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859Y1 -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등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등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859Y1
KR970002859Y1 KR2019930021483U KR930021483U KR970002859Y1 KR 970002859 Y1 KR970002859 Y1 KR 970002859Y1 KR 2019930021483 U KR2019930021483 U KR 2019930021483U KR 930021483 U KR930021483 U KR 930021483U KR 970002859 Y1 KR970002859 Y1 KR 970002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haft
rotating drum
drum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347U (ko
Inventor
아키라 소리마치
Original Assignee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토 지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토 지아키 filed Critical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9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등의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은 실시한 양변기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설명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좌측의 개폐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C-C선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에 대응한 것으로, 뚜껑을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개폐장치의 내용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8도는 제3도에 도시한 좌측의 개폐장치의 회전드럼의 좌측면도.
제9도는 제3도에 도시한 좌측의 개폐장치의 슬라이더의 평면도.
제10도는 제3도에 도시한 좌측의 개폐장치의 슬라이더의 정면도.
제11도는 제3도에 도시한 좌측의 개폐장치의 워셔의 평면도.
제12도는 제2도에 도시한 우측의 개폐장치의 회전드럼의 우측면도.
제1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우측의 개폐장치의 슬라이더의 우측면도.
제14도는 제2도에 도시한 우측의 개폐장치의 슬라이더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본체 3 : 브라켓
4 : 개폐장치 5 : 뚜껑
6 : 시트 7 : 샤프트
8 : 댐퍼드럼 11, 20 : 회전드럼
11b : 댐퍼홈 11c : 경사부
11d, 15b, 20c, 21c : 오목부 11e, 15c, 20d, 21a : 볼록부
11f : 긴구멍 11g : 점성오일
12 : 댐퍼기구 14 : 토션스프링
15, 21 : 슬라이더 16 : 콤프레션스프링
17 : 캠기구 21 : 슬라이더
25, 28 : 미끄럼이동캠부 26, 27 : 회전캠부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고안은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 종류의 개폐장치로서 변기뚜껑이나 변기시트 등을 개방상태로 안정정지 유지시키고, 폐쇄시에는 급격히 낙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변기본체상에 고착한 부착부재에 힌지핀을 통하여 부착한 변기뚜껑이나 시트등과 사이에 힌지핀에 고리형으로 감아 토션스프링을 탄설한 것이 공지의 것이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토션스프링은 그 자체가 토크에 편차가 있고, 토크가 직선적으로 증감하기 때문에 이 토크의 편차를 보정시켜 줄 필요가 있을 뿐더러 토션스프링의 토크가 강하면 시트 등의 폐쇄상태가 충분치 않고, 약간 뜨는 듯하게 되고, 토크가 약하면 개방상태에 있어서 자립상태가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 등을 가볍게 열도록 하고, 자립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며, 게다가 폐쇄시에 부드럽게 닫을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변기 본체상에 부착한 브라켓에 일단부를 부착하는 구조의 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시트나 뚜껑의 한쪽의 부착부를 함께 회전하도록 걸어 부착하고 다른쪽의 부착부를 회전자유롭게 축지지하는 구조의 회전드럼과, 상기 샤프트에 고리형상으로 감으면서 그 샤프트와 상기 회전드럼 사이에 탄설된 토션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와 회전드럼 사이에 설치된 댐퍼기구와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으로 제어하는 캠기구로 이루어지고, 이 캠기구를 상기 샤프트에 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압되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더에 설치한 미끄럼이동캠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상기 슬라이더와 접하는 측에 설치한 회전캠부로 구성한 것이다.
그럴 경우에 본 고안은 댐퍼기구를 샤프트 하단부에 설치한 댐퍼드럼과, 이 댐퍼드럼을 내부에 수장(收奬)하도록 회전드럼에 설치된 댐퍼홈과, 이 댐퍼홈과 상기 댐퍼와의 사이에 충전된 점성오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캠기구를 스스로가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샤프트에 장착시킨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한 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압하도록 탄설한 콤플레션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단면에 설치한 오목부 및 블록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이동 캠부와, 이 미끄럼이동캠부와 그 회전각도에 의해 맞닿는 위치를 변하도록 회전드럼에 설치한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캠부로 구성할 수 있다.
