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515B1 - 서양식변기의변좌또는덮개등의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서양식변기의변좌또는덮개등의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515B1
KR100287515B1 KR1019980002088A KR19980002088A KR100287515B1 KR 100287515 B1 KR100287515 B1 KR 100287515B1 KR 1019980002088 A KR1019980002088 A KR 1019980002088A KR 19980002088 A KR19980002088 A KR 19980002088A KR 100287515 B1 KR100287515 B1 KR 10028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hinge
cover
toile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776A (ko
Inventor
가네쯔구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미쯔요시
Publication of KR1998007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을 개폐시킬 때에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흔들림이 없게 하기 위해 서양식 변기의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힌지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한쌍의 힌지케이스의 각각에 변좌용의 각 회전축과 덮개용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힌지케이스의 변돠용 각 회전축에는 변좌의 각 취부부를 각각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하고, 상기 각각의 힌지케이스의 덮개용의 각 회전축에는 덮개의 각 취부부를 각각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함과 동시에 상기 각 변좌용의 회전축과 상기 각 덮개용의 회전축에 각각 변좌 또는 덮개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는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그 회전제어수단이, 회전축을 중심부에 삽입, 관통시키면서 힌지케이스 내에 설치된 사절벽에 고정한 고정캠과, 그 고정캠과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그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한 회전슬라이드캠과, 그 회전슬라이드캠을 고정캠측으로 가압시키는 압축스프링과로 구성된 캠기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회전제어수단을, 토션스프링으로 하거나 회전댐퍼 또는 프리쿠션기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본 발명은 특히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용으로 적합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그러한 개폐장치로서,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변좌 또는 덮개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는 회전제어수단부 회전축을 지니는 한쌍의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그 일방의 개폐장치는 변좌용으로 하고 타방의 개폐장치는 덮개용으로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 종래의 공지의 것은, 타방의 개폐장치의 회전축의 일방의 취부축부에 변좌의 취부부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덮개의 취부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타방의 회전축의 취부축부에 변좌의 다른 일방의 취부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킴과 동시에 덮개의 취부부를 고정시켜 구성됨으로써 변좌와 덮개를 개폐할 때에는 각각 일방씩의 개폐장치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지된 개폐장치는 변좌 또는 덮개의 각 취부부에 연결되는 회전축의 취부축부나, 또는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설치한 변형장착공에 삽입, 결합시킨 변좌 또는 덮개 등의 취부핀의 외형을, 그 양측부를 제거함으로써 대략 타원단면형상의 변형축으로 하고, 그 변형축에 변좌 또는 덮개의 취부부의 일방의 변형공을 고정하며, 원형공을 축으로 삽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조작시에 다소의 덜거덕거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변좌 또는 덮개의 취부부의 일방만에 회전제어수단 부착 개폐장치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어떻게 해도 그 편심에 따른 흔들거림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변좌 또는 덮개의 개폐조작시에 흔들림이 없이 밸런스가 좋은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좌 또는 덮개의 개폐조작시에 덜거덕거림이 일어나지않도록 구성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양식 변기에 장착한 때에 외관상 미려한 것으로 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에 관한 측단면도.
도2는 도1의 선 A-A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주요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회전제어수단의 부분단면만 일부분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회전제어수단의 일부분 분해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회전제어수단의 종단면도.
도7는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회전제어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회전제어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회전제어수단의 캠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변좌용 회전제어수단의 고정캠의 정면도.
