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14Y1 -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14Y1
KR200243514Y1 KR2019980011432U KR19980011432U KR200243514Y1 KR 200243514 Y1 KR200243514 Y1 KR 200243514Y1 KR 2019980011432 U KR2019980011432 U KR 2019980011432U KR 19980011432 U KR19980011432 U KR 19980011432U KR 200243514 Y1 KR200243514 Y1 KR 200243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carver
case body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472U (ko
Inventor
나오가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미쯔요시
Publication of KR19990040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5Devices for locking the cover in the open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것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고, 또한 더욱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특히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용으로 적합한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그 개폐장치는, 변기 본체에 대한 취부수단을 지니는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압축스프링과, 그 압축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에 당접하는 캠부를 지니며, 상기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체에 취부되는 일측 단부에 변좌나 카버의 취부수단을 설치한 회전축과, 그 회전축에 취부되어 상기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댐퍼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본 고안은 특히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용으로 적합한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로서, 변기 본체에 대한 취부수단을 지니는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과, 그 압축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해지고 상기 케이스체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에 당접하는 캠부를 지니며 상기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스체에 취부된 회전축과, 그 회전축에 환권(還卷)되어 그 회전축과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토션스프링과로 구성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공지된 개폐장치는 압축스프링과 토션스프링의 각 토크를 합성토크로 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어도, 토션스프링자체가 고가이기 때문에 저가화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토션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케이스체에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에도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것보다도 간단한 구조로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고, 또한 더욱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특히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용으로 적합한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정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B-B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C-C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제 2 회전제어수단의 확대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토크곡선도.
*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A: 제 1 토크 제어수단 B: 제 2 토크 제어수단
1: 브라켓트 2: 양식 변기
4: 케이스부 5: 케이스 카버
6: 케이스체 7: 변좌
8: 카버 9: 압축스프링
10: 슬라이더 12: 캠부
14: 회전축 16: 고무링
16a: 홈 17: 점성 오일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는, 변기 본체에 대한 취부수단을 지니는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압축스프링과, 그 압축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에 당접하는 캠부를 지니며, 상기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체에 취부되는 일측 단부에 변좌나 카버의 취부수단을 설치한 회전축과, 그 회전축에 취부되어 상기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댐퍼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는, 변기 본체에 대한 취부수단을 지니며, 한쌍의 케이체를 이격되게 대향하여 설치한 브라켓트와, 그 브라켓트의 상기 각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압축스프링과, 그 압축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한쌍의 슬라이더와 그 각 슬라이더에 당접하는 캠부를 지니며, 상기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각 케이스체에 취부된 한쌍의 회전축과, 그 각 회전축의 서로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 변좌나 카버의 취부수단과, 상기 각 회전축에 취부되어 상기 각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댐퍼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식 변기를 도시한 도1 내지 도5에 있어서, 브라켓트(1)는 양식변기(2)의 후방 상단측에 취부볼트(3)로 고정되고, 그 선단측에는 거리를 두고 대향하여 설치된 한쌍의 케이스부(4,4)와,그 각 케이스부(4,4)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케이스카버(5,5)로 된 케이스체(6,6)가 설치되어 있다. 그 브라켓트(1)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양식변기(2)의 후방 상단의 양측부에 1개씩 취부되고, 그 2개의 브라켓트(1)에 의해, 도2 내지 도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변좌(7)와 카버(8)의 후방 양측부에 취부되는 각 취부부(7a,8a)가 개폐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지만, 1개만에 의해서도 충분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케이스체(6,6)내부에는, 케이스부(4,4)에 설치된 요홈부(4a,4a)와 케이스카버(5,5)에 의해, 압축스프링(9,9)이나, 슬라이더(10,10)를 수납시키는 제 1 수납부(11,11)와 캠부(12,12)를 수납시키는 제 2 수납부(13,13)가 형성되고, 각 제 1 수납부(11,11)에는 압축스프링(9,9)과 그 압축스프링(9,9)에 접하여 슬라이더(10,10)가 수납된다. 제 2 수납부(13,13)에는 회전축(14,14)에 설치된 캠부(12,12)가 수납되어 있다.
