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764Y1 -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764Y1
KR0118764Y1 KR2019950002815U KR19950002815U KR0118764Y1 KR 0118764 Y1 KR0118764 Y1 KR 0118764Y1 KR 2019950002815 U KR2019950002815 U KR 2019950002815U KR 19950002815 U KR19950002815 U KR 19950002815U KR 0118764 Y1 KR0118764 Y1 KR 0118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ylinder
rotating drum
toilet sea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182U (ko
Inventor
아키라 소리마치
Original Assignee
가토 지아키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지아키,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지아키
Publication of KR9500321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1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양식변기의 변기뚜껑이나 변좌 등의 개방시에는 댐퍼작용을 배제 내지 극력 적게하여 가볍게 열게하고, 자립상태에 있어서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폐쇄시에는 댐퍼작용에 의해 소프트하게 닫을 수 있고, 또한 뜨기가 생기지 않도록 연구된 구조 간단한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변기본체측에 고정시키는 구조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과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 설치된 밸브를 가진 원웨이식의 댐퍼기구와, 상기 회전드럼에 변기뚜껑이나 변좌의 부착부를 동시에 회전되도록 부착한 힌지핀으로 구성된다. 그때에 상기 회전드럼과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 다시 캠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제 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양식변기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관한 변좌(便座)를 연상태에 있어서의 개폐장치의 정면 단면도,
제 3도는 변좌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댐퍼기구의 단면도,
제 4도는 제 2도의 A-A선 위치에 있어서의 변좌를 연상태의 댐퍼기구의 단면도,
제 5도는 변좌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캠기구의 단면도,
제 6도는 제 2도의 B-B선 위치에 있어서의 변좌를 연상태의 댐퍼기구의
단면도,
제 7도는 회전드림의 분해사시도,
제 8도는 테이퍼 원호형상홈을 설정한 뚜껑체의 사시도,
제 9도는 테이퍼 원호형상홈의 설명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관한 변기뚜꺼을 닫은 상태의 개폐상치 정면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본체(便器本 ) 6,7 : 개폐장치
8 : 변좌 8a,8b,9a,9b : 부착부
9 : 변기뚜껑 10,11 : 힌지핀
12,13,32 : 뚜껑체 13a : 테이퍼 원호형상홈
14, 31 : 실린더 14a : 칸막이벽
15 : 드럼수납실 16,35 : 회전드럼
17 : 캠수납실 17a : 캠부
21,37 : 댐퍼기구 22 : 날개부
23 : 홈부 24 : 밸브
24a : 제2 절결 25 : 제1 밸브편
25a : 긴구멍 26 : 제2 밸브편
26a : 제1 절결 27 : 점성유체
28 : 홀더 29 : 스프링
30 : 롤러 36 : 캠기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양식변기의 변기뚜껑과 변좌를 개폐할 때에 사용하며, 적절한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 종류의 개폐장치로서 변기뚜껑이나 변좌 등을 개방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정지유지하거나, 개방시에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변기본체상에 고착된 브래킷에 힌지핀을 통하여 부착한 변기뚜껑이나 변좌 등과 상기 브래킷과의 사이에 힌지핀에 감아서 토션스프링을 탄성적으로 설치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토션스프링은 그 자체가 토크에 편차가 있고, 토크가 직선적으로 증감되므로 이 토크의 편차를 보정해 줄 필요가 있을 뿐더러 토션스프링의 토크가 강하면 변좌 등의 개방상태가 충분하지 않아 약간 뜬 경향으로 되고, 토크가 약하면 개방상태에 있어서 자립상태가 안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양식변기의 변기뚜껑이나 변좌 등의 개방시에는 댐퍼작용을 배제 내지 극력 적게하여 가볍게 열게하며, 자립상태에 있어서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폐쇄시에는 댐퍼작용에 의해 부드럽게 닫을 수 있고, 또한 뜨기형상이 생기지 않도록 연구한 구조 간단한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변기본체측에 고정시키는 구조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샤프트와, 이 회전드럼과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 설치된 밸브를 가진 원웨이식의 댐퍼기구와, 상기 회전드럼에 변기뚜껑이나 변좌의 부착부를 동시에 회전되도록 부착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된 것이다. 