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386Y1 - 개폐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386Y1
KR200177386Y1 KR2019970029821U KR19970029821U KR200177386Y1 KR 200177386 Y1 KR200177386 Y1 KR 200177386Y1 KR 2019970029821 U KR2019970029821 U KR 2019970029821U KR 19970029821 U KR19970029821 U KR 19970029821U KR 200177386 Y1 KR200177386 Y1 KR 200177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tating shaft
brackets
ca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757U (ko
Inventor
가네츠구 미아자키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미쯔요시
Publication of KR19980024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좌나 카버 등의 개폐체의 회전토크를 제어할 수 있고, 회전 제어수단을 작용시킨 회전축을 지니는 케이스체를 교화가능하고 다양한 토크곡선을 창출할 수 있는 개폐체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변기 본체의 후부 상단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브라켓트와, 그 각 브라켓트에 서로 대향시켜서 그 일측부를 지지결합시킨 한쌍의 케이스체와, 그 각 케이스체의 나머지 부분을 내부에 수납시켜서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좌 또는 카버의 취부부를 지니는 홀더와, 카버 또는 변좌의 취부부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케이스체에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각각 회전 제어수단을 작용시킨 회전축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축의 일방의 것은 상기 홀더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일방의 것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한쌍의 케이스체의 일부를 각 한쌍의 브라켓트에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키고, 상기 한쌍의 케이스체의 다른 부분을 상기 홀더 내에 착탈가능하게 수납시키며, 또 그 한쌍의 지지부재를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및/또는 케이스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체의 개폐장치
본 고안은, 특히 서양식 변기의 변좌나 커버와 같은 변기 본체에 대해 개폐되고 또한 개방시 급격한 낙하를 방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개폐체의 채용하기 적합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에서는 아직 그다지 사용되지 않지만 미국에서는 목재로 만든 변좌나 카버가 서양식 변기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를 위한 개폐장치는 간단한 것으로 변좌나 카버의 회전토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은 아직 볼 수가 없다.
이러한 목재로 된 변좌나 카버는 합성수지제의 것과 비교해서 중량이 두거움으로 급격하게 낙하하기 쉽고 또 큰 소음이 발생하거나 손가락이 끼어 다치거나 또는 개방시에 힘이 들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목제의 변좌나 카버를 개방할 때에 가볍게 개방할 수 있고 개방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 개방시에 급격하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장치가 크게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요망은 다양하므로서 다양한 토크곡선을 가지는 회전제어수단을 채용시킨 회전축을 지니는 케이스체를 자유로 교환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하면 하나의 개폐장치로 여러가지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변좌나 카버 등의 개폐체를 개방시킬 때에 가볍게 개방시킬 수 있고 개방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시에 급격하게 낙하하지 않도록 구성된 개폐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개폐장치를 양식변기의 변좌(便座)나 카버등의 개페체에 적용한 경우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확대일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일부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좌측 회전제어수단(A)의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우측 회전제어수단(B)의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단면도.
제7도는 변좌나 카버 등의 개폐체를 90도까지 개방시킨 상태의 평면도.