도11은 도10의 고정캠의 캠부의 전개도.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힌지부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힌지부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힌지부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를 서양식 변기의 변기본체에 취부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16은 회전제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17은 회전제어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18은 회전제어수단의 더욱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19는 본 발명에 관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20은 도19의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30,35,40 : 힌지케이스 2,48 : 케이스홀더
3 : 변좌용 회전축 4,31,36,41 : 덮개용 회전축
5 : 제1설치공 6 : 제2설치공
5a,40a : 사절벽 9 : 0링
10 : 고정캠 11 : 캠부
12 : 회전슬라이드캠 13 : 압축스프링
19 : 변좌 20 : 덮개
21 : 변기본체 32a : 토션스프링
44 : 스프링와셔 45 : 누름와셔
47 : 고정용 블럭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양식 변기의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힌지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한쌍의 힌지케이스의 각각에 변좌용의 회전축과 덮개용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힌지케이스의 변좌용 각 회전축에는 변좌의 각 취부부를 각각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하고, 상기 각각의 힌지케이스의 덮개용의 각 회전축에는 덮개의 각 취부부를 각각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함과 동시에 상기 각 변좌용의 회전축과 상기 각 덮개용의 회전축에 각각 변좌 또는 덮개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는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그 회전제어수단이, 회전축을 중심부에 삽입, 관통시키면서 힌지케이스 내에 설치된 사절벽에 고정한 고정캠과, 그 고정캠과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그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한 회전슬라이드캠과, 그 회전슬라이드캠을 고정캠측으로 가압시키는 압축스프링과로 구성된 캠기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서양식 변기의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힌지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한쌍의 힌지케이스의 각각에 변좌용과 덮개용의 한쌍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그 각 변좌용 덮개용의 회전축의 각각의 일방에만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키고, 그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킨 각 회전축과 다른 일방의 각 회전축의 각각에 변좌와 덮개의 각 취부부를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회전축을 중심부에 삽입, 관통시키면서 힌지케이스 내에 설치된 사절벽에 고정한 고정캠과, 그 고정캠과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그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한 회전슬라이드캠과, 그 회전슬라이드캠을 고정캠측으로 가압시키는 압축스프링과로 구성된 캠기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회전제어수단을 토션스프링으로 하거나 회전댐과 또는 프리쿠션기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한쌍의 힌지케이스를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각 힌지케이스를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취부된 힌지홀더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힌지케이스를 케이스홀더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함에 있어서 케이스홀더 내에 삽입시킨 힌지케이스의 상하방향운동을 규제하기 위해 그 힌지케이스를 가압하여 케이스홀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 다리부와, 케이스홀더 내에 삽입시킨 각 힌지케이스의 좌우방향운동을 규제하기위해 그 케이스홀더내의 각 힌지케이스 사이에 삽입시킨 고정용 블럭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힌지케이스를 케이스홀더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함에 있어서 힌지케이스와 다리부를 일체로 구성하고, 그 힌지케이스를 상기 케이스홀더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그 좌우방향운동을 규제하기 위해 각 힌지케이스 사이에 고정용 블럭을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됨이 없이 여러 가지 개폐체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1,1)은 개폐장치(A,A)의 힌지케이스이고, (2)는 그 한쌍의 힌지케이스(1,1)를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수납하는 케이스홀더이다. 그 케이스홀더(2)의 양측부에는 가 힌지케이스(1,1)의 일측부에서 돌출하는 변좌용 회전축(3,3)과 덮개용 회전축(4,4)을 삽입, 관통시키는 관통공(2a,2b)이 한쌍 형성되어 있다.
각 개폐장치(A,A)의 내부구조는 좌우 동일한 것으로, 이하 좌측의 개폐장치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좌측의 개폐장치(A,A)의 힌지케이스(1)에는, 상하로 설치위치를 변화시켜 변좌용 회전축(3)용 제1설치공(5)과 덮개용 회전축(4)용 제2설치공(6)이 형성되고, 그 각각에 변좌용 회전축(3,3)과 덮개용 회전축(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그 각각의 회전축(3)(4)에는 각각 회전제어수단(7)(8)이 설치되어 있다. 그 각 회전축(3)(4)과 회전제어수단의 형상이나구조는 고정캠의 형상이 상이할 뿐이고 다른 것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변좌용 회전축(3,3)과, 그 회전제어수단(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 내지 도8에서 회전축(3)의 힌지케이스(1)로부터 돌출한 부분은 그 양측부를 제거함으로써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의 변형취부축부(3a)로 되고, 회전축(3)의 힌지케이스(1,1) 내부에 수납된 부분에는 그 입구부분의 대경부(3b)와, 그 대경부(3b)에 연속하여 양측부가 제거됨으로써 단면이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소경부(3c)가 형성된다. 그 회전축(3)은, 힌지케이스(1,1)에 형성되고 힌지케이스(1,1)를 관통하는 제1설치공(5)의 입구에 대경부(3b)를 축받침시킴으로써 회전가능하게 힌지케이스(1,1)에 취부된다. 또, 대경부(3b)의 외주에 설치된 원주홈(3d)에는 0링(9)이 설치된다.
