍼 (8) 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기부 (2) 는, 힌지 본체 (3) 를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 (도시 생략) 의 측벽부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21) 및 가동 플레이트 (22) 를 갖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21) 는, 하우징의 좌측벽부의 내면의 전단부, 요컨대 개구부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21) 는, 하우징의 우측벽부의 내면의 전단부에 장착해도 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우징의 전후 좌우 및 상하를 사용하여 힌지 장치 (1) 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의 전후 좌우 및 상하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물론, 힌지 장치 (1) 는 그와 같은 전후 좌우 및 상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 플레이트 (22) 는, 베이스 플레이트 (21) 에 대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축 (23) 을 회전시키면, 가동 플레이트 (22) 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고, 조절축 (24) 을 회전시키면, 가동 플레이트 (22) 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된다. 또, 조절 볼트 (25) 를 회전시키면, 가동 플레이트 (22) 의 전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된다.
가동 플레이트 (22) 의 전단부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 (22a)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 오목부 (22a) 는,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가동 플레이트 (22) 의 후단부에는, 걸어 맞춤 축 (22b) 이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하여 고정되어 있다.
힌지 본체 (3) 는, 도 6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측판부 (제 2, 제 1 측판부) (31, 32) 및 연결판부 (33) 를 갖고 있다. 1 쌍의 측판부 (31, 32) 는, 그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하여 하여, 또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연결판부 (33) 는, 1 쌍의 측판부 (31, 32) 의 장변부의 우측부 (도 6 에 있어서 상측의 측부)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힌지 본체 (3) 가 단면 「コ」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 본체 (3) 는, 그 개방부를 기부 (2) 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힌지 본체 (3) 의 내부에는 가동 플레이트 (22) 가 삽입되어 있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1, 32) 의 전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한 걸어 맞춤 축 (34) 의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축 (34) 은, 가동 플레이트 (22) 의 걸어 맞춤 오목부 (22a) 에 걸고 뺄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한편,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1, 32) 의 후단부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한 지지축 (35) 의 양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 (35) 에는, 걸어 맞춤 부재 (36) 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부재 (36) 는, 코일 스프링 (37) 에 의해 도 8 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탄성 지지되어 있다. 걸어 맞춤 부재 (36) 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 (36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 맞춤 오목부 (36a) 에는, 가동 플레이트 (22) 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어 맞춤 축 (22b) 이 걸고 뺄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걸어 맞춤 축 (34) 이 걸어 맞춤 오목부 (22a) 에 걸고 뺄 수 있게 삽입됨과 함께, 걸어 맞춤 부재 (36) 의 걸어 맞춤 오목부 (36a) 에 걸어 맞춤 축 (22b) 이 걸고 뺄 수 있게 삽입됨으로써, 힌지 본체 (3) 가 기부 (2)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나아가서는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힌지 본체 (3) 의 하우징에 대한 장착 구조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른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 힌지 본체 (3) 는, 하우징에 직접 고정시켜도 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측판부 (31, 32) 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직판부를 형성하고, 이 수직판부를 하우징의 좌우 어느 측판부 내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1, 32) 의 전단부에는, 내측 및 외측 링크 (4, 5) 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측판부 (31, 32) 의 전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한 추축 (J1, J2) 의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편, 내측 링크 (4) 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 1 쌍의 측판부 (41, 42) 와, 이 1 쌍의 측판부 (41, 42) 의 장변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부 (43)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판부 (41, 42) 의 일단부는, 측판부 (31, 32)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측판부 (31, 32) 에 추축 (J1) 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내측 링크 (4) 의 일단부가 힌지 본체 (3) 의 전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외측 링크 (5) 는, 상하로 대향한 1 쌍의 측판부 (51, 52) 와, 이 1 쌍의 측판부 (51, 52) 의 장변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부 (53)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판부 (51, 52) 의 일단부는, 측판부 (31, 32)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측판부 (31, 32) 에 추축 (J2) 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외측 링크 (5) 의 일단부가 힌지 본체 (3) 의 전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컵 부재 (6) 는, 도어 (도시 생략) 의 배면, 요컨대 도어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 하우징의 전면과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컵 부재 (6) 에는, 대략 「U」자상을 이루는 연결 부재 (61) 가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 (61) 는, 서로 평행한 1 쌍의 축부 (62, 63) 를 갖고 있다. 1 쌍의 축부 (62, 63) 는,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축부 (62, 63) 는, 추축 (J1, J2) 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42) 의 타단부는, 컵 부재 (6) 에 축부 (62) 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외측 링크 (5) 의 측판부 (51, 52) 의 타단부는, 컵 부재 (6) 에 축부 (63) 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컵 부재 (6) 가 힌지 본체 (3) 에 내측 및 외측 링크 (4, 5) 를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아가서는 도어가 하우징에 힌지 장치 (1) 를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컵 부재 (6) 는, 힌지 본체 (3) 에 도 10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와, 도 8 및 도 11 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컵 부재 (6) 의 닫힘 위치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링크 (5) 의 연결판부 (53) 가 컵 부재 (6) 의 저부 (6a) 에 맞닿음으로써 결정되고 있다. 단, 컵 부재 (6) 는, 힌지 장치 (1) 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닫힘 위치에 이르는 경우가 없다. 이것은, 외측 링크 (5) 가 컵 부재 (6) 에 맞닿기 전에, 도어가 하우징의 전면에 맞닿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하에 있어서는, 도어가 하우징의 전면에 맞닿았을 때의 컵 부재 (6) 및 도어의 위치를 닫힘 위치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컵 부재 (6) 의 열림 위치는,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42) 가 컵 부재 (6) 에 맞닿음으로써 결정되고 있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1, 32) 에는,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한 지지축 (J3) 의 양 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 (J3) 은, 추축 (J1, J2) 보다 약간 후방, 또한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축 (J3) 에는, 단면 사각형의 선재를 권회함으로써 구성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 의 코일부 (71) 가 외삽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코일부 (71) 의 양 단부에는, 돌출부 (72, 73)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72, 73) 는, 코일부 (71) 를 구성하는 선재의 일단부와 타단부로, 코일부 (71) 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일방의 돌출부 (일단부) (72) 는, 도 11 ∼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부재 (91) 를 개재하여 내측 링크 (4) 의 일방의 측판부 (41) 에 맞닿고 있다. 캠 부재 (91) 는, 평판상을 이루고 있고,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1) 와 코일 스프링 (7) 의 코일부 (7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캠 부재 (91) 에는, 지지축 (J3) 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요컨대, 캠 부재 (91) 는, 지지축 (J3)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부재 (91) 와 돌출부 (72) 의 대향면에는, 1 쌍의 돌출부 (91c, 91d) 가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1 쌍의 돌출부 (91c, 91d)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돌출부 (72) 가 코일부 (71)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결과, 캠 부재 (91) 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에 의해 지지축 (J3)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탄성 지지되어 있다.