제8도는 제3도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좌측 회전제어수단 B : 우측 회전제어수단
1 : 브라켓트 1a : 취부부
1b : 지지부 2 : 변기 본체
4 : 좌측 케이스체 5 : 우측 케이스체
7c : 지지축 8 : 회전통체
9 : 회전통체 10 : 홀더
11 : 카버 12,21 : 토션스프링
15,24 : 회전축 15a,24a : 변형축부
15b,24b : 대경부 17,25 : 고정캠
17c,18b,25c,27b : 요부 17d,18c,25d,27c : 돌출부
18,27 : 회전미끄럼캠 19,28 : 압축스프링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변기 본체의 후부 상단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브라켓트와, 그 각 브라켓트에 서로 대향시켜서 그 일측부를 지지결합시킨 한쌍의 케이스체와, 그 각 케이스체의 나머지 부분을 내부에 수납시켜서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변좌 또는 카버의 취부부를 지니는 홀더와, 카버 또는 변좌의 취부부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케이스체에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각각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킨 회전축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축의 일방의 것은 상기 홀더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일방의 것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은, 변기 본체의 후부 상단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브라켓트와, 그 각 브라켓트에 서로 대향시켜서 그 일측부를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케이스체와, 그 각 케이스체의 다른 부분을 착탈가능하게 내부에 수납시켜서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변좌 또는 카버의 취부부를 지니는 홀더와, 카버 또는 변좌의 취부부를 지니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케이스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지지부재와로 구성되며, 상기 각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각각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킨 회전축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축의 일방의 것은 상기 홀더와 함께 회전 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일방의 것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회전축에 작용시킨 회전제어수단을, 그 회전축과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축에 적용시킨 회전제어수단을, 케이스체 내부에 설치한 고정캠과, 그 고정캠에 대향시켜 회전축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또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된 회전미끄럼캠과, 그 회전미끄럼캠을 고정캠 측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회전축에 작용시킨 회전제어수단을, 그 회전축에 작용시킨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과, 케이스체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삽입, 관통시킨 고정캠과, 그 고정캠에 대향시켜서 상기 회전축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또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된 회전미끄럼캠과, 그 회전미끄럼캠을 고정캠 측의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미끄럼캠을 상기 고정캠측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설치한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한쌍의 케이스체의 일부를 상기 각 한쌍의 브라켓트에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키고, 상기 한쌍의 케이스체의 다른 부분을 상기 홀더 내로 착탈가능하게 수납시키며, 또,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를 상기 브라켓트 및/또는 케이스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홀더의 취부부에 취부된 일방의 개폐체를 개폐시킴으로써 일방의 회전통체만이 일방의 브라켓트를 지점으로 회전하게 되고, 다른 일방의 회전통체는 회전하지 아니하게 된다. 지지부재의 취부부에 취부된 다른 일방의 개폐체를 개폐시키면, 다른 일방의 회전통체만이 다른 일방의 브라켓트를 지점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일방의 회전통체는 회전하지 아니하게 된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브라켓트는 제거함이 없이 그 브라켓과 홀더에 대해서는 케이스체를, 그 케이스체에 대해서는 지지부재를, 각각 자유로 착탈시켜 교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소형으로도 개폐체의 특정 회전방향의 회전토크를 부정하는 큰 반회전토크를 창출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의 탄력과 캠의 형상을 조합시켜 개폐체의 개폐모우멘트에 맞는 힌지토크를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에 여러가지의 액센트를 적용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3과 청구항 4의 작용을 모두 갖는다.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한 작용이외에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모두 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는,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카버 등의 개폐체에 적용된 것이 설명되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됨이 없이 여러가지 개폐체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1,1은 취부부(1a,1a)와 지지부(1b,1b)가 형성된 한쌍의 브라켓트로서, 그 브라켓트(1,1)의 취부부(1a,1a)는 서양식 변기의 변기본체(2)의 후부상단에 취부볼트(3,3)를 이용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전된다. 지지부(1b,1b)에 형성된 키홈을 지니는 지지공(1c)에는 통형상의 케이스체(4,5)가 일단을 삽입시켜서 지지되고, 그 외주에 설치한 결합돌기(4a,5a)를 지지공(1c,1c)에 형성된 키홈(1d,1d)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스체(4,5)가 그 자체 회전함이 없이 브라켓트(1,1)에 지지된다.
각 브라켓트(1,1)의 외측부에는 목제 등으로 된 변좌(6)의 지지부재(7,7)가 한쌍 배치되어 있고, 그 지지부재(7,7)의 취부부(7a,7a)에는 변좌(6)의 후단부가 고착됨과 동시에 축지지부(7b,7b)에서 돌출되게 설치된 지지축(7c,7c)을 브라켓트(1,1)의 지지부(1b,1b)에 형성된 관통공(1e,1e)에서 삽입시켜 케이스체(4,5)내의 회전통체(8,9)에 설치한 축경(8a,9a)에 지지시키고 있다. 그 중, 좌측의 지지축(7c)과 이것이 삽입되는 축경(8a)은 원형단면이지만, 우측의 지지축(7d)과 이것이 삽입되는 축경(9a)은 대략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통체(8)는 좌측의 지지축(7c)에 의해서는 좌측의 지지부재(7)에 결속됨이 없이 독자적으로 회전하지만, 우측으로 지지축(7d)에 의해서는 우측의 지지부재(7)와 회전통체(9)가 함께 회전에 대해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브라켓트(1,1)사이에는, 통부(10a)의 그 통부(10a)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취부부(10b,10b)로 된 홀더(10)가 배치되고, 케이스체(4,5)를 그 통부(10a)의 수용공(10c,10d)내에 수용시키고 있다. 그리고, 취부부(10b,10b)에는 카버(11)의 후단부가 고정된다.