회전드럼과 실린더와의 사이에 캠기구를 설치하고, 변기뚜껑이나, 변좌의 자립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시 댐퍼기구를 실린더내에 설치한 드럼수납실과, 이 드럼수납실내에 충전된 점성유체와 상기 드럼수납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된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에 설치된 한쌍의 날개부와, 이 날개부에 설치된 밸브로 구성하거나, 캠기구를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드럼수납실에 인접하여 설치된 회전드럼의 축부를 그 중심부에 삽통시켜서 형성하는 캠수납실과, 이 캠수납실의 내주에 융기설치한 복수의 캠부와, 상기 축부의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가압시켜서 부착한 상기 캠부와 맞닿는 롤러 또는 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밸브를 날개부의 축방향으로 설치한 홈부와 이 홈부에 의해 형성된 한쌍의 제1 밸브편 및 제2 밸브편과, 상기 제1밸브편에 설치된 제1 절결과, 상기 제2 밸브편에 설치된 긴구멍과, 상기 제2 절결과 대략 일치하는 제2 절결을 가진 상기 홈부내에 요동가능하게 수용장착된 밸브편과, 상기 실린더의 측부의 상기 회전드럼의 측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된 테이퍼 원호형상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작용]
청구항 1항과 2항의 경우에는 밸브를 가진 원웨이식의 댐퍼기구에 의해 한쪽이용의 댐퍼기능이 창출됨으로써, 변기뚜껑이나 변좌는 개방시에는 가볍게 열리며, 폐쇄시에는 급격히 떨어지는 일없이 조용히 또한 원활하게 닫혀지며, 폐쇄상태에서의 소위 뜨기의 발생이 없다.
청구항 2항과 4항의 경우에는 특히 변좌의 개방시에 있어서 80°의 개방각보로부터 110°까지의 사이에서 캠기구에 의해 안정된 변좌의 자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항의 경우에는 회전샤프트와 동시에 회전하는 날개부에 의해 가압되는 점성유체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행해지며 한쪽이용의 댐퍼기능이 창출된다.
청구항 4항의 경우에는 회전샤프트의 회전각도에 의해 이 회전샤프트의 외주에 한 방향에 가압시켜서 부착한 롤러 또는 볼이 캠부에 맞닿고, 이것을 타고넘는 저항에 조우하므로 변좌의 90°의 개방각도 근방에서 안정된 클릭 정지상태가 창조된다.
청구항 5항의 경우에는 회전샤프트의 회전방향에 의해 날개부에 의해 가압된 점성유체에 의해 밸브가 요동되고, 밸브편에 설치된 긴 구멍을 닫거나, 열므로써 점성유체가 통로가 생기거나 폐지하거나 하여 한쪽이용의 댐퍼기능이 창출된다.
[실시예]
도면은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예시하며, 제1 도 내지 제2 도에 있어서, 1은 변기본체, 2는 물탱크이다. 변기본체(1)의 상부후방의 양측부는 기계부(3)의 조작부(4,4)에 의해 구속 유지되어 있고, 이 조작부(4,4)의 각A에서 본 부분내에 수용장착된 한쌍의 개폐장치(6,7)를 통하여 변좌(8)나 변기뚜껑(9)이 개폐자유롭게 변기본체(1)에 부착되어 있다.
즉, 제2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8) 및 변기뚜껑(9)의 각 부착부(8a,8b,9a,9b)의 각 한쪽의 8a,9b 중 부착부(8a)는 특히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6)의 힌지핀(10)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으나, 변기뚜껑(9)의 부착부(9b)는 힌지핀(10)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다른 한편, 특히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8b, 9a) 중 변기뚜껑(9)의 부착부(9a)는 개폐장치(7)의 힌지핀(11)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으나, 변좌(8)의 부착부(8b)는 힌지핀(11)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변좌(8)나 변기뚜껑(9)의 개폐조작시에는 개폐장치(6,7) 중 각각 한쪽것의 힌지핀 (10,11)이 변좌(8)나 변기뚜껑(9)과 동시에 회전하여 후술하는 댐퍼기구가 동작하게 된다.
제 2도 내지 제 9도는 변좌(8)의 개폐장치(6)의 내부구조와 그 부품을 도시한다. 물론, 이 구조의 것을 변기뚜껑(9)용의 개폐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조작부(4) 내의 기대(4a) 상에는 양단부에 뚜껑체(12,13)를 부착한 실린더(14)가 고착되어 있고, 이 실린더(14) 내의 칸막이벽(14a) 에 의해 구획된 한쪽의 드럼 수납실(15)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는 것이 회전드럼(16)이다.