캠 부재 (91) 의 전단부 중 측판부 (41) 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캠면 (91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면 (91a) 과 대향하는 측판부 (41) 에는, 캠면 (41a) 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 (91a, 41a) 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에 의해 서로 맞닿고 있다. 따라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회전 탄성 지지력은, 캠면 (91a, 41a) 을 개재하여 내측 링크 (4) 에 작용한다. 이 경우, 내측 링크 (4) 에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 (7) 의 회전 탄성 지지력은, 컵 부재 (6) 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작용하지 않고 (회전 탄성 지지력이 제로), 컵 부재 (6) 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측으로 이간되면, 컵 부재 (6) 를 닫힘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게다가, 내측 링크 (4) 에 대한 회전 탄성 지지력은, 컵 부재가 닫힘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증대한다. 내측 링크 (4) 에 이와 같은 회전 탄성 지지력이 작용하도록, 캠면 (91a, 41a) 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캠면 (91a, 41a) 은, 내측 링크 (4)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의 작용 양태가 상기와 상이한 양태가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 (72) 를 내측 링크 (4) 에 캠 부재 (91) 를 개재하여 접촉시킨 경우에는, 돌출부 (72) 를 내측 링크 (4) 에 직접 접촉시키는 경우에 비해, 내측 링크 (4)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의 작용 양태의 자유도를 대폭 넓힐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은, 컵 부재 (6) 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를 제외하고, 내측 링크 (4) 를 추축 (J1) 을 중심으로 하여 도 11 ∼ 도 13 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탄성 지지하고, 나아가서는 컵 부재 (6) 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향하는 방향 (이하, 닫힘 방향이라고 한다) 으로 회전 탄성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컵 부재 (6) 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측으로 약간의 각도, 예를 들어 5 ∼ 10 °만큼 회전시키면, 그 후에는 컵 부재 (6) 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에 의해 닫힘 위치까지 회전됨과 함께, 닫힘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컵 부재 (6) 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캠면 (91a, 41a) 의 접촉부에 세운 법선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회전 탄성 지지력의 내측 링크 (4) 에 대한 작용선) 이 추축 (J1) 의 축선과 직교한다. 따라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회전 탄성 지지력에 의해 내측 링크 (4) 가 회전 탄성 지지되는 경우가 없는 것이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내측 링크 (4) 에 대한 탄성 지지 양태는, 반드시 이와 같이 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컵 부재 (6) 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의 대략 중앙의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만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회전 탄성 지지력이 내측 링크 (4) 에 작용하고, 컵 부재 (6) 가 중앙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회전 탄성 지지력이 내측 링크 (4) 에 작용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주지의 힌지 장치와 같이, 컵 부재 (6) 가 닫힘 위치와 소정의 중립 위치 (사안 (思案)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이 컵 부재 (6) 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내측 링크 (4) 를 회전 탄성 지지하고, 컵 부재 (6) 가 중립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이 컵 부재 (6) 를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향하는 방향 (이하, 열림 방향이라고 한다) 으로 회전하도록 내측 링크 (4) 를 회전 탄성 지지해도 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타방의 돌출부 (타단부) (73) 는, 도 14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링크 (5) 에 직접 맞닿고 있다. 이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은, 컵 부재 (6) 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를 제외하고, 외측 링크 (5) 를 추축 (J2) 을 중심으로 하여 도 14 ∼ 도 16 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탄성 지지하고, 나아가서는 컵 부재 (6) 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 탄성 지지하고 있다. 컵 부재 (6) 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돌출부 (73) 와 외측 링크 (5) 의 접촉부에 세운 법선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회전 탄성 지지력의 외측 링크 (5) 에 대한 작용선) 이 추축 (J2) 의 축선과 직교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회전 탄성 지지력에 의해 외측 링크 (5) 가 회전 탄성 지지되는 경우는 없다.
여기서, 일방의 돌출부 (72) 가 캠 부재 (91) 를 개재하여 내측 링크 (4) 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력의 크기와 타방의 돌출부 (73) 가 외측 링크 (5) 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력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내측 링크 (4)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 (회전 모멘트) 의 크기와 외측 링크 (5)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의 크기는, 각 링크 (4, 5) 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는 동일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회전 위치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크기이다. 그리고, 각 링크 (4, 5)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에 의해 컵 부재 (6) 가 회전 탄성 지지 된다. 따라서, 컵 부재 (6)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을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하기 위해서는, 각 링크 (4, 5)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을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각 돌출부 (72, 73) 가 모두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링크 (4, 5)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을 적절히 조정하여, 컵 부재 (6)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을 원하는 크기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점, 이 힌지 장치 (1) 에서는, 돌출부 (72) 를 내측 링크 (4) 에 캠 부재 (91) 를 개재하여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외측 링크 (5)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을 고려하여 캠 부재 (91) 의 캠면 (91a) 의 형상을 설계함으로써, 컵 부재 (6) 에 작용하는 회전 탄성 지지력을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일방의 돌출부 (72) 를 캠 부재 (91) 를 개재하여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에 맞닿게 하고 있지만, 돌출부 (72) 는, 측판부 (41) 에 직접 맞닿게 해도 된다. 또, 돌출부 (72) 는, 연결판부 (43) 의 측판부 (41) 에 인접하는 지점에 직접 또는 캠 부재를 개재하여 맞닿게 해도 된다. 타방의 돌출부 (73) 에 대해서는, 외측 링크 (5) 의 측판부 (52) 에 캠 부재를 개재하여 맞닿게 해도 된다. 또, 돌출부 (73) 는, 연결판부 (53) 의 측판부 (52) 에 인접하는 지점에 맞닿게 해도 된다. 또한, 돌출부 (73) 는, 힌지 본체 (3) 의 연결판부 (33) 에 맞닿게 해도 된다.
캠 부재 (91) 의 코일부 (71) 와의 대향면에는, 도 7 및 도 11 ∼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 (91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부 (91b) 에는, 지지축 (J3) 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통부 (91b) 의 외경은, 코일부 (71) 의 내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설정되어 있고, 통부 (91b) 는, 코일부 (71) 의 일단부에 약간의 간극을 갖고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결과, 코일부 (71) 의 일단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비틀림에 수반하는 확대 수축 직경이 저해되지 않고, 통부 (91b) 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2) 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사이에는, 도 7 및 도 14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92) 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 (92) 는, 지지축 (J3)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스페이서 (92) 의 돌출부 (73) 와의 대향면에는, 1 쌍의 돌출부 (92a, 92a) 가 서로 이간되어 배치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돌출부 (92a, 92a) 사이에는, 돌출부 (73) 가 코일부 (71)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 (92) 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돌출부 (73) 와 함께 회전한다. 또, 스페이서 (92) 의 코일부 (71) 와의 대향면에는, 통부 (9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부 (92b) 에는, 지지축 (J3) 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통부 (92b) 의 외경은, 코일부 (71) 의 내경보다 약간 소경이고, 통부 (92b) 는 코일부 (71) 의 타단부에 약간의 간극을 갖고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결과, 코일부 (71) 의 타단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비틀림에 수반하는 확대 수축 직경이 저해되지 않고, 통부 (92b) 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일방의 돌출부 (72) 는, 내측 링크 (4) 에 대해 그 일방의 측판부 (41) 에 있어서만 접촉하고, 타방의 돌출부 (73) 는, 외측 링크 (5) 에 대해 그 일방의 측판부 (52) 에 있어서만 접촉하고 있다. 요컨대, 내측 링크 (4) 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에 의해 일방의 측판부 (41) 만이 탄성 지지되고, 외측 링크 (5) 는, 타방의 측판부 (52) 만이 탄성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 및 외측 링크 (4, 5) 는 일정한 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어 (컵 부재 (6)) 의 개폐 회전시에 내측 및 외측 링크 (4, 5) 가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돌출부 (72, 73) 를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42) 에 각각 접촉시켜 내측 링크 (4) 만을 회전 탄성 지지하거나, 혹은 외측 링크 (5) 의 측판부 (51, 52) 에 각각 접촉시켜 외측 링크 (5) 만을 회전 탄성 지지하고, 그것에 의해 컵 부재 (6) 를 회전 탄성 지지할 수도 있다. 또, 주지의 힌지 장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23055호 참조) 와 같이, 2 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그 축선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양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간된 각 일단부를, 일방의 링크의 양 측부에 각각 접촉시킴과 함께, 양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서로 인접하는 각 타단부를 타방의 링크의 중앙부에 접촉시킴으로써, 각 링크를 각각 회전 탄성 지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탄성 지지 양태를 채용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각 링크에 대한 탄성 지지력이 각 링크의 일측부와 타측부 (각 링크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부와 타측부) 에서 균형잡히기 때문에, 컵 부재에 대한 부하의 작용 상황에 따라서는, 각 링크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힌지 본체의 양 측판부와 추축 사이의 치수 오차에 기초하는 간극, 및 각 링크의 양 측판부와 추축 사이의 치수 오차에 기초하는 간극의 분만큼 이동하고, 각 링크가 요동치듯이 덜컹거린다. 그 결과, 도어의 개폐 회전시에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점, 이 힌지 장치 (1) 에 있어서는, 내측 링크 (4) 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은, 추축 (J1)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부인 측판부 (41) 뿐으로, 타방의 측판부 (42) 가 탄성 지지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내측 링크 (4) 는 일정한 자세로 유지되어, 요동치듯이 덜컹거리는 경우가 없다. 마찬가지로, 외측 링크 (5) 는, 추축 (J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부인 측판부 (52) 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에 의해 탄성 지지될 뿐으로, 측판부 (51) 가 탄성 지지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외측 링크 (5) 도 일정한 자세로 유지되어, 요동치듯이 덜컹거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 회전시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42) 사이에는, 회전 댐퍼 (8) 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댐퍼 (8) 는, 도어 및 컵 부재 (6) 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내측 링크 (4) 및 외측 링크 (5) 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도어 및 컵 부재 (6) 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도 7 및 도 17 ∼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본체 (81) 및 로터 (82) 를 갖고 있다.