다음에, 좌측 회전제어수단(A)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측 케이스체(4)의 일측부에서 브라켓트(1)의 지지부(1b)에 지지되고 결합된 부분에서는 상술한 회전통체(8)의 일측부가 회전가능하게 수납되고, 그 회전통체(8)의 외주에는 토션스프링(12)이 설치되며, 그 토션스프링(12,21)의 일단부를 좌측 케이스체(4)에, 타단부를 칼라(13)에 결속시키고 있다. 또, 14는 0 링이다. 칼라(13)는 회전축(15)의 일단부와 계합하여 두고, 취부나사(16)에 의해 일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회전축(15)은, 변형축부(15a)의 일측부를 격벽(4b)에 지지시킬과, 타단부에 대경부(15b)를 형성하여 케이스체(4) 내부에 지지시킴으로써 케이스체(4)내의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수납된다. 또, 15c는 o링이다. 그 회전축(15)에는 고정캠(17)과 회전미끄럼캠(18)이 그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17a)과 변형공(18a)에 변형축부(15a)를 삽입시키거나 또는 계합시켜 취부되고, 고정캠(17)은 격벽(4b)에 형성된 계합공(4c,4c)에 돌기(17b,17b)를 결합시켜서 회전불가능하게 그 격벽(4b)에 고정되지만, 회전미끄럼캠(18)은 회전축(15)과 함께 회전하고, 또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그 회전미끄럼캠(18)과 대경부(15b)사이에는 그 회전축(15)의 주위에 압축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미끄럼캠(18)이 항상 고정캠(17)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고정캠(17)과 회전미끄럼캠(18)에는 대향위치에 각각 한쌍의 요부(17c,17c;18b,18b)와 돌출부(17d,7d,18c,18c)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5)의 대경부(15b)측에는 대략 타원형상단면의 계합공(15d)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계합공(15d)에 홀더(10)내부의 사절벽(10e)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타원형 단면의 지지축(10f)이 삽입, 결합되어 있어, 회전축(15)이 홀더(1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우측 회전제어수단(B)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측 케이스체(5)의 일측부에서 브라켓트(1)의 지지부(1b)에 지지, 결합시킨 부분에는 상술한 회전통체(9)의 일측부가 회전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그 회전통체(9)의 외주에는 토션 스프링(21)이 설치되고, 그 토션스프링(21)의 일단부는 우측 케이스체(5)에, 타단부는 칼라(22)에 결속되어 있다. 또, 23은 0링이다. 칼라(22)는 회전통체(9)의 일단부에서 돌출시킨 변형축부(9b)와 계합하여 두고, 그 변형축부(9b)는 회전축(24)의 대경부(24b)의 축심부 축방향으로 형성된 변형계합공(24c)내에 삽입되며, 대경부(24b)의 반경방향에서 압입시킨 고정판(25)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회전축(24)은, 변형측부(24a)의 일측부를 격벽(5b)에 지지시키고 타단부에 대경부(24b)를 형성하여 케이스체(5)의 내부에 지지시킴으로써, 우측 케이스체(5)내의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회전축(24)은 또 취부나사(29)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격벽(5b)에 계합되어 있다. 회전축(24)에는 고정캠(26)과 회전미끄럼캠(27)이 그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26a)과 변형공(27a)에 변형축부(24a)를 삽입 또는 계합시켜 취부되고, 고정캠(26)은 격벽(5b)에 설치한 계합공(5c,5c)에 돌기(26b,26b)를 결합시켜 회전불가능하게 그 격벽(5b)에 고정되지만, 회전미끄럼캠(27)은 회전축(24)과 함께 회전하고 또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회전미끄럼캠(27)과 대경부(15b)사이에는 그 회전축(24)의 주위에 압축스프링(28)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미끄럼캠(27)이 항상 고정캠(26)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고정캠(26)과 회전미끄럼캠(27)에는 대향위치에 각각 한쌍의 요부(26c,26c;27b,27b)와 돌출부(26d,26d;27c,27c)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4)의 대경부(24b)와 회전통체(9)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축(24)이 회전통체(9)를 개재하여 변좌(6)의 우측 지지부재(7)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좌측 회전제어수단(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카버(11)를 개폐시키면, 홀더(10)가 함께 회전하지만, 케이스체(4)는 브라켓트(1)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15)은 홀더(10)의 지지축(10f)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10)의 회전과 함께 회전축(15)이 회전한다.