칸막이벽(14a)에 의해 구획된 또한쪽의 방은 캠수납실(17)이며, 회전드럼(16)의 축부(16a)가 칸막이벽(14a)을 통하여 축심방향으로 뻗고, 뚜껑(12)에 의해 축받이 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4)와 뚜껑체(13)의 사이, 회전드럼(16)의 축부(16b)와 뚜껑체(13)의 사이 및 축부(16a)와 칸막이벽(14a)의 사이에는 0링과 같은 오일시일부재(18, 19 및 20)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드럼(16)의 또 한쪽의 단부로부터 돌출설치된 축부(16b)는 뚜껑체(13)에 축받이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4)와 뚜껑체(13)의 사이, 회전드럼 (16)의 축부(16a)와 뚜껑체(13)의 사이 및 축부(16a)와 칸막이벽(14a) 의 사이에는 0링과 같은 오일시일부재(18,19 및 20)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드럼(16)은 그 우측단부로부터 중심부 축방향으로 단면이 대략 4각형상으로 되는 변형부착구멍(16c)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외주에 댐퍼기구(21)를 설치하고 있다.
이 댐퍼기구(21)는 뚜껑체(13)의 한 측면의 대향위치에 설치된 한쌍의 테이퍼 원호형상홈(13a,13b)과, 회전드럼(16)의 외주에 180°의 간격을 두고 돌출설치되고, 이 드럼수납실 (15)의 안쪽에 접촉되어 있는 한쌍의 날개부(22,22)와, 이 날개부(22,22)에 축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된 홈(23,23)과, 이 홈부(23,23) 내에 요동가능하게 수용된 밸브(24,24)로 형성되며, 날개부(22,22)의 홈부(23,23)를 사이에 둔 한쪽의 제1 밸브편(25,25)에는 긴구멍(25a,25a)이 다른쪽의 제2 밸브편(26,26)에는 제1 절결(26a,26a)이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밸브(24,24)의 단부에는 제1 절결(26a,26a)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2 절결(24a,24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절결(26a,26a)과 제2 절결(24a,24a)은 그 형상은 대략 동일하기는 하나 그 크기에 차이가 있고, 제1 절결(26a,26a)쪽이 깊게 형성되어 있다.
드럼수납실(15)의 내주로부터는 스토퍼편(15a,15a)이 중심부에 향하여 180°간격으로 돌출 설치되고, 그 선단을 회전드럼(16)의 외주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드럼수납실(15)내에는 실리콘 오일과 같은 점성유체(27)가 수용되고 있다.
캠기구(36)는 특히 제2 도와 제 5도 내지 제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수납실(17)에 수용 장착되어 있다. 이 캠수납실(17)의 내주에는 캠부(17a,17a)가 180°도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융기 설치되는 동시에 이 캠수납실(17) 내에는 축부(16a)의 외주에 설치된 단면 대략 4각형상의 변형부착부(16d)에 끼워붙인 홀더(28)가 수납되어 있다. 이 홀더(28)의 외주에 서로 180° 간격을 두고 설치된 수용장착홈(28a,28a) 내에는 판스프링과 같은 스프링(29,29)과 함께 롤러(30,30)가 수납되고, 이 롤러(30,30)는 캠수납실(17)의 내주와 접촉되어 있다.
또한 판스프링은 컴프레션 스프링으로 대체해도 무방하며, 롤러는 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또 캠수납실(17)내로부터 캠부(17a,17a)에 인접하여 동일하게 180°간격을 두고 돌출설치되며, 홀더(28)의 외주에 접하고 있는 것은 돌기부(17b,17b)이다.