댐퍼 본체 (81) 는, 도 24 ∼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부가 저부 (81a) 에 의해 닫힌 바닥이 있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고, 그 내부가 수용부 (81A) 로 되어 있다. 댐퍼 본체 (81) 는, 그 개구부를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와 대향시킨 상태로 측판부 (41, 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댐퍼 본체 (81) 는, 그 축선을 추축 (J1) 의 축선과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다. 저부 (81a) 의 중앙부에는 관통공 (81b)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81b) 은, 그 축선을 추축 (J1) 의 축선과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다.
로터 (82) 는,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형성된 대경부 (82a) 와 소경부 (82b) 를 갖고 있다. 대경부 (82a) 는,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의 개구부측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한편, 소경부 (82b) 는, 관통공 (81b) 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로써, 댐퍼 본체 (81) 와 로터 (82) 가 그들의 축선 (추축 (J1) 의 축선) 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 (82) 의 중앙부에는, 그 축선 상을 로터 (82) 의 일단면에서 타단면까지 관통하는 지지공 (支持孔) (82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공 (82d) 에는, 추축 (J1) 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로써, 로터 (82) 가 힌지 본체 (3) 에 추축 (J1)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나아가서는 회전 댐퍼 (8) 가 힌지 본체 (3)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 댐퍼 (8) 는, 추축 (J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켜도 된다. 그 경우에는, 회전 댐퍼 (8) 가 외측 링크 (5) 의 측판부 (51, 52)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 댐퍼 (8) 는, 추축 (J1, J2) 과 평행하고 그것과 상이한 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켜도 된다. 그 경우에는, 회전 댐퍼 (8) 가 내측 링크 (4) 및 외측 링크 (5) 에 대해 그 외측에 배치된다.
도 7, 도 8 및 도 19 ∼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본체 (81) 의 외주면에는, 2 개의 톱니 (외부 기어부) (81c, 81d) 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2 개의 톱니 (81c, 81d) 는, 댐퍼 본체 (81) 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기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7 ∼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축 (J2) 에는, 기어 부재 (93) 가 회전 가능하게 외삽되어 있다. 기어 부재 (93) 는, 외측 링크 (5) 의 측판부 (51, 51)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외측 링크 (5) 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 부재 (93) 는, 추축 (J2) 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 링크 (5) 와 함께 회전한다.
기어 부재 (93) 에는 1 개의 톱니 (9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톱니 (93a) 는, 댐퍼 본체 (81) 에 형성된 톱니 (81c, 81d) 와 맞물릴 수 있고, 컵 부재 (6) 가 닫힘 위치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만큼 이간된 맞물림 개시 위치 사이의 맞물림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 (81c, 81d) 사이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컵 부재 (6) 가 서로 맞물림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톱니 (93a) 가 톱니 (81c, 81d) 와 맞물려, 댐퍼 본체 (81) 를 외측 링크 (5)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시킨다. 이 경우, 컵 부재 (6) 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톱니 (93a) 가 톱니 (81c) 와 맞물려, 댐퍼 본체 (81) 를 도 10 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컵 부재 (6) 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톱니 (93a) 가 톱니 (81d) 와 맞물려, 댐퍼 본체 (81) 를 도 10 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기어 부재 (93) 및 그 톱니 (93a) 와 맞물리는 톱니 (81c, 81d) 에 의해 외측 링크 (5) 의 회전을 댐퍼 본체 (81) 에 전달하기 위한 제 2 회전 전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댐퍼 (8) 가 추축 (J2) 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기어 부재 (93) 가 추축 (J1) 에 형성되고, 내측 링크 (4) 와 일체로 회전된다.
기어 부재 (93) 의 톱니 (93a) 는, 컵 부재 (6) 가 맞물림 개시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요컨대 맞물림 범위 외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톱니 (81c, 81d) 사이로부터 빠져 나와 있어, 그것들과 맞물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그 때에는, 댐퍼 본체 (81) 가 기어 부재 (93) 나아가서는 외측 링크 (5) 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단, 그 경우에 있어서도 댐퍼 본체 (81) 는, 단독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경우는 없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터 (82) 와 일체로 회전한다.
도 19 ∼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82) 의 대경부 (82a) 의 측판부 (41) 와 대향하는 단면에는, 복수 (이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의 돌기 (8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돌기 (82c) 는, 로터 (82) 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1 개의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 돌기 (82c) 는, 직경이 상이한 원주 상에 배치해도 된다. 또, 돌기 (82c) 는 1 개만 형성해도 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의 대경부 (82a) 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돌기 (82c) 와 동일한 수의 구멍 (41b) 이 형성되어 있다. 각 41b 에는 돌기 (82c) 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로터 (82) 가 내측 링크 (4) 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 (82) 는, 컵 부재 (6) 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도 22 및 도 23 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컵 부재 (6) 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도 22 및 도 23 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구멍 (41b) 과 돌기 (82c) 에 의해, 로터 (82) 를 추축 (J1) 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 링크 (4) 의 일단부와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걸림 기구 (제 1 회전 전달 기구) 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컵 부재 (6) 가 맞물림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내측 링크 (4) 의 일단부의 추축 (J1) 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과, 외측 링크 (5) 의 일단부의 추축 (J2) 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은 동일 방향이지만, 외측 링크 (5) 의 회전이 댐퍼 본체 (81) 에 기어 부재 (93) 를 개재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댐퍼 본체 (81) 와 로터 (82) 의 회전 방향은 서로 역방향이 된다. 따라서, 댐퍼 본체 (81) 와 로터 (82) 사이의 상대 회전 속도는, 예를 들어 그들 중 어느 일방을 힌지 본체 (3) 에 회전 불가능하게 형성하여, 타방만을 회전시킨 경우에 비해 고속이 된다.
또한, 댐퍼 본체 (81) 및 로터 (82) 와 내측 및 외측 링크 (4, 5) 의 각 사이의 회전 전달 기구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 본체 (81) 의 저부 (81a) 의 외측의 단면, 요컨대 측판부 (42) 와 대향하는 단면에 상기 돌기 (82c) 에 상당하는 돌기를 형성함과 함께, 측판부 (42) 에 구멍 (41b) 에 상당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구멍에 돌기를 삽입함으로써, 댐퍼 본체 (81) 를 내측 링크 (4) 와 일체로 회전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로터 (82) 의 댐퍼 본체 (81) 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 톱니 (81c, 81d) 에 대응하는 톱니를 형성하고, 그 톱니에 기어 부재 (93) 의 톱니 (93a) 를 맞물리게 한다. 이와 같은 변형은, 회전 댐퍼 (8) 를 추축 (J2) 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의 개구부측의 단부에 로터 (82) 의 대경부 (82a) 가 끼워 맞추어지고, 저부 (81a) 의 관통공 (81b) 에 소경부 (82b) 가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과 소경부 (82b) 의 외주면 사이에는, 댐퍼 본체 (81) 의 저부 (81a) 와 로터 (82) 의 대경부 (82a) 에 의해 양 단부가 닫힌 고리상의 공간 (8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 (83) 은,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과 대경부 (82a) 의 외주면 사이가 O 링 등의 시일 부재 (84) 에 의해 봉지됨과 함께, 관통공 (81b) 의 내주면과 소경부 (82b) 의 외주면 사이가 O 링 등의 시일 부재 (85) 에 의해 봉지됨으로써, 외부에 대해 밀봉되어 있다. 공간 (83) 에는 유체가 충전되어 있다. 이 유체로는, 점성 유체 등의 주지의 회전 댐퍼에 있어서 사용되는 각종 유체를 채용할 수 있다.
로터 (82) 의 대경부 (82a) 및 소경부 (82b) 는, 각각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 및 관통공 (81b) 의 내주면에 댐퍼 본체 (81) 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댐퍼 본체 (81) 와 로터 (82) 는, 그들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동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로터 (82) 가 위치 고정되고, 댐퍼 본체 (81) 가 로터 (82) 에 대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댐퍼 본체 (82) 를 위치 고정시키고, 로터 (82) 를 댐퍼 본체 (81) 에 대해 이동시켜도 되고, 양자를 서로 이동시켜도 된다. 댐퍼 본체 (81) 는, 도 24 도 25 및 도 27 에 나타내는 제 1 위치와 도 26 및 도 28 에 나타내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단,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거리 (이하, 이간 거리라고 한다) 는 미소하고, 예를 들어 0.1 ∼ 0.2 ㎜ 정도로 설정된다.