[작용]
회전드럼에 그 부착부를 부착한 변기뚜껑이나 시트 등은 토션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본래의 중량을 느끼지 않고 가볍게 열 수 있고, 토션스프링에 너무 강한 토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캠기구에 의해 안정적으로 자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폐쇄동작 도중에 손을 떼더라도 댐퍼기구에 의해 조용히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댐퍼기구에 있어서, 댐퍼드럼과 댐퍼홈 사이에 충전시킨 점성의 그리스에 의해 회전드럼의 회전이 제어된다.
그리고, 한 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을 가압하고 있는 슬라이더에 설치한 오목부 및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이동캠과 회전드럼에 설치한 오목부 및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캠부가 이 회전드럼의 개방각도에 의해 맞닿는 위치를 바꾸어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한다.
[실시예]
도면을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도 내지 제2도에 있어서, 1은 변기본체, 2는 물탱크이다. 변기본체(1) 상부후방의 양측부에는 한쌍의 브라켓(3, 3)이 고착되어 있고, 이 브라켓(3, 3)에 일단부를 고정시킨 한쌍의 개폐장치(4, 4)를 통하여 뚜껑(5)이나 시트(6)가 개폐자재로 변기본체에 부착되어 있다.
즉, 뚜껑(5) 및 시트(6)의 각 부착부(5a, 5b·6a, 6b)의 각 한쪽(5a, 6b)은 후기하는 회전드럼(11, 20)외주에 돌설한 돌조(11a, 20a)에 의해 각 회전드럼(11, 20)에 고착되어 있으나 다른쪽 부착부(5b, 6a)는 각 회전드럼(11, 20)에 회전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이 사실로 인하여 뚜껑(5)이나 시트(6)의 개폐조작시에는 한쌍의 개폐장치(4, 4)중 각각 한쪽의 회전드럼(11, 20)이 함께 회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제3도 내지 제11도는 개폐장치의 내부구조와 그 기능을 나타낸다. 이하에 제2도의 좌측개폐장치(4)를 설명하나, 우측 개폐장치(4)도 후기와 같이 일부구조가 다를 뿐으로 다른 것은 동일하다.
7이 샤프트이고, 이 샤프트(7)는 브라켓(3)에 설치한 변형구멍(3a)에 그 변형구멍(3a)과 단면이 같은 형상으로 구성한 부착부(7a)를 끼워넣음으로서 그 브라켓(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샤프트(7)는 다시 부착부(7a)에 계속하여 축방향으로 순차플랜지부(7b), 대경부(7c), 중경부(7d) 및 소경부(7e)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경부(7c)에는 그 외주에 둘레홈(7f)이, 단면에서 축방향으로 걸림구멍(7g)이 각각 아울러 설치됨과 동시에 소경부(7e)의 축방향에는 아울러 결림홈(7h, 7h)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소경부(7e)단부에는 플랜지부(8a)와 2개의 둘레홈(8b, 8c)을 갖는 댐퍼드럼(8)이 특히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형구멍(9a)을 갖는 워셔를 통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착되어 있다.
샤프트(7)의 플랜지부(7B)와 댐퍼드럼(8)의 플랜지부(8A)사이에는 샤프트(7)의 대경부(7c), 중경부(7d), 소경부(7e) 및 댐퍼드럼(8)을 내부에 수납시켜서 양단부 개방의 회전드럼(11)이 회전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드럼(11)은 외주의 일측부에 돌조(11a)를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는 특히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드럼(8)을 끼워넣은 링 모양의 댐퍼홈(11b)과, 특히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11c, 11c)에서 접속되어 번갈아 대향 설치한 각각 활모양의 각 한쌍의 오목부(11d, 11d) 및 블록부(11e, 11e)와, 같은 활모양의 긴구멍(11f)을 가지고, 이 댐퍼홈(11b)과 댐퍼드럼(8), 및 양자간에 충전시킨, 가령 실리콘 오일과 같은 점성오일(11g)로 댐퍼기구(12)를 구성하고 있다.
각 둘레홈(7f, 8b, 8c)에는 O링(13a, 13b, 13c)이 장착되고 , 외부로부터의 수분침입을 방지하고, 또한 점성오일(11g)이 외부로 새지않도록 연고되어 있다.