먼저, 카버(11)를 폐쇄한 상태에서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12)은 최대로 감겨진 상태에 있고, 고정캠(17)과 회전미끄럼캠(18)은 그 캠부(17e,18d)의 돌출부(17d,18c)가 서로 접촉한 상태이어서 압축스프링(19)도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카버(11)를 개방시키면, 토션스프링(12)은 카버(11)를 개방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회전미끄럼캠(18)의 돌출부(18c)가 고정캠(17)의 돌출부(17d)에서 요부(18d)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되어, 카버(11)는 그 본래의 중량을 거의 느낌이 없이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90도의 개방각도까지 개방되면, 토션스프링(12)의 토션력이 저하하고 회전미끄럼캠(18)의 돌출부(18c)가 고정캠(17)의 요부(18b)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안정되게 되고, 자연적으로 낙하하는 일이 없게 된다. 카버(11)는 그 90도의 개방각도 이상인 약 110도 까지 여는 것이 가능하고, 이 위치에서 도시가 생략된 스토퍼, 예를 들면 칼라(13)의 외주와 케이스체(4)의 내벽사이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정지시키던가 도는 변기본체(2)의 후부에 도시가 생략된 물탱크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물탱크에 접촉하여 정지된다.
개방된 카버(11)를 닫힐 때에는 회전미끄럼캠(18)의 돌출부(18c)가 고정 캠(17)의 요부(17c)에서 경사면을 압축스프링(1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회전하게 되는 저항과, 토션스프링(12)의 반발력에 의해 감속되고 급격하게 낙하되는 일은 없게 된다.
다음에 우측 회전제어수단(B)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변좌(6)를 개폐시키더라도, 홀더(10)가 함께 회전하지는 아니한다. 케이스체(5)는 브라켓트(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회전축(24)은 회전통체(9)를 개재하여 변좌(6)의 지지부재(7)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변좌(6)의 개폐동작과 함께 회전통체(9)를 개재하여 회전축(24)이 회전한다.
먼저, 변좌(6)를 폐쇄한 상태에서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21)은 최대로 감겨진 상태에 있고, 고정캠(26)과 회전미끄럼캠(27)은 그 캠부(26e,27d)의 돌출부(26d,27c)가 서로 접촉한 상태이어서 압축스프링(28)도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변좌(6)를 개방시키면, 토션스프링(21)은 변좌(6)를 개방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회전미끄럼캠(27)의 돌출부(27c)가 고정캠(26)의 돌출부(26d)에서 요부(27b)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되어, 변좌(6)는 그 본래의 중량을 거의 느낌이 없이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90도의 개방각도까지 개방되면, 토션스프링(21)의 토션력이 저하하고 회전미끄럼캠(27)의 돌출부(27c)가 고정캠(26)의 요부(26b)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안정되게 되고, 자연적으로 낙하하는 일이 없게 된다. 변좌(6)는 그 90도의 개방각도 이상인 약 100도 까지 여는 것이 가능하고, 이 위치에서 도시가 생략된 스토퍼, 예를 들면 칼라(22)의 외주와 케이스체(5)의 내벽사이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저지시키던가 또는 변기본체(2)의 후부에 도시가 생략된 물탱크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물탱크에 접촉하여 정지된다.