제1설치공(5)의 내부에는 캠기구로 된 회전축(3)의 회전제어수단이 설치되고, 그 회전제어수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설치공(5)의 내부에 형성된 사절벽(5a)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5c)에, 그 일측부에서 돌출한 결합돌기(10a)를 삽입시켜 고정캠(1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그 고정캠(10)의 타측면에는 돌출부(11a)와 오목부(11b)로 된 캠부(11)가 형성됨과 동시에그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5b)에 소경부(3c)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고정캠(10)의 캠부(11)와 대향하여 회전슬라이드캠(12)이 그 중심부에 형성된 변형공(12a)에 회전축(3)의 소경부(3c)를 삽입시킴으로써 그 회전축(3)과 함께 회전하고, 또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회전슬라이드캠(12)이 고정캠(10)이 캠부(11)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돌출부(12b)가 형성된다.
또, 회전슬라이드캠(12)과 회전축(3)의 대경부(3b)와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3)이 소경부(3c)주위에 설치되어 회전슬라이드캠(12)은 항상 고정캠(10)측으로 가압된다. 또, 그 압축스프링(13)에는 달리 판스프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축(3)의 사절벽(5a)을 관통하는 측에는, 결합판(14a)을 개재하여 조립나사(14)가 설치되어 회전축(3)의 제1설치공(5)으로부터 축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 (14b)는 와셔이다.
그 변좌용 회전축(3,3)용 회전슬라이드캠(12)에 이용되는 고정캠(10)이 캠부의 형상과, 덮개용 회전축(4)용 회전슬라이드캠(12)에 이용되는 고정캠(15)의 캠부의 형상은 특히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오목부(11b)와 (16b)의 경사각도가 상이한 것 뿐이고, 돌출부(11a)와 캠부(16)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것은 주로 변좌(19)와 덮개(20)의 중량차이와 요구되는 조작감의 차이에 따르고 있다.
다음에, 힌지케이스(1,1)의 케이스홀더(2)에 대한 착탈가능수단에 대해 설명된다.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케이스홀더(2)의 하방에서 각 힌지케이스(1,1)를 삽입하고, 양측부에 형성된 관통공(2a,2b)에서 변좌용 회전축(3,3)과 덮개용 회전축(4)의 각 취부축부(3a)(4a)를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그 뒤, 케이스홀더(2)의 하부중앙에서, 고정용 블럭(17)을 각 힌지케이스(1,1)의 대향공간내로 삽입시키고, 더욱 각각 염자봉(捻子棒)으로 된 다리부(18,18)의 고정부(18a,18a)를 동일하게 케이스홀더(2)의 하부 양측으로 삽입시키고, 동시에 결합홈(1a)과 결합돌출부(18c)를 결합시키고, 각각의 전후측에 형성된 돌조(17a,18b)를 케이스홀더(2)의 하측 내주의 전후에 형성된 요홈(2c)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힌지케이스(1,1)의 케이스홀더(2)에 대한 장착이 완료된다. 또, 각 힌지케이스(1,1)를 케이스홀더(2)에 장착시킴에 있어서, 각 회전축(3,4)을 케이스홀더(2)의 양측부 관통공(2a,2b)으로부터 돌출시킬 때에 변좌(19)와 덮개(20)의 취부부(19a,19a)(20a,20a)에 고정시키면 좋다. 이 경우에는 각 회전축(3,4)의 각 취부축부(3a,3a)(4a,4a)의 형상과 적합한 변형취부공(19b,19b)(20b,20b)이 변좌(19)와 덮개(20)의 각 취부부(19a,19a)(20a,20a)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힌지케이스(1,1)에서 돌출한 각 한쌍의 변좌용 회전축(3,3)과 덮개용 회전축(4)에 각 취부부(19a,19a)(20a,20a)가 고정되어 변좌(19)나 덮개(20)를 개폐하면, 각각 좌우의 개폐장치(A,A)의 변좌용 회전축(3,3)과 덮개용 회전축(4)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힌지케이스(1)를 케이스홀더(2)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의 설명과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다음에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좌(19)와 덮개(20)를 장착한 각 힌지케이스(1,1)를 장차한 케이스홀더(2)를 손으로 잡고 그 다리부(18,18)를 변기본체(21)에 형성된 취부공(21a)에 삽입하여 나트(22)로 고정시킴으로써, 변좌(19)와 덮개(20)의 변기본체(21)에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에 개폐장치(A)의 동작에 대해 설명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변좌(19)의 폐쇄상태에 있어서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변좌용 회전제어수단(7)의 캠기구를 구성하는 회전 캠(12)의 돌출부(12b)는, 고정캠(10)의 캠부(11)의 돌출부(11a)와 접촉하고, 압축스프링(13)은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변좌(19)를 개방하면, 그 취부부(19a)를 결합시키고 있는 변형취부축부(3a)를 개재하여 회전축(3)이 회전하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슬라이드캠(12)의 돌출부(12b)는 고정캠(10)의 캠부(11)의 돌출부(11a)로부터 오목부(11b)측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그 고정캠(10)의 측으로 미끄럼운동을 한다.