샤프트(7)와 회전드럼(11)과의 사이에는 양단부를 걸림구멍(7g)과 긴구멍(11e)에 걸리게 하고, 다시 중경부(7d)에 고리형상으로 감으면서 토션스프링(14)이 탄설되어 있다.
샤프트(7)의 소경부(7e)에는 슬라이더(15)가 특히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내측돌기부(15a, 15a)를 제3도에 도시한 걸림홈(7h, 7h)에 끼워넣으면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15)단부와 중경부(7a)와의 사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경부(7e)에 고리형상으로 감겨 콤프레선스프링(16)이 탄설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5) 타단부에는 특히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갈아 대향한 위치에 오목부(15b, 15b)와 볼록부(15c, 15c)로 이루어지는 미끄럼이동캠부(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미끄럼이동캠부(25)의 오목부(15b, 15b)와 볼록부(15c, 15c)는 회전드럼(11)에 설치한 각 한쌍의 오목부(11d, 11d) 및 볼록부(11e, 11e)로 이루어지는 회전캠부(26)와 맞닿아 있다.
그리고, 회전드럼(11)의 오목부(11d, 11d)와 볼록부(11e, 11e)로 이루어지는 회전캠부(26)와 슬라이더(15)의 오목부(15b, 15b)와 볼록부(15c, 15c)로 이루어지는 미끄럼이동캠부(25)로 캠기구(17)를 구성하고 있다.
제7도는 뚜껑(5)을 전개시킨상 상태에 있어서의 캠기구(17)의 상태를 나타내고, 콤프레션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해 회전캠부(26)측에 가압되는 슬라이더(15)의 미끄럼이동캠부(25)의 각 볼록부(15c, 15c)가 회전드럼(11)의 회전캠부(26)의 오목부(11d, 11d)에 끼워져서 뚜껑(5)의 자립상태를 유지시키고 있다.
다음에, 우측의 개폐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것은 제2도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0)에 설치한 돌조(20a)가 토션스프링을 내포한 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상기 한 바와 같이 시트(6) 한쪽의 부착부(6b)가 이 돌조(20a)를 설치한 부분에 회전드럼(20)과 함께 회전하도록 끼워붙여지고, 그 옆에는 뚜껑(5)의 부착부(5b)가 회전자재로 축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드럼(20)중에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20b, 20b)와 회전캠부(27)를 구성하는 오목부(20c, 20c) 및 볼록부(20d, 20d)의 위치가 앞의 회전드럼(11)의 것과 다를 뿐으로 다음은 같다.
슬라이더(21)는 제13도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부(21a, 21a)와 오목부(21c, 21c)로 미끄럼이동캠부(28)를 구성하고 있는데, 볼록부(21a, 21a)에 설치한 라운드(21b, 21b)의 위치가 앞의 슬라이더(15)의 것과 반대인 점을 제외하면 같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청구범위 제1항과 같이 구성하면 뚜껑이나 시티등의 중량을 감쇄하는 토션스프링과, 이 토션스프링의 토크를 제동하는 댐퍼기구와, 회전드럼의 회전을 클릭정지시키는 캠기구와의 상승효과에 의해 뚜껑이나 시트 등을 개폐하는 사용에 대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개폐감각을 주고, 그 자립상태로 안정적으로 걸림유지시킬 수 있을 뿐더러 뚜껑이나 시트등의 개방시에 있어서의 급격한 탄발이나 폐쇄시의 부상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2항과 같이 구성한다면 낭비없는 콤팩트한 구성에 의해 효율좋게 토션스프링의 토크를 제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3항과 같이 구성하면 캠기구가 회전드럼내에 수장되고, 외관상 세련된 것으로 할 수 있을 뿐아니라 간단한 기능으로 뚜껑이나 시트 등의 자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변기 본체상에 부착한 브라켓에 일단부를 부착하는 구조의 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시티나 뚜껑의 한쪽의 부착부를 함께 회전하도록 걸어부착하고 다른쪽의 부재를 회전자유롭게 축지지하는 구조의 회전드럼과, 상기 샤프트에 고리형상으로 감으면서 그 샤프트와 상기 회전드럼 사이에 탄설된 토션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와 회전드럼 사이에 설치된 댐퍼기구와,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기구로 이루어지고, 이 캠기구를 상기 샤프트에 한 방향으로 이동을 가압하여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더에 설치한 미끄럼이동캠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상기 슬라이더에 접하는 측에 설치한 회전캠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 등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댐퍼기구를 샤프트 타단부에 설치한 댐퍼드럼과, 이 댐퍼드럼을 내부에 수장하도록 회전드럼에 설치한 댐퍼홈과, 이 댐퍼홈과 상기 댐퍼드럼과의 사이에 충전된 점성오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 등의 개폐장치.