그리고, 회전드럼(16)의 변형부착구멍(16c)에는 특히 제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좌(8)의 부착부(8a)를 고정시키고 변기뚜껑(9)의 부착부(9b)를 삽통시켜서 뻗은 힌지핀(10)이 끼워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뚜껑(9)을 개폐할 때에는 힌지핀(10)은 회전되는 일이 없으나, 변좌(8)의 개폐시에는 그 부착부(8a)와 함께 힌지핀(10)이 동시에 회전하며, 댐퍼기구(21) 와 캠기구(36)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변좌(8)의 개방시에는 동시에 회전하는 힌지핀(10)에 의해 회전드럼(16)이 제3 도에 도시된 폐쇄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에 회전한다. 그러면, 점성유체(27)가 날개부(22,22)의 제1 밸브편(25,25)의 각 긴구멍(25a,25a)를 통하여 홈부(23,23)내에 침입하며, 밸브(24,24)를 밀고, 이 밸브(24,24)는 시계방향으로 요동하여 긴구멍(25a,25a) 에 대한 폐쇄를 해제하므로, 점성유체(27)는 제2 절결(24a,24a) 및 제1 절결(26a,26a)을 통하여 날개부(22,22)의 한쪽의 제1 밸브편(25,25)으로부터 다른쪽의 제2 밸브편(26,26)에 흐르므로 댐퍼기구(21)는 작동함이 없이 변좌(8)는 커다란 저항에 조우하지 않고 열리게 된다.
변좌(8)가 110°열리면 날개부(22,22)가 돌기부(17b,17b)에 맞닿아서 변좌(8)의 그 이상의 개방은 저지된다. 이때의 밸브(24,24)의 위치는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밸브편(26,26)의 제1 절결(26a,26a) 측에 있다. 이 상태를 나타낸 것이 제4 도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연 변좌(8)를 닫을 때에는 변좌(8)의 폐쇄조작과 함께 회전드럼(16)이 제 4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힌지핀(10)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밸브(24,24)는 제2 밸브편(26,26)의 제1 절결(26a,26a)로부터 홈부(23,23) 내에 침입하는 점성유체(27)에 의해 가압되어서 반시계방향에 요동하고, 제1 밸브편(25,25)의 긴구멍(25a,25a)을 막으므로 점성유체(27)는 날개부(22,22)의 측면과 접하는 테이퍼 원호형상홈(13a,13a)을 통하여 도피할 수 밖에 없고, 더구나 이 원호형상홈(23a,23a)은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얕게 되는 테이퍼홈이므로 이것에 의해 댐퍼기구가 작동하고, 그 댐퍼작용에 의해 변좌(8)는 최초는 비교적 빠르게 차츰 완만하게 되어 조용하게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위 한쪽이용의 원웨이식으로 된다.
다음에, 캠기구(36)는 변좌(8)를 90°까지 열면 스프링(29,29)에 의해 캠수납실(17)의 외주측에 항상 가압되어 있는 롤러(30,30)가 재차 캠부(17a,17a)를 타고 넘어서 홈부(17c,17c) 내에 떨어진다. 변좌(8)를 닫으려고 하면 롤러(30,30)가 다시 캠부(17a,17a)를 스프링(29,2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타고 넘어야 하므로, 개방위치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자연낙하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제10도에 도시한 변기뚜껑(9)의 개폐장치(7)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개폐장치(7)는 상기한 변좌(8)용의 개폐장치(6)와 캠기구가 존재하지 않는 점이 다를 뿐으로, 댐퍼기구의 구성과 기능은 거의 동일하다. 서로 다른 점은 실린더(31)의 한쪽의 뚜껑체(32)는 실린더(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과 따라서 오일시일(33,34)이 2개소만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물론, 이 개폐장치(7)를 변좌(8)의 개폐용으로 사용해도 된다.
회전드럼(35)의 중심부 축방향으로 설치된 변형구멍(35a)에는 힌지핀(11)이 끼워넣어져서 고정되어 있고, 이 힌지핀(11)에 변기뚜껑(9)의 부착부(9a)가 고정되며, 변좌(8)의 부착부(8b)는 회전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좌(8)를 개폐할 때에는 힌지핀(11)은 회전하는 일이 없으나, 변기뚜껑(9)을 개폐할 때에는 그 부착부(9a)와 함께 힌지핀(11)이 동시에 회전하고, 댐퍼기구(37)가 동작하나 그 작용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고안의 효과]
변좌의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원웨이식의 댐퍼기구에 의해 변좌의 개방조작시에는 가볍게 열수가 있고, 전개위치에 있어서 캠기구에 의해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여 자연 낙하되는 일이 없다. 또, 폐쇄시에는 댐퍼작용에 의해 급격하게 떨어지는 일없이 최초로 비교적 빠르게 차츰 완만하게 되어 조용히 닫혀지고, 변좌를 개방방향에 가압하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폐쇄시 변좌에 뜨기현상이 생기는 일이 없다.
