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508Y1 - 댐퍼 부착힌지 - Google Patents

댐퍼 부착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508Y1
KR970005508Y1 KR2019940013202U KR19940013202U KR970005508Y1 KR 970005508 Y1 KR970005508 Y1 KR 970005508Y1 KR 2019940013202 U KR2019940013202 U KR 2019940013202U KR 19940013202 U KR19940013202 U KR 19940013202U KR 970005508 Y1 KR970005508 Y1 KR 970005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lider
drum
fixed shaf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407U (ko
Inventor
아키라 소리마치
Original Assignee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토 지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토 지아키 filed Critical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00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댐퍼 부착힌지
본 고안은 특히 양식변기의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등의 개폐체의 개폐용으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댐퍼부착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본 고안자는 먼저번 출원에서 변기본체위에 부착한 브라켓에 한끝 부분을 부착하는 구조의 샤프트와, 변기좌대나 변기덮개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에 그 샤프트를 축심방향으로 삽통시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 드럼과, 상기 샤프트를 둘러감으로면서 그 샤프트와 상기 회전드럼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토션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와 회전드럼 사이에 설치된 댐퍼기구와,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기구로 이루어지고, 이 캠기구를 상기 샤프트에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1방향으로 이동을 가압받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와 접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드럼과의 사이에 설치한 양식변기의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등의 댐퍼 부착힌지를 제안하였다.
(고안이 해결할 과제)
이 댐퍼부착힌지는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댐퍼기능이 충분히 살려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토션 스프링외에도 슬라이더를 1방향으로 미끄럼가압시키는 압축 스프링을 필요로 하여, 구조가 복합하게 되어 제작비가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댐퍼의 기구의 기능을 충분히 살릴 수 있고, 이것을 양식변기에 적용하였을때에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등을 자립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닫을 때에 부드럽게 닫힐 수 있는 댐퍼부착힌지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치본체위에 고정시키는 구조의 고정 샤프트와, 개폐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샤프트에 그 고정샤프트를 축심방향으로 삽통시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드럼과, 상기 고정샤프트와 상기 회전드럼 사이에 설치된 토오크 댐퍼기구와, 상기 고정샤프트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1방향으로 미끄럼가압시키기 위하여 그 슬라이더와 상기 회전드럼과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회전드럼과의 사이에 설치된 캠기구로 구성한 것이다.
그때에 본 고안은 토오크 댐퍼기구를 상기 고정샤프트의 타단부에 설치한 댐퍼드럼과, 이 댐퍼드럼을 내부에 수장하기 위하여 회전드럼에 설치된 댐퍼홈과, 이 댐퍼홈과 상기 댐퍼드럼과의 충전된 점성체로 구성할수 있다.
본 고안은 또 캠기구를 슬라이더의 1측단면쪽에 설치한 오목부 및 볼록부와, 이 오목부 및 볼록부와 회전각도에 의하여 부딪쳐 끼워맞추어지도록 회전드럼쪽에 설치한 볼록부 및 오목부로 구성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댐퍼부착힌지를 사용한 양식변기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댐퍼부착힌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댐퍼부착힌지부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C-C선 단면도
제6도는 회전드럼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회전드럼의 좌측면도
제8도는 슬라이더의 횡단면도
제9도는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캠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
제10도는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캠부의 전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댐퍼부착힌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12도는 제2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댐퍼부착힌지를 양식변기의 변기좌대 개폐용으로 사용한 경우의 토오크 곡선도
제13도는 슬라이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14도는 슬라이더에 설치한 미끄럼운동캠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15도는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캠부의 전개도
제16도는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도시한 슬라이더를 사용한 댐퍼부착힌지를 양식변기의 변기덮개 개폐용으로 사용한 경우의 토오크 곡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본체3 : 브라켓
4 : 댐퍼부착힌지5 : 변기좌대
6 : 변기덮개10 : 고정샤프트
11 : 회전드럼13 : 댐퍼드럼
16 : 점성체17 : 토오크 댐퍼기구
20 : 슬라이더21 : 스프링
22 : 미끄럼운동캠부22a : 시단부
22b : 완만경사부22c : 급경사부
22d : 오목부23 : 회전캠부
23a : 볼록부24 : 캠기구
30 : 슬라이더31 : 미끄럼운동캠부
31a : 볼록부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등을 열면, 회전드럼이 동시에 회전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1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압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회전드럼과의 사이에 설치된 캠기구에 의하여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등은 자립상태에서 자연 낙하 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등을 닫으면, 토오크 댐퍼기구에 기능하여 그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등은 급격히 닫히지 않고 부드럽게 조용히 닫히고, 닫힌 상태에서 사이가 뜨지 않고 완전히 닫힌다.