  3. 캠기구를 스스로가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되도록 샤프트에 장착시킨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한 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압하도록 탄설한 콤프레션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의 한쪽 단면측에 설치한 오목부 및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이동캠부와, 이 미끄럼이동캠부와 그 회전각도에 의해 맞닿는 위치를 변하도록 상기 회전드럼측에 설치한 오목부 및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캠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 등의 개폐장치.
KR2019930021483U 1992-10-30 1993-10-19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등의 개폐장치 KR97000285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16588 1992-10-30
JP4316588A JPH06142005A (ja) 1992-10-30 1992-10-30 洋式便器の便蓋や便座等の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347U KR940009347U (ko) 1994-05-17
KR970002859Y1 true KR970002859Y1 (ko) 1997-04-03

Family

ID=1807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483U KR970002859Y1 (ko) 1992-10-30 1993-10-19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등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42005A (ko)
KR (1) KR9700028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4683A (en) * 1994-10-20 1998-03-10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Hinge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seat or the seat lid of a toilet bowl
US5546612A (en) * 1995-04-24 1996-08-20 Johnson; Oriz W. Automatic domestic toilet seat lowering apparatus and disc brake assembly
US5768718A (en) * 1995-07-26 1998-06-23 Katoh Electrial Machinery Co., Lt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seat or the seat lid of a toilet bowl
US5918322A (en) * 1995-08-28 1999-07-06 Toto Ltd. Support structure for a toilet cover unit
JP4507388B2 (ja) * 2000-11-10 2010-07-21 Toto株式会社 便座装置
KR100420649B1 (ko) * 2001-09-27 2004-03-02 주식회사 삼홍사 비데의 시트 및 커버 회전봉
CN106166038A (zh) * 2016-06-28 2016-11-30 周海能 一种马桶盖及具有该马桶盖的马桶
CN112848244A (zh) * 2021-01-26 2021-05-28 宜宾学院 一种回转式管道扩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347U (ko) 1994-05-17
JPH06142005A (ja) 199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7385Y1 (ko) 복합토크힌지
US5996132A (en) Compound torque hinge
KR100287515B1 (ko) 서양식변기의변좌또는덮개등의개폐장치
KR100316361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용 힌지
US5031270A (en) Friction hinge
KR100303218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용 힌지
US4744125A (en) Door closer transmission including an eccentric pinion
KR970002859Y1 (ko) 양변기의 뚜껑이나 시트등의 개폐장치
IE62340B1 (en) Flapping door damper using viscous liquid
JP2004076941A (ja) ピボット式ダンパー
JP2896616B2 (ja) ダンパ機構
KR0140011B1 (ko) 양식변기의 뚜껑이나 앉는자리 등의 개폐장치
KR19980024757U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KR970005508Y1 (ko) 댐퍼 부착힌지
JP2000000186A (ja) 洋式便器の便座と便蓋の開閉用ヒンジ
US6000069A (en) Compound torque hinge
EP1681490B1 (en) Damping system for dampening the rotary movement of a rotatable body and hinge comprising such a system
CA2269400A1 (en) Hinge retarding device, in particular for vehicle glove compartment lids
JP2000130004A (ja) 速度調整式ぜんまいユニット
JPS6154912B2 (ko)
KR960013302A (ko) 변기의 앉은자리나 뚜껑의 개폐장치
KR970005507Y1 (ko) 댐퍼 부착힌지
KR0134044Y1 (ko) 개폐장치
JP2909664B2 (ja) 緩動回転軸装置
JPH067714Y2 (ja) サウ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