도 22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의 공간 (83) 에 면하는 부분에는, 1 쌍의 격벽부 (81e, 81f) 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부 (81e, 81f) 는, 댐퍼 본체 (81) 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180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격벽부 (81e, 81f) 는, 댐퍼 본체 (81)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격벽부 (81e, 81f) 의 일단부는, 저부 (81a)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격벽부 (81e, 81f) 는, 저부 (81a) 로부터 개구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격벽부 (81e, 81f) 의 길이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본체 (81) 가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저부 (81a) 와 대경부 (82a)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댐퍼 본체 (81) 가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격벽부 (81e, 81f) 의 개구부측의 단면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로터 (82) 의 대경부 (82a) 의 단면 (외면) 과 대향하는 수용부 (81A) 의 내면 ; 이하, 선단면이라고 한다) 이 대경부 (82a) 에 접촉한다. 그러나, 댐퍼 본체 (81) 가 제 2 위치에 위치하면,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부 (81e, 81f) 의 선단면이 대경부 (82a) 로부터 이간 거리의 분만큼 이간된다.
도 22 ∼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82) 의 소경부 (82b) 의 공간 (83) 에 면하는 부분에는, 1 쌍의 돌조 (突條) (82e, 82f) 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 (82e, 82f) 는, 로터 (82) 의 둘레 방향 (댐퍼 본체 (81) 의 둘레 방향) 으로 서로 180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돌조 (82e, 82f) 는, 각각 격벽부 (81e, 81f)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조 (82e, 82f) 는, 로터 (82) 의 축선 방향 (댐퍼 본체 (81)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조 (82e, 82f) 의 일단부는, 대경부 (82a)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돌조 (82e, 82f) 는, 대경부 (82a) 로부터 저부 (81a)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돌조 (82e, 82f) 의 길이는, 격벽부 (81e, 81f) 의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댐퍼 본체 (81) 가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 (82e, 82f) 의 저부 (81a) 측의 단면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 (81A) 의 저부 (81a) 의 저면 (내면) 과 대향하는 외면 ; 이하, 선단면이라고 한다) 이 저부 (81a) 에 접촉한다. 그러나, 댐퍼 본체 (81) 가 제 2 위치에 위치하면,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 (82e, 82f) 의 선단면이 저부 (81a) 로부터 이간 거리만큼 이간된다.
도 22, 도 24, 도 27 및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부 (81e, 81f) 의 내측의 단면, 요컨대 댐퍼 본체 (81)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하는 격벽부 (81e, 81f) 의 단면은, 소경부 (82b) 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한편, 돌조 (82e, 82f) 의 외측의 단면, 요컨대 로터 (8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돌조 (82e, 82f) 의 단면은, 도 24 ∼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이 결과, 공간 (83) 이 격벽부 (81e, 81f) 및 돌조 (82e, 82f) 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열된 4 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다. 4 개의 공간 중, 격벽부 (81e) 와 돌조 (82e) 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 및 격벽부 (81f) 와 돌조 (82f) 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을 고압실 (압력실) (83A) 이라고 칭하고, 격벽부 (81e) 와 돌조 (82f) 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 및 격벽부 (81f) 와 돌조 (82e) 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을 저압실 (압력실) (83B) 이라고 칭한다.
도 22 ∼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 (82e, 82f) 에는 오목부 (82g, 82h)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고압실 (83A) 과 저압실 (83B) 은, 오목부 (82g) 를 개재하여 연통되고, 타방의 고압실 (83A) 과 저압실 (83B) 은, 오목부 (82h) 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각 오목부 (82g, 82h) 는, 밸브체 (85A, 85B) 에 의해 개폐된다.
즉, 도 22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 (83) 에 면하는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에는, 댐퍼 본체 (81)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밸브체 (85A, 85B) 의 외측 부분이 소정의 가압력을 갖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한 봉지 상태로 접촉되어 있다. 밸브체 (85A, 85B) 의 내측 부분에는, 로터 (82) 의 돌조 (82e, 82f) 가 각각 둘레 방향으로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부재 (6) 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댐퍼 본체 (81) 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로터 (82) 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오목부 (82g, 82h) 가 밸브체 (85A, 85B) 에 의해 각각 닫힌다. 이 결과, 고압실 (83A) 내의 유체는, 오목부 (82g, 82h) 를 통과하지 못하고, 저부 (81a) 와 돌조 (82e, 82f) 의 선단면 사이의 약간의 간극 (S1) (도 26 참조), 및 대경부 (82a) 와 격벽부 (81e, 81f) 의 선단면 사이의 약간의 간극 (S2) (도 28 참조) 을 통과하여 저압실 (83B) 로 유입된다. 이 때, 돌조 (82e, 82f) 의 선단면과의 사이의 간극 (S1), 및 대경부 (82a) 와 격벽부 (81e, 81f) 의 선단면 사이의 간극 (S2) 은, 유체의 유통에 대해 저항하는 일종의 오리피스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댐퍼 본체 (81) 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회전 및 로터 (82) 의 화살표 B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속으로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컵 부재 (6) 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속으로 억제된다.
또한, 컵 부재 (6) 가 맞물림 범위 외에 있어서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댐퍼 본체 (81) 가 외측 링크 (5) 의 회전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경우가 없다. 그 때에는, 댐퍼 본체 (81) 가, 격벽부 (81e, 81f) 와 소경부 (82b) 사이의 마찰 저항, 돌조 (82e, 82f) 와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 저항, 및 밸브체 (85A, 85B) 와 댐퍼 본체 (81) 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 저항에 의해 로터 (82) 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 댐퍼 (81) 는 댐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경우가 없다.
컵 부재 (6) 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댐퍼 본체 (81) 가 도 22 및 도 23 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터 (82) 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에는, 도 23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85A, 85B) 가 오목부 (82g, 82h) 전체를 닫지 않고, 오목부 (82g, 82h) 의 일부를 개방한다. 따라서, 각 저압실 (83B, 83B) 내의 유체는, 각각 개방된 오목부 (82g, 82h) 의 일부를 통과하여 고압실 (83A, 83A) 로 유입된다. 여기서, 개방된 오목부 (82g, 82h) 의 일부는, 저압실 (83B) 내의 유체를 고압실 (83A) 측으로 거의 저항 없이 흐르게 하기에 충분한 유통 면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댐퍼 본체 (81) 및 로터 (82) 는 거의 저항 없이 회전할 수 있고, 컵 부재 (6) 는 열림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힌지 장치에 사용되는 회전 댐퍼로는, 상기 구성의 회전 댐퍼 (8)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측 링크 (4) 및/또는 외측 링크 (5) 의 회전을 저속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주지의 다른 구조를 갖는 회전 댐퍼를 채용해도 된다. 단, 상기 간극 (S1, S2) 중 적어도 일방을 갖는 것이 필수이다.