(실시예)
도면은 본 고안을 양식변기의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등의 개폐용으로서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양식변기의 장치본체, 2는 물탱크이다.
장치본체(1)의 상부 후방의 양측부에는 1쌍의 브라켓(3,3)이 고착되어 있고, 이 브라켓(3,3)에 한끝 부분을 고정시킨 1쌍의 댐퍼부착힌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변기좌대(5)나 변기덮개(6)가 개폐자유롭게 장치본체에 부착되어 있다.
즉,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좌대(5)및 변기덮개(6)의 각 부착부(5a,5b;6a,6b)중, 변기좌대(5)의 한쪽의 부착부(5a)는 제1도에 도시한 좌측용의 브라켓(3)에 장비되는 댐퍼부착힌지(4)의 회전드럼(11)의 외주에 돌출설치한 돌기부(11a)에 의하여 그 회전드럼(11)에 고정되어 있으나, 변기덮개(6)의 한쪽의 부착부(6a)는 회전드럼(11)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변기좌대(5)의 개폐조작시에는 1쌍의 댐퍼부착힌지중의 한쪽의 회전드럼(11)이 함께 회전하여 동작하게 된다.
제2도에 회전드럼(11)의 외주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돌기부(11b)는 제1도에 도시한 우측의 브라켓(3)에 장비되는 댐퍼부착힌지의 경우를 표시하고, 그 경우에는 이 돌기부(11b)에 변기덮개(6)의 부착부의 한쪽의 6b가 고정되고, 변기좌대(15)의 또 한쪽의 부착부(5b)는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게 된다.
이와같이, 브라켓(3,3)에 부착된 1쌍의 댐퍼부착힌지의 회전 샤프트는 각 1개씩 변기좌대와 변기덮개의 개폐시 동작한다.
제2도 내지 제10도는 댐퍼부착힌지의 내부구조와 그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 제1도의 좌측의 댐퍼부착힌지(4)만을 설명하나, 우측의 댐퍼부착힌지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부의 구조가 다를 뿐이고 기타는 같다.
10은 상술한 브라켓(3)에 고정되는 고정샤프트이고, 플랜지부(10a) 를 끼우고 1측부에 부착부(10b)를, 타측부에 극대직경부(10c), 대경부(10d), 변형중경부(10e), 및 변형소경부(10f)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 고정샤프트(10)의 부착부(10b)는 제1도에 도시한 양식변기의 장치본체(1)의 후부 상방에 부착한 브라켓(3)에 고정된다.
11은 고정샤프트(10)를 내부에 수용시킨 회전드럼이고, 그 고정샤프트(10)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드럼(11)은 외주에 돌기부(11a)를 설치하고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덮개(6)의 부착부(6a)는 회전드럼(11)과는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축지지되어 있으나, 변기좌대(5)의 부착부(5a)는 돌기부(11a)와 걸어맞추게 되어 그 회전드럼(11)과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극대경부(10c)와 회전드럼(11)과의 사이에는 시일부재(12)가 기재되고, 주로 외부로부터 습기나 오수가 회전드럼(11)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고정샤프트(10)의 변형소경부(10f)에는 댐퍼드럼(13)이 고정되고, 고무 등의 탄성와셔(14)를 통하여 작은나사(15)에 의하여 고착됨과 동시에, 회전드럼의 축방향으로 회전드럼(11)의 드럼부(13)를 수용시켜 깊이 설치한 둘레홈(11c)과 드럼부(13a)와의 사이에는, 예컨대 실리콘 오일과 같은 점성체(16)가 충전됨으로써 토오크 댐퍼기구(17)가 형성되어 있다. 18과 19는 이 점성체(16)가 새나오지 않도록 시일하는 시일부재이다.