각 케이스부(4,4)에 설치된 축받침공(4b,4b)와 각 케이스카버(5,5)에 설치된 축받침공(5a,5a)에 한쌍의 회전축(14,1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전축(14,14)의 케이스카버(5,5)에 설치된 축받침공(5a,5a)에 축받침되는 부분에는, 각 회전축(14,14)의 외주에 취부된 고무링(16,16)이 수납되어 있다. 그 고무링(16,16)에는,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에 다수의 홈(16a,16a)이 축방향으로 나선상으로 형성되고, 그 고무링(16,16)의 외주와 축받침공(5a,5a)의 내주와의 사이에는 점성오일(17,17)이 충전되어 있다. 또, "18,18"은 O링으로서, 각 회전축(14,14)에 취부되어 수분이 제 1 수납부(11,11) 및 제 2 수납부(13,13)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폐시킨다.
각 회전축(14,14)의 각 케이스부(4,4)에 설치된 축받침공(4b,4b)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부분에는, 서로 외형을 변형시킨 취부수단(14a,14a)이 형성되고, 그 취부수단(14a,14a)의 일방에는 카버의 취부부(8a)의 변형취부공(8b)이 삽입되어 조립되며, 그 타방에는 카버의 취부부(7a)의 변형취부공(7b)이 삽입,조립됨으로써 각각 취부됨과 동시에, 각 취부부(8a,7a)자체는, 더욱 각 회전축(14,14)과 축심을 공통으로 하여 각 변형공(7b,8b)을 관통, 설치된 연결축(19)과, 나트(20)에 의해 각 취부부(7a,8a)의 상호 독립된 회전을 저해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개폐장치의 토크곡선도를 도시하며, 그 도면에 의하면, (a)는 변좌의 모우멘트절대값, (b)는 카버의 모우멘트절대값(c)는 개폐장치의 힌지 토크의 절대값이며, (d)는 상기 변좌나 카버의 모우멘트와 개폐장치의 힌지토크의 합성력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①의 범위에서는 변좌나 카버의 모우멘트와 개폐장치의 힌지토크의 합성력이 부의 값을 취하기 때문에 변좌나 카버는 항상 폐쇄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②의 범위에서는, 변좌나 카버의 모우멘트와 개폐장치의 힌지토크의 합성력이 정의 값을 취하기 때문에 변좌나 카버는 개방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폐쇄된 변좌나 카버를 개방시킬 때에 각 압축스프링(9,9)이 슬라이더(10,10)와 캠부(12,12)를 개재하여 회전축(14,14)을 변좌나 카버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시키므로, 각 변좌나 카버를 그 중량감없이 가볍게 개방시킬 수 있으며, 변좌나 카버의 모우멘트의 반전 포인트인 90도 이전에서 변좌나 카버의 낙하 모우멘트보다 개폐장치의 힌지토크가 우세하게 되기 시작하므로, 변좌나 카버를 개방한 때에는 변좌나 카버가 자연적으로 낙하해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변좌나 카버를 폐쇄시킬 때에는, 각 회전축(14,14)의 캠부(12,12)가 슬라이더(10,10)를 개재하여 압축스프링(9,9)을 압축시키도록 작용하는 제 1 회전제어수단(A)과, 고무링(16,16)의 탄생과 점성오일(17,17)에 의한 댐퍼작용을 창출하는 제 2 회전제어수단(B)와의 협동작용에 의해 급격하게 폐쇄되는 일없이 부드럽고도 조용하게 폐쇄되게 된다. 각 고무링(16,16)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형성된 홈(16a,16a)은, 회전미끄럼운동부분의 유막의 두께를 적당하게 유지시켜 회전축(14,14)의 미소 회전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유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안정된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브라켓트(1)에 한쌍의 케이스체(6,6)가 설치되고, 그 각 케이스체(6,6)에 각각 변좌와 카버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축(14,14)에 작용하는 캠부(12,12), 슬라이더(10,10) 및 압축스프링(9,9)에 의한 제 1 토크제어수단(A)과, 고무링(16,16) 및 점성오일(17,17)에 의한 제 2 토크제어수단(B)이 설치되며, 그 합성토크를 이용한 것이 도시, 설명되지만, 양식변기의 후방 양측부에 취부된 한쌍의 브라켓트(1)의 일방에 카버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 1 토크제어수단(A)과 제 2 토크제어수단(B)을 설치하고, 타방의 브라켓트(1)에 변좌(7)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 1 토크제어수단(A)과 제 2 토크제어수단(B)을 설치하여도 된다. 