회전 댐퍼 (8) 의 댐퍼 효과의 크기, 요컨대 컵 부재 (6) 가 맞물림 범위 내에 있어서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 댐퍼 본체 (81) 및 로터 (82) 의 회전을 저속으로 억제하는 댐퍼 효과의 크기는, 댐퍼 본체 (81) 를 로터 (82) 에 대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 있어서 적절한 위치로 위치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2) 와 댐퍼 본체 (81) 의 저부 (81a) 사이에는,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조절 기구 (위치 조절 수단) 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7 및 도 14 ∼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고정 부재) (42) 와 댐퍼 본체 (81) 의 저부 (81a) 사이에는, 회전 캠판 (캠 부재) (95) 및 가동 캠판 (제 2 캠 부재) (96) 이 측판부 (42) 측으로부터 댐퍼 본체 (81) 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 캠판 (95) 은, 특히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부 (41) 와 대향하는 측판부 (42) 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고, 추축 (J1)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회전 캠판 (95) 의 외주부에는, 아암부 (95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부 (95a) 는, 추축 (J1)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 (95a) 의 선단부에는, 측판부 (42)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조작편부 (95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편부 (95b) 는, 측판부 (42) 를 통과하고, 또한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2) 에 형성된 조작창공 (32a) (도 2 참조) 을 관통하여 외부에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편부 (95b) 는, 힌지 장치 (1) 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하다.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창공 (32a) 은, 추축 (J1) 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편부 (95b) 를 조작창공 (32a) 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캠판 (95) 을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편부 (95b) 는, 아암부 (95a) 의 탄성에 의해 조작창공 (32a) 의 내주면 중 대경측의 내주면에 가압 접촉되어 있다. 조작창공 (32a) 의 대경측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 (32b)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창공 (32a) 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조작편부 (95b) 의 외면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 (32b) 에 걸고 뺄 수 있게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 맞춤 볼록부 (95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볼록부 (95c) 가 아암부 (95a) 의 탄성력에 의해 걸어 맞춤 오목부 (32b) 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조작편부 (95b) 가 소정의 크기의 힘으로 위치 결정되고, 나아가서는 회전 캠판 (95) 의 회전 위치가 결정되고 있다. 물론, 조작편부 (95b) 를 아암부 (95a)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조작창공 (32a) 의 소경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 맞춤 볼록부 (95c) 의 걸어 맞춤 오목부 (32b) 에 대한 걸어 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작편부 (95b) 를 조작창공 (32a) 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캠판 (95) 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후, 조작편부 (95b) 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하면, 조작편부 (95b) 가 아암부 (95a) 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창공 (32b) 의 대경측의 내주면에 눌려, 걸어 맞춤 볼록부 (95c) 가 걸어 맞춤 오목부 (32b) 에 걸어 맞추어진다. 이로써, 회전 캠판 (95) 이 그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가동 캠판 (96) 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방의 면이 회전 캠판 (95) 과 대향하고, 타방의 면이 댐퍼 본체 (81) 의 저부 (81a) 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가동 캠판 (96) 에는, 추축 (J1) 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단, 가동 캠판 (96) 은, 걸어 맞춤 축 (34) 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로써, 가동 캠판 (96) 은, 추축 (J1) 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가동 캠판 (96) 은, 추축 (J1) 및 걸어 맞춤 축 (34) 에 대해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캠판 (96) 은, 회전 캠판 (95) 에 대해 접근 이간 이동 가능하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캠판 (95) 의 가동 캠판 (96) 과의 대향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면 (캠부) (95d)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 캠판 (96) 의 회전 캠판 (95) 과의 대향면에는, 캠면 (95d) 과 동일한 수의 캠면 (맞닿음부) (96a)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캠면 (95d) 과 각 캠면 (96a) 은 서로 접촉되어 있고, 회전 캠판 (95) 과 가동 캠판 (96) 은, 캠면 (95d) 및 캠면 (96a) 이외의 지점에 있어서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
서로 접촉하는 캠면 (95d, 96a) 은, 회전 캠판 (95) 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가동 캠판 (96) 을 회전 캠판 (95) 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이동시키고, 댐퍼 본체 (81) 를 제 2 위치측으로부터 제 1 위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저부 (81a) 와 돌조 (82e, 82f) 사이의 간극 (S1), 및 대경부 (82a) 와 격벽부 (81e, 81f) 사이의 간극 (S2) 이 작아지고, 그들의 간극 (S1, S2) 을 흐르는 유체에 대한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회전 댐퍼 (8) 의 댐퍼 효과가 커진다.
반대로, 회전 캠면 (95) 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캠면 (95d, 96a) 은, 가동 캠판 (96) 이 회전 캠판 (95) 에 접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면, 댐퍼 본체 (81) 가 공간 (83) 내의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동 캠판 (96) 이 제 1 위치측으로부터 제 2 위치측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저부 (81a) 와 돌조 (82e, 82f) 사이의 간극 (S1), 및 대경부 (82a) 와 격벽부 (81e, 81f) 사이의 간극 (S2) 이 커지고, 그들 간극 (S1, S2) 을 흐르는 유체에 대한 저항이 작아진다. 따라서, 회전 댐퍼 (8) 의 댐퍼 효과가 작아진다.
상기 내용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 힌지 장치 (1) 에 있어서는, 회전 캠판 (95), 가동 캠판 (96) 및 공간 (83) 내에 충전된 유체에 의해 힌지 본체 (81) 를 로터 (82) 에 대해 이동시켜 위치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기구 (위치 조절 수단) 가 구성되어 있다. 위치 조절 기구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캠판 (95) 과 가동 캠판 (96) 사이에 확동 (確動) 캠 기구를 형성하고, 회전 캠판 (95) 의 회전에 의해 가동 캠판 (96) 을 회전 캠판 (95) 에 대해 접근 이간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가동 캠 (96) 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는, 공간 (83) 내의 유체가 불필요하다. 또, 캠면 (96a) 에 대해서는, 이 대신에 캠면 (95d) 에 맞닿는 돌출부 (맞닿음부) 를 형성해도 된다.
회전 댐퍼 (8), 회전 캠판 (95) 및 가동 캠판 (96) 은, 다음과 같이 하여 댐퍼 본체 (3) 에 장착할 수 있다. 먼저, 댐퍼 본체 (3) 의 측판부 (31, 32) 사이에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42) 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측판부 (41, 42) 사이에 회전 댐퍼 (8) 를 삽입한다. 그리고, 회전 댐퍼 (8) 를 측판부 (42) 측으로부터 측판부 (41) 측으로 이동시키고, 돌기 (82c) 를 구멍 (41b) 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회전 댐퍼 (8) 의 댐퍼 본체 (81) 와 측판부 (42) 사이에 회전 캠판 (95) 을 삽입하고, 회전 캠판 (95) 의 조작편부 (95b) 를 조작창공 (32a) 에 삽입한다. 그 후, 회전 캠판 (95) 과 댐퍼 본체 (81) 사이에 가동 캠판 (96) 을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측판부 (31), 측판부 (41), 지지공 (82d), 가동 캠판 (96), 회전 캠판 (95), 측판부 (42), 및 측판부 (32) 에 추축 (J1) 을 삽입 통과시킨다.
상기 구성의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1) 에 있어서, 컵 부재 (6) 및 도어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내측 링크 (4) 의 회전 속도가 회전 댐퍼 (8) 에 의해 저속으로 억제된다. 여기서, 조작편부 (95b) 를 회전 조작하여 회전 캠판 (95) 를 회전시키면, 댐퍼 본체 (81) 가 로터 (82) 에 대해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만큼 간극 (S1, S2) 의 치수가 변화한다. 그 결과, 간극 (S1, S2) 의 유체에 대한 저항이 변화하고, 회전 댐퍼 (8) 의 댐퍼 효과가 변화한다. 이로써, 내측 링크 (4) 의 저속 회전시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30 ∼ 도 3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1′) 에 있어서는, 외측 링크 (5) 의 회전을 댐퍼 본체 (81) 에 전달하기 위한 제 2 회전 전달 기구로서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한 것이 채용되어 있다. 즉, 댐퍼 본체 (81) 의 외주면에는, 그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 (81g)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81g) 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공 (가이드홈) (81h) 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81g) 에는, 가이드공 (81h) 대신에 그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해도 된다. 한편, 외측 링크 (5) 의 일단부에는 축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 (54) 는, 그 길이 방향을 추축 (J2) 의 축선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추축 (J2) 의 축선으로부터 이간된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축부 (54) 는, 가이드공 (81h) 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링크 (5) 가 추축 (J2)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 댐퍼 본체 (81) 가 추축 (J1)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댐퍼 본체 (81) 는, 로터 (82) 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그와 같이 가이드공 (81h) 및 축부 (54) 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공 (81h) 은, 외측 링크 (5) 의 회전을 댐퍼 본체 (81) 에 축부 (54) 와 협동하여 전달할 수 있는 것인 한, 반드시 그 길이 방향을 돌출부 (81g) 의 길이 방향, 요컨대 댐퍼 본체 (81) 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경 방향과 일치시킬 필요는 없고, 직경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여, 혹은 직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해도 된다. 힌지 장치 (1′) 의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공 (81h) 과 축부 (54) 에 의해 외측 링크 (5) 의 회전을 댐퍼 본체 (81) 에 전달하는 전달 방식은, 로터 (82) 와 외측 링크 (5) 사이에도 채용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로터 (82) 의 댐퍼 본체 (81) 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돌출부 (81g) 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 댐퍼 본체 (81) 와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2) 사이에는, 내측 링크 (4) 의 회전을 댐퍼 본체 (81) 에 전달하기 위해, 돌기와 구멍의 끼워 맞춤에 의한 회전 전달 기구가 형성된다. 또, 회전 댐퍼가 추축 (J1, J2) 과 상이한 축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이드공 (81h) 과 축부 (54) 에 의한 회전 전달 기구가, 내측 링크 (4) 와 댐퍼 본체 (81) 및 로터 (82) 의 일방 사이, 그리고 외측 링크 (5) 와 댐퍼 본체 (81) 및 로터 (82) 의 타방 사이에 각각 형성해도 된다.