개방된 변좌(6)를 닫힐 때에는 회전미끄럼캠(27)의 돌출부(27c)가 고정캠(26)의 요부(26c)에서 경사면을 압축스프링(2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회전하게 되는 저항과, 토션스프링(21)의 반발력에 의해 감속되고 급격하게 낙하되는 일은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이미 사용중인 서양식 변기의 변좌나 카버의 종래의 개폐장치를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공장의 라인에 있는 것도 설계변경없이 바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서양식 변기의 변좌나 카버를 개방시킬 때에 그 중량을 거의 느낌이 없이 개방시킬 수 있고 직립상태에서 자유낙하 하는 일은 없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또, 개방상태에서 급격하게 낙하하는 일이 없으므로 조작감이 향상되고 낙하시에 큰 소음을 일으키거나 손가락등이 끼어 다치거나 할 염려가 없는 등의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구성부품의 크기를 공통으로 하여 제작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개폐체의 특정 회전방향의 회전토크를 부정하는 큰 반회전토크를 창출할 수 있으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개폐체의 개폐모우멘트에 맞는 회전토크를 창출할 수 있으므로 개폐체의 개폐조작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3과 청구항 4의 효과를 모두 갖는다.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한 효과이외에 청구항2의 구성에 의한 효과까지 갖는다.

Claims (6)

  1. 변기 본체의 후부 상단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브라켓트와, 그 각 브라켓트에 서로 대향시켜서 그 일측부를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케이스체와, 그 각 케이스체의 나머지 부분을 내부에 수납시켜서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좌 또는 카버의 취부부를 지니는 홀더와, 카버 또는 변좌의 취부부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케이스체에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각각 회전 제어수단을 작용시킨 회전축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축의 일방의 것은 상기 홀더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일방의 것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2. 변기 본체의 후부 상단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브라켓트와, 그 각 브라켓트에 서로 대향시켜서 그 일측부를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케이스체와, 그 각 케이스체의 다른 부분을 착탈가능하게 내부에 수납시켜서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변좌 또는 카버의 취부부를 지니는 홀더와, 카버 또는 변좌의 취부부를 지니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케이스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지지부재와로 구성되며, 상기 각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각각 회전제어수단을 작용시킨 회전축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축의 일방의 것은 상기 홀더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일방의 것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3. 변기 본체의 후부 상단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브라켓트와, 그 각 브라켓트에 서로 대항시켜서 그 일측부를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케이스체와, 그 각 케이스체의 나머지 부분을 내부에 수납시켜서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좌 또는 카버의 취부부를 지니는 홀더와, 카버 또는 변좌의 취부부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케이스체에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각각 회전 제어수단을 작용시킨 회전축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축의 일방의 것은 상기 홀더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일방의 것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 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회전축에 작용시킨 회전제어수단을, 그 회전축과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작용시킨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4. 변기 본체의 후부 상단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브라켓트와, 그 각 브라켓트에 서로 대향시켜서 그 일측부를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케이스체와, 그 각 케이스체의 나머지 부분을 내부에 수납시켜서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좌 또는 카버의 취부부를 지니는 홀더와, 카버 또는 변좌의 취부부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케이스체에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각각 회전 제어수단을 작용시킨 회전축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축의 일방의 것은 상기 홀더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일방의 것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회전축에 적용시킨 회전제어수단을, 케이스체 내부에 설치한 고정캠과, 그 고정캠에 대향시켜 회전축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또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된 회전미끄럼캠과, 그 회전미끄럼캠을 고정캠 측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5. 