실시예에서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의 개방각도로부터 경사방향이 역으로 되어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개방된 변좌(19)를 폐쇄할 때에는 회전제어수단(7)의 캠기구는 앞서 설명한 역의 동작을 행하게 되지만,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90도의 폐쇄각도로부터 회전슬라이드캠(12)의 돌출부(12b)가 고정캠(10)의 캠부(11)의 오목부(11b)로부터 돌출부(11a)로 그 접촉위치를 압축스프링(1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변화시킬 때의 저항에 의해 변좌(19)의 회전모멘트를 감쇠시키는 역방향의 토크가 발생하여, 그 변좌(19)의 폐쇄동작이 급격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약 25도의 폐쇄각도로부터 약간 경사가 심하게 되어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며, 20도부터 또 경사가 완만하게 되어 있어 약간 가속되어 폐쇄되게 된다.
도16은 케이스홀더 내에 장착되는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 실시예에 관한 개폐장치(B)의 힌지케이스(30)내에는 덮개의 개폐동작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31)에 작용시킨 회전제어수단(32)이 토션스프링(32a)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좌용의 것은 회전제어수단의 내부구조의 도시를 생략하지만, 덮개용의 것과 같은 구조이다.
도17은 케이스홀더 내에 장착되는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 실시예에 관한 개폐장치(C)의 힌지케이스(35) 내에는 덮개의 개폐동작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36)에 작용시킨 회전제어수단(37)이 회전댐퍼(37a)에 의해 구성된다. 변좌용의 것은 회전제어수단의 내부구조의 도시를 생략하지만, 덮개용의 것과 같은 구조이다.
도18은 케이스홀더 내에 장착되는 개폐장치의 더욱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 실시예에 관한 개폐장치(D)의 힌지케이스(40) 내에는 덮개의 개폐동작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41)에 작용시킨 회전제어수단(42)이 사절벽(40a)에 가압되는 프리쿠션 플레이트(43)와, 스프링와셔(44)와, 누름와셔(45)로 구성되는 프리쿠션기구(42a)에 의해 구성된다. 또, 그 프리쿠션기구(42a)의 구성은 이 실시예의 것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변좌용의 것은 회전제어수단의 내부구조의 도시를 생략하지만, 덮개용의 것과 같은 구조이다.