도 3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대신에 사용되는 비틀림 스프링 (7A) 을 나타낸다. 비틀림 스프링 (7A) 은,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당해 판재를 단면 대략 C 자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통부 (74) 와, 이 통부 (74) 의 축선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부 (일단부) (75) 와, 통부 (74) 의 타단부에 형성된 돌출부 (타단부) (76)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물론, 돌출부 (75) 는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에 맞닿고, 돌출부 (76) 는 외측 링크 (5) 의 측판부 (52) 에 맞닿고 있다.
도 35 ∼ 도 3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림 기구 (제 1 회전 전달 기구), 제 2 회전 전달 기구 및 위치 조절 기구로서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한 것이 채용되어 있다. 먼저, 걸림 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의 후단부에는, 추축 (J1) 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41c)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터 (82) 의 측판부 (41) 와 대향하는 단면에는, 2 개의 돌기 (82i, 82i) 가 추축 (J1) 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 개의 돌기 (82i, 82i) 사이에 돌기 (41c) 가 추축 (J1)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내측 링크 (4) 와 로터 (82) 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 링크 (4) 의 회전이 로터 (82) 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회전 전달 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외측 링크 (5) 의 후단부에는, 걸어 맞춤 축 (축부) (55) 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 축 (55) 은, 추축 (J2) 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양 단부가 외측 링크 (5) 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댐퍼 본체 (81) 의 외주면에는, 2 개의 돌출부 (81g, 81g) 가 댐퍼 본체 (81) 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 개의 돌출부 (81g, 81g) 사이에 가이드홈 (81i)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 (81i) 에는, 걸어 맞춤 축 (55) 의 중앙부가 댐퍼 본체 (81) 의 직경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둘레 방향으로는 거의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링크 (5) 가 회전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걸어 맞춤 축 (55) 이 2 개의 돌출부 (81g, 81g) 의 일방 또는 타방에 맞닿는다. 이로써, 외측 링크 (5) 의 회전이 댐퍼 본체 (81) 에 전달된다.
위치 조절 기구는, 회전 캠판 (95) 및 가동 캠판 (96) 의 배치가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즉, 회전 캠판 (95) 은,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2) 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측판부 (42) 와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고정 부재)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캠판 (95) 은, 측판부 (32) 에 맞닿음으로써 댐퍼 본체 (81)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다. 한편, 가동 캠판 (96) 은, 측판부 (42) 와 댐퍼 본체 (81) 의 저부 (8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캠판 (95) 과 가동 캠판 (96) 사이에는, 측판부 (42) 가 개재되어 있다. 회전 캠판 (95) 및 가동 캠판 (96) 의 각 일부는, 측판부 (42) 로부터 추축 (J1)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측판부 (42) 로부터 돌출된 각 일부에는, 캠면 (95d, 96a) 에 상당하는 캠면 (도시 생략)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물론, 양 캠면끼리는 서로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캠판 (95) 이 회전 조작되면, 가동 캠판 (96) 이 추축 (J1) 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댐퍼 본체 (81) 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위치 조절 기구를 갖는 힌지 장치의 내측 링크 (4), 외측 링크 (5), 회전 댐퍼 (8), 회전 캠판 (95) 및 가동 캠판 (96) 은,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1, 32) 사이에 다음과 같이 하여 장착할 수 있다. 먼저,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1, 32) 사이에 회전 캠판 (95) 을 삽입한다. 그리고, 회전 캠판 (95) 을 추축 (J1) 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측판부 (32) 에 접촉시킴과 함께, 조작편부 (95b) 를 조작창공 (32a) 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측판부 (31) 와 회전 캠판 (95) 사이에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41, 42) 의 일단부를 삽입한다. 그 후, 측판부 (41, 42) 사이에 회전 댐퍼 (8) 를 삽입하고, 돌기 (82i, 82i) 사이에 돌기 (41c) 를 삽입한다. 이 경우, 돌기 (82i, 82i) 사이의 간극이 추축 (J1)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으므로, 돌기 (41c) 는, 돌기 (82i, 82i) 사이에 추축 (J1)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댐퍼 (8) 는, 추축 (J1) 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측판부 (41, 42)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그 후, 회전 댐퍼 (8) 와 측판부 (42) 사이에 가동 캠판 (96) 을 삽입한다. 가동 캠판 (96) 은, 회전 댐퍼 (8) 의 측판부 (41, 42) 사이로의 삽입 전에, 혹은 회전 댐퍼 (8) 와 동시에 측판부 (41, 42) 사이에 삽입해도 된다. 또, 회전 댐퍼 (8) 및 가동 캠판 (96) 은, 측판부 (41, 42) 를 측판부 (31, 32) (회전 캠판 (95)) 사이에 삽입 전에, 측판부 (41, 42) 사이에 미리 삽입해 두어도 된다. 그 후, 측판부 (31, 32), 측판부 (41, 42), 회전 댐퍼 (8), 회전 캠판 (95) 및 가동 캠판 (96) 에 추축 (J1) 을 삽입 통과시킨다. 이로써, 장착을 완료한다. 또한, 그 후, 외측 링크 (5) 를 측판부 (31, 32) 사이에 삽입하고, 걸어 맞춤 축 (55) 을 돌출부 (81g, 81g) 사이의 가이드홈 (81i) 에 삽입하고, 측판부 (31, 32), 및 외측 링크 (5) 에 추축 (J2) 을 삽입 통과시킨다. 외측 링크 (5) 는, 내측 링크 (4) 의 측판부 (31, 32) 사이로의 삽입 전에 측판부 (31, 32) 사이에 삽입해 두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회전 댐퍼 (8) 를 측판부 (41, 42) 사이에 삽입할 때, 걸어 맞춤 축 (55) 을 돌출부 (81g, 81g) 사이의 가이드홈 (81i) 에 상대적으로 삽입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캠 부재 (91) 의 2 개의 돌출부 (91c, 91d) 의 일단부끼리가 서로 연결되고, 2 개의 돌출부 (91c, 91d) 가 전체적으로 대략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91c, 91d) 의 간격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의 돌출부 (72) 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고, 돌출부 (72) 는, 돌출부 (91c, 91d) 사이에 코일부 (71) 의 둘레 방향으로 약간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론, 돌출부 (72) 는, 돌출부 (91c, 91d) 사이에 코일부 (71)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캠판 (96) 이 걸어 맞춤 축 (34) 대신에 스페이서 (92) 에 의해 회전 멈춤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 캠판 (96) 의 외주면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 (96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오목부 (96b) 의 저면은, 지지축 (J3) 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페이서 (92) 의 외주면은, 지지축 (J3) 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으로, 그 곡률 반경은 걸어 맞춤 오목부 (96b) 를 구성하는 원호면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 (92) 의 외주면의 일부가 걸어 맞춤 오목부 (96b) 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캠판 (96) 의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게다가, 스페이서 (92) 는, 가동 캠판 (96) 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는 경우가 없다.
도 39 및 도 4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링크 (4) 대신에 상부 내측 링크 (4A) 와 하부 내측 링크 (제 1 링크) (4B) 의 2 개의 링크가 사용되고 있다. 상하의 내측 링크 (4A, 4B) 는, 상기 내측 링크 (4) 의 연결판부 (43) 를 생략하여 2 개의 측판부 (31, 32) 를 독립시킨 경우의 측판부 (32, 31) 에 각각 대응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내측 링크 (4A) 는,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2) 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 내측 링크 (4B) 는, 측판부 (31) 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부 내측 링크 (4B) 의 일단부 (추축 (J1) 측의 단부) 에는, 캠면 (41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면 (41a) 에는, 캠 부재 (91) 의 캠면 (91a)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에 의해 눌려 있다. 따라서, 하부 내측 링크 (4B) 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에 의해 회전 탄성 지지되어 있고, 도어측 장착 부재 (6) 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부 내측 링크 (4A) 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7) 에 의해 회전 탄성 지지되지 않고, 도어측 장착 부재 (6) 의 회전에 추종하여 회전할 뿐이다.