변기뚜껑용의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원웨이식 댐퍼기구에 의해 변기뚜껑의 개방조작시에는 가볍게 열 수 있고, 폐쇄시에는 댐퍼기구의 댐퍼작용에 의해 급격하게 낙하되는 일이 없으며, 최초에는 비교적 빠르게 차츰 완만하게 조용히 닫혀지고, 변기뚜껑을 개방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폐쇄시에 있어서 변좌에 뜨기 현상이 생기는 일이 없다.

Claims (5)

  1. 변기 본체측에 고정시키는 구조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과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 설치된 밸브를 가지는 원웨이식의 댐퍼기구와, 상기 회전드럼에 변기뚜껑이나 변좌의 부착부를 동시에 회전되도록 부착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변기의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2. 변기 본체측에 고정시키는 구조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과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 설치된 밸브를 가지는 원웨이식의 댐퍼기구와, 상기 회전드럼과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 설치된 캠기구와, 상기 회전드럼에 변기뚜껑이나 변좌의 부착부를 동시에 회전되도록 부착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변기의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댐퍼기구를 실린더내에 설치된 드럼수납실과, 이 드럼수납실내에 충전된 점성유체와, 상기 드럼수납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된 회전드럼고, 이 회전드럼에 설치된 한쌍의 날개부와, 이 날개부에 설치된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변기의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캠기구를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드럼수납실에 인접하여 설치된 회전드럼의 축부를 그 중심부에 삽통시켜서 형성하는 캠수납실과, 이 캠수납실의 내주에 융기설치된 복수의 캠부와, 상기 축부의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가압시켜서 부착한 상기 캠부와 맞닿는 롤러 또는 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변기의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밸브를 날개부의 축방향에 설치한 홈부와, 이 홈부에 의해 형성된 한쌍의 제1 밸브편 및 제2 밸브편과 상기 제1 밸브편에 설치된 긴구멍과, 상기 제2 밸브편에 설치된 제1 절결과, 상기 제1 절결과 대략 일치하는 제2 절결을 가지고 상기 홈부내에 요동가능하게 수용장착된 밸브와, 상기 실린더의 측부의 상기 회전드럼의 측부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테이퍼 원호형상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변기의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KR2019950002815U 1994-05-06 1995-02-21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KR01187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4822 1994-05-06
JP1994004822U JP3006755U (ja) 1994-05-06 1994-05-06 洋式便器の便蓋と便座の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182U KR950032182U (ko) 1995-12-14
KR0118764Y1 true KR0118764Y1 (ko) 1998-07-15

Family

ID=1159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815U KR0118764Y1 (ko) 1994-05-06 1995-02-21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06755U (ko)
KR (1) KR01187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749B2 (ja) 1997-02-28 2003-02-04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自立保持装置
JPH10331895A (ja) * 1997-06-04 1998-12-15 Nifco Inc ダン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06755U (ja) 1995-01-31
KR950032182U (ko) 199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462Y1 (ko) 양식변기의 뚜껑이나 앉는자리 등의 개폐장치
KR100251856B1 (ko) 복합토크힌지
US6840355B2 (en) Rotary damper device
US5152029A (en) Hydraulic hinge
KR19980070776A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 또는 덮개 등의 개폐장치
KR19980024758U (ko) 복합토크힌지
US11072958B2 (en) Damper hinge and western-style toilet using the same
RU2002117293A (ru) Поворот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US6687921B1 (en) Toilet seat damper
KR910020292A (ko) 도어 클로저
KR19980080194A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용 힌지
KR19980080193A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용 힌지
WO2003106860A1 (ja) 回転ダンパ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0118764Y1 (ko)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KR101345236B1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KR20080111969A (ko) 회전 각도 제한 기능을 갖는 경첩
KR0140011B1 (ko) 양식변기의 뚜껑이나 앉는자리 등의 개폐장치
KR100580588B1 (ko) 회전식 오일 댐퍼
JP2005188636A (ja) ロータリーダンパ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US10920476B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EP1681490B1 (en) Damping system for dampening the rotary movement of a rotatable body and hinge comprising such a system
JP2006242253A (ja) 回転ダンパー装置
JP2004076267A (ja) ヒンジ装置
KR20090072627A (ko) 회전식 오일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