청구항 1은 이 경우에 대해 청구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1과 같이 구성하면, 변좌나 카버의 개폐조작가 함께 회전축이 회전하고, 이때 압축스프링, 슬라이더 및 회전축에 설치된 캠부로 구성되는 제 1 회전제어수단과, 회전축에 취부된 고무링의 탄성 및 그 고무링의 외주와 축받침공의 내주와의 사이에 도포되어 있는 점성오일에 의한 댐퍼작용으로 구성되는 제 2 회전제어수단과에 의해 변좌나 카버의 개폐조작을 제어할 수 있고, 개폐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개폐장치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압축스프링, 슬라이더 및 캠부로 구성되는 제 1 회전제어수단은, 변좌나 카버의 모우멘트곡선에 근사한 토크곡선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회전조작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스프링의 탄성이나 캠부의 형상,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힌지토크를 자유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와 같이 구성하면, 청구항 1과 같은 효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브라켓트에 변좌나 카버의 회전제어수단을 설치시킬 수 있어 보다 소형화시키고 저렴한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변기 본체에 대한 취부수단을 지니는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압축스프링과, 그 압축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에 당접하는 캠부를 지니며, 상기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체에 취부되는 일측 단부에 변좌나 카버의 취부수단을 설치한 회전축과, 그 회전축에 취부되어 상기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댐퍼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2. 변기 본체에 대한 취부수단을 지니며, 한쌍의 케이체를 이격되게 대향하여 설치한 브라켓트와, 그 브라켓트의 상기 각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압축스프링과, 그 압축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납되는 한쌍의 슬라이더와 그 각 슬라이더에 당접하는 캠부를 지니며, 상기 슬라이더의 미끄럼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각 케이스체에 취부된 한쌍의 회전축과, 그 각 회전축의 서로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 변좌나 카버의 취부수단과, 상기 각 회전축에 취부되어 상기 각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댐퍼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KR2019980011432U 1998-04-17 1998-06-29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KR20024351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8133 1998-04-17
JP10-108133 1998-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72U KR19990040472U (ko) 1999-11-25
KR200243514Y1 true KR200243514Y1 (ko) 2001-11-16

Family

ID=6957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432U KR200243514Y1 (ko) 1998-04-17 1998-06-29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72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649B2 (en) Hinge device
JP5103471B2 (ja) 自動閉鎖式のドアその他特にガラスドアその他のための蝶番構造物および該構造物を備えた集成体
JPH04282039A (ja) 高トルク用ダンパ
JPH0783263A (ja) 回転ダンパー
KR19980070776A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JP2955813B2 (ja) オイルダンパを用いた鍵盤蓋開閉装置
KR200243514Y1 (ko) 양식 변기의 변좌와 카버의 개폐장치
KR100431073B1 (ko) 도어 힌지
KR19980024757U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US6000069A (en) Compound torque hinge
KR100721259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KR200266486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JPH09177858A (ja) ヒンジダンパ
KR0118517Y1 (ko) 양변기의 변기뚜껑이나 변기시트 등의 개폐장치
JPH08184254A (ja) 自動復帰型ヒンジ
JP3686148B2 (ja) トルク用ダンパ
JP3729551B2 (ja) 高トルク用ダンパ
KR970005508Y1 (ko) 댐퍼 부착힌지
JPH11299690A (ja) 洋式便器における便座や便蓋の開閉装置
JP2906316B2 (ja) リフトヒンジ等の回転ダンパー
JP2000116568A (ja) 洋式便器の便座や便蓋の開閉装置
CN217957110U (zh) 一种移动终端弹簧铰链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JPH07293624A (ja) リフト閉止ユニットの開閉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