도 4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창공 (32a) 의 내주면 중 대경측의 부분에는, 걸림 오목부 (3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오목부 (32c) 에는, 가동 캠판 (96) 에 형성된 걸림 아암 (96e) 이 걸려 있다. 이로써, 가동 캠판 (96)이 힌지 본체 (3) 의 측판부 (31) 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추축 (J1) 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 캠판 (95) 의 외주면에는, 그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95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95e) 의 가동 캠판 (96) 측을 향하는 면에는, 가동 캠판 (96)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 돌기 (95f)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 캠판 (96) 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 (96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조 (96c) 의 회전 캠판 (95) 측을 향하는 면에는, 복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 (96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오목부 (96d) 는, 회전 캠판 (95) 을 적절히 회전시키면, 걸림 돌기 (95f) 가 어느 걸어 맞춤 오목부 (96d) 에 끼워 넣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회전 캠판 (95) 의 회전 위치가 결정되고, 나아가서는 회전 댐퍼 (8)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캠판 (96) 의 위치가 결정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댐퍼 본체 (81) 가 힌지 본체 (3) 에 위치 고정되어 있고, 가동 캠판 (96) 이 위치 조절되면, 로터 (82) 가 댐퍼 본체 (81) 에 대해 그 축선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고, 그것에 의해 회전 댐퍼 (8) 의 댐퍼력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 (81g) 에 가이드공 (81h) 이 형성되어 있지만, 가이드공 (81h) 은 댐퍼 본체 (81) 의 직경 방향과 직선적으로 연장되지 않고, 굴곡되어 있다. 이로써, 회전 댐퍼 장치 (8) 의 댐퍼력이 도어측 장착 부재 (6) 의 회전 위치에 따라 곡선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컵 부재 (6) 가 힌지 본체 (3) 에 내측 및 외측의 2 개의 링크 (4, 5)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주지의 다른 힌지 장치와 같이, 컵 부재 (6) 와 힌지 본체 (3) 사이에 추가로 다른 링크를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링크 (4) 를 제 1 링크로 하고, 외측 링크 (5) 를 제 2 링크로 하고 있지만, 내측 링크 (4) 를 제 2 링크로 하고, 외측 링크 (5) 를 제 1 링크로 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어 회전 댐퍼 (8) 가 외측 링크 (5) 내에 배치되고, 로터 (82) 가 외측 링크 (5) 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댐퍼 본체 (81) 가 내측 링크 (4)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도록 내측 링크 (4) 에 연결된다. 또, 돌출부 (73) 가 캠 부재 (91) 를 개재하여 외측 링크 (5) 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댐퍼로서 댐퍼 본체 (81) 의 수용부 (81A) 의 내주면과 로터 (82) 의 외주면 사이에 고리상의 공간 (83) 이 형성된 회전 댐퍼 (8) 가 채용되어 있지만, 회전 댐퍼 (8) 대신에,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2253호나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0-52893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댐퍼 본체의 수용부의 내주면과 로터의 외주면 사이에 선상 (扇狀) 내지는 대략 반원상의 공간이 형성된 회전 댐퍼를 사용해도 된다.
S1 : 간극
S2 : 간극
3 : 힌지 본체 (하우징측 장착 부재)
4 : 내측 링크 (제 1 링크)
5 : 외측 링크 (제 2 링크)
6 : 컵 부재 (도어측 장착 부재)
8 : 회전 댐퍼
31 : 측판부 (제 2 측판부)
32 : 측판부 (제 1 측판부 ; 고정 부재)
32a : 조작창공
42 : 측판부 (고정 부재)
81 : 댐퍼 본체
81A : 수용부
82 : 로터
83A : 고압실 (압력실)
83B : 저압실 (압력실)
95 : 회전 캠판 (캠 부재)
95b : 조작편부
95d : 캠면 (캠부)
96 : 가동 캠판 (제 2 캠 부재)
96a : 캠면 (맞닿음부)

Claims (9)

  1. 수용부 (81A) 를 갖는 댐퍼 본체 (81) 와, 이 댐퍼 본체 (81) 의 수용부 (81A) 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로터 (82) 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 (81A) 의 내주면과 상기 로터 (82) 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 (83) 이 복수의 압력실 (83A, 83B) 로 구분되고, 각 압력실 (83A, 83B) 에 충전된 유체가 상기 로터 (82) 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수용부 (81A) 의 내면과 상기 로터 (82) 의 외면 사이의 간극 (S1, S2) 을 통과할 때의 유통 저항에 의해 상기 로터 (82) 의 회전 속도가 저속으로 억제되는 회전 댐퍼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 (81) 와 상기 로터 (82) 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댐퍼 본체 (81) 와 상기 로터 (82) 중 어느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당해 일방의 타방에 대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82) 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 고정 부재 (32 ; 42)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고정 부재 (32 ; 42) 와 상기 일방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일방을 상기 고정 부재 (32 ; 42) 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일방이 상기 타방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댐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 (32 ; 42) 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일방과 상기 고정 부재 (32 ; 42) 사이에 배치된 캠 기구이고,
    상기 캠 기구가, 상기 댐퍼 본체 (81) 및 상기 로터 (82) 와 별체로 형성된 캠 부재 (95) 를 갖고,
    상기 캠 부재 (95) 가, 상기 고정 부재 (32 ; 42) 의 상기 일방과의 대향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 부재 (95) 의 상기 일방과의 대향면에는, 상기 일방에 맞닿아,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 (95d)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댐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가, 상기 댐퍼 본체 (81), 상기 로터 (82) 및 상기 고정 부재 (32 ; 42) 와 별체로 형성된 제 2 캠 부재 (96) 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캠 부재 (96) 가, 상기 일방의 상기 캠 부재 (95) 와의 대향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캠 부재 (96) 의 상기 캠 부재 (95) 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캠부에 맞닿는 맞닿음부 (96a) 가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 (95) 가,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캠 부재 (96) 를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상기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댐퍼.