도19 내지 도20은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 실시예에 관한 개폐장치(E)는, 도면에 의하면 힌지케이스(45)와 다리부(46)가 일체로 되고, 한쌍의 힌지케이스(45)에 형성된 돌조(45A)를 요홈(48a)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각 힌지케이스(45,45)의 대향공간에는 고정용 블럭(47)을 압입하여, 그 전후부측에 형성한 돌조(47a)를 요홈(48a)에 결합시킴으로써, 각 힌지케이스(45,45)를 케이스홀더(48)내에 고정시키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힌지케이스(45,45)의 케이스홀더(48)내에의 장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변좌 또는 덮개의 개폐조작시에 밸런스가 좋아 흔들림이 없고, 덜거덕거림이 일어나지 아니하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서양식 변기의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힌지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한쌍의 힌지케이스의 각각에 변좌용의 회전축과 덮개용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힌지케이스의 변좌용 각 회전축에는 변좌의 각 취부부를 각각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하고, 상기 각각의 힌지케이스의 덮개용의 각 회전축에는 덮개의 각 취부부를 각각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함과 동시에 상기 각 변좌용의 회전축과 상기 각 덮개용의 회전축에 각각 변좌 또는 덮개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는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그 회전제어수단이, 회전축을 중심부에 삽입, 관통시키면서 힌지케이스 내에 설치된 사절벽에 고정한 고정캠과, 그 고정캠과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그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한 회전슬라이드캠과, 그 회전슬라이드캠을 고정캠측으로 가압시키는 압축스프링과로 구성된 캠기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2. 서양식 변기의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힌지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한쌍의 힌지케이스의 각각에 변좌용과 덮개용의 한쌍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그 각 변좌용과 덮개용의 회전축의 각각의 일방에만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키고, 그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킨 각 회전축과 다른 일방의 각 회전축의 각각에 변좌와 덮개의 각 취부부를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회전축을 중심부에 삽입, 관통시키면서 힌지케이스 내에 설치된 사절벽에 고정한 고정캠과, 그 고정캠과 대향하여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그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한 회전슬라이드캠과, 그 회전슬라이드캠을 고정캠측으로 가압시키는 압축스프링과로 구성된 캠기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회전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프리쿠션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힌지케이스를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각 힌지케이스를 변기본체의 후부 상단에 취부된 힌지홀더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7. (정정) 제6항에 있어서, 힌지케이스를 케이스홀더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함에 있어서 케이스홀더 내에 삽입시킨 힌지케이스의 상하방향운동을 규제하기 위해 그 힌지케이스를 가압하여 케이스홀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 다리부와, 케이스홀더 내에 삽입시킨 각 힌지케이스의 좌우방향운동을 규제하기 위해 그 케이스홀더 내의 각 힌지케이스 사이에 삽입시킨 고정용 블럭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힌지케이스를 케이스홀더에 착탈가능하게 취부함에 있어서 힌지케이스와 다리부를 일체로 구성하고, 그 힌지케이스를 상기 케이스홀더에 삽입시킨 동시에 그 좌우방향운동을 규제하기 위해 각 힌지케이스 사이에 고정용 블럭을 삽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KR1019980002088A 1997-01-24 1998-01-23 서양식변기의변좌또는덮개등의개폐장치 KR100287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435 1997-01-24
JP9011435A JPH10201668A (ja) 1997-01-24 1997-01-24 洋式便器の便座や便蓋等の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776A KR19980070776A (ko) 1998-10-26
KR100287515B1 true KR100287515B1 (ko) 2001-04-16

Family

ID=1177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088A KR100287515B1 (ko) 1997-01-24 1998-01-23 서양식변기의변좌또는덮개등의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09568A (ko)
JP (1) JPH10201668A (ko)
KR (1) KR100287515B1 (ko)
TW (1) TW35255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185A (ja) * 1998-06-16 2000-01-0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洋式便器の便座や便蓋の開閉用ヒンジのホルダー
EP1134670A4 (en) 1999-08-27 2006-04-26 Sony Corp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DE10051805B4 (de) * 2000-10-18 2005-04-14 Hamberger Industriewerke Gmbh WC-Sitzgelenk
TW521117B (en) * 2001-01-04 2003-02-21 Kato Electric & Machinary Co A snap fit hinge
US6694536B1 (en) 2002-08-14 2004-02-24 Basil Haygreen Fragrant water closet closer
US7512426B2 (en) * 2003-04-23 2009-03-31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US7426406B2 (en) * 2003-04-23 2008-09-16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US20060034601A1 (en) * 2003-04-23 2006-02-16 Tage Andersson Multi-function two panel electronic device with 360° relative motion
US7155266B2 (en) * 2004-04-21 2006-12-26 Nokia Corporation Hinge for fold phone
DE60310045T2 (de) * 2003-05-20 2007-06-21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Kartal Scharniersystem mit Dämpfer
CA2441491A1 (en) * 2003-09-12 2005-03-12 Alain Lamoureux Counterbalancing device for tanning systems
US7140074B2 (en) * 2004-01-20 2006-11-28 Phoenix Korea Co., Ltd.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device
CN101126411B (zh) * 2004-02-04 2010-06-02 Phoenixkorea株式会社 便携式电子装置
JP4111957B2 (ja) * 2004-04-09 2008-07-02 フェニックス コリア 株式会社 回転して広げられたり折り畳まれたりできる二つの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装置及びその携帯装置に使用されるヒンジ装置
RU2333716C1 (ru) 2004-04-22 2008-09-20 Экзакибаси Япи Гереклери Санайи Ве Тикарет А.С. Механизм медленного закрывания туалетных крышек
TWM257602U (en) * 2004-04-27 2005-02-2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structure
US7414834B2 (en) * 2005-04-21 2008-08-1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FR2898033B1 (fr) * 2006-03-02 2010-07-30 Daniel Mauduit Toilettes a palier et tourillon munis de moyens d'attraction magnetique
ITMI20071193A1 (it) * 2007-06-13 2008-12-14 Cavagna & Sipex Internat S R L Dispositivo frenante interponibile tra elementi reciprocamente ruotabili.