변형중경부(10e)에는 슬라이더(20)가 회전하지 않고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20)와 고정샤프트(10)의 극대경부(10c)와의 사이에는 대경부(10d)에 둘러감게한 압축스프링(21)이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슬라이더(20)를 항상 1방양(도면에서 우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압시키고 있다.
이 슬라이더(20)는 프랜지부(20a)와 원통부(20b)로 이루어지고, 특히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랜지부(20a)에는 축방향으로 도시한 각도마다 형상이 다른 오목부와 볼록부로된 미끄럼운동캠부(22)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미끄럼운동캠부(22)는 특히 제6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드럼(11)의 내주부의 축방향으로 돌출설치한 1쌍의 볼록부(23a,23a)를 가진 회전캠부(23)와 대향충돌접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기구(24)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드럼(11)에 변기좌대에 부착부(5a)를 고정시켜, 변기좌대(5)를 개폐시키면, 회전드럼(11)이 고정샤프트(10)의 둘레에서 회전하여, 변기좌대(5)의 개폐조작의 전행정에 걸쳐 토오크 댐퍼기부(17)가 작용한다.
변기좌대(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제2도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운동캠부(22)의 볼록부인사단부(22a)가 회전캠부(23)의 볼록부(23a,23a)와 충돌접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20)는 압축 스프링(21)의 탄력에 대항하여 좌방향으로 밀린 상태에 있으나, 변기좌대(5)를 열면 회전드럼(11)이 회전함으로써 회전캠부(23)의 볼록부(23a,23a)가 미끄럼운동캠부(22)의 완만경사부(22b)위를 이동하여, 회전 억지력을 줄이면서 변기좌대(5)의 열림을 촉진허용하여, 약 85℃의 열림각도부터 볼록부(23a,23a)가 급경사부(22c)부터 오목부(22d)에 떨어져 들어감으로써 자동적으로 열려 130℃에서 정지한다. 제11도는 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자립자세는 볼록부(23a,23a)가 오목부(22d,22d)를 빠져나올 때의 저항에 의하여 지지되어, 자연낙하하지 않고 유지된다.
제12도는 변기좌대를 개폐할 때의 토오크 곡선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의하면 변기좌대의 회전 모우멘트(a)는 0°부터 20°사이에서 캠기구의 모우멘트(b)보다 크지만, 댐퍼기구의 모우멘트(c)보다 작으므로 닫히는 변기좌대는 20°부터 댐퍼기구가 작용하여 조용히 닫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열리는 변기좌대의 회전 모우멘트는 90°의 열림각도의 조금전부터 캠기구의 모우멘트(b)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므로, 자동적으로 열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3도 내지 제15도는 양식변기의 장치본체(1)의 상부우측의 브라켓(3)에 부착되는 댐퍼부착힌지에 사용되는 슬라이더(30)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이것은 변기덮개(6)의 개폐용의 것이므로, 미끄럼운동캠부(31)의 형상이 앞의 실시예의 것과 약간 다르며, 85°부근에서 융기하는 제2의 볼록부(31a)가 설치되어 있으나, 뒤의 프랜지부(30a)와 원통부(30b)의 형상 등은 앞의 실시에의 것과 같다.