변기 본체의 후부 상단 양측부에 취부되는 한쌍의 브라켓트와, 그 각 브라켓트에 서로 대향시켜서 그 일측부를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케이스체와, 그 각 케이스체의 나머지 부분을 내부에 수납시켜서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좌 또는 카버의 취부부를 지니는 홀더와, 카버 또는 변좌의 취부부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케이스체에 지지, 결합시킨 한쌍의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 케이스체의 내부에는 각각 회전 제어수단을 작용시킨 회전축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회전축의 일방의 것은 상기 홀더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일방의 것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회전축에 작용시킨 회전제어수단을, 그 회전축에 작용시킨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과, 케이스체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삽입, 관통시킨 고정캠과, 그 고정캠에 대향시켜서 상기 회전축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또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취부된 회전미끄럼캠과, 그 회전미끄럼캠을 고정캠 측의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미끄럼캠을 상기 고정캠측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설치한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케이스체의 일부를 상기 각 한쌍의 브라켓트에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키고, 상기 한쌍의 케이스체의 다른 부분을 상기 홀더 내로 착탈가능하게 수납시키며, 또,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를 상기 브라켓트 및/또는 케이스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지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KR2019970029821U 1996-10-28 1997-10-28 개폐체의 개폐장치 KR2001773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85703 1996-10-28
JP8285703A JPH10131943A (ja) 1996-10-28 1996-10-28 開閉体の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57U KR19980024757U (ko) 1998-07-25
KR200177386Y1 true KR200177386Y1 (ko) 2000-04-15

Family

ID=1769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821U KR200177386Y1 (ko) 1996-10-28 1997-10-28 개폐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42235A (ko)
JP (1) JPH10131943A (ko)
KR (1) KR200177386Y1 (ko)
CN (1) CN2321375Y (ko)
TW (1) TW33646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756A (ja) * 1997-03-14 1998-09-2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洋式便器の便座と便蓋の開閉用ヒンジ
GB2355044B (en) * 1999-10-08 2003-07-02 Nokia Mobile Phones Ltd Hinge
DE60310045T2 (de) * 2003-05-20 2007-06-21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Kartal Scharniersystem mit Dämpfer
EP1737322B1 (en) 2004-04-22 2008-08-13 Eczacibasi Yapi Gerecleri Sanayi Ve Slow closing mechanism for toilet covers
US7793362B1 (en) * 2007-06-04 2010-09-14 Owen Stoby Toilet seat lift system
JP6255736B2 (ja) * 2013-06-21 2018-01-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装置
US9936843B2 (en) 2013-09-25 2018-04-10 Dorel Juvenile Group, Inc. Combination footstool and child potty
CN106194985A (zh) * 2016-09-06 2016-12-07 江苏大亚铝业有限公司 一种阻尼定位转轴
US11564538B2 (en) 2019-10-21 2023-01-31 Bemis Manufacturing Company Hinge post for toilet seat
EP3995059A1 (en) * 2020-11-04 2022-05-11 Yiwu Yicubao Daily Necessities Co., Ltd. Mechanical toilet lid with automatic toilet seat turn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4947A (en) * 1935-06-27 1938-01-11 Leo B Joosten Sanitary device
US4780914A (en) * 1988-02-09 1988-11-01 Lin Hsien C Automatically lifting device for toilet seat
JPH0678703B2 (ja) * 1989-05-02 1994-10-0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粘性流体を用いたフラップ扉用ダンパー
US5279000A (en) * 1992-11-12 1994-01-18 Mercier William H Automatic toilet seat lowering hin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57U (ko) 1998-07-25
JPH10131943A (ja) 1998-05-22
US5842235A (en) 1998-12-01
CN2321375Y (zh) 1999-06-02
TW336468U (en) 199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515B1 (ko) 서양식변기의변좌또는덮개등의개폐장치
KR200177386Y1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KR19980024758U (ko) 복합토크힌지
KR100251856B1 (ko) 복합토크힌지
KR100316361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용 힌지
JP4308254B2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CN2309787Y (zh) 西式马桶的马桶坐圈和马桶盖的开关用合页
US20010004776A1 (en) Hinge device for supporting seat and seat lid of toilet bowl openably and closably
US6421842B1 (en) Holder for toilet-bowl seat and seat lid operating hinges
KR970002859Y1 (ko)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등의 개폐장치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KR100340226B1 (ko) 스프링 경첩의 탄력 조절장치
KR200357309Y1 (ko) 도어용 자유경첩
US6000069A (en) Compound torque hinge
KR950032931A (ko) 양식변기의 뚜껑이나 앉는자리 등의 개폐장치
KR0118517Y1 (ko) 양변기의 변기뚜껑이나 변기시트 등의 개폐장치
JP2000116568A (ja) 洋式便器の便座や便蓋の開閉装置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KR0167129B1 (ko) 변기의 앉은자리나 뚜껑의 개폐장치
KR200243514Y1 (ko)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KR940003834Y1 (ko) 오픈 쉘(open shell) 방식의 커버 힌지 구조
KR200249960Y1 (ko) 더블 타입으로 토오크가 발생되는 힌지 장치
JPH076539U (ja) ダンパー付ヒンジ
JPH1150738A (ja) ダンパー機能付蝶番
KR200198729Y1 (ko) 이단력 스프링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