CN101496702B (zh) * 2008-01-30 2011-03-30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自动翻盖装置及具有所述自动翻盖装置的组合
US7900323B2 (en) * 2008-10-02 2011-03-08 Shin Zu Shing Co., Ltd. Hinge and a lamp with the hinge
DE102008058580B4 (de) 2008-11-23 2012-10-11 Hamberger Industriewerke Gmbh WC-Sitzgelenk
US20110030131A1 (en) * 2009-08-04 2011-02-10 Kun Yuan Tong Upright lifted toilet seat
DE102010033469A1 (de) * 2010-05-31 2011-12-01 Dr. Saul Wc Futur Gmbh Toilettensitz- und/oder Toilettendeckelanhebe- und -absenkvorrichtung
JP6413346B2 (ja) * 2014-05-23 2018-10-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便座ユニット
SK7136Y1 (sk) 2014-07-18 2015-06-02 Pancurakova Zuzana Záves sedacej súpravy k WC mise
CZ29913U1 (cs) 2015-09-22 2016-10-31 Rawa Design S.R.O. Sanitární souprava s brzděným sklápěním
US10299639B2 (en) 2016-05-26 2019-05-28 Kohler Mira Limited Plumbing fixture lid and seat assembly
WO2020068098A1 (en) * 2018-09-28 2020-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locks with lock brackets
CN112145542B (zh) * 2019-06-27 2022-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模组及折叠式电子设备
US11564538B2 (en) 2019-10-21 2023-01-31 Bemis Manufacturing Company Hinge post for toilet seat
PL243048B1 (pl) 2021-03-05 2023-06-12 Kamil Kondracki Mechanizm otwierający pokrywę deski sedesowej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066A (ja) * 1992-04-10 1993-11-02 Toto Ltd 便座及び/又は便蓋の取付け構造
JPH06237877A (ja) * 1993-02-19 1994-08-30 Toto Ltd 便座及び便蓋の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066A (ja) * 1992-04-10 1993-11-02 Toto Ltd 便座及び/又は便蓋の取付け構造
JPH06237877A (ja) * 1993-02-19 1994-08-30 Toto Ltd 便座及び便蓋の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776A (ko) 1998-10-26
JPH10201668A (ja) 1998-08-04
US6009568A (en) 2000-01-04
TW352559U (en) 199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515B1 (ko) 서양식변기의변좌또는덮개등의개폐장치
KR100251856B1 (ko) 복합토크힌지
KR19980024758U (ko) 복합토크힌지
JP4308254B2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US7100240B2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JP2000000185A (ja) 洋式便器の便座や便蓋の開閉用ヒンジのホルダー
JP3732651B2 (ja) 開閉体の開閉用ヒンジ
KR200177386Y1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JP3431788B2 (ja) 便座および便蓋のダンパユニット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KR101029861B1 (ko) 도어 힌지용 댐퍼 어셈블리
JP3475307B2 (ja) 自動復帰型ヒンジ
KR200357309Y1 (ko) 도어용 자유경첩
JP4701023B2 (ja) ヒンジ構造
KR0118764Y1 (ko)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JPH1078027A (ja) ヒンジ装置
CN217957110U (zh) 一种移动终端弹簧铰链
JP2000116568A (ja) 洋式便器の便座や便蓋の開閉装置
KR200374143Y1 (ko) 힌지어셈블리
EP3763261B1 (en) A cushioned and durable coupling hinge for a toilet
KR200331586Y1 (ko) 도어개폐장치
KR200165505Y1 (ko) 전화기의 플립 힌지장치
KR200364025Y1 (ko) 커버 개폐용 힌지장치
KR200243514Y1 (ko)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KR960013302A (ko) 변기의 앉은자리나 뚜껑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