제16도는 이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도시한 슬라이더를 사용한 댐퍼부착힌지로 변기덮개를 개폐하는 경우의 토오크 곡선도를 도시한 것으로, 변기덮개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특히 낙하하지 않도록, 또한 닫히도록 할 때의 캠기구의 저항이 커지도록 슬라이더(30)의 미끄럼운동캠부의 현상이 선택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예는 양식변기의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등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댐퍼부착힌지는 이것 이외의 예컨대 복사기나 인쇄기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나 피아노의 덮개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부품개수를 생략한 간단하고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구조이고, 캠기구와 댐퍼기구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양식변기의 변기좌대나 변기덮개 또는 복사기나 인쇄기 등의 원고압착판, 피아노의 덮개 등을 열린 상태로 자연낙하하지 않도록 한정되게 지지하여, 닫을 때에는 급격하지 않고 부드럽게 조용히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장치본체위에 고정시키는 구조의 고정샤프트의, 개폐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샤프트에 그 고정샤프트를 축방향으로 삽통시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드럼과, 상기 고정샤프트와 상기 회전드럼과의 사이에 설치된 토오크 댐퍼기구와, 상기 고정샤프트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1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압시키기 위하여 그 슬라이더와 상기 회전드럼과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회전드럼과의 사이에 설치된 캠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부착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댐퍼기구를 상기 고정샤프트의 한끝 부분에 설치한 댐퍼드럼과, 이 댐퍼드럼을 내부에 수장하도록 상기 회전드럼에 설치된 댐퍼홈과, 이 댐퍼홈과 상기 댐퍼드럼과의 사이에 충전된 점성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부착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를 상기 슬라이더의 1측단면쪽에 설치한 오목부 및 볼록부와, 이 오목부 및 볼록부와 회전각도에 의하여 충돌접하여 끼워맞추도록 상기 회전드럼쪽에 설치한 볼록부 및 오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부착힌지.
KR2019940013202U 1993-06-30 1994-06-08 댐퍼 부착힌지 KR9700055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041186U JP2602165Y2 (ja) 1993-06-30 1993-06-30 ダンパー付ヒンジ
JP93-41186 1993-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407U KR950000407U (ko) 1995-01-03
KR970005508Y1 true KR970005508Y1 (ko) 1997-06-05

Family

ID=1260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202U KR970005508Y1 (ko) 1993-06-30 1994-06-08 댐퍼 부착힌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02165Y2 (ko)
KR (1) KR9700055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48B1 (ko) * 2001-09-27 2004-03-02 주식회사 삼홍사 비데의 시트 및 커버 회전장치
JP2007085469A (ja) * 2005-09-22 2007-04-05 Nix Inc ヒンジ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407U (ko) 1995-01-03
JPH076539U (ja) 1995-01-31
JP2602165Y2 (ja)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361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용 힌지
KR101020907B1 (ko) 세탁기 뚜껑 개폐용 힌지장치
KR100303218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용 힌지
US5152029A (en) Hydraulic hinge
US5031270A (en) Friction hinge
US7055217B2 (en) Hinge device
JP3732651B2 (ja) 開閉体の開閉用ヒンジ
GB2062933A (en) Device for moderating movement of lid
US6687921B1 (en) Toilet seat damper
KR100205091B1 (ko) 오일댐퍼를 사용한 건반악기의 건반덮개 개폐장치
KR970005508Y1 (ko) 댐퍼 부착힌지
KR100678719B1 (ko) 좌변기 커버의 변좌/덮개용 댐퍼
US20080010777A1 (en) Hinge damper in opening/closing device
KR950032931A (ko) 양식변기의 뚜껑이나 앉는자리 등의 개폐장치
KR19980024757U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US20030106898A1 (en) Slow-closing door and refuse container embodying same
KR200424987Y1 (ko) 힌지
JPH06142005A (ja) 洋式便器の便蓋や便座等の開閉装置
JP2602164Y2 (ja) ダンパー付ヒンジ
JPH11153186A (ja) 回転動作支持機構及びロータリーダンパ
KR960013302A (ko) 변기의 앉은자리나 뚜껑의 개폐장치
JPH10339338A (ja) 回転減速装置
KR200243514Y1 (ko)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KR0131504Y1 (ko) 화상형성장치의 상부커버 개폐각도 유지장치
JPH0893312A (ja) ドアクローザ用流体摩擦抵抗型ダン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