  5.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와, 이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링크 (4, 5) 와, 이 제 1 및 제 2 링크 (4, 5) 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측 장착 부재 (6) 와, 상기 제 1 링크 (4) 의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에 대한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억제하는 회전 댐퍼 (8) 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댐퍼 (8) 가, 수용부 (81A) 를 갖는 댐퍼 본체 (81), 및 상기 댐퍼 본체 (81) 의 수용부 (81A) 에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로터 (82) 를 갖고, 상기 수용부 (81A) 의 내주면과 상기 로터 (82) 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복수의 압력실 (83A, 83B) 로 구분되고, 각 압력실 (83A, 83B) 에 충전된 유체가 상기 로터 (82) 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기 수용부 (81A) 의 내면과 상기 로터 (82) 의 외면 사이의 간극을 통과할 때의 유통 저항에 의해 상기 로터 (82) 의 회전 속도가 저속으로 억제되는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 (81) 와 상기 로터 (82) 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댐퍼 본체 (81) 와 상기 로터 (82) 중 어느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당해 일방의 타방에 대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댐퍼 (8) 가 그 회전축선을 상기 제 1 링크 (4) 의 일단부의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에 대한 회전 중심과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또는 제 1 링크 (4) 와 상기 일방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일방을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또는 상기 제 1 링크 (4) 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일방이 상기 타방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이,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또는 상기 제 1 링크 (4) 와 상기 일방 사이에 배치된 캠 기구이고,
    상기 캠 기구가, 상기 댐퍼 본체 (81) 및 상기 로터 (82) 와 별체로 형성된 캠 부재 (95) 를 갖고,
    상기 캠 부재 (95) 가,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또는 상기 제 1 링크 (4) 의 상기 일방과의 대향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 부재 (95) 의 상기 일방과의 대향면에는, 상기 일방에 맞닿아, 상기 캠 부재 (95) 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 (95d)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 상기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제 1 및 제 2 측판부 (32, 31) 가 형성됨으로써 단면 「コ」자상을 이루고,
    상기 제 1 링크 (4) 의 일단부, 상기 제 2 링크 (5) 의 일단부, 상기 회전 댐퍼 (8) 및 상기 캠 부재 (95) 가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의 제 1 측판부 (32) 에는, 이것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작창공 (32a) 이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장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 (95) 에는, 조작편부 (95b) 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편부 (95b) 를 상기 하우징측 장착 부재 (3) 의 외부로부터 조작하여 상기 캠 부재 (95) 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편부 (95b) 가 상기 조작창공 (32a) 에 그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가, 상기 제 1 링크 (4), 상기 댐퍼 본체 (81) 및 상기 로터 (82) 와 별체로 형성된 제 2 캠 부재 (96) 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캠 부재 (96) 가, 상기 일방의 상기 캠 부재 (95) 와의 대향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캠 부재 (96) 의 상기 캠 부재 (95) 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캠부 (95d) 에 맞닿는 맞닿음부 (96a) 가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 (95) 가,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캠 부재 (96) 를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상기 일방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KR1020137034700A 2011-08-31 2012-08-29 회전 댐퍼 및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KR101544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9120 2011-08-31
JPJP-P-2011-189120 2011-08-31
PCT/JP2012/071799 WO2013031810A1 (ja) 2011-08-31 2012-08-29 回転ダンパ及びダンパ付きヒン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413A true KR20140011413A (ko) 2014-01-28
KR101544303B1 KR101544303B1 (ko) 2015-08-12

Family

ID=4775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700A KR101544303B1 (ko) 2011-08-31 2012-08-29 회전 댐퍼 및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1675B2 (ko)
EP (1) EP2752542B1 (ko)
JP (1) JP5663042B2 (ko)
KR (1) KR101544303B1 (ko)
CN (1) CN103620142B (ko)
AU (1) AU2012302795A1 (ko)
WO (1) WO2013031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5997A1 (en) * 2014-03-28 2015-10-01 Burton Technologies, Llc Variable rate friction damper
DE102014208586A1 (de) * 2014-05-07 2015-1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oßdämpferanordnung
CN104265831B (zh) * 2014-09-16 2016-09-21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阻尼结构及其构造方法
AT516587B1 (de) * 2014-12-09 2023-06-15 Blum Gmbh Julius Möbelscharnier
WO2017188807A1 (es) * 2016-04-27 2017-11-02 Rodríguez Rodríguez Óscar Bisagra hidráulica con sistema integrado de cierre suave con base reguladora y tornillos regulables
EP3903655A4 (en) * 2018-12-27 2022-09-28 Sugatsune Kogyo Co., Ltd. DAMPER DEVICE
CN209586923U (zh) * 2019-02-14 2019-11-05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扭簧可变阻尼转轴
CN109774982A (zh) * 2019-03-12 2019-05-21 北京微分航宇科技有限公司 一种连杆锁定式太阳翼解锁展开机构
US11873680B2 (en) 2019-05-23 2024-01-16 Ps Industries Incorporated Hinged safety gate
US11920401B2 (en) 2021-05-03 2024-03-05 Kohler Co. Slow close mechanism for sliding applications
CA3227820A1 (en) * 2021-08-05 2023-02-09 Peter Allen Letvin Self-closing safety gat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1903A (en) * 1969-08-21 1972-03-28 Anderson Greenwood & Co Adjustable rotary damper
JPS64736U (ko) * 1987-06-22 1989-01-05
JPH05246281A (ja) 1992-03-05 1993-09-24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H064736U (ja) 1992-06-25 1994-01-21 三井プレイティング株式会社 眼鏡枠
DE4310626C1 (de) * 1993-03-31 1994-06-23 Salice Arturo Spa Scharnier zur gelenkigen Verbindung zweier Teilflügel eines Türflügels
JPH06323055A (ja) 1993-05-17 1994-11-22 Yogou Sumikin Sangyo Kk キャッチ付蝶番
US5301775A (en) * 1993-06-29 1994-04-12 Illinois Tool Works Inc. Adjustable high torque damper device
JP2739164B2 (ja) * 1994-12-27 1998-04-08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回転ダンパにおける自立機構
JP3658804B2 (ja) * 1995-07-17 2005-06-08 日本精工株式会社 回転運動用ダンパ装置
EP0909864A3 (de) 1997-10-17 1999-05-06 Julius Blum Gesellschaft m.b.H. Scharnier
JP2000170813A (ja) * 1998-12-07 2000-06-23 Sugatsune Ind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ー
US6085384A (en) * 1999-04-08 2000-07-11 Illinois Tool Works Inc. One-way hinge damper
JP3213287B2 (ja) 1999-04-26 2001-10-0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内配置型の4枢軸型隠し蝶番
JP4529059B2 (ja) * 1999-10-19 2010-08-25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回転ダンパ
IT249824Y1 (it) 2000-10-10 2003-06-05 Salice Arturo Spa Cerniera per mobili con dispositivo per la chiusura rallentata dellaporta
DE10122077A1 (de) 2000-10-18 2002-05-02 Tok Bearing Co Ltd Rotationsdämpfer
AT410118B (de) * 2000-10-19 2003-02-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DE20115250U1 (de) * 2001-07-06 2002-11-14 Lautenschlaeger Mepla Werke Dämpfungsvorrichtung
DE20212022U1 (de) * 2002-08-05 2002-09-26 Salice Arturo Spa Scharnier
DE20212335U1 (de) * 2002-08-09 2003-12-18 Arturo Salice S.P.A., Novedrate Schwenkdämpfer
TW589434B (en) 2002-11-13 2004-06-01 Salice Arturo Spa Hinge
EP1739261A1 (en) * 2004-03-31 2007-01-03 Sugatsune Kogyo Co., Ltd. Hinge with damper
ITRM20040179U1 (it) * 2004-11-12 2005-02-12 Salice Arturo Spa Cerniera per mobile con dispositivo di smorzamento.
JP2006242253A (ja) 2005-03-02 2006-09-14 Fuji Latex Kk 回転ダンパー装置
DE102006059247A1 (de) * 2006-12-15 2008-06-19 Liberty Hardware Mfg. Corp. Möbelscharnier mit einer Dämpfungsvorrichtung
SE532539C2 (sv) 2007-06-14 2010-02-16 Oehlins Racing Ab Vingdämpare med justerbar dämpkraft
DE202007011194U1 (de) 2007-08-10 2008-12-24 Hettich-Oni Gmbh & Co. Kg Scharnier
US7673929B2 (en) * 2007-10-10 2010-03-09 Ventra Group, Inc. Hinge with a viscous rotary damper
SI2235310T2 (sl) * 2008-01-22 2023-01-31 Grass America, Inc. Blažilni mehanizem za pohištveni šarnirski sestav
GB2469846B (en) * 2009-04-29 2013-12-11 Lama D D Dekani Improvements in hinge assemblies
WO2013031806A1 (ja) * 2011-08-31 2013-03-0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ダンパ付きヒンジ装置
WO2013031250A1 (ja) * 2011-08-31 2013-03-0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031810A1 (ja) 2015-03-23
KR101544303B1 (ko) 2015-08-12
CN103620142A (zh) 2014-03-05
WO2013031810A1 (ja) 2013-03-07
EP2752542A1 (en) 2014-07-09
JP5663042B2 (ja) 2015-02-04
EP2752542B1 (en) 2022-01-26
US9371675B2 (en) 2016-06-21
CN103620142B (zh) 2015-11-25
AU2012302795A1 (en) 2014-04-17
EP2752542A4 (en) 2015-07-01
US20140201947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1413A (ko) 회전 댐퍼 및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KR20140016398A (ko) 댐퍼가 형성된 힌지 장치
KR20140021685A (ko) 힌지 장치
KR19980070776A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JP2004068592A (ja) ヒンジ
KR100583628B1 (ko) 피벗 작용 댐퍼
US20200048948A1 (en) Damper hinge and western-style toilet using the same
JP7281700B2 (ja) チェッカ付きドアヒンジ、および該ドアヒンジを備えた車両
JP4986990B2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3543940B2 (ja) 回転ダンパ
TWI525268B (zh) Rotary damper
JP3063024B2 (ja) ダンパ機構
JP5572227B2 (ja) ヒンジ装置
JP5200431B2 (ja) 便座の自立保持機構
JP7265746B2 (ja) 回動体の保持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ダンパーユニット
WO2021192435A1 (ja) 回転ダンパ、回転ダンパ付きスライドヒン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30978A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付き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